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972B1 - Plates that can be separated by rotation in the stacked state - Google Patents

Plates that can be separated by rotation in the stacked st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972B1
KR101974972B1 KR1020180020305A KR20180020305A KR101974972B1 KR 101974972 B1 KR101974972 B1 KR 101974972B1 KR 1020180020305 A KR1020180020305 A KR 1020180020305A KR 20180020305 A KR20180020305 A KR 20180020305A KR 101974972 B1 KR101974972 B1 KR 10197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dish
separating
groo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효곤
정연환
Original Assignee
(주)리치원
김효곤
정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치원, 김효곤, 정연환 filed Critical (주)리치원
Priority to KR102018002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9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3Plates, dishes or the like for using only once, e.g.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4Open-ended containers shaped to be nested when empty and to be superposed when full
    • B65D21/048Identical stackable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retaining the same orientation when nested, e.g. the upper container being fixed or slightly rotatable during the nest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separable by rotation in an accumulated state, and more specifically, to a plate which can be individually separated by being rotated after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by a hand for rotation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ishes are accumulated.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h including a rotation separation groove, wherein accumulated dishes are rotated when a slight pressure is applied by a hand for rotation, thereby being easily separated into individual pieces. Furthermore,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is fitted when a plurality of dishes are accumulated such that, when the accumulated dishes are carried for travel before being separated, the dishes can be fixated without being scattered.

Description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분리가능한 접시{omitted}Plates that can be separated by rotation in a stacked state {omitted}

본 발명은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분리가능한 접시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접시가 적층된 상태에서 손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회전시킬때 회전됨으로써 개별 분리가능하도록 하는 접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 detachable by rotation in a stacked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ishes are stacked and rotat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with a hand.

일반적으로 식품을 담는 일회용 접시는 한번 사용하고 나서는 폐기시킬 수 있도록 제조된 것으로, 산업이 발달하고 생활이 편리해짐에 따라 일회용 접시 또는 용기가 개발되고 이러한 일회용 접시 또는 요기는 모임이나 여러 장소 등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disposable dish containing food is manufactured so that it can be used once and then discarded. As the industry develops and the life becomes convenient, a disposable dish or container is developed and such disposable dish or yogi is very useful in meetings and various places .

상기 일회용 접시는 주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데, 일회용 접시는 여러 번 사용하여도 무방할 정도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 한 번의 사용으로 버려지고 있다.The disposable plate is main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disposable plate has sufficient strength enough to be used many times, but is largely discarded by one use.

그러나, 합성수지 소재는 다양하고 우수한 기능 및 저렴한 가격으로 현대인들의 풍요로운 일상생활과 산업발달에 큰 공헌을 해온 반면, 대량으로 발생하는 각종 폐비닐, 스티로폼, 플라스틱 용기 등의 소각이나 매립에 따른 환경호르몬 누출, 맹독성의 다이옥신 검출,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대기오염 발생 등과 같은 심각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However, synthetic resin material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abundant daily life and industrial development of modern people with various and excellent functions and low prices. On the other hand, environmental hormone leaking due to incineration and landfilling of various kinds of waste vinyl, styrofoam, , Detection of toxic dioxins, incomplete combustion of waste, and air pollution.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회용 접시를 자연분해가 쉽게 일어나도록 하여 분해성이 뛰어나도록 하는 등 여러가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such as easy disassembly of the disposable dish and excellent decomposability.

이러한 일회용 접시를 생산하는 방법은 원료를 조합하여 시트를 제조한 다음, 제조된 시트에 다수개의 접시모양이 성형된 몰드에 삽입하여 가온가압시킴으로써 접시모양으로 성형을 하고, 접시모양이 성형된 시트를 여러장 포개어 절단기에 넣어 각각 일회용 접시를 분리시키어 포장하는 방법으로 생산된다.A method of producing such a disposable plate includes a step of preparing a sheet by combining raw materials, inserting the sheet into a mold having a plurality of plate shapes formed on the sheet, heating and pressing the plate to form a plate, It is produced by putting several pieces of superimposed cutter in a cutting machine and disposing and disposing each disposable plate.

하지만 이렇게 여러겹으로 분리되어 포장된 일회용 접시는 소비자가 사용하기 위해 적층된 접시를 분리할 때 원활하게 분리되지 않고 여러겹이 딸려올라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소비자들에게 불편함을 안겨주는 실정이다.However, the disposable dish packed in multiple layers is not smoothly separated when the laminated plates are separated for use by consumers, and problems such as multiple layers are brought up, causing inconvenience to consumers. to be.

특허등록번호 제10-0082998호 (1995.03.07)Patent Registration No. 10-0082998 (1995.03.07) 특허등록번호 제10-0597504호 (2006.06.29)Patent Registration No. 10-0597504 (Jun. 29, 2006)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된 접시의 개별분리를 쉽게 하기 위해 회전분리홈이 포함된 접시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h including a rotatable separation groove to facilitate separate separation of stacked dishes.

또 다른 목적은 여러장의 접시를 적층할때 회전분리홈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적층된 접시를 분리하기 전에 들고 이동시 접시가 흐트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s to be inserted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 so that the plates can be fixed without being disturbed when the laminated plates are separated and moved.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담길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접시(100)에 있어서, 접시(1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심점(C)을 중심으로 반지름(R)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선상에서 소정의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회전분리홈(12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분리홈(120)은 중심점(C)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부분이 중심점(C)과 먼 위치에 형성된 부분보다 깊이가 깊으며, 상기 회전분리홈(120)의 외면에 회전분리홈(120)과 대응되는 형태로 회전분리돌기(120a)가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돌기(120a)가 다른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적층된 형태로 다수 개의 접시가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여러 층으로 적층된 접시의 회전분리돌기(120a)는 중심점(C)과 먼 위치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로부터 먼저 이탈된 후 나머지 부분이 이탈됨으로써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분리가능한 접시와,
내부에 내용물이 담길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접시(100)에 있어서, 접시(1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심점(C)을 중심으로 반지름(R)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선상에서 소정의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회전분리홈(12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분리홈(120)은 중심점(C)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넓고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분리홈(120)의 외면에 회전분리홈(120)과 대응되는 형태로 회전분리돌기(120a)가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돌기(120a)가 다른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적층된 형태로 다수 개의 접시가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여러 층으로 적층된 접시의 회전분리돌기(120a)는 중심점(C)과 먼 위치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로부터 먼저 이탈된 후 나머지 부분이 이탈됨으로써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분리가능한 접시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 100 in which a receiving space 110 in which contents are contained is formed. The dish 100 has a center (C)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h 100,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has a center portion C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point C and a center point C of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 And a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are stacked so that the formed rotation separation protrusions 120a are fitted to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formed in the other plate, Rotating separating plate Wherein the rotor 120a is separated from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form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center point C and is then rotated in the rotating direction by releasing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rotor 120a. ,
A dish 100 having a receiving space 110 for containing contents therein is formed in a plate 100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R about a center point C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h 100, And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is formed so as to have a larger width and a shallower depth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C increases,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formed on one of the adjacent plates is connected to the other separating plate 120a,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in the rotating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are stacked so as to be fitted to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formed in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formed on the plate, C is separated from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formed at a remote position, and then the remaining portion is detached to be rotated in the rotating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 dish detachable by rotation in a laminated sta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회전분리홈이 포함된 접시를 제공함으로써 적층된 접시에 손으로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회전시킴으로 접시가 회전되어 접시의 개별분리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장의 접시를 적층할 때 회전분리홈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적층된 접시를 분리하기 전에 들고 이동시 접시가 흐트러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dish including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a slight pressure is applied to the stacked dish by hand, and the dish is rotated to facilitate separate separation of the dish. In addition, when the plurality of plates are stacked,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s are fitted so that the plate can be fixed without being disturbed when the stacked plate is moved and held before the plate is sepa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접시(100)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시(100)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시(100)의 회전분리홈(12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시(100)를 적층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적층된 접시(100)가 분리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적층된 접시(100)의 회전분리홈(120)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시(100)가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실제사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적층된 접시(100)를 분리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적층된 접시(100)를 지면을 향하여 기울인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of the dis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of the dis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he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aminated.
5 is a reference view for explaining how the stacked dishes 100 are separated.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of the stacked dishes 100 are separated.
7 is an actual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8 to 10 are photographs showing an embodiment for separating the stacked dishes 100. Fig.
11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cked dishes 100 are tilted toward the groun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have been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such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should be mentioned in advance that it is common knowledge in describing an invention that part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분리가능한 접시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접시(10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제 제품을 나타낸 사진으로 접시(100)가 여러 장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와 같이 접시(100)가 여러 장 적층된 상태에서 손으로 힘을 주어 밀면, 적층된 접시(100)에서 서로 맞닿아 끼워진 회전분리홈(120)은 접시(100)의 외주연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부분이 먼저 빠지고 뒤따라서 접시(100)의 중심점(C)과 가까이 있는 부분까지 빠지면서 서로 끼워진 회전분리홈(120)이 분리되어 접시(100)를 개별로 빼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 detachable by rotation in a stacked state, wherein FIG. 1 is a view showing a dis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actual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ulti-layered view. As shown in FIG. 5, when a plurality of dishes 100 are stacked and pressed by hand,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stacked dishes 100, are positioned near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h 100 And the rotating separation grooves 120 fitted to each other are separated and the dishes 100 can be individually pulled out as they are pulled out to a portion close to the center point C of the dish 100. [

본 발명의 접시(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접시(100)는 내부에 내용물이 담길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회전분리홈(120)이 포함된다. 또한 접시(10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부(130)가 더 포함된다.The dis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dis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eiving space 110 in which contents are contain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In addition, the dish 100 further includes a handle 130 for holding a user's hand.

회전분리홈(120)은 접시(1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심점(C)을 중심으로 반지름(R)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선상에서 소정의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다수개로 형성되는 회전분리홈(120)들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다.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is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radius R about a center point C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h 100 an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a thin line,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또한 상기 회전분리홈(120)은 접시(100)의 수용공간(110)이 위치한 면에서 접시(100)의 테두리와 가까운 위치에 원형상으로 배치되어 다수개가 형성된다.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t a position near the rim of the dish 100 on the side where the accommodation space 110 of the dish 100 is located.

상기 회전분리홈(120)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회전분리홈(120)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3을 참고한다.3, which schematically shows the shape of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in order to explain the shape of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in detail.

도 1 및 도 2와 같이 회전분리홈(120)은 곡선의 형태로 굴곡지도록 형성되어있으나, 도 3은 회전분리홈(120)의 형태에 관한 이해를 위해 개략적으로 그린 것으로 곡선의 형태를 생략한 것이다.1 and 2,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is formed to be curved in a curved shape. FIG. 3 is a schematic view for understanding the shape of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will be.

상기 회전분리홈(120)은 중심점(C)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넓고 깊이가 얕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has a wide width and a shallower depth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ral point C increases.

즉, 접시(100)의 중심점(C)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부분을 끼움고정부(122)라고 하며, 접시(100)의 중심점(C)과 먼 위치에 형성된 부분을 회전분리부(121)라고 할 때, 회전분리부(121)에서 끼움고정부(122)로 갈수록 홈보다 폭이 좁고 깊이가 깊어지도록 형성된다.That is, a portion formed near the center point C of the dish 100 is called a fitting portion 122, and a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dish 100 is referred to as a rotation separating portion 121 The rotation separating portion 121 is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and a deeper depth than the groove as it goes from the rotation fixing portion 121 to the fitting fixing portion 122.

도 3에 도시된 회전분리홈(120)은 일직선상의 홈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1,2의 회전분리홈(120)과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접시(100)의 중앙점(C)에서 점점 멀어질수록 회전분리홈(120)의 폭이 넓어지고 깊이는 얕아지게 된다.Although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shown in FIG. 3 is shown as a straight groove, it is curved like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of FIGS. 1 and 2, The width of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becomes wider and the depth becomes shallower.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다수 개가 형성되는 회전분리홈(120) 간의 간격은 다음과 같다.2, the spacing between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in which a plurality of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are formed is as follows.

먼저 접시(100)의 중심점(C)을 기준으로 지나가는 반지름선을 R이라 할때 회전분리홈(120)의 중앙과 만나는 점에서 회전분리홈(120)의 끝단까지의 선을 K라고 하면, R과 K 사이의 기울기각도를 a라고 하며, 회전분리홈(120)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서 형성되어 있다.Let R be the radi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point C of the dish 100. Let K be the line from the point where it meets the center of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to the end of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and K be R And K is defined as a, and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is formed by inclining at a predetermined angle.

접시(100)에 다수 형성된 회전분리홈(120) 중에 서로 이웃한 회전분리홈(120)은 도 2의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한 회전분리홈(120)은 중심점(C)과 멀리 위치한 회전분리홈(120)의 끝단점을 P1이라 하고, 중심점(C)과 가까이 위치한 회전분리홈(120)의 끝단점을 P3이라 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한 회전분리홈(120) 중 상부에 위치한 회전분리홈(120)은 중심점(C)과 멀리 위치한 회전분리홈(120)의 끝단점을 P2이라 하고, 중심점(C)과 가까이 위치한 회전분리홈(120)의 끝단점을 P4라고 한다.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s 12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lurality of rotation separating grooves 120 formed in the dish 100 are formed such that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s 120 located at the lower side in the state of FIG. 120 is referred to as P1 and the end disadvantage of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located near the center point C is referred to as P3.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djacent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is defined as P2 where the end point of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C is P2 and rotation And the end point of the separation groove 120 is P4.

이때, P3과 P4의 간격을 W1이라 하고, P1과 P2 사이의 간격을 W2라고 할 때 W2는 W1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1<W2).At this time, when an interval between P3 and P4 is W1 and an interval between P1 and P2 is W2, W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W1 (W1 < W2).

즉 서로 이웃한 회전분리홈(120)에서 중심점(C)과 가까이 위치한 끝단점 사이의 간격(W1)이 중심점(C)과 멀리 위치한 끝단점 사이(W1)의 간격(W2)보다 작도록 형성된다.The interval W1 between the center point C and the end points near the center of rotation adjacent to each other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terval W2 between the center point C and the distant end points W1 .

이와 같이 회전분리홈(120)이 반지름선(R)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회전분리홈(120) 사이의 일측끝단점 사이의 간격과 타측끝단점 사이의 간격이 다르도록 형성됨으로써 접시(100)가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분리홈(120) 간의 이탈이 원활하도록 도울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s 120 are form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radius line R,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one end end points of the adjacent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and the intervals between the other end end points are different So that the separation between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can be facilitated in a state where the dishes 100 are stacked.

이는 도 5의 참고도면과 같이 원기둥형태의 물체가 경사면의 경사가 시작되는 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C2방향으로 비스듬히 밀어올릴 때 경사면을 따라 이동경로는 바로 밀어올리는 C1에 비해 멀지만 힘이 덜 소요된다는 원리를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the reference drawing of FIG. 5, when a cylindrical object is pushed up obliquely in the C2 direction in a state where it is located at the beginning of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the travel path is farther than C1, To apply the principles.

도 4는 두 개의 접시(100)를 적층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면, 상부에 위치한 접시(100)의 회전분리홈(120)과 하부에 위치한 접시(100)의 회전분리홈(120)이 서로 끼움결합되어 적층된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wo dishes 100 are stacked. Referring to FIG. 4,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of the dish 100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stacked.

이때 접시(100)의 수용공간(110) 방면으로 회전분리홈(120)이 형성됨으로서 외부는 회전분리돌기(120a)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분리돌기(120a)는 외면에 회전분리홈(12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110 of the dish 100, and the outside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rotation separation protrusion 120a. That is, the rotation separation protrusion 120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on the outer surface.

도면과 같이 하부에 위치한 접시(100)는 손잡이부(130)와 가까이 위치한 회전분리홈(120) 중에 하나를 D1이라 하고 그 옆에 위치한 회전분리홈(120)을 D2라고 한다. 그리고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접시(100)가 상하로 일직선상에 위치할 때 상부 위치한 접시(100)에서 D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분리돌기(120a)를 H1이라하고 D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분리돌기(120a)를 H2라고 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one of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s 120 located near the handle 130 is referred to as D1 and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located beside the separating groove 120 is referred to as D2. When the dish 100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D1 in the upper positioned dish 100 is referred to as H1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D2 The rotation separating projection 120a is referred to as H2.

상부에 위치한 접시(100)는 하부에 위치한 접시(100)와 적층될 때 H1의 회전분리돌기(120a)는 D1의 회전분리홈(120)에 끼워지며, H2의 회전분리돌기(120a)는 D2의 회전분리홈(120)에 끼워진다.When the dish 100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stacked with the dish 100 located at the lower side,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of the H1 is fitted into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of the D1, and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of the H2 is inserted into the D2 And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of FIG.

도 6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상기 원리들을 적용하여 본 발명의 접시(100)가 적층된 상태에서 접시를 분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separating a plate in a state where the pl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principl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as follows.

도 6은 적층된 두 개의 회전분리홈(120)이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회전분리홈(120)과 회전분리홈(120)으로 인해 외부에 형성된 회전분리돌기(120a)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rotation separation protrusion 120a formed on the outside due to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and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to expla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two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FIG.

도 6는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의 상부에 또 다른 하나의 접시의 회전분리돌기(120a)가 적층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접시가 여러층으로 적층된다.
상기 접시가 다수개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방향(F)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중심점(C)과 먼 위치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 부분에서 회전분리돌기(120a) 부분이 먼저 이탈된 후 나머지 부분이 이탈됨으로써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another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of a dish is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formed in one plate, and the plate is stacked in several layers in this manner.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in the rotation direction F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the plates are stacked, the rotation separation protrusion 120a is first separated from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form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center point C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released to rotate in the rotating direction.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6(a)와 같이 두 개의 접시(100)가 겹쳐있는 상태에서 F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도 6(b)와 같이 회전분리부(121)가 위치한 부분의 회전분리돌기(120a)가 이동방향(G)으로 먼저 이동하여 이탈되고 이후 도 6(c)와 같이 회전분리부(121)가 이탈되는 방향을 따라 이와 연결된 끼움고정부(122)가 위치한 부분의 회전분리돌기(120a)까지 모두 이탈되어 두 개의 접시가 분리된다.
즉, 회전분리부(121)가 끼움고정부(122)보다 폭이 넓고 깊이가 좁음에 따라 F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했을때 끼움고정부(122)가 위치한 부분의 회전분리돌기(120a)에 비해 회전분리부(121)가 위치한 부분의 회전분리돌기(120a)가 먼저 이탈하게 되며 나머지부분도 따라서 이탈된다. 또한 도면과 같이 회전분리홈(120)에 적층된 회전분리돌기(120a)가 순차적으로 이탈될 때, 회전분리부(121) 부분에 위치한 회전분리돌기(120a)가 이탈되어 G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가 끼움고정부(122) 부분에 위치한 회전분리돌기(120a)에 비해 더 크기 때문에 이웃하는 회전분리홈(120)의 회전분리부(121) 사이의 간격이 끼움고정부(122) 사이의 간격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상부 접시(100)의 이탈된 회전분리홈(120)이 하부 접시(100)의 회전분리부(120)가 빠져나간 부분과 이웃하는 회전분리홈(120)으로 다시 끼워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6A, when the force is applied in the F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two dishes 100 are overlapped,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of the portion where the rotation separating portion 121 is located moves as shown in FIG. 6 (b) And then to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of the portion where the fitting fixing portion 122 is connect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separating portion 121 is separated as shown in FIG. 6 (c) The two plates are separated.
That is,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applied in the F direction as the rotation separating portion 121 is wider and narrower than the fitting and fixing portion 122, the rotation separating portion 120a of the portion where the fitting and fixing portion 122 is located The rotation separating projection 120a of the portion where the rotation separating portion 121 is located is separated first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also separated. When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s 120a stacked on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are sequentially detach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s 120a located in the rotation separating portion 121 are separated, The gap between the rotation separating portions 121 of the adjacent rotation separating grooves 120 is larg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engaging and securing portions 122 of the adjacent rotation separating grooves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ached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of the upper plate 100 from being refitted into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adjacent to the portion where the rotation separation portion 120 of the lower plate 100 has escaped have.

삭제delete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접시(100)의 실제 모습이다.7 to 10 are actual views of the dis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접시(100)가 여러장으로 적층된 상태로 바닥면에 놓여진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때 적층된 접시(100)들은 외관상의 깔끔함과 접시(100)를 사용하기 전에 휴대하기 용이하기 위해 접시(100)의 손잡이부(130)가 서로 만나도록 적층시킨다.7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the dish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laced on a floor surface in a stacked state. At this time, the stacked dishes 100 are stacked so that the handle 130 of the dish 100 meets each other so as to be easy to carry before the dishes 100 are used.

도 8은 적층된 상태의 접시(100)를 개별로 분리하기 위해 손으로 잡아서 회전방향(F)으로 압력을 가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구체적으로는 엄지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하여 엄지손가락이 닿은 부분의 접시(100)가 회전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8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te 100 in a stacked state is gripped by hand for separating the plates 100 and pressure is applied in the rotation direction F. FIG. Specifically, pressure is applied with the thumb to allow the dish 100 to be rotated.

도 9는 엄지손가락에 의해 회전방향(F)으로 압력이 가해진 접시(100)가 개별로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회전방향(F)으로 가해진 압력에 의해 여러겹으로 적층된 접시(100)들이 도 6과 같이 이탈됨으로 접시(100)들은 이동방향(G)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서로 겹쳐져 있던 손잡이부(130)의 위치도 다른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쉽게 손잡이부(130)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9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hes 100 to which pressure is applied by the thumb in the rotational direction F are separated individually. The dishes 100 stacked in layers by the pressure applied in the rotation direction F are removed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dishes 100 are moved in the moving direction G. 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knob part 130 overlapped with each other is also located at another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knob part 130.

도 10은 접시(100)를 이동방향(G)으로 이동시킨 뒤, 사용자가 접시(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부에 위치한 접시(100)의 손잡이부(130)를 들어올리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와 같이 접시(100)를 개별로 분리시킴으로 사용자는 적층된 상태의 접시(100)를 개별로 쉽게 분리할 수 있다.10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lifts the handle 130 of the dish 100 located at the upper part to use the dish 100 after moving the dish 100 in the moving direction G. [ By separating the dishes 100 individually,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dishes 100 in a stacked state.

도 11은 본 발명의 접시(100)가 적층된 상태에서 접시(100)의 수용공간(110) 지면을 향하도록 기울였을 때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사진과 같이 여러겹으로 적층된 접시(100)는 서로 이웃한 접시(100) 중 하나의 접시(100)에 형성된 회전분리돌기(120a)가 다른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에 끼워져서 결합되기 때문에 지면 쪽으로 기울어도 접시(100)들이 접시가 빠지는 방향(G)으로 떨어지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분리홈(120)의 끼움고정부(122)로 인해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에 다른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돌기(120a)에 끼움 고정되어서 접시(100)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적층된 접시(100)가 옆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쉽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여러개의 접시(100)를 들고 이동시 용이한 이점이 있다.11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the dish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toward the floor of the receiving space 110 of the dish 100 in a stacked state. A plurality of stacked plates 100 as shown in the photograph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otation separation protrusions 120a formed in one of the dishes 100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serted into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formed in the other plate So that the dishes 100 can maintain their positions without falling in the direction G in which the dishes are pulled out. The plate 100 is fitted and fixed to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formed on the other plate in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formed in one dish due to the fitting and fixing part 122 of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So that even if the stacked dish 100 is tilted sideways, it can not be easily separat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easily carried while holding a plurality of dishes 100.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Examples should be understood.

100 접시
110 수용공간
120 회전분리홈
121 회전분리부
122 끼움고정부
120a 회전분리돌기
130 손잡이부
100 plates
110 reception area
120 revolving separation groove
121 rotation separating portion
122 inserting portion
120a rotation separating projection
130 Handle

Claims (3)

내부에 내용물이 담길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접시(100)에 있어서,
접시(1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심점(C)을 중심으로 반지름(R)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선상에서 소정의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회전분리홈(12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분리홈(120)은
중심점(C)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부분이 중심점(C)과 먼 위치에 형성된 부분보다 깊이가 깊으며,
상기 회전분리홈(120)의 외면에 회전분리홈(120)과 대응되는 형태로 회전분리돌기(120a)가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돌기(120a)가 다른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적층된 형태로 다수 개의 접시가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여러 층으로 적층된 접시의 회전분리돌기(120a)는 중심점(C)과 먼 위치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로부터 먼저 이탈된 후 나머지 부분이 이탈됨으로써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분리가능한 접시.
In a dish (100) in which a receiving space (110) for containing contents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R about a center point C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h 100 and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a fine line,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The portion formed closer to the center point C is deeper than the portion formed farther from the center point C,
A rotation separation protrusion 120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A plurality of plates are lamin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s 120a formed on one adjacent plate are fitted to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s 120 formed on the other plate,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of the plate stacked in multiple layers is separated from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form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center point C and is then rotated in the rotating direction Which is detachable by rotation in a stacked state.
내부에 내용물이 담길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접시(100)에 있어서,
접시(1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심점(C)을 중심으로 반지름(R)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선상에서 소정의 각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회전분리홈(12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분리홈(120)은 중심점(C)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넓고 깊이가 얕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분리홈(120)의 외면에 회전분리홈(120)과 대응되는 형태로 회전분리돌기(120a)가 형성되되,
서로 이웃하는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돌기(120a)가 다른 하나의 접시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에 대응되어 끼워지도록 적층된 형태로 다수 개의 접시가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방향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여러 층으로 적층된 접시의 회전분리돌기(120a)는 중심점(C)과 먼 위치에 형성된 회전분리홈(120)로부터 먼저 이탈된 후 나머지 부분이 이탈됨으로써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분리가능한 접시.
In a dish (100) in which a receiving space (110) for containing contents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rotation separation grooves 120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R about a center point C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h 100 and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a fine line,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is formed so as to have a larger width and a shallower depth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ral point C increases,
A rotation separation protrusion 120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eparation groove 120,
A plurality of plates are lamin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s 120a formed on one adjacent plate are fitted to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s 120 formed on the other plate, The rotation separating protrusion 120a of the plate stacked in multiple layers is separated from the rotation separating groove 120 formed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center point C and is then rotated in the rotating direction Which is detachable by rotation in a stacked state.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100)는
손으로 잡기 위해 일측에 손잡이부(13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분리가능한 접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sh (100)
And a handle (130)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for holding by hand.
KR1020180020305A 2018-02-21 2018-02-21 Plates that can be separated by rotation in the stacked state KR1019749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305A KR101974972B1 (en) 2018-02-21 2018-02-21 Plates that can be separated by rotation in the stacked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305A KR101974972B1 (en) 2018-02-21 2018-02-21 Plates that can be separated by rotation in the stacked st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972B1 true KR101974972B1 (en) 2019-05-03

Family

ID=6658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305A KR101974972B1 (en) 2018-02-21 2018-02-21 Plates that can be separated by rotation in the stacked st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97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5206B2 (en) * 2003-05-08 2006-04-11 Michael Matthew Sommer Disposable plate with handle and method of stacking
KR100597504B1 (en) 2004-05-18 2006-07-11 서정수 A paper plate
KR20120004921U (en)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선일팩 Disposable food container and container set
KR20140000608U (en) * 2012-07-18 2014-01-29 유종철 Disposable dish
US9555916B2 (en) * 2006-01-13 2017-01-31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Paperboard container having increased rigid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5206B2 (en) * 2003-05-08 2006-04-11 Michael Matthew Sommer Disposable plate with handle and method of stacking
KR100597504B1 (en) 2004-05-18 2006-07-11 서정수 A paper plate
US9555916B2 (en) * 2006-01-13 2017-01-31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Paperboard container having increased rigid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20004921U (en)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선일팩 Disposable food container and container set
KR20140000608U (en) * 2012-07-18 2014-01-29 유종철 Disposable dis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3091U (en) Cups and containers with a living hinge and sleeves
US4805797A (en) Casing for packing
US7934449B2 (en) Serving tray and food container
US4043477A (en) Coin display
US10562680B2 (en) Formed thermoplastic article having a smoothly-curved distal periphery
DK151552B (en) CIRCULAR CONTAINER WITH LOW
KR20020073366A (en) Cup having safety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74972B1 (en) Plates that can be separated by rotation in the stacked state
US4093297A (en) Grasping device
CN101247991A (en) Disposable lid and handle combination for container
US11490647B2 (en) Sandwich maker for making crustless sealed sandwich
EP2964061B1 (en) An opening device of coffee capsules
JP6141389B2 (en) Batch manufacturing equipment
JP2017148581A (en) Badge manufacturing equipment
KR101951990B1 (en) Multi-layer film plate provided
JP2008278772A (en) Stamp medium
JPH072285U (en) Grooved food container for cutting
JPH0131038Y2 (en)
TWM549005U (en) Dining box structure
KR20140000608U (en) Disposable dish
US20190350395A1 (en) Modular tray
JP3090691U (en) cup
JP2006206066A (en) Cake packaging container
JP3725514B2 (en) Insect-proof egg packaging container
JP2017081575A (en) Fiber d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