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693B1 - Apparatus of detecting and displaying traffic signals and emergency for large vehicles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detecting and displaying traffic signals and emergency for large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693B1
KR101972693B1 KR1020180000076A KR20180000076A KR101972693B1 KR 101972693 B1 KR101972693 B1 KR 101972693B1 KR 1020180000076 A KR1020180000076 A KR 1020180000076A KR 20180000076 A KR20180000076 A KR 20180000076A KR 101972693 B1 KR101972693 B1 KR 10197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ffic
vehicle
displa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0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문보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0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6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4Vehicle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5Special conditions, e.g. pedestrians,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displaying a traffic signal and a dangerous situation for a larg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signal detection unit detecting a first traffic signal of a traffic light; a danger factor detection unit detecting a danger factor around a first vehicle; a control unit producing a traffic light display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type of a first traffic signal after analyzing the first traffic signal of the traffic light and distinguishing the type of the first traffic signal, and producing a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based on the danger factor detected by the danger factor detection unit; and a first apparatus unit and a second apparatus unit displaying a second traffic signal and a warning signal. Therefore, the present apparatus allows a driver of the first vehicle and even a driver of a third vehicle to precisely grasp and perceive a traffic signal and a dangerous situation.

Description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APPARATUS OF DETECTING AND DISPLAYING TRAFFIC SIGNALS AND EMERGENCY FOR LARGE VEHICL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signal and a danger-

본 발명은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가지 센서들을 활용하여 도로상에서 교통사고방지를 위한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ffic signal for large vehicles and a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vehicle traffic signal and a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for preventing traffic accidents on the road using various sensors.

일반적으로, 보행자 신호등 및 자동차 신호등과 같은 신호등은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상위 시스템, 즉 중앙컴퓨터에서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의해 원격으로 등화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 모드를 사용하거나, 상기 신호등 내에 내장된 알고리즘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외부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등화를 제어하는 지역 제어 모드 등을 사용한다. Generally, a traffic light such as a pedestrian traffic light and an automobile traffic light uses a central control mode for remotely controlling equalization by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an upper system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line, that is, a central computer, A local control mode in which the equalization is independently controlled without any external inter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신호등은 도로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기 다른 색의 불빛을 발산하는 복수개의 램프를 이용하고, 상기 각 램프의 점등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차량 운행제어에 필요한 신호체계를 이루는 바, 운전자는 상기 각 램프의 점등 여부를 보고, 상기 차량의 운행상태를 제어하게 된다.The signal lamp is installed on the road and uses a plurality of lamps that emit lights of different colors and adjusts the lighting state of each lamp to form a signal system necessary for vehicle driving control, Whether or not each of the lamps is turned on, and control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하지만, 상기 운전자들의 대부분은 자신의 차량 앞에 화물차량과 같은 대형차량이 있는 상황에서, 상기 대형차량에 의해 시야가 제한되어 교통신호, 교통상황 및 위험상황 등을 파악 및 인지하기 힘들며, 그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However, in most of the above-mentioned drivers, when a large vehicle such as a freight vehicle is present in front of the vehicle, the visibility is limited by the large vehicle and it is difficult to grasp and recognize the traffic signal, the traffic situation and the dangerous situation, .

이러한 상기 도로교통 상황을 인지하기 어려운 상기 상황에서, 상기 불안감이 더해져 교통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며, 만약 상기 대형차량과 사고 발생 시, 일반적인 교통사고와는 달리 대형연쇄 사고의 발생으로 큰 인명피해를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above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above road traffic situation, the anxiety is added to cause a traffic accident. If a large-sized vehicle and an accident occur, unlike a general traffic accident, And the like.

종래의 기술에서도 살펴볼 수 있듯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69551에서는 차량 전방의 영상 중 상기 자동차 신호등, 상기 보행자 신호등을 인식하는 영상 수집부와 수집된 상기 영상과 상기 보행자 신호등이 존재하는 도로의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을 저장하는 헤드유닛, 상기 영상 수집부를 통하여 인식되는 상기 자동차 신호등 또는 상기 보행자 신호등의 점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정한 상기 신호를 판단하는 판단부로 상기 신호를 인식하는 신호등 인식 시스템에 대한 특징들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 10-1681735에서는 교통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의 양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져 상기 도로상에 설치된 신호센서를 인식하는 센싱부를 통해 차량이 상기 신호등에 접근함에 따라 인식되는 상기 신호센서들을 수신하여 상기 교통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교통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며, 상기 교통신호의 종류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여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교통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교통신호를 알려주는 차량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특징들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7-0069551 discloses an image pickup device for recognizing the automobile traffic lights and the pedestrian traffic lights, and a traffic information analyzing device for detecting the roads where the collected images and the pedestrian traffic lights exist A head unit that stores a region of interest (ROI), a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one or more specific signals selected based on a signal illuminated by the vehicle signal lamp or the pedestrian signal recognized through the image collection uni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81735 discloses a traffic signal recognition system that recognizes a signal sensor installed on the roa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both directions of a traffic light indicating a traffic signal, And a signal light senso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raffic signal in response to the control signal. The traffic signal analyz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raffic sign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raffic signal, Discloses features relating to an on-vehicle device and method.

상술한 종래의 기술들에서 상기 신호를 인식하는 신호등 인식 시스템 같은 경우는 상기 영상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상기 영상을 기초로 상기 교통신호를 인식하기 때문에 상기 헤드유닛이 상기 관심영역 내에 있다고 하더라도, 악천후 혹은 기타 여러 가지 요소들로 전방에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상기 상황에서는 상기 인식 시스템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상기 교통신호를 알려주는 차량용 장치 및 방법은 센서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도로 교통상황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는 본 발명과 비슷하나, 단순히 상기 교통신호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상기 교통신호 외의 상기 도로교통 상황이나 상기 위험상황 등에는 대비하기 힘들고, 상기 도로상에서의 주변 상황을 인지하는 것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in the case of the signal light recognition system for recognizing the signal, the traffic signal is recognized based on the image collected through the image collection unit, so that even if the head unit is in the area of interest, The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the traffic signal that the recognition system is not reliable in the above-described situation in which the front view is not secured due to various other factors, It is difficult to prepare for the road traffic situation or the dangerous situation other than the traffic signal an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surrounding situation on the road, Lt; / RTI >

그래서, 상기 교통신호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도로교통 상황이나 상기 위험상황 등에도 대비할 수 있으며, 상기 도로상에서 상기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echniques for preventing the traffic accident on the road, in addition to precisely detecting the traffic signal, preparing for the road traffic situation and the dangerous situ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복수개의 센서를 활용하여, 신호등의 제1 교통신호를 수신하고, 제1 차량의 운전자 및 제3 차량의 운전자에게까지 제1 교통신호 및 상기 제1 차량 주변에서 발생하는 위험상황을 파악 및 인지하게 해주는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are capable of receiving a first traffic signal of a traffic light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and detecting a first traffic signal to a driver of the first vehicle and a driver of the third vehicle, And to provide a traffic signal and a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for a large vehicle which can grasp and recognize the situ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는 제1 차량이 제1 교통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의 일단에 상기 신호등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신호등의 상기 제1 교통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제1 차량의 외부의 위험요소를 감지하며 상기 신호 감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위험요소 감지부, 상기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위험요소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차량 내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등의 상기 제1 교통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제1 교통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 제1 교통신호의 종류에 따라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위험요소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위험요소에 기초하여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차량의 탑승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2 교통신호 및 경고신호를 상기 탑승공간 내로 표시하는 제1 장치부, 및 상기 제1 차량의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교통신호 및 상기 경고신호를 표시하는 제2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ffic signal and a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for a large vehicl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first vehicle approaches a traffic light indicating a first traffic signal, A signal detection unit disposed at one end of the signal lamp to detect the first traffic signal of the signal lamp, a dangerous element sens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dangerous element outside the first vehicle, The first traffic signal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sensing unit and the hazardous element sensing unit and being disposed in the first vehicle, analyzing the first traffic signal of the traffic light, discriminating the type of the first traffic signal, Generates a traffic light display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hazard display control signal, A first device unit disposed in a boarding space of the first vehicle for receiving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and displaying a second traffic signal and a warning signal in the boarding space, And a second device uni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vehicle and displaying the second traffic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based on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위험요소 감지부는 상기 제1 차량의 제1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속도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1 급정지 감지 모듈, 상기 제2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차량의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제2 가속도를 연산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 급정지 감지 모듈, 및 상기 제1 차량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향정보를 감지하는 음향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음향정보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요소는 상기 제1 가속도, 상기 제2 가속도 및 상기 음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hazard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abruption detection module that includes an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that measures a first acceleration of the first vehicle and transmits the first acceleration to the control unit, A second speed detec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second acceleration based on the speed of the second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second acceleration to the controller, And an acoustic information sensing module that includes the acoustic measurement sensor for sensing the acoustic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acoustic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and the acoustic nois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first acceleration, the second acceleration, and the acoustic information.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교통신호의 종류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제1 교통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신호 판별 모듈, 상기 판별되는 제1 교통신호의 종류가 대기신호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차량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대기시간 산출 모듈, 상기 판별되는 제1 교통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장치부 및 상기 제2 장치부에 각각 적색등, 황색등 및 녹색등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교통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교통신호 생성 모듈, 상기 위험요소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제1 가속도, 상기 제2 가속도 및 상기 음향정보가 기설정된 기준값들을 각각 초과하면, 상기 제1 장치부 및 상기 제2 장치부에 각각 상기 경고신호인 경고등이 표시되도록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위험신호 생성 모듈, 및 상기 제1 장치부 및 상기 제2 장치부로 각각 생성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송신해주는 신호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type of the first traffic signal, a signal discrimination module for discriminating the type of the first traffic signal, A waiting time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waiting time of the first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traffic signal is a traffic signal, A traffic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the traffic light display control signal so that the second traffic signal including the first acceleration, the second acceleration, and the acoustic information detected by the risk element sensing unit is output as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risk device generates a risk display control signal so that the warning light, which is the warning signal, is displayed on the first device unit and the second device unit, respectively, Generating modules, and may include the first device part and a signal transmitter that transmits the second device, each part generates the traffic light display control signal and display control signal the danger.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신호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신호 수신기, 및 수신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적색등, 상기 황색등, 또는 상기 녹색등을 표시하며 수신된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경고등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first device unit may include a first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of the control unit, and a second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warning lamp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d light, the yellow light, or the green ligh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신호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신호 수신기, 및 수신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적색등, 상기 황색등, 또는 상기 녹색등을 표시하며 수신된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경고등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econd device unit may include a second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of the control unit, and a second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warning lamp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d light, the yellow light, or the green ligh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에 의하면, 센싱부의 신호 감지부를 통해서, 도로상의 신호등과 일정 거리 내에 있을 때, 교통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상기 교통신호가 제어부에서 판별된 후, 제1 장치부 및 제2 장치부로 전송돼서, 제1 차량의 운전자 및 제3 차량의 운전자는 악천후 혹은 기타 시야 확보가 힘든 상황에서도 정확한 상기 교통신호를 파악 및 인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raffic signal for large vehicles and the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raffic signal is detec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raffic light on the road through the signal sensing unit of the sensing unit, And the driver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driver of the third vehicle are notified of the accurate traffic information even in a situa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bad visibility or other bad visibility due to the fact that the detected traff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unit and the second device unit after being discriminated by the control unit, The signal can be grasped and recognized.

이에 따라, 상기 신호등의 상기 교통신호가 정지 신호에서 출발 신호로 바뀔 때, 상기 시야 확보가 힘든 상황보다 운전자들이 상기 교통신호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traffic signal of the traffic light is changed from the stop signal to the start signal, drivers can quickly respond to the traffic signal in a situation where the view is difficult to secure.

특히, 상기 도로상에 다수의 차량이 존재하는 출퇴근 시간 같은 경우에는 상기 빨라진 대응으로 인해 상기 도로상의 상기 다수의 차량이 더욱 원활하게 운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ommute time where a plurality of vehicles exist on the road, the plurality of vehicles on the road can be operated more smoothly due to the quick response.

또한, 상기 센싱부의 위험요소 감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차량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향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차량의 제1 가속도 및 제2 차량의 제2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위험신호 생성 모듈은 측정된 상기 음향정보, 상기 제1 가속도 및 상기 제2 가속도를 판별하여,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가 생성될 시, 상기 제1 장치부 및 상기 제2 장치부에서 경고등을 통해 경고신호를 상기 제1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제3 차량의 운전자에게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coustic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vehicle through the danger detection unit of the sensing unit, and to measure the first acceleration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second acceleration of the second vehicle have. The risk signal generation module of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the risk display control signal by discriminating the measured sound information, the first acceleration, and the second acceleration, and when the risk display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a warning signal is displayed to the driver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driver of the third vehicle through the warning lamp in the device unit and the second device unit.

이로 인해, 상기 제1 차량의 운전자 및 상기 제3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도로상의 위험상황을 좀 더 신속하게 파악 및 인지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driver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driver of the third vehicle can more quickly grasp and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on the road.

종전에는, 상기 도로상의 상기 제3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제1 차량에 의해 운전 중 시야가 제한되었고, 이로 인한 불안감으로 상기 운전자들의 다수는 상기 제1 차량의 후미에 있는 것을 기피하며, 무리하게 차선을 변경하다가 교통사고를 내거나, 상기 제1 차량의 전방에 일어나는 상기 교통상황 및 상기 위험상황을 인지하지 못하여 또 다른 사고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곤 했다.In the past, the driver of the third vehicle on the road was limited in the field of view during operation by the first vehicle, thereby avoiding a large number of the drivers at the rear of the first vehicle due to the anxiety caused thereby,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 traffic accident occurs while changing the vehicle, or another accident occurs due to the inability to recognize the traffic situation and the dangerous situation occurring in front of the first vehicle.

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3 차량 운전자의 상기 불안감을 줄여주며, 쾌적한 도로 환경을 갖출 수 있고, 상기 교통사고들의 예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traffic signal for large vehicles and the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nxiety of the third vehicle driver, to provide a pleasant road environment, and to prevent the traffic accidents There are advantages.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장치부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장치부를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위험요소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1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2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1의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가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가 위험요소를 감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traffic signal for large vehicles and a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2 is a view of the first device unit of FIG. 1 viewed from direction A. FIG.
FIG. 3 is a view of the second device unit of FIG. 1 viewed from direction B.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angerous element sensing unit of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pparatus section of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econd apparatus section of FIG.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traffic signal for a large vehicle and a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of FIG. 1 sensing a signal.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dangerous element detected by the traffic signal for large vehicles and the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of FIG. 1; FIG.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장치부를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장치부를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위험요소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1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2 장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1의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가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가 위험요소를 감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traffic signal for large vehicles and a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FIG. 2 is a view of the first device unit of FIG. 1 viewed from direction A. FIG. FIG. 3 is a view of the second device unit of FIG. 1 viewed from direction B.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angerous element sensing unit of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pparatus section of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second apparatus section of FIG.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traffic signal for a large vehicle and a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of FIG. 1 sensing a signal.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dangerous element detected by the traffic signal for large vehicles and the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of FIG. 1; FIG.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는 센싱부(105), 제어부(300),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10, a large-sized vehicle traffic signal and a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include a sensing unit 105, a control unit 300, a first device unit 400, (500).

센싱부(105)는 신호 감지부(100) 및 위험요소 감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차량(20)의 일단(22)에 신호등(T)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05 may include a signal sensing unit 100 and a risk sensing unit 200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ignal light T at one end 22 of the first vehicle 20. [

제1 차량(20)은 일반적인 대형트럭, 대형버스 및 건설차량 등의 대형차량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일단(22)에 탑승공간(Z)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vehicle 20 may be one of a large vehicle such as a general large truck, a large bus, and a construction vehicle, and may have a boarding space Z at one end 22 thereof.

신호등(T)은 도로상의 자동차 신호등일 수 있으며, 또한, 신호등(T)은 적색등(R), 황색등(Y) 및 녹색등(G)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 모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traffic light T may be a vehicle traffic light on the road and the traffic light T may also include a red light R, a yellow light Y and a green light G, have.

예를 들어, 신호등(T)의 상기 제어 모드는 통신라인으로 연결된 상위 시스템, 즉 경찰청의 중앙컴퓨터에서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의해 등화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중앙 제어 모드, 및 상기 신호등(T) 내에 내장된 알고리즘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외부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상기 등화를 제어하는 지역 제어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mode of the traffic light T may include a central control mode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equalization by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an upper system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that is, a central computer of the police station, Or a local control mode that independently controls the equalization in accordance with an algorithm or database without external interference.

제1 교통신호는 신호등(T)을 통해 외부로 표시되고, 정지 신호, 대기 신호, 및 출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raffic signal may be displayed externally through a traffic light T and may include a stop signal, a wait signal, and a start signal.

상기 정지 신호는 적색등(R)이 발산하는 적색광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횡단보도 등에서 제1 차량(20)의 정지를 지시할 수 있다.The stop signal may be defined as red light emitted by the red light R and may indicate the stop of the first vehicle 20 on a crosswalk or the like.

상기 대기 신호는 황색등(Y)이 발산하는 황색광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횡단보도 등에서 제1 차량(20)의 대기를 지시할 수 있다.The standby signal may be defined as yellow light emitted by a yellow light Y, and may indicate a standby of the first vehicle 20 in the crosswalk or the like.

상기 출발 신호는 녹색등(G)이 발산하는 녹색광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횡단보도 등에서 제1 차량(20)의 출발을 지시할 수 있다.The start signal may be defined as green light emitted by the green light G and may indicate the start of the first vehicle 20 on the crosswalk or the like.

신호 감지부(100)는 신호등(T)의 상기 제1 교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signal sensing unit 100 may receive the first traffic signal of the traffic light T.

예를 들어, 신호 감지부(100)는 신호등(T)을 촬영하는 영상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카메라는 촬영된 영상(RGB 색상)을 HSI(Hue, Saturation, Intensity)모델로 변환하고 적색, 황색, 녹색의 HSI 범위를 가지고 필터링 할 수 있으며, 후에 잡음 제거를 위한 형태 처리(Morphology processing)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형태 처리는 영상의 기본적인 특징을 유지하면서 형태에 변화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신호 감지부(100)는 상기 제1 교통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신호등(T)에서 출력되는 적색등(R), 황색등(Y) 및 녹색등(G)을 각각의 영상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gnal sensing unit 100 may be an image camera that photographs the traffic light T. The image camera converts the photographed image (RGB color) into a HSI (Hue, Saturation, Intensity) model, filters it with a HSI range of red, yellow, and green, and then performs morphology processing . ≪ / RTI > The shape processing means changing the shape while maintaining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Accordingly, the signal sensing unit 100 can receive the first traffic signal and transmit the red light R, the yellow light Y, and the green light G, which are outputted from the traffic light T, .

이와는 달리, 신호 감지부(100)는 상기 중앙컴퓨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교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감지부(100)는 상기 중앙컴퓨터와 WIFI, ZIGBEE 등 공지된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하여 상기 제1 교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ignal sensing unit 10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entral computer to receive the first traffic signal. For example, the signal sensing unit 100 may receive the first traffic signal through a know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WIFI or ZIGBEE with the central comput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의 위험요소 감지부(200)는 음향정보 감지 모듈(210), 제1 급정지 감지 모듈(220) 및 제2 급정지 감지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4, the hazard detection unit 200 of the traffic signal for large vehicles and the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n acoustic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210, a first emergency stop detection module 220, And a second emergency stop detection module 230.

위험요소 감지부(200)는 제1 차량(20)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위험요소를 감지할 수 있다.The risk detection unit 200 can detect a risk factor occurring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vehicle 20. [

상기 위험요소는 음향정보, 제1 가속도 및 제2 가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risk factor may include acoustic information, a first acceleration and a second acceleration.

상기 음향정보는 제1 차량(20)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상기 도로상의 큰 소음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정보는 제2 차량(30)의 급정거 시 발생하는 소음 및 보행자의 비명 등이 될 수 있다.The acoustic information may be a large noise on the road occurring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vehicle 20. [ For example, the acoustic information may be a noise generated when the second vehicle 30 is suddenly stopped, a scream of a pedestrian, and the like.

제2 차량(30)은 주행 중인 제1 차량(20)의 일방향(D1)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주행 중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차량(30)은 승용차, 버스 및 화물차량 중 하나일 수 있다.The second vehicle 30 may be traveling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one direction D1 of the first vehicle 20 in motion and for example the second vehicle 30 may be one of a passenger car, have.

제3 차량(40)은 주행 중인 제1 차량(20)의 일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주행 또는 정차 중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3 차량(40)은 상기 승용차, 상기 버스 및 상기 화물차량 중 하나일 수 있다.The third vehicle 40 may be traveling or stopping a certain distan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D1 of the first vehicle 20 while the third vehicle 40 is traveling, And the freight vehicle.

상기 제1 가속도는 제1 차량(20)의 가속도이며, 상기 제2 가속도는 제2 차량(30)의 가속도이다.The first acceleration is the acceleration of the first vehicle 20 and the second acceleration is the acceleration of the second vehicle 30. [

음향정보 감지 모듈(210)은 음향측정 센서(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oustic information sensing module 210 may include an acoustic measurement sensor 212.

구체적으로, 음향정보 감지 모듈(210)은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음향측정 센서(212)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음향정보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coustic information sensing module 2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to communicate wirelessly or by wire, and may transmit the acoustic information sensed through the acoustic measurement sensor 212 to the controller 300 have.

음향측정 센서(212)는 상기 음향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측정 센서(212)는 광섬유를 지나가는 빛의 세기, 상기 광섬유의 굴절률 및 길이, 모드 및 편광상태의 변화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음향정보를 추정하는 광섬유 센서일 수 있다.The acoustic measurement sensor 212 may sense the acoustic information. For example, the acoustic measurement sensor 212 may be an optical fiber sensor that estimates the acoustic information using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fiber, the refractive index and length of the optical fiber, a change in mode and polarization state, and the like.

제1 급정지 감지 모듈(220)은 가속도 측정 센서(2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mergency stop detection module 220 may include an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222.

구체적으로, 제1 급정지 감지 모듈(220)은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가속도 측정 센서(222)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제1 가속도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emergency stop detection module 2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to communicate wirelessly or by wire, and may transmit the first acceleration sens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222 to the control unit 300 .

가속도 측정 센서(222)는 제1 차량(20)의 상기 제1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측정 센서(222)의 상기 제1 가속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는 관성식, 자이로식 및 실리콘 반도체식 중 하나일 수 있다.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222 may measure the first acceleration of the first vehicle 20. For example, the method of measuring the first acceleration of the acceleration measurement sensor 222 may be one of an inertia type, a gyro type, and a silicon semiconductor type.

제2 급정지 감지 모듈(230)은 속도 측정 센서(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mergency stop detection module 230 may include a speed measurement sensor 232.

구체적으로, 제2 급정지 감지 모듈(230)은 제어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급정지 감지 모듈(230)은 속도 측정 센서(232)를 통해 감지된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가속도로 연산하는 연산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산출된 상기 제2 가속도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emergency stop detection module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0 to communicate wirelessly or by wire. The second emergency stop detection module 230 may include a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second acceleration based on the speed sensed by the speed measurement sensor 232. The second acceleration may be detected by the controller 300 ). ≪ / RTI >

속도 측정 센서(232)는 제2 차량(30)의 상기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속도 측정 센서(232)의 상기 속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는 펄스형 레이저식, 초음파식 중 하나일 수 있다.The speed measuring sensor 232 may measure the speed of the second vehicle 30 and may be, for example, a pulse laser type or an ultrasonic type in which the speed measuring sensor 232 measures the speed.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의 제어부(300)는 신호 판별 모듈(310), 대기시간 산출 모듈(320), 교통신호 생성 모듈(330), 저장 모듈(340), 위험신호 생성 모듈(350) 및 신호 송신기(360)를 포함할 수 있다.5, the control unit 300 of the traffic signal for large vehicles and the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signal determination module 310, a waiting time calculation module 320, A security module 330, a storage module 340, a risk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and a signal transmitter 360.

제어부(300)는 제1 차량(20) 내에 센싱부(10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신호 감지부(100) 및 위험요소 감지부(20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신호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상기 제1 교통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ensing unit 105 in the first vehicle 2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sensing unit 100 and the hazardous factor sensing unit 200, And may generate a corresponding signal lamp display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traffic signal detected by the signal sensing unit 100.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는 신호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상기 제1 교통신호에 따라 제어부(300)에서 판별된 후 생성될 수 있으며,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를 통해 상기 제1 교통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제2 교통신호로 표시될 수 있다.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after being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300 according to the first traffic signal sensed by the signal sensing unit 100 and may be generated by the first and second device units 400 and 500. [ May be displayed as a corresponding second traffic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traffic signal.

상기 제2 교통신호는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를 통해 외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정지 신호, 상기 대기 신호, 및 상기 출발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교통신호에 따라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교통신호가 상기 정지 신호일 때, 상기 제2 교통신호 또한, 상기 정지 신호일 수 있다. The second traffic signal may be displayed externally through the first device unit 400 and the second device unit 500 and may include the stop signal, the wait signal, and the start signal, 1 traffic signal. For example, when the first traffic signal is the stop signal, the second traffic signal may also be the stop signal.

또한, 제어부(300)는 위험요소 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상기 위험요소가 기설정된 기준값들을 초과하면, 위험신호 생성 모듈(350)을 통해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통해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로 각각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may generate a risk display control signal through the risk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when the risk factor detected by the risk factor detection unit 200 exceeds preset reference values, The first device unit 400 and the second device unit 500 via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respectively.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는 위험요소 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상기 위험요소가 제어부(300)에서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위험상황이라 판단하여 생성되며,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에서 상기 위험상황을 알리는 경고신호인 경고등(E)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risk display control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risk factor detected by the risk factor sensing unit 200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in the control unit 300 and is generated as a dangerous situation. The first device unit 400 and the second And may be displayed as a warning light (E), which is a warning signal for notifying the dangerous situation in the device unit (500).

신호 판별 모듈(310)은 신호 감지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신호 감지부(100)를 통하여 획득된 상기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교통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지 신호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대응하는 데이터를 대조하여 상기 제1 교통신호를 판별할 수 있다. The signal discrimination module 3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sensing unit 100 to communicate wirelessly or by wire. The signal sensing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traffic signal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signal sensing unit 100, And may include corresponding data. For example, when the stop signal is detected, the first traffic signal can be discriminated by collating the image information with the corresponding data.

대기시간 산출 모듈(320)은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등(R)에서 황색등(Y), 황색등(Y)에서 녹색등(G), 및 녹색등(G)에서 적색등(R)으로 변화되는 신호등(T)의 상기 제1 교통신호에 따른 신호 변경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The waiting time calculation module 320 may include a timer and may include a timer such as a red light R to a yellow light Y, a yellow light Y to a green light G, and a green light G to a red light R )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first traffic signal.

상기 신호 변경 시간은 신호등(T)의 위치 및 도로상황에 따라 수시로 바뀔 수 있으며, 적색등(R)에서 황색등(Y), 황색등(Y)에서 녹색등(G), 및 녹색등(G)에서 적색등(R)으로 변화되는 시간은 각각 다를 수 있다.The signal change time can be changed from time to tim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raffic light T and the road conditions. The signal change time can be changed from yellow to yellow light Y, yellow light Y to green light G, ) To the red light (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대기시간 산출 모듈(320)은 신호 감지부(100)가 상기 중앙컴퓨터로부터 상기 제1 교통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1 교통신호에 따른 각각의 상기 신호 변경 시간도 같이 수신할 수 있으며, 신호 감지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신호 변경 시간을 별도의 산출 과정 없이 바로 이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signal sensing unit 100 receives the first traffic signal from the central computer, the waiting time calculating module 320 also receives each of the signal modification times according to the first traffic signal And the signal change time received from the signal sensing unit 100 may be immediately used without a separate calculation process.

이로 인해, 상기 대기시간 산출 모듈(320)은 상기 도로상의 각기 다른 신호등(T)의 각기 다른 상기 신호 변경 시간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기 신호 변경 시간을 제1 표시부(410) 및 제2 표시부(510)에 상기 제2 교통신호 외에 별도로 더 표시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the waiting time calculation module 320 can receive different signal change times of the different traffic lights T on the road, and can change the signal change time to the first display portion 410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510 in addition to the second traffic signal.

교통신호 생성 모듈(330)은 판별되는 상기 제1 교통신호에 따라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에 각각 제1 교통신호가 상기 제2 교통신호로 표시되도록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raffic signal generation module 330 generates the traffic signal so that the first traffic signal is displayed as the second traffic signal to the first device unit 400 and the second device unit 500 according to the first traffic signal, A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구체적으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는 신호 송신기(360)로부터 제1 신호 수신기(420) 및 제2 신호 수신기(520)로 각각 송신돼, 제1 표시부(410) 및 제2 표시부(510)에 상기 제2 교통신호로 표시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ignal lamp display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360 to the first signal receiver 420 and the second signal receiver 520,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410 and 510 And can be displayed as a second traffic signal.

저장 모듈(340)은 상기 제1 교통신호 및 상기 제1 교통신호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교통신호는 상기 정지 신호, 상기 대기 신호 및 상기 출발 신호에 따라 생성되는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에 대해서 각각이 저장 모듈(340)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저장 모듈(340)은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 모듈(340)에 저장된 상기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 모듈(340)에 대응되는 상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340 may store the traffic light display contro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first traffic signal and the first traffic signal. The first traffic signal is a functional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at stor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module 340 for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the stop signal, the standby signal, and the start signal It can mean. The storage module 340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table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searching, stor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340. In addition, it can be realized in various ways such as a linked-list, a tree, a relational database, and the like, and can store all data storage media and data structures capable of stori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module 340 .

위험신호 생성 모듈(350)은 위험요소 감지부(200)로부터 감지된 상기 음향정보, 상기 제1 가속도 및 상기 제2 가속도를 판별하며,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들을 각각 초과하면,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에 각각 상기 경고신호인 경고등(E)이 출력되도록,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danger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determines the acoustic information, the first acceleration, and the second acceleration sensed by the hazard detection unit 200. If the first acceleration and the second acceleration are exceeded respectively, the first device unit 400 ) And the second device unit 500, respectively, so that the warning light E, which is the warning signal, is outputted.

예를 들어, 상기 음향정보의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은 소음 감지 정도의 예시에 따른 약 110dB이 될 수 있다. 상기 음향정보의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은 천둥 및 대포 등의 소음 수준이며, 이로 인해, 위험신호 생성 모듈(350)은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통해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에 상기 경고신호인 경고등(E)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f the acoustic information may be about 110 dB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degree of noise detectio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of the acoustic information is a noise level of thunder and cannon, so that the danger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can generate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rough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And outputs a warning light E, which is the warning signal, to the first unit 400 and the second unit 500. [

또한, 예를 들어, 제1 차량(20)이 급정지하는 경우, 상기 제1 가속도의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은 약 ?8m/s²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속도의 기준값은 약 100km/h로 주행 중인 차량이 1초 동안에 70km/h로 감속할 때의 가속도이며, 이로 인해, 위험신호 생성 모듈(350)은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통해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에 상기 경고신호인 경고등(E)을 출력할 수 있다.Further, for example, when the first vehicle 20 makes a sudden stop, the preset reference value of the first acceleration may be about 8 m / s < 2 >. The reference value of the first acceleration is an acceleration when the vehicle under running decelerates to 70 km / h for 1 second at about 100 km / h, so that the danger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can generate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And can output the alarm signal E, which is the warning signal, to the first device unit 400 and the second device unit 500 through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또한, 예를 들어, 제2 차량(30)이 급정지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속도의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은 약 ?8m/s²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속도의 기준값은 약 100km/h로 상기 주행 중인 차량이 1초 동안에 70km/h로 감속할 때의 가속도이며, 이로 인해, 위험신호 생성 모듈(350)은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통해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에 상기 경고신호인 경고등(E)을 출력할 수 있다.Further, for example, when the second vehicle 30 makes a sudden stop, the preset reference value of the second acceleration may be about 8 m / s < 2 >. The reference value of the second acceleration is an acceleration when the running vehicle decelerates to 70 km / h for 1 second at about 100 km / h, so that the danger signal generation module 350 generates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And can output the alarm signal E as the warning signal to the first device unit 400 and the second device unit 500 through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신호 송신기(360)는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로 제어부(300)에서 생성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가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에 각각 상기 제2 교통신호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가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에 각각 상기 경고신호로 표시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er 360 can transmit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300 to the first device unit 400 and the second device unit 500. [ Accordingly,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may be displayed as the second traffic signal in the first device unit 400 and the second device unit 500, respectively,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device unit 400, And the second device unit 500, respectively.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의 제1 장치부(400)는 제1 표시부(410) 및 제1 신호 수신기(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차량(20)의 탑승공간(Z) 내에 운전자에게 표시될 수 있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부(400)는 탑승공간(Z)의 데시보드(D)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탑승공간(Z) 내로 상기 제2 교통신호 및 상기 경고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2 and 6, the first device unit 400 of the traffic signal for large vehicles and the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410 and a first signal receiver 420 And may be positioned so that it can be displayed to the driver in the boarding space Z of the first vehicle 20. [ For example, the first device unit 400 may be located in the dashboard D of the boarding space Z, and may display the second traffic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in the boarding space Z.

제1 신호 수신기(420)는 제어부(300)의 신호 송신기(36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 수신기(420)는 제1 표시부(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신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제1 표시부(410)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signal receiver 420 may receive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360 of the controller 300. [ The first signal receiver 4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isplay unit 410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o the first display unit 410.

제1 신호 수신기(420)는 신호 송신기(36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ignal receiver 420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upled to the signal transmitter 360.

제1 표시부(410)는 적색등(R), 황색등(Y), 녹색등(G) 및 경고등(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적색등(R), 황색등(Y), 또는 녹색등(G)을 출력할 수 있으며, 수신된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경고등(E)을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410 may include a red light R, a yellow light Y, a green light G and a warning light E, , A yellow light (Y), or a green light (G), and may output a warning light (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예를 들어, 제1 표시부(410)는 LED 모듈일 수 있으며, 상기 LED 모듈은 빛을 내는 반도체인 LED 칩을 기판 위에 탑재한 전자부품으로서 전기를 넣으면 빛을 내는 장치이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4색 LED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 제1 교통신호 및 상기 경고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4색 LED는 각각의 상기 LED 칩이 상기 제2 교통신호 및 상기 경고신호를 표시하며, 상기 정지 신호를 표시하는 적색등(R), 상기 대기 신호를 표시하는 황색등(Y), 상기 출발 신호를 표시하는 녹색등(G) 및 경고 신호를 표시하는 경고등(E)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display unit 410 may be an LED module, and the LED module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mounts an LED chip, which is a semiconductor emitting light, on a substrate, and emits light when electricity is applied. Specifically, The first traffic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can be displayed using the four-color LED module. Wherein each of the LED chips displays the second traffic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the red LED (R) indicating the stop signal, the yellow light (Y) indicating the standby signal, A green light G for displaying a signal, and a warning light E for displaying a warning signal.

상기 경고 신호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들을 초과하는 상기 위험요소를 제1 표시부(410) 및 후술되는 제2 표시부(510)에 각각 경고등(E)의 출력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The warning signal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410 and the second display unit 5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output of the warning lamp E, respectively.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의 제2 장치부(500)는 제2 표시부(510) 및 제2 신호 수신기(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차량(20)의 타단(24)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방향(D1)의 상기 반대 방향을 향해 상기 제2 교통신호 및 상기 경고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3 and 7, the second device unit 500 of the traffic signal for large vehicles and the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510 and a second signal receiver 520 And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24 of the first vehicle 20 and may display the second traffic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ne direction D1.

제2 신호 수신기(520)는 제어부(300)의 신호 송신기(360)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신호 수신기(520)는 제2 표시부(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신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제2 표시부(510)로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receiver 520 may receive the signaling indicator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360 of the controller 300. The second signal receiver 5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510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display unit 510.

제2 신호 수신기(520)는 신호 송신기(36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signal receiver 520 may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tter 360.

제2 표시부(510)는 적색등(R), 황색등(Y), 녹색등(G) 및 경고등(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적색등(R), 황색등(Y), 또는 녹색등(G)을 출력할 수 있으며, 수신된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경고등(E)을 출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표시부(510)는 LED 모듈일 수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510 may include a red light R, a yellow light Y, a green light G and a warning light E. The red light R may correspond to the received traffic light display control signal, The second display unit 510 may output the warning light E in response to the received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unit 510 may output the warning light E, LED modul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20)의 신호 감지부(100)는 신호등(T)의 상기 제1 교통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상기 제1 교통신호를 제어부(300)에서 판별하여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판별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교통신호가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에 상기 제2 교통신호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차량(20)의 운전자 및 제3 차량(40)의 운전자는 정확하게 상기 제1 교통신호를 파악 및 인지할 수 있다.8, the signal sensing unit 100 of the first vehicle 20 may receive the first traffic signal of the traffic light T and may transmit the received first traffic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0, And the first traff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unit 400 and the second device unit 500 according to the discriminated traffic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 ≪ / RTI > Accordingly, the driver of the first vehicle 20 and the driver of the third vehicle 40 can accurately grasp and recognize the first traffic signal.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20)은 주변에서 발생하는 상기 위험요소를 위험요소 감지부(200)를 통해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상기 위험요소를 제어부(300)에서 판별하여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판별된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에 의해 제1 장치부(400) 및 제2 장치부(500)에 상기 경고신호인 경고등(E)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차량(20)의 운전자 및 제3 차량(40)의 운전자는 상기 경고등(E)을 통해 상기 도로상의 상기 위험상황을 보다 빠르게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위험상황에 따른 대처를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first vehicle 20 can detect the dangerous elements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dangerous element sensing unit 200, and the sensed dangerous element is discriminated by the control unit 300 And may output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o the first device unit 400 and the second device unit 50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o the warning light E as the warning signal. Accordingly, the driver of the first vehicle 20 and the driver of the third vehicle 40 can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on the road more quickly through the warning light E,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에 의하면, 제1 차량(20)의 운전자 및 제3 차량(40)의 운전자는 악천후 혹은 기타 시야 확보가 힘든 상황에서도 정확하게 상기 제1 교통신호를 파악 및 인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arge-sized vehicle traffic signal and the dangerous situation detec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 of the first vehicle 20 and the driver of the third vehicle 40 can avoid bad weather, It is possible to grasp and recognize the first traffic signal accurately even in a difficult situation.

이에 따라, 신호등(T)의 상기 제1 교통신호가 상기 정지 신호에서 상기 출발 신호로 바뀔 때, 상기 시야 확보가 힘든 상황보다 상기 운전자들이 교통신호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first traffic signal of the traffic light T is changed from the stop signal to the start signal, the drivers can respond to the traffic signal more quickly than the situation in which the visibility is difficult to secure.

특히, 상기 도로상에 다수의 상기 차량이 존재하는 출퇴근 시간 같은 경우에는 빨라진 대응으로 인해 상기 도로상의 다수의 차량이 더욱 원활하게 운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ommute time in which a large number of vehicles exist on the road, an advantage of an accelerated response is that a large number of vehicles on the road can be operated more smoothl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위험요소를 감지 및 판별한 후 판별된 상기 위험요소를 경고등(E)을 통해 표시해줄 수 있어서, 제1 차량(20)의 운전자 및 제3 차량(40)의 운전자는 상기 도로상의 상기 위험상황을 좀 더 신속하게 파악 및 인지할 수 있게 된다.The driver of the first vehicle 20 and the driver of the third vehicle 40 can display the risk factors identified through the warning light E after detecting and identifying the risk factors, The risk situation on the road can be grasped and recognized more quickl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5: 센싱부 20: 제1 차량
22: 일단 24: 타단
30: 제2 차량 40: 제3 차량
100: 신호 감지부 200: 위험요소 감지부
210: 음향정보 감지 모듈 212: 음향측정 센서
220: 제1 급정지 감지 모듈 222: 가속도 측정 센서
230: 제2 급정지 감지 모듈 232: 속도 측정 센서
300: 제어부 310: 신호 판별 모듈
320: 대기시간 산출 모듈 330: 교통신호 생성 모듈
340: 저장 모듈 350: 위험신호 생성 모듈
360: 신호 송신기 400: 제1 장치부
410: 제1 표시부 420: 제1 신호 수신기
500: 제2 장치부 510: 제2 표시부
520: 제2 신호 수신기
105: sensing unit 20: first vehicle
22: Once 24:
30: second vehicle 40: third vehicle
100: Signal detection unit 200: Hazardous element detection unit
210: acoustic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212: acoustic measurement sensor
220: first emergency stop detection module 222: acceleration detection sensor
230: second emergency stop detection module 232: speed measurement sensor
300: control unit 310: signal discrimination module
320: Waiting time calculating module 330: Traffic signal generating module
340: storage module 350: danger signal generation module
360: signal transmitter 400: first device unit
410: first display section 420: first signal receiver
500: second device unit 510: second display unit
520: second signal receiver

Claims (5)

제1 차량이 제1 교통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제1 차량의 일단에 상기 신호등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신호등의 상기 제1 교통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감지부;
상기 제1 차량의 외부의 위험요소를 감지하며, 상기 신호 감지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위험요소 감지부;
상기 신호 감지부 및 상기 위험요소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차량 내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등의 상기 제1 교통신호를 분석하고 상기 제1 교통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상기 제1 교통신호의 종류에 따라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위험요소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위험요소에 기초하여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1 차량의 탑승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2 교통신호 및 경고 신호를 상기 탑승공간 내로 표시하는 제1 장치부;
상기 제1 차량의 타단에 배치되며,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교통신호 및 상기 경고 신호를 표시하는 제2 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요소 감지부는,
상기 제1 차량의 제1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속도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1 급정지 감지 모듈;
상기 제1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차량의 상기 속도에 기초하여 제2 가속도를 연산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 급정지 감지 모듈; 및
상기 제1 차량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향정보를 감지하는 음향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음향정보 감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요소는 상기 제1 가속도, 상기 제2 가속도 및 상기 음향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
A signal sensing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signal lamp at one end of the first vehicle to sense the first traffic signal of the traffic light as the first vehicle approaches a traffic light indicating the first traffic signal;
A dangerous element sensing unit for sensing an external hazardous element of the first vehicl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signal sensing unit;
Wherein the first traffic sig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sensing unit and the hazardous element sensing unit and is disposed in the first vehicle, analyzes the first traffic signal of the traffic light, identifies the type of the first traffic signal, And generates a risk display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isk factor detected by the risk factor sensing unit;
A first device unit disposed in the boarding space of the first vehicle for receiving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o display a second traffic signal and a warning signal in the boarding space;
And a second device unit arrang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vehicle for displaying the second traffic signal and the warning signal based on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Wherein the risk-
A first sudden stop detection module including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a first acceleration of the first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first acceleration to the control unit;
And a speed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speed of a second vehicle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vehicle, wherein the second acceleration calculating unit calculates a second acceleration based on the speed of the second vehicle, module; And
And an acoustic information sensing module including an acoustic measurement sensor for sensing acoustic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acoustic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Wherein the danger component includes the first acceleration, the second acceleration, and the acoustic informa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교통신호의 종류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제1 교통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신호 판별 모듈;
상기 판별되는 제1 교통신호의 종류가 대기 신호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제1 차량의 대기시간을 산출하는 대기시간 산출 모듈;
상기 판별되는 제1 교통신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장치부 및 상기 제2 장치부에 각각 적색등, 황색등 및 녹색등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교통신호가 출력되도록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교통신호 생성 모듈;
상기 위험요소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상기 제1 가속도, 상기 제2 가속도 및 상기 음향정보가 기설정된 기준값들을 각각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장치부 및 상기 제2 장치부에 각각 상기 경고 신호인 경고등이 표시되도록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위험신호 생성 모듈; 및
상기 제1 장치부 및 상기 제2 장치부로 각각 생성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송신해주는 신호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type of the first traffic signal;
A signal discrimination module for discriminating the type of the first traffic signal;
A waiting time calculating module for calculating a waiting time of the first vehicle when the type of the first traffic signal to be determined is determined as a waiting signal;
Generates the traffic light display control signal so that the second traffic signal including red light, yellow light, and green light is output to the first device unit and the second device unit,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first traffic signal to be discriminated A traffic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traffic signal;
When the first acceleration, the second acceleration, and the acoustic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dangerous element sensing unit respectively exceed preset reference values, the warning unit, which is the warning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device unit and the second device unit, A danger signal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so as to be displayed; And
And a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device unit and the second device unit,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신호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신호 수신기; 및
수신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적색등, 상기 황색등, 또는 상기 녹색등을 표시하며, 수신된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경고등을 표시하는 제1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of the control unit; And
And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d light, the yellow light, the green light,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gnal light display control signal and displaying the warning ligh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raffic Signals and Hazardous Situation Detection Indicator for Large Vehicl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신호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 및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신호 수신기; 및
수신된 상기 신호등 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적색등, 상기 황색등, 또는 상기 녹색등을 표시하며, 수신된 상기 위험표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경고등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교통신호 및 위험상황 감지 표시 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 second signal receiver for receiving the signal display control signal and the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of the control unit; And
And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d light, the yellow light, the green light,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gnal light display control signal and displaying the warning ligh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anger display control signal. Traffic Signals and Hazardous Situation Detection Indicator for Large Vehicles.
KR1020180000076A 2018-01-02 2018-01-02 Apparatus of detecting and displaying traffic signals and emergency for large vehicles KR101972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76A KR101972693B1 (en) 2018-01-02 2018-01-02 Apparatus of detecting and displaying traffic signals and emergency for large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076A KR101972693B1 (en) 2018-01-02 2018-01-02 Apparatus of detecting and displaying traffic signals and emergency for large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693B1 true KR101972693B1 (en) 2019-04-25

Family

ID=6628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076A KR101972693B1 (en) 2018-01-02 2018-01-02 Apparatus of detecting and displaying traffic signals and emergency for large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69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737A (en) * 2014-01-22 2015-07-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Vehicular Danger Detecting System
JP2015170172A (en) * 2014-03-07 2015-09-2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On-vehicle traffic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1681735B1 (en) * 2014-12-31 2016-12-07 우민혁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traffic sig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737A (en) * 2014-01-22 2015-07-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Vehicular Danger Detecting System
JP2015170172A (en) * 2014-03-07 2015-09-2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On-vehicle traffic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1681735B1 (en) * 2014-12-31 2016-12-07 우민혁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traffic sig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444B1 (en) An apparatus mounted in vehicle for situational awareness and a method thereof
CN104786933A (en) Panoramic image driving auxiliary device and panoramic image driving auxiliary method
US20180222387A1 (en) Blind Zone Monitoring Method, License Plate Frame Device with Blind Zone Monitoring Function and Rearview Mirror
KR20070086432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raffic signals and alerting drivers
CN106740505B (en) A kind of automobile rear view mirror blind zone detection system and automobile rearview mirror
CN107004362A (en) Drive assistance device and driving assistance method
CN109421597A (en) Abnormal detector,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and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CN107054218A (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CN105984407A (en) Monitoring and warning device for condition behind vehicle
KR101671993B1 (en) Safety system for vehicle
JP2012256235A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driving support, on-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system
CN109094457B (en) Vehicle anti-collision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considering peripheral vision of driver
CN102881185A (en) Side direction lane detection traffic indication system
CN107199965A (en) The car plate rack device and blind area monitoring method monitored with blind area
CN108428339A (en) Early warning system, method and the vehicles suitable for a vehicle
CN104584099A (en) Warning system
CN107187384B (en) A kind of automobile front-and-rear vehicle distance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JP2015055921A (en) Driving evaluation device
KR101042706B1 (en) A distinguishable system for traffic accidents, methods and apparatus thereof
KR101972693B1 (en) Apparatus of detecting and displaying traffic signals and emergency for large vehicles
CN211079977U (en) Early warning all-in-one system
CN111976592A (en) Automatic whistl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driving vehicle
KR20170069551A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signal light
CN208506966U (en) Prior-warning device and vehicle suitable for a vehicle
KR20160021944A (en) Lane departure warnig apprature and method with sensor for automab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