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264B1 -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264B1
KR101969264B1 KR1020180100371A KR20180100371A KR101969264B1 KR 101969264 B1 KR101969264 B1 KR 101969264B1 KR 1020180100371 A KR1020180100371 A KR 1020180100371A KR 20180100371 A KR20180100371 A KR 20180100371A KR 101969264 B1 KR101969264 B1 KR 10196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xt
server
search
special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디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디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디소프트
Priority to KR1020180100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264B1/ko
Priority to US16/551,695 priority patent/US2020006534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3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or inde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32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17Tagging; Marking up; Designating a block; Setting of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 노출 빈도를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사진 이미지에 병기되는 소정의 해시태그 및 문자들을 소정의 검색 포털을 통하여 자동으로 추출 및 삽입한 후 중복 단어를 제거함과 원하지 않는 단어를 제거하거나 원하는 단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가진 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실시예인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해시태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은,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으로서,
단말기 상에 설치된 소정 앱 상의 제 1 컨텐츠가 상기 앱과 연동되는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에서 소정의 검색 포털 사이트의 소정 사이트로 상기 제 1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의 상기 사이트에서 상기 제 1 컨텐츠와 소정의 유사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의 상기 사이트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컨텐츠에 부설되어 있는 제 1 텍스트를 상기 서버가 추출 복사한 후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 텍스트에 대한 제 1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 텍스트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 1 텍스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여백을 기준으로 하여 줄 단위로 점핑시키고 정렬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정렬 후 중복되는 단어를 제거하고 남은 단어의 앞부분에 특수식별기호를 삽입시킨 후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제 2 텍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단말기의 상기 앱으로 전송하면 상기 제 1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상에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상기 제 2 텍스트가 표시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해시태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특정 컨텐츠 예를 들어 특정 사진의 검색 노출 빈도를 개선시킴은 물론, 해당 컨텐츠의 설명하는 다양한 문구나 단어를 다양한 검색 엔진에서 기사용되었던 차용할 수 있고 덧붙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문구나 단어를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Method for automatically inserting keywords for searching a certain of contents with special identifier code}
본 발명은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해시태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검색 노출 빈도를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사진 이미지에 병기되는 소정의 해시태그 및 문자들을 소정의 검색 포털을 통하여 자동으로 추출 및 삽입한 후 중복 단어를 제거함과 원하지 않는 단어를 제거하거나 원하는 단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가진 앱 또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들어,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종류의 글이나 그림 사진(이미지)와 같은 컨텐츠를 SNS에 올려 불특정 다수에게 자랑하거나 자신의 근황을 알려주면서 여러 사람과 온라인 관계를 넓혀 가고자 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그림, txt,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를 앱 또는 인터넷 사이트상에 업로드 할 때 이들 컨텐츠를 설명하는 간략한 문구를 작성하여 업로드 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사진이라면, 사진 찍을 때 기분, 날씨, 위치, 장소, 등 다양한 내용을 병기할 수 있는데 자신 외 타인이 해당 사진을 보려면 예를 들어 "해시태그"라는 것을 입력하게 된다.
해시태그와 같은특수식별기호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입력되고 타인에 의하여 검색된다
#2018, #오늘어때?, #여기좋아, #지금일하는중,..등.
위와 같은 해시태그는 컨텐츠 업로드 시 다양한 키워드를 입력 할 수록 여러 사람들에게 쉽게 검색되어 노출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다양한 용어를 해시태그와 함께 입력하려고 한다.
그런데, 특정 컨텐츠에 대하여 적절한 설명 문구나 단어를 선택하는 것은 용이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문구나 단어가 떠오르더라도 일일이 입력하는 것은 다소 번거럽고 성가신 일이 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콘텐츠만을 올리고 이들 커넨츠의 검색 노출을 용이하게 하는 문구나 단어를 입력하지 않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그런데, 이런 상황이 지속되는 경우, 다수의 콘텐츠가 검색에 노출되지 않고 사장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이는 다수의 콘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에도 반하는 것이므로 이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1. 특허출언번호 제1020160158308호, 발명의 명칭: "영상 인식에 의한 해시태그 삽입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소정 앱을 통하여 사진을 업로드하면, 서버에서 해당 사진의 썸네일을 추출하고, 포털 검색 사이트 즉 온라인 검색엔진을 통하여 해당 사진과 동일 또는 유사한 사진을 검색한 후 검색된 비슷한 사진들에 병기된 단어 또는 문구를 추출한 후 업로드 하려는 사진의 간략한 설명을 자동 삽입하는 단계에서 특수식별기호인 # 등을 붙여 해시태그화 시킴으로써 특정 사진이 제3자에게 보다 쉽게 검색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방법 즉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해시태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실시예인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해시태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은,
단말기 상에 설치된 소정 앱 상의 제 1 컨텐츠가 상기 앱과 연동되는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에서 소정의 검색 포털 사이트의 소정 사이트로 상기 제 1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의 상기 사이트에서 상기 제 1 컨텐츠와 소정의 유사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의 상기 사이트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컨텐츠에 부설되어 있는 제 1 텍스트를 상기 서버가 추출 복사한 후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 텍스트에 대한 제 1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 텍스트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 1 텍스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여백을 기준으로 하여 줄 단위로 점핑시키고 정렬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정렬 후 중복되는 단어를 제거하고 남은 단어의 앞부분에 특수식별기호를 삽입시킨 후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제 2 텍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단말기의 상기 앱으로 전송하면 상기 제 1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상에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상기 제 2 텍스트가 표시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단어를 해시태그와 함께 추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해시태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특정 컨텐츠 예를 들어 특정 사진의 검색 노출 빈도를 개선시킴은 물론, 해당 컨텐츠의 설명하는 다양한 문구나 단어를 다양한 검색 엔진에서 기사용되었던 차용할 수 있고 덧붙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문구나 단어를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전제적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단말기 앱에서 소정의 사진을 선택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업로드 하기 위하여 선택된 사진과 사진에 병기될 해시태그 및 문자가 삽입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검색 엔진에서 검색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검색 결과를 별도의 화면으로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서버에서 생성된 txt 파일 화면의 일예이다.
도 7은 생성된 txt 파일을 활성화 시킨 화면의 일예이다.
도 8은 txt의 데이터가 정리된 화면의 일예이다
도 9는 txt의 데이터가 정리된 최종 화면의 일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해시태그 및 단어가 자동적으로 포함된 화면의 일예이다.
이하,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을 설명하는 시스템의 기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서,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 단말기 상에 탑재된 소정 앱(도시되지는 않음), 상기 앱과 연동 가능한 서버, 그리고 상기 서버와 정보 수수가 이루어지는 검색 엔진(예컨대, 구글, 네이버, 다음 등)이 필요하다.
참고로, 단말기에 탑재된 소정 앱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해시태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이 실시되는 앱이고, 서버와 연동되는 검색 엔진은 서버에서 전송하는 소정의 사진 컨텐츠를 수신하여 동일 유사한 컨텐츠를 검색하는 사이트를 의미한다.
즉, 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가 사진의 경우, 검색 엔진은 구글, 네이버, 다음 등과 같은 포털 사이트의 이미지 검색 사이트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실시예인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해시태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 상에 소정 앱을 설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단말기 앱에서 소정의 사진을 선택하는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앱 사진과 같은 컨텐츠 공유 기능을 가진 앱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후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앱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상기 앱을 활성화시킨 다음, 단말기 상에 저장되어 있거나 직접 촬영한 사진(설명의 편의상, 제 1 컨텐츠라 한다)을 터치 입력 방식 등을 통하여 선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업로드 하기 위하여 선택된 사진과 사진에 병기될 해시태그 및 문자가 삽입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일예이다.
다음, 위의 제 1 컨텐츠(구체적으로는 사진)는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앱과 연동되는 서버로 전송된다.
서버에서는 앱을 통하여 제 1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참고로, 서버는 제 1컨텐츠를 썸네일로 변환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서버는 소정의 검색 포털 사이트(구글, 네이버, 다음 등과 같은 검색 엔진)의 소정 사이트(해당 검색 엔진의 이미지 검색 사이트)와 접속한다.
예컨대, 아래 표 1과 같은 프로그래밍 함수 등을 사용하여 특정 검색엔진에 접속 및 사진, 동영상 검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service_port = ''; “
연결PORT
“ $address = '111.333.111.333'; “
대상 클라이언트 ( 특정 검색 엔진에 연결 )
“ $socket = socket_create(AF_INET, SOCK_STREAM, SOL_TCP); “
소켓생성
“ $result = socket_connect($socket, $address , $service_port); “
소켓연결
“ $result = socket_write($socket, $fr, strlen($fr)); “ 이미지 전송하여 검색하기
다음, 이미지 전송, 즉 제 1 컨텐츠 전송을 위하여, 본 발명 서버에서는 상기 제 1 컨텐츠(썸네일로 변환된 정보일 수 있다)를 소정의 검색 포털 사이트(구글, 네이버, 다음 등과 같은 검색 엔진)의 소정 사이트(해당 검색 엔진의 이미지 검색 사이트)로 상기 제 1 컨텐츠를 전송한다.
해당 검색 엔진의 소정 사이트에서는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제 1 컨텐츠와 소정의 유사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컨텐츠를 검색한다.
도 4는 검색 엔진에서 검색된 결과를 보여주는 일예이고, 도 5는 도 4의 검색 결과를 별도의 화면으로 상세히 보여주는 일예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도 4와 도5의 검색 결과를 서버에서는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검색 결과는 해당 검색 엔진의 검색 알고리즘에 따라 그 결과가 차이가 날 수 있을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렇게 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컨텐츠에는 제 2컨텐츠를 설명하는 문구나 단어 등이 병기되어 있다.(도 5 참조)
통상, 이들 문구나 단어(이하 단어로 통칭한다)는 이들 제2컨텐츠를 설명하는 단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본 발명 서버에서는 이들 제 2 컨텐츠에 부설(병기)되어 있는 제 1 텍스트들을 각각 추출하여 복사한 후 서버로 전송받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검색 결과에 따라 노출되는 화면상의 제 2 컨텐츠의 제1텍스트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고, 다음 검색화면까지 확장하여 더 많은 제 1 텍스트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서버에서 제 1 텍스트를 추출하는 방법의 간단한 예시는 다음 표 2와 같다.
검색완료 된 화면에서 text를 추출한다.
추출하는 방식은

1. 검색된 화면에서 ” file_get_contents( ) ” 프로그래밍 함수를 사용하여 txt를 추출, 복사한다.
(복사한 데이터는 서버의 cash memory에 임시 저장될 수 있다)

2. 서버에서는 “ $txtFile = fopen("시간_사용자ID_생성횟수", "w") or die("Unable to open file!"); “ 프로그래밍 함수를 사용하여 txt 파일을 생성 및 오픈 시킨다.
(파일명은 시간_사용자ID_사용횟수로 생성될 수 있다. Ex)201808011100_pndpndpnd_123.txt)

3. 생성된 txtT 파일 안에 “ fwrite($myfile, $html); “ 프로그래밍 함수를 사용하여 1번의 추출, 복사한 데이터를 붙여 넣기 한다.

4. fclose($myfile); “ 프로그래밍 함수를 사용하여 파일을 닫는다
즉, 서버에서는 이렇게 저장된 제 1 텍스트를 제 1 텍스트 파일로 변환 생성시킨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의 서버에서 생성된 txt 파일(제 1 텍스트 파일) 화면의 일예이고, 도 7은 생성된 txt 파일을 활성화 시킨 화면의 일예이며, 도 8은 txt의 데이터가 1차 정리된 화면의 일예이다
제 1 텍스트 파일로 변환시킨 이유는 아래와 같은 작업을 실시하기 위함이다.
먼저, 본 발명의 서버에서는 제 1 텍스트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제 1 텍스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여백을 기준으로 하여 줄 단위로 점핑시켜 정렬한다.(도 8은 점핑에 의하여 정리된 화면임)
다음, 서버에서는 정렬 후 중복되는 단어를 제거하고 남은 단어의 앞부분에 해시태그를 삽입하여 해시태그가 삽입된 제 2 텍스트를 생성한다. 도 9는 최종 정리된 txt의 데이터(제 2 텍스트)를 보여주는 화면의 일예이다.
참고로, 도 8의 점핑 정렬 및 도 9의 해시태그 병기는 일예로 다음 표 3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1.“ $fr = str_replace(' ',\r\n',$fr); “ 프로그래밍 함수를 사용하여 여백을 다음 줄로 점프 시킨다.
2.“ $txt_result = array_unique($txt_ori); “ 프로그래밍 함수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단어를 제거한다.
3“$arr = explode("\r\n", $str);foreach ($arr as $line_num => $line) { $line = "#".$line;} “ 프로그래밍 함수를 적용하여 해시태그 기호인 #을 단어 앞에 삽입한다.
다음, 서버에서는 해시태그가 삽입된 상기 제 2 텍스트를 단말기의 앱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 2 텍스트가 단말기의 앱 상에 표시되어 있는 제 1 컨텐츠에 병기되어 표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해시태그 및 단어가 자동적으로 포함된 화면의 일예이다.
따라서, 단말기 화면상에는 제 1 컨텐츠 및 이를 설명할 수 있는 단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 2 텍스트가 병기되어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앱에서는 제 2 텍스트를 구성하는 단어마다 X박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단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 10의 입력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단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다양한 방식의 텍스트 입력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생성한 제 1 컨텐츠 및 제 2 텍스트를 사용자가 특정 SNS(facebook, twitter, tumblr,...)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검색에 의한 노출 빈도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서는 앱의 제 1 컨텐츠에 표시되는 제 2 텍스트를 기존의 검색 엔진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단어로 용이하게 차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용어를 자동적으로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특정 사진에 대한 검색 노출용 키워드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같은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 외국어 키워드도 자연스럽게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에 의한 노출 빈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적합한 용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검색 노출의 가능성을 더욱 더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요약하여 정리하면서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은,
단말기 상에 설치된 소정 앱 상의 제 1 컨텐츠가 상기 앱과 연동되는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에서 소정의 검색 포털 사이트의 소정 사이트로 상기 제 1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의 상기 사이트에서 상기 제 1 컨텐츠와 소정의 유사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의 상기 사이트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컨텐츠에 부설되어 있는 제 1 텍스트를 상기 서버가 추출 복사한 후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 텍스트에 대한 제 1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 텍스트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 1 텍스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여백을 기준으로 하여 줄 단위로 점핑시키고 정렬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정렬 후 중복되는 단어를 제거하고 남은 단어의 앞부분에 특수식별기호를 삽입시킨 후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제 2 텍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단말기의 상기 앱으로 전송하면 상기 제 1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상에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상기 제 2 텍스트가 표시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단말기 상에 설치된 앱과 이와 연동되는 서버 및 서버와 연동되는 소정의 검색 포털 사이트의 소정 사이트간의 정보 송수신에 의하여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앱을 사용하는 경우, 검색 단어를 입력하지 않고 단순히 사진과 같은 컨텐츠만을 업로드하는 사용자에게 자동적으로 검색용 키워드를 삽입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의 앱 사용에서 얻을 수 없던 사용의 편의성, 검색 노출의 빈도수를 자동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해시태그를 #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해시태그의 표기에는 #뿐만 아니라 !,@,#,$,%,^,&,*,(,) 등과 같은 특수식별기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경우도 모두 포함하며, 본 발명의 해석에 있어서도 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한다.
삭제
삭제

Claims (3)

  1.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으로서,
    단말기 상에 설치된 소정 앱 상의 제 1 컨텐츠가 상기 앱과 연동되는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에서 소정의 검색 포털 사이트의 소정 사이트로 상기 제 1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의 상기 사이트에서 상기 제 1 컨텐츠와 소정의 유사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포털 사이트의 상기 사이트에서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 2 컨텐츠에 부설되어 있는 제 1 텍스트를 상기 서버가 추출 복사한 후 상기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 텍스트에 대한 제 1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제 1 텍스트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 1 텍스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어를 여백을 기준으로 하여 줄 단위로 점핑시키고 정렬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정렬 후 중복되는 단어를 제거하고 남은 단어의 앞부분에 특수식별기호를 삽입시킨 후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제 2 텍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상기 제 2 텍스트를 상기 단말기의 상기 앱으로 전송하면 상기 제 1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상에 상기 특수식별기호가 삽입된 상기 제 2 텍스트가 표시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80100371A 2018-08-27 2018-08-27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 KR101969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371A KR101969264B1 (ko) 2018-08-27 2018-08-27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
US16/551,695 US20200065348A1 (en) 2018-08-27 2019-08-26 Method for automatically inserting keywords for searching a certain of contents with special identifier c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371A KR101969264B1 (ko) 2018-08-27 2018-08-27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264B1 true KR101969264B1 (ko) 2019-04-16

Family

ID=6628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371A KR101969264B1 (ko) 2018-08-27 2018-08-27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065348A1 (ko)
KR (1) KR101969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51869A1 (en) * 2019-09-20 2021-03-25 Martin Kuster Automotive, naval, and aircraft bus-emul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052A (ko) * 2010-03-10 2011-09-16 최진근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개별 컨텐츠를 이용하여 블로그를 생성하는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JP2016158308A (ja) 2015-02-23 2016-09-01 公立大学法人前橋工科大学 モータ制御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
KR101657585B1 (ko) * 2015-11-13 2016-09-19 (주)제이케이소프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해시 태그 기반 상품 거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698280B1 (ko) * 2015-12-07 2017-01-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태그에 대한 웹 페이지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80059117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인디씨에프 영상 인식에 의한 해시태그 삽입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052A (ko) * 2010-03-10 2011-09-16 최진근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개별 컨텐츠를 이용하여 블로그를 생성하는 검색 시스템 및 검색 방법
JP2016158308A (ja) 2015-02-23 2016-09-01 公立大学法人前橋工科大学 モータ制御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
KR101657585B1 (ko) * 2015-11-13 2016-09-19 (주)제이케이소프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해시 태그 기반 상품 거래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1698280B1 (ko) * 2015-12-07 2017-01-1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태그에 대한 웹 페이지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80059117A (ko)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인디씨에프 영상 인식에 의한 해시태그 삽입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5348A1 (en)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2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context based summary
US20230018582A1 (en) Identifying relevant information within a document hosting system
US6161124A (en) Method and system for preparing and registering homepages, interactive input apparatus for multimedia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teractive input programs of the multimedia information
CN102053991B (zh) 用于多语言文档检索的方法及系统
EP2402867A1 (e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a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 computer system for image processing
EP36655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ggesting revisions to an electronic document
US20230115998A1 (en) Personal searchable document collections with associated user references
JP2010073114A (ja) 画像情報検索装置、画像情報検索方法および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4516892A (zh) 关联富媒体信息的用户生成内容的发布方法、系统和终端
CN101611406A (zh) 文档存档系统
US201501692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ersonalized account reconfiguration interfaces
US9081801B2 (en) Metadata supersets for matching images
JP2009506395A5 (ko)
KR101969264B1 (ko) 컨텐츠 검색용 단어를 특수식별기호와 함께 자동 삽입하는 방법
JP2007114942A (ja) メタ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メタデータ生成方法
US2014028009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acquiring hot content
RU2608873C2 (ru) Способ связывания метаданных цифрового контента с цифровым контентом (варианты),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варианты)
CN113495874A (zh) 信息处理装置和计算机可读取介质
JP6787755B2 (ja) 文書検索装置
CN113448563A (zh) 一种LaTeX在线协作平台
Sojka et al. Document engineering for a digital library: PDF recompression using JBIG2 and other optimizations of PDF documents
CN109117427B (zh) 一种客户端、服务器、检索方法及其系统
Akdenizli A Glimmer of Hope in a Suffocated Media Landscape? Citizen Journalism Practices in Turkey
KR101862178B1 (ko) 맞춤형 포스팅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서버
CN106598933A (zh) 一种基于网页的排版文件校对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