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822B1 - 이중 스위치를 갖는 자외선 살균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스위치를 갖는 자외선 살균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822B1
KR101970822B1 KR1020170079615A KR20170079615A KR101970822B1 KR 101970822 B1 KR101970822 B1 KR 101970822B1 KR 1020170079615 A KR1020170079615 A KR 1020170079615A KR 20170079615 A KR20170079615 A KR 20170079615A KR 101970822 B1 KR101970822 B1 KR 101970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switch unit
container body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517A (ko
Inventor
유태경
김대원
원예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70079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8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7Units with two or more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8Units having reflectors, e.g. coatings, baffles, plates, mirr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Abstract

UV 살균 용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UV 살균 용기는,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결합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 연결되고, 상기 캡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를 감지하는 제1 스위치부와,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액체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액체를 감지하는 경우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제2 스위치부와, 상기 제2 스위치부의 동작 상태로의 전환에 의존하여 UV 광을 발광함으로써 상기 용기 몸체부 내에 수용된 액체를 살균 처리하는 UV 광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스위치를 갖는 자외선 살균 용기{UV STERILIZING CONTAINER HAVING DUAL SWITCH STRUCTURE}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를 UV(UltraViolet) 광원을 이용하여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스위치를 갖는 자외선 살균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에는 대장균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병원균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병원균들을 살균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자외선(UltraViolet; UV) 광의 경우 살균력이 높아서 많이 이용되고 있고, UV 광을 이용한 음용수의 살균을 위한 응용 제품들도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UV 광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 제품들 중, 물병이나 텀블러 등의 용기 내의 물을 UV 광으로 살균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UV 광을 이용하여 물을 살균하는 경우, UV 광이 눈에 직접 노출될 우려가 있다. UV 광이 눈에 노출되는 경우, 홍채를 경화시켜 녹내장이나 백내장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피부에 노출되는 경우, 피부 세포 DNA 구조를 끊어 피부암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UV 광을 이용하여 살균처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UV 광원이 켜지게 되는 시점, 즉 UV 광을 이용하여 살균을 시작하는 시점보다 앞서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UV 광을 이용하여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를 살균하기 위한 UV 살균 용기로서 UV 광원이 턴온되는 시점보다 앞서 사용자에게 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이중 스위치 구조를 가지며 UV 광이 나오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기능을 갖는 UV 살균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UV 살균 용기는,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몸체부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결합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 연결되고, 상기 캡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를 감지하는 제1 스위치부와,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액체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액체를 감지하는 경우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제2 스위치부와, 상기 제2 스위치부의 동작 상태로의 전환에 의존하여 UV 광을 발광함으로써 상기 용기 몸체부 내에 수용된 액체를 살균 처리하는 UV 광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스위치부는, 발광 유닛과 상기 발광 유닛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 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부는 분리된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는 상기 분리된 전극들이 액체에 접촉될 때 동작 상태로 전환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상기 발광 유닛과 상기 수광 유닛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상기 발광 유닛과 상기 UV 광원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작 상태는, 상기 발광 유닛이 광을 발광하고 상기 발광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상기 수광 유닛이 수신하는 상태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UV 살균 용기는, 상기 캡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UV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UV 살균 용기는, 상기 UV 광원이 상기 용기 몸체부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내부에 상기 UV 광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로드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UV 광원은 후배광을 갖도록 어레이되는 복수 개의 UV LED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UV LED들은, 원형, 원통형, 구형, 타원체형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어레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UV 광원은 200nm ~ 280nm 대역의 파장을 갖는 UV-C 광을 발광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UV 살균 용기는, 상기 캡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UV 광원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UV 살균 용기는, 상기 캡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허용하는 USB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UV 살균 방법은, 용기 몸체부의 개구에 캡부가 결합되는 단계와, 상기 캡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 내에 수용된 액체를 제1 스위치부가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 내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경우 제2 스위치부가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와, 상기 제2 스위치부의 동작 상태로의 전환에 의존하여 UV 광원이 UV 광을 발광함으로써 상기 용기 몸체부 내에 수용된 액체를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중 스위치를 갖는 UV 살균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UV 광원이 턴온되는 시점보다 앞서 사용자에게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주고, 전방향(omni-direction)으로 UV 광이 나오는 UV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UV 살균 용기 내의 액체에 대한 살균 효과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 용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 용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 용기에서 UV 광원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의 UV 광원의 배광 분포 특성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 용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 용기에서 제1 스위치부와 제2 스위치부 사이, 또는 제2 스위치부와 UV 광원 사이에 동작시 소정의 지연 시간이 발생하도록 딜레이 소자를 추가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되는 도면들 및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예시되고 간략화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 용기(100)는,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몸체부(110), 용기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용기 몸체부(110)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부(120), 캡부(120)에 연결되고, 캡부(120)가 용기 몸체부에 결합된상태에서 용기 몸체부(110)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제1 스위치부(130), 제1 스위치부(130)가 액체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하고 제1 스위치부(130)가 액체를 감지하는 경우 동작(operaing) 상태로 전환되는 제2 스위치부(140), 제2 스위치부(140)의 동작 상태로의 전환에 의존하여 UV 광을 발광함으로써, 용기 몸체부(110) 내에 수용된 액체를 살균 처리하는 UV 광원(150)을 포함한다.
또한, UV 살균 용기(100)는 캡부(120) 내에 제2 스위치부(140) 및 UV 광원(15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배터리는 교체식일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충전 포트(170)를 통해 충전가능하도록 충전식 배터리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UV 살균 용기(100) 내의 액체를 취할 수 있도록 빨대를 삽입할 수 있는 취수구(180)가 캡부(120)에 더 형성될 수 있다.
구성요소 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UV 살균 용기(100)는 용기 몸체부(110)와 용기 몸체부(110)의 개구에 결합되어 뚜껑 또는 캡 역할을 하는 캡부(120)를 포함한다. 용기 몸체부(110)는 UV 광이 투과되지 않거나 UV 광 불투과성 재료(예컨대, 석영 유리를 제외한 일반 유리)가 사용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UV 광의 효율적인 차단을 위해 UV 광 차단 필름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스위치부(130)는 분리된 전극들(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태 또는 이와는 다른 전극 패턴 등일 수 있음)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부(130)를 구성하는 두 개의 분리된 전극들(130a, 130b)이 용기 몸체부(110) 내의 액체에 접촉될 때 이들에 의해 검출되는 임피던스 변화에 따라 제2 스위치부(140)가 동작(operating) 상태로 전환된다.
제2 스위치부(140)는, 발광 유닛(140b)과 수광 유닛(140a)을 포함한다. 제2 스위치부(140)에서, 수광 유닛(140a)은 캡부(120) 측과 가까이 위치하고, 발광 유닛(140b)은 동작(operating) 상태로 전환시 광을 발광하여 수광 유닛(140a) 측으로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발광 유닛(140b), 제1 스위치부(130) 및 UV 광원(150)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스위치부(130)가 발광 유닛(140b)과 수광 유닛(140a)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스위치부(130)에 의해 제2 스위치부(140)가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동작하므로, 제2 스위치부(140)의 발광 유닛(140b)은 동작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항상 액체 내에 잠겨 있게 된다. 동작 상태에서, 액체 내에 잠긴 상태로 발광하여 수광 유닛(140a) 측으로 광을 보내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스위치부(130)가 발광 유닛(140b)과 UV 광원(15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스위치부(130)가 액체 내에 잠겨서 제2 스위치부(140)를 동작 상태로 전환시키더라도, 발광 유닛(140b)은 액체 내에 잠겨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 유닛(140a)과 발광 유닛(140b)이 서로 가까이에서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부(140)의 발광 유닛(140b)은 UV 광원(150)의 턴온을 위한 2차 스위칭을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UV 살균 용기(100)의 사용자에게 현재 UV 광원이 턴온되어 살균 중임을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역할도 한다.
UV 광원(150)은 하나 이상의 UV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UV LED들이 사용되는 경우, UV 광원(150)이 액체 내에 잠긴 상태를 고려할 때 살균 효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전방향(omni-direction)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UV 광원(150)은 도 3a의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측면 상에 복수 개의 UV LED들이 어레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원형으로 어레이되고, 반사판 등을 적절히 이용하여 전방향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UV LED들이 경사를 갖도록 하여 원형으로 어레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UV LED들은, 원형, 구형, 타원체형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어레이될 수도 있다.
도 3a에 예시된 UV 광원(150)의 배광 분포 특성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향으로 발광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UV 광원(150)은 후배광을 가짐으로써, 액체 내에 UV 광원(150)이 잠기는 경우 상부 방향으로도 살균 작용을 하도록 하여 살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UV 광원(150)에 사용되는 UV 광으로서는, 특히 200nm ~ 280nm 대역의 파장을 갖는 UV-C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UV-C는 살균(Germicidal)선이라고도 하며 DNA와 단백질 그리고 오존이 잘 흡수하는 파장으로 알려져 있다. UV-C는 오존을 잘 분해하므로 UV/오존 고도처리 공정에 응용되기도 하고 오존 파괴용이나 살균용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같은 광량 기준으로 할 때, UV-A, UV-B에 비해 살균력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 살균 용기(100)는 로드부(rod portion)(160)를 더 포함한다. 로드부(160)는 UV 광원(150)이 용기 몸체부(110)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UV 광원(150) 측으로의 배선이 관통하도록 허용한다. 즉, 로드부(160)는 UV 광원(150)이 용기 몸체부(110) 내의 액체 내부에 잠긴 상태에서 살균할 수 있도록, 캡부(120)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로드부(160)에는 UV 광원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끝부분이 소켓 형상으로 형성되고, 로드부 및 UV 광원부는 수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UV 살균 용기(100)를 이용하는 UV 살균 방법은, 용기 몸체부(110)의 개구에 캡부(120)가 결합되는 단계와, 캡부(120)가 용기 몸체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몸체부(110) 내에 수용된 액체를 제1 스위치부(130)가 감지하는 단계와, 제1 스위치부(130)가 용기 몸체부(110) 내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경우 제2 스위치부(140)가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와, 제2 스위치부(140)의 동작 상태로의 전환에 의존하여 UV 광원(150)이 UV 광을 발광함으로써 용기 몸체부(110) 내에 수용된 액체를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 용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 용기는, 메인 스위치부(210)와 인쇄회로기판(200)을 더 포함한다.
메인 스위치부(210)는 예컨대 캡부(120)의 측면에 푸쉬 버턴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부(120)의 측면에 돌출되게 또는 측면의 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오목한 표면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스위치부(210)는 UV 살균 용기(100)의 전체적인 온/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오프 상태로 전환시 전원이 차단되어 UV 살균 용기(100)는 작동하지 않으며, 온 상태로 전환시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인쇄회로기판(200)은 메인 스위치부(210), 제1 스위치부(130), 제2 스위치부(130) 및 UV 광원(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참조부호 142는 인쇄회로기판(200) 측과 제1 스위치부(130) 및 제2 스위치부(140)의 발광 유닛(140b)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이고, 참조부호 152는 인쇄회로기판(200) 측과 UV 광원(15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이며, 이들 배선들은 로드부(160)를 관통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터리(미도시)의 체결을 위한 구성요소, 그리고 USB 충전 포트(도 1의 170)를 통한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전기적 배선이 고려되어야 한다. 인쇄회로 기판(200)은, 예컨대, 캡부(120)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캡부(120)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캡부(120)의 하부에 인쇄회로기판(200)이 위치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200) 내의 소자들 및 배선들이 액체에 노출되지 않도록 수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제1 스위치부(130)와 제2 스위치부(140) 사이 및/또는 제2 스위치부(140)와 UV 광원(150) 사이에, 동작시 소정의 시간 지연(time delay)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딜레이 소자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5는 그러한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부(130)가 액체를 감지하는 경우, 제1 딜레이 소자(D1)의 작용에 의해 소정의 지연 시간 경과후 제2 스위치부(140)가 동작 상태로 전환되고, 제2 스위치부(140)의 동작 상태로의 전환에 의존하여 UV 광원(150)이 UV 광을 발광함에 있어서도 제2 딜레이 소자(D2)의 작용에 의해 소정의 지연 시간 경과후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UV 살균 용기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들 및 이상의 설명을 참조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된 UV 살균 용기가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하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00 : UV 살균 용기
110 : 용기 몸체부 120 : 캡부
130 : 제1 스위치부 140 : 제2 스위치부
150 : UV 광원 160 : 로드부
170 : USB 충전 포트 180 : 취수구
200 : 인쇄회로기판 210 : 메인 스위치부

Claims (14)

  1. UV 살균 용기로서,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몸체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에 결합되는 캡부;
    상기 캡부에 연결되고, 상기 캡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를 감지하는 제1 스위치부;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액체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 비동작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액체를 감지하는 경우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에 의존하여 UV 광을 발광함으로써 상기 용기 몸체부 내에 수용된 액체를 살균 처리하는 UV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치부는 발광 유닛과 상기 발광 유닛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치부의 동작 상태에서,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수광 유닛 측으로 광을 발광하고, 상기 수광 유닛에서 상기 발광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수신하는 것에 의존하여, 상기 UV 광원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부는 분리된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는 상기 분리된 전극들이 액체에 접촉될 때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상기 발광 유닛과 상기 수광 유닛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부는 상기 발광 유닛과 상기 UV 광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용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V 살균 용기는,
    상기 캡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스위치부,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UV 광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UV 살균 용기는,
    상기 UV 광원이 상기 용기 몸체부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내부에 상기 UV 광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로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V 광원은 후배광을 갖도록 어레이되는 복수 개의 UV LED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UV LED들은, 원형, 원통형, 구형, 타원체형 중 어느 하나를 이루도록 어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용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V 광원은 200nm ~ 280nm 대역의 파장을 갖는 UV-C 광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용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UV 살균 용기는,
    상기 캡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UV 광원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용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UV 살균 용기는,
    상기 캡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허용하는 USB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용기.
  14. 용기 몸체부의 개구에 캡부가 결합되는 단계;
    상기 캡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몸체부 내에 수용된 액체를 제1 스위치부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스위치부가 상기 용기 몸체부 내에 수용된 액체를 감지하는 경우 제2 스위치부가 동작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스위치부에 의존하여 UV 광원이 UV 광을 발광함으로써 상기 용기 몸체부 내에 수용된 액체를 살균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치부는 발광 유닛과 상기 발광 유닛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치부의 동작 상태에서, 상기 발광 유닛은 상기 수광 유닛 측으로 광을 발광하고, 상기 수광 유닛에서 상기 발광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수신하는 것에 의존하여, 상기 UV 광원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 살균 방법.
KR1020170079615A 2017-06-23 2017-06-23 이중 스위치를 갖는 자외선 살균 용기 KR101970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15A KR101970822B1 (ko) 2017-06-23 2017-06-23 이중 스위치를 갖는 자외선 살균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15A KR101970822B1 (ko) 2017-06-23 2017-06-23 이중 스위치를 갖는 자외선 살균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17A KR20190000517A (ko) 2019-01-03
KR101970822B1 true KR101970822B1 (ko) 2019-08-27

Family

ID=6502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615A KR101970822B1 (ko) 2017-06-23 2017-06-23 이중 스위치를 갖는 자외선 살균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0180A1 (it) * 2020-05-07 2021-11-07 Atomo S R L Coperchio di debatterizzazi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3116A (ja) 2015-02-20 2016-08-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水器及び蓋
JP2017087153A (ja) * 2015-11-11 2017-05-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蓋付きマ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7742A (ja) * 1994-10-21 1996-05-14 Tadahide Iwashita 殺菌装置付き容器用蓋
KR20150061337A (ko) * 2013-11-27 2015-06-04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가 구비된 휴대용 물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3116A (ja) 2015-02-20 2016-08-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水器及び蓋
JP2017087153A (ja) * 2015-11-11 2017-05-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蓋付きマ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17A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0220B2 (en) Standalone UV-C sanitizing apparatus and method
US10849995B2 (en) Handheld sanitizing device
CN201481833U (zh) 手持式紫外线杀菌消毒器
US20150102235A1 (en) Universal uv sterilizer
US11058874B2 (en) Iontophoresis device, iontophoresis method, and skin care device including same
US9630859B2 (en) Sterilization apparatus having ultraviolet light
US11173221B2 (en) Ultraviolet disinfection for a water bottle
CA3034456A1 (en) Portable disinfection device
US20180043043A1 (en) Bandage having a compact led insert
KR101970822B1 (ko) 이중 스위치를 갖는 자외선 살균 용기
KR20190113497A (ko) 두 가지 동작 모드를 갖는 휴대용 uv led 살균장치 및 이를 갖는 구조체
KR20130005764U (ko) 휴대가 용이한 led를 이용한 피부개선용 치료기
WO2015042657A1 (en) Portable ultraviolet attachment for water purification
JP5507890B2 (ja) 排水口用蓋体
KR102148227B1 (ko) 가습기 내부에 넣는 플로팅 타입 uv led 소독장치
US20220331466A1 (en) Oral irrigator
KR20150112079A (ko) 컵 소독장치
KR102360515B1 (ko) 살균 장치
KR101833222B1 (ko) 백라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컴퓨터
US20200345876A1 (en) Sterilizer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US10988388B2 (en) Sterilizing apparatus
KR200493621Y1 (ko) Uv-led를 이용한 휴대용 컵 살균장치
CN210736263U (zh) 水体消毒杀菌仪
KR20210060383A (ko) 살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