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820B1 - Rebar coupler - Google Patents

Rebar coup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820B1
KR101969820B1 KR1020170043618A KR20170043618A KR101969820B1 KR 101969820 B1 KR101969820 B1 KR 101969820B1 KR 1020170043618 A KR1020170043618 A KR 1020170043618A KR 20170043618 A KR20170043618 A KR 20170043618A KR 101969820 B1 KR101969820 B1 KR 10196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reinforcing
inner diameter
slop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6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2486A (en
Inventor
정기찬
Original Assignee
정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찬 filed Critical 정기찬
Priority to KR102017004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820B1/en
Publication of KR2018011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8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철근을 연결할 수 있으며 철근연결 후의 슬립을 방지하고 연결 강도를 강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기는 모든 방향으로의 마디 돌기의 위치 편차를 수용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철근에 공통적으로 적용가능한 구조로서, 중공 통체 형태의 중앙슬리브; 중앙슬리브의 양측에 결합되며 철근삽입구가 포함된 중공 통체 형태의 철근수용부; 상기 철근수용부의 중공 내에 들어가며 상기 철근수용부의 전체 내경면과 접촉되면서 서로 대칭적으로 대향하고 있으며 철근이 삽입되면 철근을 물어 고정시키는 1조의 철근고정편; 상기 철근수용부의 중공 및 상기 중앙슬리브의 중공에 들어가며 상기 철근고정편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수단이 포함된 탄성작용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nect the reinforcing bar, prevent the slip after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and strengthen the connection strength.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ccommodates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nodal projection in all directions, but also commonly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reinforcing bar, the hollow sleeve-shaped central sleeve;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of the hollow cylindrical form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sleeve and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A set of reinforcing bar pieces which enter the hollow of the receptacle receiving part and symmetrically face each oth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entir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rt; And a resilient action portion including an elastic means for entering the hollow of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hollow of the central sleeve and exerting an elastic force toward the rebar fixing piece.

Description

철근 연결기 {Rebar coupler}Rebar Coupler {Rebar coupl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뼈대로 사용되는 철근을 이어서 사용하도록 하는 철근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connector for subsequent use of reinforcing bar used as an inner skeleton of a concrete structure.

일정한 길이로 공급되는 철근을 시공 구조물의 규모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철근을 잇는 제품인 철근 커플러가 있다.There is a rebar coupler, a product that connects rebars so that the rebars supplied in a certain length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과거에는 철근을 잇기 위하여 철근의 끝 부분을 겹쳐 놓고 철사로 동여 매어서 연결하였으나(이러한 이음 방식을 '겹이음'이라고 부름), 이 방식은 작업의 불편함은 차치하고도 그 연결 강도가 약해서 대한건축학회 및 한국콘크리트학회의 표준시방서에서는 φ28 또는 D29 이상의 원형 및 이형철근에 대해서는 겹이음을 금지하고 맞댐이음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In the past, the ends of the reinforcing bars were piled up and tied with wires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this type of jointing is called 'laping'), but apart from the inconvenience of work, the connection strength is weak. The standard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tecture and Concrete Institute stipulates that overlapping and butt joints are prohibited for round and deformed rebars of φ28 or D29 and above.

맞댐이음에는 두 철근의 끝단부를 맞대놓고 용접 등으로 접합하는 압접 이음과 별도의 기계 부속을 이용한 기계식 이음이 있다. 기계식 이음에 사용하는 기계 부속을 흔히 '철근 커플러'라고 부르는데, 매우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Butt joints include two types of butt joints, which are joined together by welding with the ends of two rebars facing each other, and mechanical joints using separate mechanical parts. Machine parts used in mechanical joint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rebar couplers' and are known in a wide variety of structures and shapes.

이러한 커플러를 사용하여 철근을 연결하는 방식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매우 다양한 카테고리의 분류방식이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겠다. 하나는 연결할 철근에 나사산을 깎거나 직경을 부풀리는 등 철근을 1차 가공한 후에 커플러를 사용하는 방식이고, 또 하나는 연결할 철근에 어떠한 가공도 하지 않은 상태로 별도의 커플러를 사용하여 두 철근을 연결하는 방식이다. Since there are many ways to connect rebars using these couplers, there are many different categories of classifications. One is to use a coupler after first processing the rebar, such as cutting a thread or inflating the diameter of the rebar to be connected, and the other is to use two couplers using a separate coupler without any machining on the connecting rebar. This is how you connect.

전자의 경우에는 별도의 철근 가공이 필요하므로 공사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크게 나빠지게 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커플러의 구조상 그리고 철근 표면의 마디의 위치 편차에 의하여 철근연결 후에 철근의 슬립(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철근연결 후의 강도 유지가 매우 어렵다. 종래의 커플러의 경우에 슬립 길이는 약 6~7mm이다.In the former case, additional rebar processing is required, so workability at the construction site is greatly deteriorated. In the latter case, the reinforcing of the reinforcing bars after the rebar connec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coupler and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nodes on the surface of the rebar is caused. This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the strength after connecting the reba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couplers, the slip length is about 6-7 mm.

도 1은 일반적인 두 가지 종류의 이형철근의 외관도이다. 표면의 원주상에 반대측에서 대향하며 길이방향(축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리브(2, 2')가 있다. 각 리브(2, 2')와 수직으로 만나도록 철근의 횡방향(방사상)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마디 돌기(4, 4')가 형성되어 있다. (a)는 마디 돌기가 곡선형으로 마치 나사산처럼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b)는 마디 돌기가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두 가지 경우 모두 일측 반원부의 마디 돌기(4)와 타측 반원부의 마디 돌기(4')의 길이 방향으로의 위치 편차가 있다. 제작상 오차일 수도 있지만, 콘크리트 타설시의 콘크리트 자재의 부착 강도를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한 의도적 조치이기도 하다.1 is an external view of two general types of deformed steel reinforcing bars. On the circumference of the surface there are ribs 2, 2 'which are opposed on the opposite side and are form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nodal projections 4 and 4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adial) of the reinforcing bars so as to vertically meet the ribs 2 and 2'. (a) shows that the nodule is curved like a thread, and (b) indicates that the nodul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both cases, there is a positional devi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dal projection 4 on one side of the semicircle and the nodal projection 4 'on the other side of the semicircle. This may be a manufacturing error, but it is also an intentional measure to increase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concrete material at the time of placing concrete.

이 밖에 도 1에서는 표현이 안 되어 있지만 각 마디 돌기는 방사상으로도 그 높낮이 편차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이는 주로 제작상 편차일 가능성이 크다. 종래의 커플러 결합시에는 이들 마디 돌기의 축방향 또는 방사상 위치 편차를 수용할 수 없는 구조라서 철근이 쉽게 결합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된 후에도 철근 슬립이 발생. 또한 도 1의 (a), (b) 등 다양한 형태의 철근에 공통적으로 적용하기가 곤란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ure 1, each projection has a radial deviation of its height. This is most likely a manufacturing deviation. In the conventional coupler coupling, since the structure cannot accommodate the axial or radial positional deviation of these nodal protrusions, the reinforcing bars may not be easily coupled, and rebar slip occurs even after the coupling.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commonly to various types of rebars, such as (a) and (b) of FIG. 1.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061158 (공개일: 2013. 6. 10.)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3-0061158 (Published: 2013. 6. 10.)

http://civileng7.tistory.com/1554http://civileng7.tistory.com/1554

본 발명은 두 가지 철근 연결 방식 중 후자의 방식에 속하는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의 단점을 해소하여, 용이하게 철근을 연결할 수 있으며 철근연결 후의 슬립을 방지하고 연결 강도를 강화하고자 개발되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shortcomings in the rebar coupler belonging to the latter method of the two reinforcing bar connection method, to easily connect the reinforcing bar, to prevent slip after the reinforcing bar connection an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strength.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기는 모든 방향으로의 마디 돌기의 위치 편차를 수용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철근에 공통적으로 적용가능한 구조로서, 중공 통체 형태의 중앙슬리브; 중앙슬리브의 양측에 결합되며 철근삽입구가 포함된 중공 통체 형태의 철근수용부; 상기 철근수용부의 중공 내에 들어가며 상기 철근수용부의 전체 내경면과 접촉되면서 서로 대칭적으로 대향하고 있으며 철근이 삽입되면 철근을 물어 고정시키는 1조의 철근고정편; 상기 철근수용부의 중공 및 상기 중앙슬리브의 중공에 들어가며 상기 철근고정편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수단이 포함된 탄성작용부를 포함한다.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ccommodates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nodal projection in all directions, but also commonly applicable to various types of reinforcing bar, the hollow sleeve-shaped central sleeve;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of the hollow cylindrical form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entral sleeve and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A set of reinforcing bar pieces which enter the hollow of the receptacle receiving part and symmetrically face each oth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entir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rt; And a resilient action portion including an elastic means for entering the hollow of the reinforcing portion and the hollow of the central sleeve and exerting an elastic force toward the rebar fixing piece.

여기서, 상기 철근수용부는 그 내부 직경이 철근삽입구로부터 내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경사진 내경 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1조를 구성하는 각 철근고정편은 상기 철근수용부의 내경 사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경사진 외측 사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탄성작용부의 탄성수단의 탄성 작용에 의해서 상기 철근수용부의 내경 사면에 상기 철근고정편의 외측 사면이 접촉되도록 한다.Here, the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includes an inner diameter slope inclin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is gradually increased inward from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each of the reinforcing bar pieces constituting the set i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By including the inclined outer slope, by the elastic action of the elastic means of the elastic action portion, the outer slope of the reinforcing bar fixing pie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1조의 철근고정편이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이들 철근고정편을 방사상으로 밀어 내어 서로 이격시켜서 상기 외측 사면을 상기 철근수용부의 내경 사면에 밀착시키는 이격판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pace in which the set of the reinforcing bar pieces facing each other may further include a spacer plate for radially pushing these reinforcing bar pieces apart from each other to closely contact the outer slope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s.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철근수용부는 상기 내경 사면이 끝나는 지점과 단차를 두고 이어지는 비경사면인 내부 직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facing which is a non-sloped surface that continues with the step and the end point of the inner diameter slop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작용부는 일측은 개방되어 있고 타측에는 폐쇄면이 있는 통체로, 폐쇄면이 상기 중앙슬리브 쪽을 향하고 개방측이 철근수용부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lastic action portion is a cylinder having an open side and a closed surface on the other side,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closed surface toward the central sleeve side and the open side into the reinforcing bar receiving por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슬리브를 내부에서 횡으로 가로지르는 횡벽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t may further comprise a transverse wall transversely transversely within the central sleev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작용부에는 상기 폐쇄면의 주변부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수단이 수납되는 공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elastic action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pace installed in the periphery of the closing surface for receiving the elastic means.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1조의 각 철근고정편은 철근삽입구와 인접하여 삽입되는 철근을 받아들이는 선단부와; 탄성작용부의 탄성수단과 접촉하여 탄성력을 받는 종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종단부의 사이에, 삽입된 철근의 마디 돌기를 수용하는 깊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함입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set of reinforcing bar piece is a tip portion for receiving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djacent to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port; An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ans of the elastic action portion to receive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tip portion and the end portion,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recessed portion formed to a depth for receiving the node projection of the inserted reinforcing bar.

여기서 선단측 함입부와 종단측 함입부의 측벽은 선단방향 및 종단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가공할 수 있다.Here, the side wall of the tip side recess and the end side recess can be machined into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the tip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1조의 각 철근고정편은, 상기 외측 사면과 단차를 두고 이어지는 비경사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set of reinforcing bar piece, may further include a non-sloped surface that continues with the step and the outer slope.

이상의 철근 연결기의 기술 사상은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reinforcing bar coupler will be further clarified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철근 커플러의 단점을 해소하여, 별도의 기구나 자재 없이 용이하게 직접 철근을 연결할 수 있으며, 어떠한 유형의 철근이든 연결 후의 철근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고, 구조상 철근의 연결 강도가 강화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rebar coupler, it is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rebar directly without a separate mechanism or material, to prevent the slip of the rebar after connecting any type of rebar,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rebar Is strengthened.

도 1은 일반적인 철근의 외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연결기의 한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철근연결기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부분품들이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중앙슬리브(10)의 단면도
도 7은 철근수용부(20)의 단면도
도 8a는 탄성작용부(30)의 종단면도, 도 8b는 그 횡단면도
도 9는 1조의 철근고정편(28, 28')의 종단면
도 10은 도 2의 철근연결기에 철근을 삽입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n appearance of a typical rebar
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embodiment of Figure 2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rts shown in Figure 3 combin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al sleeve 10.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bar 20
8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and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thereof.
9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a set of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of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연결기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가운데 있는 중앙슬리브(10)의 축방향 양측으로, 대칭 형태의 철근수용부(20)의 외경에 있는 나사가 중앙슬리브(1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된다. 철근수용부(20)의, 중앙슬리브(10)에 결합된 반대측에는 철근삽입구(22)가 있다. 철근삽입구(22)의 직경은 현장에서 연결을 위해 삽입하는 철근(1)의 총 외경(즉,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리브(2, 2') 및 마디 돌기(4, 4')를 포함한 외경)보다 크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On both sid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enter sleeve 10 in the middle, the screw i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bar receiving portion 20 of the symmetrical form is fastened to the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er sleeve 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20 coupled to the central sleeve 10, there is a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22.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22 is the total out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1 inserted for connection in the field (ie, the outer diameter including the ribs 2 and 2 'and the burrs 4 and 4' as shown in FIG. 1). It should be designed to be larger than).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른 철근연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철근수용부(20)의, 중앙슬리브(10)에 들어가서 보이지 않는 부분의 구조 및 구성요소들을 볼 수 있다. 철근수용부(20)는 수용부몸체(24)와, 이 수용부몸체의 일부분의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26)가 있다. 수용부몸체(24)와 결합부(26)는 내부가 빈 통형을 이루고 있다. 즉, 철근삽입구(22)와 통하는 중공 구조이다. 그 내부 구조는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수용부몸체(24)가 결합부(26)보다 약간 직경이 큰 것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원리상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3에서는 철근수용부(20)의 외관을 원통형으로 표현하였지만, 실제로는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등의 다면 통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마찬가지로 도 3에서 중앙슬리브(10)의 외관을 원통형으로 표현하였지만, 실제로는 사각, 오각, 육각, 팔각 등의 다면 통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The structure and the components of the invisible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20, entering the central sleeve 10 can be seen. The reinforcing bar 20 has a receiving body 24 and a coupling part 26 formed with a thread in the outer diameter of a portion of the receiving body. Receiving portion body 24 and the engaging portion 26 has an empty inside. That is, it is a hollow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port 22. The internal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3, the receiving body 24 is represented as slightly larger in diameter than the engaging portion 26, but is not essential in principle. And in Figure 3, the appearance of the reinforcing bar 20 is expressed in a cylindrical shape,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produced in a multi-sided cylindrical shape, such as square, pentagonal, hexagonal, octagonal. Similarly, although the external shape of the central sleeve 10 is expressed in a cylindrical shape in FIG. 3, it is apparent that the center sleeve 10 can be manufactured in a multi-faced cylindrical shape such as square, pentagon, hexagon, and octagon.

탄성작용부(30)가 중앙슬리브(10) 내에 들어간다. 탄성작용부(30)의 일부분은 철근수용부(20)의 내부 공간(중공)에도 들어간다. 탄성작용부(30)는 대략 통형인데, 한 쪽은 개방면이고 다른 쪽은 삽입된 철근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폐쇄면(32)이다. 철근수용부(20)의 내부 중공에는 또한 한 조의 철근고정편(28, 28')이 들어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철근삽입구(22)로 삽입된 철근(도 2의 1)은 그 방사상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두 조각의 철근고정편(28, 28')이 이루는 중앙 공간을 통과해서 탄성작용부(30)의 종단 폐쇄면(32)까지 진입한다. 철근(1)은 철근고정편(28, 28')의 쐐기 작용에 의해 철근수용부(20) 내에서 고정된다.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enters the central sleeve 10. A part of the elastic action part 30 also enters the internal space (hollow) of the reinforcing bar 20.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is roughly cylindrical, one side being an open surface and the other side is a closing surface 32 which serves to stop the inserted rebar. The inner hollow of the reinforcing bar 20 also receives a set of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 In this embodiment, the reinforcing bar (1 in FIG. 2)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hole 22 passes through a central space formed by two pieces of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radially positioned on both sides thereof, thereby providing elasticity. It enters to the terminal closing surface 32 of (30). The reinforcing bar 1 is fixed in the reinforcing bar 20 by the wedge action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

도 3에 나타낸 각 부분의 구조와 작용은 이후에 다른 도면을 통해 더 자세히 설명하겠다.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each part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other drawings.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부분품들이 결합된 상태의 철근연결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아직 건축 현장에서 철근삽입구(22)로 철근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의 철근연결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중앙슬리브(10)의 축방향 좌우 양측은 대칭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한 쪽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parts shown in FIG. 3 are coupled,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4. Figure 4 shows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has not yet inserted the reinforcing bar into the reinforcing rod 22 in the building site. Since both sides of the central sleeve 10 in the axial direction are symmetrical, only one of them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중앙슬리브(10)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에, 수용부몸체(24)의 일부분의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도 3의 26)가 체결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양측의 수용부몸체(24)와 중앙슬리브(10)와의 결합 깊이가 서로 다르게 조립되어 있는 것을 표현하였다. 사용자가 철근(1) 삽입 후에 수용부몸체(24)를 돌려서 더욱 견고하게 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수용부몸체(24)의 내부를 보면, 그 내부 직경이 철근삽입구(22)로부터 결합부(26) 쪽으로, 즉, 중앙슬리브(10) 쪽으로 가면서 점점 커지도록 경사진 내경 사면(25)을 갖는다. 내경 사면(25)이 끝나는 지점부터는 일정한 내직경을 이루도록 비경사면으로 가공된다. A threaded portion (26 in FIG. 3) is fastened to a thread formed at 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ral sleeve 10 to a outer diameter of a portion of the receiving body 24. In Figure 4 it is expressed that the coupling depth of the receiving body 24 and the center sleeve 10 on both sides are assembled differently. After the user inserts the reinforcing bar (1) by turning the receiving body 24 to show that the reinforcement can be more firmly fixed. Looking at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body 24, it has an inner diameter slope 25 inclin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coupling portion 26, that is, toward the central sleeve 10 from the reinforcing rod 22. From the end point of the inner diameter slope 25 is processed to a non-inclined surface to achieve a constant inner diameter.

철근고정편(28, 28')은 동일한 형태의 1조의 조각이 각각 대략 반원 형태로 수용부몸체(24)의 전체 내경면과 접촉되면서 서로 대칭적으로 대향하고 있다(도 5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철근고정편(28, 28')을 두 조각이 1조를 이루도록 구성하였지만 세 조각이 1조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Reinforcing piece (28, 28 ') are symmetrically opposed to each other while a pair of pieces of the same shape are in contact with the entir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24) in the form of a semi-circle, respectively (see Fig. 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are configured so that two pieces constitute a pair, but three pieces may constitute a pair.

철근고정편(28, 28')의 각 조각의 형상은 대략, 상기 수용부몸체(24)의 내경 사면(25)에 접촉되는 형상으로 경사진 외측 사면(27, 27')과, 삽입구(22) 쪽의 선단부(29, 29') 및 그 반대쪽의 종단부(31, 31')로 이루어진다. 철근고정편(28, 28')의 각 조각은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으로 위치하며 그 각각의 배면(즉, 반원의 볼록면)은 수용부몸체(24)와 결합부(도 3의 26)의 전체 내경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들 1조의 철근고정편(28, 28')의 대향측(즉, 반원의 오목면)이 이루는 공간에는 이들 철근고정편(28, 28')을 방사상으로 밀어 내어 서로 이격시켜서 수용부몸체(24)의 내경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이격판(34)이 끼워져 있다. 철근고정편(28, 28')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차후에 설명한다.The shape of each piece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is approximately in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lope 25 of the receiving body 24, and the inclined outer slopes 27 and 27' and the insertion opening 22 ) End portions 29, 29 'and opposite ends 31, 31'. Each piece of reinforcing piece 28, 28 'is positioned symmetrically to face each other and its back (i.e., the convex surface of the semicircle) is the entirety of the receptacle body 24 and the engaging portion (26 in FIG. 3). It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urface. In the space formed by the opposite sides of the pair of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i.e., the concave surface of the semicircle),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are radially push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body 24. Spacer plate 34 is fit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will be given later.

탄성작용부(30)는 일측은 개방되어 있고 타측에는 폐쇄면(32)이 있는 통체로서 대략 'ㄷ'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다. 폐쇄면(32)이 중앙슬리브(10) 쪽을 향하도록, 그리고 개방측이 철근수용부(20)의 결합부(26)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탄성작용부(30)의 외직경은 철근수용부(20)의 내직경보다 작아야 할 것이다. 탄성작용부(30)의 원주 주변부에는 스프링(36, 36')이 철근고정편(28, 28')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추후 도 8a, 8b를 통해 자세히 설명함). 각 철근고정편(28, 28')의 양단 중 종단부(31, 31')가 각각 이들 스프링(36, 36')에 접촉된다. 탄성작용부(30)는 도 5에는 A-A'의 절개 위치상 표현되지 않았다. 별도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is a cylindrical body having one side open and the other end having a closing surface 32 and having a longitudinally shaped 'c' shape. It is assembled so that the closing surface 32 faces the central sleeve 10 and the open side enters the inside of the engaging portion 26 of the reinforcing bar 20. Therefore, the outer diameter of the elastic action portion 30 should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20. At the circumferential periphery of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springs 36 and 36 ′ are installed so that an elastic force acts toward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A and 8B). The ends 31 and 31 'of both ends of each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are in contact with these springs 36 and 36 ', respectively.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is not represented on the cut position of A-A 'in FIG. It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도 6은 중앙슬리브(10)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의 외부 사시도와 함께 참조한다. 중앙슬리브(10)는 전체적으로 슬리브 형태의 통체(38)이며, 그 내경면에 나사산(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방향 기준으로 대략 중앙 위치의 내부에는 이 통체(38)를 횡으로 가로지르는 횡벽(42)이 있다. 이 횡벽(42)의 양측으로 도 3과 같이 각각 철근수용부(20)가 결합되고 각 철근수용부(20)마다 철근(1)이 삽입된다. 횡벽(42)에는 중앙에 관통공(4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관통공은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entral sleeve 10. Reference is made in conjunction with the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FIG. 3. The central sleeve 10 is a cylinder 38 in the form of a sleeve as a whole, and a thread 40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thereof. There is a transverse wall 42 which traverses the cylinder 38 laterally in an approximately central position on the axial basis. Rebar accommodating parts 20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ransverse wall 42 as shown in FIG. 3, and rebar 1 is inserted into each rebar accommodating part 20. The transverse wall 42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44 in the center, which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도 7은 철근수용부(20)의 단면도이다. 철근수용부(20)도 하나의 통체로서 수용부몸체(24)와 그 내경 사면(25) 그리고 결합부(26)에 대해서는 앞에서 언급하였다. 결합부(26)의 외경면에는 나사산(46)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몸체(24)는 결합부(26)보다 단차(48)를 두고 약간 더 외직경이 큰 것으로 되어 있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다시 도 4를 되돌아보면, 수용부몸체(24)의 내경 사면(25)에는 철근고정편(28, 28')의 외측 사면(27, 27')이 접촉하게 될 것이고, 결합부(26)의 내부 직면(23)에는 탄성작용부(30)의 외경면이 들어가게 될 것이다. 내경 사면(25)과 내부 직면(23)은 단차(50)를 두고 이어진다.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이 단차(50)는 철근고정편(28, 28')에 있는 다른 단차(62, 62')가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관하여는 추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bar 20. The reinforcing bar 20 is also mentioned as the body about the receiving body 24, its inner diameter 25 and the coupling part 26 as a single cylinder. A thread 46 is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6. Receiving portion body 24 is a slightly larger outer diameter with a step 48 than the engaging portion 26, but is not essential. 4 again, the inner slopes 25 of the receiving body 24 will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lopes 27, 27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28', and the coupling portion 26 The inner facing 23 will enter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The inner slope 25 and the inner facing 23 run with a step 50.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tep 50 serves to catch other steps 62 and 62 'in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도 8a는 탄성작용부(30)의 종단면도이고 도 8b는 횡단면도이다. 두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탄성작용부(30)는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일측은 개방면이고 타측은 폐쇄면(32)이 있는 'ㄷ'형 통체이다. 폐쇄면(32)의 주변부에는 개방면 쪽으로 스프링(36, 36')이 수납되는 공간을 이루도록 벽(54, 56)(54', 56')이 폐쇄면(32)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수직벽(54, 56)(54', 56')은 도 8b에서처럼 통체의 주변부 양측에 대칭 위치에 각각 반원형 공간을 이루도록 세워진다. 각 수직벽(54, 56)(54', 56')이 이루는 반원형 공간 안에 스프링이 수납된다. 도 8a의 표현은 개념 설명도로서 두 개의 스프링(36, 36')을 표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 8b에서와 같이 수직벽(54, 56)(54', 56')이 이루는 한 조의 반원형 공간 내에 각각 두 개씩의 스프링(36a 36b)(36a', 36b')이 수납된다. 스프링의 개수, 형태, 유형은 임의적이다. 가령, 도면에서는 타원 단면의 탄창형 스프링을 표시하였으나, 실제로는 그 밖에 탄성력을 수직으로 작용시키는 한 어떠한 형태의 스프링(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도 사용가능하다. 8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and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The two drawings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reference. As mentioned above,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is a 'c' type cylinder having one open side and the other closed side 32. At the periphery of the closing face 32, walls 54, 56, 54 ′ and 56 ′ ar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 32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prings 36 and 36 ′ are received toward the opening face. . These vertical walls 54, 56 (54 ', 56') are erected to form semicircular spaces at symmetrical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periphery of the cylinder, as in FIG. 8B. The spring is stored in a semicircular space formed by each of the vertical walls 54 and 56 (54 'and 56'). The representation of FIG. 8A shows two springs 36, 36 ′ as conceptual explanatory diagrams, but in practice a set of semi-circular spaces formed by vertical walls 54, 56 (54 ′, 56 ′) as in FIG. 8 b. Two springs 36a 36b, 36a 'and 36b'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therein. The number, shape, and type of springs are arbitrary. For example, the figure shows an elliptical cross-section magazine spring, but in practice any type of spring (coil spring, leaf spring, etc.) can be used as long as the elastic force is applied vertically.

수직벽들 중 안쪽에 있는, 즉, 중심부에 가까운 쪽에 있는 수직벽(56, 56')의 말단부는 각각 그 내부 공간 안쪽으로 단차(55, 55')를 갖고 있다. 이 단차(55, 55')는 두 가지 역할을 한다. 하나는 안에 수납된 스프링(36, 3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시에 철근고정편(28)의 종단부(31)에 있는 훅(도 9의 70)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한다.The distal ends of the vertical walls 56, 56 'which are inward of the vertical walls, i.e., closer to the center, respectively have steps 55, 55' into the interior space thereof. These steps 55 and 55 'play two roles. One is to prevent the springs 36 and 36 'stored therein from being detached, and the other is to be engaged with a hook (70 in FIG. 9) at the end 31 of the rebar fixing piece 28 in use. It is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9는 1조의 철근고정편(28, 28')의 종단면도이다. 횡단면은 도 5를 참조바라고, 대략적인 외관 사시도는 도 3을 참조바란다. 각 철근고정편(28, 28')은 철근수용부(20)의 내경면, 특히, 내경 사면(25)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철근수용부(20) 내에서 방사상으로 내경에 접촉되고 축방향으로 전후 이동하여 철근을 적절한 위치에서 물어서 고정하는 웨지(쐐기)의 역할을 한다(도 4 참조). 각 철근고정편(28, 28')의 횡단면은 대략 반원 형태인데(도 5 참조), 한 조의 반원형 조각이 서로 대칭형으로 마주보고 있으며, 그 등쪽(배면, 볼록면)은 철근수용부(20)의 내경면에 접촉되고, 서로 마주보는 배쪽(오목면)이 이루는 공간에 철근(1)이 삽입되어 물리게 된다.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set of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 See Figure 5 for a cross section and Figure 3 for an approximate exterior perspective view. Each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 is manufactur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20, in particular, the inner diameter slope 25, and radially in the reinforcing bar 20 in the inner diameter. It is contacted and moved back and forth in the axial direction to serve as a wedge (wedge) to bite and secure the reinforcement in the appropriate position (see Figure 4). The cross sections of each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are approximately semicircular (see FIG. 5), and a set of semicircular pieces face each other symmetrically, and the back side (the back and the convex surface) is the reinforcing bar 20. Reinforcing bar (1) is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abdominal side (concave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facing each other.

한 조의 철근고정편(28, 28')은 서로 대칭형이므로 도 9의 윗부분에 표시한 하나의 철근고정편(28)에 대해서만 대표로 설명하기로 한다. 철근고정편(28)은 중앙 몸통(56)을 중심으로 그 축방향 양측에, 철근삽입구(22) 쪽을 향하는 선단부(29)와 탄성작용부(30) 쪽을 향하는 종단부(31)를 갖는다. 중앙 몸통(56)의 등쪽은 축방향으로 경사지지 않은 비경사면(61)이며 이 비경사면(61)은 외측 사면(27)과 이어진다. 비경사면(61)과 외측 사면(27)이 만나는 곳에는 단차(62)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 몸통(56)의 안쪽(반원형의 오목면)에는 내측으로 융기되어 있는 내측 융기부(58)가 있다. 이 내측 융기부(58)의 표면에는, 대향하는 중앙 몸통(56')의 안쪽과의 사이에 이격판(도 4의 34)을 끼우고 나서 이 이격판(34)이 미끄러지지 않고 제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요철면(60)이 형성되어 있다. Since a set of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are symmetric with each other, only one rebar fixing piece 28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9 will be described as a representative. The rebar fixing piece 28 has a tip portion 29 facing the reinforcing rod opening 22 and an end portion 31 facing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body 56 in the axial direction thereof. . The dorsal side of the central torso 56 is a non-sloped surface 61 which is not inclin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non-sloped surface 61 is connected to the outer slope 27. A step 62 is formed at the place where the non-inclined surface 61 and the outer slope 27 meet. Inside the central trunk 56 (semi-circular concave surface) there is an inner ridge 58 that is raised inward. On the surface of this inner ridge 58, the spacer 34 (34 in FIG. 4) is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opposing central trunk 56 ′ so that the spacer 34 is in place without slipping. The uneven surface 60 to hold | maintain is formed.

선단부(29)는 철근삽입구(도 4의 22) 위치로부터 외측 사면(27)이 시작되는 지점으로서, 상기 내측 융기부(58)의 표면, 즉, 요철면(60)과 대략 동일한 가상면 상에 있는 내측 직면(33)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 내측 직면(33)과 이 선단부(29)의 가장 끝부분의 단면(마구리)과의 사이는 철근삽입구(22) 쪽을 향하여 경사져 있어서, 철근(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차후 도 10에 관한 설명 내용 참조요). The tip portion 29 is the point where the outer slope 27 starts from the reinforcing hole insertion position (22 in FIG. 4), and is on the surface of the inner ridge portion 58, that is, on an imaginary surface approximately equal to the uneven surface 60. Inward facing 33. And between this inner side face 33 and the end surface (curling) of the tip part 29 of this tip part, it inclines toward the reinforcing hole 22 side, and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ar 1 becomes easy (later on) See description with respect to FIG. 10).

그리고 이 선단부(29)와 내측 융기부(58) 사이에는, 내측 직면(33)과 요철면(60)보다 더 오목하게 들어간 선단측 함입부(64)가 있다. 도 9에서 선단측 함입부(64)의 폭은 w로 나타내었고, 함입깊이, 즉, 내측 직면(33)의 높이는 h로 나타내었다. 선단측 함입부는 철근의 마디 돌기(도 1의 4)가 들어가게 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w는 최소한, 철근의 마디 돌기(도 1의 4)의 축방향 폭보다 커야 하며, h는 최소한, 철근의 마디 돌기(도 1의 4)의 방사상 돌출 높이보다 커야 한다. 또한 내측 융기부(58)의 표면, 즉, 요철면(60)은 종단부(31) 쪽을 향해 상기 선단측 함입부(64)와 대략 동일한 함입깊이 h로 종단측 함입부(66)와 이어진다. 그리고 이 종단측 함입부(66)는 종단 쪽을 향해 가면서 다시 2차로 함입되는 종단 내측직면(68)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종단부(31)를 이루게 된다. 종단부 내측직면(68)의 끝 부분에는 훅(70)이 돌출되어 있다. Between the tip portion 29 and the inner ridge 58, there is a tip side depression 64 that is recessed more than the inner face 33 and the uneven surface 60. In FIG. 9, the width of the tip side depression 64 is denoted by w, and the depth of depression, that is, the height of the inner facing 33 is denoted by h. The tip-side depression is a portion into which the bar protrusion (4 in FIG. 1) enters. Thus, w must be at least greater than the axial width of the reinforcement nodules (4 in FIG. 1) and h must be at least greater than the radial protrusion height of the reinforcement nodules (4 in FIG. 1).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inner ridge 58, that is, the concave-convex surface 60, extends toward the terminal portion 31 toward the terminal portion 31 with the depth of depression h approximately equal to the tip side recess 64. . The terminal side recess 66 forms a terminal inner side surface 68 which is secondly recessed again toward the terminal side to finally form the terminal 31. The hook 70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terminal inner side surface 68.

선단측 함입부(64)와 종단측 함입부(66)의 측벽은 선단방향 및 종단방향으로 모두 경사져 있다. 향후에 철근(1)이 삽입되면 철근의 마디 돌기가 이들 함입부(64, 66) 속에 들어가게 되는데, 철근(1) 삽입시에 함입부(64, 66)의 측벽에 걸려도 부드럽게 계속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 형성된 것이다. 함입부(64, 66)의 작용에 대해서는 마지막에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The side walls of the tip-side depression 64 and the end-side depression 66 are inclined both in the tip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future, when the reinforcing bar 1 is inserted, the bar protrusions of the reinforcing bar enter into these recesses 64 and 66. When the rebar 1 is inserted, the bar can be smoothly moved even if it is caught by the side walls of the recesses 64 and 66.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operation of the depressions 64 and 6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at the end.

도 10은 지금까지 설명한 철근연결기에 철근을 삽입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중앙슬리브(10)의 한 쪽에만 철근을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다. 철근을 삽입하기 전인 도 4의 우측 부분,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각 부분품들을 도시한 도면들과 비교하여 설명한다.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described abov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only on one side of the center sleeve 10. Before inserting the rebar, the right part of FIG. 4 and the above-described parts will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the drawings.

먼저, 도 4와 같이 건축 현장에서 철근삽입구(22)에 철근(1)을 삽입하기 전의 철근연결기에 대해 보충 설명한다. 중앙슬리브(10)의 내부 횡벽(도 4의 42)에 탄성작용부(30)가 그 폐쇄면(32)이 접촉되도록 삽입되고, 탄성작용부(30)에 있는 각 스프링(36, 36')에 한 조의 철근고정편(28, 28')의 각 종단부(31, 31')가 접촉되도록 삽입된다. 이들 탄성작용부(30)와 철근고정편(28, 28')이 철근수용부(20)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철근수용부(20)의 결합부(도 5와 도 7의 26)의 외경면 나사산(46)이 중앙슬리브(10) 내경면 나사산(40)에 체결된다. 그리고 철근고정편(28, 28')을 방사상으로 벌려 놓기 위하여, 대향하고 있는 철근고정편(28, 28')의 안쪽 요철면(60, 60') 사이에 이격판(34)을 끼워 넣어서 철근고정편(28, 28')의 중앙 몸통(56, 56')의 등쪽 비경사면(61, 61')이 철근수용부(20)의 결합부(26)의 내경면에 밀착되고 철근고정편(28, 28')의 외측 사면(27, 27')이 수용부몸체(24)의 내경 사면(25)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들 비경사면(61)은 도 4에서는 결합부(26)의 내경면에 접촉되어 있지만, 도 10에서는 철근고정편(28, 28')의 위치가 이동되어 수용부몸체(24)의 내경 사면(25)에 일부가 접촉하게 된다.First,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before inserting the reinforcing bar 1 into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port 22 in the building site as shown in Figure 4 will be described. An elastic acting portion 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lateral wall of the central sleeve 10 (42 in FIG. 4) such that its closing surface 32 is in contact with each spring 36, 36 ′ in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Each end portion 31, 31 'of a set of reinforcing bar pieces 28, 28' is inserted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refer to FIGS. 5 and 7) of the reinforcing bar 20 so that the elastic action unit 30 and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 enter the inside of the reinforcing bar 20. The thread 46 is fastened to the inner diameter surface thread 40 of the central sleeve 10. In order to radially open the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 the spacer plate 34 is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uneven surfaces 60 and 60' of the opposing bar fastening pieces 28 and 28 '. The dorsal non-inclined surfaces 61, 61 'of the central torso 56, 56' of the fixing piece 28, 28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6 of the reinforcing bar 20 and the rebar fixing piece ( The outer slopes 27 and 27 'of 28 and 28'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lope 25 of the receiving body 24. These non-inclined surfaces 61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6 in FIG. 4, but in FIG. 10, the positions of the reinforcing bar fixing pieces 28 and 28 ′ are shift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24 ( 25) part of the contact.

도 4에서는 좌측의 철근수용부(20)와 우측의 철근수용부(20)의 위치가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좌측에는 철근수용부(20)가 중앙슬리브(10)의 내측으로 더 많이 들어가도록 수용부몸체(24)를 돌려서 집어 넣은 것을 나타내고, 우측에는 철근수용부(20)를 덜 돌려서 중앙슬리브(10) 내측으로 조금만 들어가도록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좌측에서는 철근수용부(20)를 많이 돌려 넣었기 때문에 그 내경 사면(25)에 의해 철근고정편(28, 28')의 외측 사면(27, 27')이 밀려서 그 종단부(31, 31')가 스프링(36, 36')을 더 많이 압축시키고 있다. 반면에, 우측에서는 철근수용부(20)를 적게 돌려 넣었기 때문에 그 내경 사면(25)에 접촉하는 철근고정편(28, 28')의 외측 사면(27, 27')이 덜 밀려 들어가고 그에 따라 종단부(31, 31')가 스프링(36, 36')을 덜 압축시키고 있다. 이때, 수용부몸체(24)와 결합부(26)의 내경면에 있는 단차(50)와 철근고정편(28, 28')의 등쪽에 있는 단차(62, 62')가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수용부몸체(24)를 돌려서 철근수용부(20)를 중앙슬리브(10) 쪽으로 넣으면 그에 따라 내부에 있는 철근고정편(28, 28')도 함께 중앙슬리브(10) 쪽으로 들어가고 스프링(36, 36')을 압축하게 되는 것이다. 좌측이든 우측이든 모두, 철근고정편(28, 28')의 외측 사면(27, 27')은 스프링(36, 36')의 탄성 반발 작용에 의해서 철근수용부(20)의 수용부몸체(24)의 내경 사면(25)과 항상 밀착되어 있게 된다.In FIG. 4, the positions of the reinforcing bar 20 on the left side and the reinforcing bar 20 on the right side are represented differently. The left side shows that the receptacle receiving part 20 is turned into the receptacle body 24 so that the reinforcing part 20 enters the inner side of the center sleeve 10 more, and the right side of the reinforcing bar receiving part 20 is turned less to the center sleeve 10. It has shown that it was made to enter a little inside. On the left side, since the reinforcing bar portion 20 is rotated a lot, the outer slopes 27 and 27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are pushed by the inner diameter slope 25 to terminate the end portions 31 and 31 '. ) Is compressing more of the springs 36, 36 '. On the other hand, on the right side, since the rebar receiving portion 20 is turned less, the outer slopes 27 and 27 'of the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lope 25 are pushed in less. The ends 31, 31 ′ are less compressive of the springs 36, 36 ′. At this time, because the step 50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receiving body 24 and the engaging portion 26 and the step 62, 62 'on the back side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28'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reinforcing body 24 is turned to insert the receptacle receiving portion 20 toward the center sleeve 10, the reinforcing bar fixing pieces 28 and 28 ′ also enter the center sleeve 10 together with the springs 36 and 36 '. ) Will be compressed. Whether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the outer slopes 27, 27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28' are provided with the receiving body 24 of the receptacle receiving portion 20 by the elastic repulsive action of the springs 36, 36 '. It always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25 of).

이제, 도 10에서와 같이 철근수용부(20)의 철근삽입구(22)에 철근(1)을 삽입하면 이격판(34)이 철근(1)에 의해 분리되고 철근(1)은 계속 삽입되어 탄성작용부(30)의 폐쇄면(32)까지 진입하여 멈추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철근삽입구(22)로 철근(1)을 삽입하면 철근(1)의 선단면이 철근고정편(28, 28')의 선단부(29, 29')가 이루는 공간으로 들어가는데, 이때 선단부(29, 29')의 진입부 단면의 안쪽이 경사져 있으므로 철근(1)이 용이하게 철근고정편(28, 28')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철근의 표면에 있는 마디 돌기(4a, 4b, 4a', 4b') 중 가장 앞에 있는 마디 돌기(4a, 4a')가 삽입되면서 대향하는 철근고정편(28, 28')의 선단부(29, 29')가 이루는 공간을 지나가게 된다. 이때 계속하여 진입하면 중앙 몸통(56, 56')의 내측 융기부(58, 58')에 마디 돌기(4a, 4a')가 걸리게 되어, 철근고정편(28, 28')이 탄성작용부(30)쪽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외측 사면(27, 27')이 수용부몸체(24)의 내경 사면(25)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마주보는 내측 융기부(58, 58')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마디 돌기(4a, 4a')는 걸리지 않고 계속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철근(1)의 선단면이 폐쇄면(32)까지 도달하게 된다. Now, as shown in FIG. 10, when the reinforcing bar 1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hole 22 of the reinforcing bar 20, the spacer plate 34 is separated by the reinforcing bar 1, and the reinforcing bar 1 is continuously inserted and elastic. It enters and stops up to the closing surface 32 of the acting portion 30. It demonstrates more concretely. When the reinforcing bar 1 is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22,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1 enters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ends 29 and 29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Since the inside of the cross-section of the entrance of the ') is inclined, the rebar 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bar projections 4a, 4a 'on th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s 4a, 4b' and 4b 'are inserted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 29 ') passes through the space. At this time, if it continues to enter, the protrusions 4a and 4a 'are applied to the inner ridges 58 and 58' of the central body 56 and 56 ', so that the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are elastically elastic ( 3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acing inner ridges 58, 58 'is distant as the outer slopes 27, 27' slide along the inner diameter slope 25 of the receiving body 24. When the burrs 4a and 4a 'are not caught, they can continue and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1 reaches the closing surface 32.

철근(1)이 폐쇄면(32)에 의해 더 이상 진입을 하지 못하게 되면, 이 상태에서 약간 철근(1)을 후퇴시키는 등의 미세 이동에 의해서 철근(1)의 각 마디 돌기(4a, 4b, 4a', 4b')의 위치가 철근고정편(28, 28')의 선단측 함입부(64)와 종단측 함입부(66) 내에 들어가게 되고, 이에, 마디 돌기(4a, 4b, 4a', 4b')에 의해 저항을 받지 않게 된 철근고정편(28, 28')은 스프링(36, 36')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그 선단부(29, 29')가 철근삽입구(22) 쪽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에 내경 사면(25)을 타고 철근고정편(28, 28')의 외측 사면(27, 27')이 슬라이딩되면서 대향 철근고정편(28, 28')이 서로 오무라져 철근(1)을 꽉 물게 된다. 이로써 도 10에서와 같이 철근(1)의 마디 돌기(4a, 4b, 4a', 4b')는 각각 해당 위치에 놓인 종단측 함입부(66) 및 선단측 함입부(64)에 들어가게 되어 철근고정편(28, 28')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더욱이, 이 상태에서 철근수용부(20)의 수용부몸체(24)를 중앙슬리브(10) 쪽으로 더 돌려주면 각 마디 돌기(4a, 4b, 4a', 4b')와 그에 상응하는 종단측 함입부(66) 및 선단측 함입부(64)와의 위치가 더 정확하게 정렬될 것이다. When the reinforcing bar 1 can no longer enter by the closing surface 32, in this state, each node projection 4a, 4b, by fine movement such as retreating the reinforcing bar 1 slightly. 4a ', 4b') enters the tip-side depression 64 and the end-side depression 66 of the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 so that the nodal projections 4a, 4b, 4a', 4b '), the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which are not subjected to resistance are pushed toward the reinforcing hole 22 by the tips 29 and 29 'by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s 36 and 36'. At this time, as the outer slopes 27 and 27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slide on the inner diameter slope 25, the opposite reinforcing bar fixing pieces 28 and 28 'collapse to each other to reinforce the reinforcing bar 1. You will get tight.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 the node projections 4a, 4b, 4a ', and 4b' of the reinforcing bar 1 enter the terminal side recesses 66 and the tip side recesses 64, respectively,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It is more firmly fixed by the pieces 28 and 28 '. Furthermore, in this state, if the receiving body 24 of the reinforcing bar 20 is further rotated toward the center sleeve 10, each nodal protrusion 4a, 4b, 4a ', and 4b' and its corresponding longitudinal side recesses The position with 66 and tip side recess 64 will be more precisely aligned.

한편, 도 10에서 윗쪽 반원부에 있는 마디 돌기(4a, 4b)와 아래쪽 반원부에 있는 마디 돌기(4a', 4b')의 축방향 위치 편차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한 쪽의 철근고정편(28)과 다른 쪽의 철근고정편(28')이 독립해서 작동하므로 마디 돌기의 위치 편차에 상응하게 독립적으로 각 마디 돌기에 철근고정편(28, 28')이 물리게 되어, 연결 후의 철근의 슬립 현상이 제거된다. 도 10에서 마디 돌기 4a, 4b와 마디 돌기 4a', 4b'의 위치 편차에 대응하여 위쪽 철근고정편(28)의 위치와 아래쪽 철근고정편(28')의 위치가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형태의 철근(1)과 다른 형태의 비정형 철근의 경우에도 이와 동일한 원리로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n axial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nodal protrusions 4a and 4b in the upper semicircle and the nodal protrusions 4a 'and 4b' in the lower semicircl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is case, the rebar fixing piece 28 and the rebar fixing piece 28 'of the other operate independently, so that the rebar fixing piece 28 is independently formed in each nodal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al deviation of the nodal protrusion. , 28 '), thereby eliminating the slip phenomenon of the reinforcing steel bar after connection. In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of the upper rebar fixing piece 28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rebar fixing piece 28 ′ correspond to the positional deviations of the nodal protrusions 4a and 4b and the nodal protrusions 4a 'and 4b'.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inforcing bar 1 of the form shown in FIG. 10 and other forms of non-reinforcing bar can be firmly fixed on the same principle.

한편, 도 10에서 좌측에 표시한 철근고정편(28, 28')은 철근수용부(20)를 깊이 결합해놓지 않고 이격판(34)에 의해서 철근고정편(28, 28')이 최대로 벌어져 있게 됨으로써, 철근고정편(28, 28')의 등쪽이 철근수용부(20)의 내경면에 접촉하게 되어 그 종단부(31, 31')의 종단부 내측직면(68, 68')이 탄성작용부(30)의 안쪽 수직벽과 떨어지도록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때에 탄성작용부(30)의 안쪽 수직벽의 내공간쪽 단차(55, 55')는 온전히 스프링(36, 36')의 이탈 방지 역할을 하게 된다. 반면에, 우측에 표시한 철근고정편(28, 28')은 이격판(34)이 분리되었고 삽입된 철근(1)의 마디 돌기(4a, 4a', 4b, 4b')에 의해 밀려 있으며 이와 동시에 철근수용부(20)를 깊숙히 돌려 놓았기 때문에, 철근고정편(28, 28')이 탄성작용부(30) 쪽으로 밀리면서 각 철근고정편(28, 28')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 그 종단부(31, 31')의 종단부 내측직면(68, 68')이 탄성작용부(30)의 안쪽 수직벽에 접촉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탄성작용부(30)의 안쪽 수직벽의 내공간쪽 단차(55, 55')와 철근고정편(28, 28')의 훅(70)은 동일선상에 있게 된다. 혹시라도 철근고정편(28, 28')이 탄성작용부(30)로부터 멀어지더라도 이들 단차(55, 55')와 훅(70)이 맞물리게 되어 철근고정편(28, 28')의 완전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bar fixing piece (28, 28 ') shown on the left in Figure 10 is the rebar fixing piece (28, 28') is maximized by the spacer plate 34 without deeply coupling the reinforcing bar 20. By opening, the back sides of the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20, and the inner end surfaces 68 and 68' of the end portions 31 and 31 'of the reinforcing bars 28 and 28'. It can be seen that it is located away from the inner vertical wall of the elastic action portion (30). Therefore, at this time, the inner space side steps 55 and 55 'of the inner vertical wall of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serve to prevent the springs 36 and 36' from being completely separated. 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shown on the right side are separated by the separating plate 34 and pushed by the nodal protrusions 4a, 4a', 4b, and 4b 'of the inserted reinforcing bar 1. At the same time, since the reinforcing bar 20 is deeply turned,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are pushed toward the elastic action part 30,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becomes narrow. It can be seen that the terminal inner straight surfaces 68, 68 ′ of the ends 31, 31 ′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vertical walls of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Therefore, the inner space side steps 55 and 55 'of the inner vertical wall of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and the hooks 70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are on the same line. Even if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are moved away from the elastic acting portion 30, these steps 55 and 55' and the hook 70 are engaged to completely separate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 Can be prevented.

또한 도 10의 우측을 보면, 철근고정편(28, 28')의 사이가 좁아지게 되면서, 수용부몸체(24)의 단차(50)와 철근고정편(28, 28')의 단차(62, 62')의 맞물림이 해제되어서 철근고정편(28, 28')의 중앙 몸통(56, 56')의 비경사면(61, 61')이 수용부몸체(24)의 내경 사면(25)과 일부 접촉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right side of FIG. 10 is narrowed between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 the step 62 between the step 50 of the receiving body 24 and the rebar fixing pieces 28 and 28' is not included. 62 ') disengage so that the non-inclined surfaces 61, 61' of the central torso 56, 56 'of the rebar fixing pieces 28, 28' are partially with the inner diameter 25 of the receiving body 24. Contact.

철근(1), 리브(2,2'), 마디 돌기(4a,4a',4b,4b'), 중앙슬리브(10), 철근수용부(20), 철근삽입구(22), 내부 직면(23), 수용부몸체(24), 내경 사면(25), 결합부(26), 외측 사면(27,27'), 철근고정편(28,28'), 선단부(29,29'), 탄성작용부(30), 종단부(31,31'), 폐쇄면(32), 내측 직면(33,33'), 이격판(34), 스프링(36,36'), 스프링(36a,36b)(36a',36b'), 통체(38), 나사산(40), 횡벽(42), 관통공(44), 나사산(46), 단차(48), 단차(50), 수직벽(54,56)(54',56'), 단차(55,55'), 중앙 몸통(56,56'), 내측 융기부(58,58'), 요철면(60,60'), 비경사면(61,61'), 단차(62,62'), 선단측 함입부(64,64'), 종단측 함입부(66,66'), 종단 내측직면(68,68'), 훅(70,70') Reinforcing bars 1, ribs 2, 2 ', bar protrusions 4a, 4a', 4b, 4b ', central sleeve 10, reinforcing bar 20, reinforcing bar 22, inner facing 23 ), Receiver body 24, inner diameter slope 25, coupling portion 26, outer slope (27, 27 '), reinforcing bar piece (28, 28'), tip (29, 29 '), elastic action Part 30, end portions 31 and 31 ', closing surface 32, inner facing 33 and 33', spacer 34, springs 36 and 36 ', springs 36a and 36b ( 36a ', 36b'), cylinder 38, thread 40, transverse wall 42, through hole 44, thread 46, step 48, step 50, vertical wall 54, 56 (54 ', 56'), step (55, 55 '), central torso (56, 56'), medial ridge (58, 58 '), uneven surface (60, 60'), non-sloped surface (61, 61) ', Step (62, 62'), tip side recesses (64, 64 '), end side recesses (66, 66'), end inner straight (68, 68 '), hook (70, 70')

Claims (9)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 통체 형태의 중앙슬리브(10);
상기 중앙슬리브(10)의 양측의 중공에 삽입되며 철근삽입구가 포함된 중공 통체 형태로, 상기 중앙슬리브(10)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외경면 나사산(46)이 형성된 결합부(26)와, 이 결합부(26)가 있는 부분 이외 부분의 내경에 형성되어 그 내부 직경이 철근삽입구로부터 내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경사진 내경 사면(25)과, 상기 결합부(26)가 있는 부분의 내경에 형성된 내부 직면(23)과, 상기 내경 사면(25)과 내부 직면(23)을 연결하되 내부 직면(23)보다 더 직경으로 형성되는 단차(50)를 포함하는 철근수용부(20);
상기 철근수용부(20)의 중공 내에 들어가며 상기 철근수용부(20)의 전체 내경면과 접촉되면서 서로 대칭적으로 대향하고 있으며 철근이 삽입되면 철근을 물어 고정시키는 서로 대칭 형상인 2개 1조의 철근고정편(28, 28')을 포함하되;
상기 1조의 철근고정편(28, 28') 중 하나의 철근고정편(28)은, 배면에 축방향으로 경사지지 않은 비경사면(61)을 갖는 중앙 몸통(56)과, 중앙 몸통(56)을 중심으로 그 축방향 일측에, 상기 철근삽입구 쪽을 향하여서 철근을 받아들이는 선단부(29)와, 상기 중앙 몸통(56)과 상기 선단부(29)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비경사면(61)과 연결되며 상기 철근수용부(20)의 내경 사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경사진 외측 사면(27)과, 상기 중앙 몸통(56)의 측방향 타측에서 탄성작용부(30)의 탄성수단과 접촉하여 탄성력을 받는 종단부(31)와, 상기 선단부와 종단부의 사이에, 삽입된 철근의 마디 돌기를 수용하는 깊이로 형성된 함입부(64)와, 상기 비경사면(61)과 외측 사면(27)이 만나는 곳에서 비경사면(61)이 더 높게 형성되는 단차(62)와, 상기 중앙 몸통(56)의 상기 비경사면(61)의 반대 측에 융기되어 있는 내측 융기부(58)와, 이 내측 융기부(58)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면(60)을 추가로 포함하고;
일측은 개방되어 있고 타측에는 폐쇄면이 있는 'ㄷ'형 통체로, 폐쇄면이 상기 중앙슬리브(10)의 중공에 들어가고 개방측이 상기 철근수용부(20)의 내부로 들어가며 상기 철근고정편(28, 28')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수단의 탄성 작용에 의해서 상기 철근수용부(20)의 내경 사면에 상기 철근고정편(28, 28')의 외측 사면이 접촉되어 있게 하되, 상기 폐쇄면(32)의 주변부에는 개방면 쪽으로 스프링(36, 36')이 수납되는 공간을 이루도록 수직벽(54, 56)(54', 56')이 폐쇄면(32)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수직벽들 중 'ㄷ'형 통체의 중심에 가까운 쪽에 있는 수직벽(56, 56')의 말단부는 각각 중심 방향으로 단차(55, 55')를 포함하는 는 탄성작용부(3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1조의 철근고정편(28, 28')이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에 이들 철근고정편(28, 28')을 방사상으로 밀어 내어 서로 이격시켜서 상기 외측 사면을 상기 철근수용부(20)의 내경 사면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대향하는 내측 융기부(58, 58')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면(60, 60') 간의 사이에 끼워지는 판 형상의 이격판(34)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기.
A central sleeve 10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having a thread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thereof;
Coupling portion 26 is formed in the hollow cylinder form inserted into the hollow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sleeve 10, the outer cylinder surface thread 46 is coupled to the thread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ral sleeve 10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er And an inner diameter slope 25 formed at an inner diameter of a portion other than the portion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26 is located, and inclined so that the inner diameter thereof gradually increases inward from the reinforcing hole insertion portion, and the portion having the coupling portion 26. Reinforcing bars 20 including an inner face 23 formed at an inner diameter of the inner face 23 and a step 50 connected to the inner diameter face 25 and the inner face 23 but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inner face 23. ;
Two sets of reinforcing bars which enter the hollow of the receptacle receiving unit 20 and are symmetrically opposed to each oth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entir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receptacle unit 20. Including fixing pieces 28, 28 ';
One of the set of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includes a central body 56 having a non-inclined surface 61 which is not inclined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and a central body 56. On the axial one side of the center, the tip portion 29 for receiving the reinforcing bar toward the reinforcing rod insertion side, and located between the central body 56 and the tip portion 29 and the non-inclined surface 61 and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outer slope 27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slope of the reinforcing portion 20 and the elastic forc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means of the elastic action portion 30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body 56 Between the end portion 31 receiving the recess, the recess portion 64 formed to a depth for accommodating the burrs of the inserted reinforcing bar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and the end portion, and the non-inclined surface 61 and the outer slope 27 meet each other. Where the non-slope surface 61 is formed higher and the opposite of the non-slope surface 61 of the central torso 56 An inner ridge 58 raised to the side and an uneven surface 6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ner ridge 58;
One side is open and the other side of the 'c' type cylinder with a closed surface, the closed surface enters the hollow of the central sleeve 10 and the open side enters the interior of the reinforcing bar 20 and the reinforcing bar fixing piece ( 28, 28 ') by the elastic action of the elastic means for applying the elastic force toward the inner slope of the reinforcing bar 20, the outer slope of the reinforcing bar piece (28, 28') is in contact, the closure At the periphery of the face 32, vertical walls 54, 56 (54 ', 56') are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 32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prings 36, 36 'are received toward the open face. , The distal ends of the vertical walls 56, 56 'on the side closer to the center of the'c'-shaped cylinder among the vertical walls, respectively, include an elastic acting portion 30 including a step 55, 55 'in the center direction. Including;
The inner slope of the reinforcing bar 20 is obtained by pushing the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radially out from each other in a space in which the set of reinforcing bar pieces 28 and 28' faces each other. And a plate-shaped spacer plate 34 interposed between the uneven surfaces 60 and 60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opposing inner ridges 58 and 58' to be in close contact therewith. Rebar coupl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슬리브(10)를 내부에서 횡으로 가로지르는 횡벽(42)을 추가로 포함하는 철근 연결기.2.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ransverse wall (42) transversely transversely within said central sleeve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선단측 함입부와 종단측 함입부의 측벽은 선단방향 및 종단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기.2. The reinforcing bar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walls of the tip side recess and the end side recess are inclined surfaces inclined in the tip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삭제delete
KR1020170043618A 2017-04-04 2017-04-04 Rebar coupler KR1019698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618A KR101969820B1 (en) 2017-04-04 2017-04-04 Rebar coup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618A KR101969820B1 (en) 2017-04-04 2017-04-04 Rebar coup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86A KR20180112486A (en) 2018-10-12
KR101969820B1 true KR101969820B1 (en) 2019-08-13

Family

ID=63876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618A KR101969820B1 (en) 2017-04-04 2017-04-04 Rebar coup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82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743A (en) 2018-12-17 2020-06-25 이선호 Rebar coup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94B1 (en) * 2003-04-18 2004-08-09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Coupling device for iron rod
KR101039120B1 (en) * 2011-03-08 2011-06-07 김현호 One-touch reinforcing bar coupler
KR101161357B1 (en) * 2011-03-05 2012-07-02 미래테크(주) Steel connecting device
KR200474814Y1 (en) * 2013-08-14 2014-10-15 홍의창 Coup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611B1 (en) * 1999-04-14 2001-09-26 노인환 Steel reinforcing coupler
KR101456517B1 (en) 2013-05-14 2014-10-31 (주) 호창엠에프 Joining coupl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594B1 (en) * 2003-04-18 2004-08-09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Coupling device for iron rod
KR101161357B1 (en) * 2011-03-05 2012-07-02 미래테크(주) Steel connecting device
KR101039120B1 (en) * 2011-03-08 2011-06-07 김현호 One-touch reinforcing bar coupler
KR200474814Y1 (en) * 2013-08-14 2014-10-15 홍의창 Coup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86A (en)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732B1 (en) Steel Connecting coupler
KR102068303B1 (en) A coupler for steel reinforcing bar
TWI393548B (en) Telescopic extension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KR101969820B1 (en) Rebar coupler
KR20200017698A (en) One-touch type ferrule coupler
KR200423810Y1 (en)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KR20100009774A (en)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EP3617417A1 (en) Reinforcing bar coupler
JP2006515393A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101037390B1 (en) Shovel plow
KR102180951B1 (en) A coupler for steel reinforcing bar
KR200286101Y1 (en) steel reinforcement connector
KR20130143331A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200341839Y1 (en) Connection device for steel reinforcement
KR200321183Y1 (en) Connection device for steel reinforcement
KR20050029453A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100486172B1 (en) Connector of steel reinforcing
KR101190382B1 (en) Sliding type reinforcing iron rod connecting device
KR100272745B1 (en) A connector of concrete reinforcing bar
KR102163592B1 (en)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
KR100372832B1 (en)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KR200493862Y1 (en) Quik rebar coupler
KR102618757B1 (en)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JP4400785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rod-shaped bodies
KR200234870Y1 (en)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