KR101976515B1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515B1
KR101976515B1 KR1020170169328A KR20170169328A KR101976515B1 KR 101976515 B1 KR101976515 B1 KR 101976515B1 KR 1020170169328 A KR1020170169328 A KR 1020170169328A KR 20170169328 A KR20170169328 A KR 20170169328A KR 101976515 B1 KR101976515 B1 KR 101976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vibration
earphone
rod
electri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경환
Original Assignee
황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경환 filed Critical 황경환
Priority to KR1020170169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이어폰이 개시된다.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압전 소자(20)를 구동하는 제어부(10); 제어부(10)의 구동으로 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압전 소자(20);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을 전체 또는 부분만 감싸고,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30); 및 로드(30)의 진동을 외이도로 전달하는 이어캡(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30)의 진동을 이어캡(40)에 의해 외이도로 전달할 수 있고, 외이도 통로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로드(30)의 외곽 테두리에 이어캡(40)을 형성되고 외이도와 접촉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고, 로드(30) 홀(31)을 통해 이어폰 착용시 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가 안 되어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며 외부 음을 일부 들을 수 있고, 로드(30)와 이어캡(40)의 임피던스는 외이도의 임피던스와 매칭되어 압전 소자(20)의 진동이 외이도로 손실 없이 전달될 수 있고, 실리콘 스폰지(50)에 의해 압전 소자(20) 후면에 발생된 공기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킬 수 있고, 외부 음향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음향 적응도에 따라 발생된 전기 신호를 보정하여 보정된 전기 신호로 압전 소자(20)를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폰{EARPHONE}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전도로 사용자가 음향을 듣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이어폰은 코일이 부착된 진동판을 진동시켜 소리를 만들고 고막에 공기 진동을 전달한다. 이어폰은 소리로 고막에 공기 진동을 전달하므로, 고막이 손상된 사용자에게는 이어폰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고막에 공기 진동을 전달하는 이어폰이 아닌 골전도를 이용한 이어폰이 있다.
귀는 외이도를 가진다. 외이도로 전달되는 진동은 망치뼈, 모루뼈, 등자뼈를 통해 달팽이관으로 전달된다. 달팽이관으로 전달된 진동은 청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된다. 이어폰은 외이도를 통한 골전도 이어폰이다. 골절도 이어폰은 고막을 통하지 않고, 달팽이관으로 진동을 전달한다. 골전도를 이용한 이어폰은 고막 대신 외이도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골전도 이어폰은 음 전달이 원할치 않아 사용자가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번호: 10-2010-0037966, 압전 소자(20)를 이용한 골전도 이어폰 등록번호: 10-1123864, 보빈에 의해 지지되는 압전소자 타입의 골전도 이어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막을 통과하지 않고, 외이도를 진동시켜 골전도로 사용자가 음향을 들을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압전 소자(20)를 구동하는 제어부(10); 제어부(10)의 구동으로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압전 소자(20);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을 전체 또는 부분만 감싸고,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30); 및 로드(30)의 진동을 외이도로 전달하는 이어캡(40)를 포함한다.
또한, 외이도 바깥쪽에 위치하고 외이도 통로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로드(30)의 외곽 테두리에 이어캡(40)은 형성되고, 외이도와 접촉한다.
또한, 로드(30)는 이어폰 착용시 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가 안 되어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며 외부 음을 일부 들을 수 있게 하는 홀(31)을 포함한다.
또한, 로드(30)와 이어캡(40)의 임피던스는 외이도의 임피던스와 매칭되어 압전 소자(20)의 진동이 외이도로 손실 없이 전달된다.
또한, 압전 소자(20)의 후면에 위치하고, 후면에 발생된 공기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키는 실리콘 스폰지(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 신호로 압전 소자(20)를 구동한다.
또한, 외부 음향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60); 및 사용자의 음향 적응도에 따라 마이크(60)의 전기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부(7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10)는 보정된 전기 신호로 압전 소자(20)를 구동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이용할 경우에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30)의 진동을 이어캡(40)에 의해 외이도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외이도 통로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로드(30)의 외곽 테두리에 이어캡(40)을 형성되고 외이도와 접촉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로드(30) 홀(31)을 통해 이어폰 착용시 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가 안 되어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며 외부 음을 일부 들을 수 있다.
또한, 로드(30)와 이어캡(40)의 임피던스는 외이도의 임피던스와 매칭되어 압전 소자(20)의 진동이 외이도로 손실 없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스폰지(50)에 의해 압전 소자(20) 후면에 발생된 공기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음향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음향 적응도에 따라 발생된 전기 신호를 보정하여 보정된 전기 신호로 압전 소자(20)를 구동할 수 있다.
도 1은 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이어폰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이어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이어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이어폰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은 이어폰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7은 서버를 이용한 이어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귀를 보인 예시도이다.
귀는 외이도(11)를 가진다. 외이도(11)로 전달되는 진동은 망치뼈, 모루뼈, 등자뼈를 통해 달팽이관(12)으로 전달된다. 달팽이관(12)으로 전달된 진동은 청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된다.
이어폰은 외이도(11)를 통한 골전도 이어폰이다. 골절도 이어폰은 고막을 통하지 않고, 달팽이관(12)으로 진동을 전달한다. 골절도 이어폰은 고막이 손상된 사용자에게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 이어폰은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달팽이관(12)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골전도 이어폰이다. 고막이 온전치 않은 사용자에게 적합하고, 청각이 온전한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는 이어폰이다.
이어폰은 골전도 진동 전달 효율을 높여 사용자가 음을 잘 들을 수 있도록 한다. 골전도 진동 전달 효율이 높을수록 사용자가 음을 잘 구별할 수 있고 이어폰이 성능을 낼 수 있다. 이어폰이 가지는 음향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압전 소자의 배치와 임피던스 매칭을 제공한다.
압전 소자의 진동에 의한 공기 진동을 최소화하고, 압전 소자의 진동이 외이도(11)에 손실 없이 전달되도록 이어폰 구조를 가진다.
도 2는 이어폰을 보인 예시도이다.
로드(30)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 전체를 감싸고,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로드(30)는 압전 소자(20)의 진동을 이어캡(40)으로 전달한다. 로드(30)와 이어캡(40)의 임피던스가 외이도 임피던스와 매칭되어 압전 소자(20)의 진동을 외이도로 손실 없이 전달한다. 손실 없는 진동 전달을 위해 임피던스 매칭이 요구된다. 임피던스 매칭은 로드(30)와 이어캡(40)을 구성하는 재질과 모양을 고려한 진동 전달 특성을 시뮬레이션 해석하고, 설계해서 만든 시제품에 대해 압전 소자(20)의 진동 출력과 청각에 따른 뇌파 측정을 통해 실험적으로 얻어진다.
압전체(21)는 전기장을 가하면 결정에 기계적 변형이 발생되는 물질이다.
압전 소자(20)는 압전체(21)를 붙여서 진동판 역할을 하고, 전극을 연결한다. 제어부(10)가 전기 신호로 압전 소자(20)를 구동한다.
로드(30)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 전체를 감싸고, 로드 홀(31)은 이어폰 착용시 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가 안 되어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며 외부 음을 일부 들을 수 있게 한다.
후면 케이스(80)는 이어폰의 후면을 보호한다. 후면 케이스(80)에는 실리콘 스폰지(50)가 접한다.
실리콘 스폰지(50)가 압전 소자(20)의 후면에 위치하고, 후면에 발생된 공기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킨다. 실리콘 스폰지(50)는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켜 외부 음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와이어(22)는 전기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다.
전면 케이스(90)는 로드(30)와 압전 소자(20)를 보호한다.
외이도 바깥쪽에 위치하고 외이도 통로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로드(30)의 외곽 테두리에 이어캡(40)은 끼워져서 형성되고, 외이도와 접촉한다.
이어캡(40)은 외이도로 진동을 전달한다.
도 3은 이어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로드(30)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 전체를 감싸는 것이 아니라 중앙 부분을 감싸고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로드(30)가 압전 소자의 진동을 이어캡(40)으로 전달한다.
압전체(21)는 전기장을 가하면 결정에 기계적 변형이 발생되는 물질이다.
압전 소자(20)는 압전체(21)를 붙여서 진동판 역할을 하고,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극을 연결한다.
로드(30)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 중앙 부분을 감싸고, 로드(30) 홀(31)은 이어폰 착용시 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가 안 되어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며 외부 음을 일부 들을 수 있게 한다.
후면 케이스(80)는 이어폰의 후면을 보호한다. 후면 케이스(80)에는 실리콘 스폰지(50)가 접한다.
실리콘 스폰지(50)가 압전 소자(20)의 후면에 위치하고, 후면에 발생된 공기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킨다.
와이어(22)는 전기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다.
전면 케이스(90)는 로드(30)와 압전 소자(20)를 보호한다.
외이도 바깥쪽에 위치하고 외이도 통로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로드(30)의 외곽 테두리에 이어캡(40)은 끼워져서 형성되고, 외이도와 접촉한다.
이어캡(40)은 진동을 외이도에 전달한다.
도 4는 이어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제어부(10)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압전 소자(20)를 구동한다. 전기 신호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는 워크맨, 라디오, 오디오,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의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압전 소자(20)는 제어부(10)의 구동으로 초음파 진동을 발생한다. 압전 소자(20)의 초음파 진동은 매질간 임피던스 차이로 공기 중으로 전달이 잘 되지 않는다.
로드(30)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을 전체 또는 부분만 감싸고,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로드(30)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에 밀착되고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이어캡에 연결된다.
이어캡(40)은 로드(30)의 진동을 외이도로 전달한다.
외이도 바깥쪽에 위치하고 외이도 통로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로드(30)의 외곽 테두리에 이어캡(40)은 형성되고, 외이도와 접촉한다.
로드(30)는 이어폰 착용시 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가 안 되어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며 외부 음을 일부 들을 수 있게 하는 홀(31)을 포함한다.
로드(30)와 이어캡(40)의 임피던스는 외이도의 임피던스와 매칭되어 압전 소자(20)의 진동이 외이도로 손실 없이 전달된다.
실리콘 스폰지(50)는 압전 소자(20)의 후면에 위치하고, 후면에 발생된 공기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킨다. 실리콘 스폰지(50)는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켜 외부 음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10)는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 신호로 압전 소자(20)를 구동한다.
도 5는 이어폰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마이크(60)는 외부 음향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한다. 마이크(60)는 상대방의 음성을 전기 신호로 만들 수 있다.
보정부(70)는 사용자의 음향 적응도에 따라 마이크(60)의 전기 신호를 보정한다. 음향 적응도는 가청 주파수 별로 나타나는 사용자의 특성이다.
제어부(10)는 보정된 전기 신호로 압전 소자(20)를 구동한다.
제어부(10)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압전 소자(20)를 구동한다.
압전 소자(20)는 제어부(10)의 구동으로 초음파 진동을 발생한다. 압전 소자(20)의 초음파 진동은 매질간 임피던스 차이로 공기 중으로 전달이 잘 되지 않는다.
로드(30)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을 전체 또는 부분만 감싸고,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로드(30)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에 밀착되고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이어캡에 연결된다.
이어캡(40)은 로드(30)의 진동을 외이도로 전달한다.
외이도 바깥쪽에 위치하고 외이도 통로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로드(30)의 외곽 테두리에 이어캡(40)은 형성되고, 외이도와 접촉한다.
로드(30)는 이어폰 착용시 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가 안 되어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며 외부 음을 일부 들을 수 있게 하는 홀(31)을 포함한다.
로드(30)와 이어캡(40)의 임피던스는 외이도의 임피던스와 매칭되어 압전 소자(20)의 진동이 외이도로 손실 없이 전달된다.
실리콘 스폰지(50)는 압전 소자(20)의 후면에 위치하고, 후면에 발생된 공기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킨다. 실리콘 스폰지(50)는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켜 외부 음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10)는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 신호로 압전 소자(20)를 구동한다.
이상 정리하면, 이어폰은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30)의 진동을 이어캡(40)에 의해 외이도로 전달할 수 있다.
이어폰은 외이도 통로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로드(30)의 외곽 테두리에 이어캡(40)을 형성되고 외이도와 접촉한다.
이어폰은 로드(30) 홀(31)을 통해 이어폰 착용시 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가 안 되어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며 외부 음을 일부 들을 수 있다.
로드(30)와 이어캡(40)의 임피던스는 외이도의 임피던스와 매칭되어 압전 소자(20)의 진동이 외이도로 손실 없이 전달될 수 있다.
이어폰은 실리콘 스폰지(50)에 의해 압전 소자(20) 후면에 발생된 공기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어폰은 외부 음향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사용자의 음향 적응도에 따라 발생된 전기 신호를 보정하여 보정된 전기 신호로 압전 소자(20)를 구동할 수 있다.
도 6은 이어폰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어폰은 사용자의 음향 평가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은 입력부(100)를 통해 음향 평가를 입력받아 보정부(70)의 전기 신호 보정을 개선할 수 있다. 입력부(100)가 외부 음향에 대응한 골전도 출력에 한 음향 평가가 하로 입력한 경우 보정부(70)는 전기 신호의 출력을 올려 골전도 출력을 증가시킨다. 이후 입력부(100)의 음향 평가를 계속 피드백하면서 보정부(70)의 전기 신호 보정을 개선한다. 이를 통해 이어폰은 사용자의 음향 평가를 골전도 출력에 반영해서 음향 품질을 개선하는 것이다.
도 7은 서버를 이용한 이어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어폰은 서버(200)로 사용자의 음향 특성을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의 음향 특성을 기록하고, 사용자의 청각 손실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의 청각 손실 정도가 일정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의료 진료를 알릴 수 있다. 사용자는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의료 진료 필요를 수신하고, 청각에 대한 의료 진료를 신청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가 의료 진료를 신청할 때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가까운 이빈후과 의원을 추천하고, 사용자 요청시 이빈후과 의원에 진료 예약을 신청할 수 있다. 이어폰과 서버(200)간에 사용자 청각 손실 정도에 따른 의원 진료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진료 예약이 되는 이빈후과 의원은 서버에 사전 등록될 수 있다.
이어폰과 연동하는 스마트폰 앱은 사용자의 음향 평가, 외부 음향에 대응한 골전도 출력, 사용자의 음향 특성 및 의료 진료 신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한다. 스마트폰 앱은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할 때 이어폰과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마트폰 앱을 통한 이어폰 관리 서비스인 것이다.
스마트폰 앱은 사용자의 음향 평가를 기록하고, 외부 음향에 대응한 골전도 출력을 개선하며, 사용자의 음향 특성을 판단하여 의료 진료 신청을 해야 할지를 사용자에게 질의한다.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자신의 청각 기능에 대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앱은 사용자 중심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어폰 제조사 입장에서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어부 11: 외이도
12: 달팽이관 20: 압전소자
21: 압전체 22: 와이어
30: 로드 31: 홀
40: 이어캡 50: 실리콘 스폰지
60: 마이크 70: 보정부
80: 후면 케이스 90: 전면 케이스
100: 입력부 200: 서버

Claims (7)

  1. 전기 신호를 생성하여 압전 소자(20)를 구동하는 제어부(10);
    상기 제어부(10)의 구동으로 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압전 소자(20);
    상기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을 전체 또는 부분만 감싸고, 진동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30);
    상기 로드(30)의 진동을 외이도로 전달하는 이어캡(40)을 포함하고,
    상기 로드(30)와 상기 이어캡(40)의 임피던스는 외이도의 임피던스와 매칭되어 상기 압전 소자(20)의 진동이 외이도로 손실 없이 전달되는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외이도 바깥쪽에 위치하고 외이도 통로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놓이는 상기 압전 소자(20)의 진동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상기 로드(30)의 외곽 테두리에 상기 이어캡(40)이 형성되고, 외이도와 접촉하는 이어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30)는 이어폰 착용시 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가 안 되어 발생되는 질환을 예방하며 외부 음을 일부 들을 수 있게 하는 홀(31)을 포함하는 이어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20)의 후면에 위치하고, 후면에 발생된 공기의 진동을 흡수하여 이어폰 외부로 음이 나오는 것을 감쇠시키는 실리콘 스폰지(50)를 더 포함하는 이어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외부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 신호로 상기 압전 소자(20)를 구동하는 이어폰.
  7. 제6항에 있어서,
    외부 음향을 수신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60); 및
    사용자의 음향 적응도에 따라 상기 마이크(60)의 전기 신호를 보정하는 보정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는 보정된 전기 신호로 상기 압전 소자(20)를 구동하는 이어폰.
KR1020170169328A 2017-12-11 2017-12-11 이어폰 KR101976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328A KR101976515B1 (ko) 2017-12-11 2017-12-11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328A KR101976515B1 (ko) 2017-12-11 2017-12-11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515B1 true KR101976515B1 (ko) 2019-05-10

Family

ID=6658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328A KR101976515B1 (ko) 2017-12-11 2017-12-11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5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450A (ko) * 2008-05-02 2009-11-05 소리젠 주식회사 피드백 제어를 갖는 주파수 특성 보상형 능동형 소음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00037966A (ko) 2008-10-02 2010-04-12 이억기 압전 소자를 이용한 골전도 이어폰
JP2010087810A (ja) * 2008-09-30 2010-04-15 Wecom Kenkyusho:Kk 耳穴式骨伝導レシーバ
KR101123864B1 (ko) 2010-12-13 2012-03-16 최성식 보빈에 의해 지지되는 압전소자 타입의 골전도 이어폰
KR20160031179A (ko) * 2014-09-12 2016-03-22 김영자 진동식 음향 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450A (ko) * 2008-05-02 2009-11-05 소리젠 주식회사 피드백 제어를 갖는 주파수 특성 보상형 능동형 소음 제어장치 및 방법
JP2010087810A (ja) * 2008-09-30 2010-04-15 Wecom Kenkyusho:Kk 耳穴式骨伝導レシーバ
KR20100037966A (ko) 2008-10-02 2010-04-12 이억기 압전 소자를 이용한 골전도 이어폰
KR101123864B1 (ko) 2010-12-13 2012-03-16 최성식 보빈에 의해 지지되는 압전소자 타입의 골전도 이어폰
KR20160031179A (ko) * 2014-09-12 2016-03-22 김영자 진동식 음향 출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224B2 (en) High fidelity and reduced feedback contact hear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180376255A1 (en) Bone conduction device fitting
CN110099347B (zh) 包括接触耳廓的振动器的助听器
Hosoi et al. Cartilage conduction as the third pathway for sound transmission
US10412515B2 (en) Fitting of hearing devices
Stenfelt et al. A model of the occlusion effect with bone-conducted stimulation
JP5586467B2 (ja) オープンイヤー骨伝導聴取デバイス
JP4020774B2 (ja) 補聴器
US10531208B2 (en) Customization of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s
Nishimura et al. Is cartilage conduction classified into air or bone conduction?
Shimokura et al. Cartilage conduction hearing
US20140342783A1 (en) Communication device
EP3001700B1 (en) Positioned hearing system
Zenner et al. Human studies of a piezoelectric transducer and a microphone for a totally implantable electronic hearing device
US9301068B2 (en) Acoustic prescription rule based on an in situ measured dynamic range
CN106331972B (zh) 用于将耳内式通信装置放在用户耳道中的方法和设备
Eddins et al. Device and fitting protocol for a transitional intervention for debilitating hyperacusis
KR101976515B1 (ko) 이어폰
Somayaji et al. Middle ear implants
Valente et al. Transcranial contralateral routing of the signal as a fitting option for patients with single-sided deafness
CN117322014A (zh) 用于双侧骨传导协调和平衡的系统和方法
外耳道内音響特性による骨導超音波知覚メカニズムの推定 3P5-36
Dickinson Verification of Baha Fitting for Single-Sided Deafness: How, What, Where and Why Do We Measure?
LITTLER HEARING A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