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2093B1 - Compact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 Google Patents

Compact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2093B1
KR101972093B1 KR1020180017986A KR20180017986A KR101972093B1 KR 101972093 B1 KR101972093 B1 KR 101972093B1 KR 1020180017986 A KR1020180017986 A KR 1020180017986A KR 20180017986 A KR20180017986 A KR 20180017986A KR 101972093 B1 KR101972093 B1 KR 101972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magnetic
array antenna
periodic dipole
magnetic conductor
logarithmic period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태환
황금철
이성우
이종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17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20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0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2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dipole a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065Microstrip dipole antennas

Abstract

Disclosed is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 structure of the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comprises: a substrate having a predetermined permittivity; a feed line and a ground line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logarithmic periodic dipole element coupled to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pattern having a unit structure, and configured to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centered on the feed line and the ground line; and a ground plan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ubstrate. The unit structure of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includes: a first dielectric substrate; a second dielectric substr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dielectric substrate; a rectangular structured conductor patch position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substrate; and a ground plan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substrate.

Description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COMPACT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ct log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본 발명은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공자기도체를 이용한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using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최근, 무선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하나의 기기로 많은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광대역 특성을 갖는 안테나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광대역 특성을 갖고, 비교적 높은 이득을 제공할 수 있는 안테나로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log-periodic dipole array) 안테나가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 demand for an antenna having a broadband characteristic is increasing to use a large number of communication services in one device. An antenna with such a broadband characteristic and a relatively high gain is a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다이폴 소자가 확장 계수(scale factor)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열된 구조이며, Carrel의 설계공식을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과 이득 특성을 만족하도록 쉽게 설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배열된 다이폴 소자들이 야기(Yagi-Uda) 안테나와 비슷하게 반사기, 여진기, 도파기처럼 동작하여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이득을 갖는다. Algebra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is a structure in which dipole elements with a constant period are arranged in order according to a scale factor and can be easily designed to satisfy a desired operating frequency band and gain characteristics using Carrel's design formula . In addition, the arrayed dipole elements behave like reflectors, exciters, and waveguides similar to Yagi-Uda antennas, resulting in high gain in the operating frequency band.

또한,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는 방사특성이 대수 주기적으로 반복되며, 주파수에 따라 임피던스 특성 변화가 크지 않은 주파수 독립 특성을 갖기 때문에 광대역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안테나의 최저 동작 주파수는 가장 긴 다이폴 소자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그 길이는 최저 동작 주파수의 반파장 길이를 만족해야 한다. In addition,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can realize broadband characteristics because the radiation characteristic is repeated logarithmically periodically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ndependent of the change of the impedance characteristic is small. The minimum operating frequency of the antenna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longest dipole element, and its length must satisfy the half-wavelength length of the lowest operating frequency.

한편,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를 소형하기 위한 방법들로, 다이폴 소자에 프랙탈 구조를 적용하는 방법, meander-line을 적용하는 방법, top-load를 적용하는 방법, cylindrical-hat cover를 추가하는 방법들이 있다.On the other hand, methods for applying a fractal structure to a dipole element, a method for applying a meander-line, a method for applying a top-load, and a method for adding a cylindrical-hat cover have.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하여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를 소형화할 경우, 안테나 설계시 목표로 했던 이득 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를 소형화하면서 동시에 이득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However, when these methods are applied to miniaturize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rget gain level is not satisfied in the antenna design. Therefore, much research is needed on a method of miniaturizing the algebra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while avoiding gain los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공자기도체를 이용하여 이득 손실 없이 다이폴 구조를 갖는 소형 대수 주기 배열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array antenna having a dipole structure without gain loss using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소형화가 가능하면서 동시에 동작 주파수 대역폭을 모두 포함하는 ±90°반사위상 대역폭을 갖는 사각형 구조를 갖는 인공자기도체가 결합된 다이폴 구조를 갖는 소형 대수 주기 배열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pole antenna structure having a quadrangular structure with a ± 90 ° reflection phase bandwidth which can be miniaturized and has an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And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array antenna.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는 정해진 유전율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급전선로; 상기 급전선로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위치한 대수 주기 다이폴 소자;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급전선로와 동일한 폭을 가진 접지선로; 상기 접지선로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위치한 대수 주기 다이폴 소자; 상기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는 단위구조를 갖는 인공자기도체 패턴과 결합되며, 상기 인공자기도체의 단위구조는, 제1 유전체기판; 상기 제1 유전체기판과 정해진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2 유전체기판; 상기 제1 유전체기판의 상부면에 위치한 사각형 구조의 도체 패치; 및 상기 제2 유전체기판의 하부면에 접지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having a predetermined permittivity; A feeder line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A logarithmic periodic dipole element positioned symmetrically about the feed line; A ground line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feed lin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 logarithmic periodic dipole element positioned symmetrically about the ground line; Wherein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is coupled to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pattern having a unit structure, the unit structure of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comprising: a first dielectric substrate; A second dielectric substr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dielectric substrate; A conductor patch of a rectangular structure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substrate; And a ground plan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substrat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체 패치의 한 변의 길이는 상기 제1 유전체기판의 한 변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conductor patch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substrate.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기판 간의 거리는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폭을 모두 포함하는 ±90°반사위상 대역폭 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one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substrates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 90 ° reflection phase bandwidth ratio including all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주 방사방향은 θ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main radiation direction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is characterized by? = -45 占.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기판은 인공자기도체의 반사위상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격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substrates are spaced apart to increase the reflective phase bandwidth of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기 제1 또는 제2 유전체기판의 한 변의 길이는 30mm 이고,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기판의 이격거리는 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first or second dielectric substrate is 30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substrates is 40 mm.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공자기도체 패턴과 상기 대수 주기 다이폴 소자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이격거리는 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in one embodiment,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pattern and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elemen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pacing distance is 5 mm.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의하면, 인공자기도체의 결합을 통해 이득 손실 없이 소형 제작이 가능하고, 고이득 특성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효율 및 이득이 증대된다. 또한, 최저 동작 주파수를 하향화시킴으로써, 기존의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폭을 모두 포함하며 최저 동작 주파수가 하향화된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제공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abricate compact without gain loss through coupling of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and increase efficiency and gain in fields requiring high gai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by lowering the lowest operating frequenc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pole array antenna including all of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of the conventional dipole array antenna and having the lowest operating frequency lowe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자기도체의 단위구조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자기도체의 단위구조와 결합된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적용된 인공자기도체의 반사위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서, 인공자기도체 유무에 따른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반사계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의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서, 인공자기도체의 유무에 따른 주 방사방향에서 측정된 이득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서, 다양한 주파수에서의 인공자기도체 여부에 따른 yz-평면 복사패턴의 시뮬레이션 및 측정 결과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unit structure of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small log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combined with a unit structure of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FIG. 2.
FIG. 4 is a graph of simulation results for explaining the reflection phase characteristics of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pplied to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raph of simulation results for explaining simulation results and reflec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with and without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in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gain characteristics measured in the main radiation direction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in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mulation and measurement result of a yz-plane radiation pattern depending on whether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are present at various frequencies in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여기서 설명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복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at i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 and / or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yields.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hav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certain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실시 예는 이득 손실 없는 다이폴 구조를 갖는 소형화된 대수 주기 배열 안테나를 구현하기 위해, 단위 구조로 구성된 인공자기도체가 결합된 다이폴 배열 안테나를 제공한다. '인공자기도체(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MC)'란 회로적으로 특정 주파수에서 높은 저항을 갖는 구리, 은, 금과 같은 전기도체를 특정 기하구조로 구성하여 자기도체의 특성을 갖도록 인위적으로 제작한 것을 의미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dipole array antenna in which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composed of a unit structure is combined to realize a miniaturized algebraic array antenna having a dipole structure without a gain loss.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MC)' is a circuit that artificially manufactures electric conductors, such as copper, silver, and gold, which have high resistance at a specific frequency, it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결합되는 인공자기도체(AMC)의 단위구조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unit structure of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MC) coupled to a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자기도체는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이 결합된 것이 하나의 단위구조로 구성된다. 이때에, 각 기판들(201, 202)은 한 변의 길이가 W인 정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 예에서, 기판들(201, 202)의 한변의 길이 W는 약 30mm 일 수 있다. 그리고, 제2기판(202)의 하부면에는 접지면(GND)이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t structure in which a first substrate 201 and a second substrate 202 are combined. At this time, each of the substrates 201 and 202 has a square structure in which one side has a length W. [ In one example, the length W of one side of the substrates 201, 202 may be about 30 mm. A ground plane GND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202.

또한, 제1기판(201)의 상부에는 도체(50)가 배치된다. 도체(50)는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서, 도체(50)의 한 변의 길이 a는 약 18mm 일 수 있다. A conductor 50 is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201. The conductor 50 may have a square structure with one side of length a. In one example, the length a of one side of the conductor 50 may be about 18 mm.

각 기판들(201, 202)은 유전체로 이루어진다. 예로서, 기판들(201, 202)은 두께는 약 1.52 mm일 수 있고, 유전율은 3.5 값을 가지며, 로스 탄젠트(loss tangent)는 0.0018인 Taconic RF-35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기판들(201, 202)은 적층된 복수의 층(예, 제1층, 제2층, 제3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판들(201, 202)로 구성된 인공자기도체의 ±90°반사위상 대역폭은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폭을 모두 포함한다.Each of the substrates 201 and 202 is made of a dielectric. By way of example, the substrates 201 and 202 may be Taconic RF-35 substrates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52 mm, a dielectric constant of 3.5, and a loss tangent of 0.0018. In addition, each of the substrates 201 and 20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acked layers (e.g., a first layer, a second layer, a third layer, ...). In addition, the ± 90 ° reflection phase bandwidth of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composed of the substrates 201 and 202 includes all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은 정해진 이격거리(10)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인공자기도체의 반사위상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정해진 이격거리(10)는 기판들(201, 202)의 한변의 길이보다 긴 약 40mm 일 수 있다. Also,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bstrate 201 and the second substrate 202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0. This is to increase the reflection phase bandwidth of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The predetermined spacing distance 10 may be about 40 mm longer than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substrates 201 and 202.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자기도체의 도체(50)에는 급전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급전 라인은 단위접지면(GND)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도록 제1기판(201)과 제2기판(20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전 라인은 통신을 위해 외부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feed line may be formed in the conductor 50 of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eed line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ubstrate 201 and the second substrate 202 so as to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unit ground plane GND. In addition, the feed lin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circuit for communication.

이하,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자기도체의 단위구조와 결합된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는 2:1 (1 - 2 GHz)의 동작 대역폭 비와 8 dBi 이득을 만족하도록 Carrel공식을 적용하여 설계되었다. 2 is a front view of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combined with a unit structure of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de view of FIG. 2. FIG.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shown in FIGS. 2 and 3 was designed by applying a Carrel formula to satisfy an operating bandwidth ratio of 2: 1 (1 - 2 GHz) and an 8 dBi gain.

도 2 및 도 3에서 안테나의 다이폴 소자의 폭은 dwn 이고, 길이는 dln 이고, 다이폴 간의 간격은 dn으로 나타냈다. 또한, 급전선의 폭은 wr로,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총 길이는 L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n은 다이폴 소자의 개수이다.In Figs. 2 and 3, the width of the dipole element of the antenna is dwn, the length is dl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ipoles is dn.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feed line is w r , and the total length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is represented by L. Also, n is the number of dipole elements.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총 8개(또는 8쌍의) 다이폴 소자 배열 안테나의 경우, 폭 dw1의 경우 10mm, dw2의 경우 8.5mm, dw3의 경우 7.2mm, dw4의 경우 6.1mm, dw5의 경우 5.1mm, dw6의 경우 4.3mm, dw7의 경우 3.6mm, dw8의 경우 3mm일 수 있다. 또한, 길이 dl1의 경우 118mm, dl2의 경우 100.3mm, dl3의 경우 85.2mm, dl4의 경우 72.4mm, dl5의 경우 61.5mm, dl6의 경우 52.2mm, dl7의 경우 44.3m, dl8의 경우 37.6mmm일 수 있다. 또한, 다이폴 간의 간격 d1은 41.5mm, d2는 35.2mm, d3은 31.6mm, d4은 28.5mm, d5은 20.8mm, d6은 18.6mm일 수 있다. 즉, 다이폴 소자의 폭, 길이, 및 간격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역삼각형 구조를 갖는다.Specifical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otal of eight (or eight pairs of) dipole array antennas, 10 mm for the width dw1, 8.5 mm for the dw2, 7.2 mm for the dw3, 6.1 mm for the dw4, 5.1 mm, 4.3 mm for dw6, 3.6 mm for dw7, and 3 mm for dw8. In the case of the length dl1, 118 mm, 100 mm in the case of dl2, 85.2 mm in the case of dl3, 72.4 mm in the case of dl4, 62.2 mm in the case of dl5, 52.2 mm in the case of dl6, 44.3 m in the case of dl7, . The distance d1 between the dipoles is 41.5 mm, d2 is 35.2 mm, d3 is 31.6 mm, d4 is 28.5 mm, d5 is 20.8 mm, and d6 is 18.6 mm. That is, it has an inverted triangular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length, and spacing of the dipole elements are gradually reduced.

도 2에서, 다이폴 소자는 가운데 급전선을 기준으로 일 측(20b)은 노출되지 않고 기판 상부면 위치하고, 타 측(20a)은 기판 상부면에 노출된다. 이러한 구조는 좌우 대칭구조로 배치된다. 이때, 일 측(20b)과 타 측(20a)에 선로의 폭인 wr은 약 3mm 일 수 있으며, 각각은 접지선로 또는 급전선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총 길이 L은 약 203mm 일 수 있다. In Fig. 2, the dipole elemen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without exposing the one side 20b with respect to the middle feed line, and the other side 20a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is structure is arranged in a bilaterally symmetrical structure. At this time, the line width wr on one side 20b and the other side 20a may be about 3 mm, and each of them may serve as a ground line or a feed line. In FIG. 2, the total length L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may be about 203 mm.

또한, 도 2에서 급전선로의 끝에는 Feed point(22)가 위치하며, 단위구조 인공도체의 양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안테나 및 인공자기도체 간의 이격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은 Nylon post(21)으로 구성된다. 2, a feed point 22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feed line, an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both substrates of the unit structure artificial conductor and supporting means for supporting the spacing between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nd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re Nylon post 21.

또한,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와 결합되는 단위구조의 인공자기도체는 일정 패턴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예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9×9개의 인공자기도체가 사각형 구조의 패턴을 형성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적용된 인공자기도체의 개수는 9×9개이며, 총 면적은 270×270 mm2이다. 또한,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는 기판은 두께 1.52 mm Taconic RF-35 기판을 예로써, 도시하였였다. Also, the unitary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coupled with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re combined to form a certain patter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9 × 9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can be combined to form a pattern of a rectangular structure. That is, the number of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applied to the logarithmic period dipole array antenna is 9 × 9, and the total area is 270 × 270 mm 2 . In addition,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was shown by using a 1.52 mm thick Taconic RF-35 substrate as an example.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와 패치 형성된 9×9 인공자기도체(AMC PATCH)는 소정 이격거리(gap)(23)를 두고 위치하게 된다. 급전은 동축선로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일 예에서, 상기 소정 이격거리(gap)는 약 5mm 일 수 있다. 또한, 인공자기도체 단위구조를 형성하는 두 기판들(201, 202) 사이의 이격거리(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약 40mm 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nd the patch-formed 9 × 9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MC PATCH) ar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gap 23. Feeding is done by coaxial line. In one example, the predetermined gap may be about 5 mm. In addition, the distance 10 between the two substrates 201, 202 forming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unit structure can be about 40 mm, as described above.

또한, 기판들(201, 202) 사이 그리고 기판과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사이는 Nylon post(21)에 의해 지지된다. 예를 들어,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와 인공자기도체 사이의 거리(23)와 인공자기도체 단위구조를 구성하는 기판 2개 사이의 간격(10) 유지를 위해, 유전율 3.2, 로스 탄젠트(loss tangent)가 0.0083인 나일론(Nylon)재질의 PCB 써포트가 적용되었다. Also, between the substrates 201, 202 and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is supported by a Nylon post 21. For example, to maintain the spacing 10 between the distance 23 between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nd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nd the two substrates that make up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unit structure, the dielectric constant 3.2, the loss tangent, Nylon PCB support of 0.0083 was applied.

또한, 인공자기도체와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간의 이격거리로 인하여 안테나의 동작이 신호간섭이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단위구조의 인공자기도체의 각 기판들 간이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됨으로서, 미리설정된 주파수에서 공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체(50)의 공진에 의한 공진주파수는 통신 주파수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일반 도체 반사판보다 가깝게 위치하면서 인공자기도체에 의한 반사파가 입사파와 위상이 동일하여 입사되는 신호가 반사되는 신호에 의해 상쇄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Also, due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nd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the operation of the antenna can be performed without signal interference. Further, since the substrates of the unit-structured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y can be formed in resonance at a preset frequency. For example, the resonance frequency due to the resonance of the conductor 50 can be set to be equal to the communication frequency, so that the reflected wave from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is positioned in the same phase as the incident wave, It is not subjected to destructive interference by the reflected signal.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의하면, 인공자기도체의 결합을 통해 이득 손실 없이 소형 제작이 가능하고, 효율 및 이득이 증대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mall-sized antenna without gain loss through the coupling of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nd the efficiency and gain are increa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적용된 인공자기도체의 반사위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90°반사위상 대역폭 비는 2.77:1(0.74 - 2.05 GHz)로서 이는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을 모두 포함한다. 이와 같이 최저 동작 주파수를 하향화시킴으로써,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폭을 모두 포함하는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제공이 가능해진다.FIG. 4 is a graph of simulation results for explaining the reflection phase characteristics of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pplied to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 90 ° reflection phase bandwidth ratio is 2.77: 1 (0.74 - 2.05 GHz), which includes all the operating frequency bands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By lowering the lowest operating frequency in this manner,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dipole array antenna including all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of the dipole array antenn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서, 인공자기도체 유무에 따른 반사계수 특성의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인공자기도체가 없는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과 반사계수 특성은 각각 검은색 점선과 검은색 실선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인공자기도체가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반사계수 특성은 각각 붉은색 점선과 붉은색 실선으로 표현되었다. FIG. 5 is a graph of a simulation result of a reflec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 depending on presence or absence of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in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aph, the simulation and reflec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without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re represented by black dotted lines and solid black lines, respectively. Simulation results and reflection coefficient characteristics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are combined are represented by a red dotted line and a red solid line, respectively.

또한, 도 5에서, 인공자기도체가 없는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 10 dB 이하 반사계수 대역폭 비는 1.96:1(0.99 - 1.94 GHz)이고, 인공자기도체와 결합된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 10 dB 이하 반사계수 대역폭비는 2.22:1(0.86 - 1.91 GHz)이다. 이와 같이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인공자기도체를 적용함으로써 최저 동작 주파수가 하향화되므로 안테나가 소형화됨을 알 수 있다.In FIG. 5, a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with no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has a reflection coefficient bandwidth ratio of -1.98: 1 (0.99 - 1.94 GHz) The reflection coefficient bandwidth ratio of less than 10 dB is 2.22: 1 (0.86 - 1.91 GHz). It can be seen that the application of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to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lowers the minimum operating frequency and thus miniaturizes the antenna.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서, 인공자기도체의 유무에 따른 주 방사방향에서 측정된 이득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자기도체가 없는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주 방사방향은 θ = -90°이며, 주 방사방향에서의 이득은 동작 주파수 내에서 4.78 - 8.15 dBi로 분포한다. 반면, 인공자기도체가 결합된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주 방사방향은 θ = -45°이며, 주 방사방향에서의 이득은 동작 주파수 내에서 7.48 - 10.44 dBi로 분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자기도체를 적용함에 따라 주 방사방향에서의 이득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FIG. 6 is a graph showing gain characteristics measured in the main radiation direction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in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main radiation direction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without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is? = -90 占 and the gain in the main radiation direction is distributed within 4.78 - 8.15 dBi within the operating frequency. On the other hand, the main radiation direction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combined with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is θ = -45 °, and the gain in the main radiation direction is distributed in the operating frequency of 7.48 - 10.44 dBi. As can be seen, the application of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improves the gain characteristics in the main radiation dir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서, 다양한 주파수에서의 인공자기도체 여부에 따른 yz-평면 복사패턴의 시뮬레이션 측정 결과이다.FIG. 7 is a simulation result of a yz-plane radiation pattern according to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at various frequencies in a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7 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각 1 GHz, 1.5 GHz, 1.8 GHz 주파수에서의 인공자기도체 여부에 따른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yz-평면을 복사패턴 시뮬레이션한 결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검은선)는 급전이 이루어지는 θ = -90°방향에서 주 방사방향이 형성되지만, 인공자기도체와 결합시킬 경우(붉은선) 그 영향에 의해 주 방사방향이 θ = -45°방향으로 형성된다.7 (a), 7 (b), and 7 (c) are graphs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at frequencies of 1 GHz, 1.5 GHz, and 1.8 GHz, respectively. This is the result of simulation of the yz-plane radiation pattern. As shown in the figure, the main logarithmic dipole array antenna (black line) is formed in the main radiation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θ = -90 ° where feeding is performed, but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red line) Direction is formed in the &thetas; = -45 DEG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도체 패치가 제2기판(202)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1 및 제2기판(201, 202) 모두에 형성된 단위구조를 갖는 인공자기도체가 결합된 안테나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의 상하면에 배치된 급전라인의 위치와 인공자기도체가 소정 거리 이격된 구조의 안테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tenna in which a conductor patch is formed on the second substrate 202 or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having a unit structure formed on both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201 and 202 is combined May also be implemented. Further, the antenna may be formed of an antenna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feed lin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에 의하면, 인공자기도체의 결합을 통해 이득 손실 없이 소형 제작이 가능하고, 고이득 특성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효율 및 이득이 증대된다. 또한, 최저 동작 주파수를 하향화시킴으로써,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폭을 모두 포함하는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제공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mall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aturization can be achieved without loss of gain through coupling of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s, and efficiency and gain can be achieved in a field requiring high gain characteristics Increase. Further, by lowering the lowest operating frequenc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pole array antenna including all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s of the dipole array antenna.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매체(예, 단말내부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예, 단말 내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되는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And may be modified, changed, or improved in various forms. Further,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can be implemented in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a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software program that can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terminal internal memory, flash memory, hard disk, etc.) and executed by a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with embedded codes or instructions.

Claims (8)

정해진 유전율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급전선로 및 접지선로;
상기 급전선로 및 접지선로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 대수 주기 다이폴 소자; 및
단위구조를 갖는 인공자기도체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인공자기도체 패턴의 단위구조는,
제1 유전체기판; 상기 제1 유전체기판과 정해진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제2 유전체기판; 상기 제1 유전체기판의 상부면에 위치한 사각형 구조의 도체 패치; 및 상기 제2 유전체기판의 하부면에 접지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공자기도체 패턴과 상기 대수 주기 다이폴 소자는,
신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공자기도체 패턴과 상기 대수 주기 다이폴 사이에 구비된 지지수단에 의해 정해진 이격거리(gap)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A substrate having a predetermined permittivity;
A feed line and a ground lin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bstrate;
A logarithmic periodic dipole element having a left-right symmetrical structure about the feeder line and the ground line; And
And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pattern having a unit structure,
Wherein the unit structure of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pattern comprises:
A first dielectric substrate; A second dielectric substr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dielectric substrate; A conductor patch of a rectangular structure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dielectric substrate; And a ground plan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ielectric substrate,
Wherein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pattern and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element are made of a single-
Is arranged to form a gap defined by a support means provided between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pattern and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to prevent signal interfe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패치의 한 변의 길이는 상기 제1 유전체기판의 한 변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ength of one side of the conductor patch is smaller than a length of one side of the first dielectric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기판간의 거리는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폭을 모두 포함하는 ±90°반사위상 대역폭 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substrates has a reflection phase bandwidth ratio of 90 占 including all of the operating frequency bandwidth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의 주 방사방향은 θ =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radiation direction of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is &thetas; = -45 DE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기판은 인공자기도체 패턴의 반사위상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substrates are spaced apart to increase the reflection phase bandwidth of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patter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유전체기판의 한 변의 길이는 30mm 이고,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기판의 이격거리는 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length of one side of the first or second dielectric substrate is 30 mm and a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substrates is 4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자기도체 패턴과 상기 대수 주기 다이폴 소자 간의 이격거리는 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pattern and the logarithmic periodic dipole elements is 5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나일론(Nylon)재질의 PCB 써포트가 적용된 나일론 포스트(Nylon po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대수 주기 다이폴 배열 안테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ing means is a nylon post to which a PCB support made of nylon is applied.
KR1020180017986A 2018-02-13 2018-02-13 Compact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KR1019720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86A KR101972093B1 (en) 2018-02-13 2018-02-13 Compact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986A KR101972093B1 (en) 2018-02-13 2018-02-13 Compact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2093B1 true KR101972093B1 (en) 2019-04-24

Family

ID=6628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986A KR101972093B1 (en) 2018-02-13 2018-02-13 Compact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20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551B1 (en) * 2019-12-20 2021-02-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 dipole array antenna for broadband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pole array antenna
WO2021066250A1 (en) * 2019-10-04 2021-04-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Dipole array antenn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323A (en) * 1997-12-04 1999-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Multi-frequency antenna device and multi-frequency array antenna device using multi-frequency sharing antenna
KR101278918B1 (en) * 2010-01-15 2013-06-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rtifical magnetic conductor with non-identical unit cell and antennas comprising 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323A (en) * 1997-12-04 1999-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Multi-frequency antenna device and multi-frequency array antenna device using multi-frequency sharing antenna
KR101278918B1 (en) * 2010-01-15 2013-06-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rtifical magnetic conductor with non-identical unit cell and antennas comprising 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250A1 (en) * 2019-10-04 2021-04-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Dipole array antenna
KR102220551B1 (en) * 2019-12-20 2021-02-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 dipole array antenna for broadband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dipole array antenn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0346B2 (en) Antenna structures having planar inverted F-antenna that surrounds an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cell
US6288682B1 (en) Directional antenna assembly
US6509882B2 (en) Low SAR broadband antenna assembly
US6914581B1 (en) Focused wave antenna
WO2016155393A1 (e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element
US20160020648A1 (en) Integrated Miniature PIFA with Artificial Magnetic Conductor Metamaterials
US20070008236A1 (en) Compact dual-band antenna system
US4081803A (en) Multioctave turnstile antenna for direction finding and polarization determination
Rezaeieh et al. Miniaturization of planar Yagi antennas using mu-negative metamaterial-loaded reflector
CN110970722A (en) Low-profile broadband patch antenna structure applied to 5G millimeter wave wireless communication
US20210320411A1 (en) Antenna structure and terminal
Esselle A low-profile compact microwave antenna with high gain and wide bandwidth
US7307587B2 (en) High-gain radiating element structure using multilayered metallic disk array
US3745585A (en) Broadband plane antenna with log-periodic reflectors
Hu et al. Low-profile helical quasi-Yagi antenna array with multibeams at the endfire direction
KR101972093B1 (en) Compact log-periodic dipole array antenna
US7071877B2 (en) Antenna and dielectric substrate for antenna
CN112787099A (en) Patch-driven super-surface antenna applied to 5G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US7196665B2 (en) Antenna device
CN100570948C (en) Self-tuning multiband meander line loaded antenna
CA2596025C (en) A microstrip double sided monopole yagi-uda antenna with application in sector antennas
CN112701471B (en) All-dielectric integrated ultra-wideband low-profile polymorphic conformal phased array antenna
KR20060004725A (en) Internal antenna for radio communication
WO20212606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able metasurface sub reflector
KR100846490B1 (en)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