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031B1 -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031B1
KR101969031B1 KR1020130000710A KR20130000710A KR101969031B1 KR 101969031 B1 KR101969031 B1 KR 101969031B1 KR 1020130000710 A KR1020130000710 A KR 1020130000710A KR 20130000710 A KR20130000710 A KR 20130000710A KR 101969031 B1 KR101969031 B1 KR 101969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creen
home appliance
mobile terminal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7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88777A (en
Inventor
탁철곤
박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031B1/en
Priority to US14/029,091 priority patent/US9385784B2/en
Priority to CN201310439787.7A priority patent/CN103684538B/en
Publication of KR2014008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0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 home applian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a predetermined screen, and when tagging with a home appliance in a state where the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agging the home appliance with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being the second leve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and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A mobile terminal, a home applian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 home applian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a home appliance, and a home appliance capable of selectively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a home appliance and a mobile terminal, And to a method of operation.

건물 내에 배치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중 냉장고는, 사용자를 위해, 음식을 저장하고,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며,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조정하거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Among the home appliances disposed in the building, the refrigerator stores food for the user, the laundry processing device processes the laundry, the air conditioner adjusts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cooking device performs a function of cooking food or the like .

한편, 다양한 통신 방식이 발달함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하려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Meanwhile, as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various schemes for increasing the usability of users through communication with home appliances have been researched.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 home appliance,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a home appliance and a mobile terminal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와,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predetermined screen; and, when the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and whe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단계와, 태깅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보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보안 정보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 단말기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home appliance, the method comprising: tagging with a mobile terminal; receiving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agging;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splaying a predetermined screen; displaying a display related to an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A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from the home appliance when tagging with a home appliance in a state where the screen is a level, Whe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it includes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단계와, 태깅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home appliance, the method comprising: tagging a mobile terminal; receiving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displayed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and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거나,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와,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scree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whe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A local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and security information to a home appliance when tagging with a home appliance in a state where a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a second leve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경우, 태깅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보안 정보를 수신하고, 보안 정보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와,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me appliance including a driving unit,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security information from a mobile terminal based on tagging when tagging the mobile terminal,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er accor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며,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와,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isplay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screen, a display screen for request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 state in which a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a first level When the home appliance is tagged with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the display screen is a screen related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A local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to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구동부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경우, 태깅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와,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을 판단하여,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ome appliance comprising: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transmission request for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displayed from a mobile terminal based on tagging when the mobile terminal is tagged,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controlling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고,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gging with a home appliance in a state where a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a screen is a first level,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to a home And transmits information and securit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he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while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The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between the home appliance and the mobile terminal.

한편, 이동 단말기는,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에 기초하여,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고,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인증 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인증 정보 수신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ased o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and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n the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In response to receipt of the inform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not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한편, 이동 단말기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3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화면과 관련된 정보, 보안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third level and the tag is tagged with the home appliance,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y transmitting to the appliance,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between the home appliance and the mobile terminal.

한편,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간단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can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by near field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transmit desired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and the user's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이동 단말기와의 태깅에 기초하여,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보안 정보를 수신하고, 보안 정보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로부터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로부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ppliance receives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ased on tagging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security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can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from the mobile terminal by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mobile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고,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play screen is related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whe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NFC), when the display screen is related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whe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By receiv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the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through the NFC,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and the mobile terminal.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이동 단말기와 태깅에 기초하여,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me appliance receives a transmission request of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displayed from a mobile terminal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ased on tagging with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related information is the first leve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security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and the mobile terminal.

한편,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간단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can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from the home appliance by near field communic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receive the desired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and the user's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 사이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g는 도 7 또는 도 8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8c는 도 14 또는 도 15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E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home appliance.
3 is a simplified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home appliance of FIG.
4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of FIG.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server of FIG.
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to 13G are views referred to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method of Fig. 7 or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6A to 18C are diagrams referred to in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Fig. 14 or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 module " and " part "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 module " and " part "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1 is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 이동 단말기(600), 및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communi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me appliance 200, a mobile terminal 600, and a server 500.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수행할 수 있다. Particularly,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can perform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이동 단말기(600)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태깅(tagging)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through the local terminal communication network 600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and when tagged with the home appliance 200. [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home appliance 200 can be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태깅(tagging)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600 is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through the loc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FC when tagged with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at the second level 600 and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200. The home applian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via a network.

특히, 이동 단말기(600)는, 특히,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태깅에 기초하여,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인증 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하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인증 정보 수신에 따라, 선택적으로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200 based o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200, and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n the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200 ,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in response to reception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not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So that it becomes possible to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이에 따라, 간편하게,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관련 정보를 선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related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easil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user.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전력 정보 화면 또는 레시피 관련 화면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태깅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별도의 보안 정보 없이,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전력 정보 또는 레시피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home appliance 200 perform tagging in a state that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a power information screen or a recipe related scree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May transmit power information or recip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to the home appliance 200 without additional security information.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운전 코스 화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화면이거나,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펌 웨어 화면이거나,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 화면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태깅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보안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야, 비로소,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운전 코스 정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정보, 펌 웨어 정보 또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a driving course screen or a driving course list scree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a firmware scree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or an access point device list screen, 600 and the home appliance 200 perform tagging,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200 and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200, , Driving course information or driving course li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firmware information, or network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device to the home appliance 200. [ As a result,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between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3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태깅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화면과 관련된 정보, 보안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200 in a state where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third level,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200, the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between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이동 단말기(600)와의 태깅에 기초하여,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보안 정보를 수신하고, 보안 정보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며,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ppliance 200 receives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vi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based on tagging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600 in response to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so tha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s shown in FIG.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600)는,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태깅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하고,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태깅하는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isplay screen is related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the display screen i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related screen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When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home appliance 200 are tagg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security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thereby enabling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The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Accordingly, the related information can be easily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user's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이동 단말기(600)와 태깅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ppliance 200 receives a transmission request of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displayed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based on tagging with the mobile terminal 600,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related information is the first level,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can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600 by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600 and the home appliance 600, respectively.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 전송 요청에서, 화면 관련 정보가, 원격 제어 정보인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을 제1 레벨로 판단하고, 화면 관련 정보가, 고장 진단 관련 정보인 경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을 제2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screen related information is remote control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related to the scree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he home appliance 200 determines that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When the related information is the failure diagnosis related informatio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can be determined as the second level.

즉,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 전송 요청에서, 화면 관련 정보가, 원격 제어 정보인 경우, 보안 정보 없이, 원격 제어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고, 화면 정보가 고장 진단 관련 정보인 경우, 고장 진단 관련 정보와 보안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한다. 이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related to the scree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when the screen related information is the remote control information, the home appliance 200 transmits the remote control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600 If the screen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agnosis of the trouble, the trouble diagnosis related information and the security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As a result,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between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시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 정보, 동작 히스토리 정보, 제품 정보, 고장 정보, 전력 소비 정보, 저장된 물품 정보, 또는 레시피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me appliance 200 may store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from time to time. For example, it can stor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peration history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failure information,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stored article information, or recip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In particular, it can be stored in the memory 218 in the NFC module 217.

여기서, 동작상태 정보는, 현재 운전 중인 경우, 운전 기간 정보, 현재 운전 시간 정보, 남은 운전 시간 정보, 현재 운전 종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the operation period information, the current operation time information, the remaining operation time information, the current operation type information, and the like when the vehicle is currently in operation.

동작 히스토리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특정 기간 동안의 동작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history information may include operation history information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of the home appliance.

예를 들어, 냉장고(200a)의 문 개폐 정보, 세탁기(200b)의 운전시, 자주 사용하는 코스 운전 정보, 세탁기(200b)의 운전시, 물 사용량 정보, 에어컨(200c)의 냉방 횟수 정보, 냉방 온도 설정 정보, 내부 청소 횟수 정보, 조리기기(200d)의 운전시, 자주 사용하는 코스 운전 정보, 자주 사용하는 조리 시간 운전 정보, 청소기(200e)의 청소 횟수 정보, 청소 시간대 정보, 청소 코스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formation on door opening / closing of the refrigerator 200a, frequently used course operation inform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b, information on water usage during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200b,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cooling of the air conditioner 200c, Temperature setting information, internal cleaning frequency information, frequently used course operation information, frequently used cooking time driving information, cleaning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cleaner 200e, cleaning time zone information, cleaning course information, etc. during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200d . ≪ / RTI >

한편, 제품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종류 정보(냉장고, 세탁기 등), 제품 제조 일자 정보, 제품 시리얼 번호, 제품에 설치된 펌웨어의 종류/버젼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 information may be a concept including product type information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etc.) of the home appliance, product manufacturing date information, product serial number, type / version information of firmware installed in the product, and the like.

한편, 고장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가 고장난 경우, 고장난 시점에서, 동작이 안 되는, 부분에 대한 정보, 고장 시점 정보, 고장시, 운전 중이던 운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ilur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part that fails to operate when the home appliance fails, failure information, failure information, operation information during operation, and the like.

전력 소비 정보는, 소비된 전력량 정보, 소비된 전력량에 따른 비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nsumed power amount information, co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nsumed power, and the like.

저장된 물품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200a)인 경우, 냉장고(200a)내에 저장된 푸드(food) 종류 정보, 저장된 푸드 위치 정보, 푸드 양 정보, 푸드 유통 기한 정보, 푸드 입고 일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레시피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200a)인 경우, 냉장고 내에 저장된 푸드 종류에 대응하여, 조리 가능한 레시피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조리기기(200d)에서, 조리 가능한 레시피 정보일 수 있다.When the home appliance is the refrigerator 200a, the stored article information includes food typ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frigerator 200a, stored food position information, food amount information, food expiration date information, food receipt date information, and the like . When the home appliance is the refrigerator 200a, the recipe information may be cookable recip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food stored in the refrigerator. Alternatively, in the cooking appliance 200d, it may be cookable recipe information.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수신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닫.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600 can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on the mobile terminal 600. Thereby,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received information.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서버(500)로 전송하고, 전송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를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관리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600 can transmit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to the server 500 and receive the transmission result. Accordingly, the management of the home appliance 200 can be easily performed using the mobile terminal 600.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고장 정보인 경우, 서버(500)로 고장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고장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is failure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transmit failure information to the server 500 and receive failure resul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500 .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제품 정보인 경우, 서버(500)로 제품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제품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is product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600 may transmit the product information to the server 500 and receive the product resul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500.

또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전력 소비 정보인 경우, 서버(500)로 전력 소비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500)로부터 절전 운전 정보 또는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정보는, 전력 가격 정보, 온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is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500 and receives power saving information or power information Lt; / RTI > Here, the power information may include power price information, on-peak time power information, off-peak time power information, and real-time power information.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를 위한 전자 기기(electric device)로서, 예를 들어, 냉장고(200a), 세탁기(200b), 에어컨(200c), 조리기기(200d), 청소기(200e)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그 외, TV 등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Meanwhile, the home appliance 200 is an electric device for a user, for example, a refrigerator 200a, a washing machine 200b, an air conditioner 200c, a cooking device 200d, a cleaner 200e, etc. Can be illustrated. In addition, it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TV and the like.

한편, 이동 단말기(600), 핸드폰,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600,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and a tablet PC are available.

도 2a 내지 도 2e는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 사이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2A to 2E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home appliance.

도 2a는, 이동 단말기(600)와 냉장고(200a)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b는,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c는, 이동 단말기(600)와, 에어컨(200c)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d는, 이동 단말기(600)와, 조리기기(200d)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며, 도 2e는, 이동 단말기(600)와 청소기(200e) 사이에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performed between a mobile terminal 600 and a refrigerator 200a, and FIG.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performed between a mobile terminal 600 and a washing machine 200b. FIG. 2C illustrates that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perform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air conditioner 200c. FIG. 2D illustrates a state where the mobile terminal 600, 2E illustrates that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performed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vacuum cleaner 200e. FIG. 2E illustrates that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performed between the mobile device 600 and the device 200d.

도 3은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3 is a simplified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home appliance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220),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30), 다른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22), 홈 어플라이언스를 구동하는 구동부(245), 및 내부 제어를 위한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200 includes an input unit 220 for inputting a user, a display unit 230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home appliance, a communication unit 222 for communication with other external devices, A driving unit 245 for driving the driving unit 241, and a control unit 270 for internal control.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가 냉장고인 경우, 구동부(245)는, 냉장실 구동부, 냉동실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is a refrigerator, the driving unit 245 may include a refrigerator compartment driving unit and a freezer compartment driving unit.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세탁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드럼 또는 터브를 구동하는 구동부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is a washing machine, the driving unit 245 may be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drum or the tub.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에어컨인 경우, 구동부(245)는, 실외기 내의 압축기 구동부, 실외기 팬 구동부, 실내기 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is an air conditioner, the driving unit 245 may include a compressor driving unit, an outdoor fan driving unit, and an indoor fan driving unit in the outdoor unit.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조리기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캐비티 내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구동부를 포함할 일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is a cooking appliance, the driving unit 245 may include a microwave driving unit that outputs microwaves into the cavity.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가 청소기인 경우, 구동부(245)는, 팬 모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is a cleaner, the driving unit 245 may include a fan motor driving unit.

한편, 통신부(222)는, 적어도, 근거리 자기장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217)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unit 222 may include a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217 capable of at least near field communication.

도 4는 도 1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referred to explai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of FIG.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home appliance 200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by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method.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600)는, NFC 메모리(617), NFC 제어부(626)와 안테나(628)를 구비하는 NFC 모듈(217)을 구비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600 may include an NFC module 217 having an NFC memory 617, an NFC controller 626 and an antenna 628. [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NFC 메모리(218), NFC 제어부(226)와 안테나(226)를 구비하는 NFC 모듈(225)을 구비할 수 있다.The home appliance 200 may include an NFC module 225 having an NFC memory 218, an NFC controller 226, and an antenna 226.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600)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 자기장이 제공되며, 자기장 변화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상태 정보 또는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approached the home appliance 6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agging the mobile terminal 600, a magnetic field is provided, and according to the magnetic field change, For example, state information or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200. [0033] FIG.

이러한,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 사이의, 정보 교환은, NFC의 CE(card Emulation) 모드, Reader/Wrtiter 모드, 및 peer to peer 모드 중 Reader/Wrtiter 모드, 또는 peer to peer 모드 기반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home appliance 200 may be performed in a card emulation mode of a NFC, a Reader / Wrtiter mode, a Reader / Wrtiter mode of a peer to peer mode, or a peer to peer mode Lt; / RTI >

한편, 도면에서는, NFC 제어부와 안테나를 구비하는, 액티브 형태의 NFC 모듈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태그 형태의 NFC 저장부와 안테나를 구비하는, 패시브 형태의 NFC 모듈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액티브 형태의 NFC 모듈을 중심으로 기술한다.In the figure, an active type NFC module including an NFC controller and an antenna is illustrated. Alternatively, a passive NFC module including a tag type NFC storage unit and an antenna may be applied. Hereinafter, the active type NFC module will be mainly describ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600)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 자기장이 제공되며, 자기장 변화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approached the home appliance 6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agging the mobile terminal 600, a magnetic field is provided, and according to the magnetic field chan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can be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태깅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안테나(628)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안테나(228)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home appliance 200 perform tagging, the antenna 628 in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is connected to the NFC module 217 of the home appliance 200, RTI ID = 0.0 > 228 < / RTI >

수신된 제품 정보가 기 설정된 제품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제어부(226)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218)에 기록(write)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218)에 기록되게 된다.The control unit 226 in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to the home appliance 200, In the NFC memory 218 in the NFC module 217 of FIG. Accordingl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recorded in the NFC memory 218 in the NFC module 217 in the home appliance 200.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218)에 소정 정보가 기록된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제어부(226)는, 해당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270)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플래그를, '0'에서 '1'로 변환시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어부(270)로 알려줄 수 있다. When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NFC memory 218 in the NFC module 217 in the home appliance 200, the NFC controller 226 in the home appliance 200 notifies the home appliance 200 of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270). For example, the reception flag may be changed from '0' to '1' to inform the control unit 270 of the home appliance tha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has been received.

한편, 다른 예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600)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 자기장이 제공되며, 자기장 변화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brings the mobile terminal 600 close to the home appliance 2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e., tagging, a magnetic field is provided, and according to the magnetic field change, , And can receiv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home appliance 200 in advance.

이를 위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 또는 NFC 모듈(217) 내의 NFC 제어부(226)는, 전원 온 상태에서, 수시로 홈 어플라이언스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상태 정보 또는 제품 정보를,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218)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270 of the home appliance 200 or the NFC controller 226 in the NFC module 217 periodically transmits related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for example, state information or product information, to the NFC To the NFC memory 218 in the module 217. [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태깅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안테나(628)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안테나(228)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home appliance 200 perform tagging, the antenna 628 in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is connected to the NFC module 217 of the home appliance 200, Lt; RTI ID = 0.0 > 228 < / RTI >

수신된 제품 정보가 기 설정된 제품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 내의 제어부(226)는, 추가적으로,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로부터 NFC 메모리(218)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은, 간단하게,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기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The control unit 226 in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additionall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NFC module 217 of the home appliance 200 in the NFC memory 218 ) To be read. Accordingly,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can simply receive the information recorded in the home appliance 200.

한편, 이동 단말기(600) 내의 NFC 모듈(617) 내의 NFC 메모리(618)에 소정 정보가 기록된 경우, 이동 단말기(600) 내의 NFC 제어부(626)는, 해당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플래그를, '0'에서 '1'로 변환시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로 알려줄 수 있다. When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NFC memory 618 in the NFC module 617 in the mobile terminal 600, the NFC controller 626 in the mobile terminal 600 notifies the mobile terminal 600 that the information is received, To the control unit 680 of the control unit 640. For example, the receiving flag may be changed from '0' to '1' to inform 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tha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has been received.

한편,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7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아, 입력된 정보를, 서버(5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670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and may control the inpu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500.

도 5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5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server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서버(500)는, 통신 모듈(530), 저장부(540), 및 프로세서(52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erver 5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530, a storage unit 540, and a processor 520.

통신 모듈(530)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530)은,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530 can receive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hen, the communication module 530 can transmit the resul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600.

이를 위해, 통신 모듈(530)은, 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module 530 may include an Internet module or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저장부(540)는,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540 may store the received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and may include data for generating resul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진단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is failur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storage unit 540 may store data for troubleshooting the home appliance.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해,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is product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storage unit 540 may store the received product information for product registration of the home appliance.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력 소비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전력 가격 정보, 온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is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storage unit 540 may store the power price information, the on peak time power information, the off peak time power information, have.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운전 코스 정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코스 정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is driving course information or driving course li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the storage unit 540 may store driving course information or a driving course list of the home appliance .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펌 웨어 정보인 경우, 저장부(54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펌 웨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is firmwa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the storage unit 540 may store the firmwar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프로세서(520)는, 서버(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52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er 500.

한편, 프로세서(52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receiving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he processor 520 may control to generate the resul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The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generated resul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저장부(540)에 저장된 고장 진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진단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is failure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processor 520 can generate failure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using the failure diagnosis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540 .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is product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processor 520 may generate product registration result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한편,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의 전력 소비 정보인 경우, 프로세서(520)는, 저장부(540)에 저장된, 전력 가격 정보, 온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 등을 전력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another example, when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is the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processor 520 stores the power price information, the on peak time power information, the off peak time power information, Real-time power information, or the like, to the mobile terminal 600. [0064]

한편, 프로세서(520)는,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정보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processor 520 receives the home appliance related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he processor 520 may control to transm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운전 코스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또는 펌웨어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52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운전 코스 정보, 운전 코스 리스트 정보,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펌 웨어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receiving a driving course or a driving course list or a firmware transmission request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he processor 520 may determine driving cours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Course list information, or firmwa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to the mobile terminal 600. [

한편, 서버(5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제조자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관련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The server 500 may be a server operated by a manufacturer of the home appliance 200 or a server operated by an application store operator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도 6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무선 통신부(610), A/V(Audio/Video) 입력부(620), 사용자 입력부(630), 센싱부(640), 출력부(650), 메모리(660), 인터페이스부(670), 제어부(680), 및 전원 공급부(690)를 포함할 수 있다. 6, the mobile terminal 6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0, an A / V input unit 620, a user input unit 630, a sensing unit 640, an output unit 650, A memory 660, an interface unit 670, a control unit 680, and a power supply unit 690.

한편, 무선 통신부(610)는, 방송수신 모듈(611), 이동통신 모듈(613), 무선 인터넷 모듈(615), NFC 모듈(617), 및 GPS 모듈(6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6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613, a wireless Internet module 615, an NFC module 617, and a GPS module 619.

방송수신 모듈(6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611 may receiv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t this tim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방송수신 모듈(6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6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6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660.

이동통신 모듈(6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613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이동 단말기(6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615)은, 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6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615 can b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600 or externally. For example,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615 may perform WiFi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or WiFi Direct based wireless communication.

NFC 모듈(617)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617)은, NFC 태그 또는 NFC 모듈이 탑재된 홈 어플라이언스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NFC module 617 can perform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NFC module 617 can receive data from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or transmit data to the home appliance when the user approaches or is tagg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the NFC tag or the NFC module.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6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619 may receive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V(Audio/Video) 입력부(6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621)와 마이크(6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6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621 and a microphone 623.

사용자 입력부(6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6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6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630 generates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6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nd a touch pad (static / static).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651,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센싱부(640)는 이동 단말기(6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6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6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sensing unit 6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6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6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A sensing signal can be generated.

센싱부(640)는, 감지센서(641), 압력센서(643), 및 모션 센서(6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6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640 may include a sensing sensor 641, a pressure sensor 643, a motion sensor 645, and the like. The motion sensor 645 can detect the movement or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ravity sensor, or the like. In particular, the gyro sensor is a sensor for measuring the angular velocity, and it can sense the direction (angle) of rotation about the reference direction.

출력부(650)는 디스플레이(651), 음향출력 모듈(653), 알람부(655), 및 햅틱 모듈(6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650 may include a display 651, an acoustic output module 653, an alarm unit 655, and a haptic module 657, and the like.

디스플레이(651)는 이동 단말기(6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The display 651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600.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6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6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651 and the touch pad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to constitute a touch screen, the display 651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information by the user's touch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

음향출력 모듈(653)은 무선 통신부(6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6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6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6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610 or stored in the memory 660. [ The sound output module 65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655)는 이동 단말기(6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alarm unit 6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60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gnal in a vibration mode. .

햅틱 모듈(haptic module)(6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6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The haptic module 657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657 is a vibration effect.

메모리(660)는 제어부(6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6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680 and may stor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동 단말기(6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6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6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6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the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The interface unit 670 receive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mobile terminal 600 so that data in the mobile terminal 600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

제어부(6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681)은 제어부(6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6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68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respective unit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600.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s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6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681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the controller 680 or may be configured in software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680. [

전원 공급부(690)는, 제어부(6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690 suppli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한편, 도 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6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6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mobile terminal 600 shown in FIG. 6 is a block diagram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600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element, or one constituent element may be constituted by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if necessary.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in each block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operations and apparatuses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9 내지 도 13g는 도 7 또는 도 8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to 13G Fig. 7 is a diagram referred to in the explanation of the operation method of Fig.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디스플레이에 소정 화면을 표시한다(S710). 한편, 도 9의 제910 단계(S910)는 도 7의 제710 단계(S710)에 대응한다.First, referring to FIG. 7, the mobile terminal 600 displays a predetermined screen on the display (S710). 9 (S910) corresponds to step 710 (S710) of FIG.

특히,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68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해당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controls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screen in response to user input.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전력 정보 보기 입력이 있는 경우, 전력 정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전력 정보 화면은,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직접, 전력 제공 회사 서버에 접속하여, 전력 정보를 보고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화면일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power information view input by user input, a power information screen can be displayed. The power information screen may be a screen that is displayed after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is execu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ser may directly access the power provider company server to display the power information screen Lt; / RTI >

도 10a는 이동 단말기(600)에 전력 정보 화면(6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전력 정보 화면(610) 내에, 피크 타임 정보, 그리고 해당 피크 타임에서의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그 밖에, 전력 정보 화면(610)는, 오프 피크 타임 전력 정보, 실시간 전력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FIG. 10A illustrates that the power information screen 610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FIG. In the figure, the power information screen 610 includes peak time information and price information at the peak time. In addition, the power information screen 610 may further include off-peak time power information, real-time power information, and the like.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72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tagging)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725).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한다(S730). 한편, 도 9의 제920 단계(S920)는 도 7의 제720 단계(S720)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25 단계(S925)는 도 7의 제725 단계(S725)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30 단계(S930)는 도 7의 제730 단계(S730)에 대응한다.Next, the mobile terminal 600 determines whether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is the first level (S720). If so,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S725). If so,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S730). 9, step 920 corresponds to step 720 of FIG. 7, step 925 of FIG. 9 corresponds to step 725 of FIG. 7, step 925 corresponds to step 925 of FIG. 9, Step 930 (S930) of FIG. 7 corresponds to step 730 (S730) of FIG.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can determine the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screen.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전력 정보 화면 또는 레시피 관련 화면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전력 정보 또는 레시피 정보를 보안 레벨이 가장 낮은 제1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a power information scree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or a recipe related screen, 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displays the pow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Or the recipe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first level with the lowest security level.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은,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tagging)이 있는 경우, 별도의 보안 정보 전송 없이,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전력 정보 또는 레시피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is the first level and there is a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 The home appliance 200 can transmit power information or recip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to the home appliance 200.

도 10b는, 이동 단말기(600)를 세탁기(200b)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10B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600 is brought close to the washing machine 200b, that is, when tagging is performed.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가능한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 내의 NFC 모듈(617)은, 세탁기(200b)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그 역으로, 세탁기(200b)의 NFC 모듈(217)이 이동 단말기(600)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washing machine 200b approach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nab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NFC module 617 in the mobile terminal 600 provides a magnetic fiel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 Or vice versa, the NFC module 217 of the washing machine 200b may provide a magnetic field to the mobile terminal 600.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로 기록(write) 또는 송신한다. The mobile terminal 600 uses the magnetic field to writ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to the memory 218 in the NFC module 217 in the home appliance 200, .

이러한 기록 또는 송신 단계 이전에,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기록된 제품 정보를 독출 또는 수신하고,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기 등록된 세탁기인지, 즉, NFC 통신이 가능한 세탁기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로 기록(write) 또는 송신한다. Before this recording or transmission step, the mobile terminal 600 reads or receives the produc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memory 218 in the NFC module 217 in the home appliance 200, and, using the received produc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washing machine is a pre-registered washing machine, that is,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NFC communicati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written or transmitted to the memory 218 in the NFC module 217 in the home appliance 200 as described above.

즉,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완료된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로 기록(write) 또는 송신할 수 있다. That is, the mobile terminal 600 performs authentication using the received product information, and when the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to the NFC module 217 in the home appliance 200 To the memory 218 in the memory 218. [

도 10c는, 도 10b의 태깅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에서, 세탁기(200b)로, 세탁기(200b)에 대한 전력 정보(Spow)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세탁기(200b)는, 이동 단말기(600)를 통해, 간편하게, 전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FIG. 10C illustrates that power information (Spow) to the washing machine 200b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o the washing machine 200b by tagging in FIG. 10B. Thereby, the washing machine 200b can easily acquire the power inform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600. [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수신되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에 따라, 해당 동작을 실행한다(S840).한편, 도 9의 제940 단계(S940)는 도 8의 제840 단계(S840)에 대응한다.Next, the home appliance 200 execute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S840). On the other hand, in operation 940 (S940) of FIG. 9, And corresponds to step 840 (S840).

도 10d는, 도 10c에서 수신한, 전력 정보(Spow)에 기초하여, 세탁기(200b)가 절전 구동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Fig. 10D illustrates that the washing machine 200b performs the power saving operation based on the power information (Spow) received in Fig. 10C.

예를 들어, 피크 타임인 13:00 부터 15:00 기간을 피해서, 세탁기(200b)가 구동한다던지, 전체 세탁 구간 중 전력 소비가 적은,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등의 일부가, 피크 타임에 일부 중첩되도록하고, 전력 소비가 많은, 타수 행정, 또는 건조 행정은 피크 타임과 절대 중복하지 않도록, 세탁기(200b)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 portion of the laundry, the rinse cycle, and the like, in which the washing machine 200b is driven, the power consumption is small in the entire washing cycle, etc., is avoided during the peak time from 13:00 to 15:00, So that the washing machine 200b can be driven in such a manner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 the drum stroke, or the drying stroke never overlaps with the peak time.

한편, 도 10a 내지 도 10d는, 이동 단말기(600)에 전력 정보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태깅하는 경우, 전력 정보(Spow)가 세탁기(200b)로 전송되고, 세탁기(200b)가 수신되는 전력 정보(Spow)에 대응하여, 절전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하였다.10A to 10D illustrate a case where power information Spow is transmit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washing machine 200b are tagged while the power informa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power sav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power information Spow received by the washing machine 200b.

한편, 도 10a 내지 도 10d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unlike FIGS. 10A to 10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이하의 도 11a 내지 도 11e는, 이동 단말기(600)에 레시피 관련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조리기기(200d)가 태깅하는 경우, 레시피 정보(Sreci)가 조리기기(200d)로 전송되고, 조리기기(200d)가 수신되는 레시피 정보(Sreci)에 대응하여, 해당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11A to 11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cooking appliance 200d tag the recipe information Sreci in the cooking device 200d,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ipe information Sreci in which the cooking appliance 200d is received.

도 11a는, 조리기기(200d)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조리기기(200d)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11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11A illustrates that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cooking appliance 200d is executed and the application screen 1110 related to the cooking appliance 200d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

도 11b는, 조리기기(200d)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중 레시피 관련 화면(112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애플 타르트'에 관련한 레시피 화면을 예시한다.FIG. 11B illustrates that the recipe related screen 1120 among the screens of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cooking appliance 200d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FIG. The drawing illustrates a recipe screen related to 'apple tart'.

다음, 도 11c는, 이동 단말기(600)에 레시피 관련 화면(11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조리기기(200d)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를 예시한다.11C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600 is approached to the cooking device 200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user is tagged while the recipe related screen 1120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FIG.

이에 따라, 도 11d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조리기기(200d)의 NFC 모듈(217)로, '애플 타르트'에 관련한 레시피 정보(Sreci)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레시피 정보는, 조리 시간 정보, 조리 코스 정보, 조리법 종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11D, the mobile terminal 600 can transmit the recipe information Sreci related to 'apple tart' to the NFC module 217 of the cooking appliance 200d. Here, the recipe information may include cooking time information, cooking course information, recipe type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11e는, 도 11d에서 수신한, '애플 타르트'에 관련한 레시피 정보(Sreci)에 기초하여, 조리기기(200d)가 애플 타르트'에 관련한 조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조리 시작 버튼을 누르거나, 조리 시작 버튼의 동작 없이도, 간편하게, 원하는 음식('애플 타르트')에 대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FIG. 11E illustrates that the cooking appliance 200d performs the cooking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e tart ', based on the recipe information Sreci related to' apple tart 'received in FIG. 11D. Thereby, the user can easily cook the desired food ('apple tart') without pressing the cooking start button or operating the cooking start button without any setting.

다음, 제720 단계(S720)에서,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이 아닌 경우, 제735 단계(S735) 이하가 수행될 수 있다.Next, if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is not the first level in operation 720 (S720), operation 735 (S735) may be performed.

즉, 이동 단말기(600)는,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735).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tagging)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74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한다(S745). 한편, 도 9의 제935 단계(S935)는 도 7의 제735 단계(S735)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40 단계(S940)는, 도 8의 제840 단계(S840), 및 도 7의 제740 단계(S740)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45 단계(S945)는, 도 8의 제845 단계(S845), 및 도 7의 제745 단계(S745)에 대응한다.That is, the mobile terminal 600 determines whether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is the second level (S735). If so,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S740). If so,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security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S745). 9, step 935 corresponds to step 735 in FIG. 7, step 940 in FIG. 9 corresponds to step 840 in FIG. 8, step 840 in FIG. 8, Step S740 corresponds to step S740 of FIG. 7, and step 945 (S945) of FIG. 9 corresponds to step 845 (S845) of FIG. 8 and step 745 (S745) of FIG.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can determine the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screen.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운전 코스 화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화면이거나,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펌 웨어 화면이거나,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 화면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운전 코스 정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정보이거나,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펌 웨어 정보이거나,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 정보를, 보안 레벨이 높은 제2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a driving course screen or a driving course list scree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a firmware scree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or an access point device list screen, the mobile terminal 600 The control unit 680 of the home appliance 200 may be either driving course information or driving course li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or firmwa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or access point device list information to a second level It can be judged.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은,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tagging)이 있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정보 전송 전에,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먼저 전송한다(S846).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S847),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은, 홈 어플라이언스로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한다(S848). 한편, 도 9의 제946 단계(S946)는 도 8의 제846 단계(S846)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47 단계(S947)는, 도 8의 제847 단계(S847)에 대응하며, 도 9의 제948 단계(S948)는, 도 8의 제848 단계(S848)에 대응한다.Accordingly, when there is a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while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is the second level,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Before transmission, security information is first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S846). Whe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200 in operation S847,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in operation S848. 9 corresponds to step 846 (S846) in FIG. 8, and step 947 (S947) in FIG. 9 corresponds to step 847 (S847) in FIG. 8, Step 948 of FIG. 9 (S948) corresponds to step 848 of FIG. 8 (S848).

이때,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한 후,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은, 홈 어플라이언스로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f the security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after the securi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transmit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200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not transmit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이하의 도 12a 내지 도 12e는, 이동 단말기(600)에 세탁 코스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태깅하는 경우, 먼저, 보안 정보(Ssea)가 세탁기(200b)로 전송되고, 보안 정보(Ssea)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Soka)가 세탁기(200b)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고, 세탁 코스 정보(Scos)가 세탁기(200b)로 전송되고, 세탁기(200b)가 수신되는 세탁 코스 정보(Scos)에 대응하여, 해당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12A to 12E are diagrams for explaining how the security information Ssea is transmit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washing machine 200b are tagged while the washing course screen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ka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information Ssea is transmitted from the washing machine 200b to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washing course information Scos is transmit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laundry course information Scos on which the operation is performed.

도 12a는,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21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12A illustrates that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is executed and an application screen 1210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

도면에서는,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210)이, 펌웨어 항목, 세탁코스 항목(1215)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figure, the application screen 1210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includes a firmware item and a washing course item 1215,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 중 세탁코스 항목(1215)이 선택되는 경우, 도 12b와 같이,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중 세탁 코스 화면(122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세탁 행정 60분, 헹굼 행정 20분, 탈수 행정 10분으로 구성되는 '코스 a'에 관련한 세탁 코스 화면(1220)을 예시한다.When the laundry course item 1215 is selected, the washing course screen 1220 i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may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as shown in FIG. 12B. In the figure, a washing course screen 1220 relating to a "course a" composed of a washing cycle 60 minutes, a rinsing cycle 20 minutes, and a dewatering cycle 10 minutes is illustrated.

다음, 도 12c는, 이동 단말기(600)에 세탁 코스 화면(12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세탁기(200b)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를 예시한다.12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600 is approach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washing machine 200b, that is, the tag is tagged while the washing course screen 1220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FIG.

이에 따라, 도 12d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먼저, 보안 정보(Ssea)를 세탁기(200b)로 전송하고, 보안 정보(Ssea)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Soka)를 세탁기(200b)로부터 수신한 이후, 세탁 코스 정보(Scos)를 세탁기(200b)로 전송할 수 있다.12D, the mobile terminal 600 first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Ssea to the washing machine 200b,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ka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information Ssea from the washing machine 200b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the washing course information Scos can be transmit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이동 단말기(600)는,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한 후,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로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mobile terminal 600 fails to receiv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200 after transmitting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200, the mobile terminal 600 does not transmi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여기서 보안 정보는, 암호화된 코드 정보일 수 있으며, 인증 정보는, 보안 정보에 대응하는, 암호화된 코드 정보일 수 있다. 보안 정보 전송 및 인증 정보 수신을 위해,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각각 보안 정보, 및 인증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보안 정보 전송 필요시 이를 전송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인증 정보 전송 필요시 이를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security information may be encrypted code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encrypted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information. In order to transmit security information and rece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home appliance 200 may previously store security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when it is necessary to transmit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home appliance 200 can transmi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required to be transmitted.

이동 단말기(600)는, 인증 정보(Soka)를 수신한 이후, 세탁기(200b)의 NFC 모듈(217)로, '코스 a'에 관련한 세탁 코스 정보(Scos)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코스 a'에 관련한 세탁 코스 정보(Scos)는, 세탁 행정 60분, 헹굼 행정 20분, 탈수 행정 10분 등에 대한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fter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ka, the mobile terminal 600 can transmit the laundry course information Scos related to the 'course a' to the NFC module 217 of the washing machine 200b. Here, the washing course information Scos relating to the 'course a' may include time information for a washing cycle of 60 minutes, a rinsing cycle of 20 minutes, a dehydration cycle of 10 minutes, and the like.

도 12e는, 도 12d에서 수신한, '코스 a'에 관련한 세탁 코스 정보(Scos)에 기초하여, 세탁기(200b)가 '코스 a'에 관련한 세탁 코스 운전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시작 버튼을 누르거나, 시작 버튼의 동작 없이도, 간편하게, 원하는 세탁 코스(코스 a')에 대한 세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FIG. 12E illustrates that the washing machine 200b performs the washing course operation related to the "course a", based on the washing course information Scos related to the "course a" received in FIG. 12D. Thereby,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washing for the desired washing course (course a ') without pressing the start button or the operation of the start button without any additional setting.

이하의 도 13a 내지 도 13g는, 이동 단말기(600)에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태깅하는 경우, 먼저, 보안 정보(Sse1)가 세탁기(200b)로 전송되고, 보안 정보(Sse1)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Sok1)가 세탁기(200b)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고, 세탁 코스 리스트 정보(Scol)가 세탁기(200b)로 전송되고, 세탁기(200b)가 수신되는 세탁 코스 리스트 정보(Scol)에 대응하여, 세탁 코스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예시한다.13A to 13G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washing machine 200b tag the security information Sse1 in the washing machine 200b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k1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information Sse1 is transmitted from the washing machine 200b to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washing course list information Scol is transmit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The laundry course list is upd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laundry course list information (Scol) to which the washing course list 200b is received.

도 13a는,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31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13A illustrates that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is executed and an application screen 1310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

도면에서는,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1310)이, 펌웨어 항목, 세탁코스 항목(1315)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the figure, the application screen 1310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includes a firmware item and a washing course item 1315,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 중 세탁코스 항목(1315)이 선택되는 경우, 도 13b와 같이,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중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laundry course item 1315 is selected, the laundry course list screen 1320 in the screen of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may b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as shown in FIG. 13B.

이때,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은, new 코스 a 항목, new 코스 b 항목, new 코스 c 항목 등, 제조자 등이 새롭게 업데이트한 세탁 코스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aundry course list screen 1320 may include items such as a new course a item, a new course b item, a new course c item, and a laundry course item newly updated by the manufacturer or the like.

한편,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 내의 다운 항목(1325)이 선택되는 경우, 도 13c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서버(500)에 접속하여,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에 대응하는 세탁 코스 리스트(Scol)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own item 1325 in the laundry course list screen 1320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3C, the mobile terminal 600 is connected to the server 500, A laundry course list (Scol) can be downloaded.

다음, 도 13d는, 이동 단말기(600)에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이 표시되고, 서버(500)로부터 세탁 코스 리스트(Scol)가 다운로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세탁기(200b)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시키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를 예시한다.Next, FIG. 13D shows a case where the laundry course list screen 1320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is installed in the washing machine 200b in a state in which the laundry course list (Scol) That is, a case where tagging is performed.

이에 따라, 도 13e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먼저, 보안 정보(Sse1)를 세탁기(200b)로 전송하고, 보안 정보(Sse1)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Sok1)를 세탁기(200b)로부터 수신한 이후, 세탁 코스 리스트 정보(Scol)를 세탁기(200b)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세탁 코스 리스트(Scol)는, 복수의 새로운 세탁 코스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13E, the mobile terminal 600 first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Sse1 to the washing machine 200b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k1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information Sse1, The washing course list information Scol can be transmit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after receiving the washing course list information Scol from the washing machine 200b. Here, the laundry course list (Scol) may include a plurality of new laundry course information.

이동 단말기(600)는,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한 후,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로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mobile terminal 600 fails to receiv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200 after transmitting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200, the mobile terminal 600 does not transmi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한편, 세탁기(200b)는, 수신되는 세탁 코스 리스트(Scol)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고, 기존이 세탁 코스 리스트를 수신한 세탁 코스 리스트(Scol)를 이용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세탁기(200b)의 세탁 코스 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washing machine 200b may store the received laundry course list (Scol) in a storage unit (not shown), and update the laundry course list (Scol) using the laundry course list (Scol)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update the laundry course list of the washing machine 200b.

한편, 도 13a 내지 도 13e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펌 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similar to the method shown in Figs. 13A to 13E,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firmware upgrade for the home appliance.

한편, 도 10a 내지 도 13e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억세스 포인트 장치 리스트 화면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도 13a 내지 도 13e에 도시된 방법과 유사하게,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보안 정보 전송 및 인증 정보 수신 이후에,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10A to 13E, wh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the access point device list screen, the mobile terminal 600 is similar to the method shown in FIGS. 13A to 13E , And the network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point device to the home appliance 200. That is, after transmitting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network information about the access point apparatus can be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이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WiFi 등의 통신 모듈을 구비한 경우, 수신되는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장치에 간단하게 무선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home appliance 200 has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iFi, the home appliance 200 can wirelessly access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AP) device using the received network information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한편, 도 13f 및 도 13g는,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3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태깅하는 경우, 보안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600)로 먼저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인증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600)로부터 수신 한 이후,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를 홈 어플라이언스(600)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한다.13F and 13G illustrate a case where the security level and the user information are tagged with the home appliance 200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the third level, To the home appliance 600, and transmits data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600 after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600. FIG.

즉, 도 13d에서, 이동 단말기(600)에, 특정 사용자를 위한, 세탁 코스 리스트 화면(13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태깅한다고 가정하면, 도 13f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먼저, 보안 정보(Sse2)와 사용자 정보(Spw2)를 세탁기(200b)로 전송하고, 보안 정보(Sse2)와 사용자 정보(Spw2)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Sok2)를 세탁기(200b)로부터 수신한 이후, 특정 사용자를 위한, 세탁 코스 리스트 정보(Scolp)를 세탁기(200b)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세탁 코스 리스트(Scolp)는, 특정 사용자를 위한, 복수의 새로운 세탁 코스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13D, if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washing machine 200b are tagged while the laundry course list screen 1320 for a specific user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 The mobile terminal 600 first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Sse2 and the user information Spw2 to the washing machine 200b through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Sse2 and the user information Spw2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information Sse2 and the user information Spw2 After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k2 from the washing machine 200b, the washing course list information Scolp for a specific user can be transmit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Here, the personal laundry course list (Scolp) may include a plurality of new laundry course information for a specific user.

이동 단말기(600)는, 보안 정보(Sse2)와 사용자 정보(Spw2)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한 후,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보안 정보(Sse2)와 사용자 정보(Spw2)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Sse2 and the user information Spw2 to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n authenticates the security information Sse2 and the user information Spw2 from the home appliance 200 Whe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not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한편, 사용자 정보(Spw2)는, 도 13g와 같이, 미리 입력되어 저장된 개인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정보(Spw2)는, 아이디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g는, 아이디 정보와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개인 사용자 정보 입력 화면(1320)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3f에서의, 사용자 정보(Spw2)가 태깅시 전송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information Spw2 may be personal user information previously entered and stored as shown in FIG. 13g. The user information Spw2 may include ID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13G illustrates an individual user information input screen 1320 in which ID information and password information can be input. Thus, the user information Spw2 in Fig. 13F can be transmitted at the time of tagging.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16a 내지 도 18c는 도 14 또는 도 15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home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6A to 18C Fig. 14 is a diagram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method of Fig. 14 or Fig.

도 14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도 7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과 유사하나,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가, 홈 어플라이언스(2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14 is similar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of FIG. 7, but differs in that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ransmitt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to the mobile terminal 600.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600)는, 디스플레이에 소정 화면을 표시한다(S1410). 특히,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68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웹 화면, 애플리케이션 화면 등 해당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14, the mobile terminal 600 displays a predetermined screen on the display (S141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controls to display a corresponding screen such as a web screen or an application screen in response to user input.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는, 력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의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화면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진단을 위한 고장 진단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600 may display a monitoring screen for monitoring the home appliance or a malfunction diagnosis screen for malfunction diagnosis of the home appliance by the power.

도 16a는 이동 단말기(600)에 모니터링 화면(162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화면(1620)은,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 모니터링 항목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16A illustrates that a monitoring screen 1620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FIG. The monitoring screen 1620 may be a screen displayed when a monitoring item is selected from execution screens of the home appliance-related application.

다음, 이동 단말기(600)는, 표시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는,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15).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142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tagging)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425).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한다(S1430). Next, the mobile terminal 600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 screen i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related screen that needs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S1415). If so,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is the first level (S1420). If so,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S1425). If so,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S1430).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표시되는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는,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표시되는 화면이, 모니터링 화면이거나, 홈 어플라이언스의 고장 진단을 위한 고장 진단 화면인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는,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determines whether the displayed screen i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related screen that needs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ed screen is a monitoring screen or a failure diagnosis screen for diagnosing a failure of the home applianc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related screen needs to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can determine the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모니터링 화면인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할 모니터링 정보를 보안 레벨이 가장 낮은 제1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a monitoring screen, the monitoring information to be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can be determined as the first level with the lowest security level.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고장 진단 화면인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할 고장 진단 정보를 보안 레벨이 높은 제2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a failure diagnosis screen, the failure diagnosis information to be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can be determined as a second level with a high security level.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은,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tagging)이 있는 경우, 별도의 보안 정보 등의 수신 없이,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모니터링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while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is at the first level without receiving any additional security information or the like The home appliance 200 can receive the moni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from the home appliance 200.

도 16a는, 이동 단말기(600)에 모니터링 화면(16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세탁기(200b)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16A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600 is brought close to the washing machine 200b, that is, tagging, while the monitoring screen 1620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FIG.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가능한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 내의 NFC 모듈(617)은, 세탁기(200b)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그 역으로, 세탁기(200b)의 NFC 모듈(217)이 이동 단말기(600)로 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washing machine 200b approach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nabl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NFC module 617 in the mobile terminal 600 provides a magnetic fiel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 Or vice versa, the NFC module 217 of the washing machine 200b may provide a magnetic field to the mobile terminal 600.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세탁기(200b) 내의 NFC 모듈(617)로, 모니터링 정보 요청을 전송한다. Then,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a monitoring information request to the NFC module 617 in the washing machine 200b using a magnetic field.

이에 따라, 세탁기(200b) 내의 NFC 모듈(617)은, 세탁기(200b) 내의 NFC 모듈(217) 내의 메모리(218)에 저장된 세탁기의 모니터링 정보만을 독출(read) 또는 수신할 수 있다. The NFC module 617 in the washing machine 200b can read or receive only the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washing machine stored in the memory 218 in the NFC module 217 in the washing machine 200b.

예를 들어, 도 16a와 같이, 이동 단말기(600)에 모니터링 화면(1620)이 표시된 경우, 이동 단말기(600)는, 세탁기(200b)의 동작 상태 정보(Sstp)를 독출(read) 또는 수신할 수 있다. 16A, when the monitoring screen 1620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the mobile terminal 600 read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Sstp of the washing machine 200b .

도 16b는, 도 16a의 태깅에 의해, 세탁기(200b)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세탁기(200b)의 동작 상태 정보(Sstp)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이동 단말기(600)는 간편하게,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세탁기(200b)로부터 간단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16B illustrates that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Sstp of the washing machine 200b is transferred from the washing machine 200b to the mobile terminal 600 by tagging in Fig. 16A.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600 can easily acqui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from the washing machine 200b.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600 can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도 16c는, 세탁기(200b)의 동작 상태 정보(Sstp)가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16C illustrates that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Sstp of the washing machine 200b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

도면에서는, 현재 탈수 중을 나타내는 정보(1630), 남은 시간 정보(1635), 총 진행 시간 정보(1637)가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In the figure, information 1630 indicating remaining dehydration, remaining time information 1635, and total progress time information 1637 are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한편, 도 14와 달리,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지 여부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에서 판단할 수도 있다.Unlike FIG. 14, the control unit 270 of the home applian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즉,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의 태깅시, 이동 단말기(600)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 요청을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송신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모니터링 정보 요청인 경우, 제1 레벨로 판단하고, 별도의 보안 정보 전송 없이, 바로, 모니터링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That is, when tagg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ome appliance,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an information request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home applian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a monitoring information request The mobile terminal 600 can determine the first level and send the monitoring information directly to the mobile terminal 600 without transmitting additional security information.

다음, 제1420 단계(S1420)에서,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이 아닌 경우, 제1435 단계(S1435) 이하가 수행될 수 있다.Next, in step 1420 (S1420), if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is not the first level, step 1435 (S1435) and subsequent steps may be performed.

즉, 이동 단말기(600)는,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1435).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tagging)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44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전송한다(S1445). That is, the mobile terminal 600 determines whether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is the second level (S1435). If so,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S1440). If so,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security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home appliance (S1445).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can determine the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screen.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화면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고장 진단 화면인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제어부(68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고장 진단 정보를, 보안 레벨이 높은 제2 레벨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is a failure diagnosis scree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the control unit 680 of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the failure diagnos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level has a high security level.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은,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tagging)이 있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의 관련한 정보 수신 전에,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먼저 수신한다(S1446).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S1447). 그리고, 인증 정보 전송 이후,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은,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S1448).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can notify the home appliance of the relevant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displayed screen is at the second level and there is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Before receiving the information, security information is first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S1446). T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on the securit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S1447). After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from the home appliance (S1448).

이때, 보안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 수신한 이후,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인증 정보를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의 NFC 모듈(617)은,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an not be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200 after the security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the NFC module 617 of the mobile terminal 600 may transmi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200 to the home appliance 200 Information can not be receiv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한편, 도 14와 달리,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지 여부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에서 판단할 수도 있다.Unlike FIG. 14, the control unit 270 of the home appliance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즉, 이동 단말기와 홈 어플라이언스의 태깅시, 이동 단말기(600)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 요청을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송신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고장 진단 정보 요청인 경우, 제2 레벨로 판단하고, 보안 정보룰 먼저 전송하고, 그 이후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비로소, 고장 진단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 That is, when tagg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home appliance,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an information request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home appliance 200 transmit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he failure diagnosis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only after the security level rule is transmitted first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reafter.

이하의 도 17a 내지 도 17d는, 이동 단말기(600)에 NFC 진단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세탁기(200b)가 태깅하는 경우, 먼저, 보안 정보(Sseb)가 이동 단말기(600) 전송되고, 보안 정보(Sseb)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Sokb)가 이동 단말기(600)에서 세탁기(200b)로 전송된 후에, 고장 진단 정보(Sdia)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17A to 17D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washing machine 200b perform tagging while the NFC diagnosis screen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The security information Sseb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after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kb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information Sseb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to the washing machine 200b do.

도 17a는, 세탁기(200b)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세탁기(200b) 관련 NFC 진단 화면(17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세탁기(200b)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17A shows the case where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is executed so that the NFC diagnosis screen 1720 related to the washing machine 200b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600 is brought close to the washing machine 200b, tagging).

이에 따라, 도 17b와 같이, 세탁기(200b)는, 먼저, 보안 정보(Sseb)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하고, 보안 정보(Sseb)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Soka)를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수신한 이후, 고장 진단 정보(Sdia)가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할 수 있다.17B, the washing machine 200b first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Sseb to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ransmi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ka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information Sseb to the mobile terminal 600, The failure diagnosis information Sdia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보안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한 후,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0)로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이동 단말기(600) 사이에, 선별적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home appliance 200 fails to receiv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after transmitting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600, the home appliance 200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600 It is not transmit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ransmit information between the home appliance 2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여기서 보안 정보는, 암호화된 코드 정보일 수 있으며, 인증 정보는, 보안 정보에 대응하는, 암호화된 코드 정보일 수 있다. 보안 정보 전송 및 인증 정보 수신을 위해, 이동 단말기(6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각각 보안 정보, 및 인증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보안 정보 전송 필요시 이를 전송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인증 정보 전송 필요시 이를 전송할 수 있다.Here, the security information may be encrypted code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encrypted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urity information. In order to transmit security information and rece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home appliance 200 may previously store security information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spectively.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when it is necessary to transmit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home appliance 200 can transmi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required to be transmitted.

한편, 도 17b에 따르면, 세탁기(200b)의 고장 정보(Sdia)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고, 이동 단말기(600)가 세탁기(200b)의 고장 정보(Sdia)를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서버(500)로부터 고장 진단 결과 정보(Sres)를 수신할 수 있다.17B, if the failure information Sdia of the washing machine 200b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transmits the failure information Sdia of the washing machine 200b to the server 500 . Then, the mobile terminal 600 can receive the failure diagnosis result information Sres from the server 500. [

도 17c는, 도 17b의 세탁기 고장 결과 정보(Sres)에 기초한 고장 결과 정보(1730)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FIG. 17C illustrates that the failure result information 1730 based on the washing machine failure result information Sres of FIG. 17B is displayed on the display.

도면에서는, 세탁기 고장 결과 정보(1730)로서, '물 배출구가 얼었습니다'라는 문구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세탁기 고장 원인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In the figure, the washing machine failure result information 1730 indicates that the phrase " the water outlet is frozen " is displayed.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ause of the failure of the washing machine, and the user's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세탁기 고장 결과 정보(1730) 외에, AS 신청 항목(1735)을 더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600 can further display the AS application item 1735 in addition to the washing machine failure result information 1730. [

도 17c에서 AS 신청 항목(1735)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도 17d와 같이, AS 신청 화면(1740)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고장 결과 정보 외에, 바로 AS 신청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17C, when the AS application item 1735 is selected by user input, an AS application screen 1740 may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7D. Thereby, the user can perform the AS application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failure result informa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user.

이하의 도 18a 내지 도 18c는, 이동 단말기(600)에 모니터링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와 냉장고(200a)가 태깅하는 경우, 별도의 보안 정보나 인증 정보의 전송 없이,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Sst)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고, 이동 단말기(600)가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Sst)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보안 레벨이 1 레벨로서, 별도의 별도의 보안 정보나 인증 정보의 전송이 없는 것을 예시한다.18A to 18C illustrate a case where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refrigerator 200a are tagged while the monitoring screen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refrigerator 200a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Sst of the refrigerator 200a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and the mobile terminal 600 displays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Sst of the refrigerator 200a. That is, it is exemplified that the security level is one level and there is no separate security information or transmission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도 18a는, 냉장고(200a)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냉장고(200a) 관련 모니터링 화면(18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600)를 냉장고(200a)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를 예시한다.18A shows a case where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refrigerator 200a is executed and the monitoring screen 1820 related to the refrigerator 200a is displayed and the mobile terminal 600 is brought close to the refrigerator 200a, ) Are exemplified.

이에 따라, 도 18b와 같이,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Sst)가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Sst of the refrigerator 200a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600, as shown in FIG. 18B.

그리고, 이동 단말기(600)는, 도 18c와 같이,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Sst)를 표시할 수 있다.Then, the mobile terminal 600 can display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Sst of the refrigerator 200a as shown in Fig. 18C.

도 18c는,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1830)을 예시한다. 여기서,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1830)은, 냉동실 온도 정보, 냉장실 온도 정보, 특급 냉동 운전 정보, 스마트 절전 운전 정보, 문 개폐 횟수 정보, 전력 사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 정보 화면(1830)을 통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냉장고(200a)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18C illustrates an operation state information screen 1830 of the refrigerator 200a. Here, th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screen 1830 of the refrigerator 200a includes the freezer compartment temperature informatio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emperature information, the special refrigeration operation information, the smart power saving operation information, the door open / close count information, Modific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screen 1830 of the refrigerator 200a,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frigerator 200a.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특정 사용자를 위한 모니터링 화면 또는 고장 진단 화면이, 이동 단말기(600)에 표시되는 경우, 이때의 보안 레벨은 3 레벨로 판단하고, 도 13f 및 도 13g와 유사하게, 화면 관련 정보 수신을 위해, 별도의 보안 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200)에서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a monitoring screen or a failure diagnosis screen for a specific user is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600, the security level at this time is determined to be three levels, and similarly to Figs. 13F and 13G, In order to receive screen relate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hat separate security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home appliance 200 to the mobile terminal 600.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the home appliance,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Or some of them may be selectively combined.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or the home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processor-readable code on a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or a home appliance.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In addition, the processo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de readable by the processor in a distributed fashion can be stored and execut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3)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Displaying a predetermined screen;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agging the home appliance with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being the first level;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agging the home appliance with the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screen being a second level. Lt;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련 정보 및 상기 보안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보안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상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related information and the securit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comprise:
Transmitting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agging the home appliance with the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screen being a second level; An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련 정보 및 상기 보안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보안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상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creen related information and the securit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comprise:
And transmitting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agging the home appliance with the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screen being a second level,
Wherein the home appliance does not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3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 상기 보안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in a state where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third leve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련 정보, 상기 보안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3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보안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상기 보안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creen related information, the security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agging the home appliance with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being the third level; An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련 정보, 상기 보안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3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보안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상기 보안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creen related information,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agging the home appliance with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being the third level,
Wherein if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information are not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not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전력 정보 또는 레시피 정보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을 상기 제1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judging the security level of data related to the screen to be the first level when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power information or recip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운전 코스 정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정보,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펌 웨어 정보, 또는 억세스 포인트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정보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을 상기 제2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driving course information or the driving course li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the firmwa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or the network information for the access point device, And determining the second level as the second lev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가, 특정 사용자를 위한, 홈 어플라이언스와 관련한 운전 코스 정보 또는 운전 코스 리스트 정보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을 상기 제3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And determining that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third level when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driving course information or driving course list information related to the home appliance for a specific user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단계;
상기 태깅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보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안 정보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Tagging with a mobile terminal;
Receiving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agging;
Transmit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mobile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보안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안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Receiving security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agging;
And transmitt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Displaying a predetermined screen;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from the home appliance when the display screen is related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and the tag is tagged with the home appliance;
When the display screen is related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whe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security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련 정보 및 상기 보안 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보안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안 정보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creen-related information and the security-
Receiving the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when the display screen is tagged with the home appliance in a state that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Transmit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in response to the security information; And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from the home appliance.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단계;
상기 태깅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Tagging with a mobile terminal;
Receiving a transmission request of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displayed from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agging;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securit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련 정보와 상기 보안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상기 제2 레벨인 경우, 상기 보안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creen related information and the security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And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Wa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련 정보가, 원격 제어 정보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을 상기 제1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if the screen-related information is remote control information, determining that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관련 정보가, 고장 진단 관련 정보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을 상기 제2 레벨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the screen-related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rouble diagnosis, determining a security level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be the second level.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거나,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 및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display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screen;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when the tag is tagged with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or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A local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information and securit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when tagging the home appliance with the home appliance;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on the display.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은,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보안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고,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상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comprises:
When the tag is tagged with the home appliance in a state that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transmits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home appliance and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n the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home appliance And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home applianc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구동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태깅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보안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보안 정보에 응답하여 인증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 및
상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A driving unit;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tagged with the mobile terminal, security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agg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security information, A short range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information.
소정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표시 화면이 정보 전송 요청 관련 화면이며, 상기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상태에서,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 및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A display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screen;
Wherein when the display screen is related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and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when tagging with the home appli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When the tag is tagged with the home appliance in a state that the security level of the data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home appliance through a local magnetic field communication module;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home appliance on the display.
구동부;
이동 단말기와 태깅하는 경우, 상기 태깅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1 레벨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제2 레벨인 경우,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와 보안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 및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을 판단하여, 상기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A driving unit;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transmission request for information related to a screen displayed from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tagging, and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first leve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And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security level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and controlling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자기장 통신 모듈은,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의 보안 레벨이 상기 제2 레벨인 경우, 상기 보안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보안 정보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comprises:
When the security level of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is the second level, transmitting the security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whe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curit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creen to the mobile terminal.
KR1020130000710A 2012-09-24 2013-01-03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9690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10A KR101969031B1 (en) 2013-01-03 2013-01-03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4/029,091 US9385784B2 (en) 2012-09-24 2013-09-17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310439787.7A CN103684538B (en) 2012-09-24 2013-09-24 Mobile terminal,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10A KR101969031B1 (en) 2013-01-03 2013-01-03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777A KR20140088777A (en) 2014-07-11
KR101969031B1 true KR101969031B1 (en) 2019-04-15

Family

ID=5173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710A KR101969031B1 (en) 2012-09-24 2013-01-03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0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342B1 (en) * 2017-05-25 2022-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headse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019B1 (en) * 2005-12-30 2007-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Management Of Food Stuff Using RF Communication Network of Refrigerator in Smart Commun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777A (en) 201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962B1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n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924961B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US9385784B2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773408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631435B1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cne, and method for operaing the same
US20140087661A1 (en) Home appliance using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342117B1 (en) Terminal, and home appliance system including the same
KR20140089795A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KR101545486B1 (en) Home applicance
CN1050939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rt-stop of smart apparatus
KR102033932B1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40081270A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ing the same
KR101969036B1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n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00122029A (en) A portable terminal controlling air-conditioner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969031B1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36722B1 (en) Home applicance
KR102080514B1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70132017A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KR102077563B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80016022A (en) Home applianc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198182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19238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5005712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40088453A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KR20150053553A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