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213B1 -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213B1
KR101970213B1 KR1020120151127A KR20120151127A KR101970213B1 KR 101970213 B1 KR101970213 B1 KR 101970213B1 KR 1020120151127 A KR1020120151127 A KR 1020120151127A KR 20120151127 A KR20120151127 A KR 20120151127A KR 101970213 B1 KR101970213 B1 KR 10197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harvesting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elements
piezoelectric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2235A (ko
Inventor
이상균
김문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845,842 priority Critical patent/US9294015B2/en
Publication of KR2013013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235A/ko
Priority to US15/018,906 priority patent/US978069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22Methods relating to manufacturing, e.g. assembling,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6Vibration harvesters
    • H02N2/188Vibration harvesters adapted for resonant oper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6Forming 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그의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일측에 질량 체들을 연결하고, 상기 질량 체들에 대향되는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타측을 베이스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질량 체들의 진동 시에 공진 주파수의 미스매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 각각의 공진 주파수를 개별적으로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energy harvesting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에너지 하베스팅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을 포함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통신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기기들과 같은 전자 장치는 사용자 중심의 유비쿼트스(Ubiquitous) 컴퓨팅을 구현함에 따라,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배터리와 같은 휴대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기술은 일회성을 갖거나 주기적인 충전이 필요함으로 그 한계가 있다. 전자 장치에 있어서, 에너지 하베스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운동 에너지 하베스팅(kinetic energy harvesting)은 자연에서 버려지고 있는 진동 에너지, 즉 기차의 진동, 진공 펌프의 진동, 기계모터의 진동, 자동차 엔진의 진동, 사람의 동작에 의한 진동 등의 버려지는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device)는 트랜스듀서(transducer)의 일종이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는 주변 진동의 주파수와 그들의 공진 주파수가 일치하는 경우, 변위의 증폭이 발생하여 공진 주파수에서 가장 큰 전기 에너지가 발생한다.
운동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에서 발생하는 전압은 AC(교류) 형태로 출력된다. AC 전압은 직류(DC) 전압으로 변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DC 전압은 또 다른 수퍼커패시터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집적 회로(IC) 등의 구동에 사용된다. 그러나,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미세 진동으로부터 얻어지는 전기 에너지는 그 크기가 매우 작아 집적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크기나 형상을 최적화하거나 다층 구조(multilayer)를 이용하여 출력을 높이는 방안 등이 연구되어 왔다.
압전 세라믹 소자의 경우 깨지기 쉬운(brittle) 특성을 갖고 있어 충격 등에 약하고 소자의 크기를 크게 하는 데 한계가 있다. 다층 구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작 공정 등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PEH 소자의 제작에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소자의 출력을 높이는 또 다른 방안으로는 결합 효율이 높고, 압전 상수 값이 큰 단결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경우 다층 구조로 제작하기에 매우 까다로운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rrays)를 이용한 출력 향상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단일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주변 진동의 주파수(예컨대, 1~120 Hz)에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자체의 형상이나 크기를 최적화한 후, 캔틸레버 끝단에 팁질량을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전기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공진주파수 튜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출력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공진주파수 튜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의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일측에 질량 체들을 연결하고, 상기 질량 체들에 대향되는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타측을 베이스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질량 체들의 진동 시에 공진 주파수의 미스매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 각각의 공진 주파수를 개별적으로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공진 주파수의 개별적 튜닝 단계는,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남기고 나머지들을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단계; 및 선택된 하나의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를 상기 베이스의 레퍼런스 주파수에 맞추어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머지의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은 솜 또는 지그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병렬 연결 시에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은 단락 회로 공진 주파수로 튜닝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직렬 연결 시에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은 단락 회로 공진 주파수 또는 열린 회로 공진 주파수로 튜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 주파수의 튜닝 시에 상기 질량체들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질량체들의 무게 조절은 부가 질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형성 단계는, 기판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제 1 전극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 층 상에 압전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압전 층 상에 제 2 전극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은 정류기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클램핑된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 상기 베이스에 대향되는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끝단에 각각에 클램핑된 질량 체들; 및 상기 질량 체의 진동 시에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공진 주파수의 튜닝을 위해 상기 질량 체들에 접합되는 부가 질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부가 질량들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은 압전 유니모프 또는 압전 바이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압전 유니모프는, 복수개의 심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 1 전극 층; 상기 제 1 전극 층 상의 압전 층; 및 상기 압전 층 상의 제 2 전극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정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의 제조방법은, 병렬 또는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을 튜닝하여 질량 체들의 진동에 의한 공진 주파수 미스매칭을 방지할 수 있다. 병렬 연결된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은 단락 회로 공진 주파수로 튜닝될 수 있다. 단락 회로 공진 주파수로 튜닝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개수에 비례하여 출력 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전기적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은 고출력의 파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전원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병렬 연결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의 공진 주파수에 따른 평균 출력 파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 질량 체들(mass, 20), 부가적 질량 체(additive mass, 30), 전선(wire, 40), 정류기(rectifier, 50), 저장 소자(60), 로드(70), 베이스(8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외부의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일측은 베이스(80)에 고정되고,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 각각의 타측은 질량 체들(20)에 클램핑되어 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압전 모노모프 또는 압전 바이모프/멀티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압전 모노모프는 심(12), 제 1 전극 층(14), 압전 층(16) 및 제 2 전극 층(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 층(14) 및 제 2 전극 층(18)은 구리, 금, 은, 알루미늄, 텅스텐, 몰리브덴,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층(16)은 PZT, PMN-PT, PZN-PT, PMN-PZT 또는 MFC(micro-fiber composite)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압전 바이모프에서는 복수개의 압전 층(16)이 심(12)의 위아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압전 층(16)의 위아래에 각각의 복수개의 제 1 전극 층(14)과, 제 2 전극 층(18)이 배치될 수 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다층(mutilayer)의 압전 층들(16)을 가질 수 있다.
질량 체들(20)은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에 진동을 부여하기 위한 중량 체이다. 질량 체들(20)은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공진 주파수에 따라 무게가 달라질 수 있다. 부가적 질량 체(30)는 질량 체들(20)에 접합될 수 있다. 부가적 질량 체(30)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선(40)은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을 정류기에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5개로 직렬 또는 병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병렬로 연결되고, 도 2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의 전선(40)은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을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병렬 연결될 경우, 출력 전류가 증가될 수 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직렬 연결될 경우, 출력 전압이 증가될 수 있다.
정류기(50)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 소자(60)는 직류 전압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소자(60)는 커패시터 또는 베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70)는 전력을 소모하는 전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80)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고정단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기판(11)의 심(12)을 형성한다(S10). 심(12)상에 제 1 전극 층(14)을 형성한다(S20). 제 1 전극 층(14)은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기판(11)에 접합될 수 있다. 제 1 전극 층(14) 상에 압전 층(16)을 형성한다(S30). 압전 층(16)은 전도성 에폭시에 의해 제 1 전극 층(14)에 고정될 수 있다. 압전 층(16) 상에 제 2 전극 층(18)을 형성한다(S40). 제 2 전극 층(18)은 전도성 에폭시에 의해 압전 층(16)에 접합될 수 있다. 벌크 압전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Gold 또는 Silver 전극 등이 증착되어 질 수 있다.
다음,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일측에 질량 체들(20)을 연결한다(S50). 질량 체들(20)은 나사 또는 에폭시에 의해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일측 팁에 고정될 수 있다. 질량 체들(20)은 동일한 무게 또는 질량을 가질 수 있다. 질량 체들(20)은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일측 팁에 고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베이스(80)에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타측을 연결한다(S60).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나사 또는 에폭시에 의해 베이스(8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80)의 연결 단계(S60)는 질량 체들(20)의 연결 단계(S50)보다 앞서 수행될 수도 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 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고, 베이스(800)와 질량체들(20) 간의 거리가 모두 동일하더라도,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공진 주파수가 모두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그 후에,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을 전선(40)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결한다(S70). 병렬 연결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제 1 전극 층(14)과 제 2 전극 층(18)이 각각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직렬 연결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제 1 전극 층(14)과 제 2 전극 층(18)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질량 체들(20)의 진동 시에 공진 주파수의 미스매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 각각의 공진 주파수를 개별적으로 튜닝한다(S80).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공진 주파수의 개별적 튜닝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남기고 나머지들을 상기 베이스(80)에 고정한다. 나머지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솜 또는 지그에 의해 상기 베이스(8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 선택된 하나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0)를 상기 베이스(80)의 레퍼런스 주파수에 맞추어 튜닝한다. 여기서, 레퍼런스 주파수는 공진 주파수에 대응될 수 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어레이로 구성될 때, 두 가지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하나는 저항이 0으로 수렴되는 단락 회로(short-circuit) 상태의 공진 주파수(이하, 'sc 공진 주파수'라 칭함)일 수 있다. 이때,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임피던스는 최소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저항이 무한대로 커지는 개방 회로(open-circuit) 상태의 공진 주파수(이하, 'oc 공진 주파수'라 칭함)로서, 이때 임피던스는 최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두 공진 주파수는 유효 전기-기계 결합 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압전 세라믹은 유효 전기-기계 결합 계수가 작고, 압전 단결정은 1.0(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 변환하는 효율=100%)에 가까운 큰 값을 갖는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 각각의 전류 또는 전압은 그들의 끝단에서 측정될 수 있다. 병렬 연결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임피던스는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2106685047-pat00001
여기에서, f는 주파수이고, Cp는 압전 커패시턴스이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 전체의 커패시터는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2106685047-pat00002
여기에서, Cpt는 전체 커패시턴스 값을 의미하고, Cpn은 개별 커패시턴스 값이다. 병렬 연결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의 임피던스는 개별 소자의 임피던스보다 매우 작아지기 때문에 개별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공진주파수가 sc 공진주파수로 튜닝되어야 한다. oc 공진주파수로 튜닝하는 경우 개별 소자들의 유효 결합 계수 차이로 인해 sc 공진주파수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 차이로 인해 출력 전력의 감소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병렬 연결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의 공진 주파수에 따른 평균 출력 파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는 출력 포화가 발생하지 않아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개수에 비례하여 출력 전력 (전류)가 증가될 수 있다(a). 이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전기적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개방 회로 공진 주파수로 튜닝된 병렬 회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의 개수를 증가시키더라도 출력 포화가 발생하여 출력 전력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b).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제조 방법은 고출력의 파워를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직렬 연결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그들의 개별 소자와 어레이 간의 임피던스의 큰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sc 또는 oc 공진주파수로 튜닝될 수 있다. 직렬 연결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개별적으로 진동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정지 상태에서 해당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10)의 임피던스가 튜닝될 수 있다. 이웃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10)은 스폰지 또는 지그에 의해 기판(11)과 동일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 20: 질량 체
30: 부가적 질량 체 40: 전선
50: 정류기 60: 저장 소자
70: 로드 80: 베이스

Claims (15)

  1.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일측에 질량 체들을 연결하고, 상기 질량 체들에 대향되는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타측을 베이스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 각각의 공진 주파수를 개별적으로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 각각의 상기 공진 주파수를 개별적으로 튜닝 단계는: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남기고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나머지들의 질량 체들을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단계; 및
    부가 질량 체들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의 진동 시에 선택된 하나의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상기 공진 주파수를 상기 베이스의 레퍼런스 주파수로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이 상기 직렬로 연결될 때,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각각의 상기 공진 주파수는 단락 회로 공진 주파수 또는 열린 회로 공진 주파수에 튜닝되고,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이 상기 병렬로 연결될 때, 상기 복수개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각각의 상기 공진 주파수는 상기 단락 회로 공진 주파수에 선택적으로 튜닝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나머지의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은 솜 또는 지그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주파수의 튜닝 시에 상기 질량체들의 무게를 조절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들의 무게 조절은 부가 질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의 형성 단계는,
    기판을 가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제 1 전극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 층 상에 압전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압전 층 상에 제 2 전극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들은 정류기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151127A 2012-05-25 2012-12-21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7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45,842 US9294015B2 (en) 2012-05-25 2013-03-18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5/018,906 US9780698B2 (en) 2012-05-25 2016-02-09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242 2012-05-25
KR20120056242 2012-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235A KR20130132235A (ko) 2013-12-04
KR101970213B1 true KR101970213B1 (ko) 2019-04-19

Family

ID=4998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127A KR101970213B1 (ko) 2012-05-25 2012-12-21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5556B2 (en) 2019-09-02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hat provides power generated from external energy sig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2174A1 (en) * 2007-04-10 2008-10-16 Advanced Cerametrics, Inc. Energy harvesting from multiple piezoelectric sour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52174A1 (en) * 2007-04-10 2008-10-16 Advanced Cerametrics, Inc. Energy harvesting from multiple piezoelectric sourc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MEMS-based piezoelectric power generator array for vibration energy harvesting", Jing-Quan Liu, Microelectronics Journal 39 (2008) 802-806 (2008.02.20.)*
"An experimentally validated bimorph cantilever model for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from base excitations", A Erturk, Smart Mater. Struct. 18 (2009.01.1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5556B2 (en) 2019-09-02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hat provides power generated from external energy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235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0698B2 (en)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27252B1 (ko)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KR101325645B1 (ko) 에너지 하베스팅 전자 장치
Uchino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s—essentials to successful developments
Xue et al. Broadban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devices using multiple bimorphs with different operating frequencies
Ahmad et al. Review of vibration‐based electromagnetic–piezoelectric hybrid energy harvesters
EP2109931B1 (en) Energy harvesting device
US20160156287A1 (en) Half-tube array vibration energy harvesting method using piezoelectric materials
KR101366735B1 (ko) 발전 디바이스 및 그것을 사용한 발전 모듈
CN205595377U (zh) 压电换能器、压电转换器和能量收集系统
Ralib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MEMS piezoelectric microgenerators
Li et al. Harvesting vibration energy: technologies and challenges
JP2009165212A (ja) 圧電体を用いた発電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電装置
Dong et al. Design,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morph micromachined harvester with asymmetrical PZT films
CN110912455B (zh) 一种宽频带振动俘能器
CN108713260A (zh) 具有复合垫片的压电俘能器系统
JP2013110920A (ja) 発電装置
Zhou et al. A novel piezoelectric multilayer stack energy harvester with force amplification
US20050057123A1 (en) Piezoelectric vibration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method
KR101970213B1 (ko)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Guin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Load Characteristics of Piezofilm-based Energy Harvester
Uchino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s
AU2020461119B2 (en) Cantilever for a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
Zargarani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for enhancing the output power of a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Hu et al. Adjusting the resonant frequency of a segmented energy harvester through circuit connection patte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