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568B1 - Waterspout type non-point sourc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spout type non-point sourc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8568B1 KR101968568B1 KR1020180107484A KR20180107484A KR101968568B1 KR 101968568 B1 KR101968568 B1 KR 101968568B1 KR 1020180107484 A KR1020180107484 A KR 1020180107484A KR 20180107484 A KR20180107484 A KR 20180107484A KR 101968568 B1 KR101968568 B1 KR 1019685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tridge
- opening
- rainwater
- case
- fil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받이를 비점오염물질의 정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을 간결, 단순화할 수 있고, 시설비와 유지관리비를 줄일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collecting type superio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non-point pollutant remov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inwater collecting type rainwater collecting apparatus capable of purifying non-point pollutants, And a rainwater catching typ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nonpoint pollutant removal function capable of reducing facility cost and maintenance cost.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원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의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하는 것으로서, 운행 차량, 각종 산업시설로부터 중금속 및 유해 유기물질 등이 배출되는데, 강우시 이들 물질들은 우수와 함께 도로 유출수의 형태로 빗물받이를 거쳐 하천 등의 인근 수계로 배출되어 수 생태계에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다.Generally, non-point pollution source refers to a source of emission of water pollutants unspecified at unspecified places such as cities, roads, farmland, mountainous areas, construction sites, etc., and heavy metals and harmful organic substances are discharged from vehicles, At the time of rainfall, these materials are discharged in the form of road runoff in the form of stormwater through rainwater catches and streams to nearby water bodies such as rivers, which has a serious adverse effect on the aquatic ecosystem.
예컨대, 도시지역에서의 중금속의 주된 발생원은 교통분야로서, 특히 운행 중인 차량으로부터 납(Pb), 카드뮴(Cd), 크롬(Cr), 구리(Cu), 아연(Zn) 등이 대량 발생한다. 이중에서도 특히 납, 카드뮴, 크롬 등은 독성이 강한 발암물질로 특정수질 유해물질로 규정·관리되고 있다. For example, the major source of heavy metals in urban areas is the transportation sector, and a large amount of lead (Pb), cadmium (Cd), chromium (Cr), copper (Cu), zinc (Zn) Of these, lead, cadmium, and chromium are particularly toxic carcinogens that are prescribed and managed as harmful substances of certain water quality.
그리고, 변압기의 절연유로 널리 사용되는 PCBs는 잔류성, 생물 농축성의 유기오염물질로서, 주요 발생원은 소각장과, 변압기 제작 및 설치지역이며, 소각장에서는 DL-PCBs의 형태로 발생한다. PCBs는 물보다 밀도가 높고 매우 낮은 수 용해도 때문에 토양이나 하천의 퇴적물로 흡착되어 축적된다. 또한 금속 기계 등의 세척제로 널리 사용되는 유기용제 TCE는 공단지역에서 자주 발생하는 난분해 유기화합물로서, 상온에서 용해도가 1,100mg/L로 높아 일단 배출되면 물보다 비중이 크기 때문에 오염 확산이 빨라서 이들도 특정수질유해물질로 규정되고 있다. PCBs, which are widely used as insulating oil for transformers, are persistent, biodegradable organic pollutants. The major sources are incinerators, transformer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sites, and incinerators in the form of DL-PCBs. PCBs are more dense than water and are adsorbed and accumulated in sediments of soils and streams due to their very low water solubility. In addition, organic solvent TCE widely used as a cleaning agent for metal machinery is a refractory organic compound frequently generated in the industrial area. Since the solubility at room temperature is as high as 1,100 mg / L, once it is discharged, it has a larger specific gravity than water, Are also designated as specific water hazardous substance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비점오염원의 처리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11819호로 개시된 바와 같은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가 제안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apparatu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11819 has been proposed as a method of treating a nonpoint pollutant source as described above.
상기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유입구(12)와 제1 침전조(100), 복합여과조(200), 제2 침전조(300) 및 유출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침전조(100)와 복합여과조(200), 제2 침전조(300) 각각에는 내부출입 또는 내부확인이 가능한 개폐덮개(16)가 마련되어 작업자가 내부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우수의 정화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1, the nonpoint
그리고,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10)는 유입구(12)를 통해 우수가 제1 침전조(100) 내부로 유입되어 비점오염물질 중 침전물은 자중에 의해 제1 침전조(100) 하부로 가라앉아 침진되고, 기름 및 부유물질은 상승하여 물리적, 1차적으로 유수가 분리된다. 이후 제1 침전조(100)와 연결관로(110)를 통해 복합여과조(200)에 유입되어 제1 내지 제4 여과층(210, 220, 230, 240)을 차단벽(206)에 의해 지그재그로 통과함으로써 긴 시간 동안 정화과정을 거친 후 제2 침전조(300)에 유입되어 재차 침전과정을 거친 후 유출구(14)를 통해 하천 등으로 방류되어 공공수역이나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nonpoint
하지만, 전술한 종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10)는 비교적 규모(부피 및 중량)가 커서 큰 점유공간이 요구되고, 설치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긴 설치기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non-point
그리고, 전술한 종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10)는 설치시 도로변 지하에 매설된 전력케이블 및 통신케이블과 하수관거 등의 철거나, 재설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변 토지소유자들과 분쟁이나 민원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non-point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빗물받이를 비점오염물질의 정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을 간결, 단순화할 수 있고, 시설비와 유지관리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descrip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facility capable of simplifying and simplifying a non-point pollutant treatment facili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mwater catching typ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material removing fun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는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배수공이 천공된 카트리지수용홈이 요입된 카트리지케이스; 상기 카트리지수용홈에 삽입되는 필터카트리지; 상기 필터카트리지에 내장되는 과립형 필터여재;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되고 우수진입홀이 형성된 빗물받이커버; 및 상기 배수공이 밀폐하도록 장착되고 우수의 유입시에 개방되는 복수의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inwater catching type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having a non-point pollutant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nwater catch type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having a non-point pollutant removal function, A cartridge case into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inserted; A filter cartridge inserted into the cartridge receiving groove; A granular filter media contained in the filter cartridge; A rainwater catch cover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tridge case and in which an inflow hol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openable and closable members which are mounted to close the drain hole and open at the inflow of the storm.
상기 카트리지케이스는 호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배수공이 천공된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단 둘레에 돌출되는 안착테두리부, 상기 카트리지수용홈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돌출부,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후 측벽의 내면에 형성되는 카트리지결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artridge case includes a case body protruding in an arc shape and pierced with the drain hole, a seating frame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case body, a compartment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cartridge receiving recess, And a cartridge binding portion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of the case body.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구획돌출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카트리지수용홈의 일측에 삽입되고 외면에 다수의 여과공이 천공된 통 형상의 제1 카트리지통체; 상기 구획돌출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카트리지수용홈의 타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카트리지통체와 동일 구조로 형성된 제2 카트리지통체; 및 상기 제1 카트리지통체 및 상기 제2 카트리지통체의 일측 개구부 및 타측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카트리지결속부에 삽입, 결속되는 카트리지마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filter cartridge comprises: a first cartridge body of a tubular typ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artridge receiving groove defined by the partitioning proj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ilter holes perforated on its outer surface; A second cartridge cylinde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artridge receiving groove defined by the partition projection and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artridge cylinder; And a cartridge lid member inserted into the cartridge binding portion to be hermetically sealed at one opening and the other opening portion of the first cartridge cylinder and the second cartridge cylinder, and being inserted and bound to the cartridge binding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카트리지통체는 종단면 형상이 반구형상의 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마개부재는 상기 제1 카트리지통체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1 마개부, 상기 제1 마개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통체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2 마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마개부의 외측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카트리지결속부에 삽입되는 걸림구로 구성되어 있다.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cartridge casings are formed by semi-spherical cylinders in a longitudinal section, and the cartridge stopper member has a first stopper portion inserted into an opening of the first cartridge spring, A second cap portion which is formed in the opening portion of the second cartridge cylinder and which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second cartridge cylinder and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and second cap portions and inserted into the cartridge binding portion.
그리고, 상기 빗물받이커버는 하부에 복수의 상기 카트리지케이스가 배치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와 상기 필터카트리지 사이에 개재되는 여과망이 구비될 수 있다.The rainwater catching cover may be formed in a manner that a plurality of the cartridge cases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filter net interposed between the cartridge case and the filter cartridge may be provided.
상기 개폐부재는, 일측이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배수공에 밀착 및 이탈되면서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개폐부; 및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개폐부가 원위치 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력인가부로 구성되어 있다.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unit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cartridge case and performing an opening / closing operation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drain hole; And a restoring forc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opening / closing part separated from the discharging hole comes back in place.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수공에 삽입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의 외면에 걸림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어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includes a sea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a locking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closing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locking portion, And the like.
상기 복원력인가부는 상기 밀폐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에 접속되는 지지레버부, 및 상기 지지레버부와 상기 밀폐부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storing force applying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ing le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al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cartridge case, and an elastic portion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lever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상기 카트리지케이스는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되는 고정부삽입공과, 상기 지지레버부가 접속되는 레버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일측 굴곡부가 상기 지지레버부의 저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 굴곡부가 상기 밀폐부의 상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띠형 몸체의 양단이 굴곡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cartridge case is formed with a fixe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lever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supporting lever is connected, the one bent portion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ing lever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strip-shaped body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can be bent.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우수의 배출을 위해 빗물받이를 수행하면서 비점오염물질의 정화작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을 간결, 단순화할 수 있고, 시설비와 유지관리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purification operation of the non-point pollutant simultaneously while performing the rainwater catch for the discharge of the excellent rainwater, , It is possible to simplify and reduce the facility cost and the maintenance cos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는 비점오염물질 처리를 위한 구성이 빗물받이 내장되는 구조로서 기존의 빗물받이설치홀에 간편하게 장착하여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도로변 지하에 매설된 전력케이블 및 통신케이블과 하수관거 등의 철거나, 재설치 등 여러 가지 제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ainwater catch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rainwater collectors are built for treatment of non-point pollutants, and can be easily installed in existing rainwater collector installation holes and used interchangeably In order to install a non-point pollutant abatement device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of solving various problems such as dismantling and reinstallation of electric power cables, communication cables and sewer pipes buried under the roadsid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는 우수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배수공을 밀폐하여 악취의 유출을 방지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어 배수로 주변의 대기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ormwater catch type sewage treatment system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comprising: an opening / closing member that seals a drain hole to prevent leakage of odor when stormwater is not introduced, There is an advantage to maintain.
도1은 종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사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전체적인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카트리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필터카트리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개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8a는 우수의 미진입시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8b는 우수의 진입시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apparatu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of a rainwater catching type deterioration treating apparatus having a non-point pollutant remov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rainwater catching type water treatment unit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ate of separation of the rainwater catching type combined water treatment unit having the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tridge case of a rainwater catching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cartridge of a stormwater catching type detonation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 closing member of a rainwater catching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inwater catch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non-point pollutant remo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8A is a cross- Fig. 8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tor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8b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8b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B,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FIGS. 2 to 8B.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사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전체적인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카트리지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of a rainwater catching type deterioration treat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rainwater collecting type combined water treatment unit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rainwater from a rainwater collecting type sewage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rtridge case of a rainwater catching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non-point pollutant removing fun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는 우수의 처리를 위한 빗물받이를 비점오염물질의 정화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카트리지케이스(1), 필터카트리지(2), 과립형 필터여재(미도시), 빗물받이커버(4), 및 개폐부재(5)가 구비되어 있다.2 to 5, the rainwater catch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non-point pollutant removal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purification function of the non- The
카트리지케이스(1)는 필터카트리지(2)의 설치를 위한 본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배수공(16)이 천공된 카트리지수용홈(15)이 요입되어 있다.The
카트리지케이스(1)는 단일의 필터카트리지(2)가 내장되는 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지만, 우수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비점오염물질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해 복수의 필터카트리지(2)가 마주보게 대칭구조로 배치되게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카트리지케이스(1)는 호 형상으로 돌출되고 배수공(16)이 천공된 케이스본체(11), 이 케이스본체(11)의 상단 둘레에 돌출되는 안착테두리부(12), 카트리지수용홈(15)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돌출부(13), 및 카트리지수용홈(15)의 전후에 해당되는 케이스본체(11)의 측벽 내면에 형성되는 카트리지결속부(14)로 구성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케이스(1)는 케이스본체(11)의 배수공(16) 상부에 후술되는 개폐부재(5)의 고정돌부(513)가 삽입되는 고정부삽입공(17)이 천공되어 있고, 개폐부재(5)의 지지레버부(521)가 접속되도록 구획돌출부(13)에 일정한 간격으로 레버삽입홈(18)이 요입, 형성되어 있다.In the
아울러, 배수공(16)은 우수의 효과적인 배수를 위해 케이스본체(11)의 곡면을 따라 호 형상의 직사각 슬릿 형태로 천공되는 것으로, 카트리지수용홈(15)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천공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안착테두리부(12)에는 빗물받이설치홀(미도시)의 크기에 따라 2개 이상의 카트리지케이스(1)를 인접하여 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결속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s formed on the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필터카트리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카트리지(2)는 카트리지케이스(1)의 카트리지수용홈(15)에 삽입되고 내부에 과립형 필터여재가 수용되는 구성요소로서, 제1 카트리지통체(21), 제2 카트리지통체(22) 및 카트리지마개부재(23)로 구성되어 있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cartridge of a stormwater catching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제1 카트리지통체(21)는 다수의 여과공이 천공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카트리지케이스(1)의 구획돌출부(13)에 의해 구획되는 카트리지수용홈(15)의 일측에 삽입되어 있다.The
제2 카트리지통체(22)는 제1 카트리지통체(21)와 동일 구조로 형성되어 구획돌출부(13)에 의해 구획되는 카트리지수용홈(15)의 타측에 삽입되어 있다.The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카트리지통체(21,22)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단일의 카트리지수용홈(15)에 한 쌍이 삽입될 수 있도록 종단면 형상이 대략 반구 구조인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and
카트리지마개부재(23)는 제1 카트리지통체(21) 및 제2 카트리지통체(22)의 일측 개구부 및 타측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카트리지결속부(14)에 삽입되어 결속된다.The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마개부재(23)는 제1 카트리지통체(21)의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마개부(231), 제1 마개부(231)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제2 카트리지통체(22)의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마개부(232), 및 제1 및 제2 마개부(231,232)의 외측 중앙에 돌출되어 카트리지결속부(14)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걸림구(233)로 구성되어 있다.The
과립형 필터여재(미도시)는 필터카트리지(2)에 내장되어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비점오염물질의 제거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5 내지 10중량%의 영가철과, 90 내지 95중량%의 다공성 세라믹을 혼합하여 형성한 과립형 다공성 복합여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과립형 다공성 복합여재는 나노영가철과 가교화 점토를 바인더 등을 이용하여 혼합, 반죽하고 소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granular filter filter medium (not shown) is built in the
나노영가철(Nanoscale ZVI; nZVI)은 비표면적이 크고 반응성이 우수하여 중금속, 할로겐 유기용제류, 다이옥신 등과 같은 다양한 오염물질의 처리에 활용되고 있고, 중금속의 경우, Cr(VI)와 Pb(II)는 영가철로부터 전자를 받아 각각 독성이 없는 Cr(III)과 Pb(0)로 환원되는데, 나노 영가철을 이용할 경우 마이크로 사이즈의 영가철보다 30배 이상 우수한 제거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TCE, 1,1,1-trichloroethane 등의 할로겐화 유기용제는 나노 영가철로부터 전자를 공급받아 α-elimination, β-elimination, hydrogenolysis, hydrogenation 등의 경로를 통해 탈염소화 반응이 일어나 ethane 등과 같은 무해한 물질로 환원된다. Nanoscale ZVI (nZVI)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pollutants such as heavy metals, halogen organic solvents and dioxins because of its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high reactivity. In the case of heavy metals, Cr (VI) and Pb ) Is converted to Cr (III) and Pb (0), which are non-toxic, respectively, by receiving electrons from zero valence iron. It has been reported that when using nano- Halogenated organic solvents such as TCE and 1,1,1-trichloroethane are supplied with electrons from nano-sparingly iron to cause dechlorination reaction through α-elimination, β-elimination, hydrogenolysis, and hydrogenation and are harmless substances such as ethane Is reduced.
빗물받이커버(4)는 카트리지케이스(1)의 보호를 위해 상부에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판형부재에 다수의 우수진입홀(43)이 천공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빗물받이커버(4)는 하부에 위치하는 카트리지케이스(1)의 형상과 배치수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카트리지케이스(1)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우수진입홀(43)이 천공된 사각 형상의 상판(41)과, 이 상판의 둘레에 배치되는 측판(42)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아울러, 빗물받이커버(4)의 하부에는 필터카트리지(2) 사이에 개재되는 메쉬망 구조의 여과망(6)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개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ing / closing member of a rainwater catching type water treatment unit having a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을 참조하면, 개폐부재(5)는 우수의 유입시에 배수공을 개방되어 우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우수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배수공(16)을 밀폐 차단하여 배수로에서 악취 등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개폐부재(5)는 각각의 배수공(16)을 밀폐하도록 다수 개로 구성된 것으로서, 일측이 카트리지케이스(1)에 고정되고 배수공(16)에 밀착 및 이탈되면서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개폐부(51)와, 배수공(16)으로부터 이탈된 개폐부가 원위치 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력인가부(52)로 구성되어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부재(5)는 개폐과정에서 밀폐성과 복원성을 고려하여 고무, 실리콘고무 등과 같이 밀착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하 세부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개폐부(51)는 배수공(16)에 삽입되도록 배수공(16)과 대응하는 호 형상의 막대 형태로 형성된 밀폐부(511), 상기 밀폐부(511)에 일체로 형성되어 배수공(16)의 가장자리 부분에 해당되는 카트리지케이스(1)의 외면에 걸림되도록 호 형상의 패드로 형성된 걸림부(512), 걸림부(512)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어 카트리지케이스(1)의 고정부삽입공(17)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부(513)로 구성되어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걸림부(512)는 기밀성을 고려하여 밀폐부(511)에 비해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밀폐부(511)와 고정돌부(513)의 경계부에는 개폐부(51)의 원활한 개폐동작을 위한 힌지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오목한 홈 형태의 오목홈(5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돌부(512)는 고정부삽입공(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단부에 쇄기(513b)가 형성되어 있다. The locking
상기 복원력인가부(52)는 밀폐부(511)에 연장 형성되고 카트리지케이스(1)의 레버삽입홈(18)에 삽입, 접속되는 지지레버부(521)와, 이 지지레버부(521)와 밀폐부(511)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522)로 구성되어 있다. The restoring
지지레버부(521)는 밀폐부(511)의 내측에 대략 막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자유단 부분이 레버삽입홈(18)에 삽입, 안착되어 필터카트리지(2)에 의해 눌러져 고정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단부에 이탈방지돌기(521b)가 형성되어 있다.The
탄성부(522)는 일측 굴곡부가 지지레버부(521)의 저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 굴곡부가 밀폐부(511)의 상면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띠형 몸체의 양단이 굴곡 형성된 것으로서 대략 클립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ormwater catching type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pollutan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8a는 우수의 미진입시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8b는 우수의 진입시의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8A and 8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ainwater catch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non-point pollutant remo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8A is a cross- Fig. 8B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torm.
먼저, 케이스본체(11)의 배수공(16)을 밀폐하도록 밀폐부(511)를 삽입하면서 고정돌부(513)가 고정부삽입공(17)에 삽입 고정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개폐부재(5)을 카트리지케이스(1)에 결합한다. 이후 케이스본체(11)의 카트리지수용홈(15)에 과립형 필터여재가 충진된 필터카트리지(2)를 삽입하되, 필터카트리지(2)의 평평한 면이 구획돌출부(13)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삽입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카트리지(2)가 조립된 복수의 카트리지케이스(2)을 설치한 후, 필터카트리지(2)의 상부에 여과망(6)을 올려놓고, 빗물받이커버(4)를 카트리지케이스(1)에 덮게 되면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First, a plurality of openable and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를 노변의 배수로에 형성된 빗물받이설치홀(미도시)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설치 상태에서 빗물받이커버(4)를 통해 우수가 유입되면 미세한 부유물은 여과망(6)에 의해 걸러지고 우수가 제1 및 제2 카트리지통체(21,22)의 만곡된 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여과공을 통해 내부로 진입한다.When the stormwater collecting type sewage treatment apparatus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rainwater catching installation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drainage path of the roadside, when the
이와 같이 필터카트리지(2)의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면 과립형 필터여재와 접촉하게 되므로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흡착작용이 수행되면서 비점오염물질의 제거하여 우수의 수질을 개선 시키게 된다.When the rainwater flows into the
그리고, 필터카트리지(2)의 내부를 경유한 우수는 케이스본체(11)의 카트리지수용홈(15) 하부로 배출되므로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의 자중에 의해 개폐부(51)가 케이스본체(11)에 고정된 고정돌부(513)를 기준으로 이탈되면서 배수공(16)이 개방 되므로 우수가 하방으로 배출, 낙하하게 된다. 이때, 클립 형태의 탄성부(522)는 개폐부(52)의 개방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늘어나게 된다. 8B, the opening / closing
한편, 빗물받이커버(4)를 통해 우수가 유입되지 않을 경우 개폐부(51)에 우수의 자중 부하가 해소된 상태가 되므로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져 있던 탄성부(522)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51)가 당겨져 배수공(16)을 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5)에 의해 배수공(16)가 밀폐되면 배수로 내부에서 우수나 하수가 부패하거나 이물질에 의해 악취가 발생되더라도 상방으로 유출되지 않게 되어 배수로 주변의 대기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rain does not flow through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apparatuses such as a water pump,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above embodiments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1:카트리지케이스 11:케이스본체
12:안착테두리부 13:구획돌출부
14:카트리지결속부 15:카트리지수용홈
16:배수공 17:고정부삽입공
18:레버삽입홈 2:필터카트리지
21:제1 카트리통체 22:제2 카트리지통체
23:카트리지마개부재 4:빗물받이커버
41:상판 42:측판
43:우수진입홀 5:개폐부재
51:개폐부 511:밀페부
512:걸림부 513:고정돌부
52:복원력인가부 521:지지레버부
522:탄성부1: cartridge case 11: case body
12: seat part 13: compartment projection
14: cartridge binding portion 15: cartridge receiving groove
16: drainage hole 17:
18: Lever insertion slot 2: Filter cartridge
21: first cartridge cylinder 22: second cartridge cylinder
23: cartridge stopper member 4: rainwater catch cover
41: upper plate 42: side plate
43: Outer entrance hole 5: Opening and closing member
51: opening and closing part 511:
512: engaging portion 513:
52: restoring force applying unit 521:
522:
Claims (8)
복수의 배수공이 천공된 카트리지수용홈이 요입된 카트리지케이스; 상기 카트리지수용홈에 삽입되는 필터카트리지; 상기 필터카트리지에 내장되는 과립형 필터여재;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되고 우수진입홀이 형성된 빗물받이커버; 및 상기 배수공이 밀폐하도록 장착되고 우수의 유입시에 개방되는 복수의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케이스는 호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배수공이 천공된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단 둘레에 돌출되는 안착테두리부, 상기 카트리지수용홈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돌출부, 및 상기 케이스본체의 전후 측벽의 내면에 형성되는 카트리지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
1. A stormwater catch type sewage treatment system having a nonpoint pollutant removal function,
A cartridge case into which a cartridge receiving groove into which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perforated is inserted; A filter cartridge inserted into the cartridge receiving groove; A granular filter media contained in the filter cartridge; A rainwater catch cover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tridge case and in which an inflow hol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s that are mounted to close the drain hole and open at the inflow of the storm,
The cartridge case includes a case body protruding in an arc shape and pierced with the drain hole, a seating frame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case body, a compartment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cartridge receiving recess, And a cartridge bind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ront and rear side walls of the case body, wherein the cartridge binding portion has a function of removing nonpoint contamination.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상기 구획돌출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카트리지수용홈의 일측에 삽입되고 외면에 다수의 여과공이 천공된 통 형상의 제1 카트리지통체;
상기 구획돌출부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카트리지수용홈의 타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카트리지통체와 동일 구조로 형성된 제2 카트리지통체; 및
상기 제1 카트리지통체 및 상기 제2 카트리지통체의 일측 개구부 및 타측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카트리지결속부에 삽입, 결속되는 카트리지마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cartridge includes:
A tubular first cartridge cylinder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artridge receiving groove defined by the partitioning protrus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ilter holes perforated on its outer surface;
A second cartridge cylinde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artridge receiving groove defined by the partition projection and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artridge cylinder; And
And a cartridge lid member inserted into the cartridge binding portion to be hermetically sealed at one side opening and the other opening side of the first cartridge cylinder and the second cartridge cylinder, Combined stormwater treatment system.
상기 제1 및 제2 카트리지통체는 종단면 형상이 반구형상의 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마개부재는 상기 제1 카트리지통체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1 마개부, 상기 제1 마개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카트리지통체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2 마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마개부의 외측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카트리지결속부에 삽입되는 걸림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artridge casings are formed by hemispherical cylinders in a longitudinal section,
Wherein the cartridge stopper member includes a first stopper portion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first cartridge shell, a second stopper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stopper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second cartridge shell, And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and inserted into the cartridge binding portion.
상기 빗물받이커버는 하부에 복수의 상기 카트리지케이스가 배치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와 상기 필터카트리지 사이에 개재되는 여과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inwater catching cover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so that a plurality of the cartridge cases can be disposed,
And a filter net interposed between the cartridge case and the filter cartridge.
상기 개폐부재는,
일측이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배수공에 밀착 및 이탈되면서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개폐부; 및
상기 배수공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개폐부가 원위치 되도록 복원력을 인가하는 복원력인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open /
An opening / closing unit that is opened and closed while one side is fixed to the cartridge case and is clos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drain hole; And
And a restoring forc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opening / closing part separated from the drain hol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배수공에 삽입되는 밀폐부, 상기 밀폐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의 외면에 걸림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일측 단부에 돌출되어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원력인가부는 상기 밀폐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케이스에 접속되는 지지레버부, 및 상기 지지레버부와 상기 밀폐부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art includes a sealing part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a lock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closing part and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artridge case,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locking part and fixed to the cartridge case, And,
Wherein the restoring force apply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ing leve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al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cartridge case, and an elastic portion formed between the supporting lever portion and the sealing portion. Receiving and bonding type abattoir device.
상기 카트리지케이스는 상기 고정돌부가 삽입되는 고정부삽입공과, 상기 지지레버부가 접속되는 레버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일측 굴곡부가 상기 지지레버부의 저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 굴곡부가 상기 밀폐부의 상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띠형 몸체의 양단이 굴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artridge case has a fixed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a lever insertion slot to which the supporting lever is connected,
Wherein the elastic part is integrally connected to a bottom part of the support lever part at one side and the end of the band-shaped body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ed part at one end, and the rainwater- Abattoir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484A KR101968568B1 (en) | 2018-09-10 | 2018-09-10 | Waterspout type non-point sourc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7484A KR101968568B1 (en) | 2018-09-10 | 2018-09-10 | Waterspout type non-point sourc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8568B1 true KR101968568B1 (en) | 2019-04-12 |
Family
ID=6616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7484A KR101968568B1 (en) | 2018-09-10 | 2018-09-10 | Waterspout type non-point sourc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856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7762B1 (en) | 2022-10-13 | 2023-10-11 | 하이워터 주식회사 | Drainage instrument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2234A (en) * | 2002-04-19 | 2002-07-25 | 주식회사 카커 | A device for isolating the fumes and vermin emit through a ditch cover |
KR100865253B1 (en) | 2008-05-30 | 2008-10-24 | (자)한진개발공사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
KR100911819B1 (en) | 2009-01-21 | 2009-08-12 | 김유향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
KR100913315B1 (en) | 2009-04-01 | 2009-08-26 | 주식회사 동인 | The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KR101839373B1 (en) * | 2017-08-16 | 2018-03-16 | 이병관 | Aterspout with preventing function an odious smell |
-
2018
- 2018-09-10 KR KR1020180107484A patent/KR10196856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2234A (en) * | 2002-04-19 | 2002-07-25 | 주식회사 카커 | A device for isolating the fumes and vermin emit through a ditch cover |
KR100865253B1 (en) | 2008-05-30 | 2008-10-24 | (자)한진개발공사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
KR100911819B1 (en) | 2009-01-21 | 2009-08-12 | 김유향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
KR100913315B1 (en) | 2009-04-01 | 2009-08-26 | 주식회사 동인 | The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rainwater |
KR101839373B1 (en) * | 2017-08-16 | 2018-03-16 | 이병관 | Aterspout with preventing function an odious smel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7762B1 (en) | 2022-10-13 | 2023-10-11 | 하이워터 주식회사 | Drainage instrument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19591B2 (en) | Filter cartridge with check valve protection | |
US7799235B2 (en) | Fluid filter system and related method | |
AU2010292395B2 (en) |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KR100821341B1 (en) | Manhole of Multi-structure with Rainwater Drain Control System for road side drain | |
JP3148921U (en) | Rain water filter | |
KR101746524B1 (en) |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for the road and bridge | |
US7332091B2 (en) | Process for treating storm water | |
KR100943022B1 (en) | A sanitation facilities of first fall rain water using filter cartridge | |
KR100420222B1 (en) |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unoff | |
KR101968568B1 (en) | Waterspout type non-point sourc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 |
US7686961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dissolved and suspended contaminants from waste water | |
JP3311732B2 (en) |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20070095855A (en) | Purification apparatus for rainfall used a bridge | |
KR101940779B1 (en) | Early stormwater treatment unit with multifunctional screen module | |
KR101777586B1 (en) | Tubular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for the bridge | |
KR100741409B1 (en) |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 |
KR100720398B1 (en) | Rain water box | |
JP2003286741A (en) | Rainwater cleaning structure | |
KR200393332Y1 (en) |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 |
KR100662520B1 (en) |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unoff | |
KR101654689B1 (en) | Waterspout with water purifying function and preventing function an odious smell | |
KR101839373B1 (en) | Aterspout with preventing function an odious smell | |
KR20060123008A (en) |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 |
KR101227150B1 (en) | Drain apparatus for bridge and exchange method of filter part therewith | |
KR101556183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