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853B1 -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853B1
KR101968853B1 KR1020177034981A KR20177034981A KR101968853B1 KR 101968853 B1 KR101968853 B1 KR 101968853B1 KR 1020177034981 A KR1020177034981 A KR 1020177034981A KR 20177034981 A KR20177034981 A KR 20177034981A KR 101968853 B1 KR101968853 B1 KR 101968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cellular network
mode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4221A (ko
Inventor
폴케르 브로이어
라스 베마이어
플로리안 덴진
앙드레 오스테헝
Original Assignee
제말토 엠2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말토 엠2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말토 엠2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04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과 트랜시버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의 세트를 추가로 유지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커맨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 유닛과 상호연결된 제어 기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 방법은, 통신 유닛에 있어서, 셀룰러 네트워크의 사전 구성된 통신 거동 요구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확인하는 단계, 제어 기기에 있어서, 구상된 통신 거동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를 커맨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 유닛에 제출하는 단계, 및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 있어서, 트랜시버 유닛에 의한 셀룰러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임박한 데이터 교환 세션을 위해, 상기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고려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 중 하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분야에서, 셀룰러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유지 비용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 운영자들이 셀룰러 네트워크들 내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의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치를 취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특히, 머신-투-머신 통신 도메인에 위치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적용된다.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조치에 대한 일례가 GSMA 네트워크 효율성 가이드 (GSMA Association, Official Document CLP.03: IoT Device Connection Efficiency Guidelines V1.0, 13.10.2014)에 문서화되어 있으며, 이는 참고로 본원에 통합된다.
머신-투-머신 통신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 바람직하게는 제어 기기 및 통신 유닛, 특히, 무선 모듈로 이루어짐 - 에 대해, 이들 조치는 셀룰러 네트워크 운영자들에 의해 제공된 통신 거동 요구들에 대처하기 위해 부가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제어 기기와 통신 유닛 사이의 부가적인 상호작용 노력을 생성한다.
본 해결방안에서는, 통신 유닛은 제어 기기에 의해 완벽하게 제어되는 반면에, 통신 유닛 펌웨어는 제어 기기와 커맨드 인터페이스에 링크된 원격 제어를 통해 수신된 커맨드들을 직접 수행한다. 따라서, 셀룰러 네트워크의 제공된 통신 거동 요구들에 따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거동을 보장하기 위해 부가적인 노력이 제어 기기에 반드시 적용될 것이다.
통신 거동 요구에 대처하는 이러한 접근방식은, 제어 기기들이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들 제조자의 수직 시장(vertical market)에 따라 특수 목적을 위해 생성된 디바이스들이기 때문에 불리하다. 이러한 수직 시장은 포스(point-of-sale), 애셋-트랙킹(asset-tracking) 또는 자동차의 엔터테인먼트 및 보안 유닛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통신 유닛으로부터 단지 연결을 요청하며, 연결의 설정,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 및 연결의 끝내기 이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제어 기기에서 통신 거동 요구들을 부가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엄청난 과부하이다.
다른 한편, 제어 기기는 자신의 요구들을 여전히 가져서, QoS, 전력 소모, 데이터 스루풋 등의 면에서 특정한 요건들에 관하여 통신 링크를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언급한 단점들을 극복하며,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현재 동작하고 있는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의 통신 거동 요구들에 대처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개선된 제어를 위한 해결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추가로, 대안적이고 유리한 해결방안들이 그에 따라 본 기술분야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10항에 따르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추가로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16항에 따르는 셀룰러 네트워크가 추가로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과 트랜시버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의 세트를 추가로 유지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커맨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 유닛과 상호연결된 제어 기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 방법은, 통신 유닛에 있어서,
셀룰러 네트워크의 사전 구성된 통신 거동 요구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확인하는 단계,
제어 기기에 있어서, 구상된 통신 거동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를 커맨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 유닛에 제출하는 단계, 및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 있어서,
트랜시버 유닛에 의한 셀룰러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임박한 데이터 교환 세션을 위해, 상기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고려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 중 하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GSM, UMTS 및 LTE와 같은 무선 셀룰러 기술 표준들에 따르는 셀룰러 네트워크들의 공통적으로 공지된 아키텍처에 기초한다. 그것의 일부로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은 지원되는 기술 표준의 관점에서 의도된 제한 없이 아래에서 기지국으로 지칭되는, 셀룰러 네트워크들의 기지국들, 즉 NodeB 또는 eNodeB 각각을 통한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특히 기지국에 캠프 온(camp on)하고,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벤딩 머신, 애셋 트랙커, 전자 미터 또는 홈 보안 시스템과 같은 핸드셋, 소위 머신-투-머신(M2M) 디바이스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어도 통신 유닛, 바람직하게는, 제어 기기를 포함한다. 제어 기기는 특히, 예를 들어, 원격 서버와의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통신 유닛을 제어하는 일반 제어 인스턴스이다. 제어 기기는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반 목적, 예를 들어, 데이터의 측정, 상품의 판매, 자산의 추적 등에 관한 더 많은 작업들을 실행한다.
통신 유닛은 적어도 트랜시버 유닛 및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으로 구성된다.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특히, 통신 유닛의 일반 동작 펌웨어, 아래에서, 통신 유닛 펌웨어의 일부이거나 그에 부착된다.
트랜시버 유닛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현재 동작하고 있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부터/기지국으로 신호들을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모든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기저대역 칩, 무선 주파수(RF) 유닛, 안테나 및 프로토콜 스택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 모듈, 라이브러리 또는 개별 프로세싱 유닛 각각으로서 통신 유닛 펌웨어와 연결되거나 결합된다. 통신 유닛의 일부로서 개별 CPU들상에서 구동된 유닛들 양자를 갖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의 작업들 중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셀룰러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을 향한 공중 인터페이스와 함께, 트랜시버 유닛, 특히, RF 유닛의 사용 및 거동에 관하여 판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의 세트를 유지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통신 유닛의 메모리 유닛에 몇 개의 데이터세트들을 저장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러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은 셀룰러 네트워크와 동작하는 구성 기준들의 집합을 제공하고, 여기서 각각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는 통상의 동작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저장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의 세트는 특히,
- 정상 모드 -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일반 3GPP 사양들을 고려함 -,
-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의 예상들을 고려하는, 네트워크 친화 모드,
-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된 정책 관리자로부터의 규칙들을 고려하는 무선 정책 관리자 모드,
- MTC 모드 -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3GPP MTC 사양들을 고려함 -,
- 최대 휴면 모드 -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송신을 위해 미리 정의된 기간 마다 한번만 활성임 -,
- 비이동성 모드 -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한된 영역에서만 동작함 - 의 그룹 중 하나를 각각 나타낸다.
정상 모드는 바람직하게는, 정상 커버리지(NC) 모드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따르고, 이는 3GPP RAN 규칙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가 강화된 커버리지(EC) 모드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정상 모드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규칙적인 자유를 포함하는, 모바일 핸드셋의 거동과 비교가능하다.
네트워크 친화 모드는, 바람직하게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된 연결 효율성 가이드라인들을 통해 제공되는 셀룰러 네트워크 명령어들 및 예상들 각각에 초점을 둔다.
무선 정책 관리자 모드는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통신 유닛에 제공된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의 명령어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정책 관리자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이 셀룰러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위태롭게 하는 어그레시브 네트워크 액세스들, 예를 들어, 시그널링 요청이 거부되었을 때의 대량의 재시도들 실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최대 휴면 모드는 절전에 관한 강한 요건들을 갖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이렇게 행하기 위해, 송신 및/또는 수신 동작들을 최소로 감소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른 한편으로, 셀룰러 네트워크는 특히 그 모드를 인지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정상 모드에서 예상된 거동에 따르지 않으면 -,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처리된 잠시 후에 스위치 오프된 것처럼 최악의 경우에 있게 된다.
비이동성 모드는 특히, 정지로서 분류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따른다. 이것은 특히 이동성 관리, 즉, 이웃 셀 측정에 관한 제한되거나 감소된 측정 및 시그널링 거동을 실시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이것은 전력 소모를 감소시킨다.
각각의 저장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는 결정의 일부로서 추후 선택을 위한 기준의 특징을 나타내는 식별자, 및 적어도 임의로, 통신 유닛 펌웨어 및/또는 트랜시버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사항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의 하나의 작업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필요성들에 특히 기초하여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유닛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사전 구성된 통신 거동 요구에 따른다.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확인하는 단계는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통신 디바이스, 특히, 통신 유닛으로 적어도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메시지의 송신에 의해 실시된다. 이러한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메시지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향한 통신 거동 요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이러한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메시지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 통신 유닛 각각에 일반적으로 연결되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에 의해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 제공된다.
가입자 식별 모듈은 특히,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의 형태로 제공된다.
이것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물리적으로 일부이고 SIM 상에 저장된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더라도, 셀룰러 네트워크의 도메인에 속한다. 셀룰러 네트워크 운영자는 특히,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특정 정보와 가입자 식별 모듈들을 통상적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신규 가입에 배포한다.
추가로, 셀룰러 네트워크 특히, 베어러 독립 프로토콜(BIP)을 사용함으로써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입자 식별 모듈에 원격 액세스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대해, 이러한 시그널링은 트랜시버 유닛을 통해 물리적으로 수행되지만, 완전히 투명하다. 이 외에, 원격 프로비저닝 방법들의 일부로서, 가입자 식별 모듈은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에 관한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의 메시지들을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는 통신 유닛, 특히,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 셀룰러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제공된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확인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특히, 연결 관리자 또는 상기 무선 정책 관리자이다.
이러한 무선 정책 관리자의 일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통신 유닛에 주도적으로 또는 요청시에 제공하는 것이 특히 예측된다. 이러한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는 특히, 소프트웨어 모듈의 일부이거나, 소프트웨어 모듈은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부가적인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데이터를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들 실시예들의 조합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사전 구성된 통신 거동 요구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확인하기 위해 통신 유닛에 이용가능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확인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초기화 단계의 일부로서 한번 실행된다. 추가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임박한 데이터 교환 세션의 준비시에 파라미터화를 리프레시하는 것이 제안된다.
효과적으로, 통신 유닛은 그 후, 셀룰러 네트워크가 추구하는 통신 거동 요구의 종류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임박한 데이터 교환 세션을 위한 다음 단계에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임박한 데이터 교환 세션은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도달가능한 원격 서버로의 데이터 송신, 또는 데이터 수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것은 특히 스케줄링된 데이터 교환 세션이다. 이것은 하루 중 특정 시간에 정기적으로, 측정된 소비 데이터를 수집 서버에 전송하는 전기 미터들의 형태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통상적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임박한 데이터 송신은,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이 다음 데이터 송신이 언제 발생할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단순히 다음 데이터 송신이다.
추가로,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초과의 데이터 교환 세션들, 특히, 다음 데이터 교환 세션으로 시작하는 연속 데이터 교환 세션들에 대해 또한 유효한다.
이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의 유지된 세트 중에서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는 이러한 단계에 대해 통신 유닛의 일부로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 대해 액세스가능하다. 특히,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과 조합으로 저장된다.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결정 단계는 특히,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와 기준의 매칭을 포함한다.
특히, 네트워크 동작 모드는 권장되거나 선호되는 엘리먼트들에 비하여, 의무적인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엘리먼트들에 의존하여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의무적인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엘리먼트들에 따르지 않는 것들을 저장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로부터 필터링한다. 나머지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에서, 의무적이 아닌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엘리먼트들에 대한 최상의 매칭들을 갖는 것이 선택된다. 최상의 매칭들은 단순한 수의 매칭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정교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엘리먼트는 할당된 우선순위에 관한 값을 갖는다. 이는 최상의 매칭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가중화된 결정으로 이어진다.
결국, 통신 유닛은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수용한다. 따라서, 이것은 셀룰러 네트워크 및 활성 기지국 각각과의 데이터 연결 상에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적용함으로써, 그리고/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리고/또는 수신하는 방식에 의해 임박한 데이터 교환 세션을 수행한다.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검증된 동작 시나리오들을 함께 형성하는 구성 기준들의 세트를 나타낸다.
제안된 발명의 방법은 셀룰러 네트워크와 동작하기 위한 각각의 상세 구성 기준들의 송신 없이,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발신된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에 응답하여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관하여 유리하다. 추가로, 제어 기기는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걱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임의의 부가적인 노력이 경감된다.
본 발명의 일부로서, 추가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커맨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 유닛과 상호연결된 제어 기기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 기기는, 구상된 통신 거동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를 커맨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 유닛에 제출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상기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를 부가적으로 고려한다.
이러한 방법 단계에 있어서, 통신 유닛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사전 구성된 통신 거동 요구에 따르는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에 부가적으로, 제어 기기로부터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를 수신한다.
따라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양자를 고려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제어 기기 및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의 거동 요구들을 모두 충족하는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찾아야 한다.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는 통신 유닛의 구상된 통신 거동에 관한 데이터의 집합을 포함하거나 나타낸다.
특히,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는:
- 데이터 송신들의 구상된 주기성,
- 데이터 송신 세션 마다 구상된 데이터의 양,
- 데이터 송신 세션 마다 예상된 데이터 스루풋,
- 데이터 송신의 예상된 서비스 품질,
- 예상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 허용된 전력 소비의 표시,
- 데이터 송신의 허용가능한 지연,
- 모바일 종단 통신에 대한 요구된 액세스가능성,
- 데이터 송신에 대한 구상된 시간,
- 예상된 모바일 발신 및/또는 모바일 종단 데이터 송신에 관한 정보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전송 템플릿은 데이터 엘리먼트들의 집합으로서 형성된다. 전송 템플릿들의 통상의 형태들은 키-값 쌍들이거나 XML, JSON, YAML 등과 같은 공지된 교환 포맷들로 제공된다.
전송 템플릿의 제안된 콘텐츠의 일부로서, 데이터 송신들의 주기성은 제어 기기가 데이터를 얼마나 자주 전송하도록 가정되는지를 나타낸다. 이것은 특히, 그 측정치들을 원격 서버에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전기 미터들 또는 다른 측정 디바이스들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을 지칭한다. 네트워크 동작 모드는 이러한 동작 방식을 따를 필요가 있다.
이것은 예측될 수 있는 한, 전송을 위한 데이터의 양에도 적용된다. 특정한 양의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으로 가정되면, 필요한 예상된 데이터 스루풋, 특히, 최대 스루풋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특히, 시간 임계 데이터 송신들 또는 수신들에 적용된다. 이러한 요건은, 업데이트 패키지의 다운로딩이 송신들 사이의 시간보다 오래 걸리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품질(QoS) 파라미터들의 일부로서, 보장 비트 레이트(GBR), 최대 보장 비트 레이트(MBR), 트래픽 클래스가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이들 QoS 파라미터 각각은 특히, 업링크 및 다운링크 트래픽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성된다. 선호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T)에 관하여, GSM, WCDMA, LTE 또는 다른 셀룰러와 같은 선호되는 기술 및/또는 넌-셀룰러 기술들은 특히 가용성에 관하여 구성된다.
전력 소비 최소화 및 절전 각각에 관한 표시가 특히, 시간 단위 마다 최대 또는 평균 전력 소비에 관하여 이러한 제약을 나타낸다.
추가로, 제어 기기는 특정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 (특히,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친화, CAT 0 EC/LC, 비이동성 등)을 요청할 것으로 예측된다.
송신의 시간에 대한 수용가능한 지연의 표시로, 제어 기기는 비-임박한 송신들이 계획되었다는 것을 통신 유닛에 나타내도록 구성되어서, 셀룰러 네트워크가 높은 트래픽을 나타내는 경우에, 주어진 시간량 동안,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은 추후 시점으로 밀릴 수 있다.
외부로부터 도달가능성에 관한 표시로, 즉, 모바일 발신 및/또는 모바일 종단 트래픽이 지원되는 경우에, 통신 유닛에는 구상된 송신 방향들에 관하여 통지된다. 이것은 특히, 슬립 모드에 관하여 중요하다. 제어 기기가 착신 통신을 예상하지 못하거나 이러한 호들을 받도록 구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통신 유닛은 제어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송신들에만 집중하는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추가로, 제안된 구성들에 대해 이들이 의무적, 선호되거나 또는 무시될 수 있는지를 전송 템플릿의 일부로서 나타내는 것이 예측된다.
이러한 방법은 결정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통신 유닛 내에서 실시되기 때문에 더 유리하다. 이것은 셀룰러 네트워크 발신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에 대한 반응에 관한 작업들로부터 제어 기기를 경감시킨다. 이것은 제어 기기가 자체 통신 거동 요건들을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 및 그것의 구성 기준 상세사항들로 변환하는 것을 더 경감시킨다.
따라서, 제어 기기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의 작업, 특히, 제어 기기의 수직 시장 관련 목적에 집중할 수 있다. 통신 유닛을 통한 연결은 전송 템플릿들에 의해 제공된 연결 요건들에 따라 이용가능한 것으로서 가정된 제어 기기로부터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가적인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관한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요청하기 위해 사전 구성된 원격 서버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관한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다운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 부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러한 유리한 실시예는 셀룰러 네트워크 및/또는 제어 기기로부터의 요건들에 대한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가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으면, 문제를 해결한다.
이 경우를 위해, 사전 구성된 원격 서버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특히, 통신 유닛에 의해 어드레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적합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관한 데이터가 다운로딩된다.
특히, 사전 구성된 원격 서버에 대한 상기 요청은 상기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및/또는 상기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요청은 파라미터화되며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리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특히, 주어진 의무적인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에 대해, 네트워크 동작 모드가 이용가능하지 않을 때 유리하다.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관한 수신된 데이터 엘리먼트들은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 대해 액세스가능한 메모리 유닛에 차후에 저장된다.
따라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이전에 다운로딩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포함하여, 셀룰러 네트워크 및/또는 제어 기기의 요구들을 고려하여 적합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응답하여 사전 구성된 원격 서버에 요청한 결과로서, 정확하게 하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대한 데이터 엘리먼트가 수신되는 경우에 대해 부가적인 최적화가 예측된다. 이 경우에,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부가적인 단계들을 절감하며, 임박한 데이터 교환 세션에 대해 방금 다운로딩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가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 중의 선택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부로서,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발신된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는 몇 개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을 포함한다. 그 후,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결정 단계의 일부로서, 제공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 중에서 선택을 실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셀룰러 네트워크 요구에 적합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가 선택되는 것을 셀룰러 네트워크의 측면으로부터 보장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다른 한편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이것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요구에 매칭하지 않는 셀룰러 네트워크들로부터의 명령들에 따라야 하는 대신에, 제어 기기 요구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들 내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대한 옵션들을 갖기 때문에 유리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표시를 제어 기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어 기기는 통신 유닛이 임박한 데이터 송신 세션을, 특히, 예를 들어, 미터링 디바이스의 측정의 데이터 송신일 때, 어떻게 처리할지에 관한 표시를 수신한다.
네트워크 동작 모드가 특히, 선택된 최대 휴면 모드로 인해 데이터 송신의 지연을 나타내는 경우에, 제어 기기는 요청된 데이터 송신이 즉시 실행되지 않지만 특정한 타임프레임 내에 있다는 지식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일부로서, 또는 이러한 표시에 수반하여, 제어 기기는 어떤 최대 기간에서 데이터 송신이 발생할 것인지의 표시를 추가로 수신한다.
비순간적인 데이터 송신의 경우에, 데이터 송신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었는지 여부 및/또는 데이터 송신이 성공적으로 실행된 때에 관하여, 예를 들어, 확인응답을 통해 제어 기기에 통지하는 것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임박한 송신이 셀룰러 네트워크의 현재 통신 거동 요구들로 수행될 수 없거나, 적어도 송신이 제어 기기로부터의 요구들에 따라 수행될 수 없다는 것을 통신 유닛이 발견하면, 통신 유닛 및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 각각은 메시지를 제어 기기에 제공한다. 이것은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가 주어진 백-오프 기간에 대한 송신 지연에 관한 정보를 셀룰러 네트워크 각각의 셀 혼잡의 경우에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백-오프 타이머 이벤트의 상황에 적용된다.
그 후, 제어 기기는 송신의 중단 또는 이전에 제공된 트래픽 템플릿의 요구들을 완화하는 것에 관하여 결정한다. 이것은 특히, 제어 기기로부터의 다른 트래픽 템플릿을, 특히, 이전에 제공된 트래픽 템플릿에 비하여 델타 값들만을 포함하는 통신 유닛에 제공함으로써 행해진다. 제어 기기만이 임박한 송신의 긴급함 및 특성에 관하여 알기 때문에,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트래픽 템플릿을 따르지 않는 중단 또는 송신에 관하여 판정할 수 없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표시를 셀룰러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 실시예로, 셀룰러 네트워크에는 통신 유닛이 다음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 교환 세션들을 위해 사용하려는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관하여 통지된다. 따라서, 셀룰러 네트워크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예상된 거동에 관하여 통지된다.
이것은 특히, 트래픽 클래스들 및/또는 네트워크 친화 디바이스들의 처리와 같은 특징들을 지원하는 경우에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해 유용하다. 통신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존하여, 셀룰러 네트워크는 이러한 트래픽 클래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위치에 놓이며, 특히, 이것은 네트워크 친화 디바이스 또는 어그레시브 디바이스이다. 이것은 셀룰러 네트워크가 이러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유도된 트래픽의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셀 내의 우선순위에 관하여 판정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요금(tariff) 관련 문제들, 즉, 높은 우선순위 요금 또는 기본 MTC 요금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가입에 대해 선택되는지가 고려된다.
이것은 특히,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셀룰러 네트워크가 데이터 교환 세션의 실행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유리하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는 구상된 데이터 교환 세션 동안 셀룰러 네트워크 내에서 어떻게 거동할지에 대한 이러한 제어 정보를 메시지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제공한다. 이것은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이, 특히,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의 송신의 일부로서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될 때, 선택을 위한 기준을 주로 포함하지만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동작할지에 대한 상세사항들을 포함하지 않을 때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이러한 단계에서, 정적 디바이스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경우에, 어떻게 동작할지에 관한 상세사항들, 예를 들어, DRX 사이클, 선택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대한 피팅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동작 모드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관한 메타-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선택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표시 이후에, 셀룰러 네트워크들은 그렇게 하기 위한 구성 상세사항들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유닛은 요청 이후에 수신된 상세사항들을 저장하며, 따라서, 추후 데이터 송신에 대해 동일한 상세사항들을 반복적으로 요청하는 것을 회피한다.
이러한 실시예로,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은 정보의 오버헤드를 회피하는 슬림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무엇보다도, 전송 템플릿에 의해 제공된 동작 사전조건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통신 유닛과 셀룰러 네트워크가 협상하고 있는 것은 제어 기기에 대해 완전히 투명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제안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과 트랜시버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의 세트를 추가로 유지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커맨드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 유닛과 상호연결된 제어 기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통신 유닛은,
- 셀룰러 네트워크의 사전 구성된 통신 거동 요구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제어 기기(2)는, 구상된 통신 거동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를 커맨드 인터페이스(7)에 의해 통신 유닛(3)에 제출하도록 구성되고,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 트랜시버 유닛에 의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셀룰러 네트워크의 임박한 데이터 교환 세션을 위해, 상기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고려하여 상기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 중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양태는 제1 양태의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의 이점들을 공유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제2 양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하도록 구성된 셀룰러 네트워크가 제안되고, 셀룰러 네트워크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와 송신 및 수신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셀룰러 네트워크는 구상된 데이터 교환 세션에 대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로서, 복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을 제공하고,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표시를 수신하고,
응답하여, 구상된 데이터 교환 세션의 실행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 메시지를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무선 셀룰러 기술 표준들(2G, 3G, 또는 4G) 및 GSM, GPRS, EDGE, UMTS, (W)CDMA, HSPA 및/또는 LTE와 같은 그것의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이다. 이것은 공중 인터페이스에 대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용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몇 개의 기지국들, 각각, nodeB들 또는 eNodeB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셀룰러 네트워크와 동작할 때, 상세하게는, 활성 기지국이라 칭하는 기지국에 캠프 온한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작업에서 무선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원은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로서 복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을 제공하기 위해 2개의 작업들을 먼저 포함한다.
셀룰러 네트워크가 어느 네트워크 동작 모드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되었는지 관한 표시를 수신할 때, 셀룰러 네트워크는 통신 유닛으로 하여금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 내에서 거동을 적응하게 해주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제어 정보 메시지를 제공한다.
제3 양태는 제1 및 제2 양태의 이점들을 공유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기기로부터의 상호작용들과 특히 독립적으로 적합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서술한 문제점을 유리하게 해결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어 기기의 측면에서 부가적인 노력들 없이, 셀룰러 네트워크 및 제어 기기 양자로부터의 요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
아래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들은 특정한 예시적인 양태들을 상세히 제시하며, 실시예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몇몇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이점들은 예시적이지만 제한하지 않는 예들로서 주어진 유리한 실시예들의 아래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들을 읽음으로써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예로서 적용되는 타입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예로서 적용되는 타입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제어 기기(2) 및 통신 유닛(3)을 포함한다. 유닛들 양자는 커맨드 인터페이스(7)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AT 커맨드 인터페이스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통신 유닛(3)의 원격 제어(12)에 액세스하기 위한 예를 들어, 자바를 통한 기능적 호출 인터페이스가 예측된다. 임의의 경우에, 커맨드 인터페이스(7)는 제어 기기로부터 통신 유닛으로의 개시 통신을 하게 해주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AT 인터페이스의 경우에,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통신 유닛으로부터의 응답으로, 제어 기기로부터 통신 유닛으로의 AT 커맨드 호출에 투영된다. 반대 방향으로, 자발적 결과 코드들(URC)이 통신 유닛으로부터 제어 기기로의 개시 메시지 흐름을 제공한다. 제어 기기는 다른 AT 커맨드로 응답할 수 있다.
통신 유닛(3)의 일부로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이 제어 기기(2)로부터 커맨드들을 수신한다.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은 추가로 메모리 유닛(6)에 액세스한다. 메모리 유닛(6)에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에 관한 데이터가 특히 저장된다.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결정을 위해,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동작에 대한 요구들 - 특히, 제어 기기로부터의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들의 형태 - 에 기초하여 메모리 유닛에 액세스하고, 각각 저장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와 요구를 비교한다. 그 후, 최상으로 적합한 것이 다음의 데이터 교환 세션을 위한 활성 네트워크 동작 모드로서 선택된다.
통상적으로, 데이터 교환 세션은 통신 유닛(3)에 전송된 AT 커맨드로 제어 기기(2)에 의해 개시된다. 그 후,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은 선택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하는 중간 층으로서 트랜시버 유닛(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통신 유닛 펌웨어(5)를 작동시킨다. 트랜시버 유닛 및 공중 인터페이스(8)를 통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현재 캠프 온하고 있는 활성 기지국에 의해 표현되는 셀룰러 네트워크(9)가 액세스된다.
지연된 데이터 송신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경우에,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은 통신 유닛 펌웨어(5)에게 추후 시점에 임박한 데이터 송신을 실시할 것을 지시한다.
부가적으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은 특히, 데이터 송신이 실제로 성공적으로 수행되거나 실패하였을 때, 지연 및 선택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 각각에 관하여 제어 기기에 커맨드 인터페이스(7)를 통해 통지한다.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은 통신 거동 요구들, 즉, 무선 통신 디바이스(1)의 통신 거동에 관한 셀룰러 네트워크(9)로부터의 요구들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통신 거동 요구들은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의 데이터 송신의 일부로서 통신 유닛 및 가입자 식별 모듈(11) 각각에 송신된다. 후자의 경우에, 특히, 베어러 독립 프로토콜(BIP)과 같은 통신 유닛에 투명한 데이터 송신 베어러 수단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엔티티들 사이의 기본적인 예시적인 메시지 흐름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메시지 흐름에는 제어 기기(2), 무선 통신 디바이스(1)의 각각 일부인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 및 통신 유닛 펌웨어(5)를 포함하는 통신 유닛(3), 및 셀룰러 네트워크(9)가 수반된다. 도시된 메시지들이 반드시 직접 메시지들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메시지를 포워딩하는데 수반된 몇 개의 중간 유닛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9)와 통신 유닛 펌웨어(5) 사이의 메시지들에 대한 경우이고, 여기서, 특히, 적어도 활성 기지국, 공중 인터페이스(8) 및 트랜시버 유닛(10)이 수반된다.
도 2의 순서도에 도시된 메시지 흐름은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유닛 펌웨어(5)로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메시지(M11)로 시작한다.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메시지(M11)는 각각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1)를 향한 셀룰러 네트워크(9)의 사전 구성된 통신 거동 요구에 따르는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 유닛 펌웨어(5)는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메시지(M11)의 콘텐츠를 메시지(M12)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에 포워딩한다.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서, 메시지(M12)의 콘텐츠는 적어도 이용가능하게 유지된다.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 메시지(M13)로, 제어 기기(2)는 통신 유닛의 구상된 통신 거동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전송 템플릿을, 특히, AT 커맨드에 의해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 전송한다. 전송 템플릿은 특히 XML, JSON 또는 단순한 키/값 포맷의 파일에 후속한다. 추가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서, 메시지(M13)의 콘텐츠는 적어도 이용가능하게 유지된다.
2개의 메시지들(M11, M13)은 짧은 시간프레임 내에서 도시된 순서로 반드시 전송되지 않는다. 다음의 단계에 있어서, 2개의 메시지들과 제공된 정보는 단지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에서 이용가능할 필요가 있다.
아래에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은 셀룰러 네트워크(9) 및 제어 기기(2)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적어도 기초하여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유리하게는,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제어 기기의 전송 템플릿 및 셀룰러 네트워크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로부터의 요구 중 어느 것이 의무적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다음의 단계에서, 식별된 의무적 요구들에 대해,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은 의무적 요구들을 따르는지 분석된다.
이것은 특히, 제어 기기로부터의 전력 소비 요구들에 대한 경우이다. 정상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서 전력 소비 요구들이 충족될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한 경우에, 감소된 전력 소비를 갖는 적어도 다른 네트워크 동작 모드가 이용가능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특히, 현저하게 이동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특징으로 하는 정지 모드이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하나의 기지국에 유지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특히, 이웃하는 기지국들의 시그널링 전력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동성 관리 기능들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최대 휴면 모드가 이 요구에 적용된다. 여기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미리 정해지 시간 이후에, 특히, 수 시간 또는 수일 내에 웨이크 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간 이후에,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의 브로드캐스팅된 데이터를 요구될 때 업데이트한다. 최종으로, 특히, 구상된 정기적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과 함께,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활성 기지국상에 캠핑 세션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먼저 나타내기 위해 신호들을 셀룰러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이러한 예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는 정상 모드에 비하여 시그널링의 감소에 대한 요구를 나타낸다.
정지 모드가 이동성 관리와의 관계에서 시그널링의 감소를 오직 제공하기 때문에, 이것은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에 따르지 않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최대 휴면 모드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통신 거동 요구를 따른다. 따라서, 제어 기기 및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의 요구들을 고려하여, 최대 휴면 모드가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 의해 선택될 준비가 된다.
결국,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내부적으로 메시지(M14)로 나타낸다.
이 결정 단계에 후속하여, 제어 기기는 데이터 교환 세션,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9)에 의해 원격 서버에 전송될 것으로 구상된 데이터 송신을 메시지(M15)로 론치한다. 메시지 요청(M15)은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서 검색된다.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고려하여,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셀룰러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연결을 어떻게 셋업할지를 메시지(M16)로 통신 유닛 펌웨어에 지시하고, 그 결과로서, 메시지(M16)로부터의 명령들을 고려하여 데이터 송신(M17)을 포함하는 데이터 교환 세션을 론치할 것을 통신 유닛 펌웨어에 지시한다.
최대 휴면 모드의 경우에 대해, 데이터 송신(M17)은 다음의 시그널링 윈도우가 도달될 때까지 지연될 수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 및 제어 기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연결 및/또는 데이터 송신(M17)은 메시지들(M11 및 M13)로 제공된 요구들을 따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사한 셋업을 갖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부가적으로, 가입자 식별 모듈(11)이 수반된다. 셀룰러 네트워크(9)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사전 구성된 통신 거동 요구에 따르는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에 관한 정보를 가입자 식별 모듈(11)에 메시지(M21)로 제출한다.
이러한 메시지(M21)는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가입자 식별 모듈(11)로의 BIP 메시지이다.
셀룰러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에 배치, 필드에 배치 각각 이전에 셀룰러 네트워크 운영자의 구내에서 사전 구성 시간에 가입자 식별 모듈(11)을 메시지(M21)로 구성한다는 것이 추가로 포함된다.
또한, 메시지(M21)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입자 식별 모듈이 이미 필드에 있을 때 원격 프로비저닝 및 가입자 관리 각각의 일부이다.
임의의 경우에, 가입자 식별 모듈(11)은 메시지(M21)의 수신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에 관한 데이터를 반송한다. 이들 데이터는 통신 유닛, 특히, 메시지(M22)로 통신 유닛 펌웨어(5)로부터 메시지(M23)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으로 포워딩된 이들 데이터의 수신 이후에, 판독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단계에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통신 유닛의 구상된 통신 거동에 관한 적어도 데이터 엘리먼트를 제어 기기로부터의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M24)로 수신한다. 이것은 도 2의 메시지(M13)를 보완한다.
메시지(M25)의 준비시에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결정의 일부로서,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가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판명된 경우에,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은 통신 유닛 펌웨어(5)에게 셀룰러 네트워크(9)를 통해 부가적인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을 위해 원격 서버에 연락하도록 지시한다.
통상적으로, 원격 서버로의 메시지(M27)는 메시지들(M21 및 M24)이 제공된 수신된 요구들에 관한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에 응답하여, 메시지(M28)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관한 데이터 엘리먼트들이 통신 유닛 펌웨어에서 검색되고 메시지(M29)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 포워딩된다.
따라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원격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들로부터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것이 메시지(M29/M28)로 제공된 오직 하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인 경우에, 부가적인 결정 단계는 필요하지 않아서, 수신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가 선택된다. 이러한 결정은 메시지(M30)로 내부적으로 표시되며 추후 데이터 교환 세션들을 위해 저장된다.
도 2의 단계들(M15 내지 17)에 따르는, 이제, 단계들(M31 내지 M33)은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적용되는 데이터 교환 세션의 론치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다른 순서도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방법의 시작은 도 2와 유사하고, 여기서, 메시지들(M41 내지 M44)은 M11 내지 M14를 따른다.
적절한 네트워크 동작 모드가 결정될 때, 이제 메시지(M45)로, 제어 기기에는 선택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관하여 통지된다. 이에 응답하여, 제어 기기는 선택을 임의로 확인한다(여기서, 메시지(M46)로).
이러한 단계는, 다음의 데이터 송신 세션이 선택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로 인해 지연될 수 있다는 것이 제어 기기에 통지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따라서, 응답 메시지(M46)에서, 제어 기기는 구상된 다음 데이터 송신을 위한 타임아웃 기간을 바람직하게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메시지(M47)로,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은 선택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메시지(M48)를 셀룰러 네트워크(9)에 전송하도록 통신 유닛 펌웨어(5)에 지시한다.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해, 이것은 다음의 메시지를 위해 중요한 정보이다. 여기서, 특히, 메시지(M41)에서, 셀룰러 네트워크가 다음에 사용을 위해 몇 개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을 제공할 때, 이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는 선택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따라 어떻게 거동할지에 관한 통신 유닛 펌웨어에 대한 상세사항들을 메시지(M49)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세사항들은 특히, DRX 사이클, 휴면 또는 절전 모드(PSM) 활성화, 강화된 커버리지 기능, 측정 이벤트 보고, 및 백-오프 타이머와 같은 네트워크 친화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이제 메시지(M50)로, 제어 기기가 다른 데이터 송신 세션을 론치할 때, 메모리(M51)이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으로부터 통신 유닛 펌웨어로 포워딩되어, 통신 모드 펌웨어는 셀룰러 네트워크(9)를 향해 메시지(M52)로 데이터 송신 세션을 시작하기 위한 수신된 상세사항들을 적용하는 위치에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이하지만, 반드시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원에 설명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엘리먼트들의 위치 또는 배열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상세한 설명은 제한하는 관점으로 취해지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들이 부여되는 등가물들의 전체 범위와 함께, 적절하게 해석되는 첨부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16)

  1. 셀룰러 네트워크(9)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1)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radio mode decision unit)(4)과 트랜시버 유닛(5)을 포함하는 통신 유닛(3)을 포함하고, 상기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의 세트를 추가로 유지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는 커맨드 인터페이스(7)에 의해 상기 통신 유닛(3)과 상호연결된 제어 기기(controlling appliance)(2)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 유닛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메시지(communication behavior parameterization message)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9)의 사전 구성된 통신 거동 요구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 기기에 있어서, 구상된(envisaged) 통신 거동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를 상기 커맨드 인터페이스(7)에 의해 상기 통신 유닛(3)에 제출하는 단계, 및
    상기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유닛(5)에 의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9)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의 임박한 데이터 교환 세션(imminent data exchange session)을 위해, 상기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고려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 중 하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관한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요청하기 위해 사전 구성된 원격 서버에 액세스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관한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다운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상기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에 부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9)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 중에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표시를 상기 제어 기기(2)에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표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9)에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9)는 상기 데이터 교환 세션을 실행하는 것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는,
    데이터 송신들의 구상된 주기성,
    데이터 송신 세션당 구상된 데이터의 양,
    데이터 송신 세션당 예상된 데이터 스루풋,
    데이터 송신의 예상된 서비스 품질,
    예상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허용된 전력 소비의 표시,
    데이터 송신의 허용가능한 지연,
    모바일 종단 통신(mobile terminated communication)에 대한 요구된 액세스가능성,
    데이터 송신에 대한 구상된 시간, 및
    예상된 모바일 발신(mobile originated) 및/또는 모바일 종단 데이터 송신에 관련된 정보
    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는,
    정상 모드 -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는 일반적인 3GPP 사양들을 고려함 -,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의 예상들을 고려하는 네트워크 친화 모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9)에 의해 제공된 정책 관리자로부터의 규칙들을 고려하는 라디오 정책 관리자 모드,
    MTC 모드 -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는 3GPP MTC 사양들을 고려함 -,
    최대 휴면 모드 -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는 송신을 위해 미리 정의된 시간 기간마다 한번만 활성임 -, 및
    비이동성 모드 -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는 제한된 영역에서만 동작함 -
    의 그룹 중 하나인 방법.
  9. 셀룰러 네트워크(9)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1)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과 트랜시버 유닛(5)을 포함하는 통신 유닛(3)을 포함하고, 상기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은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의 세트를 추가로 유지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커맨드 인터페이스(7)에 의해 상기 통신 유닛(3)과 상호연결된 제어 기기(2)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3)은, 상기 통신 유닛에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적어도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9)의 사전 구성된 통신 거동 요구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기기(2)는, 구상된 통신 거동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를 상기 커맨드 인터페이스(7)에 의해 상기 통신 유닛(3)에 제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은, 상기 트랜시버 유닛(5)에 의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임박한 데이터 교환 세션을 위해, 상기 전송 템플릿 데이터세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를 고려하여 상기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 중 하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
  10. 제9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관한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요청하기 위해 사전 구성된 원격 서버에 액세스하고,
    상기 네트워크 동작 모드에 관한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다운로딩하고,
    상기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상기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에 부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는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해 표시된 복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라디오 모드 판정 유닛(4)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3)은, 상기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한 이후에,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표시를 상기 제어 기기(2)에 제공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3)은, 상기 네트워크 동작 모드를 결정한 이후에,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표시를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9)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1).
  14. 제9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1)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셀룰러 네트워크(9)로서,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1)와의 송신 및 수신 동작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하고,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는,
    구상된 데이터 교환 세션을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통신 거동 파라미터화로서 복수의 네트워크 동작 모드들을 제공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결정된 네트워크 동작 모드의 표시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구상된 데이터 교환 세션을 실행하는 것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정보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셀룰러 네트워크(9).
  15. 삭제
  16. 삭제
KR1020177034981A 2015-05-28 2016-05-10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KR101968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69669.7A EP3099087A1 (en) 2015-05-28 2015-05-28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15169669.7 2015-05-28
PCT/EP2016/060434 WO2016188735A1 (en) 2015-05-28 2016-05-10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221A KR20180004221A (ko) 2018-01-10
KR101968853B1 true KR101968853B1 (ko) 2019-04-12

Family

ID=5329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4981A KR101968853B1 (ko) 2015-05-28 2016-05-10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368221B2 (ko)
EP (2) EP3099087A1 (ko)
JP (1) JP6470430B2 (ko)
KR (1) KR101968853B1 (ko)
CN (1) CN107637107A (ko)
AU (1) AU2016268944B2 (ko)
ES (1) ES2833009T3 (ko)
NZ (1) NZ740483A (ko)
RU (1) RU2675805C1 (ko)
WO (1) WO2016188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4814A1 (en) * 2016-07-01 2018-01-03 Gemalto M2M GmbH Method for remote provisioning of a user equipment in a cellular network
US11410138B2 (en) * 2019-06-19 2022-08-09 The Toronto-Dominion Bank Value transfer card management system
US11431567B1 (en) * 2021-03-11 2022-08-30 Juniper Networks, Inc. Deploying a network management controller in an existing data center fabric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7485A1 (en) * 2008-08-29 2010-03-04 Achim Luft Methods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based communication service class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18367B1 (ru) * 2007-08-29 2013-07-30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базовая сеть, абонент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US7860036B2 (en) * 2007-09-10 2010-12-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luding mode information in a frame for system acquisition
JP2012124603A (ja) * 2010-12-06 2012-06-28 Sony Corp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US20140364079A1 (en) * 2011-12-08 2014-12-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VANCED TOPOLOGY (AT) POLICY MANAGEMENT FOR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WTRUs)
EP2624598A1 (en) * 2012-02-03 2013-08-07 Cinterion Wireless Modules GmbH Distributed initialization of m2m access to radio access network
JP6156365B2 (ja) * 2012-04-26 2017-07-0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ネットワークノード、ユーザーノード、コアネットワーク、及びこれらに実装される方法
US9292832B2 (en) * 2013-02-25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Collaborative intelligence and decision-making in an IoT device group
US9413827B2 (en) * 2013-02-25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 aware actions among heterogene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WO2014177184A1 (en) * 2013-04-30 2014-11-06 Sony Corporation Terminal-initiated power mode switching
CN104754557A (zh) * 2013-12-27 2015-07-01 三亚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终端行为模式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10119714B2 (en) * 2014-09-10 2018-11-06 Cielo Wi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IR-enabled appliances via networked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7485A1 (en) * 2008-08-29 2010-03-04 Achim Luft Methods and apparatus for machine-to-machine based communication service cl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68944B2 (en) 2019-06-06
EP3099087A1 (en) 2016-11-30
JP6470430B2 (ja) 2019-02-13
AU2016268944A1 (en) 2017-11-23
JP2018520563A (ja) 2018-07-26
EP3304938B1 (en) 2020-08-19
KR20180004221A (ko) 2018-01-10
US10368221B2 (en) 2019-07-30
EP3304938A1 (en) 2018-04-11
CN107637107A (zh) 2018-01-26
US20180139595A1 (en) 2018-05-17
RU2675805C1 (ru) 2018-12-25
NZ740483A (en) 2019-08-30
WO2016188735A1 (en) 2016-12-01
ES2833009T3 (es)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63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f multi-mode terminal
CN107113537B (zh) 用于控制在网络上的设备的省电模式特性的装置和方法
US10064221B2 (en) Determining a transition of a terminal between its idle state and its connected state
EP35122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44512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KR101968853B1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US2013029441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scheduling in hybrid networks based on client identity
EP3149994A1 (en) Merging proxy
US201300655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ndover and reselection
EP3419378A1 (en) Method of location tracking and related apparatus using the same
US8712411B1 (en) Varying latency tim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646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le mode synchronization
US2017032514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a cellular network
US9998908B1 (en) Data transfer management based on predicted roaming status and application behavior
EP3028505B1 (en) Link setup level coordination
JP7449959B2 (ja) システム情報要求の送信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EP4009735A1 (en) Bundling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for multiple subscriber identities in 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3320701B1 (en)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230069465A1 (en) Receiving Data Without Monitoring Control Channel
EP4324180A1 (en) Handling of heterogeneous support for user equipment slice maximum bit rate (s-mbr)
KR20210127998A (ko) 전용 업링크 자원 송신 스케줄의 구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