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179B1 -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179B1
KR101970179B1 KR1020170110636A KR20170110636A KR101970179B1 KR 101970179 B1 KR101970179 B1 KR 101970179B1 KR 1020170110636 A KR1020170110636 A KR 1020170110636A KR 20170110636 A KR20170110636 A KR 20170110636A KR 101970179 B1 KR101970179 B1 KR 101970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dgment
indicator
sentence
statement
shopping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060A (ko
Inventor
장봉수
김경훈
오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어닷투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어닷투데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어닷투데이
Priority to KR1020170110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1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F17/270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서버에서 수행되는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통합 문서 제공 방법은 복수의 판결문들을 분류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단말에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포함하는 판결문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에 보관하라는 명령인 장바구니 보관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관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에 보관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장바구니에 보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분석하라는 명령인 분석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분석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장바구니에 보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요약한 요약 판결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요약 판결문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ROVIDING TOTAL DOCUMENT INCLUDING SHOPPING BASKET FEATUR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판결문은 그 특성상 현존하는 양도 많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판결이 끊임없이 생성되며, 동시에 기준이 되는 판례가 변경되는 경우도 있어 이를 분류, 정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상기의 방식으로 판결문을 정리하였더라도 판결문을 모두 읽어보지 않는 이상 이것이 본인에게 중요한 판결인지 혹은 필요한 내용인지 알기 어려우며, 전문가의 경우 스스로의 노하우로 인식하여 중요 판결문에 관한 내용을 서로에게 공개하지 않으려는 특성이 있어 그 정보공유가 원활하지 않다.
결국 판결문이 필요한 경우 판결문을 수집, 정리한 혹은 판결 관련 서적을 구입하거나, 기존의 판결문 전문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 혹은 판결문을 저장해 놓은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다.
관련서적의 경우, 주된 판결의 쟁점들을 항목별로 정리하여 오던 중요 판결문 목록에 새로 선고된 판결을 싣고, 일부 오래된 판결문을 제외하는 형식을 취한다.
이러다 보니 판결문을 읽고, 정리하는 시간이 들며 동시에 새로이 출판을 해야 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금전 및 시간적으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Lawnb, Westlaw, 대법원 종합법률정보, 법제처 등에서 제공하는 판결문 검색의 경우, 별도의 방법으로 중요 판례를 추출하는 것이 아니라 판결 등으로부터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판결을 추출한 후 판결을 읽어 보고, 쟁점별로 카테고리화 하여 판결을 정리 하는 수준이며, 법원행정처에서 개발한 법고을 소프트웨어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다.
하지만 상기의 검색방법을 이용하여 중요 판례를 정리할 경우 다수의 따르는 판결에서 인용되는 판결임에도 키워드 검색 등을 통하여 제대로 검색 되지 못하면 중요판결 임에도 정리 대상 판결에서 누락 되어 참조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판례들을 기초로 자료를 생성해야 하는 경우 관련 판례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판결문을 읽고, 판결 문구를 정리하는 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3747호, 2019.08.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은, 복수의 판결문들을 분류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단말에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포함하는 판결문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에 보관하라는 명령인 장바구니 보관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관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에 보관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장바구니에 보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분석하라는 명령인 분석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분석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장바구니에 보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요약한 요약 판결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요약 판결문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판결문들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판결문들을 외부로부터 수집하는 판결문 수집단계; 상기 복수의 판결문들에 기재된 법조문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판결문들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판결문들의 판결 요지에 대응하는 쟁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복수의 판결문들을 대상으로 참고 판결문을 인용한 종속 판결문을 추출하는 종속 판결문 추출단계; 상기 종속 판결문이 인용한 상기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기준으로 인용한 종속 판결문의 판례번호 및 종속 판결문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종속 판결문이 인용한 상기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 및 상기 참고 판결문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종속 판결문 및 상기 참고 판결문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판결문에서 빈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단어 중 미리 설정된 키워드 후보에 포함되는 단어로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쟁점은 상기 판결문의 상기 판결 요지에서 상기 키워드가 포함된 문장으로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요약 판결문은, 상기 장바구니에 포함된 상기 종속 판결문, 상기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 상기 참고 판결문 및 상기 참고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법률상관관계도로서, 상기 장바구니에 포함된 판결문은 상기 종속 판결문인, 법률상관관계도; 상기 종속 판결문의 판결 요지에 대응하는 쟁점; 및 상기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법률상관관계도는, 상기 종속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1지표; 상기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2지표; 상기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이고, 상기 제1지표 또는 상기 제2지표와 구분되는 제3지표; 상기 참고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이고, 상기 제1지표 또는 상기 제2지표와 구분되는 제4지표; 및 상기 제1지표, 상기 제2지표, 상기 제3지표 및 상기 제4지표 사이를 연결하는 선인 연결관계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표는 상기 제2지표 및 상기 제3지표와 상기 연결관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지표는 상기 제1지표 및 상기 제4지표와 상기 연결관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표는 상기 제2지표, 상기 제3지표, 상기 제4지표로 둘러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바구니 보관명령은, 상기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판결문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판결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에 대하여 클릭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를 제공하는 서버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복수의 판결문들을 분류하고, 단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고, 상기 단말에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포함하는 판결문 리스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에 보관하라는 명령인 장바구니 보관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보관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에 보관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장바구니에 보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분석하라는 명령인 분석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분석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장바구니에 보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요약한 요약 판결문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요약 판결문을 단말로 전송하도록 실행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인 상기 단말과 결합되어 상술한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단말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많은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법률 데이터를 쉽게 정리하여 온라인에서 모아주기 때문에 법조인들이 짧은 시간에 자신이 원하는 핵심 정보를 한 눈에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들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판결문이 분류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문서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문서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장바구니 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문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법률상관관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합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단말(10), 서버(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말(10)과 서버(20)는 네트워크(30)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단말(10)의 실시예로는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이동국(MS), 머신 타입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M2M(Machine-to-Machine), D2D(Device-to-Device),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터미널(wireless terminal; WT),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AT),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SU), 사용자 터미널(User Terminal: U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 저장 및 재생 가전 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서버(20)의 실시예로는 클라우드(Cloud) 서버, IMS(IP Multimedia Subsystem) 서버, 텔레포니 애플리케이션(Telephony Application) 서버, IM(Instant Messaging) 서버,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서버, MSG(Messaging Gateway) 서버,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서버를 포함될 수 있으며, 서버(20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객체를 지칭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30)는 단말(10)과 서버(2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10)과 서버(20) 사이의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802.11x(예를 들면, 802.11a, 802.11b, 802.11g, 802.11n, 802.11ac 등),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Two Generation)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Three Generation)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LTE-A)망과 같은 4G(Four Generation) 이동통신망, 및 5G(Five Generation) 이동통신망, 초광대역 통신(UWB: Ultra Wide Band),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위성 통신망 중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들의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단말(10), 서버(20)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는 단말(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며, 구체적으로 유무선 접속에 필요한 접속 정보, 광고 정보 또는 접속 정보 재입력 요청 지시 등을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에는 외부 디스플레이와 내부 디스플레이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문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4는 판결문이 분류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서버(20)는 판결문을 분류할 수 있다(S300). 서버(20)가 판결문을 분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서버(20)는 복수의 판결문들을 외부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S301). 복수의 판결문들을 외부로부터 수집하는 방법은 이용자가 직접 오프라인으로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서버(20)에 의해 일정주기로 온라인 서버에 접속하여 판결문을 검색하고, 다운받아 수집할 수 있다.
서버(20)는 복수의 판결문들에 기재된 법조문을 추출할 수 있다(S302). 서버(20)는 복수의 판결문에서 '법', '제' 및 '숫자'로 연결된 문장을 검색하여 복수의 판결문들에 기재된 법조문을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는 복수의 판결문들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S303). 서버(20)는 판결문에서 빈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 중 미리 설정된 키워드 후보에 포함되는 단어를 해당 판결문의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기준이 5회인 경우라고 가정한다. 판결문에서 '권리범위확인심판', '확인의 이익', "특허" 이라는 단어가 각각 5회, 7회, 22회 등장한 경우, 서버(20)는 '권리범위확인심판', '확인의 이익', '특허'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권리범위확인심판', '확인의 이익' 이라는 단어는 미리 설정된 키워드 후보이고 '특허'는 미리 설정된 키워드 후보가 아닐 경우, 서버(20)는 '권리범위확인심판', '확인의 이익' 두 단어 만을 해당 판결문의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는 복수의 판결문들의 판결 요지에 대응하는 쟁점을 추출할 수 있다(S304). 구체적으로, 서버(20)는 판결 요지 전부를 쟁점으로 추출하거나, 판결 요지 중 키워드가 포함된 문장만을 쟁점으로 추출할 수 있다.
서버(20)는 판결문에 포함된 판결 요지에서 키워드가 포함된 문장을 쟁점으로 추출할 수 있다. 판결 요지는 판결문의 요약으로서 일반적으로 판례가 선고되면 판례의 요점을 짧게 요약한 것을 의미한다.
판결 요지는 짧게 해당 요점 끝에 '적극', '소극', '한정 적극', '한정 소극' 등을 포함한다. 해당 요점이 적용 되는 경우 '적극', 해당 요점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소극'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경우 '한정 적극' 한정적으로 적용되지 않는 경우 '한정 소극'을 해당 요점 끝에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는 수집된 복수의 판결문들을 대상으로 참고 판결문을 인용한 종속 판결문을 추출하는 종속 판결문 추출할 수 있다(S305). 종속 판결문에서 특정 판례를 인용할 경우 인용되는 판례는 참고 판결문으로, 인용하는 판례는 종속 판결문으로 정의할 수 있다.
서버(20)는 종속 판결문이 인용한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기준으로 인용한 종속 판결문의 판례번호 및 종속 판결문을 분류할 수 있다(S306). 종속 판결문을 기준으로 참고 판결문을 정리하는 것은 매우 간단하다. 종속 판결문 내에 인용하고 있는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만 정리하면 되기 때문이다. 다만, 종속판결문을 인용하는 또 다른 종속 판결문을 정리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나중에 특정 판례번호를 검색한 경우 해당 판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참고 판결문뿐만 아니라 해당 판례를 인용하는 또 다른 종속 판결문의 판례 번호도 쉽게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는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기준으로 종속 판결문의 판례번호 및 종속 판결문을 분류할 수 있다.
판례번호를 분류하는 방법은 서버(20)가 수집한 판결문을 대상으로 ‘선고’와 ‘판결’이란 단어를 캐치하여 그 사이에 기재된 사건번호를 검색, 저장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서버(20)는 종속 판결문이 인용한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 및 참고 판결문을 분류할 수 있다(S307). 서버(20)는 분류된 종속 판결문 및 참고 판결문을 저장할 수 있다(S308).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단말(10)은 서버(20)로 입력 받은 키워드를 전송할 수 있다(S310). 서버(20)는 단말(10)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서버(20)는 단말(10)에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포함하는 판결문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S320).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525)에 보관하라는 장바구니 보관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말(10)은 서버(20)로 장바구니 보관명령을 보낼 수 있다(S330). 서버(20)는 단말(10)로부터 장바구니 보관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장바구니 보관명령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525)에 보관할 수 있다(S340).
장바구니 보관명령은, 단말(10)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판결문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판결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에 대하여 클릭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장바구니(525)에 보관된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분석하라는 명령인 분석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말(10)은 서버(20)로 분석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350). 서버(20)는 단말(10)로부터 분석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분석명령에 대응하여, 장바구니(525)에 보관된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요약한 요약 판결문을 생성할 수 있다(S360). 요약 판결문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우선, 서버(20)는 장바구니(525)에 포함된 판결문을 종속 판결문으로 결정할 수 있다. 요약 판결문은 장바구니(525)에 포함된 종속 판결문,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 참고 판결문 및 참고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법률상관관계도(705), 종속 판결문의 판결 요지에 대응하는 쟁점 및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법률상관관계도(705)는 종속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1지표(805),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2지표(810),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3지표(815), 참고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4지표(8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지표(815) 및 제4지표(820)는 제1지표 또는 제2지표(810)와 구별되는 도형 또는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법률상관관계도(705)는 또한 제1지표(805), 제2지표(810), 제3지표(815) 및 제4지표(820) 사이를 연결하는 선 또는 직선인 연결관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표(805)는 제2지표(810) 및 제3지표(815)와 연결관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지표(810)는 제1지표(805) 및 제4지표(820)와 연결관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지표(805)는 제2지표(810), 제3지표(815), 제4지표(820)로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서버(20)는 생성된 요약 판결문을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S37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문서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합 문서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인터페이스 화면은 입력창(505), 특정 항목 검색창(510), 제1검색결과 화면(515-1, 515-2), 오늘의 TIP(520), 장바구니(525), 추천 키워드 제공화면(5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검색결과 화면(515-1, 515-2)을 살펴보면, 위에서부터 '절도, 절도미수', '절도'라는 키워드가 검색된 것이 확인된다. 여기서 '절도, 절도미수', '절도'라는 단어는 해당 판례의 키워드일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10)에 '절도, 절도미수', '절도'가 키워드인 판례를 장바구니(525)에 추가하라는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단말(10)은 해당 명령을 서버(20)로 전송하게 되고, 서버(20)는 '절도, 절도미수', '절도'가 키워드인 판례를 장바구니(525)에 추가시킬 수 있다. 아래는 장바구니(525)에 '절도, 절도미수', '절도'가 키워드인 판례가 추가된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문서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의 장바구니(525) 부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 '절도, 절도미수', '절도'가 키워드인 판례를 사용자가 장바구니(525)에 추가시켰을 경우의 결과화면일 수 있다. 장바구니(525) 화면에 '절도, 절도미수', '절도'라는 키워드가 추가된 키워드 화면(526)과 분석하기 버튼(527)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분석하기 버튼(527)은 도 3의 분석명령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문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합 문서는 법률상관관계도(705), 쟁점(710), 법조문(715-1,715-2,7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쟁점(710)은 도 3의 복수의 판결문들의 판결 요지에 대응하는 쟁점에 대응할 수 있다. 법조문(715-1,715-2,715-3)은 도 3의 복수의 판결문들에 기재된 법조문에 대응할 수 있다. 법률상관관계도(705)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법률상관관계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면 (b)는 하나의 종속 판결문을 검색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결과화면이다. 도면 (b)는 종속 판결문의 판례번호(95도2753)가 포함된 제1지표(805)의 주위를 참고 판결문의 판례 번호(92도118, 95노526, 88도917, 84강도392)가 포함된 제2지표(810), 종속 판결문이 인용하는 법조문(형법(구)_329)이 포함된 제3지표(815)가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다.
도면 (a)는 다수의 종속 판결문을 검색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결과화면이다. 도 (a)는 종속 판결문의 판례번호(87도2365, 90도3283)가 포함된 제1지표(805)와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2001도5891, 96모118)가 포함된 제2지표(810)뿐만 아니라 종속 판결문이면서 동시에 참고 판결문인 중간 판결문의 판례번호(88도824, 92도1246, 91도473)가 포함된 제5지표(806)를 포함할 수 있다. 판례번호 앞자리의 숫자가 제소 년도를 기준으로 결정되는바 제5지표(806)에 해당하는 판례들의 연결관계선에는 종속 판결문과 참고 판결문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도면 (a)는 종속 판결문이 인용하는 법조문(형법_62)이 포함된 제3지표(815) 및 참고 판결문이 인용하는 법조문(형법_37)이 포함된 제4지표(8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 (c)는 본 발명에 따른 법률상관관계도(705)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워드 검색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키워드 검색 화면은 판례 검색창(905), 조문 검색창(910), 키워드 검색창(915), 제2검색결과 화면(9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문서를 제공하는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20)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20)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20)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탈착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서버에서 수행되는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으로,
    복수의 판결문들을 분류하는 단계;
    단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단말에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포함하는 판결문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에 보관하라는 명령인 장바구니 보관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관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에 보관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장바구니에 보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분석하라는 명령인 분석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분석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장바구니에 보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요약한 요약 판결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요약 판결문을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요약 판결문은,
    상기 장바구니에 포함된 종속 판결문, 상기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 참고 판결문 및 상기 참고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법률상관관계도로서, 상기 장바구니에 포함된 판결문은 상기 종속 판결문인, 법률상관관계도;
    상기 종속 판결문의 판결 요지에 대응하는 쟁점; 및
    상기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포함하고,
    상기 법률상관관계도는,
    상기 종속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1지표;
    상기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2지표;
    상기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이고, 상기 제1지표 또는 상기 제2지표와 구분되는 제3지표;
    상기 참고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이고, 상기 제1지표 또는 상기 제2지표와 구분되는 제4지표; 및
    상기 제1지표, 상기 제2지표, 상기 제3지표 및 상기 제4지표 사이를 연결하는 선인 연결관계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표는 상기 제2지표 및 상기 제3지표와 상기 연결관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지표는 상기 제1지표 및 상기 제4지표와 상기 연결관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법률상관관계도는,
    상기 단말로부터 다수의 판결문에 대한 보관명령 및 분석명령을 하는 경우, 상기 종속 판결문이면서 동시에 상기 참고 판결문인 중간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5지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지표는 상기 제1지표 및 상기 제2지표와 상기 연결관계선을 통해 연결되는,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판결문들을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판결문들을 외부로부터 수집하는 판결문 수집단계;
    상기 복수의 판결문들에 기재된 법조문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판결문들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판결문들의 판결 요지에 대응하는 쟁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복수의 판결문들을 대상으로 상기 참고 판결문을 인용한 상기 종속 판결문을 추출하는 종속 판결문 추출단계;
    상기 종속 판결문이 인용한 상기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기준으로 인용한 상기 종속 판결문의 판례번호 및 상기 종속 판결문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종속 판결문이 인용한 상기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 및 상기 참고 판결문을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분류된 종속 판결문 및 상기 참고 판결문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판결문에서 빈도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단어 중 미리 설정된 키워드 후보에 포함되는 단어로 추출되는,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쟁점은 상기 판결문의 상기 판결 요지에서 상기 키워드가 포함된 문장으로 추출되는,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표는 상기 제2지표, 상기 제3지표, 상기 제4지표로 둘러싸인,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바구니 보관명령은,
    상기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판결문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판결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에 대하여 클릭을 통해 발생하는,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9.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복수의 판결문들을 분류하고,
    단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고,
    상기 단말에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포함하는 판결문 리스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에 보관하라는 명령인 장바구니 보관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보관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장바구니에 보관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장바구니에 보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분석하라는 명령인 분석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분석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장바구니에 보관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판결문을 요약한 요약 판결문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요약 판결문을 단말로 전송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요약 판결문은,
    상기 장바구니에 포함된 종속 판결문, 상기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 참고 판결문 및 상기 참고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법률상관관계도로서, 상기 장바구니에 포함된 판결문은 상기 종속 판결문인, 법률상관관계도;
    상기 종속 판결문의 판결 요지에 대응하는 쟁점; 및
    상기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포함하고,
    상기 법률상관관계도는,
    상기 종속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1지표;
    상기 참고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2지표;
    상기 종속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이고, 상기 제1지표 또는 상기 제2지표와 구분되는 제3지표;
    상기 참고 판결문에 기재된 법조문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이고, 상기 제1지표 또는 상기 제2지표와 구분되는 제4지표; 및
    상기 제1지표, 상기 제2지표, 상기 제3지표 및 상기 제4지표 사이를 연결하는 선인 연결관계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표는 상기 제2지표 및 상기 제3지표와 상기 연결관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지표는 상기 제1지표 및 상기 제4지표와 상기 연결관계선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법률 상관관계도는,
    상기 단말로부터 다수의 판결문에 대한 보관명령 및 분석명령을 하는 경우, 상기 종속 판결문이면서 동시에 상기 참고 판결문인 중간 판결문의 판례번호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인 제5지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지표는 상기 제1지표 및 상기 제2지표와 상기 연결관계선을 통해 연결되는,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를 제공하는 서버.
  10. 하드웨어인 상기 단말과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7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단말장치용 애플리케이션.
KR1020170110636A 2017-08-31 2017-08-31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7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636A KR101970179B1 (ko) 2017-08-31 2017-08-31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636A KR101970179B1 (ko) 2017-08-31 2017-08-31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060A KR20190024060A (ko) 2019-03-08
KR101970179B1 true KR101970179B1 (ko) 2019-04-18

Family

ID=6580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636A KR101970179B1 (ko) 2017-08-31 2017-08-31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17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93462A2 (en) * 2007-08-28 2010-06-09 Lexisnexis Group Document search tool
KR20090083747A (ko) 2008-01-30 2009-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문서 요약 제공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웹 문서제공 방법
KR20120042462A (ko) * 2010-10-25 2012-05-03 주식회사 로앤비 특정판례를 중심으로 히스토리 정보를 동일화면에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803150B1 (ko) * 2015-10-13 2017-11-29 이지민 빅데이터를 이용한 중요 판례 추출 및 정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060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80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
JP6224731B2 (ja) 個人的ユーザ経験を改善するためにソーシャル・メディアを豊富に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7026286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customer care data
US11194863B2 (en)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non-volatile computer storage medium
EP3996373A2 (en)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bullet comment,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397181B2 (en)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 book information service therein
CN109101658A (zh) 信息搜索方法、装置及设备/终端/服务器
US20120296746A1 (en) Techniques to automatically search selected content
US11507253B2 (en) Contextual information for a displayed resource that includes an image
CN106326091A (zh) 一种浏览器网页兼容性的检测方法及系统
Power Mobile decision support and business intelligence: an overview
CN112287206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60004703A1 (en) Methods for modifying and ranking searches with actions based on prior search results and actions
US20150046816A1 (en) Display of video content based on a context of user interface
US20160210335A1 (en) Server and service searching method of the server
KR101970179B1 (ko) 장바구니 기능을 포함한 통합 문서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4573120A (zh) 用于终端获取推荐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482143B1 (ko) 자동 완성어의 유형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600269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achine Learning Re-Training Trigger
US20150363370A1 (en) System and Method of Email Document Classification
CN111027281A (zh) 划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102468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user comment relating to a content segment and providing for output of a new content segment based on an association structure
US20190014105A1 (en) Certification System
KR102565724B1 (ko) 패킷 분석 기반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서비스의 속성 판단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575253B1 (ko) 스크래핑 자동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