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761B1 - 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consecutive output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consecutive out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761B1
KR101969761B1 KR1020120000686A KR20120000686A KR101969761B1 KR 101969761 B1 KR101969761 B1 KR 101969761B1 KR 1020120000686 A KR1020120000686 A KR 1020120000686A KR 20120000686 A KR20120000686 A KR 20120000686A KR 101969761 B1 KR101969761 B1 KR 10196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output
information
contents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9917A (en
Inventor
이지영
고희현
허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Priority to KR102012000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761B1/en
Publication of KR2013007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9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로 분리된 컨텐츠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연속 출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하여 컨텐츠 연속 출력 방법은 제 1 링크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링크로부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컨텐츠의 소정 영역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continuous outpu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outputting a plurality of separated content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ontinuously outputting content includes obtaining information of a first content from a first link and obtaining information of a second content from a second link; Stor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in a memory; Outputting at least a part of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outputt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ontents in connection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tents whe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first contents is outputted.

Description

컨텐츠 연속 출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CONSECUTIVE OUTPU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continuous output method,

본 발명은 컨텐츠 연속 출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개로 분리된 컨텐츠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연속 출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continuous output method and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continuous outpu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outputting a plurality of separated contents.

일반적으로 웹툰 서비스의 컨텐츠는 한 작품 당 다수의 개별 회차로 구성되고 있다. 다수의 개별 회차로 구성된 컨텐츠는 각각의 링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들은 컨텐츠의 목록을 통해 각각의 링크에 접근하여 개별 회차에 포함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Generally, the contents of the webtoon service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times per work. The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times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each link. Users can access each link through a list of content and use the content contained in the individual content.

하지만, 다수의 개별 회차로 구성된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들은 반복적으로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컨텐츠가 제공될 때마다 대기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사용자 액션이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order to receive a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episodes, users have to perform tasks for repeatedly receiving contents and wait for each time the contents are provided, so that a lot of time and user actions are consumed.

또한, 사용자들은 한꺼번에 감상하고 싶은 컨텐츠가 연결되어 제공되지 않아 다수의 사용자 액션을 감수해야 하므로, 하나의 웹툰을 첫 회부터 마지막 회까지 집중력있게 볼 수 없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s want to listen to a large number of user actions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not concentrate on one webtoon from the first time to the last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의 개별 회차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한 화면에서 출력할 수 있는 컨텐츠 연속 출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continuous output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ly outputting content on a screen by connecting individual times of cont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링크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링크로부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컨텐츠의 소정 영역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속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cquiring information of a first content from a first link and acquiring information of a second content from a second link; Stor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in a memory; Outputting at least a part of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continuously outputt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ontents in connection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tents whe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first contents is outputted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링크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링크로부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 1 컨텐츠의 소정 영역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속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a first content from a first link and acquiring information of a second content from a second link;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continuously outpu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tent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ontent whe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first content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A continuous output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한번의 컨텐츠 선택으로 상이한 개별 회차의 링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연속하여 감상할 수 있어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links of different individual times can be viewed consecutively with one content selection, which is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 스크롤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 없이 복수의 컨텐츠를 연결하여 감상할 수 있어 편리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tents can be connected and appreciated without scrolling the user through the automatic scroll function, which is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속 출력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속 출력 시스템의 출력 장치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부분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속 출력에 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continuous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utput apparatus of a content continuous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portion chan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m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ent continuous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terms " part, " " module, "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속 출력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continuous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속 출력 시스템은 출력 장치(110) 및 서버(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content continuous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put apparatus 110 and a server 120.

출력 장치(110)는 서버(120)로부터 컨텐츠의 정보 및 컨텐츠의 목록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한다. 또한, 출력 장치(110)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로부터 제 1 컨텐츠가 요청된 경우, 출력장치(110)는 서버(120)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device 110 obtains content information and list information of contents from the server 120 and outputs th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output device 11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for receiving a request from the user, and may output the content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user. In an embodiment, when the first content is requested from the user, the output device 110 may obtain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from the server 120 and output the information.

서버(120)는 컨텐츠의 정보 및 컨텐츠의 목록 정보 등을 저장한다. 서버(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의 정보 및 컨텐츠의 목록 정보를 출력 장치(11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20)는 링크를 통해 컨텐츠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링크는 컨텐츠의 정보가 저장된 주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제 1 링크는 제 1 컨텐츠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포함하고, 제 2 링크는 제 2 컨텐츠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20)는 제 1 컨텐츠와 제 2 컨텐츠가 포함된 다수의 컨텐츠의 정보를 저장하고, 제 1 링크와 제 2 링크가 포함된 다수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120 stores content information and list information of contents. The server 120 may provide content information and list information of content to the output device 110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server 120 can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through the link. The link includes the address where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stored. In one embodiment, the first link includes a memory address in which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is stored, and the second link may include a memory address in which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is stored. The server 120 may store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contents includ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nks includ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속 출력 시스템의 출력 장치에 관한 구성도이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utput apparatus of a content continuous outpu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11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제어부(230) 및 출력부(240)를 포함한다.2, an output apparatus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storage unit 220, a control unit 230, and an output unit 240.

통신부(21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서버(120)로부터 컨텐츠의 목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사용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로 컨텐츠 사용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부(210)는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목록 정보를 서버(120)로 요청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acquire the list information of the content from the server 120 based on the input from the user. The output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face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a request for content use from the user. When the content usage request signal is received by the interface unit, The server 120 may request the list information of the contents.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로부터 연속 출력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연속 출력 요청 신호는 상이한 링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한 화면에서 연속하여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The interface unit may receive a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he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is a signal requesting to output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different links on a continuous screen.

연속 요청 신호에는 연속 출력이 시작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2 컨텐츠부터 연속하는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컨텐츠는 출력되지 않고, 제 2 컨텐츠에 이어 제 3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The consecutive request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t which the continuous output starts. For example, the user may request that the content be output from the second content. In this case, the first content may not be output, and the third content may be output following the second content.

또한, 연속 요청 신호에는 연속하여 출력할 컨텐츠가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컨텐츠, 제 2 컨텐츠, 제 4 컨텐츠가 연속하여 출력되도록 요청 할 수 있다.Also, the content to be continuously output can be specified in the continuation request signal. For example, the user may request that the first content, the second content, and the fourth content be continuously output.

통신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연속 출력 요청이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서버(120)에 요청하고,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통신부(210)는 연속 출력 요청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속 출력이 시작되는 컨텐츠 또는 연속 출력되도록 지정된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연속 출력 요청 신호에 연속 출력이 시작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통신부(210)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내역에 기초하여 연속 출력이 시작되는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 4 컨텐츠가 마지막으로 출력된 경우, 통신부(210)는 제 5 컨텐츠부터 연속 출력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When a continuous output request is received from a user,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quests the server 120 for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contents,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contents from the server 120. [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identify the content to be continuously output or the content designated to be continuously output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When the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does not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ntent in which the continuous output starts,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determine the content in which the continuous output is started based on the content usage history of the user. For example, if the fourth content is lastly output to the user,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determine to continuously output the fifth content.

한편, 인터페이스부로 연속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고, 특정 컨텐츠의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통신부(210)는 서버(120)로부터 특정 컨텐츠의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is not received at the interface unit and an output request signal of a specific content is received, the communication unit 210 can acquire only information of a specific content from the server 12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종래와 같이 하나의 컨텐츠만을 선택할 수도 있고, 연속 출력을 선택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 only one content and the continuous output as in the conventional art, and can meet all the various requirements of the user.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로부터 출력 부분의 변경을 요청하는 스크롤 이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 부분의 변경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interface unit may receive a scroll movement signal requesting a change of the output portion from the us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hange of the output portion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저장부(220)는 통신부(210)가 획득한 컨텐츠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출력부(240)로부터 컨텐츠의 출력이 완료되면, 저장부(220)는 출력이 완료된 컨텐츠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storage unit 220 may store information of the content acquir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10. When the output of the content from the output unit 240 is completed, the storage unit 220 can delete information of the output cont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제어부(23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출력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요청의 대응하여 컨텐츠가 획득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출력 부분이 변경되도록 제어하거나 컨텐츠가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3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storage unit 220, and the output unit 240. The control unit 230 can control so tha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user's request is acquired and outpu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3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to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or may be controlled such that the content is connected and output continuously.

사용자가 연속 출력을 요청한 경우, 제어부(230)는 제 1 컨텐츠의 소정 범위가 출력되는지를 확인하고, 제 1 컨텐츠의 소정 영역이 출력되는 경우 제 2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제 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되어 출력되도록 출력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a user requests continuous output, the controller 230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range of the first content is output. If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rst content is output,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ontent and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tent So that the output unit 240 can be controlled to be connected.

또한, 사용자로부터 스크롤 이동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스크롤 이동에 대응하여 출력 부분이 변경되도록 출력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서는, 제어부(230)가 사용자의 입력 없이 소정 시간마다 스크롤 이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스크롤 이동 신호에는 출력 범위를 변경하기 위한 변경 범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crolling movemen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23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240 to change the outpu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croll movement.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230 may generate a scrolling movement signal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without the user's input, and the scrolling movement signal may include the scrolling range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output range.

출력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의 정보 및 컨텐츠의 목록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240 may output the content information and the content list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3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부분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utput portion chan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인터페이스부는 스크롤 이동 신호를 수신한다. 스크롤 이동 신호는 사용자로부터 출력 부분을 변경하기 위해 입력되는 신호로써, 변경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 소정 시간마다 스크롤 이동 신호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스크롤 이동 신호가 생성되는 주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0초마다 출력된 부분의 다음 부분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step S301, the interface unit receives the scroll movement signal. The scrolling movement signal may include change range information as a signal input to change the output portion from the user. In one embodiment, a scrolling movement signal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without the user's input. At this time, the period in which the scroll movement signal is generated can be arbitrarily designated by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can set the output of the next part of the output every 10 seconds.

단계 S302에서, 제어부(230)는 스크롤 이동 신호에 기초하여 출력 부분을 변경한다. 제어부(230)는 스크롤 이동 신호에 포함된 변경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부분을 변경할 수 있다.In step S302, the control unit 230 changes the output portion based on the scroll movement signal. The control unit 230 can change the output portion based on the change rang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croll movement signal.

제어부(230)는 스크롤 이동 신호에 의하여 제 1 컨텐츠의 소정 영역의 출력이 끝나가면, 제 1 컨텐츠의 끝부분에 제 2 컨텐츠의 시작부분을 연결하여 제 1 컨텐츠와 제 2 컨텐츠가 연속적으로 출력되게 한다.When the output of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first content is completed by the scroll moving signal, the control unit 230 connects the beginning of the second content to the end of the first content to continuously output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do.

단계 S303에서, 출력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출력 부분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In step S303, the output unit 240 can change the output par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30 and output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mory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연속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부(210)는 연속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복수의 컨텐츠의 정보를 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S401, when the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is received,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contents to be continuously output from the server 120 and stores the information.

단계 S402에서, 출력부(240)는 스크롤 이동 신호에 따라 출력 부분을 변경하고, 제 1 컨텐츠가 모두 출력이 되면,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스크롤이 아래로 변경되는 스크롤 이동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부(240)는 출력 부분을 변경하여 다음 부분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계속하여 스크롤을 아래로 이동시켜 제 1 컨텐츠가 모두 출력이 되면, 저장부(220)는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의 연속 출력의 경우, 하나의 컨텐츠가 모두 출력이 되면 이를 메모리에서 삭제함으로써,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브라우저에 대응할 수 있다.In step S402, the output unit 240 changes the output portion according to the scroll movement signal, and deletes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from the memory when all the first contents are output. For example, when a scrolling signal that scrolls down from the user is received, the output unit 240 may change the output portion and output the next portion. Thereafter, when the user continuously scrolls down and outputs all of the first contents, the storage unit 220 deletes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s from the memory.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continuous output of contents, if one content is output, it is deleted from the memory, thereby efficiently managing the memory and coping with various browsers used by the user.

단계 S403에서, 사용자로부터 스크롤이 위로 변경되는 스크롤 이동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부(240)는 출력 부분을 변경하여 이전 부분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계속하여 스크롤을 위로 이동시켜 제 2 컨텐츠의 시작부분이 출력되면, 통신부(210)는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서버(120)에 재요청한다.In step S403, when a scrolling movement signal that scrolls upward from the user is received, the output unit 240 can change the output part and output the previous part. Thereafter, when the user continuously scrolls up and outputs the start portion of the second content, the communication unit 210 requests the server 120 for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단계 S404에서, 통신부(210)는 서버(120)로부터 다시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한다. 저장부(220)는 삭제된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다시 저장하며 출력부(240)는 저장된 제 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제 2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step S404, the communication unit 210 acquires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again from the server 120. [ The storage unit 220 stores the deleted first content information again, and the output unit 240 may output at least a part of the stored first content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ont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연속 출력에 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tent continuous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사용자가 상이한 링크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와 제 2 컨텐츠의 연속 출력을 요청하였다고 가정한다.In FIG. 5, it is assumed that the user requests continuous output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corresponding to different links.

도 5a의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에는 제 1 컨텐츠의 일부가 출력된다.  As shown in Fig. 5A, a part of the first content is initially output.

사용자가 스크롤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텐츠의 출력 부분이 변경된다. When the user moves the scroll down, the output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changes as shown in FIG. 5B.

사용자가 스크롤을 계속하여 아래로 이동시켜 제 1 컨텐츠의 끝부분이 출력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텐츠의 끝부분과 제 2 컨텐츠의 시작부분이 연결되어 출력된다.When the user continuously scrolls down and outputs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tart portion of the second content are connected and output as shown in FIG. 5C.

사용자가 스크롤을 계속하여 아래로 이동시키면, 제 1 컨텐츠가 화면에서 사라지고, 제 2 컨텐츠만이 출력된다. 이 때, 제 1 컨텐츠의 정보는 메모리에서 삭제될 수 있다. When the user continues to scroll down to move down, the first content disappears from the screen and only the second content is output.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can be deleted from the memory.

또한, 컨텐츠의 출력 부분이 변경되면, 화면에서 사라진 출력 부분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정보는 메모리에서 삭제될 수 있다.Also, if the output portion of the content is changed,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disappearing output portion on the screen can be deleted from the memory.

위의 실시예는 단순히 본 발명의 일예일 뿐,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영상 표시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method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disk management method can be easily deduced by the programmer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10: 출력 장치
120: 서버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 출력부
110: Output device
120: Server
210:
220:
230:
240: Output section

Claims (12)

제 1 링크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링크로부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츠의 소정 영역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 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츠와 상기 제 2 컨텐츠가 포함된 목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록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목록 정보의 출력에 대응하여 사용자로부터 연속 출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컨텐츠의 소정 영역이 상기 제 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컨텐츠가 모두 출력되면,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속 출력 요청 신호에는, 상이한 링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한 화면에서 연속하여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연속 출력 요청 신호로서 연속 출력이 시작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연속 출력 요청 신호에는 연속하여 출력할 컨텐츠가 지정되되, 상기 연속 출력 요청 신호에 상기 연속 출력이 시작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내역에 기초하여 연속 출력이 시작되는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속 출력 방법.
Obtain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from the first link and obtain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from the second link;
Stor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in a memory;
Outputting at least a part of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Outputting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ontents in connection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tents whe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first contents is outputted;
Obtaining list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Outputting the list information; And
Receiving a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from a user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f the list information,
Wherein the continuously outputting comprises:
And dele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from the memory whe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content is continuously output in connection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tent when the first content is completely output,
Wherein the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contents for which continuous output is started as a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continuous output of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different links on one screen, When the content to be output is designated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n which the continuous output is started is not included in the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content to be continuously outpu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nt usage history of the user And outputting the continuous conten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이한 링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한 화면에서 연속하여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연속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제 2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속 출력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n a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requesting the user to successively output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different links on a screen is received,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tents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ontents are connected and output And outputting the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스크롤 이동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스크롤의 이동에 대응하여 출력 부분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속 출력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And changing an outpu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scroll when the scroll moving signal is receiv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 변경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롤 이동 신호를 소정 시간마다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속 출력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And generating a scroll movement signal including change range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without inputting a user.
삭제delete 제 1 링크로부터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링크로부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 1 컨텐츠의 소정 영역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컨텐츠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연속 출력을 요청하는 연속 출력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컨텐츠의 소정 영역이 상기 제 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로부터 상기 제 1 컨텐츠가 모두 출력되면,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 1 컨텐츠의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연속 출력 요청 신호에는, 상이한 링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한 화면에서 연속하여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연속 출력 요청 신호로서 연속 출력이 시작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연속 출력 요청 신호에는 연속하여 출력할 컨텐츠가 지정되되, 상기 연속 출력 요청 신호에 상기 연속 출력이 시작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 내역에 기초하여 연속 출력이 시작되는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속 출력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acquir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from the first link and acquiring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from the second link;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ten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continuously output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tent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ontent whe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first content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And
And an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continuous output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from a user,
Wherein,
Whe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content is continuously output in connection with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tent, if the first content is completely output from the output unit, the storage unit deletes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content ≪ / RTI >
Wherein the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contents for which continuous output is started as a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continuous output of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different links on one screen, When the content to be output is designated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n which the continuous output is started is not included in the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content to be continuously outpu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ntent usage history of the user And outputting the continuous content.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이한 링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한 화면에서 연속하여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연속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 2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속 출력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When a continuous output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continuous output of a plurality of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t links is received,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ontents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ontents are connected and output continuously And controls the output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스크롤 이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의 이동에 대응하여 출력 부분을 변경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속 출력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terface unit receives the scroll movement signal,
Wherein the control section controls the output section to change the output section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crol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변경 범위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롤 이동 신호를 소정 시간마다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연속 출력 장치.
8. The apparatus of claim 7,
And generates a scroll movement signal including change range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삭제delete
KR1020120000686A 2012-01-03 2012-01-03 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consecutive output KR101969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686A KR101969761B1 (en) 2012-01-03 2012-01-03 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consecutive out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686A KR101969761B1 (en) 2012-01-03 2012-01-03 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consecutive outp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917A KR20130079917A (en) 2013-07-11
KR101969761B1 true KR101969761B1 (en) 2019-04-19

Family

ID=4899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686A KR101969761B1 (en) 2012-01-03 2012-01-03 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consecutive outp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7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488B1 (en) * 2018-09-03 2020-09-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and apparatus theref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9750A (en) 2000-03-06 2001-09-14 Hiromi Kasuga Desk top component system in internet
JP2008165478A (en) * 2006-12-28 2008-07-17 Tonari:Kk Community site browsing program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KR100868186B1 (en) 2007-07-11 2008-11-12 (주) 엘지텔레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igh speed full browsing service via web page re-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984A (en) * 2007-05-31 2009-01-09 하나로드림(주)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mage contents based on user's response
KR101555470B1 (en) * 2008-12-15 2015-09-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rver and system having improved web brows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9750A (en) 2000-03-06 2001-09-14 Hiromi Kasuga Desk top component system in internet
JP2008165478A (en) * 2006-12-28 2008-07-17 Tonari:Kk Community site browsing program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KR100868186B1 (en) 2007-07-11 2008-11-12 (주) 엘지텔레콤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igh speed full browsing service via web page re-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917A (en)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2238A1 (en) Video frame capturing method and device
EP2728460A1 (en) Method of displaying data in display de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isplay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817348B2 (en) File synchronization method, file synchronization server device, and file synchronization program
CN102073492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tting changing method, and setting changing program
CN105359131B (en) Tie selection handle
CN113687745A (en) Interface display method, system and terminal of split screen window
US2013013532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US10575030B2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distributing video
US9270779B2 (en) Display service method, network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method
KR201700401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through networ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contents through network
KR101301501B1 (en) Electronic book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electronic book user interface
KR10196976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ent consecutive output
US9921728B2 (en)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101969583B1 (en) Method for management content,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10104149B2 (en) Receptio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server, transmission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3297399A (e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method, personalized recommendation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676761B (en) Multimedia resource playing method and device and main control equipment
CN114116622A (en) Display device and file display method
JPH09231119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KR1011836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ponse processing based on asynchronous web service communication
JP4697143B2 (en) Bearer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63367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alysis of information of using application
CN114756695A (en) Multimedia resource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836405B (en) Information query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037618B (en) Image sharing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