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792B1 - Mounting Means for Portable Goods - Google Patents

Mounting Means for Portable Goo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792B1
KR101967792B1 KR1020170104515A KR20170104515A KR101967792B1 KR 101967792 B1 KR101967792 B1 KR 101967792B1 KR 1020170104515 A KR1020170104515 A KR 1020170104515A KR 20170104515 A KR20170104515 A KR 20170104515A KR 101967792 B1 KR101967792 B1 KR 101967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iece
mounting
shoulder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9494A (en
Inventor
방소윤
정민시
Original Assignee
방소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소윤 filed Critical 방소윤
Priority to KR1020170104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792B1/en
Publication of KR20190019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4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7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물품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는,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된 거치편;과 상기 제1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제2 결합부가 형성되고, 휴대물품을 구비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거치수단;을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양 손에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휴대 물품을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To this end, the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ceiv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both ends of a user's upper body to be mounted on a shoulder, the receiving part being fixed to a user's body and having a first coupling part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mounting unit in which a second engaging part is formed at one side to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art and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 for accommodating the portable article is formed.
Thereby, the portable article can be stably used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is moving or there is no room for both hands.

Description

휴대물품 거치장치{Mounting Means for Portable Goods}{Mounting Means for Portable Goods}

본 발명은 휴대물품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편이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고, 상기 거치편에 휴대물품을 구비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된 거치수단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 휴대물품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which is integrally formed such that both ends thereof are mounted on a shoul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in which convenience of a user is improved.

현대사회는 기술발전이 매우 빠르게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통신산업은 그 발달의 속도가 매우 높아 현대인들은 대부분 각자 하나 이상의 휴대전화를 소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In modern society,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happening very fast, and especially in the telecommunication industry, the pace of development is so high that modern people mostly own more than one mobile phone.

또한, 통신산업은 전자산업과 융합되어 많은 현대인들이 이미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태블릿 PC 등을 생활 필수품과 같이 휴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변화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In addition, the telecommunication industry is fused with the electronics industry, and many modern people are already carrying wearable devices and tablet PCs together like daily necessities. Such changes are likely to accelerate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rrives.

그에 따라 모바일 장치는 그 종류와 필요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필수 불가결적으로 현대인들은 휴대전화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나 휴대 물품을 수중에 지참하거나 의류 속에 구비한 상태로 생활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일상 생활의 변화는 휴대하여야 할 장치의 수도 함께 증가시키고 있다.As a result, the type and the necessity of mobile devices are expected to increase. Inevitably, modern people have brought various kinds of electronic devices and portable items including mobile phones in hand or in a state of being equipped with clothes, These changes in everyday life are also increasing the number of devices to be carried.

또한, 기후가 점차적으로 온난화 열대화됨에 따라 국지성 호우가 증가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많은 현대인들은 소형화된 휴대용 우산을 소지한 상태로 생활하고 있다. 나아가, 계절과 무관하게 연중 자외선 지수가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체온을 낮추기 위해서 양산의 휴대 빈도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In addition, as the climate is gradually warming and communicating, local rains are increasing, and many modern people are now living with their portable umbrellas. Furthermore, as the ultraviolet ray index continuously shows high throughout the year regardless of the season, the frequency of mass production is also increasing in order to prevent skin aging and lower body temperature.

상술한 바와 같이 소지하여야 하는 휴대물품이 날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은 그 사용자의 신체적 한계로 인하여 다량의 휴대물품을 구비하거나 사용함에 있어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휴대물품을 분실할 위험성도 함께 존재한다.Despite the increasing number of portable articles to be possessed as described above, modern people suffer from inconvenience in providing or using a large amount of portable articles due to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users, and in some cases, There is also the risk of losing the carrying articl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각종 휴대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9021호 '도보용 모바일단말기 거치 크레이블'(2016. 6. 9.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관한 발명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mobile terminal hanger label for walking (Registered on June 6, 201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290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vention").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끈을 이용하여 벨트와 멜빵의 형상으로 장착본체를 제작하고, 상기 장착본체에 모바일단말기를 포함한 각종 휴대물품을 거치할 수 있도록 크레이들을 결합함으로써 휴대물품의 휴대성을 증진시키고, 양손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하였다.The prior art document 1 improves portability of a portable article by manufacturing a mounting body in the form of a belt and a suspenders using a string, and coupling the cradles to mount various portable articles including a mobile terminal on the mounting body , So that both hands can be used freel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work.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장착본체를 신체에 착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벨트와 멜빵의 길이를 매번 조절해야만 했으며, 특히 착용과 해체 과정에서도 벨트와 멜빵을 풀고 조이는 과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document 1, the length of the belt and the suspenders have to be adjusted each ti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body when the body is worn on the body. Especially, the process of unfastening and fastening the belt and the suspenders is troublesome there was.

또한, 크레이들과 장착본체를 체결하는 방식이 번고롭고, 사용자의 유동에 따라 내구성이 쉽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나 의복 상에 장착본체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패션에 민감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또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ethod of fastening the cradle and the mounting body is troublesome and the durability is easily deteriorat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user. Further,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mounting body on the clothes, There was another problem that we could not do.

한편,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7894호 '거치용 브래킷'(2017. 7. 7.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관한 발명을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nd filed an invention relating to a "mounting bracket" (registered on July 7, 2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of Korean Patent No. 10-1757894.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다수의 휴대 물품을 동반한 이동 중이나 양 손을 사용해야 하는 여타의 작업 중에도 자유조정형 연결대를 구비함으로써 거치대의 높낮이와 시야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의 편의성 및 화면 주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2 can freely adjust the heigh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cradle by providing a freely adjustable connecting rod during the movement accompanied by a plurality of portable articles or other operations requiring both hands, and on the basis of this,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watch.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자유조정형 연결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는 있었으나, 선행기술문헌 1과 마찬가지로 일단에 형성된 체결부에 의존하여 거치용 브래킷을 고정함에 따라 이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나 방법이 제한적이었으며,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However, as in the prior art document 1, depending on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bracket can be fixed by fixing the fastening bracket to the position The method was limited, and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was difficult to reflec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거치장치를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거나 해체하는 것이 간편하고,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사이즈에 맞게 그 형상을 쉽게 변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휴대물품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패션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 물품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고, 휴대물품의 위치나 각도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는 휴대물품 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asily mounting or dismounting a mounting device on a user's body, easily deforming the mounting device according to a user'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ize, It is possible to stably carry the portable article while preventing the flow of the portable article,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perform the operation without hindering the fashion of the user,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store the portable article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a separate fix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M)는,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 제1 결합부(11)가 형성되고, 사용자 상체의 뒤에 위치하는 중심부(12)의 양 단에 사용자의 어깨 전후면을 감싸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어깨 걸침편(13)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중심부(12)와 어깨 걸침편(13)은 외력에 의하여 형상이 소성 변형되는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며, 상기 중심부(12)와 어깨 걸침편(13) 사이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는 연결편(14)이 형성되고, 상기 어깨 걸침편(13)의 단부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되 사용자의 가슴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편(15)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거나 자체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분리될 수 있는 거치편(10);과 상기 제1 결합부(11)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제2 결합부(21)가 형성되고, 휴대물품을 구비하기 위한 수용부(22)가 형성된 거치수단(20);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상기 연장편(15)에 클립편(11a)이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고정력이 확보되고, 상기 제2 결합부(21)는 측방향으로 클립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편(11a)이 측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거치수단(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mounted on the shoulder with the back of the user's upper body as a center, is fixed to the user's body, A shoulder hanging piece 13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central portion 12 located behind the user's upper body so as to cover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houlder of the user, And the shoulder girdle piece 13 ar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whose shape is p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shape of the shoulder girdle piece 13 varies according to the body of the user and a constant rigidity is provided between the center portion 12 and the shoulder girdle piece 13 A connecting piece 14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houlder hanging piece 13 and an elongated piece 15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and extending to surround the user's chest is formed,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21 at one side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 The first engaging portion 2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 A first engaging portion 11 of the mounting piece 10 is fixed to the extended portion 15 by means of a clipping piece 20,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a is laterally formed to secure a stable fixing force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 is formed with a clip groove 21a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clip portion 11a is laterally fit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unting means 20 from flowing and to secure a stable bonding forc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중심부(12)는 다방향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바(12a)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12 may be formed of a flexible bar 12a so as to be deformable in multiple directions.

또한,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portion 12 may be formed as an elastic body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거치편(10)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활동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도록 장력을 가하는 탄성밴드(3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구비되는 피결속구(40)에 상기 탄성밴드(3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At least one elastic band 30 fixed to the body of the user and applying tension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user du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is formed on the mounting piece 10, One end of the elastic band 30 can be fixed.

삭제delete

또한,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가요성 로드(11b)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20)의 제2 결합부(21)가 상기 가요성 로드(11b)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11 of the mounting piece 10 is formed such that the flexible rod 11b is protruded forward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 of the mounting means 20 is fixed to the flexible rod 11b.

그리고 상기 거치수단(20)의 수용부(22)는 볼 하우징(22a)이 형성되어 휴대물품(P)의 볼 조인트(PJ)가 볼 하우징(22a) 내부에 마찰 결합되되, 외력에 의하여 3차원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22 of the mounting means 20 is formed with a ball housing 22a so that the ball joint PJ of the portable article P is frictionally engaged with the inside of the ball housing 22a, It can be formed so as to be rotatable.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에 의하면, 거치장치의 거치편이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거나 해체하는 것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ionary piece of the stationary apparatus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stationary member are mounted on the shoulder with the back of the user's upper body as a center, and is easily worn or disassembled into the user's body.

이때, 거치편은 신체의 일부에 거치되는 형상으로 착용되므로 사용자의 패션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양손에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휴대 물품을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mounting piece is worn in a shape fixed to a part of the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stable mounting can be performed without hindering the fashion of the user, and in particular, Can be used.

또한, 거치편의 중심부는 외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이나 사이즈에 맞게 그 형상을 쉽게 변형할 수 있다.Further,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der can be formed of a material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shape of the hold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body of the user, so that the shape of the holder can be easily modifi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user.

구체적으로, 상기 중심부는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심부는 단면 형상이 원형 내지는 정방형에 가까운 가요성 바로 형성되어 다방향의 변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center portion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plastic-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may be flexibly applied to a user's body. In this case, the center portion may be formed as a flexible shape having a circular or square cros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deformed.

또한, 상기 중심부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에 유연하게 대처함과 동시에 유동에 의한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center portion can flexibly cope wi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nd can evenly distribute the load due to the flow.

나아가, 상기 거치편의 중심부와 어깨 걸침편 사이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는 연결편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형상 변형이 가능하다.Further, a connection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piece and the shoulder bedding piece, so that the shape can be deformed while maintaining a uniform shape as a whole.

뿐만 아니라, 상기 어깨 걸침편의 단부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되 사용자의 가슴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편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보다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portion of the shoulder strap has a certain rigidity, and an extension piece extending to cover the user's chest can be formed, so that a more stable fixing force can be secured against the movement of the user.

또한, 상기 거치편의 양 단에는 탄성밴드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구비되는 피결속구에 일측 단부를 고정함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휴대물품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lastic band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radle, the end of the cradle is fixed to the cradle provided at the waist of the user, there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cradle in spite of the movement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거치편의 제1 결합부는 클립편이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클립홈이 형성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물품의 안정적이고 간편한 거치가 가능하며, 무엇보다 다양한 종류의 거치수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receiving piece is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lip piece,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lip groove, the carrying member can be stably and easily mounted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Various types of mounting means can be selectively applied.

또한, 상기 거치편의 제1 결합부는 가요성 로드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휴대물품의 위치나 각도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될 수 있다.Also, the first engaging part of the receiving part may be formed with the flexible rod protruding forward, so that the position and the angle of the portable article can be flexi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user.

나아가, 거치수단의 수용부는 볼 하우징이 형성되어 휴대물품의 볼 조인트가 3차원 회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용이성과 가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ball housing of the receiving part of the mounting means is formed, the ball joint of the portable article can be rotated three-dimensionally, thus ensuring ease of use and vari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물품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물품 거치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심부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걸침편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물품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로드를 이용한 휴대물품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편과 거치수단의 결속방식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Figures 3A-3C are back views illustrating a central por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shoulder gir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using a flexible r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binding method of a receiving part and a recei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M)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on the basis of preferred embodiment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M)는 거치편(10)과 거치수단(20)을 포함한다.1 and 2, the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ionary piece 10 and a stationary means 20.

상기 거치편(10)은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된다. 상기 거치편(10)는 신체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piece 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ser's body such that both ends of the mounting piece 10 are mounted on the shoulder about the back of the user's upper body.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piece 10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large in area in contact with the body and can effectively disperse the load.

이때, 상기 거치편(10)의 재질은 휴대물품(P)의 자중이나 기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강성(rigidity)이 있는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분적으로 외력에 의하여 자유롭게 소성 변형될 수 있도록 형상이 가요성 재질을 이용하거나 일시적인 외력에 의하여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체를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of the mounting piece 10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having rigidity as a whole so that it is not easily deformed by the weight of the portable article P or the impact caused by carelessness of the user. An elastic body can be used so that the shape can be deformed freely by an external force or a shape can be deformed by a temporary external force.

또한, 상기 거치수단(20)은 각종 휴대물품(P)을 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용부(22)가 형성되어 각종 휴대물품(P)을 거치할 수 있다. 상기 휴대물품(P)의 예로는 휴대폰, 테블릿 PC, 카메라, 조명기기, 휴대용 선풍기, 휴대용 온열장치, 우산, 양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휴대물품이 거치될 수 있다.The storage means 20 is configured to store various kinds of portable articles P and a storage portion 22 is formed to store various portable articles P. [ Examples of the portable article P includ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camera, a lighting device, a portable fan, a portable heating device, an umbrella, a mass production device, and the like.

이로써, 상기 휴대물품 거치장치(M)의 거치편(10)이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거나 해체하는 것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Thereby, the stationary piece 10 of the portable article placing device M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stationary piece 10 are mounted on the shoulder with the back of the user's upper body as a center, so that it is easy to wear or disassemble the user's body.

또한, 상기 거치편(10)은 신체의 일부에 거치되는 형상으로 착용되므로 사용자의 패션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가 이동 중이거나 양손에 여유가 없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휴대물품을 소지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unting piece 10 is worn in a shape to be mounted on a part of the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stable mounting can be performed without hindering the fashion of the user, and even when the user is moving or there is no room for both hands, Can be used with the goods in possession.

한편, 상기 거치편(10)는 적어도 일측 단부에 제1 결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결합부(11)에 결합되도록 제2 결합부(21)가 형성된다.A first engaging portion 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piece 10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2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ounting means 20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 [ Is formed.

상기 제1 결합부(11)와 제2 결합부(21)가 상호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거치편(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결합부(11)와 거치수단(20)에 형성된 제2 결합부(21)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거치수단(20)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manner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 are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variously applie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 form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piece 1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 formed at the mounting means 20 can be engaged or separated. ) Can be selectively applied.

또한, 사용자가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휴대물품의 안정적이고 간편한 거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Further,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a separate fixing mea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rtable article can be stably and easily mounted.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휴대물품 거치장치(M)는 거치편(10)이 그 자체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사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조끼나 상의의 내부에 거치편(10)에 삽입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끼나 상의와 상기 거치편(10)을 분리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거치수단(20)은 조끼나 상의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so that the stationary member 10 itself is exposed to the outside, but the stationary member 10 is provided inside the vest or the top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est or the top and the mounting piece 10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the mounting means 20 may b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st or the top.

한편, 상기 거치편(10)은 사용자 상체의 뒤에 위치하는 중심부(12)의 양 단에 사용자의 어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어깨 걸침편(1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적 특성이나 사이즈에 맞게 그 형상을 쉽게 변형할 수 있다.The shoulder piece 13 may be integrally formed on both ends of the center portion 12 located behind the user's upper body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of the user. The center portion 12 is formed of a material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shape of the center portion 12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modify the shape to fit his or 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r size.

일 실시예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그 형상을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부합하게 유연한 거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S. 3A to 3C, the center portion 12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plastic-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reby, the shape can be easily modifi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flexible mounting can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다만,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12)는 다방향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바(12a)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요성 바(12a)는 단면 형상이 원형 내지는 정방형에 가까운 것으로, 외력에 의하여 다방향의 입체적인 형상 변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3B,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er portion 12 is formed as a flexible bar 12a so that it can be deformed in multiple directions. The flexible bar 12a has a cross-sectional shape close to a circular or square shape, and has an advantage that three-dimensional shape deformation in multiple directions can be performed due to external force.

상기 가요성 바(12a)는 통상적으로 소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재를 심재로 형성하고, 그 외주면을 에워싸도록 합성수지, 고무, 섬유재 등으로 제작되는 피복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요성 바(12a)의 양단은 점진적으로 폭방향으로 넓은 단면형상을 지니도록 제작되어 사용자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요성 바(12a)의 양단은 후술할 연결편(14)에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The flexible bar 12a may be formed of a core material and a covering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rubber, fiber material or the like so a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exible bar 12a. Are gradually formed in a width direction so as to have a wide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user is dispersed. Both ends of the flexible bar 12a can be manufactured to be separated and fastened to the connecting piece 14 to be described later.

다른 실시예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연하게 변형되는 중심부(12)의 탄성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거치편(10)을 착용하고 해체함에 있어서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3C, the center portion 12 may be formed as an elastic body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easiness in dismounting the mounting piece 10 by the user based on the elastic body of the center portion 12 which is deformed smoothly.

또한, 사용자가 상기 거치편(10)을 착용하여 이동함에 있어서 유동에 의한 하중을 상기 중심부(12)의 탄성체를 바탕으로 균등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ears the mounting piece 10, the load due to the flow can be evenly distributed on the basis of the elastic body of the central part 12. [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어깨 걸침편(13)은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되도록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그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어깨 두께에 맞도록 형상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shoulder girder 13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plastic-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shape of the shoulder girder 13 can be varied according to a user's body condition. Therefore, the shape can be easily adjusted to fit the shoulder thickness of the user.

상기 거치편(10)의 중심부(12)와 어깨 걸침편(13) 사이에는 일정한 강성(rigidity)을 지니는 연결편(1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편(10)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상기 중심부(12)와 어깨 걸침편(13)을 바탕으로 유연하게 변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 connecting piece 14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may be form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2 of the mounting piece 10 and the shoulder-supporting piece 13. Therefore, the mounting piece 10 can be flexibly deformed on the basis of the center portion 12 and the shoulder knitting piece 13 which are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deforming the shape while maintaining a uniform overall shape.

나아가, 상기 어깨 걸침편(13)의 단부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되 사용자의 가슴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편(15)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슴 부위를 감싸도록 제작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도 보다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the end of the shoulder girder 13 has a predetermined rigidity and is formed so as to extend an extension piece 15 so as to surround the user's chest. Thus, .

또한, 상기 거치편(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편(10)의 자중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하중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착용감을 증진시키고 체온 유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through hole 16 is formed in the mounting piece 10 to reduce the weight of the mounting piece 10,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e user, improving the fit feeling and effectively maintaining the body temperature .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편(10)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활동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도록 장력을 가하는 탄성밴드(3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구비되는 피결속구(40)에 상기 탄성밴드(3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t least one elastic band 30 is fixed to the user's body so as to prevent the user's movement due to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one end of the elastic band 30 may be fixed to the binding member 40.

상기 탄성밴드(30)는 사용자의 벨트나 의복에 결속할 수 있으며, 끝단에는 핀이나 집게, 고리 또는 벨크로 등의 결속구(31)가 구비될 수 있어, 상기 탄성로프(30)의 일측 단부를 사용자의 의복 등에 고정한 상태로 탄성로프(30)에 지속적으로 장력이 확보될 수 있다.The elastic band 30 can be bound to a belt or a garment of a user and a binding pin 31 such as a pin, a clip, a hook or a Velcro can be provided at the end, and the one end of the elastic rope 30 Tension can be continuously secured to the elastic rope 30 while being fixed to the user's clothes or the like.

또한, 상기 탄성밴드(30)는 사용 태양에 따라 그 길이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부(32)를 형성하여 사용자에 신체에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탄성밴드(30)에 의한 장력의 크기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band 30 can be adjusted to suit the user's body by forming a length adjusting part 32 so that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30 can be flexib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age, Can also be controlled.

한편, 도 6a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와 거치수단(20)의 제2 결합부(21)는 상호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6A to 7,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 of the mounting piece 1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 of the mounting means 20 may have various shapes .

일 실시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클립편(11a)이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21)는 측방향으로 클립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편(11a)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7,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 of the mounting piece 10 is formed with the clip piece 11a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 is formed laterally A clip groove 21a may be formed so that the clip piece 11a can be fitted.

상기 클립편(11a)은 클립홈(21a)에 측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므로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거치수단(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Since the clip piece 11a is fitted in the clip groove 21a in the later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means 20 by simply inserting the clip piece 11a and secure a stable coupling force.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 결합부(11)와 제2 결합부(21)는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 돌기 또는 끼움 홈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결합부(11) 또는 제2 결합부(21)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합성수지나 고무재질 등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 may be formed with thread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or the fitting grooves And they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Wh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1 and 21 are mutually fit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11 or the second coupling part 21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such as synthetic resin or rubber material so as to be easily fastened and separated.

또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가요성 로드(11b)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20)의 제2 결합부(21)가 상기 가요성 로드(11b)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6A,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 of the mounting piece 10 is formed by projecting the flexible rod 11b forward,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 of the mounting means 20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flexible rod 11b.

뿐만 아니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편(10)의 단부에 연속되도록 가요성 로드(11b)가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로드(11b)의 단부에 거치수단(20)이 결합될 수 있다. 거치편(10)의 단부에 가요성 로드(11b)가 형성되면 거치편(10)과의 간섭을 줄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거치수단(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6 (b), the flexible rod 11b is formed so as to be continuous to the end of the stationary piece 10, and the stationary means 20 can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flexible rod 11b . When the flexible rod 11b is formed at the end of the mounting piece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mounting means 20 by reducing interference with the mounting piece 10.

상기 가요성 로드(11b)는 외력에 의하여 소성 변형이 가능하므로 그 형상과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휴대물품(P)의 높낮이나 시야각 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가요성 로드(11b)의 단부와 상기 제2 결합부(21)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체결될 수 있다.Since the flexible rod 11b can be p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shape and the angle of the flexible rod 11b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height and the viewing angle of the portable article P can be easily controlled. At this time, the ends of the flexible rod 11b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s 21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fasten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수단(20)에 형성되는 수용부(22)는 휴대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용부(22)에는 볼 하우징(22a)이 형성되어 휴대물품(P)의 볼 조인트(PJ)가 볼 하우징(22a) 내부에 마찰 결합되되, 외력에 의하여 3차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accommodating portion 22 formed on the mounting means 2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to fix the portable article. The ball housing 22a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22 so that the ball joint PJ of the portable article P is friction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ll housing 22a, . ≪ / RTI >

이로써, 거치편(10)의 일단에 결합되는 거치수단(2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용이성과 가변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ngle of the mounting means 20 coupled to one end of the mounting piece 10 can be easily adjusted, and ease of use and variability can be ensured.

그 외에도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2)는 한 쌍의 가압편(22b)로 구성되되, 상기 가압편(22b)은 탄성부재(22c)에 의하여 상호 맞닿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가해져 상기 가압편(22b) 사이에 구비되는 휴대물품(P)을 고정할 수 있다.6A, the accommodating portion 22 is composed of a pair of pressing pieces 22b, and the pressing pieces 22b are applied with a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of mutual abutment by the elastic members 22c, The portable article P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ieces 22b can be fixed.

이때, 상기 가압편(22b)은 힌지 회동하거나 상호 대면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복원력에 의하여 한 쌍의 가압편(22b) 간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그 사이에 구비되는 휴대물품(P)을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ing piece 22b may be rotated in a hinge direction or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essing piece 22b faces to each other, and the pressing force applied between the pair of pressing pieces 22b by the restoring force, Can be fix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물품 거치장치(M)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article placing apparatus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atent claims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arried out by anyone.

M:거치장치 P:휴대물품
10:거치편 11:제1 결합부
11a:클립편 11b:가요성 로드
12:중심부 12a:가요성 바
13:어깨 걸침편 14:연결편
15:연장편 16:관통공
20:거치수단 21:제2 결합부
21a:클립홈 22:수용부
22a:볼 하우징 30:탄성밴드
31:결속구 40:피결속구
PJ:볼 조인트
M: Mounting device P: Carrying article
10: fixing part 11: first coupling part
11a: Clip piece 11b: Flexible rod
12: center 12a: flexible bar
13: shoulder girdle 14: connecting piece
15: extension piece 16: through hole
20: mounting means 21: second coupling portion
21a: Clip groove 22:
22a: ball housing 30: elastic band
31: Binding point 40: Binding point
PJ: Ball joint

Claims (11)

사용자 상체의 뒤를 중심으로 양 단이 어깨에 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측 단부에 제1 결합부(11)가 형성되고, 사용자 상체의 뒤에 위치하는 중심부(12)의 양 단에 사용자의 어깨 전후면을 감싸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어깨 걸침편(13)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중심부(12)와 어깨 걸침편(13)은 외력에 의하여 형상이 소성 변형되는 가요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형상이 가변되며, 상기 중심부(12)와 어깨 걸침편(13) 사이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는 연결편(14)이 형성되고, 상기 어깨 걸침편(13)의 단부에는 일정한 강성을 지니되 사용자의 가슴을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편(15)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면서도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거나 자체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분리될 수 있는 거치편(10);과
상기 제1 결합부(11)에 결합되도록 일측에 제2 결합부(21)가 형성되고, 휴대물품을 구비하기 위한 수용부(22)가 형성된 거치수단(20);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상기 연장편(15)에 클립편(11a)이 측방향으로 형성되어 안정적인 고정력이 확보되고, 상기 제2 결합부(21)는 측방향으로 클립홈(21a)이 형성되어 상기 클립편(11a)이 측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단순히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거치수단(2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A first engaging portion 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ser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11 is formed at an end of the center portion 12 located behind the user's upper body The shoulder hanging piece 13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s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houlder of the user. The center portion 12 and the shoulder hanging piece 13 are flexible, A connecting piece 14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is formed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2 and the shoulder-like foot piece 13, and a connecting piece 14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portion 12 and the shoulder- An elongated member 15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and extending to cover a user's chest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image frame so as to be deformed in shape while maintaining a uniform shape as a whole, Mounting element 10 which can be separated so as to be exposed; and
And a mounting unit (20) having a second engaging part (21)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first engaging part (11) and having a receiving part (22)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 of the mounting piece 10 is formed with a clip piece 11a laterally formed on the extended piece 15 so that a stable fixing force is secured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 is laterally So that the fastening means 2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and a stable fastening force can be ensured by merely inserting the clip pieces 11a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simply inserting the clip pieces 21a into the clip grooves 21a. Carrying article moun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12)는 다방향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가요성 바(12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part (12) is formed as a flexible bar (12a) so that it can be deformed in multiple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12)는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ral portion (12)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편(10)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활동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도록 장력을 가하는 탄성밴드(3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구비되는 피결속구(40)에 상기 탄성밴드(30)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elastic band (30) fixed to the user's body to apply a tension to prevent a flow due to the user's action is formed on the mounting piece (10), and the elastic member (30) And one end of the band (30) is fix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편(10)의 제1 결합부(11)는 가요성 로드(11b)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20)의 제2 결합부(21)가 상기 가요성 로드(11b)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 of the mounting piece 10 is formed such that the flexible rod 11b is protruded forward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1 of the mounting means 20 is fixed to the flexible rod 11b. Is coupled to the end portion of the carrying art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20)의 수용부(22)는 볼 하우징(22a)이 형성되어 휴대물품(P)의 볼 조인트(PJ)가 볼 하우징(22a) 내부에 마찰 결합되되, 외력에 의하여 3차원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물품 거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ortion 22 of the mounting means 20 is formed with a ball housing 22a so that the ball joint PJ of the portable article P is frictionally engaged with the inside of the ball housing 22a,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KR1020170104515A 2017-08-18 2017-08-18 Mounting Means for Portable Goods KR1019677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15A KR101967792B1 (en) 2017-08-18 2017-08-18 Mounting Means for Portable Goo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15A KR101967792B1 (en) 2017-08-18 2017-08-18 Mounting Means for Portable Go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494A KR20190019494A (en) 2019-02-27
KR101967792B1 true KR101967792B1 (en) 2019-04-10

Family

ID=6556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515A KR101967792B1 (en) 2017-08-18 2017-08-18 Mounting Means for Portable Go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79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5317A (en) * 1998-10-05 2000-04-21 Hiroshi Fujita Holder for portable type device or the like
US20040005050A1 (en) 2002-07-02 2004-01-08 Wayne Lewis Hands free personal phone holder
JP2005529661A (en) * 2002-06-14 2005-10-06 メディレース・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Carrier for goods
US20090127309A1 (en) 2007-11-16 2009-05-21 Gregory Jay Wilcox Strap on Mobile Laptop/Clipboard Platform
KR101529021B1 (en) * 2015-01-21 2015-06-15 정민시 Mobile equipment mounting cradle for walk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5317A (en) * 1998-10-05 2000-04-21 Hiroshi Fujita Holder for portable type device or the like
JP2005529661A (en) * 2002-06-14 2005-10-06 メディレース・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Carrier for goods
US20040005050A1 (en) 2002-07-02 2004-01-08 Wayne Lewis Hands free personal phone holder
US20090127309A1 (en) 2007-11-16 2009-05-21 Gregory Jay Wilcox Strap on Mobile Laptop/Clipboard Platform
KR101529021B1 (en) * 2015-01-21 2015-06-15 정민시 Mobile equipment mounting cradle for wal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494A (en)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4288C1 (en) Unit that helps the user to hold the mobile device
US20170112240A1 (en) Necklace for holding smart device
CN104768417B (en) Collating unit with flexible-belt
US20080223889A1 (en) Devices for carrying personal apparatus on a limb
US20140048574A1 (en) Customizable Carri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8522219A5 (en)
KR101264984B1 (en) Separating type backpack
US9737132B2 (en) Movemen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EP2862468A1 (en) Safety pin for fastening accessories
KR101967792B1 (en) Mounting Means for Portable Goods
US8794495B1 (en) Carrier for mobile phone
KR200483465Y1 (en) Belt having multi-function
KR20170053558A (en) awning angle controllable umbrella and its holder
US20130167328A1 (en) Device that prevents glasses from falling out of someone's pocket
CN105636559B (en) Thumb orthoses
KR20170116651A (en) Clip Device for Supporting Wearable Camera
KR102155953B1 (en) Mounting Device with Increased Body Adhesion and Apparel with it
KR101855624B1 (en) Wearable items supporting tool
KR101027897B1 (en) Pin for fixing accessories to clothes
JP5173448B2 (en) Strap with clip
KR20190012011A (en) Mounting Means using Flexible Rod
KR20150000645U (en) Belt fot supporting waist
KR101245949B1 (en) Holder for a handheld
KR101471337B1 (en) Functional bag
KR102443595B1 (en) Device for holding a p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