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747B1 - Tim 정보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Tim 정보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747B1
KR101967747B1 KR1020130013006A KR20130013006A KR101967747B1 KR 101967747 B1 KR101967747 B1 KR 101967747B1 KR 1020130013006 A KR1020130013006 A KR 1020130013006A KR 20130013006 A KR20130013006 A KR 20130013006A KR 101967747 B1 KR101967747 B1 KR 101967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
block
page
bitmap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034A (ko
Inventor
손위평
정양석
주원용
최성현
이정수
최문환
김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PCT/KR2013/0061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65488A1/en
Publication of KR2014005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하향링크 트래픽을 적절하게 배분하여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TIM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를 포함한 DTIM 비컨을 생성하는 단계 및 DTIM 비컨과 DTIM 비컨에 대응되는 DTIM 주기내의 비컨들을 이용하여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가변적 크기를 가지는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하향링크 트래픽을 일정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배분하여 PS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이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비컨프레임은 하나의 TIM 세그먼트만 실어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비컨 프레임의 크기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TIM 정보 송수신 방법{METHOD FOR TRANSCEIVING OF INFORAMTION OF TRAFFIC INDICATION MAP}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비컨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TIM 정보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혹은 Wi-Fi, HIPERLAN, IEEE 802.11 등과 같은 시스템, 이하 무선랜)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는 5 GHz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b는 2.4 GHz에서 직접 시퀀스 방식(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을 적용하여, 11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는 2.4 GHz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4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3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에서는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 MHz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에 6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한편, 무선랜 단말들은 데이터 송수신시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또한, 송수신을 하기 위한 아이들 리스닝(idle listening) 상태에서도 단말은 상당히 많은 전력을 소모 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단말들의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자신이 송신할 때와 자신에게 수신될 프레임(frame)이 있을 때에만 전력을 소모하는 것이 전원절약 면에서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IEEE 802.11 무선랜 표준에서는 단말의 두 가지 파워 상태(power state)를 정의하고 있다. 한 가지는 무선 장치들을 사용하여 송수신을 하기 위해 깨어있는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이고, 또 다른 한 가지는 무선 장치의 동작을 중지하고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는 도즈 상태(doze state)이다.
또한,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와 도즈 상태(doze state)의 변환 방식에 따른 두 가지의 전력 관리 방법으로는 항상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에서 동작하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와,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와 도즈 상태(doze state)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power saving 모드(이하, PS모드)가 있다.
또한, PS모드로 설정된 단말은 주기적으로 깨어나서, 자신에게 전달되어야 할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가 보관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beacon frame)을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비컨 프레임 안에는 전달되어야 할 프레임의 목적지 단말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 한 TIM(Traffic Indication Map, 이하 TIM) IE(Information Element, 이하 IE)가 들어 있고 리스트에 명시된 단말은 Power-Saving Poll(이하, PS Poll) 메시지를 액세스 포인트에 보내어, 자신에게 프레임을 전달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리스트에 명시되지 않은 단말은 다시 도즈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액세스 포인트가 송신하는 비컨 프레임의 전송주기를 알고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단말들은 액세스 포인트와의 시간동기를 맞출 필요가 있다.
비컨 프레임 안에는 비컨 프레임이 전송되는 주기인 비컨 주기(beacon interval)를 수납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수신한 단말들은 비컨 프레임이 전송되는 시간인 TBTT(Target Beacon Transmission Time, 이하 TBTT)를 추측해 낼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PS모드를 지원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 별로 AID(Association ID, 이하 AID)를 할당해 주고 단말들은 비컨 프레임에 들어 있는 TIM IE의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으로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 중 자신이 수신해야 할 프레임의 존재 유무를 알 수 있다.
기존의 무선랜에서 AID할당 범위는 1부터 2007사이 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파셜 버츄얼 비트맵에 있는 2008개의 비트(bit)로 표현할 수 있는 AID범위가 0부터 2007사이이고 AID 0은 그룹 어드레스 프레임(group addressed frame)을 나타내는데 쓰이기 때문에 1부터 2007까지가 단말에 할당해 줄 수 있는 AID값이 되기 때문이다. 즉,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은 총 2007대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날로 늘어나는 무선랜 단말 수와 더욱 다양해 지는 무선랜 환경을 고려해 봤을 때 기존의 방식보다 더 많은 단말들의 접속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IEEE 802.11ah표준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표준화가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는 IEEE 802.11ah표준은 1GHz이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랜을 일컫는데, 주된 응용분야는 Wi-Fi를 이용하는 스마트그리드(smart grid)와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등이다. 현재 진행 중인 이 표준화 과정에서는 센서 단말들의 통신을 목적으로 무선랜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신규 기술들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그 중 주요 이슈로 언급되는 한 부분을 예로 들자면 스마트그리드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기존의 무선랜에 비해서 훨씬 많은 수의 단말들을 지원해 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천 대의 단말들이 하나의 AP에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데, 만일 하나의 TIM IE로 수 천대의 PS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을 표시한다면 비컨 프레임은 엄청난 크기의 파셜 버츄얼 비트맵으로 인하여 길이가 감당하기 힘들 정도로 길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비컨 인터벌에 전송할 수 있는 프레임의 수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비컨 프레임마다 모든 단말들의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의 유무를 실어서 보낼 필요가 없다.
또한, 하나의 TIM IE에 모든 단말들의 AP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 정보를 실어서 보낸다면, 제한된 무선 자원으로 인하여 일부 단말만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나머지 단말들은 비컨 주기 동안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을 받기 위해 계속 깨어 있다가 결국에는 불가피한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프레임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비컨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TIM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이 프레임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 비컨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단말의 TIM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IM 정보 전송 방법은, 페이지, 블록 및 서브 블록으로 구성된 계층적 TIM 구조에서, TIM 전송 대상 페이지를 가변적 크기를 가지는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를 포함한 DTIM 비컨을 생성하는 단계(a) 및 상기 DTIM 비컨과 상기 DTIM 비컨에 대응되는 DTIM 주기내의 비컨들을 이용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가변적 크기를 가지는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단계(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a)의 상기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는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를 지정하는 페이지 인덱스와,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가 분할된 세그먼트들의 숫자와, 상기 세그먼트들 중 첫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첫 번째 블록을 지정하는 옵셋 및 상기 세그먼트들에 포함된 블록들에 대하여 버퍼링된 데이터의 유무와 세그먼트 분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트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비트맵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기 비트맵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응되는 비트맵 부분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가 균등하도록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a)의 상기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는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를 지정하는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와, 상기 세그먼트들 중 첫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첫 번째 블록을 지정하는 옵셋(page offset) 및 상기 세그먼트들에 포함된 블록들에 대하여 버퍼링된 데이터(buffered data)의 유무와 세그먼트 분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트맵(page bitmap)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비트맵은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세그먼트 구분 및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시하는 소정 비트로 구성된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은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없음을 지시하는 제 1 값,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상기 대응되는 블록이 새로운 세그먼트가 시작되는 블록임을 지시하는 제 2 값 및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상기 대응되는 블록이 이전(previous) 세그먼트에 속한 블록임을 지정하는 제 3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비트맵은 각각의 비트가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시하는 제1비트맵과, 상기 제1비트맵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비트 천이(bit transition)에 의해서 세그먼트 분할 정보를 제공하는 제2비트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비트맵을 이용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IM 정보 수신 방법은, 페이지, 블록 및 서브 블록으로 구성된 계층적 TIM 구조에서,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를 가변적 크기로 분할된 세그먼트들로서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를 포함한 DTIM 비컨을 수신하는 단계(a) 및 상기 DTIM 비컨과 상기 DTIM 비컨에 대응되는 DTIM 주기내의 비컨들을 이용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가변적 크기로 분할된 세그먼트들로 수신하는 단계(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a)의 상기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는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를 지정하는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가 분할된 세그먼트들의 숫자(page segment count), 상기 세그먼트들 중 첫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첫 번째 블록을 지정하는 옵셋(page offset) 및 상기 세그먼트들에 포함된 블록들에 대하여 버퍼링된 데이터(buffered data)의 유무와 세그먼트 분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트맵(page bitmap)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비트맵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기 비트맵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응되는 비트맵 부분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가 균등하도록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a)의 상기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는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를 지정하는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와, 상기 세그먼트들 중 첫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첫 번째 블록을 지정하는 옵셋(page offset) 및 상기 세그먼트들에 포함된 블록들에 대하여 버퍼링된 데이터(buffered data)의 유무와 세그먼트 분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트맵(page bitmap)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비트맵은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세그먼트 구분 및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시하는 소정 비트로 구성된 블록 트래픽 지시(block traffic indication)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은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없음을 지시하는 제 1 값,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상기 대응되는 블록이 새로운 세그먼트가 시작되는 블록임을 지시하는 제 2 값 및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상기 대응되는 블록이 이전(previous) 세그먼트에 속한 블록임을 지정하는 제 3 값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비트맵은 각각의 비트가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정하는 제 1 비트맵과, 상기 제 1 비트맵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비트 천이(bit transition)에 의해서 세그먼트 분할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비트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 2 비트맵을 이용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IM 정보 송수신 방법에 따르면,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포함한 DTIM 비컨을 생성하고, 생성된 DTIM과 DTIM 비컨에 대응되는 DTIM 주기내의 비컨들을 이용하여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가변적 크기를 가지는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하향링크 트래픽을 일정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배분하여 PS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이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비컨프레임은 하나의 TIM 세그먼트만 실어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비컨 프레임의 길이도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TIM IE 포맷을 나타낸다.
도 2는 802.11 무선랜표준에서 정의한 PS 모드 동작을 나타낸다.
도 3은 하나의 비컨 주기 동안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을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생기는 단말의 전력 손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IM 세그멘테이션 방식을 적용한 PS 모드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는 계층적인 AID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계층적인 AID 구조를 고려한 TIM 세그멘테이션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Fixed Length TIM 세그멘테이션 방식에 사용될 수 있는 Fixed Length Segmentation Count IE 포맷을 나타낸다.
도 8은 Fixed Length 세그멘테이션의 활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ENV 세그멘테이션 방식에 사용할 수 있는 ENV Segmentation Count IE 포맷을 나타낸다.
도 10은 Fixed Length 세그멘테이션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NV 세그멘테이션의 차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ENV 세그멘테이션을 활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ock TI-based Segment Count IE의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ock TI-based Segment Count IE의 페이지 비트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oggle-based Segment Count IE의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oggle-based Segment Count IE의 페이지 비트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이나믹 세그멘테이션 방식으로 세그먼트를 세그멘테이션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TIM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TIM 정보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스테이션(station,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medium)에 대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를 의미한다. 스테이션(STA)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스테이션(STA)과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액세스 포인트(AP)로 불릴 수 있고,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단말(terminal)로 불릴 수 있다.
단말(terminal)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유닛(unit)을 의미하며, 스테이션(STA)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시버는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STA)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을 의미한다.
액세스 포인트(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node-B), e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TIM IE 포맷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TIM IE는 PS 모드시 필요한 DTIM Count, DTIM Period, Bitmap Control 및 Partial Virtual Bitmap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DTIM Count는 그룹 어드레스 프레임(Group Addressed Frame)을 전송할 때 사용되며, 0부터 DTIM Period-1까지 비컨 프레임(beacon frame) 전송될 때마다 증가되며 순환하는 값이다. 만일 DTIM Count 값이 0이라면, 현재의 TIM IE는 그룹 어드레스 프레임(group addressed frame)이 곧 전송될 것임을 알리는 DTIM이 된다.
DTIM Period는 DTIM들간의 비컨 간격이다. 만일 DTIM Period 값이 3이면, 세 개의 비컨 간격마다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프레임이 전송될 수 있다.
Bitmap Control에서 첫 번째 bit는 AID(Association ID, 이하 AID) 0에 해당되는 bit이며, AID 0은 DTIM에서는 그룹 어드레스 프레임(group addressed frame)의 저장여부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 7 bits는 다음 영역의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에 대한 옵셋(offset)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트래픽-인디케이션 버츄얼 비트맵(Traffic-indication Virtual Bitmap)은 길이가 2008 bits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bit는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전송할 트래픽의 유무를 표시한다. 즉, 단말에 전송할 프레임이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1, 그렇지 않은 경우는 0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에 전송할 프레임이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0, 그렇지 않는 경우는 1과 같이 반대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명세서 전체에서는 편의를 위해 일괄적으로 단말에 전송할 프레임이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1로 표시하기로 한다.
파셜(Partial)은 최대 2008개의 AID(단말)별로 TIM을 지원하기 위해서 251(2008 bits) 옥텟(octets)의 영역이 필요하지만, bitmap control의 7 bits을 사용하여, 0으로 설정되는 bit들을 뛰어 넘어 표시할 수 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
도 2는 802.11 무선랜표준에서 정의한 PS 모드 동작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DTIM interval 값이 3인 상황에서 4대의 단말들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도즈 상태(doze state)를 유지하다가, 비컨 프레임이 전송되는 TBTT에 맞춰서 어웨이크 상태(awake state)로 전환할 수 있다.
비컨 프레임을 수신한 단말들은 TIM IE에 포함된 파셜 버츄얼 비트맵을 보고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 중 자신이 수신해야 할 프레임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 비컨에 포함된 비트맵(bitmap) 정보를 기반으로 AID1을 가진 단말이 AP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PS Poll을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한다. 이에 PS Poll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을 AID1을 가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프레임의 수신이 완료되면 AID1을 가진 단말은 도즈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반면에, 나머지 단말들은 비컨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깨어났다가 파셜 버츄얼 비트맵에 자신에게 해당되는 bit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다시 도즈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음 번 TBTT에서도 단말들은 도즈 상태와 어웨이크 상태 사이를 반복하면서 필요한 시간에 깨어 있다가 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도즈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PS 모드 동작 방식은 단말들이 송수신을 하기 위해 항상 깨어 있는 액티브(active) 모드 동작 방식에 비해 불필요하게 깨어 있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하나의 비컨 주기(beacon interval) 동안 전송할 수 있는 프레임 수에 비해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 수가 훨씬 많은 경우, 해당 비컨 주기 동안 채널 컨텐딩(contending)에서 성공한 일부 단말만이 전송 요청을 할 수 있고, 채널을 획득하지 못한 나머지 단말들은 불필요하게 오랜 시간 동안 깨어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전력 손실 문제는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도 3을 통해 하나의 비컨 주기 동안에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을 다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생길 수 있는 단말의 전력 손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하나의 비컨 주기 동안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을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생기는 단말의 전력 손실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첫 번째 비컨에 포함된 비트맵을 보고 단말들은 자신이 수신해야 할 프레임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비컨에 포함된 파셜 버츄얼 비트맵의 bit가 1로 설정된 단말들은 프레임 전송을 요청하기 위해 PS Poll을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말들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다음 비컨이 전송되기 전까지 모든 단말에게 AP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AID N-1을 가진 단말과 AID N을 가진 단말은 첫 번째 비컨에 실린 비트맵을 보고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해 PS Poll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차례의 채널 컨텐딩에서 실패하게 되면 다음 번 비컨 주기에서 PS Poll을 전송하고 자신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점선 테두리로 표시한 구역은 두 단말이 하나의 비컨 주기 동안 도즈 상태가 아닌, 채널 컨텐딩을 하기 위한 아이들 리스닝(idle listening) 상태를 유지함으로 인하여 생긴 전력 손실을 나타낸다.
만일 두 단말이 미리 두 번째 비컨 주기에서 자신의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면 첫 번째 비컨 주기에서 두 단말은 도즈 상태에서 동작하여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발생한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사용 가능한 무선 자원의 양과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래픽(traffic)의 분산을 고려하여 TIM을 여러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하고 하나의 TIM IE에 하나의 세그먼트에 해당되는 단말들을 포함시킨다.
그 결과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하향링크 트래픽(downlink traffic)을 일정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분산시켜 PS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이 AP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하향링크 프레임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TIM 세그멘테이션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단말들은 각각의 세그먼트에서 커버(cover)하는 AID 범위와 자신이 속해 있는 세그먼트에 해당되는 TIM IE가 전송되는 TBTT에 관한 정보를 사전에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만일, 상기 TBTT에 관한 정보를 알고 있다면 단말들은 자신이 속해 있지 않은 세그먼트를 실은 비컨 프레임은 스킵(skip)할 수 있으므로 TBTT 마다 깨어나는 동작 방식에 비해 더 많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TIM 세그멘테이션 방법은 하나의 TIM IE에 하나의 세그먼트에 해당하는 단말들로 구성된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에 비해 비컨 프레임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IM 세그멘테이션 방식을 적용한 PS 모드 동작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첫 번째 비컨 프레임에 포함된 TIM IE에는 AID 1부터 AID M까지 커버(cover)하는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그 다음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은 AID M+1부터 AID N까지 커버할 수 있는 파셜 버츄얼 비트맵을 포함하고 있다.
즉, 첫 번째 세그먼트에 들어있는 단말은 AID 1부터 AID M까지 이고 두 번째 세그먼트에 들어 있는 단말은 AID M+1부터 AID N까지 이다.
단말들은 미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자신에 해당되는 세그먼트(segment)가 전송되는 TBTT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에 해당되는 TBTT에만 깨어날 수 있다.
도3에서 보여줬던 기존의 PS모드 동작 예시와 비교해 봤을 때 첫 번째 세그먼트에 속해 있는 단말들은 두 번째 TBTT에 깨지 않고 계속해서 도즈 상태(doze state)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에 비해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세그먼트에 속해 있는 단말들은 첫 번째 비컨 주기(beacon interval)동안 도즈 상태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앞에서 제기된 불필요한 아이들 리스닝(idle listening) 상태에서 야기되는 전력 손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IEEE 802.11 ah에서는 다수 단말들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계층적인 AID 구조를 제안하였는 바 도 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계층적인 AID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8대의 단말이 하나의 서브-블록(sub-block)으로 묶여졌고 8개의 서브-블록으로 하나의 블록(block)을 만들 수 있다. 즉, 하나의 블록은 64대의 단말들로 이루어진 그룹(group)이라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32개의 블록으로 만들어진 하나의 페이지(page)는 총 2048대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페이지(page)가 4개이다. 따라서, 도 5의 계층적인 AID 구조는 총 8192대의 단말을 포함하는 AID구조라고 볼 수 있다.
이하, 이러한 AID구조를 고려한 TIM 세그멘테이션 방법에 대해 도 6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계층적인 AID 구조를 고려한 TIM 세그멘테이션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TIM 세그멘테이션의 하나의 실시예로 생각 할 수 있는 페이지 세그멘테이션(page segmentation)에 대한 예시이다. 즉, 페이지를 세그멘테이션하는 단위로 고려했기 때문에 본 예시에서 보여주는 TIM 세그멘테이션을 페이지 세그멘테이션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하나의 페이지를 4개의 세그먼트로 나누어 세그먼트 별로 비컨 프레임에 실어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들은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자신이 속해 있는 세그먼트가 실리는 비컨 프레임에 맞춰서 깨어날 수 있다.
DTIM period는 4이고 세그멘테이션된 페이지의 세그먼트의 수도 4이다. 즉, 네 개의 비컨 주기마다 DTIM을 포함한 비컨이 전송될 수 있고, 한 페이지를 네 개의 세그먼트로 나누어 하나의 DTIM interval동안 전송되는 네 개의 비컨 프레임에 각각 실어서 전송한다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새로 정의 한 Segment Count IE를 모든 단말들이 수신할 수 있는 DTIM 비컨에 실어서 전송하기 위해 하나의 페이지를 DTIM 비컨 주기에 맞춰서 세그멘테이션할 수 있다.
Segment Count IE는 액세스 포인트가 TIM 세그멘테이션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새로 정의된 IE이다.
여기서, IE는 TIM 세그멘테이션 과정에서 각각의 세그먼트가 커버(cover)하는 AID범위와 블록(block)별로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래픽(traffic)의 유무를 표현할 수 있다.
즉, 단말들은 상기 IE를 통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세그먼트가 전송될 시각, 즉 해당 세그먼트를 포함한 비컨 프레임이 전송되는 TBTT에 관한 정보와 자신이 속해 있는 블록(block)에 대한 하향링크 트래픽(downlink traffic)의 유무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말들은 AP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 중 자신이 속해 있는 블록에 대한 하향링크 트래픽이 있을 경우에 해당 비컨 프레임에 맞춰 깨어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하게 깨어날 때 생기는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Fixed Length TIM 세그멘테이션 방식에 사용될 수 있는 Fixed Length Segmentation Count IE 포맷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Fixed Length Segment Count IE는 Segment Count IE를 지칭하는데 쓰이는 Element ID와 IE의 길이를 Byte단위로 나타내는 Length 필드 외에도 Page Index, Format Indication Bits, Page Segment Count, Page Offset, Page Bitmap 등 정보를 담을 수 있고 전체 길이를 Byte 단위로 맞추기 위해서 reserved 2 bits를 추가할 수 있다.
여기서 Page Index는 현재 Segment Count IE에 들어 있는 세그멘테이션 정보가 어느 페이지(page)에 해당되는지를 나타내는데 쓰일 수 있다.
또한, Format Indication Bits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포맷을 가지는 Segment Count IE들을 구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만일, Format Indication Bits를 (0, 0)으로 설정하면 현재 Segment Count IE는 Fixed Length Segment Count IE라고 생각할 수 있다.
Page Segment Count값은 하나의 페이지(page)를 몇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세그멘테이션 했는지 나타내는데 쓰일 수 있다.
Page Offset은 다음 영역의 Page Bitmap을 표시할 때 옵셋(offset)값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의 첫 번째 bit가 표시하는 블록(block)의 인덱스(index)일 수 있다.
Page Bitmap은 블록(block)별로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의 유무를 나타내는데 쓰일 수 있다. 즉, 한 블록(block)이 포함하는 64대의 단말 중,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의 목적지 단말이 있으면 1, 그렇지 않은 경우에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일, 한 페이지(page)에 들어 있는 블록(block)의 수가 32라면 최대 32개 블록(block)들의 TIM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Page Bitmap을 4 옥텟(octets)까지 늘일 수 있다. 반면, 비트맵(bitmap)의 제일 앞부분에 0으로 설정 된 bit들이 있을 경우에, 0으로 설정 된 bit는 뛰어넘어 표시할 수 있으므로 실제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의 길이는 4 옥텟(octets)보다 훨씬 짧을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 옵셋(Page Offset)은 뛰어넘은 bit를 고려한 실제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의 시작점이 되는 블록(block)의 인덱스(index)값을 가질 수 있다.
Fixed Length Segment Count IE는 가장 기본적인 세그멘테이션 방식인 Fixed Length TIM Segmentation 방식에 사용될 수 있다. Fixed Length TIM Segmentation 방식은 하나의 페이지(page)를 똑같은 길이를 가지는 세그먼트(segment)로 나누는 방식이다.
여기서, 길이란 블록(block)의 개수를 말할 수 있다. 즉, 하나의 DTIM Interval동안 전송되는 페이지 세그먼트(Page Segment)들은 똑같은 블록(block) 수를 가지도록 분할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여러 개의 DTIM Interval사이에서는 Page Segment Count값이 다를 수 있고, 따라서 하나의 페이지 세그먼트(page segment)가 가지는 블록(block)의 수도 달라 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세그멘테이션 방식으로 생성된 페이지 세그먼트(page segment)의 길이는 아래의 수학식 1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3010866054-pat00001
이때 페이지 세그먼트(Page Segment)의 시작점과 끝점은 아래 수학식 2와 수학식 3으로 각각 표현 할 수 있다.
Figure 112013010866054-pat00002
Figure 112013010866054-pat00003
하지만, 모든 페이지 세그먼트(Page Segment)가 가지는 블록(Block) 개수가 같다고 하여 매 세그먼트(Segment)에 해당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래픽(traffic)이 균등한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나는 블록(block)의 개수는 같지만 실제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의 목적지 단말을 포함한 블록(block)의 개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에서 1로 설정되어 있는 bit의 개수가 다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블록(block) 단위로 트래픽(traffic)의 유무를 표시하기 때문에 1로 설정된 블록(block)들 사이에서도 실제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래픽(traffic)의 규모는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래픽(traffic)이 적절하게 배분되지 않을 경우, 도 3에서 설명한 단말의 전력손실 문제는 TIM 세그멘테이션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도 8은 Fixed Length 세그멘테이션의 활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의 길이는 3 옥텟(octets)이고 page segment count 값은 4이다. 매 TIM segment에 속해 있는 단말들은 각각 자신의 세그먼트(segment)를 담은 TIM IE가 전송되는 비컨 프레임(beacon frame)을 듣기 위해 해당 TBTT에 깨어날 수 있다.
또한,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의 한 bit는 하나의 블록(block)에 해당되는 TIM 정보를 나타낼 수 있기에 실제 하향링크 트래픽(downlink traffic)의 규모는 블록(block)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똑같은 블록(block) 개수로 페이지(page)를 나누다 보니 실제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래픽(traffic)은 균등하게 배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세그먼트(segment)에 해당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frame) 중 일부 프레임만 해당 비컨 주기(beacon interval) 내에 전송되고, 나머지 부분들은 지연(delay)되어 두 번째 비컨 주기(beacon interval)에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TIM 세그멘테이션을 하지 않았을 때 생기는 단말들의 불필요한 전력손실 문제는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만일 세 번째 비컨 주기(beacon interval)에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을 위한 특별 구역이 미리 할당되어 있을 경우, 세그먼트 3(segment 3)에 속해 있는 일부 단말들은 자신의 프레임(frame)을 전송 받을 때까지 계속 깨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손실이 발생한다.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트래픽(traffic) 분산을 고려하여 TIM 세그먼트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가져갈 수 있도록 하는 TIM 세그멘테이션 방식을 제안한다. 가변적인 TIM 세그멘테이션의 목적은 트래픽(traffic)의 분산을 이루는데 있을 수 있고, 또한 단말의 전력 절감을 달성하는데도 효과 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변적인 TIM 세그멘테이션 방식을 설명함에 있어서 ENV(Equal Number of Value-1, 이하 ENV) 세그멘테이션(ENV Segmentation) 방식과 다이나믹 세그멘테이션(Dynamic Segmentation) 방식을 구체적인 실시예로 들 수 있는 바 이하 구체적인 ENV 세그멘테이션 방식과 다이나믹 세그멘테이션 방식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ENV 분할 방식에 사용할 수 있는 ENV Segmentation Count IE 포맷이고, 도 10은 Fixed Length 분할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NV 분할의 차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도 7의 Fixed Length Segment Count IE와 비교했을 때 Format Indication Bits의 값이 (0, 1)로 설정된 것 외에는 크게 다르지 않다.
Page Index는 Segment Count IE가 담고 있는 정보가 어느 페이지(page)의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 정보인지를 나타내는데 쓰일 수 있다.
Page Segment Count는 하나의 페이지(Page)에 들어있는 세그먼트(segment)의 개수를 말할 수 있다.
Page Offset은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의 첫 번째 bit에 해당되는 블록(block)의 인덱스(index)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Page Bitmap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block) 단위로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래픽(traffic)의 유무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ENV 세그멘테이션 방식에서는 Fixed Length segmentation 방식과는 달리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에 들어있는 1의 개수를 기반으로 세그멘테이션(segmentation)을 할 수 있다. 즉, 적절하게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을 나누어 각각의 TIM 세그먼트에 들어있는 1의 개수를 같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블록(block)마다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래픽(traffic)의 양이 같다면 트래픽(traffic)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Fixed Length Segmentation과 ENV Segmentation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Fixed Length Segmentation에 비해 ENV 세그멘테이션은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을 통해 트래픽(traffic)을 분산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ENV 세그멘테이션을 활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각각의 세그먼트(Segment)는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에 있는 1의 개수를 똑같게 포함하도록 세그멘테이션된다. 즉, 도 9와는 달리 첫 번째 세그먼트(segment)에 할당 되었던 일부 블록(block)들은 두 번째 세그먼트(segment)로 옮겨졌고, 해당 단말들은 첫 번째 비컨(beacon)이 아닌 두 번째 비컨(beacon)이 전송되는 TBTT에 맞춰서 깨어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오랜 시간 동안 기다리면서 생기는 전력 손실은 어느 정도 감소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각 비컨 주기(beacon interval)마다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frame)을 전송하는데 허용되는 무선자원의 양은 다를 수 있고, 각 블록(block) 마다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래픽(traffic) 양도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ENV 세그멘테이션은 여전히 무선 자원을 고려한 적절한 TIM 세그멘테이션 방법이 아닐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로 하여금 무선자원을 고려하여 자유로운 TIM 세그멘테이션 방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세그먼트(segment)에 들어가는 블록(block)의 개수를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는 Segment Count IE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다이나믹 세그멘테이션(Dynamic Segmentation) 방식에 사용될 수 있는 Segment Count IE를 제안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로 Block TI-based Segment Count IE와 Toggle-based Segment Count IE가 있을 수 있지만 그 외에도 하나의 세그먼트(segment)에 들어가는 블록(block)의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TIM 세그멘테이션 방식을 지원하는 포맷을 가진 Segment Count IE는 모두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ock TI-based Segment Count IE의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lock TI-based Segment Count IE의 페이지 비트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Format Indication Bits를 (1,0)으로 설정하여 해당 Segment Count IE는 Block TI-based Segment Count IE라고 지칭할 수 있다.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에서 하나의 블록(block)에 해당되는 TIM 정보는 2 bits으로 된 Block TI로 표시할 수 있으며 설정 된 값에 대응되는 의미는 표 1과 같다.
Figure 112013010866054-pat00004
표 1은 Block TI-based Segment Count IE 에서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 영역에 들어 가는 block TI값이 가지는 의미를 정리한 표이다.
Block TI값이 (0, 0)으로 설정되면 해당 블록(block)은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트래픽(traffic)이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Block TI값이 (0, 1)로 설정되면 해당 블록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 받을 트래픽이 있는 동시에 새로운 TIM segment의 시작점이라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Block TI값이 (1, 0)으로 설정되면 해당 블록(block)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 받을 트래픽(traffic)이 있고 이전에 나와있는 Block TI에 대응되는 블록(block)과 같은 세그먼트(segment)에 속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Block TI값 (1, 1)은 reserved된 값으로 추후에 필요한 부분에 사용 가능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 중 (0, 1)로 설정된 Block TI가 총 4개이므로 해당 페이지(page)는 4개의 TIM segment로 나뉘어 질 수 있다.
나머지 Block TI는 (0, 0)또는 (1, 0)값을 가질 수 있고, 대응되는 의미는 표1에서 정의한 것과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는 새로운 페이지 세그먼트(page segment)를 만들고 싶으면 Block TI값을 (0, 1)로 설정하면 되고 Block TI값을 (0, 0)또는 (1, 0)으로 설정하여 같은 세그먼트(segment)를 이어갈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자원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원하는 대로 TIM 세그멘테이션을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oggle-based Segment Count IE의 포맷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oggle-based Segment Count IE의 페이지 비트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Format Indication Bits를 (1, 1)로 설정하여 해당 Segment Count IE는 Toggle-based Segment Count IE 포맷을 따른다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은 도 7에서 설명한 Fixed Length segment count IE에서 정의한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과 같은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즉, 페이지 비트맵은 해당 블록(block)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달 받을 트래픽(traffic)이 있을 경우 1, 그렇지 않을 경우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영역인 Segmentation Bitmap은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비트맵(bitmap)으로 세그먼트(segment)의 시작점과 끝점에 관한 정보를 담은 비트맵(bitmap)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비트 천이(bit transition)가 일어나는 곳에서 새로운 세그먼트(segment)가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만약 0으로 시작되었다면 그 뒤에 처음으로 1로 설정된 bit에 해당되는 블록(block)이 새로운 세그먼트(segment)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바로 앞에 있는 블록(block)과 같은 값을 가지는 블록(block)은 동일한 세그먼트(segment)의 연속이라고 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Toggle-based Count IE에서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과 Segmentation Bitmap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페이지 비트맵(Page Bitmap)의 bit는 트래픽(traffic)의 유무를 나타내는데 쓰일 수 있고 Segmentation Bitmap의 bit는 각각의 세그먼트(segment)의 시작점과 끝점을 나타내는데 쓰일 수 있다. 도 15에서는 4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나뉘어진 상황을 보여 주고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이나믹 세그멘테이션 방식으로 세그먼트를 세그멘테이션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는 앞에서 설명한 다이나믹 세그멘테이션(Dynamic Segmentation)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Segment Count IE를 사용하여 무선 자원을 고려한 적절한 TIM 세그멘테이션 방식을 적용하였다.
각각의 TIM 세그먼트는 해당 비컨 주기(beacon interval)에서 가용한(available)한 무선자원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세그멘테이션 되었다.
도 8과 도 11에서 설명한 Fixed Length Segmentation과 ENV 세그멘테이션(ENV Segmentation)과는 달리 다이나믹 세그멘테이션(Dynamic Segmentation)에서는 단말들이 자신이 속해 있는 세그먼트(Segment)를 포함한 비컨 프레임(beacon frame)을 수신하기 위해 깨어 났다가 다음 번 비컨 프레임(beacon frame)이 전송되는 TBTT전에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frame)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TIM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는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를 포함한 DTIM 비컨을 생성한다(S1710).
여기서,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는 TIM 전송 대상 페이지를 지정하는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 TIM 전송 대상 페이지가 분할된 세그먼트들의 숫자(page segment count), 세그먼트들 중 첫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첫 번째 블록을 지정하는 옵셋(page offset) 및 상기 세그먼트들에 포함된 블록들에 대하여 버퍼링된 데이터(buffered data)의 유무와 세그먼트 분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트맵(page bitmap)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액세스 포인트는 DTIM 비컨과 DTIM 비컨에 대응되는 DTIM 주기내의 비컨들을 이용하여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가변적 크기를 가지는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한다(S1720).
구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는 비트맵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S1721).
여기서,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기 비트맵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응되는 비트맵 부분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가 균등하도록 분할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비트맵이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세그먼트 구분 및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시하는 소정 비트로 구성된 블록 트래픽 지시(block traffic indication) 요소들을 포함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S1723).
여기서,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은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없음을 지시하는 제 1 값과,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상기 대응되는 블록이 새로운 세그먼트가 시작되는 블록임을 지시하는 제 2 값 및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상기 대응되는 블록이 이전(previous) 세그먼트에 속한 블록임을 지정하는 제 3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비트맵이 각각의 비트가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시하는 제1비트맵과, 상기 제1비트맵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비트 천이(bit transition)에 의해서 세그먼트 분할 정보를 제공하는 제2비트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비트맵을 이용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S1725).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IM 정보 전송 방법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하향링크 트래픽(downlink traffic)을 일정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배분하여 PS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이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하향링크 프레임(downlink frame)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비컨 프레임(beacon frame)의 길이도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TIM 정보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를 포함한 DTIM 비컨을 수신한다(S1810).
여기서,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는 TIM 수신 대상 페이지를 지정하는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 TIM 수신 대상 페이지가 분할된 세그먼트들의 숫자(page segment count), 세그먼트들 중 첫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첫 번째 블록을 지정하는 옵셋(page offset) 및 세그먼트들에 포함된 블록들에 대하여 버퍼링된 데이터(buffered data)의 유무와 세그먼트 분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트맵(page bitmap)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단계 1810을 통해 수신된 DTIM 비컨과 DTIM 비컨에 대응되는 DTIM 주기내의 비컨들을 이용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가변적 크기로 분할된 세그먼트들로 수신한다(S1820).
구체적으로, 단말은 상기 비트맵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수신할 수 있다(S1821).
여기서,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기 비트맵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응되는 비트맵 부분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가 균등하도록 분할될 수 있다.
또는, 비트맵이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세그먼트 구분 및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시하는 소정 비트로 구성된 블록 트래픽 지시(block traffic indication)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단말은 상기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수신할 수 있다(S1823).
여기서,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은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없음을 지시하는 제 1 값,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대응되는 블록이 새로운 세그먼트가 시작되는 블록임을 지시하는 제 2 값 및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상기 대응되는 블록이 이전(previous) 세그먼트에 속한 블록임을 지정하는 제 3 값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비트맵이 각각의 비트가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정하는 제 1 비트맵과, 상기 제 1 비트맵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비트 천이(bit transition)에 의해서 세그먼트 분할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비트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단말은 상기 제 2 비트맵을 이용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수신할 수 있다(S1825).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IM 정보 전송 방법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하향링크 트래픽(downlink traffic)을 일정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배분하여 PS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이 액세스 포인트의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하향링크 프레임(downlink frame)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페이지(page), 블록(block) 및 서브 블록(sub-block)으로 구성된 계층적 TIM(Traffic Indication Map) 구조에서, TIM 전송 대상 페이지를 가변적 크기를 가지는 세그먼트(segment)들로 분할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를 포함한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비컨을 생성하는 단계(a); 및
    상기 DTIM 비컨과 상기 DTIM 비컨에 대응되는 DTIM 주기내의 비컨들을 이용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가변적 크기를 가지는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단계(b)를 포함한 액세스 포인트의 TIM 정보 전송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상기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는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를 지정하는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가 분할된 세그먼트들의 숫자(page segment count);
    상기 세그먼트들 중 첫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첫 번째 블록을 지정하는 옵셋(page offset); 및
    상기 세그먼트들에 포함된 블록들에 대하여 버퍼링된 데이터(buffered data)의 유무와 세그먼트 분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트맵(page bitmap)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TIM 정보 전송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비트맵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TIM 정보 전송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기 비트맵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응되는 비트맵 부분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가 균등하도록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TIM 정보 전송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상기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는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를 지정하는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
    상기 세그먼트들 중 첫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첫 번째 블록을 지정하는 옵셋(page offset); 및
    상기 세그먼트들에 포함된 블록들에 대하여 버퍼링된 데이터(buffered data)의 유무와 세그먼트 분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트맵(page bitmap)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TIM 정보 전송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비트맵은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세그먼트 구분 및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시하는 소정 비트로 구성된 블록 트래픽 지시(block traffic indication)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TIM 정보 전송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은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없음을 지시하는 제 1 값;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상기 대응되는 블록이 새로운 세그먼트가 시작되는 블록임을 지시하는 제 2 값; 및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상기 대응되는 블록이 이전(previous) 세그먼트에 속한 블록임을 지정하는 제 3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TIM 정보 전송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비트맵은 각각의 비트가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시하는 제1비트맵과, 상기 제1비트맵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비트 천이(bit transition)에 의해서 세그먼트 분할 정보를 제공하는 제2비트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2비트맵을 이용하여 상기 TIM 전송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TIM 정보 전송 방법.
  9. 페이지(page), 블록(block) 및 서브 블록(sub-block)으로 구성된 계층적 TIM(Traffic Indication Map) 구조에서,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를 가변적 크기로 분할된 세그먼트(segment)들로서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를 포함한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비컨을 수신하는 단계(a); 및
    상기 DTIM 비컨과 상기 DTIM 비컨에 대응되는 DTIM 주기내의 비컨들을 이용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가변적 크기로 분할된 세그먼트들로 수신하는 단계(b)를 포함한 단말의 TIM 정보 수신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상기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는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를 지정하는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가 분할된 세그먼트들의 숫자(page segment count);
    상기 세그먼트들 중 첫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첫 번째 블록을 지정하는 옵셋(page offset); 및
    상기 세그먼트들에 포함된 블록들에 대하여 버퍼링된 데이터(buffered data)의 유무와 세그먼트 분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트맵(page bitmap)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TIM 정보 수신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비트맵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TIM 정보 수신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은 상기 비트맵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응되는 비트맵 부분에 포함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는 블록의 개수가 균등하도록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TIM 정보 수신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계(a)의 상기 세그멘테이션 정보 요소는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를 지정하는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
    상기 세그먼트들 중 첫 번째 세그먼트에 포함되는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첫 번째 블록을 지정하는 옵셋(page offset); 및
    상기 세그먼트들에 포함된 블록들에 대하여 버퍼링된 데이터(buffered data)의 유무와 세그먼트 분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비트맵(page bitmap)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TIM 정보 수신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비트맵은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세그먼트 구분 및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시하는 소정 비트로 구성된 블록 트래픽 지시(block traffic indication) 요소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TIM 정보 수신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블록 트래픽 지시 요소들은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없음을 지시하는 제 1 값;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상기 대응되는 블록이 새로운 세그먼트가 시작되는 블록임을 지시하는 제 2 값; 및
    상기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가 있고, 상기 대응되는 블록이 이전(previous) 세그먼트에 속한 블록임을 지정하는 제 3 값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TIM 정보 수신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상기 비트맵은 각각의 비트가 대응되는 블록에 대한 버퍼링된 데이터 유무를 지정하는 제 1 비트맵과, 상기 제 1 비트맵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비트 천이(bit transition)에 의해서 세그먼트 분할 정보를 제공하는 제 2 비트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제 2 비트맵을 이용하여 상기 TIM 수신 대상 페이지의 TIM 정보들을 세그먼트들로 분할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TIM 정보 수신 방법.
KR1020130013006A 2012-10-22 2013-02-05 Tim 정보 송수신 방법 KR101967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6106 WO2014065488A1 (en) 2012-10-22 2013-07-09 Method for transceiving information of traffic indication m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041 2012-10-22
KR20120117041 2012-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34A KR20140051034A (ko) 2014-04-30
KR101967747B1 true KR101967747B1 (ko) 2019-04-10

Family

ID=5065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006A KR101967747B1 (ko) 2012-10-22 2013-02-05 Tim 정보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4252B2 (en) * 2013-12-20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Traffic indication map information element indicator for TIM segmentation
US10757652B2 (en) * 2017-12-15 2020-08-25 Silicon Laboratories Inc. Wireless receiver with field capture for beacon fram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6646A1 (en) 2008-05-02 200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and system therefor
US20100315983A1 (en) 2009-06-12 2010-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wlan module in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6646A1 (en) 2008-05-02 200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and system therefor
US20100315983A1 (en) 2009-06-12 2010-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of wlan module in portable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ttabrata Ghosh et al., TIM and Page Segmentation, doc.: IEEE 802.11-12/1084r4. 2012.09.19.
Minyoung Park et al., TGah Efficient TIM Encoding, doc.:IEEE 802.11-12/388r2, 2012.05.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34A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0341B (zh) 用於支援副通道操作的機制
US10674537B2 (en) Method of access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10196242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US90603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data in a wireless LAN system
KR102136811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숨겨진 노드 문제의 완화 방법
US201302299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 synchronized channel access with tim segmentation
US10595196B2 (en)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US20140192694A1 (en) Triggering downlink traffic with timing indication
US20130223306A1 (en) Buffered Frames Indication Enhancement To Enable Power Savings
US201600809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ffic in wlan system
KR101967747B1 (ko) Tim 정보 송수신 방법
EP3355487B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encoded traffic indication map information
KR20140009040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수동 검색 방법
EP3254505B1 (en) Traffic indication map association mechanism for low-energy devices
KR20140005789A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20150007255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