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738B1 -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738B1
KR101965738B1 KR1020120001668A KR20120001668A KR101965738B1 KR 101965738 B1 KR101965738 B1 KR 101965738B1 KR 1020120001668 A KR1020120001668 A KR 1020120001668A KR 20120001668 A KR20120001668 A KR 20120001668A KR 101965738 B1 KR101965738 B1 KR 101965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door unit
unit
indoor
power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704A (ko
Inventor
이응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7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24F11/47Responding to energy c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가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복수의 실내기들의 용량,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별 전력비중치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각 실내기로 분배되는 전력분배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각 실내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합리적인 요금 산출이 가능하고, 요금이 잘못 부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AIR CONDITIONER SYSTEM, POWER DISTRIBUTION METHOD FOR THE SAME, AND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의 전력분배방법과, 전력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각 실내기들에 대한 전력분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의 전력분배방법과, 전력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시스템은 냉방, 난방, 공기정화를 위해 구비되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최근에는 설치 자원을 절약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 층 또는 한 건물에서 실외기 한 대와 상기 실외기를 공유하는 복수개의 실내기로 구성되어 제어되는 멀티형 공기조화시스템이 많이 보급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멀티형 공기조화시스템은 상기 각 실내기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하여 전력분배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시스템에서의 전력분배과정은 각 실내기의 구체적인 운전정보를 반영하지 않거나 부정확한 운전정보에 근거하여 각 실내기로 분배되는 전력분배량을 산출하므로, 각 실내기로 분배되는 전력분배량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나아가 이로 인해 각 실내기별전력 사용에 대한 정확한 요금 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실내기들에 대한 전력분배량을 각 실내기의 용량, 운전여부, 및 풍량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전력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와; 상기 복수의 실내기와 연결되어,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공급될 각 전력분배량을 표시하는 전력분배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는, 실내기의 용량,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는,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비례하는 값을 합산하고 이를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값과 승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상기 산출된 전력비중치를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에 대한 전력비중치의 총합으로 나누고, 이를 상기 실외기의 총 소비전력량과 승산하여 얻어진 값을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실외기의 총 소비전력량을 측정하고, 하나 이상의 통신선을 통해 상기 측정된 총 소비전력량을 상기 전력분배기로 전송하는 전력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상기 전력분배량을 사용하여 순시전력, 누적전력, 및 대기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매분마다 산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분배기와 통신하여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분배량을 검침하는 원격검침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기 및 원격검침기는 RS-485 통신규격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는,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최대 80으로 하고, 상기 풍량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최대 20으로 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전력분배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방법으로서, 상기 실내기의 용량,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들을 사용하여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연산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비중치를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의 총합으로 나누고, 이를 총 소비전력량과 승산하여서 상기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전력분배량에 따라 각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전력분배방법은, 상기 산출된 전력분배량을 사용하여 순시전력, 누적전력, 및 대기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비중치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비례하는 값을 합산하고 이를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값과 승산하여 상기 전력비중치를 연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하는 단계 이후의 잉여 전력은 다음 총 소비전력량에 합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는, 복수의 실내기에 분배할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전력분배로직에 따라,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에 비례하는 전력을 분배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로직은, 실내기의 용량,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연산하고 상기 전력비중치에 비례하는 전력분배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분배로직은,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비례하는 값을 합산하고 이를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값과 승산하여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를 연산하고, 상기 전력비중치를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에 대한 전력비중치의 총합으로 나누고, 이를 실외기의 총 소비전력량과 승산하여 얻어진 값을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분배량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하나 이상의 통신선을 통해서 서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총 소비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기와 RS-485 통신규격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하나 이상의 키를 구비하여, 연결된 장치에 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에 분배되는 각 전력분배량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각 전력분배량을 사용하여 산출되는 순시전력, 누적전력, 및 대기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될 텍스트를 4행의 형식으로 표시하는 LCD화면과 연결된 장치와의 통신상태를 표시하는 LED화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는, 복수의 실내기들의 용량,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별 전력비중치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각 실내기로 분배되는 전력분배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내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합리적인 요금 산출이 가능하고, 요금이 잘못 부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일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전력측정기와 연동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의 인터페이스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의 입력부 및 표시부의 구성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에서 연결된 장치에 관한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화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의 LED수단을 통해, 연결된 다른 장치와의 통신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 및 전력측정기 간의 데이터 통신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13은 도 12의 데이터 통신에 따라 순시전력을 구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14a 내지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의 예시 통신 프로토콜을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전력분배방법의 예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 및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0)와 복수의 실내기(200), 전력측정기(300), 및 전력분배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100)와 통신한다. 또,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와 실외기(100) 각각은 운전동작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선과 연결된다.
상기 전력측정기(300)는 상기 실외기(100)의 총 소비전력량을 측정한다. 또, 상기 전력측정기(300)는 하나 이상의 통신선을 통해, 측정된 총 소비전력량을 상기 전력분배기(400)로 전송한다.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수신된 상기 총 소비전력량 값을 이용하여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측정기(300)는 연결된 전력분배기(400)로부터 전력량 값의 전송을 요청받아 그에 대응하는 전력량을 전송한다.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전원이 인가된 이후의 누적전력량보다 상기 수신된 전력량이 더 큰 경우에만 올바른 입력으로 판단하여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2는 상기 전력분배기(400)와 전력측정기(300) 간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전력측정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연결된 전력측정기를 초기화하여, 1분전 수신전력을 0으로 설정한다(S100). 한편, 연결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경우에는 1분전 수신전력이 상수 값인지 판단한다(S200). 판단 결과, 1분전 수신전력값이 0이 아니면 연결된 전력측정기(300)로부터 소비전력량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S300), 대응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올바른 입력인지, 예를 들어 주소, 체크섬 등의 확인과정을 거친다(S400). 수신된 데이터가 올바른 입력으로 판단되고 현재 수신전력 값이 1분전 수신전력 값보다 크면(S600), 그 차이만큼을 순시전력으로 처리한다(S700). 여기서 순시전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량에 근거하여 해당 실내기의 1분간 소비전력을 예측한 전력값이다. 또, 단계(S400)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올바른 입력이 아니거나 또는 단계(600)에서 현재 수신전력 값이 1분전 수신전력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수신된 데이터를 무시한다.
한편, 단계(S200)에서 1분전 수신전력이 0이면, 상기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연결된 전력측정기(300)로부터 소비전력량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S300), 대응하는 데이터가 수신되면 올바른 입력인지를 확인한다(S400).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가 올바른 입력이면 현재 수신된 데이터를 1분전 수신전력으로 설정한다(500). 만일 단계(S400)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올바튼 입력이 아니면 단계(S200)으로 복귀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연결된 전력측정기(300)를 교체할 때는 반드시 전원을 오프(off)한 다음에 온(on)상태로 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도 13은 상기 기술한 전력측정기(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전력분배기(400)에서 처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분배기(400)와 연결된 전력측정기(300)는 RS-485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전력측정기(400)의 전원이 인가된 후 매분이 경과할때마다 1kW, 5kW, 10kW를 차례로 수신하였다.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상기 기술한 순시전력 도출과정에 따라 1분전 수신전력보다 큰 전력값의 데이터만을 처리한다. 그리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4kW와 5kW를 각 실내기에 분배한다. 이때 전력측정기(300)가 교체되면 전원이 오프(off)되었다가 다시 온(on) 상태가 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순시전력값도 초기화된다.
또, 상기 전력측정기(300)는 펄스(Pulse)타입의 전력측정기와 RS-485타입의 전력측정기가 모두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분배기(400)와 연결된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을 구별하기 위해 이를 상기 전력분배기(400)에 설정한다.
또, 상기 전력측정기(300)는 하나의 전력분배기(400)에 최대 8대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된 복수의 전력측정기(300)는 모두 펄스(Pulse)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전력측정기(300)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예시가 도 3에 도시된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전력측정기(300)와 연동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실내기(200)는 실외기(100)와 연결되고, 상기 실내기들(200)은 전력분배기(400)와 연결된다. 또, 상기 전력분배기(300)는 펄스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전력측정기(300)와 연결되는데,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전력분배기(400)에 하나의 전력측정기(300)가 연결되거나 또는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전력분배기(400)에 최대 8개의 전력측정기(300)가 연결될 수 있다. 펄스(Pulse) 통신 타입인 다수의 전력측정기(300)가 하나의 전력분배기(400)에 연결되어 통신하기 위해, 도 3의 공기조화시스템은 RS-485 통신규격을 사용하여 상기 전력분배기(400) 및 전력측정기들(300)과 통신하는 원격검침기(500), 예를 들어 ACP, 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복수의 실내기(200)와 연결되어,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연결된 복수의 실내기들(200)로부터 실내기 용량, 운전모드, 풍량 정보 등과 같은 사용조건 정보를 수신한다. 또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에 공급될 각 전력분배량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는, 실내기의 용량,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를 사용하여 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는,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비례하는 값을 합산하고 이를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값과 승산하여 산출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는,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최대 80으로 하고, 상기 풍량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최대 20으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비중치를 산출하는 분해능(Resolution)은 예를 들어 매분(1분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정보에 대응하는 값은 실내기가 운전 중(즉, comp가 운전중)이면 그 값을 '80'으로 하고, 실내기가 정지 중(즉, comp가 정지중)이면 그 값을 '0'으로 한다.
풍량 정보에 대응하는 값은 다음과 같이 미리설정할 수 있다. 즉, 실내기의 풍량이 약풍이면 그 값을 '8'로 하고, 중풍이면 그 값을 '12'로 한다. 또, 실내기의 풍량이 강풍이면 그 값을 '16'로 하고, 초강풍이면 그 값을 '20'으로 한다(이에 한정되지 않음). 다만, 실내기가 풍량 정보가 없는 타입(예, Hydrokit)인 경우에는 상기 풍량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20'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는, 이하의 수학식 1과 같이, 실내기의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비례하는 값을 합산하고 이를 실내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값과 승산하여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1>
실내기의 전력비중치 = 용량(BTU) * (실내기 운전여부 + 실내기 풍량)
예를 들어, 4대의 실내기가 설치되고, 각 실내기의 용량(BTU)정보, 운전여부 정보, 및 풍량정보 등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하자.
실내기1: 10BTU, 컴프운전, 실내기풍량 중풍, 400(전자변개도, EEV)
실내기2: 12BTU, 컴프운전, 실내기풍량 중풍, 300(전자변개도, EEV)
실내기3: 30BTU, 컴프운전, 실내기풍량 약풍, 200(전자변개도, EEV)
실내기4: 30BTU, 컴프정지, 실내기풍량 약풍, 0(전자변개도, EEV)
상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실내기1~4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산출하면 다음과 같다.
실내기1의 전력비중치 = 10 * (80 + 12) = 920
실내기2의 전력비중치 = 12 * (80 + 12) = 1104
실내기3의 전력비중치 = 30 * (80 + 8) = 2640
실내기4의 전력비중치 = 30 * ( 0 + 8) = 240
여기서, 주의할 점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실내기의 전자변개도(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 정보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전자변개도(EEV)는, 각 실내기에 유입되는 냉매 사용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밸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변개도(EEV)는 인가되는 펄스(pulse)를 증감하는 방법으로 그 개도를 조절한다. 즉, 인가되는 펄스가 증가하면 그 개도도 커져서 많은 양의 냉매를 감압하여 통과시키고, 인가되는 펄스가 감소하면 그 개도도 작아져서 적은 양의 냉매를 감압하여 통과시킨다. 이러한 전자변개도 정보는 실내기의 설치 위치에 따라 동일한 능력이라도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의 기초가 되는 전력비중치를 보다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 각 실내기의 전자변개도(EEV) 정보는 사용하지 않기로 한다.
또, 상기 전력분배기는(400)는, 상기 산출된 전력비중치를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에 대한 전력비중치의 총합으로 나누고, 이를 상기 실외기의 총 소비전력량과 승산하여 얻어진 값을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으로 표시한다. 즉,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은 이하의 수학식2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2>
실내기의 전력분배량 = 총 소비전력량 *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모든 실내기의 전력비중치 총합)
1분간의 총 소비전력량이 500W인 경우, 상기 수학식 2를 사용하여 상기에서 예시로 설명한 실내기1~4에 대한 각 전력분배량을 산출하면 다음과 같다.
실내기1에 대한 전력분배량 = 500 * 920/4904 = 93
실내기2에 대한 전력분배량 = 500 * 1104/4904 = 112
실내기3에 대한 전력분배량 = 500 * 2640/4904 = 269
실내기4에 대한 전력분배량 = 500 * 240/4904 = 24
여기서, 운전상태가 정지중인 실내기에 대해서는 전력이 분배되지 않지만, 필요한 경우 대기전력을 구분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는 대기전력을 별도의 독립실로 간주할 수 있다. 또, 분배되지 않은 잉여전력은 다음번 총 소비전력량에 합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전자변개도(EEV) 정보를 포함시키지 않기때문에 계산로직이 더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다.
또, 상기 전력분배기는(400), 상기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을 사용하여서 순시전력, 누적전력, 및 대기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매분마다 산출하고, 이를 구비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상기 전력분배기(400)와 통신하여 상기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을 검침하는 원격검침기(500, 도 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원격검침기(500)는 상기 전력분배기(400)로부터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을 수신하여 원격에서 검침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검침기(500)는 실외기(100) 및 실내기(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세대별 실내기의 사용유무 및 실내기(200)가 설치된 곳의 입주 정보 등을 저장한다. 또, 상기 원격검침기(500)는 상기 전력분배기(400)로부터 수신된 각 실내기의 전력분배량에 근거하여 전력사용에 따른 요금을 부과한다.
또, 상기 원격검침기(500)는 실내기(200)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구비되더라도 실내기에 전원선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요금이 부과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400)와 상기 원격검침기(500) 간의 통신은 RS-485 통신규격을 사용한다. 또, 전력분배기(400)에 연결된 원격검침기(500)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제품의 업체 정보, 선택된 업체에 따른 실외기 ID 정보 등은 입력을 통해 상기 전력분배기(40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전력분배기(400)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입력부(410), 표시부(420), 제어부(430), 전원부(440), 및 통신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실외기의 총 소비전력량을 이하에 기술되는 분배로직에 따라서 각 실내기(200)에 차등적으로 분배한다.
상기 전원부(440)는 복수의 실내기(200)에 분배할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입력부(410)는 하나 이상의 키를 구비하여, 연결된 장치(예, 실내기(200), 실외기(100), 원격검침기(500), 전력측정기(300) 등)에 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입력부(410)는 '메뉴(MENU)' 버튼, '클리어(CLEAR)' 버튼, '설정/이동(SET/SHIFT)' 버튼, 및 각각 한쌍의 '상하(Up & Down)' 버튼 및 '좌우(Left & Right)'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기술한 각 버튼들의 구체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상기 메뉴버튼은 상기 표시부(420)에 표시되는 메뉴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통해 메인화면, 순시전력량, 누적전력량을 차례로 또는 다른 순서로 표시부(420)에 표시한다. 또, 상기 클리어버튼 및 좌우버튼은 상기 전력분배기(400)에 연결된 장치에 관한 설정 정보 입력시 사용된다. 또, 상기 상하버튼은 표시부(420)에 표시되는 실내기 표시 페이지를 변경할 때, 예를 들어 순시전력, 누적전력 표시중 실내기 번호를 증가하거나 감소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기(400)를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410)의 각 키들을 사용하여서, 전력분배시 통신방식 즉 연결(connection)이 마스터인지 또는 슬레이브인지 여부, 연결된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Pulse타입 또는 RS-485타입), 원격검침기(500)구비시 업체 정보와 그에 따른 실외기 ID정보, 펄스당 전력, 대기전력의 포함 여부, 연결된 실내기의 처음 주소 값과 마지막 주소 값 등을 초기에 설정한다.
상기 표시부(420)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에 분배되는 전력분배량을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420)는, 산출된 전력분배량을 사용하여서 순시전력, 누적전력, 및 대기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순시전력은 상기 전력분배량에 근거하여 해당 실내기의 1분간 소비전력을 예측한 것으로서, 상수로 표시된다. 입력부(410)의 메뉴버튼을 통해 순시전력 표시 화면에 진입할 수 있고, 대기전력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누적전력은 전력분배기(400)에 최초 전원이 인가된 후 해당 실내기에 계속 누적된 전력량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410)의 상하버튼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실내기를 변경할 수 있고, 또 입력부(410)의 좌우버튼을 이용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전력측정기(300)를 변경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기전력을 화면에 다음 페이지에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420)에는 기간 누적전력을 표시하지 않기로 한다. 왜냐하면 누적전력과 기간전력의 검침에 혼동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표시부(420)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소자로 이루어진 수단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소자로 이루어진 화면을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화면은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중 어느 하나의 소자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상기 표시부(420)는 표시될 텍스트 정보를 최대 4행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전력분배기(400) 설치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설정 정보를 표시한다. 먼저, (a)의 1행에는 전력분배기(400)의 연결환경 즉, 통신방식이 표시된다. 여기서는 전력분배기(300)가 마스터로 연결되었다. (a)의 2행에는 연결된 전력측정기(300)의 통신방식을 표시한다. 여기서는 전력측정기(300)가 펄스타입으로 통신한다. (a)의 3행에는 연결된 원격검침기(500)의 업체 정보가 표시된다. 여기서는 연결된 원격검침기가 없음을 표시하고 있다. 또, (a)의 마지막 4행에는 대기전력 포함여부가 표시되는데, 여기서는 '자동'으로 대기전력을 분배하도록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의 (b)는 전력분배기(400)의 연결환경의 설정 화면을 도시한다. 전력분배기(400)의 통신방식으로 '마스터'와 '슬레이브'가 있다. '마스터'는 전력분배기(400)가 단독 연결된 경우이고 '슬레이브'는 전력분배기(400)가 예컨대 ACP, AC스마트와 같은 원격검침기(500)와 연결된 경우이다. 사용자가 상기 전력분배기(400)의 통신방식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입력부(410)에 구비된 상하버튼을 통해 커서의 위치를 변경한 다음 설정버튼을 누름으로써 변경된다. 단, 클리어버튼을 선택하면 변경된 값이 저장되지 않는다.
도 7의 (c)는 전력분배기(400)와 연결된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의 설정 화면을 도시한다. 상기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으로 '펄스타입'과 'RS-485타입'이 있다. 상기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을 변경하려면 마찬가지로 입력부(410)에 구비된 상하버튼을 통해 커서의 위치를 변경한 다음 설정버튼을 누르면 선택한 통신타입이 저장되고 초기화면으로 이동한다. 이때, 클리어버튼을 선택하면 변경된 값이 저장되지 않고 초기화면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된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이 '펄스타입'인 경우의 설정 과정을 도 8a 내지 8e를 참조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전력분배기(400)와 연결된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이 '펄스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최대 8대까지 연결가능하다. 연결된 전력측정기(300)가 복수이면, 각 전력측정기(300)에 대한 입력타입(펄스당 소비전력),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가 실외기인지 실내기인지의 표시와, 그에 따른 주소를 차례로 설정해야한다. 이때, 해당 장치에 대한 배관은 설정하지 않기로 한다. 이러한 예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전력측정기2(WHM2)에 대한 설정을 살펴보면, 도 8c에서 입력타입, 즉 펄스당 전력을 1W로 설정하고, 도 8d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를 실외기로 설정하였다. 또 실외기의 주소 설정은 시작주소를 '01'로 끝주소를 '02'로 설정하였다. 이때, 해당 장치에 대한 배관은 설정하지 않기로 한다. 도 8e는 CT/PT 전력측정기(300)의 설정과정을 보여준다. 상기 도8c에서 CT/PT를 선택한 경우에는 CT값과 펄스당 전력(Pulse/kWh)값을 설정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00001 - 50000 사이값을 입력한다. 그 다음 과정은 상기 기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의 표시와 그 주소를 차례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기술한 설정들은 입력부(410)의 상하버튼, 좌우버튼, 및 설정버튼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된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이 'RS-485타입'인 경우의 설정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전력분배기(400)와 연결된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이 'RS-485타입'인 경우에는 하나의 전력측정기(300)와 연결된다. 먼저 입력부(410)의 메뉴버튼과 상하버튼을 사용하여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 설정을 선택하고(a), 화면에 표시된 'RS-485타입'에 커서를 위치시킨 다음(b) 설정버튼을 누르면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이 'RS-485타입'으로 변경된다(c).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이 'RS-485타입'인 경우에는 그 전력측정기(300)의 주소도 설정해주어야한다. 이러한 예시가 (e)에 도시된다. 그런 다음,'펄스타입'의 전력측정기(300)와 마찬가지로,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가 실내기인지 또는 실외기인지를 설정하고(f), 해당 장치의 시작주소와 끝주소를 설정한다(g). 이때, 해당 장치에 대한 배관은 설정하지 않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술한 설정들은 입력부(410)의 상하버튼, 좌우버튼, 및 설정버튼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7의 (d) 및 (e)는 전력분배기(400)와 연결된 원격검침기(500)에 관한 업체 정보 설정 화면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원격검침기(500)의 업체 정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MICROCIN, LSIS, CI-TOPIA, OMNI-SYSTEM, LG-ACP, 사용하지 않음(Not Use)을 포함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격검침기(500)는 업체별로 설정항목과 이에 따른 화면 구성에 차이가 있는데, 예를 들어 각 업체마다 분배기 인식번호의 부여방법에 차이가 있다. 연결된 원격검침기(500)의 특정 업체를 선택한 다음 대응하는 분배기 인식번호를 설정하고 입력부(410)의 설정버튼을 눌러서 설정을 완료한다.
도 7의 (f)는 실내기(200)에 대한 전력분배량 계산시에 대기전력을 포함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대기전력을 포함하도록 선택하면(AUTO) 대기전력을 각 실내기로 분배한다. 한편 대기전력을 포함하지 않도록 선택하면(MANUAL) 대기전력을 별도 항목에 표시한다. 선택시, 커서의 이동 및 설정은 입력부(410)에 구비된 상하버튼 및 설정버튼을 사용한다.
또, 상기 표시부(420)는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예를 들어 연결된 장치와 통신상태가 원할하지 않거나 전력감지 신호가 없는 경우, 에는 구비된 화면에 오류메시지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전력분배기(400)에 연결된 실내기와의 통신이 소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예, 수분이상) 이상으로 감지되면 오류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는 공급되는 전력을 각 실내기에 분배하지 않고 누적전력값으로만 누적시킨다. 예를 들어 통신선이 결선 또는 탈거되거나, 설정선택이 잘못 이루어지거나, 통신 프로토콜에 오류가 있거나, 또는 설정된 주소범위가 잘못된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오류메시지가 표시되는 도중에 입력부(410)의 메뉴버튼을 누르면 오류표시가 해제되고 정상화면을 표시한다. 또, 통신오류가 복구되거나 전원이 오프(off)된 경우에도 오류표시가 해제된다. 이러한 오류메시지 표시는 사용자 선택을 통해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표시부는(420)는 전력분배기(400)에 연결된 전력측정기(300)로부터 전력감지 신호가 없는 경우에 오류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측정기(300)의 전력감지 펄스선이 오결 또는 탈거되거나 또는 전력감지 펄스폭이 정해진 규정치를 벗어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오류메시지가 표시되는 도중, 전원이 오프(off)되거나 또는 입력부(410)의 메뉴키와 설정키를 동시에 누르면 오류표시가 해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의 LED수단을 통해, 연결된 다른 장치와의 통신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기(400)는 다수의 LED점등수단을 구비한다. 특정 LED점등수단이 점등과 소등을 반복동작하는 것으로 연결된 특정장치와의 현재의 통신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1번째 LED는 전원상태를 표시하고 4및5번째 LED는 연결된 실외기로부터 데이터 송수신이 있는 경우 점등과 소등을 반복한다. 또, 6및7번째 LED는 연결된 전력측정기(300)로부터 데이터 송수신이 있는 경우에 점등과 소등을 반복한다. 또 8및9번째 LED는 연결된 원격검침기(500)로부터 데이터 송수신이 있는 경우에 점등과 소등을 반복한다. 또, 10내지17번째 LED는 펄스타입의 통신을 하는 전력측정기(300)로부터 펄스신호 입력시 점등과 소등을 반복한다. 여기서, 상기 LED점등수단은 도 11에 도시된 수보다 많거나 혹은 적을 수 있다. 또, 상기 LED점등수단에 대응하는 장치는 기술된 순서와 특정장치에 구속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전력분배기(400)에 연결된 복수의 '펄스타입'의 전력측정기(300)로부터 펄스신호가 인가되면 이를 입력값으로 처리한다. 즉, 상기 전력분배기(400)에 전원인가 후, 복수의 전력측정기(300) 포트로부터 소정전압을 갖는 펄스신호가 인가되거나 또는 펄스신호가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혹은 그 반대로 전환되는 경우 표시부(420)의 LED점등수단이 동작된다. 단, 펄스신호의 하이(High)상태가 약 500ms 이상의 값으로 유지되면 이를 입력값으로 처리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430)는 전력분배로직에 따라,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에 비례하는 전력을 분배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분배로직은, 실내기의 용량,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연산하고 상기 전력비중치에 비례하는 전력분배량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는,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비례하는 값을 합산하고 이를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값과 승산하여 산출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는,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최대 80으로 하고, 상기 풍량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최대 20으로 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비중치를 산출하는 분해능(Resolution)은 예를 들어 매분(1분간격)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를 산출하는데 있어서, 실내기의 전자변개도(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 정보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정보에 대응하는 값은 실내기가 운전 중(즉, comp가 운전중)이면 그 값을 '80'으로 하고, 실내기가 정지 중(즉, comp가 정지중)이면 그 값을 '0'으로 한다. 상기 풍량 정보에 대응하는 값은 다음과 같이 미리설정할 수 있다. 즉, 실내기의 풍량이 약풍이면 그 값을 '8'로 하고, 중풍이면 그 값을 '12'로 한다. 또, 실내기의 풍량이 강풍이면 그 값을 '16'로 하고, 초강풍이면 그 값을 '20'으로 한다. 다만, 실내기가 풍량 정보가 없는 타입(예, Hydrokit)인 경우에는 상기 풍량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20'으로 설정한다.
또, 상기 전력분배로직은,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비례하는 값을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값과 승산하여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를 연산한다. 또, 상기 전력분배로직은 연산된 전력비중치를 상기 복수의 실내기들에 대한 전력비중치의 총합으로 나누고, 이를 실외기의 총 소비전력량과 승산하여 얻어진 값을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분배량으로 산출한다.
상기 통신부(450)는 하나 이상의 통신선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또, 상기 통신부(450)는, Pulse 통신 또는 RS-485 통신규격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실내기(200) 및 실외기(100)의 총 소비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기(300)와 통신한다. 또 상기 통신부(450)는, RS-485 통신규격을 사용하여 원격검침기(5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400)의 인터페이스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외부장치와의 연결수단, 내부 디스플레이 수단을 인터페이스 구성으로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RS-485통신규격을 사용하는 중앙제어기(예, ACP 또는 AC 스마트), 실외기, 및 RS-485타입의 전력측정기(300)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펄스타입의 전력측정기(300)를 최대 8대까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전력분배기(400)는 표시부(420)의 구성이기도 한 LCD표시부와 LED표시부를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LCD표시부에는 실내기들(200)에 분배할 전력량 등이 표시되고, 상기 LED표시부에는 연결된 외부장치의 통신상태 등을 표시한다.
나아가, 도 14 내지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기의 예시 통신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기(400)가 직팽식 공기조화기 통신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또,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기(400)가 하이드로키드(Hydrokit) 공기조화기와 통신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기(400)와 연결된 공기조화기의 타입에 따라 사용되는 통신프로토콜의 구체적인 필드값, 사용 비트수, 데이터전송량 등을 달리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전력분배기(400)는 정전후 복구시 백업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저장부(미도시), 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저장부는 미리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누적전력을 저장한다. 또,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전력분배기(400)에 전원이 인가된 후, 최종 누적전력량, 연결된 전력측정기(300)의 통신타입, 사용자 설정정보, LED 및 LDC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들을 소정 시간간격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정전시 그 저장된 값을 전력분배기(400)에 제공한다. 즉 정전후 복구시, 전원이 오프(off)되기 바로 직전의 상태로 전력분배기(400)가 동작할 수 있게끔 백업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가 EEPROM인 경우에는 읽기(Read) 기능과 쓰기(Write)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또, 상기 저장부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등), 롬(Read-Only Memory :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 상기 저장부는 표시부(420)의 화면에 구성될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6은 상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기를 포함한 공기조화시스템의 전력분배방법의 예시 흐름을 도시한다.
먼저, 각 실내기의 용량 정보, 운전여부 정보, 및 풍량 정보를 연결된 실내기들을 통해 수신한다(S10). 상기 정보들에 근거하여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연산한다(S20). 상기 전력비중치의 구체적인 연산과정, 각 실내기의 운전여부 정보와 풍량 정보에 비례하는 값을 합산하고 이를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값과 승산하여 얻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전력비중치를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의 총합으로 나누고, 이를 실외기의 총 소비전력량과 승산하여서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을 산출한다(S30). 그런 다음, 산출된 전력분배량에 따라 각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한다(S40).
이때,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출된 전력분배량을 사용하여 도출되는 순시전력, 누적전력, 및 대기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서, 단계(S40)에서 각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하는 단계 이후의 잉여 전력은 다음번 총 소비전력량에 합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는, 복수의 실내기들의 용량,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기초하여 각 실내기별 전력비중치를 계산하고 이로부터 각 실내기로 분배되는 전력분배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내기의 전력 사용에 대한 합리적인 요금 산출이 가능하고, 요금이 잘못 부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실외기 200 - 실내기
300 - 전력측정기 400 - 전력분배기
410 - 입력부 420 - 표시부
430 - 제어부 440 - 전원부
450 - 통신부 500 - 원격검침기

Claims (18)

  1.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상기 복수의 실내기와 연결되어,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공급될 각 전력분배량을 표시하는 전력분배기; 및
    상기 실외기의 총 전력량을 측정하고, 하나 이상의 통신선을 통해 상기 전력분배기와 통신하여 상기 전력분배기로부터 전력량의 전송을 요청받아 상기 측정된 전력량을 전송하는 전력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기는,
    전원이 인가된 이후의 누적전력량보다 상기 전력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전력량이 더 큰 경우에 한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처리는:
    실내기의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비례하는 값을 합산하고 이를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값과 승산하되, 각 실내기의 전자변개도(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 정보는 배제하고 상기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상기 산출된 전력비중치를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의 총합으로 나누고, 이를 상기 실외기의 총 소비전력량과 승산하여 얻어진 값을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기는,
    상기 전력분배량을 사용하여 순시전력, 누적전력, 및 대기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매분마다 산출하여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기와 통신하여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분배량을 검침하는 원격검침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기 및 원격검침기는 RS-485 통신규격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는,
    상기 실내기의 운전여부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최대 80으로 하고, 상기 풍량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최대 20으로 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8.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방법으로서,
    측정된 실외기의 총 전력량을 수신하여, 전력분배기에 전원이 인가된 이후의 누적전력량보다 상기 수신된 전력량이 더 큰 경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력량이 더 큰 경우이면:
    상기 실내기의 용량,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사용하여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전력비중치를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의 총합으로 나누고, 이를 총 소비전력량과 승산하여서 상기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전력분배량에 따라 각 실내기에 전력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에 대한 전력분배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실내기의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비례하는 값을 합산하고 이를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값과 승산하되, 각 실내기의 전자변개도(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 정보는 배제하고 상기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전력분배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전력분배량을 사용하여 순시전력, 누적전력, 및 대기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전력분배방법.
  10. 삭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하는 단계 이후의 잉여 전력은 다음 총 소비전력량에 합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전력분배방법.
  12. 복수의 실내기에 분배할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전력측정기로부터 실외기의 총 전력량의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량이 전원이 인가된 이후의 누적전력량보다 큰 경우 전력분배로직을 수행하고, 상기 전력분배로직에 따라, 각 실내기의 전력비중치에 비례하는 전력을 분배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분배로직은, 실내기의 운전여부 및 풍량 정보에 비례하는 값을 합산하고 이를 상기 실내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값과 승산하되, 각 실내기의 전자변개도(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 정보는 배제하고 상기 각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를 연산한 다음, 상기 전력비중치에 비례하는 전력분배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분배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분배로직은,
    상기 전력비중치를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전력비중치의 총합으로 나누고, 이를 실외기의 총 소비전력량과 승산하여 얻어진 값을 상기 각 실내기의 전력분배량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분배기.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는 하나 이상의 통신선을 통해서 서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분배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총 소비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기와 RS-485 통신규격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분배기.
  16. 제1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키를 구비하여, 연결된 장치에 관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분배기.
  17.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분배되는 각 전력분배량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각 전력분배량을 사용하여 산출되는 순시전력, 누적전력, 및 대기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분배기.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표시될 텍스트를 4행의 형식으로 표시하는 LCD화면과 연결된 장치와의 통신상태를 표시하는 LED화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분배기.
KR1020120001668A 2012-01-05 2012-01-05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 KR101965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668A KR101965738B1 (ko) 2012-01-05 2012-01-05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668A KR101965738B1 (ko) 2012-01-05 2012-01-05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704A KR20130080704A (ko) 2013-07-15
KR101965738B1 true KR101965738B1 (ko) 2019-08-13

Family

ID=4899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668A KR101965738B1 (ko) 2012-01-05 2012-01-05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582B1 (ko) * 2014-03-03 2020-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2399915B1 (ko) * 2017-09-12 202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8279621A (zh) * 2018-04-11 2018-07-13 山东省科学院能源研究所 一种中频炉智能隔离型功率分配系统及方法
CN111043715A (zh) * 2018-10-12 2020-04-21 广州松下空调器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及系统、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556B1 (ko) * 2003-11-11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67740A (ko) * 2007-12-21 200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전력분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704A (ko) 2013-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738B1 (ko) 공기조화시스템, 이의 전력분배방법, 및 전력분배기
KR101079929B1 (ko) 전기 기기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전기 기기의 에너지 관리 장치, 전기 기기의 에너지 관리 방법
US7146256B2 (en) Power source switching unit and power sourc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it
AU2011224105B2 (en) Water heater with power consumption reporting
US20110264290A1 (en) Thermostat load reduction based on percentage change in energy price
KR101266078B1 (ko) 가정 내 소비전력 관리 시스템
US89961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US9291528B2 (en) Domestic appliance device
JP5494422B2 (ja) 貯湯式給湯システム
KR20090067740A (ko) 공기조화장치의 전력분배시스템
JP2014178766A (ja) エネルギー消費表示システム
US20120278016A1 (en) Device for measurement of mulitple configuration two phase power with a single voltage input
CN102288204B (zh) 能源相关信息显示装置及其方法
JP6144784B2 (ja) 管理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画像作成プログラム
KR102399915B1 (ko) 공기조화기
KR2013003855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05829A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00310438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5944253B2 (ja) 管理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6243464B2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KR20120003279A (ko) 에너지 관리 시스템, 에너지 관리 장치, 에너지 관리 방법
KR20090048791A (ko) 전력 제어 시스템
JP4974716B2 (ja) 電子式流量計
KR10211759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20230324080A1 (en) Heat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