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595B1 -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 - Google Patents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595B1
KR101968595B1 KR1020170119435A KR20170119435A KR101968595B1 KR 101968595 B1 KR101968595 B1 KR 101968595B1 KR 1020170119435 A KR1020170119435 A KR 1020170119435A KR 20170119435 A KR20170119435 A KR 20170119435A KR 101968595 B1 KR101968595 B1 KR 10196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power
reached
current sensor
hour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673A (ko
Inventor
이경식
정득일
최재한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전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전사
Priority to KR102017011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85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15/183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transformers with a magnetic core
    • G01R15/185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using transformers with a magnetic core with compensation or feedback windings or interacting coils, e.g. 0-flux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스 게이트 전류센서를 적용한 직류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하고,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는 미터링을 실시하는 단계(S1); 시간대별 양방향 계량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표시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S2); LD(계량데이터) 저장 주기에 도달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S3); 저장주기에 도달한 경우 계량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4); 주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계량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최대수요전력 갱신주기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 최대수요전력 갱신주기에 도달한 경우, 최대수요전력을 갱신하는 단계(S6); 부하차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단계(S7); 부하차단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최대수요전력을 갱신하는 단계(S8); PUSH주기에 도달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S9); PUSH주기에 도달한 경우 PUSH를 전송하는 단계(S10); PUSH주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PUSH를 전송하지 않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정밀측정 방법을 적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로서, DC 전압을 계측하는 전압센서; DC 전류를 계측하는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 상기 전압센서, 상기 전류센서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데이터를 산출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산출한 전력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DC 전력량계를 세팅 및 조작 가능한 스위치부; DC 전력량계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데이터를 원격검침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수용가의 부하를 제어하고, 신호출력을 관리하는 신호출력부; 오차펄스를 출력하는 펄스출력부; 전력량계의 검침값, 시간, 날짜, 상태, 및 에러 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백업 전원기능을 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는, 다층 피시비 코어 구조를 가지는 전류 검출소자로, 비자성체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 하측에서 상측으로 교대로 비아홀(110)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코일 패턴(120)이 형성되는 상부코일패턴형성층(100)과; 상기 상부코일패턴형성층의 하측에 위치하여 중앙코어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비아홀(110)의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비아홀(210)이 다수 형성되는 통공층(200)과; 상기 통공층 사이에 코어 재질로 형성되는 중앙코어층(300)과; 상기 통공층과 중앙코어층의 하측에 위치하며, 비자성체로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 하측에서 상측으로 교대로 다수의 비아홀(410)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코일 패턴(420)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코일패턴형성층(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류 검출소자로서, 상기 전류 검출소자는, 중앙에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중앙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통신부는, 양방향 유선 또는 양방향 무선 통신기술을 적용하고, 전력량계의 데이터를 일정 주기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원격검침서버에 자발적으로 전송하는 PUSH 방식을 가지고, 상기 PUSH 방식은, EvenNotification을 사용하지 않고 DataNotification을 사용하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PUSH 두 종류와 비주기적으로 이벤트가 발행할 때 사용되는 PUSH 여섯 종류로 설계하고, Notification-Body의 내용을 Push Setup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개별적으로 발생 딜레이 및 재시도 정책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High Precision Mulfi-Function DC Watt-hour Meter Using Fluxgate Current Sensor}
본 발명은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C 전압을 계측하는 전압센서, DC 전류를 계측하는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 계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데이터를 산출하는 중앙처리장치, 산출한 전력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DC 전력량계를 세팅 및 조작 가능한 스위치부, DC 전력량계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데이터를 원격검침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수용가의 부하를 제어하고, 신호출력을 관리하는 신호출력부, 오차펄스를 출력하는 펄스출력부, 전력량계의 검침값, 시간, 날짜, 상태, 또는 에러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시간 및 계량 데이터 저장을 위한 중앙처리장치의 백업 전원기능을 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 에너지원과 분산전원, ESS(Energy Storage System) 등의 직류 전원 증가와,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IDC(Internet Data Center) 등 직류 전원을 소비하는 정보통신 관련 DC부하 증가 등으로 인해 직류 전원 및 직류 전류기기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도 1은 AC 배전과 DC 배전의 효율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C미터는 ESS를 설치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된 직류 전기를 바로 ESS에 충전하여,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생산된 직류를 교류로 바꾸었다가 다시 직류로 바꾼 후 ESS에 충전하는 기존방식에 비해, 전력변환 손실이 낮아 효율이 좋다.
한국 전력공사는 2023년 DC 공급 상용화를 목표로 기기 개발과 실증사업에 착수하여, DC 배전과 관련된 표준 및 규격 개발과 관련 제도 정비 등 DC 보급기반이 마련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DC 배전망과 부하를 효율적으로 연계하고 계량 가능한 스마트 DC 미터 및 평가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23356호에는 직류 디지털 전력량계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이 제공되지만, 선행기술의 경우 전류센서가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전압값을 이용해 전류값을 계산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37350호에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해 원격서버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직류 전기철도에서의 직류 및 교류 겸용 스마트 미터시스템이 제공된다. 선행기술은 홀이펙트 방식의 전류센서를 적용하는데, 홀이펙트 방식 전류센서의 경우 고자장 영역에서 선형성 및 온도 특성이 좋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 제 10-170873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 제 10-13233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 제 10-14373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해 DC 배전에 흐르는 DC 전류를 계측하여, 수용가에서 사용한 유효 및 무효전력량, 최대수요전력, 역률 등을 계측하고, 계측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검침서버에 전송하여 수용가의 부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는 DC 전압을 계측하는 전압센서, DC 전류를 계측하는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 상기 전압센서, 상기 전류센서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데이터를 산출하는 중앙처리장치, 산출한 전력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DC 전력량계를 세팅 및 조작 가능한 스위치부, DC 전력량계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데이터를 원격검침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수용가의 부하를 제어하고, 신호출력을 관리하는 신호출력부, 오차펄스를 출력하는 펄스출력부, 전력량계의 검침값, 시간, 날짜, 상태, 또는 에러 유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시간 및 계량 데이터 저장을 위한 중앙처리장치의 백업 전원기능을 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는, 다층 피시비 코어 구조를 가지는 전류 검출소자로, 비자성체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 하측에서 상측으로 교대로 비아홀(110)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코일 패턴(120)이 형성되는 상부코일패턴형성층(100)과; 상기 상부코일패턴형성층의 하측에 위치하여 중앙코어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비아홀(110)의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비아홀(210)이 다수 형성되는 통공층(200)과; 상기 통공층 사이에 코어 재질로 형성되는 중앙코어층(300)과; 상기 통공층과 중앙코어층의 하측에 위치하며, 비자성체로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 하측에서 상측으로 교대로 다수의 비아홀(410)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코일 패턴(420)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코일패턴형성층(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류 검출소자로서, 상기 전류 검출소자는, 중앙에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중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양방향 유선 또는 양방향 무선 통신기술을 적용하고, 전력량계의 데이터를 일정 주기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원격검침서버에 자발적으로 전송하는 PUSH 방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해 DC 배전에 흐르는 DC 전류를 계측하여, 수용가에서 사용한 유효 및 무효전력량, 최대수요전력, 역률 등을 계측하고, 계측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검침서버에 전송하여 수용가의 부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AC 배전과 DC 배전의 효율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층 피시비 코어 구조를 가지는 전류 검출소자의 각 층이 적층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통신부에서 사용되는 통신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의 활용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DC 전력량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계측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계측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계측 회로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PUSH 모델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각 구성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는 전압센서, 전류센서, 전압신호 변환부, 전류신호 변환부, 중앙처리장치, 스위치부, 통신부, 메모리부, 신호출력부, 전원회로부, 리튬배터리, 펄스출력부, 및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전압센서는 DC 전압을 계측하고, 전류센서는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여 DC 전류를 계측한다.
전압센서, 전류센서에서 계측한 값을 전압신호 변환부, 전류신호 변환부에서 각각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로 계측된 데이터를 보내면, 중앙처리장치는 유효전력, 무효전력, 최대수요전력, 역률 등 전력데이터를 산출한다.
메모리부에서는 중앙처리장치에서 산출한 전력데이터를 저장한다.
스위치부는 DC 전력량계를 세팅 및 조작하고, 전원회로부는 DC 전력량계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처리장치에서 산출한 전력데이터를 원격검침서버로 전송한다.
신호출력부는 수용가의 부하를 제어하고, 신호출력을 관리한다.
펄스출력부는 오차펄스를 출력한다.
표시장치는 전력량계의 검침값, 시간, 날짜, 온도, 상태, 및 에러 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한다.
리튬배터리는 시간 및 계량 데이터 저장을 위한 중앙처리장치의 백업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중앙처리장치의 백업 전원을 리튬배터리가 공급하지만, 백업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DC 전력량계는 다중 피시비 코어구조를 가지는 플럭스 게이트를 이용한 전류센서를 가진다.
도 2는 다층 피시비 코어 구조를 가지는 전류 검출소자의 각 층이 적층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한 전류소자는, 다층 피시비 코어 구조를 가지는 전류 검출소자로, 비자성체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 하측에서 상측으로 교대로 비아홀(110)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코일 패턴(120)이 형성되는 상부코일패턴형성층(100)과 상기 상부코일패턴형성층의 하측에 위치하여 중앙코어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비아홀(110)의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비아홀(210)이 다수 형성되는 통공층(200)과 상기 통공층 사이에 코어 재질로 형성되는 중앙코어층(300)과 상기 통공층과 중앙코어층의 하측에 위치하며, 비자성체로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 하측에서 상측으로 교대로 다수의 비아홀(410)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코일 패턴(420)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코일패턴형성층(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류 검출소자로서, 상기 전류 검출소자는, 중앙에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중앙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진다.
통신부는, 양방향 유선 또는 양방향 무선 통신기술을 적용하고, 전력량계의 데이터를 일정 주기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원격검침서버에 자발적으로 전송하는 PUSH 방식을 가진다.
도 4는 통신부에서 사용되는 통신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부는 RS-485, PLC(Power Line Communication), NB-IoT(NarrowBand-Internet of Things), Wi-SUN(Wireless Smart Utility Network), LoRa(LongRange), 및 Wifi 중 하나 이상을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는 시작 후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는 미터링을 실시한다(S1).
시간대별 양방향 계량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표시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한다(S2).
LD(계량데이터) 저장 주기에 도달했는가를 판별하고(S3), 저장주기에 도달한 경우 계량데이터를 저장(S4)한 후, 최대수요전력 갱신주기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 LD 저장주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계량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최대수요전력 갱신주기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5).
최대수요전력 갱신주기에 도달한 경우, 최대수요전력을 갱신하고(S6) 부하차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한다(S7). 최대수요전력 갱신주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최대수요전력을 갱신하지 않고 부하차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한다(S7).
부하차단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최대수요전력을 갱신하고(S8), PUSH주기에 도달했는가를 판별한다(S9). 부하차단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최대수요전력을 갱신하지 않고 PUSH 주기에 도달했는가를 판별한다(S9).
PUSH주기에 도달한 경우 PUSH를 전송하고(S10) 종료한다.
PUSH주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PUSH를 전송하지 않고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의 활용 예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는 LVDC 전송선로, EV(전기자동차) 충전기 또는 가정용 분산전원(ESS)에 적용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DC 배전에 흐르는 DC 전류를 계측하여, 수용가(예를 들어 EV급속충전기 또는 가정용 분산전원)에서 사용한 유효 및 무효전력량, 최대수요전력, 역률 등을 계측하고, 계측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검침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원격검침서버를 분산전원시스템(EMS)에 연계하여 수용가의 부하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류 계측 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전압 계측 회로의 회로도로, 전압계측은 저항분압회로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1차측 고전압이 2차측으로 유입되어 내부 회로를 파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회로를 적용하여 1차측과 2차측을 절연한다.
도 11은 PUSH 모델 구조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적용되는 PUSH 방식은 EvenNotification을 사용하지 않고 DataNotification을 사용하여 Push 시스템을 구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PUSH 두 종류와 비주기적으로 이벤트가 발행할 때 사용되는 PUSH 여섯 종류로 설계하여, 다양한 상황에 맞게 동작하는 PUSH 시스템을 설계한다. Notification-Body의 내용을 Push Setup으로 설정할 수 있어, 향후 변경이 있을시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으로 발생 딜레이 및 재시도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전 PUSH의 경우 LTE 모뎀의 초기화 시간이 대략 30~40초 정도 소요되므로 발생 딜레이를 40초로 설정하여 정상적으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만약 모뎀이 40초 이내에 기지국을 찾지 못하거나 초기화되지 않을 경우, 재시도 딜레이와 재시도 횟수 설정을 통해,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상부코일패턴형성층
200 : 통공층
300 : 중앙코어층
400 : 하부코일패턴층

Claims (3)

  1.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하고, 전압 및 전류를 계측하는 미터링을 실시하는 단계(S1); 시간대별 양방향 계량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표시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단계(S2); LD(계량데이터) 저장 주기에 도달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S3); 저장주기에 도달한 경우 계량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4); 주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계량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최대수요전력 갱신주기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 최대수요전력 갱신주기에 도달한 경우, 최대수요전력을 갱신하는 단계(S6); 부하차단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단계(S7); 부하차단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최대수요전력을 갱신하는 단계(S8); PUSH주기에 도달했는가를 판별하는 단계(S9); PUSH주기에 도달한 경우 PUSH를 전송하는 단계(S10); PUSH주기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PUSH를 전송하지 않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량계 정밀측정 방법을 적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로서,
    DC 전압을 계측하는 전압센서;
    DC 전류를 계측하는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
    상기 전압센서, 상기 전류센서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데이터를 산출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산출한 전력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DC 전력량계를 세팅 및 조작 가능한 스위치부;
    DC 전력량계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데이터를 원격검침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
    수용가의 부하를 제어하고, 신호출력을 관리하는 신호출력부;
    오차펄스를 출력하는 펄스출력부;
    전력량계의 검침값, 시간, 날짜, 상태, 및 에러 유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백업 전원기능을 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는, 다층 피시비 코어 구조를 가지는 전류 검출소자로, 비자성체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 하측에서 상측으로 교대로 비아홀(110)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코일 패턴(120)이 형성되는 상부코일패턴형성층(100)과; 상기 상부코일패턴형성층의 하측에 위치하여 중앙코어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비아홀(110)의 위치에 동일한 크기의 비아홀(210)이 다수 형성되는 통공층(200)과; 상기 통공층 사이에 코어 재질로 형성되는 중앙코어층(300)과; 상기 통공층과 중앙코어층의 하측에 위치하며, 비자성체로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 하측에서 상측으로 교대로 다수의 비아홀(410)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코일 패턴(420)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코일패턴형성층(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류 검출소자로서, 상기 전류 검출소자는, 중앙에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중앙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통신부는, 양방향 유선 또는 양방향 무선 통신기술을 적용하고, 전력량계의 데이터를 일정 주기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원격검침서버에 자발적으로 전송하는 PUSH 방식을 가지고,
    상기 PUSH 방식은, EvenNotification을 사용하지 않고 DataNotification을 사용하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PUSH 두 종류와 비주기적으로 이벤트가 발행할 때 사용되는 PUSH 여섯 종류로 설계하고, Notification-Body의 내용을 Push Setup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개별적으로 발생 딜레이 및 재시도 정책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
  2. 삭제
  3. 삭제
KR1020170119435A 2017-09-18 2017-09-18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 KR10196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435A KR101968595B1 (ko) 2017-09-18 2017-09-18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435A KR101968595B1 (ko) 2017-09-18 2017-09-18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673A KR20190032673A (ko) 2019-03-28
KR101968595B1 true KR101968595B1 (ko) 2019-04-15

Family

ID=6590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435A KR101968595B1 (ko) 2017-09-18 2017-09-18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5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50B1 (ko) * 2013-05-06 2014-09-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류 전기철도에서의 직류 및 교류 겸용 스마트 미터 시스템
KR101708736B1 (ko) * 2016-07-29 2017-02-21 주식회사 코본테크 다층 피시비 코어 구조를 가지는 전류 검출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356B1 (ko) 2012-05-04 2013-10-2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직류 디지털 전력량계 및 이를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350B1 (ko) * 2013-05-06 2014-09-0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직류 전기철도에서의 직류 및 교류 겸용 스마트 미터 시스템
KR101708736B1 (ko) * 2016-07-29 2017-02-21 주식회사 코본테크 다층 피시비 코어 구조를 가지는 전류 검출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673A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482B1 (ko) 에너지 소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내 제어기 , 에너지 소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시스템에서의 에너지 소비 측정 방법
US9590422B2 (en) Power supply system, power conversion apparatus, and measurement point switching apparatus
KR20120070903A (ko) 스마트그리드 전력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제어방법
KR101105637B1 (ko) 스마트 그리드 분전반
WO2017071614A1 (en) Method for operating energy consumption metering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metering system
US10659249B2 (en) Activity management device, activity management system, and activity management method
WO2015118844A1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方法
KR101740861B1 (ko) 자가 발전 스마트 전류 센서
Chowdary et al. Iot based wireless energy efficient smart metering system using zigbee in smart cities
KR100849480B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변류기 코일 단선 검출 장치 및 방법
CN202075405U (zh) 配电网三相电能计量系统现场整体检测系统
WO2008055507A1 (en) Electricity meter with switch mode voltage supply
KR102022024B1 (ko) 전자식 전력량계
JP2015076955A (ja) 無線センサ端末
EP3032682B1 (en) Power supply system, power conversion device, and distribution board
KR101968595B1 (ko) 플럭스게이트 전류센서를 이용한 고정밀 다기능 dc 전력량계
US10461574B2 (en) Transfer switch with monitor on load side
CN109325307B (zh) 低压配电网的cim建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5104787A1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およ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WO2015104740A1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分電盤
Muhammed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oT based home energy monitoring system
CN103543432B (zh) 互感器现场检查仪
Martini DC energy metering applications
CN202494723U (zh) 嵌入式高压电能计量开关
Aljumaah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energy billing system based on RFID and ZigBee technolo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