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693B1 - Variable volume type container - Google Patents
Variable volume type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0693B1 KR101970693B1 KR1020180122032A KR20180122032A KR101970693B1 KR 101970693 B1 KR101970693 B1 KR 101970693B1 KR 1020180122032 A KR1020180122032 A KR 1020180122032A KR 20180122032 A KR20180122032 A KR 20180122032A KR 101970693 B1 KR101970693 B1 KR 1019706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ontainer portion
- storage space
- discharge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피 가변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하고자 하는 물품의 양에 따라 보관공간의 부피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는 부피 가변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반찬이나 과일 등을 비롯한 각종 음식물, 식재료, 볼트, 너트와 같은 부품 등의 보관물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용기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되게 된다.BACKGROUND ART [0002] In general, a storage such as a side dish, a fruit, etc., various foods, ingredients such as food ingredients, bolts, nuts, and the like is stored in a container having various sizes and shapes.
이때, 각종 보관물이 보관되는 용기는 보관하고자 하는 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 별로 준비되어야 하므로, 다수의 빈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containers in which various kinds of storage materials are stored need to be prepared in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amount to be stor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space is required for storing a large number of empty containers.
또한, 특정 용기에 각종 보관물을 보관한 상태에서 보관물의 양이 줄어든 경우에는 용기가 보관되는 냉장고 등의 공간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크기가 작은 용기에 옮겨 담아야만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storage is reduced in a state where various kinds of storage are stored in a specific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must be transferred to a small-sized container in order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container is stor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보관물의 크기나 양에 따라 보관공간의 부피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는 부피 가변형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lume variable container capable of selectively and freely varying the volume of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size and amount of a storage object to be stored.
그리고, 보관되는 보관물을 크기별이나 종류별로 자동으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부피 가변형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lumetric container capable of automatically storing and storing the stored articles by size or type.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는,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제1용기부, 상기 제1용기부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제2용기부, 상기 제1용기부와 제2용기부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패킹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lky container comprising a first container portion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second container portion movably mounted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 packing portion for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그리고, 상기 제2용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제1용기부와 제2용기부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홀이 형성되고, 천장면에는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용기부와 제2용기부 내의 공기를 공기배출홀로 유도하는 배출유도부를 더 포함한다.An air discharge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tainer unit and the second container unit to discharge air in the second container unit. And a discharge inducing portion coupled to the engaging member and guiding air i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 portions to the air discharge hole.
또한, 상기 배출유도부는,In addition,
외주연에 상기 결합부재에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는 캡부, 상기 캡부에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연결홀을 갖는 배출부재, 상기 배출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어 제1용기부와 제2용기부 내의 공기는 배출되도록 하고, 외기의 유입은 차단되도록 하는 배출제어부재를 갖는 밀착부재를 포함한다.A discharge member having a connection hol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ap portion and aligned with the air discharge hole, a discharg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spacing from the discharge member, And an exhaust control member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to allow the air in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to be discharged and to block the inflow of outside air.
그리고, 상기 제2용기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제3용기부를 더 포함하고,And a third container unit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unit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상기 제3용기부는,The third container portion includes:
상기 제2용기부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고정형용기부, 상기 고정형용기부의 슬라이딩홈을 따라 승강되는 가변형용기부, 상기 고정형용기부 및 가변형용기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변형용기부를 고정형용기부에 고정시키는 자석부를 더 포함한다.A fixed container portion mount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having a sliding groove penetrating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 movable container portion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sliding groove of the fixed container portion, And a magnet unit for fixing the variable container unit to the fixed container unit.
또한, 상기 제2용기부와 고정형용기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형용기부의 보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고,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viding section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tainer section and the fixed container section to partition a storage space of the fixed container section,
상기 구획부는 상,하 개방된 틀의 내부에 플랙서블재질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강바가 서로 교차되면서 경사진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The dividing section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n an inclined form while intersecting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는, 제1용기부, 제1용기부를 따라 이동되어 보관공간을 확장 또는 감소시키는 제2용기부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보관물 또는 많은 양의 보관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보관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olume contr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iner portion and a second container portion which is moved along the first container portion to expand or reduce the storage space so as to store various sizes of storage material or a large amount of storage material ,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red product from being deteriorated by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그리고, 제2용기부에 설치되어 보관공간을 확장하는 제3용기부를 포함하여 보다 많은 양의 보관물을 보관할 수 있고, 제3용기부 내에 구획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보관물을 크기별로 자동으로 분리하여 크기나 종류별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third container unit is provided in the second container unit to expand the storage space, a larger amount of the storage unit can be stored, and the storage unit is provided in the third container uni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kept by size and ty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에 제3용기부와 구획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에 적용된 구획부를 도시한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olume contr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olume contr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FIG.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volume contr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olume contr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ird container portion and a partition portion are applied to a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artment applied to a volume contr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olumetrically adjust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olumetrically adjust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cross-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olumetrically adjust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과일, 채소, 야채, 음료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볼트, 너트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공구(이하 "보관물"이라 함.) 등을 보관할 수 있으며, 보관물의 크기나 양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부피 가변형 용기(1)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various kinds of food such as fruits, vegetables, vegetables, beverages, various kinds of tools such as bolts and nu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orage materials") and the size (1) which is adjustable in volum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1)는 제1용기부(10), 제2용기부(20), 패킹부(30), 덮개부(4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제1용기부(10)는 도 5를 기준으로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쇄되며 내부에 보관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The
제1용기부(10)는 도 에 도시된 원 형상 이외에도 타원형이나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2용기부(2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보관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이 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제2용기부(20)는 제1용기부(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용기부(10)의 외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양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그리고, 제2용기부(20)의 상측 외주연에는 후술되는 덮개부(40)가 결합되는 나선(22)이 형성된다.A spiral 22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side of the
이상 설명한 제1용기부(10) 및 제2용기부(20)는 인체에 무해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이다.3 to 5 are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volume varia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도 4,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기부(10)의 외면에 제2용기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용기부(10)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제2용기부(20)를 상승시키면 제2용기부(20)의 보관공간이 제1용기부(1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결과적으로 부피 가변형 용기(1)의 보관공간이 확장된다.3, 4, and 5 (b), when the
따라서, 제1용기부(10)의 보관공간과 제2용기부(20)의 보관공간을 이용하여 많은 양의 보관물을 보관할 수 있다.Therefore, a large amount of storage can be stored using the storage space of the
이때, 제1용기부(10)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걸림턱(11)이 형성되고, 제2용기부(20)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내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걸림턱(11)에 걸리는 제2걸림턱(21)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따라서, 제2용기부(20)를 최대한 상승시키면 제1걸림턱(11)이 제2걸림턱(21)에 걸리게 되어, 제1용기부(10)가 제2용기부(20)의 하측 개방된 부분을 통해 인출되지 않는다.Therefore, when the
한편, 도 2,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용기부(20)가 제1용기부(10)에서 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용기부(10)의 외면을 감싸게 되면 제2용기부(20)의 보관공간이 제1용기부(10)에 의해 가려져 비해 부피 가변형 용기(1)의 보관공간이 좁아지게 된다.2 and 5 (a), when the
즉, 보관물의 양이 적을 경우 제2용기부(20)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제1용기부(10)를 상승시켜 부피 가변형 용기(1)의 사이즈를 축소시킨 다음 사용하면 되고, 보관물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제2용기부(20)를 상승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amount of the storage is small, the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1)는 보관물의 양에 따라 보관공간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것도 가능하다.Of course, the
즉, 부피 가변형 용기(1)에 보관된 보관물이 소정량 줄어들어 부피 가변형 용기(1) 내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경우, 제2용기부(20)를 그에 맞게 소정거리 하강시키는 방식으로 부피 가변형 용기(1)의 사이즈를 점진적으로 축소시켜 가면서 사용하면 된다.That is, when a storage space in the
이와 반대로, 부피 가변형 용기(1)의 보관공간에 보관물을 추가로 채워 넣을 때 마다 제2용기부(20)를 그에 맞게 소정거리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부피 가변형 용기(1)의 사이즈를 점진적으로 확장시켜 가면서 사용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torage space of the
패킹부(30)는 제1용기부(10)와 제2용기부(20)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구성이다.The
패킹부(30)는 제1용기부(10)의 걸림턱 외주연에 장착되며, 밀폐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패킹부(30)는 제1용기부(10)의 외면에 제2용기부(20)를 장착하면 제2용기부(2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물질이나 외기가 제1용기부(10)와 제2용기부(20) 사이 공간을 통해 보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보관공간의 공기와 보관물이 제1용기부(10)와 제2용기부(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Therefore, when the
덮개부(40)는 제2용기부(20)의 상측 개방된 부분을 밀폐시키는 구성이다.The lid part (40) closes the upper open part of the second container part (20).
덮개부(40)는 내주연에 제2용기부(20)의 나선(22)에 체결되는 나선(41)이 형성되어, 제2용기부(20)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The
덮개부(40)는 제2용기부(20)에 결합될 시 보관공간에 보관된 보관물이 제2용기부(20)의 상측 개방된 부분을 통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한편, 덮개부(40)가 제2용기부(20)에 결합되면 보관공간은 밀폐됨으로 압력에 의해 제2용기부(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덮개부(40)의 중앙부분에는 공기배출홀(40a)이 형성되고, 덮개부(40)의 천장면에는 내주연에 나선(421)이 형성된 결합부재(42)가 형성되며, 결합부재(42)에는 보관공간의 공기를 공기배출홀(40a)로 유도하는 배출유도부(50)가 결합된다.An
구체적으로, 배출유도부(50)는 외기가 보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2용기부(20)를 보관공간의 공기는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캡부(51), 배출부재(52), 밀착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캡부(51)는 배출부재(52) 및 밀착부재(53)의 외부 노출을 방지한다.The
캡부(51)는 외주연에 결합부재(42)의 나선(421)에 체결되는 나선(511)이 형성되어, 결합부재(42)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The
따라서, 덮개부(40)에서 캡부(51)를 분리하여 덮개부(40) 및 캡부(51) 전체를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세척을 완료한 후에는 다시 덮개부(40)에 캡부(51)를 간편하게 결합하여 용기로 사용하면 된다.Therefore, the
아울러, 캡부(51)의 중앙부분에는 덮개부(40)의 공기배출홀(40a)과 연결되어 제1용기부(10)와 제2용기부(20)의 보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홀(51a)이 형성된다.The
배출부재(52)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5를 기준으로 캡부(51)의 바닥면 중앙부분에 위치된다.The
이때, 배출부재(52)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캡부(51)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간격유지부(54)에 내부에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배출부재(52)는 간격유지부(54)와 이격되며, 간격유지부(54)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The
그리고, 배출부재(52)에는 공기배출홀(40a)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연결홀(52a)이 형성된다.The
따라서, 제1용기부(10)를 상승시키거나 제2용기부(20)를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보관공간의 공기가 연결홀(52a)과 공기배출홀(40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Therefore,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즉, 연결홀(52a)과 공기배출홀(40a)로 인해 제2용기부(20)에 덮개부(40)가 결합되더라도 원활하게 제1용기부(10)를 상승시키거나 제2용기부(20)를 하강시켜 부피 가변형 용기(1)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even if the
밀착부재(53)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The
밀착부재(53)의 중앙부분에는 연결홀(52a)에 삽입되는 배출제어부재(531)가 형성된다.A
배출제어부재(531) 연결홀(52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바디부재(5311), 바디부재(53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연결홀(52a)에 고정되는 고정돌기(53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밀착부재(53)는 배출부재(52)가 간격유지부(54)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배출제어부재(531)를 연결홀(52a)에 삽입 시 간격유지부(54)의 끝단에 접촉되어 배출부재(52)와 일정간격 이격된다.The urging
따라서, 제2용기부(20)에 덮개부(40)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1용기부(10)를 상승시키거나 제2용기부(20)를 하강시키면 제1용기부(10)와 제2용기부(20) 내의 공기는 관통홀(51a)과, 연결홀(52a) 즉, 배출제어부재(531)와 배출부재(52)의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고,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홀(52a)의 상측은 확장되어 있으므로, 통과한 공기는 압력으로 연결홀(52a)의 확장된 부분에서 밀착부재(53)를 간격유지부(54)에서 이격시키며, 이후 그 틈새를 통과하여 덮개부(40)의 공기배출홀(40a)을 통해 배출된다.Therefore, when the
그리고, 공기가 통과한 이후에 밀착부재(53)는 간격유지부(54)에 다시 밀착됨으로 외기는 연결홀(52a)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After the air passes, the
따라서, 보관물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보관물이 변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보관공간으로 먼지가 인입되어 보관물에 쌓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ntact of the stored article with the air,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article stored therein, and preventing the accumulation of dust in the articl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volume contr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에 제3용기부와 구획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에 적용된 구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ird container portion and a partition portion are applied to the volume contr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tion portion applied to the volume contr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용기부(10), 제2용기부(20), 패킹부(30), 덮개부(40) 및 배출유도부(50) 이외에 제3용기부(60) 및 구획부(70)를 더 포함하여 보다 많은 양의 보관물을 구획하여 보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In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먼저, 제3용기부(60)는 고정형용기부(61), 가변형용기부(62), 자석부(63)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고정형용기부(61)는 바닥부(611) 중앙부분이 개방되어 제2용기부(20)의 외면에 장착된다.The fixed
따라서, 고정형용기부(61)는 제2용기부(20)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xed
아울러, 고정형용기부(61)의 바닥부(611)에는 제2용기부(20)의 외주연을 감싸 제2용기부(20)와 제3용기부(60)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A packing for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고정형용기부(61)의 내부에는 보관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은 보관물을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In the fixed
그리고, 고정형용기부(61)의 벽부(61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가변형용기부(62)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라이딩홈(612a)이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가변형용기부(62)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보관물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공간이 형성된다.The
가변형용기부(62)는 고정형용기부(61)의 슬라이딩홈(612a)을 따라 승강된다.The
그리고, 가변형용기부(62)의 상측 개구된 부분은 덮개(64)가 나선결합된다.Then, the
자석부(63)는 가변형용기부(62)의 스토퍼 기능을 하는 것으로, 고정형용기부(61)의 내부와 가변형용기부(62)의 내부에 각각 매립되어 자력을 통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The
따라서, 가변형용기부(62)가 일정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되더라도 가변형용기부(62)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Therefore, even if the
이러한 제3용기부(60)의 특징을 통해 가변형용기부(62)를 상승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공간이 고정형용기부(61) 상측으로 노출됨으로, 고정형용기부(61)의 보관공간과 가변형용기부(62)의 보관공간에 많은 양의 보관물을 보관할 수 있다.6 (b), the storage space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그리고, 보관물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형용기부(62)를 하강시켜 제3용기부(60)의 사이즈를 축소시킨 다음 사용하면 된다.When the amount of storage is small, the size of the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용기부(10)와 제2용기부(20) 및 제3용기부(60)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보관물을 많이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vantage that a large amount of various kinds of storage can be stored through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1)는 고정형용기부(61)의 보관공간을 구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획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구획부(70)는 원 형상의 틀(71) 내부에 다수개의 보강바(72)가 간헐적으로 교 교차되면서 경사진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dividing
구획부(70)는 고정형용기부(61)의 보관공간에 수용되며, 틀(71)의 양측이 제2용기부(20)의 외측면 및 고정형용기부(61)의 벽부(612) 내측면에 돌출되도록 배치된 지지턱(6121)의 상면에 지지되어, 고정형용기부(61)의 보관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한다.Th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바(72)는 다수개가 서로 교차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보강바(72)들의 사이마다 낙하홀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따라서, 제3용기부(60)의 보관공간에 낙하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보관물과, 낙하홀보다 큰 크기를 갖는 보관물을 동시에 담게 되면, 낙하홀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보관물은 보강바(72)의 경사면 및 낙하홀을 통해 고정형용기부(61)의 바닥으로 자동 낙하되고, 낙하홀보다 큰 크기를 갖는 보관물은 보강바(72)의 상면에 안착되어 점차 쌓이게 된다.Therefore, when a storage body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drop hole and a storage body having a size larger than the dropping hole are simultaneously contain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구획부(70)의 간격 설정을 통해 크기가 작은 보관물과 큰 보관물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mall size storage and a large storage can be automatically separated and stored through the interval setting of the dividing
예를 들면, 보관물이 너트로 적용되는 경우, 낙하홀보다 작은 너트와 낙하홀보다 큰 너트를 제3용기부(60)의 보관공간에 담으면 작은 너트는 낙하되고 큰 너트는 보강바(72)의 상측으로 쌓이게 되는 바, 보관물인 너트를 크기별로 자동으로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a storage object is applied with a nut, if a nut smaller than the drop hole and a nut larger than the drop hole are plac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부가적으로, 보강바(72)는 낙하홀에 보관물을 꼽아 보관할 수 있도록 플랙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inforcing
즉, 낙하홀에 드라이버, 니퍼 등의 공구를 삽입하면 플랙서블 재질의 보강바(72)들이 벌어지면서 공구를 구속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 tool such as a screwdriver or a nipper is inserted into the drop hole, the reinforcement bars 72 of the flexible material are expanded and the tool is constrain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는, 보관물을 담아 저장하는 기능 이외에도 공구와 같은 보관물을 유동 없이 보관하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Thus, the volume control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the advantage of storing a storage such as a tool,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toring the storage.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 부피 가변형 용기 10 : 제1용기부
11 : 제1걸림턱 20 : 제2용기부
21 : 제2걸림턱 22, 41, 421, 511 : 나선
23, 6121 : 지지턱 30 : 패킹부
40 : 덮개부 40a : 공기배출홀
42 : 결합부재 50 : 배출유도부
51 : 캡부 52 : 배출부재
52a : 연결홀 53 : 밀착부재
531 : 배출제어부재 54 : 간격유지부
60 : 제3용기부 61 : 고정형용기부
611 : 바닥부 612 : 벽부
612a : 슬라이딩홈 6121 : 지지턱
62 : 가변형용기부 63 : 자석부
70 : 구획부 71 : 틀
72 : 보강바1: volumetric container 10: first container portion
11: first stopping jaw 20: second container portion
21: second latching jaws 22, 41, 421, 511:
23, 6121: Support jaw 30: Packing part
40:
42: coupling member 50:
51: cap part 52: discharge member
52a: connection hole 53: tight contact member
531: discharge control member 54:
60: third container part 61: fixed container part
611: bottom part 612: wall part
612a: sliding groove 6121:
62: Variable container portion 63: Magnet portion
70: partition 71: frame
72: Reinforcing bar
Claims (5)
상기 제1용기부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제2용기부,
상기 제1용기부와 제2용기부의 사이 공간을 밀폐시키는 패킹부,
상기 제2용기부의 외면에 장착되고,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된 제3용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용기부는,
상기 제2용기부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고정형용기부,
상기 고정형용기부의 슬라이딩홈을 따라 승강되는 가변형용기부,
상기 고정형용기부 및 가변형용기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가변형용기부를 고정형용기부에 고정시키는 자석부를 포함하는 부피 가변형 용기.
A first container portion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second container part movably mounted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part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packing portion for seal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a third container portion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The third container portion includes:
A fixed container portion mount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having a sliding groove penetrating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 movable container portion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a sliding groove of the stationary container portion,
And a magnet portion formed in the fixed container portion and the variable container portion, respectively, for fixing the variable container portion to the fixed container portion.
상기 제2용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제1용기부와 제2용기부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배출홀이 형성되고, 천장면에는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1용기부와 제2용기부 내의 공기를 공기배출홀로 유도하는 배출유도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ir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the air in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part,
A discharge inducing unit coupled to the engaging member and guiding the air in the first container unit and the second container unit to the air discharge hole,
상기 배출유도부는,
외주연에 상기 결합부재에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되는 캡부,
상기 캡부에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연결홀을 갖는 배출부재,
상기 배출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어 제1용기부와 제2용기부 내의 공기는 배출되도록 하고, 외기의 유입은 차단되도록 하는 배출제어부재를 갖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부피 가변형 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charge-
A cap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is formed a helix to be fastened to a spiral,
A discharge memb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ortion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air discharge hole,
And a discharge control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to discharge the air in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to block the inflow of outside air, Vessel.
상기 제2용기부와 고정형용기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형용기부의 보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하 개방된 틀의 내부에 플랙서블재질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보강바가 서로 교차되면서 경사진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부피 가변형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the stationary container portion to partition the storage space of the stationary container portion,
Wherein the dividing sec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n an upper and a lower opening frame,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n inclined manner while intersecting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2032A KR101970693B1 (en) | 2018-10-12 | 2018-10-12 | Variable volume type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2032A KR101970693B1 (en) | 2018-10-12 | 2018-10-12 | Variable volume type contai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70693B1 true KR101970693B1 (en) | 2019-04-19 |
Family
ID=6628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2032A KR101970693B1 (en) | 2018-10-12 | 2018-10-12 | Variable volume type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0693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0388B1 (en) | 2012-11-14 | 2014-03-10 | 이성희 | Volume variable container |
KR20150024095A (en) * | 2013-08-26 | 2015-03-06 | 임흥호 | cap for bottle |
KR20150099366A (en) * | 2014-02-21 | 2015-08-31 | 채진호 | Elongative thermos bottle |
KR101855948B1 (en) * | 2017-07-10 | 2018-05-09 | 김명호 | Bottle Cap with 2-way Check Valve |
-
2018
- 2018-10-12 KR KR1020180122032A patent/KR10197069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0388B1 (en) | 2012-11-14 | 2014-03-10 | 이성희 | Volume variable container |
KR20150024095A (en) * | 2013-08-26 | 2015-03-06 | 임흥호 | cap for bottle |
KR20150099366A (en) * | 2014-02-21 | 2015-08-31 | 채진호 | Elongative thermos bottle |
KR101855948B1 (en) * | 2017-07-10 | 2018-05-09 | 김명호 | Bottle Cap with 2-way Check Valv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87878B2 (en) | Apparatus for elevating objects stored in a container | |
US8157114B2 (en) | Adjustable container | |
CN105209343B (en) | Container | |
US20130284753A1 (en) | Invertible container | |
WO2013155020A1 (en) | Collapsible cup | |
RU2018103455A (en) | SYSTEM FOR PERFORMING STERIALIZATION OF THIN-WALLED FLEXIBLE CONTAINERS (DOI-PACK) | |
US743470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ling and dispensing a liquid from a container | |
GB2208113A (en) | Collapsible container for storing liquids | |
KR20140138924A (en) | Container, in particular a wide-mouthed jar, for containing a liquid or pasty material and combined with a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pensing without taking in air | |
CN105452113A (en) | Resin container and bag-in-box | |
KR101970693B1 (en) | Variable volume type container | |
US20160122080A1 (en) | Container Cup Package | |
KR101370388B1 (en) | Volume variable container | |
KR102352535B1 (en) | Cover and airtight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 |
CN106660666A (en) | Storage container | |
JP2006199372A (en) | Container and food container | |
US20160130026A1 (en) | Collapsible beverage containment device | |
US20200031658A1 (en) | Dispenser | |
KR101625494B1 (en) | Airtight container | |
US12059387B2 (en) | Charge devices having positioning devices and processes for closing receptacles with venting | |
KR20160048635A (en) | Airtight container | |
KR20100125488A (en) | Foldable vessel | |
KR20160015642A (en) | Multi-functional Container | |
KR20050081338A (en) | Variable capacity airtight container | |
US20230159259A1 (en) | Food dispen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