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672B1 - Connector typed D-sub - Google Patents

Connector typed D-su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672B1
KR101970672B1 KR1020180080485A KR20180080485A KR101970672B1 KR 101970672 B1 KR101970672 B1 KR 101970672B1 KR 1020180080485 A KR1020180080485 A KR 1020180080485A KR 20180080485 A KR20180080485 A KR 20180080485A KR 101970672 B1 KR101970672 B1 KR 101970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wire
wire connection
connection por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민
서덕규
서동규
김항섭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주)메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티스 filed Critical (주)메티스
Priority to KR102018008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6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6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01R13/6215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using one or more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sub type connector, which can be simply installed to maximize workability since coating of each wire is cut by only attaching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on parts to first and second mounting grooves of a support part after inserting wires into insertion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on parts, respectively, and seam lines are connected to connection pins. Also, connection of the seam lines and the connection pins can be accurately performed and an upper end part of a cutting part vertically connected to a lower end part of a connection pin is formed as a blade while a slid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end part so that coating is automatically cut by the blade and a seam line is moved to the sliding groove in a state of not being cut when a wire moves from an upper part toward a lower part. Thus,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seam lines to the connection pins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work by a worker in a state of minimizing damage to the seam lines.

Description

디-서브형 커넥터{Connector typed D-sub}D-sub type connector {Connector typed D-sub}

본 발명은 디-서브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케이블의 와이어와의 결합이 간단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및 조립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디-서브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sub typ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sub type connector capable of maximizing workability and assemblability by allowing a cable to be easily and accurately connected to a cable.

최근 들어 통신 인프라가 확장되고 전자디바이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케이블과 통신장비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디-서브 커넥터(D-sub Connector)는 이러한 커넥터의 가장 대표적인 종류이다.In recent years, as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has expanded and the electronic device industry has developed, connectors for connecting cables and communication equipment have been widely used, and D-sub connector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type of such connectors.

도 1은 종래의 디서브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실사진이다.Fig. 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de-sub connector, and Fig. 2 is an actual view showing the connector of Fig.

도 1의 종래의 디서브 커넥터(100)는 암커넥터(110)와, 수커넥터(120), 체결볼트(130)로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de-sub connector 100 shown in FIG. 1 includes a female connector 110, a male connector 120, and a fastening bolt 130.

암커넥터(110)는 통신장비에 매입 고정되며, 그 중앙 외주면에는 제1 플렌지(111)가 구비되고, 이 제 1 플랜지(111)의 양측에는 나사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체결부재(113)가 일체로 결합된다.The female connector 110 is embedded in th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has a first flange 111 on its cent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astening member 113 (not show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flange 111 with a screw hole Are integrally combined.

수커넥터(120)는 다수의 케이블을 일체로 접속하기 위하여 암커넥터(110)에 결합되며, 그 중앙 외주면에는 관통공(123)이 양측에 형성된 제 2 플랜지(121)가 구비된다.The male connector 120 is coupled to the female connector 110 to connect a plurality of cables together and has a second flange 12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with a through hole 123.

또한 수커넥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개의 접속핀(125)들이 설치되고, 이들 접속핀(125)들의 후단부에는 케이블(140)의 와이어(141)들 각각의 심선들이 접속되게 된다.2, the male connector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125 inside thereof, and at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ins 125, The core wires are connected.

체결볼트(130)는 수커넥터(120)의 관통공(123)을 관통하여 암커넥터(110)의 나사공에 결합됨으로써 수커넥터(120) 및 암커넥터(110)를 결합시킨다.The fastening bolt 130 is coupled to the screw hole of the female connector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123 of the male connector 120 to thereby couple the male connector 120 and the female connector 110 togeth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디서브 커넥터(100)는 체결볼트(130)를 이용하여 수커넥터(120) 및 암커넥터(110)를 간단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conventional de-sub connector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advantage that the male connector 120 and the female connector 110 can be easily coupled using the fastening bolts 130.

그러나 종래의 디서브 커넥터(100)는 수커넥터(120)의 접속핀(125)들에 와이어(141)들 각각을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대응되는 접속핀(125) 및 와이어(141)를 일일이 용접시켜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작업시간이 지체되는 단점을 갖는다.However, in order to connect each of the wires 141 to the connection pins 125 of the male connector 120, the conventional de-subsidiary connector 100 requires the operator to connect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in 125 and the wire 141 individually The work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because it has to be welded, and the work time is delayed.

특히 작업환경은 장소가 협소하며 빠른 설치가 요구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져야하나, 종래의 디서브 커넥터(100)는 전술하였던 단점으로 인해 현장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된다.Particularly, since the work environmen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place is narrow and quick installation is required, a quick work has to be performed, but the conventional D-sub connector 100 can not quickly respond to the on-site demands due to the disadvantages described above.

또한 종래의 디서브 커넥터(100)는 접속핀(125) 및 와이어(141)의 접속이 용접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접불량으로 인한 접속불량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pin 125 and the wire 141 is made by welding, the conventional de-sub connector 100 incurs a defective connection due to welding failure.

도 3은 국내등록특허 제10-0683065호(발명의 명칭 :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에 개시된 D-SUB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SUB connect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683065 (entitled " D-SUB connector, assembly method and fastening structure thereof ").

도 3의 D-SUB 커넥터(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200)는 고정볼트(220)를 가지는 제1 커넥터(200a)와, 고정너트(230)를 가지는 제2 커넥터(200b)로 이루어진다.The D-SUB connector 200 of FIG. 3 includes a first connector 200a having a fixing bolt 220 and a second connector 200b having a fixing nut 230.

또한 제1 커넥터(200a) 및 제2 커넥터(200b)는 공지의 구성인 케이블 통과부(210a, 210b)와 브라켓(212a, 212b)을 포함한다. 이때 케이블 통과부(210a, 210b)는 각 커넥터(200a, 200b)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브라켓(212a, 212b)은 케이블 통과부(210a, 210b)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The first connector 200a and the second connector 200b include cable passing portions 210a and 210b and brackets 212a and 212b, which are well-known structures. The cable passing portions 210a and 210b are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s of the connectors 200a and 200b and the brackets 212a and 212b surround the edges of the cable passing portions 210a and 210b and protrude outward .

또한 제1 커넥터(200a)의 브라켓(212a)에는 고정볼트(220)가 삽입되는 관통구멍(214)이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200b)의 브라켓(212b)에도 고정너트(230)가 삽입되는 관통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A through hole 214 through which the fixing bolt 22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bracket 212a of the first connector 200a and a fixing nut 230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212b of the second connector 200b. (Not shown) is form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200)은 고정볼트(220)의 구조 자체를 개선하여 고정볼트(220) 및 고정너트(230)의 체결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정볼트(220)가 관통구멍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The conventional technique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fixing bolt 220 so that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fixing bolt 220 and the fixing nut 230 is facilitated and efficient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bolt 220 is inserted It does not detach from the hole.

그러나 종래기술(200)에는 제1 커넥터(200a)의 케이블 통과부(210a)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속핀들과, 케이블의 와이어들의 접속작업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도 1과 2에서 전술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 것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 200 does not provide any technical features for easily and accurately connecting the connecting pins installed in the cable passing portion 210a of the first connector 200a and the wires of the cable There is a structural limit that can not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n FIGS. 1 and 2.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와이어들을 제1, 2 와이어 접속부들의 인입홀들 각각으로 삽입시킨 후, 제1, 2 와이어 접속부들을 지지부의 제1 안착홈 및 제2 안착홈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각 와이어의 피복이 절개되어 심선들이 접속핀들에 접속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선 및 접속핀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디-서브형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wires into respective inlet holes of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ons, Since the wire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s only by attaching them to the two mounting grooves, the installation work is simple and quick, - < / RTI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접속핀의 후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절개부의 상단부가 칼날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부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와이어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칼날에 의해 자동으로 피복이 절개되되 심선은 절개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홈으로 이동함으로써 심선의 훼손을 최소화한 상태로 작업자가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심선을 접속핀에 접속시킬 수 있는 디-서브형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an upper end portion of a cut portion vertically connected to a rear end portion of a connection pin is formed by a blade and a sliding groove is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Sub-type connector in which a core wire can be connected to a connection pin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core wire by moving the core wire into the sliding groove without cutting the core wire.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칼날이 외측에서 슬라이딩홈을 향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와이어의 피복의 단면이 원형상인 점을 이용하여 와이어 피복 및 칼날의 접촉면적을 높여 칼날에 의해 피복이 더욱 효율적으로 절개될 수 있는 디-서브형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gnetic recording medium, comprising: forming a sloping blade so that the blade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toward the sliding groove,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ire cloth and the blade, Sub-type connector which can be efficiently cu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제1 와이어 접속부에 복수개의 와이어들을 인입시킨 후 지지부의 제1 안착홈에 안착시키면, 절개부들에 의해 복수개의 와이어들의 절개 및 심선의 접속이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 및 신속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디-서브형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wires are pulled into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and then plac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ing portion, the cutting of the plurality of wires and the connection of the core wire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Sub-type connector capable of further enhancing workability and promptness because it is made of a metal plat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절개부의 상부 외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절개부가 제1 와이어 접속부의 인입홀의 내벽에 의해 압력을 받으면 슬라이딩홈을 향하여 용이하게 휘어져 이동홈으로 이동한 심선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심선과의 접속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디-서브형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incision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so that when the incision portion is pressed by the inner wall of the inlet hole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re wire, which is easily bent toward the sliding groove, Sub-type connector in which the connection with the core wire can be made more firmly by pressuriza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내부에 양면을 관통하는 핀홀들이 높이 방향으로 2열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플렌지와, 상기 플렌지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하부면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후면까지 연장되는 제1 안착홈 및 제2 안착홈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2 안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의 영역을 기준벽이라고 할 때, 상기 기준벽의 상면 및 하면에 상향 및 하향 수직 연결되는 제1 수직벽 및 제2 수직벽에 상기 핀홀들 중 상부 열 및 하부 열의 핀홀들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 상기 지지부의 상기 기준벽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되되, 선단부가 상기 제1 수직벽의 핀홀 및 상기 제2 수직벽의 핀홀로 삽입되어 상기 플렌지의 핀홀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플렌지의 상기 핀홀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접속핀들;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안착홈에 탈부착 되는 제1 와이어 접속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안착홈에 탈부착 되는 제2 와이어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핀은 핀 형상의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부에 수직 연결되며 상단부가 칼날로 형성되되, 상단부의 중앙에 내측으로 이동홈이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는 후면에 와이어들 각각이 삽입되는 인입홀들이 형성되며, 하면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대응되는 인입홀에 연결되며 상기 접속핀들의 상기 절개부들이 각각 삽입되는 절개부 삽입홈들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는 상기 인입홀들이 형성되는 면이 상기 기준벽의 상면 및 하면에 대접되도록 상기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접속핀들의 상기 절개부는 조립 시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상기 절개부 삽입홈들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칼날이 해당 인입홀로 삽입된 와이어의 피복을 절개시켜 와이어의 심선이 상기 이동홈으로 이동하게 된 후, 상기 인입홀의 내벽에 의해 양측부의 상부가 상기 이동홈을 향하여 휘어져 상기 이동홈으로 이동한 심선의 상부를 가압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solenoid valve comprising: a flange having two rows of pinholes passing through both sides thereof in a height direction, the flange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upporting portion formed with a first seating groove and a second seating groove formed to extend in a rear direction and a reg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is a reference wall, A connector body in which pinholes of an upper row and a lower row of the pinholes are formed to extend on first vertical walls and second vertical walls vertically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reference wall vertically and downwardly; Wherein the pinholes of the first vertical wall and the pinholes of the second vertical wall are inserted into the pinholes of the first vertical wall and the pinholes of the flange, Connection pins which are install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A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connection pin includes a pin-shaped pin-body,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a rear end portion of the pin-body,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s inserted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 A plurality of cut-out portion insertion groove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lead-in holes and into which the cut-out portions of the connection pins are insert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wire- The connection portion is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so that the surface on which the inlet holes are forme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ference wall, The cutout portions of the fast pins are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insertion grooves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t the time of assembly so that the blade cuts the sheath of the wir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inlet hole, And the upper portions of both side portions are bent toward the moving grooves by the inner wall of the inlet hole to press the upper portions of the core wires moved to the moving groove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접속핀들은 상기 기준벽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될 때, 인접하는 접속핀들 중 일측 접속핀은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되되, 타측 접속핀은 일측 접속핀보다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되도록 교차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상기 절개부 삽입홈들은 대응되는 접속핀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on pin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ference wall, one of the adjacent connection pins is disposed to be disposed in front of the reference wall, and the other connection pin is disposed to be disposed behind the one connection pin And the cutout insertion grooves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to correspond to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pin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부의 상기 칼날은 양단부에서 상기 이동홈을 향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lade of the incision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both ends toward the moving groov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부는 상부 양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ision portion is formed with curved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는 하면의 후단부에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되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걸림돌부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기준벽의 후면에는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하부면까지 연장되는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이 교차되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홈은 제1 걸림턱에 의해 바닥면의 하부가 상부보다 내측을 향하는 다단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홈은 제2 걸림턱에 의해 바닥면의 상부가 하부보다 내측을 향하는 다단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의 걸림돌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제1 걸림홈으로 삽입되어 걸림턱이 상기 제1 걸림홈의 상기 제1 걸림턱에 대접되고,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걸림돌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제2 걸림홈으로 삽입되어 걸림턱이 상기 제2 걸림홈의 상기 제2 걸림턱에 대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at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latching groove is formed by the first latching jaw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is larger than the upper portion by the first latching jaw,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is formed by a second engaging jaw in a stepped manner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faces inward from the lower por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irst seating Wherein when the wire is seated in the groove,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latching groove so that the latching jaw is received in the first latching jaw of the first latching groove, Stone part may, when it engages in the second recess of the support portion, the second locking step is inserted into a locking groove which is treated with the second locking step of the second locking groov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전면 및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삽입돌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안착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수직벽 및 내측벽에는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의 상기 삽입돌부들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안착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수직벽 및 내측면에는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상기 삽입돌부들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and the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are formed with insertion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the protrusions being formed as inclined surfaces, The first vertical wall and the inner side wall are formed with first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s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re inserted, and the second vertical wall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second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s of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re inserted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형성되되 하면까지 연장되는 가이드 홈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2 안착홈을 형성하는 내측벽들에는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의 가이드 홈들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가이드 홈들로 삽입되는 가이드 돌부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so that guide grooves extending inward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ing portion are formed The guide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nd the guide grooves of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walls.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들을 제1, 2 와이어 접속부들의 인입홀들 각각으로 삽입시킨 후, 제1, 2 와이어 접속부들을 지지부의 제1 안착홈 및 제2 안착홈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각 와이어의 피복이 절개되어 심선들이 접속핀들에 접속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선 및 접속핀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solutions, after inserting the wires into each of the inlet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ons,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ons are attach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 Since the wires of each wire are cut off and the core wire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s, the installation work is simple and quick, thereby maximizing workability and accurately connecting the core wire and the connection pi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핀의 후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절개부의 상단부가 칼날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부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와이어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칼날에 의해 자동으로 피복이 절개되되 심선은 절개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홈으로 이동함으로써 심선의 훼손을 최소화한 상태로 작업자가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심선을 접속핀에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cut-out portion vertic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in is formed of a blade, and the sliding groove is formed at the upper end so that the cover is automatically cut by the blade when the wire moves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core wire is moved to the sliding groove in a state that the core wire is not cut, thereby minimizing the damage of the core wire and connecting the core wire to the connection pin without performing any other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칼날이 외측에서 슬라이딩홈을 향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와이어의 피복의 단면이 원형상인 점을 이용하여 와이어 피복 및 칼날의 접촉면적을 높여 칼날에 의해 피복이 더욱 효율적으로 절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ade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toward the sliding groove, the contact area of the wire cloth and the blade is increased by using the point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is circular, so that the covering is more effectively cut by the blade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와이어 접속부에 복수개의 와이어들을 인입시킨 후 지지부의 제1 안착홈에 안착시키면, 절개부들에 의해 복수개의 와이어들의 절개 및 심선의 접속이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 및 신속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wires are drawn into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and then put in the first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ing portion, the cutting of the plurality of wires and the connection of the core wire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the speed can be further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개부의 상부 외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절개부가 제1 와이어 접속부의 인입홀의 내벽에 의해 압력을 받으면 슬라이딩홈을 향하여 용이하게 휘어져 이동홈으로 이동한 심선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심선과의 접속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upper outer side surface of the incision part with a curved surface, when the incision part is pressed by the inner wall of the inlet hole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art, the upper part of the core wire which is bent toward the sliding groov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ore firmly connect the terminals.

도 1은 종래의 디서브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커넥터를 나타내는 실사진이다.
도 3은 국내등록특허 제10-0683065호(발명의 명칭 : D-SUB 커넥터와 그 조립 방법 및 체결 구조)에 개시된 D-SUB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서브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커넥터 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접속부의 접속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절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6의 제1 와이어 접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절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디-서브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제2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후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D-sub connector.
Fig. 2 is a view showing the male connector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SUB connect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683065 (entitled " D-SUB connector, assembly method and fastening structure thereof ").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ub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as seen from the rear.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body of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7 as seen from the rear.
Fig. 9 is a rear view of Fig. 7.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of FIG. 8 enlarge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ng pin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Fig. 6;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utout portion of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of Fig.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3 as seen from the rear.
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utout portion of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ub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support portion of Fig. 16;
Fig. 18 is a rear view of Fig. 17;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서브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분해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sub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4 viewed from the rear,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서브형 커넥터(1)는 케이블의 내부 와이어들을 접속핀과 간단하고 정확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장치이다.A de-sub type conn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nnecting internal wires of a cable with connection pins easily and accurately.

또한 디-서브형 커넥터(1)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접속부(9)의 접속핀(90)들이 접속되는 암커넥터(미도시)와 결합하고, 이러한 암커넥터의 구성 및 형상은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connector 1 is connected to a female connector (not shown) to which the connecting pins 90 of the connecting portion 9 are connected.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디-서브형 커넥터(1)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몸체(3)와, 제1 와이어 접속부(5), 제2 와이어 접속부(7), 접속부(9), 고정볼트(B)들로 이루어진다.4 to 6, the di-sub type connector 1 includes a connector body 3, a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a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 7, a connecting portion 9, (B).

도 7은 도 6의 커넥터 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후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A’를 확대한 확대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body of Fig. 6,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of Fig. 7, Fig. 9 is a rear view of Fig. 7, and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

커넥터 몸체(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서브형 커넥터(1)의 하우징으로서,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양면을 관통하는 핀홀(313)들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판재 형상의 플렌지(31)와, 플렌지(31)의 전면(311)으로부터 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핀홀(313)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접속핀(90)들을 보호하는 쉘부(33)와, 플렌지(31)의 후면(312)으로부터 돌출되는 다면체 형상의 후방 지지부(35)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or body 7 is a housing of the D-sub type connector 1,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to 9, pin holes 313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connector body 7 are installed at intervals A shell part 33 which protrudes in a rectangular shape from the front surface 311 of the flange 31 and protects the connecting pins 90 protruding from the pinholes 313 through the pinholes 313, And a polygonal rear support portion 35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312 of the flange 31.

플렌지(31)는 소정 길이 및 면적을 갖는 금속판재로 형성되며, 내부에 양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핀홀(313)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핀홀(313)들은 D-SUB 커넥터의 규격에 맞는 위치 및 수량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핀홀(313)들로는 후술되는 도 11의 접속부(9)의 접속핀(90)들이 각각 삽입된다.The flange 31 is formed of a metal plat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rea, and a plurality of pinholes 313 penetrating both sides thereof are formed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pinholes 313 are formed in positions and amounts conform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D-SUB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pins 90 of the connection portion 9 of FIG. 11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into the pinholes 313, respectively.

또한 핀홀(313)들은 높이 방향으로 2열로,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Further, the pinholes 313 are formed in two row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pinholes 313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intervals.

또한 플렌지(31)는 양단부와 인접한 지점에 양면을 관통하여 고정볼트(B)가 삽입되는 삽입공(315)들이 대향되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lange 31 has insertion holes 315 through which the fixing bolts B are inserted so that the flanges 31 penetrate both surfaces of the flange 31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both ends.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플렌지(31)는 암커넥터(미도시)와 결합 시 암커넥터의 플렌지(미도시)와 대접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볼트(B)들을 암커넥터의 고정너트(미도시)들과 체결함으로써 암커넥터와 결합하게 된다.The flange 31 thus configure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flange (not shown) of the female connector when engaged with the female connector (not shown), and in this state, the fastening bolts B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nuts So that it is combined with the female connector.

또한 플렌지(31)의 전면(311)에는 쉘부(33)가 돌출 형성되고, 후면(312)에는 후방 지지부(35)가 돌출 형성된다.A shell portion 33 is protruded from the front surface 311 of the flange 31 and a rear supporting portion 35 is protruded from the rear surface 312.

쉘부(33)는 플렌지(31)의 전면(31)에 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쉘부(33)는 내측에 핀홀(313)들이 포함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설치공(315)들 사이에 돌출 형성된다.The shell portion 33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31 of the flange 31 so as to protrude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t this time, the shell portion 33 is formed to have an area where the pinholes 313 can be included on the inner side and is protruded between the mounting holes 315.

후방 지지부(35)는 플렌지(31)의 후면(312)에 후면(312)으로부터 다면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rear support portion 35 is formed to protrude in a polyhedral shape from the rear surface 312 on the rear surface 312 of the flange 31.

또한 후방 지지부(35)는 상면에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되, 후면까지 연장되는 제1 안착홈(351)이 형성되고, 후면에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되, 후면까지 연장되는 제2 안착홈(352)이 형성된다.The rear supporting part 3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from the upper surface and has a first seating groove 351 extending to the rear and a second seating groove 352 extending from the rear side to the rear and extending to the rear, Is formed.

즉 후방 지지부(35)의 상면 및 하면에는 후면까지 연장되는 제1 안착홈(351) 및 제2 안착홈(352)이 높이 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게 된다.In other words,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351 and 352 extending to the rear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ar support portion 35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이때 제1 안착홈(351) 및 제2 안착홈(352)은 도 6의 제1 와이어 접속부(5) 및 제2 와이어 접속부(7)와 동일한 크기 및 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안착홈(351) 및 제2 안착홈(352)으로는 제1 와이어 접속부(5) 및 제2 와이어 접속부(7)가 안착되어 결합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seating groove 35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352 ar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nd area as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and the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 7 of FIG. 6,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and the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 7 are seated and joined to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352 and 352, respectively.

이하, 후방 지지부(35)의 제1 안착홈(351) 및 제2 안착홈(352)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을 기준벽(353)이라고 하고, 기준벽(353)에 상향 수직 연결되어 제1 안착홈(351)을 형성하는 후방 지지부(35)의 후면을 제1 수직벽(3511)이라고 하고, 기준벽(353)에 하향 수직 연결되어 제2 안착홈(352)을 형성하는 후방 지지부(35)의 후면을 제2 수직벽(3521)이라고 하기로 한다.A region formed between the first seating groove 35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352 of the rear support portion 35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wall 353 and the region defined by the first seating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portion 35 forming the groove 351 is referred to as a first vertical wall 3511 and the rear support portion 35 forming a second seating groove 352 vertically connected downwardly to the reference wall 353,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vertical wall 3521 is referred to as a second vertical wall 3521.

또한 후방 지지부(35)의 제1 수직벽(3511)에는 플렌지(31)의 핀홀(313)들 중 상부 열의 핀홀(313)들이 연장되어 형성되게 된다.The pinholes 313 of the upper row among the pinholes 313 of the flange 31 extend to the first vertical wall 3511 of the rear support portion 35. [

또한 후방 지지부(35)의 제2 수직벽(3521)에는 플렌지(31)의 핀홀(313)들 중 하부 열의 핀홀(313)들이 연장되어 형성되게 된다.The pinholes 313 of the lower row among the pinholes 313 of the flange 31 are extended to the second vertical wall 3521 of the rear support portion 35. [

또한 후방 지지부(35)의 제1 수직벽(3511)과, 제1 수직벽(3511)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제1 안착홈(351)을 형성하는 내측벽에는 제1 삽입홈(3512)들이 복수개가 형성되고, 이러한 제1 삽입홈(3512)들로는 후술되는 도 13과 14의 제1 와이어 접속부(5)의 삽입돌부(511)들이 삽입됨으로써 제1 와이어 접속부(5)가 제1 안착홈(351)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외부 진동 및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제1 와이어 접속부(5)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vertical walls 3511 of the rear support portion 35 and the first insertion grooves 351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vertical wall 3511 to form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grooves 3512 13 and 14 ar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s 3512 so that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is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groove 351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from coming off even if an external vibration or shaking occurs.

이때 삽입돌부(511)들은 돌출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protrusions 511 are formed such that their protruding surfaces are inclined.

또한 제1 안착홈(351)을 형성하는 내측벽에는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부(3514)가 돌출 형성된다.A guide protrusion 3514 protruding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eating groove 351 an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is protrud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first seating groove 351.

이때 가이드 돌부(3514)는 조립 시 제1 와이드 인입부(5)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541)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3514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54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wide inlet portion 5 during assembly.

또한 후방 지지부(35)의 제2 수직벽(3521)과, 제2 수직벽(3521)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제2 안착홈(352)을 형성하는 내측벽에는 제2 삽입홈(3522)이 복수개가 형성된다.The second vertical wall 3521 of the rear support portion 35 and the second insertion recess 352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vertical wall 3521 to form a second insertion groove 3522, .

또한 제2 안착홈(352)을 형성하는 내측벽에는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부(3524)가 돌출 형성된다.Further, a guide protrusion 3524 protruding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an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forming the second seating groove 352.

이때 가이드 돌부(3524)은 조립 시 제2 와이드 인입부(5)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 3524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wide inlet portion 5 during assembly.

또한 기준벽(353)의 후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기준벽(353)의 상면 및 후면까지 연결되는 제1 걸림홈(3531) 및 제2 걸림홈(3536)이 교차되게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10, a first engaging groove 3531 and a second engaging groove 3536, which are formed inward from the rear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reference wall 353,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ference wall 353, Are formed at an intersecting spacing.

이때 제1 걸림홈(3531)은 제1 와이어 접속부(5)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면(3532)에 제1 걸림턱(3533)이 형성되어 수직면(3532)의 하부가 상부보다 더 내측(전방)을 향하는 다단식으로 형성되고, 제2 걸림홈(3536)은 제2 와이어 접속부(7)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면(3537)에 제2 걸림턱(3538)이 형성되어 수직면(3537)의 상부가 하부보다 더 내측(전방)을 향하는 더 내측(전방)을 향하는 다단식으로 형성되게 된다. The first latching groove 3531 is for supporting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and the first latching jaw 3533 is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3532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rface 3532 is further inside And the second latching groove 3536 is for supporting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7 and the second latching jaw 3538 is formed on the vertical plane 3537 to form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lane 3537 (Forward) toward the inner side (front side) than the lower side.

또한 제1 걸림홈(3531)으로는 후술되는 도 14의 제1 와이어 접속부(5)의 걸림돌부(57)가 삽입되게 되고, 이때 제1 걸림홈(3531)의 제1 걸림턱(3532)은 걸림돌부(57)의 걸림턱(571)과 대접됨으로써 제1 와이어 접속부(5)가 제1 안착홈(351)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engaging groove 3531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35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groove 3531 of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of Fig.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can be firmly engaged with the first seating groove 351 by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gagement protrusion 571 of the stopper portion 57. [

또한 제2 걸림홈(3536)으로는 제2 와이어 접속부(7)의 걸림돌부가 삽입되게 되고, 제2 걸림홈(3536)의 제2 걸림턱(3537)은 제2 와이어 접속부(7)의 걸림돌부의 걸림턱과 대접되게 된다.And the second engaging step 3537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3536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3536 of the second wire connecting part 7, It is treated with a hanging jaw.

도 11은 도 6의 접속부의 접속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절개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in of the connection part in Fig. 6, and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ut-out part in Fig.

접속핀(90)은 도 6의 접속부(9)를 형성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갖는 핀 형상의 핀-몸체(901)와, 핀-몸체(901)의 단부에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연결부(903)와, 연결부(903)의 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절개부(905)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pin 90 forms the connecting portion 9 of Fig. 6 and includes a fin-shaped pin-body 901 having a length as shown in Fig. 11 and a connecting pin 901 connected to the end of the pin- Shaped connection portion 903 and a cutout portion 905 vertically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903.

이때 접속핀(90)의 핀-몸체(901), 연결부(903) 및 절개부(905)는 도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n-body 901, the connecting portion 903, and the cut-out portion 905 of the connection pin 90 are formed of a metal having high conductivity.

핀-몸체(901)는 통상의 케이블 커넥터에 사용되는 핀으로서, 소정 길이를 갖는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pin-body 901 is a pin used for a normal cable connector, and is formed into a pi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핀-몸체(901)는 조립 시 지지부(35)의 핀홀(313)로 삽입되어 선단부가 플렌지(31)의 핀홀(313)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후방영역은 지지부(35)의 핀홀(313)의 내측에 배치되게 된다.The pin-body 901 is inserted into the pinhole 313 of the support portion 35 and the tip portion of the pinhole body 901 is exposed through the pinhole 313 of the flange 31 to the outside, And the pinhole 313 of the second embodiment.

연결부(903)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핀-몸체(901)의 후단부에 연결된다.The connecting portion 903 is formed into a rod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in-body 901.

또한 연결부(903)는 1)플렌지(31)의 핀홀(313)들 중 상부 열의 핀홀(313)들로 삽입될 때(지지부의 제1 안착홈에 설치될 때), 하부면이 지지부(35)의 기준벽(353)의 상면에 대접되게 설치되고, 2)플렌지(31)의 핀홀(313)들 중 하부 열의 핀홀(313)들로 삽입될 때(지지부의 제2 안착홈에 설치될 때), 하부면이 지지부(35)의 기준벽(353)의 하부면에 대접되게 설치된다.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903 is inserted into the pinholes 313 of the upper row among the pinholes 313 of the flange 31 when the pinholes 313 are inserted into the pinholes 313 of the flange 31, 2) when inserted into the pinholes 313 of the lower row among the pinholes 313 of the flange 31 (when install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 and 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5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ference wall 353 of the support portion 35.

또한 연결부(903)의 후단부에는 절개부(905)가 연결된다.Further, a cutout 905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903.

절개부(905)는 연결부(903)의 후단부에 수직 연결된다.The cutout 905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903.

또한 절개부(905)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부가 칼날(9053)로 형성되어 제1 와이어 접속부(5)를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와이어의 피복을 절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12, the incision portion 905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wire 903 is formed as a blade 9053 to cover the wire moving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5, .

이때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의 피복의 단면이 원형상인 점을 감안하여, 절개부(905)의 칼날(9053)을 경사지게 형성하도록 하였고, 이에 따라 칼날(9053)에 와이어의 피복이 접촉될 때, 칼날(9053)의 와이어와의 접촉면적을 높여 피복을 더욱 효율적으로 절개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cutting edge 9053 of the cutout 905 is formed to be incl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wire is circular so that when the covering of the wire contacts the blade 9053, 9053)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wire so that the coating can be cut more efficiently.

또한 절개부(905)는 상단부 칼날(9053)의 중앙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전면 및 후면까지 연장되는 슬라이딩홈(9051)이 높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홈(9051)의 폭의 길이는 와이어의 심선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tout 90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knife 9053 and has a sliding groove 9051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sliding groove 9051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core wire of the wire.

또한 절개부(905)의 칼날(9053)은 양측부로부터 슬라이딩홈(9051)을 향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blade 9053 of the cutout 905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liding groove 9051 from both sides.

또한 절개부(905)는 상부 양측면이 상부를 향할수록 내측(슬라이딩홈)을 향하는 곡면(9055)으로 형성된다.Further, the cutout 905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9055 which faces the inner side (sliding groove) as the upper both side faces upward.

이때 절개부(905)는 양측면이 곡면(9055)으로 형성됨으로써 조립 시 제1 와이어 접속부(5)의 인입홀(531)의 내벽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될 때, 슬라이딩 홈(9051)을 향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휘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휘어진 양측면이 슬라이딩 홈(9051)으로 이동한 와이어의 심선의 상부를 가압하여 심선 및 절개부(905)의 전기적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utout portion 905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9055 on both sides thereof, so that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by the inner wall of the inlet hole 531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5 during assembly, The bent side surfaces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core of the wire moved to the sliding groove 9051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ore wire and the cutout portion 905 can be accurately performed .

도 13은 도 6의 제1 와이어 접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of Fig. 6,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3 viewed from the rear.

제1 와이어 접속부(5)는 도 13과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넥터 몸체(3)의 후방 지지부(35)의 제1 안착홈(351)에 안착된다.13 and 14,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351 of the rear support portion 35 of the connector body 3.

또한 제1 와이어 접속부(5)는 양측면 및 전면에 복수개의 삽입돌부(511)들이 돌출 형성되고, 삽입돌부(511)들은 후방 지지부(35)의 제1 수직벽(3511) 및 내측벽들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3512)들로 각각 삽입됨으로써 제1 안착홈(351)으로부터의 제1 와이어 접속부(5)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511 protrude from both sides and front surfaces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5 and the insertion protrusions 511 are formed on the first vertical wall 3511 and the inner walls of the rear support portion 35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is prevented from disengaging from the first seating groove 351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s 3512. [

또한 제1 와이어 접속부(5)는 양측면에 내측으로 형성되되, 후면(55)까지 연장되는 가이드 홈(541)들이 대향되게 형성된다.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and has guide grooves 541 extending to the rear surface 55 facing each other.

이때 가이드 홈(541)들로는 조립 시 지지부(35)의 가이드 돌부(3514)들이 각각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s 3514 of the support portion 35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541 in a sliding manner.

또한 제1 와이어 접속부(5)는 후면(53)에 내측으로 원형상의 인입홀(53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is formed with a circular receiving hole 531 at an interval inwardly on the rear face 53 thereof.

또한 제1 와이어 접속부(5)는 하면(55)에 내측으로 일자 형상의 절개부 삽입홈(551)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is formed at the lower surface 55 with a cut-out portion inserting groove 551 formed at an interval inwardly.

이때 절개부 삽입홈(551)들은 후면(53)에 인접한 제1 절개부 삽입홈(5511)과, 제1 절개부 삽입홈(551)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제2 절개부 삽입홈(5513)으로 이루어지고, 제1 절개부 삽입홈(5511) 및 제2 절개부 삽입홈(5513)이 교차되게 형성된다.The cutout insertion grooves 551 include a first cutout insertion slot 5511 adjacent to the rear face 53 and a second cutout insertion slot 5513 disposed forwardly of the first cutout insertion slot 551 And the first incision portion insertion groove 5511 and the second incision portion insertion groove 5513 are formed so as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즉 본 발명의 와이어 접속부(5)의 절개부 삽입홈(551)들로는 접속핀(90)의 절개부(905)들이 삽입되게 되는데, 절개부 삽입홈(551)들이 제1 절개부 삽입홈(5511) 및 제2 절개부 삽입홈(5513)으로 교차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심선 및 절개부(905)의 접속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cutouts 905 of the connection pins 90 are inserted into the cutout insertion slots 551 of the wire connection part 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insertion slots 551 are inserted into the first cutout insertion slots 5511 And the second cut portion insertion groove 5513,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ecure the connection work space of the core wire and the cutout portion 905 of the wire as much as possible,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또한 제1 와이어 접속부(5)의 절개부 삽입홈(551)은 대응되는 인입홀(531)과 연설되게 형성된다.The cut-in portion insertion groove 551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5 is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lead-in hole 531.

또한 제1 와이어 접속부(5)의 절개부 삽입홈(551)으로는 조립 시 접속핀(90)의 절개부(905)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게 된다.The cutout portion 905 of the connection pin 90 is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insertion groove 551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5 in a sliding manner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또한 제1 와이어 접속부(5)는 하면(55)의 후단부에 하면(55)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되 단부에 걸림턱(571)이 형성되는 걸림돌부(57)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is formed with a gap 57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55 which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55 and has a stopping protrusion 571 at an end thereof.

이때 걸림돌부(57)들은 조립 시 후방 지지부(35)의 기준벽(353)의 제1 걸림홈(3531)으로 삽입되어 걸림턱(571)이 제1 걸림홈(3531)의 제1 걸림턱(3533)에 대접되어 지지됨으로써 제1 와이어 접속부(5)가 제1 안착홈(351)으로부터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게 된다.The engaging protrusions 57 are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grooves 3531 of the reference wall 353 of the rear support 35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s 571 engage with the first engaging jaws 3531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3531 So that the first wire connecting part 5 can be firmly assembled from the first seating groove 351.

제2 와이어 접속부(7)는 커넥터 몸체(3)의 후방 지지부(35)의 제2 안착홈(352)에 안착되며, 제1 와이어 접속부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7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352 of the rear support portion 35 of the connector body 3 and has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as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do.

이와 같이 구성되는 디-서브형 커넥터(1)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케이블의 와이어(141)들 각각을 제1 와이어 접속부(5)의 인입홀(531) 및 제2 와이어 접속부(7)의 인입홀로 삽입시킨다.The operation of the thus configured di-sub type connector 1 will now be described in which the wires 141 of the cable are inserted into the inlet hole 531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art 5 and the second wire connection part 7 of the second wire connection part 7, .

이때 제1, 2 와이어 접속부(5), (7)의 인입홀로 삽입된 와이어의 직하부 및 직상부에는 절개부 삽입홈(551)이 배치되게 된다.At this time, a cut-in portion inserting groove 551 is disposed directly under and directly above the wires inserted into the lead-in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5, 7.

이러한 상태에서 와이어(141)가 삽입된 제1, 2 와이어 접속부(5), (7)들을 지지부(35)의 제1 안착홈(351) 및 제2 안착홈(352)에 안착시킨다. 이때 제1, 2, 와이어 접속부(5), (7)들의 절개부 삽입홈(551)들로 접속핀(90)의 절개부(905)들이 각각 삽입되도록 제1, 2, 와이어 접속부(5), (7)들을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의 방향으로 안착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5 and 7 in which the wire 141 is inserted are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35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352 of the support portion 35 in this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5 are formed so that the cut-out portions 905 of the connecting pin 9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inserting grooves 551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5 and 7, , (7) from the top to the bottom or from the bottom to the top.

도 15는 도 14의 절개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1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cutout portion of FIG.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와이어 접속부(5), (7)들이 제1, 2 안착홈(351), (352)들로 안착되면, 접속핀(90)의 절개부(905)의 칼날(9053)들이 와이어(141)의 피복(143)에 접촉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하방 또는 상방으로 힘이 지속되면, 칼날(9053)에 의해 피복(143)이 절개되고, 와이어(141)의 심선(142)은 절개부(905)의 슬라이딩 홈(9051)으로 삽입되게 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5 and 7 are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351 and 352 as shown in Fig. 15, the cutout portion 905 of the connecting pin 90, The knife 9053 of the wire 14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heath 143 of the wire 141 and if the force continues downward or upward in this state, the sheath 143 is cut by the blade 9053, The core wire 142 of the cutout 905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9051 of the cutout 905.

이러한 상태에서, 하방 또는 상방으로 힘이 지속되면 절개부(905)의 칼날(9053)은 제1, 2 와이어 접속부(5), (7)의 인입홀(531)의 내벽에 접촉되고, 그 이후에도 힘이 지속되면 절개부(905)의 상부 양측부가 슬라이딩홈(9051)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져 와이어(141)의 심선(142)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심선(142)과의 견고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force is continued downward or upward, the blade 9053 of the cutout 90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inlet hole 531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5 and 7, The upper both sides of the cutout 905 are ben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liding groove 9051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core wire 142 of the wire 141 to make a firm connection with the core wire 142. [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디-서브형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ub type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디-서브형 커넥터(400)는 종래의 커넥터 몸체(409)와 연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치이다.The de-sub type connector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that can be interlocked with a conventional connector body 409.

또한 디-서브형 커넥터(400)는 종래의 커넥터 몸체(409)에 설치되어 와이어들을 종래의 커넥터 몸체(409)와 간단하고 신속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장치이다.The de-sub type connector 400 is also installed in a conventional connector body 409 to connect the wires to the conventional connector body 409 in a simple and quick manner.

이때 종래의 커넥터 몸체(409)는 플렌지(491)와, 쉘부(492), (493)들, 인슐레이터(494), 보조접속핀(495)들로 이루어진다.The conventional connector body 409 includes the flange 491, the shell portions 492 and 493, the insulator 494, and the auxiliary connecting pins 495.

보조접속핀(495)들은 후단부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디-서브형 커넥터(400)의 접속핀(90)의 핀-몸체(91)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공이 형성된다.The auxiliary connection pins 495 are formed at the rear end thereof with a connection hole into which the pin-body 91 of the connection pin 90 of the D-sub type connector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erted.

또한 디-서브형 커넥터(400)는 전술하였던 도 4 내지 15와 동일한 구성 및 형상의 접속부(9), 제1 와이어 접속부(5), 제2 와이어 접속부(7) 및 고정볼트(B)를 포함한다.The de-sub type connector 400 also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9, a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5, a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7 and a fixing bolt B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shape as those of Figs. 4 to 15 described above do.

또한 디-서브형 커넥터(400)는 제2 지지부(401)를 더 포함한다.The de-sub type connector 400 further includes a second support portion 401.

도 17은 도 16의 제2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후면도이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support portion of FIG. 16, and FIG. 18 is a rear view of FIG.

제2 지지부(401)는 도 17과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렌지(411)와, 지지부 몸체(413)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401 includes a second flange 411 and a support body 413 as shown in FIGS.

제2 플렌지(411)는 양단부에 설치공(4111)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된다.The second flange 411 is formed of a plate member in which mounting holes 4111 are formed at both ends.

또한 제2 플렌지(411)는 전면에 내측으로 인슐레이터 안착홈(4117)이 형성된다. 이때 인슐레이터 안착홈(4117)은 지지부 몸체(413)까지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커넥터 몸체(409)의 쉘부(493)가 삽입되게 된다.Further, the second flange 411 has an insulator seating groove 4117 formed on the front side thereof. At this time, the insulator seating groove 4117 is extended to the support body 413, so that the shell portion 493 of the conventional connector body 409 is inserted.

또한 제2 플렌지(411)의 인슐레이터 안착홈(4117)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핀홀(4113)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A plurality of pinholes 4113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or seating groove 4117 of the second flange 411 at intervals.

또한 제2 플렌지(411)는 후면에 지지부 몸체(413)가 결합된다.The second flange 411 is coupled to the support body 413 on the rear surface thereof.

지지부 몸체(413)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플렌지(411)의 후면에 연결된다. The support body 413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411, as shown in Fig.

또한 지지부 몸체(413)는 도 8 내지 10에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상면에 형성되어 후면까지 연장되는 제1 안착홈(4131)이 형성되고, 하면에 형성되어 후면까지 연장되는 제2 안착홈(4132)이 형성된다.8 to 10, the support body 413 includes a first seating groove 413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extending to the rea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seating groove 413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and extending to the rear surface thereof Is formed.

이때 제1 안착홈(4131) 및 제2 안착홈(4132)으로는 제1 와이어 접속부(5) 및 제2 와이어 접속부(7)가 안착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5 and the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 7 are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4131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4132.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서브형 커넥터(1)는 와이어들을 제1, 2 와이어 접속부들의 인입홀들 각각으로 삽입시킨 후, 제1, 2 와이어 접속부들을 지지부의 제1 안착홈 및 제2 안착홈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각 와이어의 피복이 절개되어 심선들이 접속핀들에 접속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선 및 접속핀의 접속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e-sub type connec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in which the wires ar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inlet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seating groove Since the coating of each wire is disconnected only by attaching it to the two mounting grooves, the core wire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s,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is made simple and quick so as to maximize the workability and the connection of the core wire and the connecting pin do.

또한 본 발명의 디-서브형 커넥터(1)는 접속핀의 후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절개부의 상단부가 칼날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단부에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와이어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칼날에 의해 자동으로 피복이 절개되되 심선은 절개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홈으로 이동함으로써 심선의 훼손을 최소화한 상태로 작업자가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심선을 접속핀에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de-sub type connec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cutout portion vertic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in is formed by a blade, and a sliding groove is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When the wire moves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The core wire is automatically cut off and the core wire is moved to the sliding groove in a state in which the core wire is not cut, thereby minimizing the damage of the core wire, so that the core wire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n without performing any other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의 디-서브형 커넥터(1)는 칼날이 외측에서 슬라이딩홈을 향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와이어의 피복의 단면이 원형상인 점을 이용하여 와이어 피복 및 칼날의 접촉면적을 높여 칼날에 의해 피복이 더욱 효율적으로 절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sub type connec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blade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toward the sliding groove so that the contact area of the wire cloth and the blade is increased by using the point where the cross- So that the covering can be more efficiently incised.

또한 본 발명의 디-서브형 커넥터(1)는 제1 와이어 접속부에 복수개의 와이어들을 인입시킨 후 지지부의 제1 안착홈에 안착시키면, 절개부들에 의해 복수개의 와이어들의 절개 및 심선의 접속이 동시 다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 및 신속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Further, when the plurality of wires are pulled into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and then put into the first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ing portion, the disconnection of the plurality of wires and the connection of the core wires are simultaneously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workability and promptness.

또한 본 발명의 디-서브형 커넥터(1)는 절개부의 상부 외측면을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절개부가 제1 와이어 접속부의 인입홀의 내벽에 의해 압력을 받으면 슬라이딩홈을 향하여 용이하게 휘어져 이동홈으로 이동한 심선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심선과의 접속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de-sub type connecto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portion of the cut-out portion is curved so that when the cut-out portion is pressed by the inner wall of the inlet hole of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By pressing the upper part of the core wire, the connection with the core wire can be made more firmly.

1:디-서브형 커넥터 3:커넥터 몸체 5:제1 와이어 접속부
7:제2 와이어 접속부 9:접속부 31:플렌지
33:쉘부 35:지지부 90:접속핀
313:핀홀 315:설치공 351:제1 안착홈
352:제2 안착홈 901:핀-몸체 903:연결부
905절개부
1: di-sub type connector 3: connector body 5: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7: second wire connection part 9: connection part 31: flange
33: shell part 35: support part 90: connecting pin
313: pinhole 315: mounting hole 351: first seating groove
352: second seating groove 901: pin-body 903:
905 incision

Claims (7)

내부에 양면을 관통하는 핀홀들이 높이 방향으로 2열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플렌지와, 상기 플렌지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하부면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후면까지 연장되는 제1 안착홈 및 제2 안착홈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2 안착홈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의 영역을 기준벽이라고 할 때, 상기 기준벽의 상면 및 하면에 상향 및 하향 수직 연결되는 제1 수직벽 및 제2 수직벽에 상기 핀홀들 중 상부 열 및 하부 열의 핀홀들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커넥터 몸체;
상기 지지부의 상기 기준벽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되되, 선단부가 상기 제1 수직벽의 핀홀 및 상기 제2 수직벽의 핀홀로 삽입되어 상기 플렌지의 핀홀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플렌지의 상기 핀홀들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접속핀들;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안착홈에 탈부착 되는 제1 와이어 접속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안착홈에 탈부착 되는 제2 와이어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핀은
핀 형상의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후단부에 수직 연결되며 상단부가 칼날로 형성되되, 상단부의 중앙에 내측으로 이동홈이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는
후면에 와이어들 각각이 삽입되는 인입홀들이 형성되며, 하면에 내측으로 형성되어 대응되는 인입홀에 연결되며 상기 접속핀들의 상기 절개부들이 각각 삽입되는 절개부 삽입홈들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는 상기 절개부 삽입홈들이 형성되는 면이 상기 기준벽의 상기 상면 및 하면에 대접되도록 상기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접속핀들의 상기 절개부는
조립 시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상기 절개부 삽입홈들로 각각 삽입되어 상기 칼날이 해당 인입홀로 삽입된 와이어의 피복을 절개시켜 와이어의 심선이 상기 이동홈으로 이동하게 된 후, 상기 인입홀의 내벽에 의해 양측부의 상부가 상기 이동홈을 향하여 휘어져 상기 이동홈으로 이동한 심선의 상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서브형 커넥터.
A flange formed in two row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lange and extending inwardly to the rear, And a second support groove formed between the first support groove and the second support groove, wherein a region of the support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grooves is referred to as a reference wall, an upward and downward vertical connection A connector body in which pinholes of upper and lower rows of the pinholes are formed so as to extend on the first vertical wall and the second vertical wall;
Wherein the pinholes of the first vertical wall and the pinholes of the second vertical wall are inserted into the pinholes of the first vertical wall and the pinholes of the flange, Connection pins which are install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A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 portion,
The connecting pin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in-body, a plate member vertic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n upper end formed with a blade, and a moving groove formed inward at a center of the upper end,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 plurality of cutting insert insertion groove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to be connected to corresponding insertion holes and into which the cutouts of the connection pins are respectively inserted are formed,
Wherein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re se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so that a surface on which the cut-in portion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ference wall,
The cutout of the connection pins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cut-in portion insertion grooves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t the time of assembly, the blade of the wire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inlet hole is cut, and the core of the wire is moved to the movement groove And an upper portion of both side portions is bent toward the moving groove by the inner wall of the inlet hole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core wire moved to the moving groov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들은 상기 기준벽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될 때, 인접하는 접속핀들 중 일측 접속핀은 전방에 배치되게 설치되되, 타측 접속핀은 일측 접속핀보다 후방에 배치되게 설치되도록 교차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상기 절개부 삽입홈들은 대응되는 접속핀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서브형 커넥터.
2.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onnection pin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ference wall, one of the adjacent connection pins is disposed in front of the other,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cross-
Wherein the cut-in portion insertion grooves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to correspond to positions of corresponding connection pins.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상기 칼날은 양단부에서 상기 이동홈을 향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서브형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lade of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both ends toward the moving groove.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부 양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서브형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cut-out portion has a curved upper surface.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는 하면의 후단부에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되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걸림돌부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기준벽의 후면에는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하부면까지 연장되는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이 교차되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홈은 제1 걸림턱에 의해 바닥면의 하부가 상부보다 내측을 향하는 다단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홈은 제2 걸림턱에 의해 바닥면의 상부가 하부보다 내측을 향하는 다단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의 상기 걸림돌부들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제1 걸림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제1 걸림홈의 상기 제1 걸림턱에 대접되고,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상기 걸림돌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될 때, 상기 제2 걸림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제2 걸림홈의 상기 제2 걸림턱에 대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서브형 커넥터.
[Claim 4]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with protruding locking protrusions,
A first latching groove and a second latching groove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wall of the support portion so as to intersect the first latching groove and the second latching groove,
Wherein the first latching groove is formed by a first latching jaw in a multistage manner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faces inward than the upper portion,
The second latching groove is formed by a second latching jaw in a multistage manner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faces inward than a lower portion,
Wherein the engaging protrusions of the first wire connecting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first engaging groove when the first engaging groove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ing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jaw is received in the first engaging jaw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groove when the second engaging groove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ing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jaw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engaging jaw of the second engaging groove Of the first connector.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전면 및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삽입돌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안착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수직벽 및 내측벽에는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의 상기 삽입돌부들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안착홈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수직벽 및 내측면에는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상기 삽입돌부들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서브형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s and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with insertion protrusion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first vertical wall and the inner wall defining the first seating groove of the support portion are formed with first insertion grooves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s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re inserted,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s of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re inserted are formed in the second vertical wall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형성되되 하면까지 연장되는 가이드 홈들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1 안착홈 및 상기 제2 안착홈을 형성하는 내측벽들에는 상기 제1 와이어 접속부의 가이드 홈들 및 상기 제2 와이어 접속부의 가이드 홈들로 삽입되는 가이드 돌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서브형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wire connecting portions so that guide grooves extending inward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guide grooves of the first wire connection portion and guide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of the second wire connection portion are formed on inner side walls of the support portion forming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Lt; / RTI >
KR1020180080485A 2018-07-11 2018-07-11 Connector typed D-sub KR1019706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485A KR101970672B1 (en) 2018-07-11 2018-07-11 Connector typed D-su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485A KR101970672B1 (en) 2018-07-11 2018-07-11 Connector typed D-su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672B1 true KR101970672B1 (en) 2019-04-19

Family

ID=6628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485A KR101970672B1 (en) 2018-07-11 2018-07-11 Connector typed D-su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67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0608A (en) * 2020-07-30 2020-11-03 上海势炎信息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evidence obtaining equipment suitable for mobile pho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141A (en) * 2005-02-25 2007-02-08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essure coupling connector
KR20070001222U (en) * 2006-05-22 2007-11-27 롱 창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Electric connector
KR20100000659U (en) * 2008-07-11 2010-01-22 (주) 티엠텍 A conector
JP2011029125A (en) * 2009-07-29 2011-02-10 Sumitomo Wiring Syst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141A (en) * 2005-02-25 2007-02-08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essure coupling connector
KR20070001222U (en) * 2006-05-22 2007-11-27 롱 창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Electric connector
KR20100000659U (en) * 2008-07-11 2010-01-22 (주) 티엠텍 A conector
JP2011029125A (en) * 2009-07-29 2011-02-10 Sumitomo Wiring Syst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0608A (en) * 2020-07-30 2020-11-03 上海势炎信息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evidence obtaining equipment suitable for mobile phone
CN111880608B (en) * 2020-07-30 2021-11-23 上海势炎信息科技有限公司 Electronic evidence obtaining equipment suitable for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4581B1 (en) Electrical connector
US4261633A (en) Wiring module for telephone jack
US6692294B2 (en) Connector
US11594825B2 (en) IDCC connection system and process
JP2006236854A (en) Connector for pressure contact connection
US7121871B2 (en) Wire tap connector and contact therefor
KR20120085194A (en) Connector and terminal arrangement member
US9774109B2 (en) Terminal fitting
US20210313723A1 (en) Electrical cable assembl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and electrical terminal for same
KR101970672B1 (en) Connector typed D-sub
US4408391A (en) Conductor insertion tool and method
JP2016105400A (en) Connector having stabilization member, and assembly method
JP2007087621A (en) Connector for cable connection
CN112751228A (en) Terminal body for high-voltage connection, cable assembly and connector
US7731527B2 (en) Connector with channels having concave grooves facing into connector and convex support surfaces for mounting on substrate
KR101980161B1 (en) Connector typed clamp
EP3644446B1 (en) Conductive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US10559900B2 (en) Board connector with tool installation space for beding a terminal fitting
JP3060904B2 (en) Bolted connector
US6371353B1 (en) Pressure welding apparatus and pressure welding method
CN115241823A (en) Magnetic suspension vehicle and wiring device thereof
KR20220097292A (en) Terminal body, connection terminal and sheet material for manufacturing terminal body
US6354864B1 (en)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including said terminal
KR100783163B1 (en) Junction box
CN111092378B (en) Strong electric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