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292B1 - 전극와이어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전극와이어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292B1
KR101971292B1 KR1020120149082A KR20120149082A KR101971292B1 KR 101971292 B1 KR101971292 B1 KR 101971292B1 KR 1020120149082 A KR1020120149082 A KR 1020120149082A KR 20120149082 A KR20120149082 A KR 20120149082A KR 101971292 B1 KR101971292 B1 KR 101971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electrode wire
optical element
inciden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834A (ko
Inventor
곽일조
김상겸
김정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29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와이어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와이어는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상기 광소자로 다시 입사되도록 상기 광소자에 수직한 선과 소정각도로 경사져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와, 상기 광소자와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경사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극와이어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 {Electrode wire and solar cell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극와이어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전지모듈에 입사되는 빛의 양을 늘리는 동시에 태양전지모듈의 광소자와 결합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전극와이어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전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석탄, 석유 등과 같은 기존의 화석연료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 이외에 태양광, 바이오, 풍력, 지열, 해양, 폐기물 에너지와 같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기 생산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이 중에서도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모듈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다. 태양전지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기계적, 화학적 작용이 없으므로 시스템의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치 않다. 또한, 태양광 시스템을 한번 설치하게 되면 그 수명이 길고 안전하며, 나아가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태양전지모듈은 태양광이 입사되는 광소자를 구비하고, 태양광을 받으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광소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태양전지모듈의 전기를 생산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고자하는 많은 연구가 활발하다. 예를 들어, 광소자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반사율을 낮추거나, 또는 같은 크기의 광소자를 구비한 경우에도 광소자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율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예를 들어, 광소자의 표면에 연결되어 전력을 전송하는 전극와이어는 광소자의 표면을 가리게 되어 전극와이어로 입사된 빛은 반사되어 광소자로 입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극와이어는 광소자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줄이어 태양광의 입사율을 줄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공개공보 제2007-0125415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고 함)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구비되는 경사부를 구비한 전극와이어에 대해서 개시한다. 상기 전극와이어의 경사부는 반사된 빛이 전반사에 의해 다시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하여 태양광의 입사율을 높이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극와이어는 직렬연결을 위해 인접한 광소자의 상면 및 하면에 번갈아 연결된다. 선행문헌 1의 전극와이어의 상부형상을 보면 양측의 경사부가 맞닿는 요철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선행문헌 1의 전극와이어는 하부면에서는 기존의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광소자와 접합이 가능하나, 상부면에서는 광소자와 선접촉을 하게 되어 기존의 솔더링에 의한 접합이 불가능하고 별도의 접합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미국특허공보 제6,323,415호(이하, '선행문헌 2'라고 함)를 살펴보면, 광소자를 연결하는 별도의 '빛반사부재'에 의해 빛을 반사하고 상기 반사된 빛이 전반사에 의해 다시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하지만, 상기 빛반사부재는 단순히 빛의 반사/전반사에 의해 다시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하는 내용만 개시하며, 광소자에서 생산된 전력을 전송하는 전극와이어와 광소자의 결합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지 않는다.
나아가, 미국특허공보 제5,554,229호(이하, '선행문헌 3'이라고 함) 및 미국특허공보 제4,235,643호(이하, '선행문헌 4'라고 함)를 살펴보면 입사된 빛을 반사 등에 의해 다시 광소자로 입사시키는 내용을 개시한다. 하지만, 선행문헌 3 및 선행문헌 4는 전극와이어가 아닌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빛을 반사하게 되므로 태양전지모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공정의 증가로 인하여 비용 및 시간이 늘어난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소자로 입사되는 빛의 양을 늘릴 수 있으며, 상기 광소자와의 결합력은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전극와이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광소자에서 생성된 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광소자를 보호하는 커버부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에 있어서,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상기 광소자로 다시 입사되도록 상기 광소자에 수직한 선과 소정각도로 경사져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와, 상기 광소자와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경사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의 각도는 상기 경사부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커버부에서 전반사되어 다시 상기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경사부에서 반사된 빛이 바로 상기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부의 각도는 0°를 초과하여 44° 이하, 또는 46° 이상 및 69°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연결하도록 양측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경사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수직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폭의 비율(L1/L2)은 대략 50 % 내지 80%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경사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경사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하부경사부와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반사된 빛이 상기 커버부의 전반사에 의해 다시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경사져서 구비되는 전반사부와, 상기 반사된 빛이 바로 상기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경사져서 구비되는 반사입사부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반사부의 각도는 46° 이상 및 69° 이하이며, 상기 반사입사부의 각도는 0°를 초과하여 44°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반사부와, 상기 한 쌍의 전반사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반사입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전반사부와, 상기 한 쌍의 상부전반사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반사입사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전반사부와, 상기 한 쌍의 하부전반사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반사입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반사입사부와 하부반사입사부는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빛을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광소자, 상기 광소자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며 상기 광소자를 보호하는 커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소자에서 생성된 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상기 광소자로 다시 입사되도록 상기 광소자에 수직한 선과 소정각도로 경사져 구비되는 경사부와 상기 광소자와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경사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는 전극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광소자에서 생성된 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광소자를 보호하는 커버부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와 결합되는 결합부 및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부와의 전반사에 의해 상기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상기 광소자에 수직한 선과 경사져서 구비되는 전반사부와, 상기 반사된 빛이 상기 광소자로 바로 입사되도록 상기 광소자에 수직한 선과 경사져서 구비되는 반사입사부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반사부의 각도는 46° 이상 및 69° 이하이며, 상기 반사입사부의 각도는 0°를 초과하여 44°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광소자와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경사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폭의 비율(L1/L2)은 대략 50 % 내지 8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반사부와, 상기 한 쌍의 전반사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반사입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전반사부와, 상기 한 쌍의 상부전반사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반사입사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전반사부와, 상기 한 쌍의 하부전반사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반사입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반사입사부와 하부반사입사부는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을 생산하는 광소자, 상기 광소자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며 상기 광소자를 보호하는 커버부 및 상기 광소자에서 생성된 전력을 전달하며,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부와의 전반사에 의해 상기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상기 광소자에 수직한 선과 경사져서 구비되는 전반사부와, 상기 반사된 빛이 상기 광소자로 바로 입사되도록 상기 광소자에 수직한 선과 경사져서 구비되는 반사입사부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경사부와, 상기 광소자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전극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극와이어에 따르면 빛을 반사하여 전반사에 의해 다시 입사시키는 경사부와 함께, 광소자와 연결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여 빛의 입사율을 향상시키면서 나아가 광소자와 견고히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폭의 비율을 조절하여 경사부에 의해 빛의 입사율을 늘리면서 광소자와 소정 수준 이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극와이어를 피해 광소자로 입사되는 경로, 전극와이어에서 반사되고 커버부에서 다시 전반사되어 광소자로 입사되는 경로 및 상기 전극와이어에서 반사되어 바로 광소자로 입사되는 경로를 통해 전극와이어를 통하여 빛의 입사율을 늘릴 수 있다. 즉, 경사부를 구비하여 빛이 경사부를 피해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하며, 전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빛이 전반사에 의해 다시 입사되도록 하며, 반사입사부에 의해 반사된 빛이 다시 입사되도록 하여 빛의 입사율을 늘릴 수 있다.
도 1은 태양전지모듈의 동작원리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전극와이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전극와이어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를 구비한 경우의 빛의 입사되는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 내지 도 8은 경사부의 각도 변화에 따른 빛의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전극와이어의 경사각도에 따른 태양광 입사율의 상승효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11 내지 도 14는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극와이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극와이어 및 태양전지모듈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태양전지모듈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어서 이러한 태양전지모듈에 적용될 수 있는 전극와이어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태양전지모듈(solar cell module)이 태양빛을 받아 전기를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전지란 태양빛을 받으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전지로 정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층(3)과 P층(5)이 접합하여 PN접합으로 이루어진 광소자(32)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정공쌍이 형성된다. 이 때, PN 접합부에서 생기는 전계에 의해 전자는 N층(3)으로 이동하고, 정공은 P층(5)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P층(5)과 N층(3) 사이에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양단의 전극에 부하를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번호 '1'은 태양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사방지막에 해당한다. 도 1에서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34)는 광소자(32)에서 생성된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극와이어(34)는 광소자(32)의 상면에 구비되어 N층(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극와이어(34)는 직렬연결을 위해 인접한 광소자(32)의 상면 및 하면에 번갈아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전극와이어(34)는 상면 및 하면이 모두 광소자(32)와 연결되는 결합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원리에 의해 동작하는 태양전지모듈(100)의 일 실시예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태양전지모듈(100)은 태양광이 입사되는 방향에서부터 강화유리(10), 충진재(EVA)(20), 광소자 유닛(cell unit)(30), 충진재(20) 및 백시트(back sheet)(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요소들은 프레임(22)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태양전지모듈(100)을 구성하는 상기 구성은 광소자 유닛(30)을 기본구성으로 하여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구성요소 중에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강화유리(10)는 광 투과도가 높으면서 광 반사손실을 낮추기 위한 표면처리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바람이 비교적 강한 지역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소정 이상의 풍속에서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내풍압성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여러 조각으로 깨질 수 있도록 안전유리 규격에 따라 제작된다. 이러한 강화유리(10)는 예를 들어 저철분 강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충진재(EVA)(20)는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광소자 유닛(3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광소자 유닛(30)의 전면과 후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강화유리(10)와 광소자 유닛(30) 사이에 전면 충진재(20)가 삽입되고, 광소자 유닛(30)과 백시트(50) 사이에 후면 충진재(20)가 삽입된다.
본 명세서에는 상기 강화유리(10)와 충진재(20)의 조합을 커버부(40)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상기 커버부(40)는 광소자 유닛(30)으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며, 나아가 광소자 유닛(3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40)를 이루는 조합은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하거나 또는 상기 강화유리와 충진재 중에 어느 하나를 생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전술한 전극와이어(34)는 커버부(40)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한편, 백시트(50)는 태양전지모듈(100)의 후면에 구비되어, 후면에서 침투하는 습기 등의 오염을 방지하며 태양전지모듈(100)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태양전지모듈(100)에 사용되는 전극와이어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종래구성에 따른 전극와이어(34)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며, 전극와이어(34)는 내부에 구비되는 도체(36)와 상기 도체(36)의 외부에 코팅되는 솔더(38)를 구비한다. 도체(36)는 광소자에서 생성된 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일반적인 도전용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전도도가 높은 구리가 많이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산소함량이 낮은 OFC(Oxygen-Free Copper) 또는 TPC(Tough-Pitch Copper) 등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도체(36)의 표면에 코팅되는 솔더(38)는 전극와이어(34)와 광소자(32)을 접합을 위하여 구비되므로 주석(Sn)계 합금이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녹는점이 높고 도금이 유리한 주석-납(Sn-Pb)합금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솔더(38)는 광소자와의 원활한 접합을 위하여 대략 10 ~ 4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런데, 도 3와 같은 종래 구조에 따른 전극와이어(3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전극와이어(34)의 면적만큼 빛이 입사되는 면적을 줄이게 되어 빛의 입사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극와이어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극와이어(200)는 내부에 구비되는 도체(205)와 상기 도체(205)의 표면에 코팅되는 솔더(300)를 포함한다. 도체 및 솔더의 재질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3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200)는 측면에 경사부(220)를 구비하게 되는데, 경사부(220)는 광소자(32)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경사부(220)에 코팅되는 솔더(300)는 대략 10 ㎛ 이하의 두께를 가져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200)는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광소자(32)로 다시 입사되도록 광소자(32)에 수직한 선과 소정각도로 경사져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220)와 광소자(32)와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경사부(2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제1 결합부(210) 및 제2 결합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부(220)는 전극와이어(20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경사부(220)에 의해 반사된 빛이 다시 광소자(32)로 입사되도록 한다. 상기 경사부(2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1 결합부(210) 및 제2 결합부(230)를 구비하여 전극와이어(200)가 인접한 광소자(32)와 상면 및 하면을 번갈아 연결되는 경우에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경사부(220)는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30)를 연결하도록 양측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전극와이어(200)는 경사부(220)를 구비함으로써 광소자(32)에 입사되는 빛의 양을 종래 전극와이어에 비해 늘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부에 의해 입사되는 빛이 전극와이어를 피해 광소자로 입사되거나, 상기 경사부에서 반사된 빛이 전술한 커버부와 전반사에 의해 다시 광소자로 입사되거나, 또는 상기 경사부에서 반사된 빛이 바로 광소자로 입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경사부 및 결합부의 기능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도 5는 종래 구성의 전극와이어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를 구비한 경우에 빛의 입사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 구성에 의한 전극와이어(34), 즉 직사각형 형태의 전극와이어를 구비하게 되면, 전극와이어(34)의 단면적이 모두 광소자(32)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전극와이어(34)를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포함하여,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져서 전극와이어(34)로 입사되는 빛은 모두 반사되어 광소자(32)로 입사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서,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30)를 연결하는 경사부(220)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게 되며, 바람직하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한 쌍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극와이어(200)를 향해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져서 입사되는 빛은 상기 경사부(220)에 의해 전극와이어(200)를 피해 광소자(32)로 입사하게 된다. 결국, 종래의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전극와이어(34)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200)는 입사되는 빛의 양을 늘릴 수 있다.
한편, 전극와이어(200)의 경사부(220)는 광소자(32)에 수직한 임의의 선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반사된 빛을 다시 광소자(32)로 입사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경사부(220)의 각도에 따른 반사된 빛의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하면, 경사부(220)의 각도(θ1)는 경사부(200)에서 반사된 빛이 커버부(40)에서 전반사되어 다시 광소자(32)로 입사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경사부(22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면 경사부(220)에서 반사되는 빛이 커버부(40)로 입사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부(40)의 표면에서 전반사되는 최저 전반사각도(αmin ) 이상으로 입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40)의 표면에 최저 전반사각도(αmin ) 이상으로 입사된 빛은 전반사에 의해 다시 광소자(32)를 향하게 되어 광소자(32)로 입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최저 전반사각도(αmin )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커버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강화유리(10)와 충진재(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빛은 굴절율이 높은 매질에서 낮은 매질을 통과하는 경우에 일정한 각도 이상이면 전반사되는 성질을 가지게 된다. 즉, 전극와이어의 경사부(220)에서 반사된 빛은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절율이 높은 커버부(40)를 통과하기 때문에 전반사 조건이 형성된다. 전반사가 일어나는 최저 전반사각도(αmin )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112012105666326-pat00001
공기의 굴절율(nair)은 1이며, 커버부(40)의 굴절율(nglass)은 유리와 충진재가 모두 대략 1.5로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최저 전반사각도(αmin )는 42°로 결정된다. 즉, 커버부(40)로 입사되는 빛이 최저 전반사각도(αmin ), 즉, 42° 이상으로 입사되면 전반사에 의해 다시 광소자(32)로 향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20)가 광소자(32)에 수직한 임의의 선과 소정의 제1 각도(θ1)로 경사져서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220)에서 반사된 빛이 커버부(40)로 최저 전반사각도(αmin )로 입사되는 경우에 상기 경사부(220)의 각도는 69°에 해당하게 된다.
한편, 도 7과 같이 경사부(220)가 광소자(32)에 수직한 임의의 선과 소정의 제2 각도(θ2), 예를 들어 45°로 경사져서 구비된 경우를 상정해본다. 이 경우, 상기 경사부(220)에 대해서 수직하게 입사된 빛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소자(32)와 커버부(40)의 사이의 공간을 평행하게 진행하게 된다. 결국, 경사부(220)에서 반사된 빛은 광소자(32)로 입사되지도 않으며, 커버부(40)로 입사하지도 않게 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경사부(220)에서 반사된 빛이 커버부(40)에서 전반사되기 위한 경사부(220)의 제1 각도(θ1)는 45°를 초과해야 한다. 즉, 상기 경사부(220)의 제1 각도(θ1)는 46°이상 및 69°이하의 값을 가지게 된다.
한편, 도 8은 경사부(220)의 각도(θ3)가 0°를 초과하지만 45° 미만인 경우, 즉 44°이하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경사부(220)가 제3 각도(θ3), 즉 0°를 초과하지만 44°이하인 경우에 경사부(220)에서 반사된 빛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하게 되어 반사 후에 바로 광소자(32)로 입사하게 된다.
결국, 도 6 내지 도 8의 설명을 참고하면, 경사부(220)의 각도는 경사부(220)에서 반사된 빛이 커버부(40)에서 전반사되어 다시 광소자(32)로 입사되도록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경사부(220)에서 반사된 빛이 바로 상기 광소자(32)로 입사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부(220)의 각도는 0°를 초과하지만 44°이하(θ3), 또는 46°이상 및 69°이하(θ1)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θ1의 각도, 즉 경사부에서 반사된 빛이 커버부에서 전반사되는 경사부의 각도는 '전반사각도'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θ3의 각도, 즉 경사부에서 반사된 빛이 바로 광소자로 입사되는 경사부의 각도는 '반사입사각도'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는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전극와이어(200)를 구비한 경우에 빛의 입사효율의 변화와 상기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30)의 폭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전극와이어(200)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극와이어(200)는 인접한 광소자(32)의 상면 및 하면에 번갈아 연결된다. 따라서, 전극와이어(200)는 상부 및 하부에 광소자(32)와 연결되는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30)를 구비한다.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30)는 사이에 경사부(22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제1 결합부(210)의 폭(L1)에 비해 제2 결합부(230)의 폭(L2)이 길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극와이어(200)를 구비한 경우에 빛의 입사각도가 변화하는 경우에 전극와이어의 경사각에 따른 입사효율의 변화와 상기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30)의 폭을 결정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자는 전극와이어(200)를 구비한 소형의 태양전지모듈을 제작하여 입사되는 빛의 각도(α)가 달라지는 경우(①, ②, ③, ④, ②', ③', ④')에 전극와이어(200)의 경사각(θ)을 변화시켜가면서 빛의 입사율의 상승효율을 측정하였으며, 상기 실험결과는 하기 [표 1]에 도시된다.
빛의 방향 빛의 입사각(α) 경사각(θ) 상승효율(%)





0도




15도 0.147
25도 0.256
35도 0.384
45도 0.548
55도 0.783
65도 1.175
②, ②'




10도




15도 0.143
25도 0.249
35도 0.373
45도 0.533
55도 0.762
65도 1.144
③, ③'




20도




15도 0.143
25도 0.249
35도 0.373
45도 0.533
55도 0.762
65도 -0.037
④, ④'




30도




15도 0.143
25도 0.249
35도 0.373
45도 0.533
55도 -0.059
65도 -0.088
상기 [표 1]에 따른 실험에서 전극와이어는 두께를 0.2mm, 제2 결합부(230)의 폭(L2)을 2.0mm로 하고, 경사각(θ)을 15°, 25°, 35°, 45°, 55° 및 65°로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을 하였다. 또한, 전극와이어가 연결되는 광소자의 폭과 너비를 모두 150mm로 하여, 상기 광소자에 입사되는 빛의 입사율을 종래의 전극와이어와 비교하여 상승된 효율을 표시하였다.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의 입사각(α)이 소정각도로 결정된 상태에서 전극와이어의 경사각(θ)의 변화에 따른 상승효율을 살펴보면, 전극와이어의 경사각(θ)과 상승효율의 값이 서로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전극와이어의 경사각(θ)이 커질수록 상승효율의 값도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빛의 입사각(α)이 변화하는 경우에 소정각도로 결정된 경사각(θ)에 대한 상승효율을 살펴보면 크게 변화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즉, 전극와이어의 상승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인자는 빛의 입사각도(α)가 아니라, 전극와이어의 경사각(θ)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 태양전지모듈을 설치하여 태양광 발전을 하는 경우를 상정해보면, 태양에서 태양전지모듈로 입사되는 빛의 각도, 즉 태양에서 광소자로 입사되는 빛의 각도(α)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게 된다. 태양의 위치가 계속해서 바뀌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극와이어의 경사각(θ)이 소정 각도로 결정된 경우에 실제 태양전지모듈을 이용하여 상승효율을 측정해보면 도 10의 그래프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의 그래프는 상기 [표 1]에서 전극와이어의 경사각이 소정각도로 정해진 경우에 빛의 입사각도(α)에 따른 상승효율을 모두 더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와이어의 경사각이 15도로 정해진 경우에 빛의 입사각도(α)에 따른 상승효율을 모두 더하여(①+②+③+④+②'+③'+④')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대략 45도까지는 전극와이어의 경사각(θ)이 상승할수록 상승효율이 더 커짐을 알 수 있으며, 대략 46°내지 60° 사이에서 상승효율이 최고점에 도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극와이어의 경사부(220)의 각도를 이론적으로 결정하게 되면 0°를 초과하여 44°이하(θ3), 또는 46°이상 및 69°이하(θ1)의 범위를 가지게 되며, 도 9 내지 도 1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극와이어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로 실험해보면 전극와이어의 경사부(220)의 경사각(θ)은 보다 바람직하게 46° 내지 60°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제2 결합부(230)의 폭(L2)에 비해 제1 결합부(210)의 폭(L1)이 더 작게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결합부(210)는 광소자(32)와 연결되는 경우에 충분한 결합력과 함께 광소자에서 생성된 전력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소정 수준 이상의 접촉면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는 제2 결합부(230)의 폭(L2)과 제1 결합부(210)의 폭(L1)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2 결합부(230)의 폭(L2)과 제1 결합부(210)의 폭(L1)의 비율을 변화시켜 가면서 광소자에서 생성된 전력이 전달되어 출력되는 전력값을 측정하였다.
경사각(θ) L1/L2(%) 전력 출력값(A)
종래 전극와이어 0도 100 0.8130
실시예1 15도 94.6 0.8219
실시예2 25도 90.7 0.8260
실시예3 35도 86.0 0.8325
실시예4 45도 80.0 0.8366
실시예5 55도 71.4 0.8358
실시예6 65도 57.1 0.8171
상기 [표 2]에 따른 실험에서 전극와이어는 두께를 0.2mm, 제2 결합부(230)의 폭(L2)을 2.0mm로 하고, 경사각(θ)을 15°, 25°, 35°, 45°, 55° 및 65°로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을 하였다. 또한, 6개의 광소자를 직렬 연결하여 태양전지모듈을 제작한 다음, 단위면적당 방사량(Irradiance)을 1000 W/㎡으로 하여 25℃에서 전극와이어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였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극와이어는 종래 구조에 따른 전극와이어에 비해 전반적으로 전력 출력값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제1 결합부(210)의 폭(L1)과 제2 결합부(230)의 폭(L2)의 비율이 대략 50% 이하로 낮아지면, 전극와이어를 통한 전력 출력값이 종래 전극와이어의 값과 비교하여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는 제1 결합부(210)의 폭(L1)과 제2 결합부(230)의 폭(L2)의 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제1 결합부(210)와 광소자 간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전력 출력값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제1 결합부(210)와 광소자와의 결합력을 유지하면서 나아가 제1 결합부(210)와 광소자의 접촉면적을 소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제1 결합부(210)의 폭(L1)과 제2 결합부(230)의 폭(L2)의 비율(L1/L2)은 대략 50 %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각(θ)의 변화에 따른 빛의 입사율의 상승효율을 고려하면 제1 결합부(210)의 폭(L1)과 제2 결합부(230)의 폭(L2)의 비율(L1/L2)은 대략 50%~ 80% 정도에 결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경사부를 구비한 전극와이어의 구성을 다양한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 도 11 내지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300)는 경사부(320, 322)와 상기 제2 결합부(340)를 연결하는 수직부(330, 332)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경사부의 각도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전극와이어(300)는 제1 결합부(3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부(31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경사부(320, 322)가 직접 제2 결합부(340)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부(330, 332)에 연결된다. 수직부(330, 332)의 두께는 소정의 수치로 결정될 수 있으며,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수직부를 구비하게 되면 보다 용이하게 전극와이어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측면에 전극와이어의 측면에 경사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압연, 압출, 신선, 프레싱 등의 방법이 모두 사용될 수 있는데, 전극와이어의 생산율과 정밀도를 고려할 때, 압연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그런데, 전술한 도 9에 따른 전극와이어를 보면 경사부(220)와 제2 결합부(230)가 직접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압연 방식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에 매우 높은 수준의 정밀도를 요구하게 되어, 제작에 어려움이 따른다. 반면에, 도 11과 같이 경사부와 제2 결합부가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수직부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면 압연 방식에 의해 제작을 하는 경우에 도 9의 형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정밀도를 요구하게 되어 제작에 용이성을 가져올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400)는 상하부가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전극와이어(400)의 경사부는 제1 결합부(41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경사부(420, 422)와, 제2 결합부(44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경사부(430, 43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상부경사부(420, 422)는 각각 상기 한 쌍의 하부경사부(430, 432)와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경사부의 각도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400)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하부에 한 쌍의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하부의 경사부가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광소자(32)의 양측으로 모두 빛이 입사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부경사부와 하부경사부가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므로 제1 결합부(410)를 향하여 빛이 입사되는 경우에는 상부경사부(420, 422)에 의해 빛의 입사율을 높이며, 반면에 제2 결합부(440)를 향하여 빛이 입사되는 경우에는 하부경사부(430, 432)에 의해 빛의 입사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전극와이어(500)는 광소자(32)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는 제1 결합부(510)와 제2 결합부(5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경사부는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커버부(40)와의 전반사에 의해 광소자(32)로 입사되도록 광소자(32)에 수직한 선과 경사져서 구비되는 전반사부와, 반사된 빛이 광소자(32)로 바로 입사되도록 광소자(32)에 수직한 선과 경사져서 구비되는 반사입사부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경사부는 제1 결합부(51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반사부(530, 532)와, 상기 한 쌍의 전반사부(530, 532)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반사입사부(540, 54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반사부(530, 532)는 전술한 전반사각도(θ1)로 경사져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입사부(540, 542)는 전술한 반사입사각도(θ3)로 경사져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반사부(530, 532)는 46°이상 및 69°이하의 각도로 경사져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입사부(540, 542)는 0°를 초과하지만 44°이하의 각도로 경사져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반사부(530, 532)와 반사입사부(540, 542)를 모두 구비하게 되면, 전극와이어의 측면에서 반사되는 빛이 다시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전반사부(530, 532)에서 반사된 빛은 커버부에서 전반사되어 다시 광소자로 입사되며, 반사입사부(540, 542)에서 반사된 빛은 바로 광소자로 입사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결합부와 반사입사부가 연결되며, 제2 결합부와 전반사부가 연결되고, 상기 반사입사부와 전반사부가 서로 연결되는 구성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를 도시한다.
도 14에 따른 전극와이어를 도 13의 전극와이어와 비교하면, 도 14에 따른 전극와이어는 상부와 하부가 서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극와이어(600)는 제1 결합부(610)와 제2 결합부(64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부(610)와, 제2 결합부(640)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는 제1 결합부(61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전반사부(620, 622)와, 상기 한 쌍의 상부전반사부(620, 622)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반사입사부(630, 632)와, 상기 제2 결합부(64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전반사부(650, 652)와, 상기 한 쌍의 하부전반사부(650, 652)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반사입사부(660, 66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상부반사입사부(630, 632)와 하부반사입사부(660, 662)는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와이어(600)는 전반사부와 반사입사부를 모두 구비하여 반사되는 빛이 다시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하는 효율이 뛰어나며, 나아가 광소자(32)의 양측으로 모두 빛이 입사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강화유리 20...충진재
30...광소자 유닛 40...커버부
50...백시트 100...태양전지모듈
200...전극와이어 210...제1 결합부
220...경사부 230...제2 결합부

Claims (32)

  1. 광소자에서 생성된 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광소자를 보호하는 커버부와 인접하여 구비되는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에 있어서,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상기 광소자로 다시 입사되도록 상기 광소자에 수직한 선과 소정각도로 경사져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와,
    상기 광소자와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경사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광소자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는 입사된 빛이 반사되는 경우에 상기 커버부와의 전반사에 의해 상기 광소자로 입사되도록 상기 광소자에 수직한 선과 경사져서 구비되는 전반사부와 상기 반사된 빛이 상기 광소자로 바로 입사되도록 상기 광소자에 수직한 선과 경사져서 구비되는 반사입사부 중에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전반사부의 각도는 46°이상 및 69° 이하이며, 상기 반사입사부의 각도는 0°를 초과하며 44° 이하이고,
    상기 제1 결합부의 폭(L1)과 상기 제2 결합부의 폭(L2)의 비율(L1/L2×100)은 50% 내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연결하도록 양측에 한 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수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경사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경사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하부경사부와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반사부와, 상기 한 쌍의 전반사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반사입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전반사부와, 상기 한 쌍의 상부전반사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반사입사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전반사부와, 상기 한 쌍의 하부전반사부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반사입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반사입사부와 하부반사입사부는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
  12. 빛을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광소자;
    상기 광소자로 빛이 입사되도록 하며 상기 광소자를 보호하는 커버부; 및
    제1항의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연결하도록 양측에 한 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연결하는 수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경사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경사부는 각각 상기 한 쌍의 하부경사부와 서로 대칭적으로 구비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20149082A 2012-12-20 2012-12-20 전극와이어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 KR101971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082A KR101971292B1 (ko) 2012-12-20 2012-12-20 전극와이어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082A KR101971292B1 (ko) 2012-12-20 2012-12-20 전극와이어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834A KR20140080834A (ko) 2014-07-01
KR101971292B1 true KR101971292B1 (ko) 2019-04-22

Family

ID=5173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082A KR101971292B1 (ko) 2012-12-20 2012-12-20 전극와이어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2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5479A1 (en) * 2007-12-11 2009-06-11 Evergreen Solar, Inc. Shaped Tab Conductors for a Photovoltaic Cell
JP2010272897A (ja) * 2010-09-08 2010-12-02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2073771A1 (ja) * 2010-11-30 2012-06-07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2005B1 (de) * 2005-06-01 2007-03-15 Outokumpu Copper Neumayer Gmbh Elektrisches verbindungselemen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olarzelle- und modul mit verbindungselement
JP2011517118A (ja) * 2008-04-11 2011-05-26 クォルコム・メムズ・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Pvの美観および効率を改善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5479A1 (en) * 2007-12-11 2009-06-11 Evergreen Solar, Inc. Shaped Tab Conductors for a Photovoltaic Cell
JP2010272897A (ja) * 2010-09-08 2010-12-02 Sanyo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2073771A1 (ja) * 2010-11-30 2012-06-07 三洋電機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834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9098B2 (en) Notch structure for concentrat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ing photovoltaic strips
EP2141747B1 (en) Solar cell module
JP201415784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283115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1045860B1 (ko) 태양전지 패널
US20230318518A1 (en) Rapidly deployable and transportable high-power-density smart power generators
KR20180020375A (ko)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382990B1 (ko) 태양전지 모듈
KR101971292B1 (ko) 전극와이어 및 이를 구비한 태양전지모듈
KR20110078442A (ko) 태양전지 모듈
KR20110040372A (ko) 태양전지 모듈
KR101966225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120044541A (ko) 도전성 접착 필름, 상기 필름을 구비한 태양전지 패널 및 상기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361351B1 (ko) 적층형 태양광패널
KR101306484B1 (ko) 태양광 발전장치
JP559898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826734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83546A (ko) 태양전지 모듈
KR20140114529A (ko) 리본 반사체를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
KR101960544B1 (ko) 태양전지모듈용 전극와이어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1417A (ko)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382739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8018894A (ja) 太陽電池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371823B1 (ko) 태양전지 모듈
KR101372142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