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817B1 -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817B1
KR101965817B1 KR1020170111901A KR20170111901A KR101965817B1 KR 101965817 B1 KR101965817 B1 KR 101965817B1 KR 1020170111901 A KR1020170111901 A KR 1020170111901A KR 20170111901 A KR20170111901 A KR 20170111901A KR 101965817 B1 KR101965817 B1 KR 101965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ar panel
drone
unit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351A (ko
Inventor
김성찬
한창세
임인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식회사 에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식회사 에스알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1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8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B64C2201/12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인원 상주나 수도시설 구축이 원활치 않은 격오지 등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운용함에 있어 패널 온도 상승으로 인한 발전 효율저하 시 드론을 활용하여 인근의 수원에서 취수한 물을 통해 태양광 패널을 냉각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 {SOLAR PANEL COOLING SYSTEM USING DRONE}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 냉각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관리인원 상주나 수도시설 구축이 원활치 않은 격오지 등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운용함에 있어 패널 온도 상승으로 인한 발전 효율저하 시 드론을 활용하여 인근의 수원에서 취수한 물을 통해 태양광 패널을 냉각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키는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석 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 등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면서 신재생에너지의 활발한 보급 확대 정책과 설비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태양전지 패널을 이용한 발전 기술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태양광 패널에 사용되는 태양전지는 태양광 에너지 일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게 되며 이외의 태양열 에너지는 태양전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태양광 패널의 온도상승은 태양전지의 발전 효율 저하로 이어지게 되며, 특히 일사량이 많은 여름철 발전효율을 크게 떨어뜨리게 되므로 이를 적절한 온도로 냉각시켜 발전효율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태양광 패널의 표면에 냉각수를 뿌려 표면온도를 낮추도록 냉각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상수도와 같이 물 공급이 원활한 장소에 태양광 발전소가 위치해야 한다는 점과 스프링클러와 같이 패널 상에 물을 고르게 분사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어야 함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태양광 패널에 분사된 물은 자연증발 등으로 재사용률이 현저히 낮은 상황에서 특히 태양광 발전소가 관계시설로부터 떨어진 산이나 들과 같은 곳에 장소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는 상수도를 통한 물 공급이 원활치 않아 이러한 냉각방식을 적용할 수 없는 상황이다.
물론 이외에도 태양광 패널을 냉각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지만 패널 온도 상승시 즉각적인 냉각작업이 불가능하며 태양광 패널의 설치 환경과 규모에 따라 별도의 냉각수단 구성에 따른 비용과 유지보수를 위한 인력이 소모되고, 대부분의 태양광 발전소가 격오지 환경에서 상주인력 없이 원격 운용된다는 점에서 이를 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2088호 (2015.1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패널 온도 상승으로 인한 발전 효율저하를 감지하여 프로그래밍이 된 경로로 드론을 제어하여 인근의 수원에서 취수한 물을 태양광 패널에 분사하여 냉각시키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되는 무선제어신호를 통해 동작제어되는 드론; 상기 드론에 장착되어 물을 수용하되, 수원(水源)으로부터 물을 취수하는 취수수단과,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한 수용부; 태양광 패널의 온도 상승을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부의 측정 결과에 따라 지정된 경로 및 절차로 상기 드론을 제어하되, 상기 드론을 수원으로 이동시켜 취수 후 상기 태양광 패널 상측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제어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수의 태양광 패널의 설정된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를 통해 드론의 경로 및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로프를 통해 상기 드론 하측에 결합된 주머니 또는 버킷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수단은 전자방식으로 개폐되는 배출밸브 및 배출되는 물을 분산시키는 분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드론 하측에 결합된 탱크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취수수단은 흡입관 및 펌프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수단은 전자방식으로 개폐되는 배출밸브 및 배출되는 물을 분산시키는 분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관리인원 상주나 수도시설 구축이 원활치 않은 격오지 등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운용함에 있어 패널 온도 상승으로 인한 발전 효율 저하시 즉각적인 냉각을 통해 효율적인 전력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태양광 패널의 온도에 따라 드론이 인근의 수원에서 물을 취수하여 태양광 패널 상측에서 분사하는 동작이 프로그래밍을 통해 자동화됨으로 별도의 관리 인력과 냉각을 위한 급수배관 및 스프링클러 등의 설치 없이도 장소에 구애 없는 효과적인 냉각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용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태양광 패널(110)을 운용하는 태양광 발전소에 적용되어 패널의 표면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여 발전효율 저하시 냉각을 하게 되며, 이 역할을 위해 수신되는 무선제어신호를 통해 동작제어되는 드론(120)을 필수 구성으로 구비한다.
태양광 패널(110)은 일반적으로 태양광선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서 상용의 다양한 태양광 패널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발명의 취지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1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치장소의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물 공급이나 관련 인프라 구축의 용이성과 함께 운용에 따른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종래의 방식으로 패널 냉각이 용이치 않은 장소에 구축된 태양광 발전소 등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드론(120)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로서, 현재 다양한 규격의 드론이 개발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발전소 인근의 수원으로 이동하여 취수 후 다시 복귀하여 태양광 패널 상측을 이동하며 물을 뿌릴 수 있는 적절한 규격의 드론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론(120)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30)가 장착되어 태양광 패널(110) 냉각에 사용될 물을 수용 및 운반할 수 있되, 상기 수용부(130)에는 수원(水源)으로부터 물을 취수하는 취수수단(131)과,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134)이 구비되어 원활한 물의 취수와 냉각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용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서는 2가지 타입으로 수용부(130)를 구성하는 것을 실시예로 제시한다.
먼저, 도 3(a)와 같이 상기 수용부(130)는 상기 드론(120) 하측에 결합된 탱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현재 시판되고 있는 농약살포용 드론(120)과 유사한 구조로서 일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경량재질의 탱크형태로 수용부(130)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구비되는 상기 취수수단(131)은 흡입관(132) 및 펌프(133)로 구성되어, 드론(120)이 인근의 하천, 연못, 호수, 저수지 등의 수원으로 이동 후 상기 흡입관(132) 및 펌프(133)를 통해 물을 흡입하여 수용부(130)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 3(b)와 같이 상기 수용부(130)는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로프를 통해 상기 드론(120) 하측에 결합된 주머니 또는 버킷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소방헬기에 사용되는 물 주머니 또는 수용체와 유사한 구조로, 이 경우 상기 취수수단(131)은 흡입관(132) 및 펌프(133)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드론(120)이 주머니나 버킷 형태의 수용부(130)를 장착한 상태에서 수원 상측으로 저고도 비행을 하며 물을 떠내는 방식으로 물을 수용부(130)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130)가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든지 상기 배출수단(134)은 전자방식으로 개폐되는 배출밸브(135) 및 배출되는 물을 분산시키는 분산부(13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드론(120)이 태양광 패널(11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론(120)의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배출밸브(135)를 개방하여 태양광 패널(110) 상측으로 물을 배출하되 회전노즐이나 스프링클러와 같은 구조의 분산부(136)를 통해 태양광 패널(110) 전체에 걸쳐 고른 물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는 배출수단(134)의 대표적인 실시예로 상기 수용부(130) 하측에 전자방식으로 개폐되는 배출밸브(135)를 구비하여 드론(120)으로부터 전달되는 개방신호를 통해 배출밸브(135)가 개방되며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산부(136)는 상기 배출밸브(135) 개방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방향과 수직을 이루되 중앙에 상기 배출밸브(135) 측을 향해 원뿔모양의 돌기가 형성된 충돌판 형태로 이루어져 배출되는 물을 분쇄하며 측면으로 분산시키게 되며, 상기 충돌판 하측으로 소형의 모터를 설치함으로 충돌판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줌으로 충돌되는 물의 고른 분산을 촉진하도록 분산부(136)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드론(120)이 취수 및 냉각작업을 위해 태양광 패널(110)의 온도 상승을 판단하는 판단부(140)가 구비된다. 기본적으로 판단부(140)는 상기 태양광 패널(110)의 표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표면온도 상승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생산전력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과 연계하여 하절기 양호한 기상 상태에도 주간 발전량 저하시 태양광 패널(110)의 온도상승 상황으로 판단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판단부(14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지정된 경로 및 절차로 상기 드론을 제어하는 제어부(160)가 구비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프로그램된 절차에 따라 드론(120)을 제어하게 되며, 냉각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기본적으로 드론(120)이 충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드론(120)의 충전은 전원 커넥터 연결방식이 아닌 무선충전방식으로서 1차 코일이 구성되는 무선 충전스테이션(170)과 더불어 드론 측에서 1차 코일로부터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원을 발생하는 2차 코일 및 2차 코일에 발생한 전원을 배터리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여 인가하는 정류부가 구비된다. 배터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드론의 비행시간이 연장될 수 있으나 현재 드론의 비행시간이 10 ~ 20분임을 감안하여 필요에 따라 2세트 이상의 배터리를 드론에 탑재하여 물 수송에 따른 비행시간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무선충전 방식은 이미 상용화되고 있어 당업자라면 어렵지 않게 구성할 수 있는 부분으로 발명의 취지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드론(120)이 상시 충전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판단부(140)를 통해 태양광 패널(110) 냉각이 필요함을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드론(120)을 수원으로 이동시켜 취수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수원의 좌표와 더불어 취수를 위한 기동을 미리 프로그래밍하여 취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탱크 형태의 수용부(130)가 구비될 경우 흡입관(132)이 물에 잠기도록 구동한 상태에서 펌프(133)를 동작시켜 물을 흡입하게 되며, 주머니나 버킷 형태의 수용부(130)의 경우 물을 퍼 담는 형태로 드론(120)을 기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30)에 물이 수용됨에 따라 드론에 인가되는 중량을 통해 원활히 취수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여 정확하게 취수가 이루어지도록 반복하는 알고리즘의 적용도 가능하다.
이후 프로그램에 의해 취수 한 드론(120)은 상기 태양광 패널(110) 상측으로 이동하여 설정된 경로를 이동하며 상기 배출수단(134)을 개방하여 물을 배출하게 된다.
이때 태양광 발전소의 규모가 커 다수의 태양광 패널(110)을 운용시 드론(120)의 이동경로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하며 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태양광 패널(110) 사이의 설정된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120)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15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센서부(150)의 드론 위치 감지결과를 통해 드론(120)의 경로 및 높이를 정밀하게 조정하며 정확한 경로와 높이로 비행하여 냉각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태양광 패널 120: 드론
130: 수용부 131: 취수수단
132: 흡입관 133: 흡입펌프
134: 배출수단 135: 배출밸브
136: 분산부 140: 판단부
150: 센서부 160: 제어부
170: 충전스테이션

Claims (4)

  1. 태양광 패널(110) 냉각시스템에 있어서,
    수신되는 무선제어신호를 통해 동작제어되는 드론(120);
    상기 드론(120) 하측에 결합된 탱크 형태로 장착되어 물을 수용하되, 흡입관(132) 및 펌프(133)로 구성되어 수원(水源)으로부터 물을 취수하는 취수수단(131)과, 전자방식으로 개폐되는 배출밸브(135) 및 배출되는 물을 분산시키는 분산부(136)로 이루어져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수단(134)을 구비한 수용부(130);
    태양광 패널(110)의 온도 상승을 판단하는 판단부(140);
    다수의 태양광 패널(110) 사이의 설정된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드론(120)을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부(150);
    상기 판단부(140)의 측정 결과에 따라 지정된 경로 및 절차로 상기 드론(120)을 제어하되, 상기 센서부(150)의 감지결과를 통해 드론(120)의 경로 및 높이를 조정하고, 상기 드론(120)을 수원으로 이동시켜 취수 후 상기 태양광 패널(110) 상측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제어하는 제어부(160); 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산부(136)는 상기 배출밸브(135) 개방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방향과 수직을 이루되 중앙에 상기 배출밸브(135) 측을 향해 원뿔모양의 돌기가 형성된 충돌판으로 이루어져 배출되는 물을 분쇄하며 측면으로 분산시키며, 상기 충돌판 하측으로 소형의 모터를 설치하여 충돌판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11901A 2017-09-01 2017-09-01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 KR101965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901A KR101965817B1 (ko) 2017-09-01 2017-09-01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901A KR101965817B1 (ko) 2017-09-01 2017-09-01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351A KR20190025351A (ko) 2019-03-11
KR101965817B1 true KR101965817B1 (ko) 2019-04-05

Family

ID=6575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901A KR101965817B1 (ko) 2017-09-01 2017-09-01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8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503A (ko) 2019-11-14 2021-05-24 (주)비에이에너지 Pcm시트가 부착된 태양광 패널
KR20210058499A (ko) 2019-11-14 2021-05-24 (주)비에이에너지 방열도료가 도포된 태양광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8313A1 (it) * 2021-11-08 2023-05-08 Inspire S R L Sistema di gestione di flotte di droni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397B1 (ko) * 2012-11-13 2014-05-2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태양광 패널 관리용 무인 비행 로봇
ES2476515B1 (es) 2013-01-11 2015-03-13 De Cordoba Sanz Fernando Fernandez Sistema y procedimiento de refrigeración para paneles solares fotovoltaicos
KR20150118212A (ko) * 2014-04-11 2015-10-22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태양광 발전설비의 세척 및 냉각장치
US10131429B2 (en) * 2015-11-02 2018-11-20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s of autonomously picking up water in support of fire fighting miss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503A (ko) 2019-11-14 2021-05-24 (주)비에이에너지 Pcm시트가 부착된 태양광 패널
KR20210058499A (ko) 2019-11-14 2021-05-24 (주)비에이에너지 방열도료가 도포된 태양광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351A (ko)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817B1 (ko)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패널 냉각시스템
JP2021513482A (ja) 無人機用の改良された充電を備えた着陸プラットフォーム
US20120235410A1 (en) Lighter than air wind and solar energy conversion system
CN101964603B (zh) 车载复合供电的方法、控制装置及系统
KR101776573B1 (ko) 발전 효율이 증대된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장치
CN106759197A (zh) 水面垃圾清理机
CN106385228B (zh) 一种方位角自动跟踪水面浮动光伏阵列
CN103348898A (zh) 一种太阳能抽水灌溉系统
CN109139366A (zh) 风电场的控制系统
KR20160135127A (ko) 태양광 추적식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추적 방법
KR20150132088A (ko) 태양광 전지 패널을 위한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101965812B1 (ko) 태양광 패널 냉각 시스템
CN103825533A (zh) 一种通信设备的供电及散热装置
CN109699556A (zh) 一种风光互补式自动投饵系统
KR101298633B1 (ko) 수상 플로트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2307511B1 (ko)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
CN109956048B (zh) 一种应用于海上风力发电设备的无人机停靠系统
CN104040878A (zh) 悬浮式太阳能发电系统
CN104808524A (zh) 一种作物干热风环境模拟与监控装置
CN206101305U (zh) 一种鱼塘诱虫灯
CN204595484U (zh) 一种作物干热风环境模拟与监控装置
CN210202650U (zh) 一种降温节水型菌草栽培温室大棚
CN208257769U (zh) 应用于干热地区太阳能光伏产品的控温保温装置
CN205884228U (zh) 一种园林湿度控制型喷水装置
WO2012018154A1 (ko) 추적식 태양광 발전설비의 효율향상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