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386B1 - 쿨링 방석 및 의자 - Google Patents

쿨링 방석 및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386B1
KR101965386B1 KR1020170081259A KR20170081259A KR101965386B1 KR 101965386 B1 KR101965386 B1 KR 101965386B1 KR 1020170081259 A KR1020170081259 A KR 1020170081259A KR 20170081259 A KR20170081259 A KR 20170081259A KR 101965386 B1 KR101965386 B1 KR 101965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ttle
seat
cooling
chair
se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373A (ko
Inventor
이은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농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농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농테크
Priority to KR102017008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3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6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B29L2031/443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 B60B2200/22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쿨링 방석은 신체의 엉덩이 또는 등에 대응하는 중공의 시트부, 시트부와 연통하며 내부로 물병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물병 수용부, 및 물병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물병 수용부를 개폐하는 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부 및 물병 수용부는 일체로 형성되되, 시트부 및 물병 수용부 사이의 통로는 수용되는 물병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제공되며, 상기 시트부 및 물병 수용부 내부로 냉매를 충진하여 사용 가능하되, 냉동 상태로 삽입된 물병이 냉매에 잠기는 수위를 조절하여 얼려진 물병의 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쿨링 방석 및 의자 {COOLING SEAT AND CHAIR}
본 발명은 쿨링 방석 및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일반 플라스틱 물병을 이용하여 냉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석 및 의자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 온도가 올라갈수록 냉방의 필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에어컨 등을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하여도 그 효과가 미비한 경우가 있으며, 이런 경우 작업자나 사용자는 무더위를 혼자 견뎌야 한다.
일 예로, 농작물을 키우는 하우스에서 냉방기기를 사용할 수 없으며, 작업자는 뜨거운 하우스 내에서 장시간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건강 등에서 이상이 생길 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9826호 및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7600호에는 농사용 작업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도 이동수단으로서 바퀴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시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냉방 기능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고 있지 않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46126호에는 쿠션 볼 내부의 유체를 냉동시켜 시원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석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방석은 쿠션 볼을 매번 얼려야 하고, 얼리는 동안에는 쿠션 볼을 사용할 수가 없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시원함을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52904호에는 등받이부와 좌석부에 장방향의 시트를 삽입하여 냉난방 기능을 제공하는 냉난방용 시트를 제공한다. 이 역시 전용의 용액 주머니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용 주머니나 팩을 매번 얼릴 필요 없으며, 하나를 얼리는 동안에는 다른 대체품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시원함을 조절할 수 있는 쿨링 방석 및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얼린 생수병을 이용할 수 있어, 냉방 효과는 물론 목이 마른 경우 냉수도 제공할 수 있는 다목적 쿨링 방석 및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용도로의 응용이 가능한 다목적 쿨링 방석 및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쿨링 방석은 신체의 엉덩이 또는 등에 대응하는 중공의 시트부, 시트부와 연통하며 내부로 물병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물병 수용부, 및 물병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물병 수용부를 개폐하는 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부 및 물병 수용부는 일체로 형성되되, 시트부 및 물병 수용부 사이의 통로는 수용되는 물병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제공되며, 상기 시트부 및 물병 수용부 내부로 냉매를 충진하여 사용 가능하되, 냉동 상태로 삽입된 물병이 냉매에 잠기는 수위를 조절하여 얼려진 물병의 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시트부 및 물병 수용부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블로우 성형을 통해서 형성될 수가 있다.
물병 수용부는 내부로 돌출된 복수의 이격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격 돌기에 의해서 냉동 상태의 물병이 정해진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얼려진 물병이 물병 수용부의 외벽을 사이에 두고 신체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제한할 수가 있다.
물병 수용부는 시트부에 대해서 다양한 위치와 자세로 형성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물병 수용부는 그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트부에 대해 평행, 수직 또는 경사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쿨링 방석은 그 자체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쿨링 방석을 사용하기 위한 전용 의자 프레임에 얹혀져 사용될 수 있고, 기존의 다른 의자에서도 사용될 수가 있다. 이를 위해 시트부는 다른 의자의 좌부 또는 등받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용홈을 통해서 기존의 다른 의자에 장착되거나 안정되게 얹혀질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쿨링 의자는 상술한 쿨링 방석을 포함하여 제출될 수 있다. 의자는 기본적으로 쿨링 방석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의자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쿨링 의자의 쿨링 방석은 신체의 엉덩이 또는 등에 대응하는 중공의 시트부, 시트부와 연통하며 내부로 물병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물병 수용부, 및 물병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물병 수용부를 개폐하는 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부 및 물병 수용부는 일체로 형성되되, 시트부 및 물병 수용부 사이의 통로는 수용되는 물병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제공되며, 상기 시트부 및 물병 수용부 내부로 냉매를 충진하여 사용 가능하되, 냉동 상태로 삽입된 물병이 냉매에 잠기는 수위를 조절하여 얼려진 물병의 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쿨링 의자는 농업용 작업 의자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 쿨링 의자는 쿨링 방석 외에도, 쿨링 방석의 저면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장착되어 쿨링 의자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바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쿨링 방석은 쿨링 의자의 좌판 또는 등받이로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쿨링 방석이 좌판과 등받이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시트부는 좌판 및 등받이에 대응하여 ㄴ-자로 절곡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시트부는 프레임과 결합되는 브라켓 및 브라켓의 주변으로 다른 의자의 좌부 또는 등받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니면, 위와 같은 작업 의자가 아니더라도 쿨링 의자의 기술적 특징은 일반적인 의자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 쿨링 방석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리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다리 프레임은 기존의 의자에서 찾을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재질의 의자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 쿨링 의자에서 사용되는 쿨링 방석의 구체적 구조 및 기술적 내용은 이전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부 및 물병 수용부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블로우 성형을 통해서 형성될 수가 있으며, 물병 수용부는 내부로 돌출된 복수의 이격 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물병 수용부는 시트부에 대해서 다양한 위치와 자세로 형성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쿨링 방석 및 의자에 따르면, 전용 주머니나 팩을 매번 얼릴 필요 없으며, 종래의 생수병이나 냉동이 가능한 물병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생수병이나 기타 물병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를 얼리는 동안에는 냉동 상태의 다양한 대체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냉매를 사용하는 용량 또는 물병이 잠기는 수위를 조절하여 물병의 해동 속도, 즉 시원함을 제공하는 사용시간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쿨링 방석 및 의자는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얼린 생수병을 이용할 수 있으며, 냉방 효과는 물론 목이 마른 경우 냉수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얼린 생수병의 경우, 장기 보관을 위해 얼리지만 막상 얼음이 빨리 녹지 않아 냉수를 충분히 먹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물병의 해동 속도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어 원활한 생수 공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쿨링 방석은 의자에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고, 다른 의자나 등받이로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의자의 쿨링 방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쿨링 방석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쿨링 방석의 사용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의자의 쿨링 방석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의자의 쿨링 방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의자의 쿨링 방석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의자의 쿨링 방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쿨링 방석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쿨링 방석의 사용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쿨링 방석(100)은 중공의 시트부(110), 중공의 물병 수용부(130) 및 마개부(150)를 포함한다. 시트부(110) 및 물병 수용부(130)는 그 내부로 물과 같은 냉매를 수용할 수 있으며, 냉매가 시트부(110)의 내부에서 열을 전달하도록 하기 위해서 시트부(110)와 물병 수용부(130)는 서로 연통하는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공의 시트부(110)는 신체의 엉덩이 또는 등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의자에서 좌판 또는 등받이로 사용될 수가 있다. 시트부(110)는 대체로 납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파 또는 등받이로의 기능을 위해 엉덩이에 대응하는 형상이나 등 또는 허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중공의 물병 수용부(130)는 시트부와 연통하며 통로(120)를 통해서 냉매(125)를 이용한 열전달을 할 수가 있다. 물병 수용부(130)에는 물병(10)이 수용될 수 있으며, 물병(10)이 냉매(125)에 부분적으로 잠기면서 냉매(125)로 냉기를 전달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냉동 상태의 물병(10)이 냉매(125)에 많이 잠길수록 내부의 얼음이 더 빨리 해동될 수 있으며, 냉매에 적게 잠기거나 냉매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얼음이 느리게 해동되게 할 수 있다.
물병 수용부(130)의 일측에는 물병(10)이 드나들 수 있는 개구부(1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32)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부(15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물병(10)은 500ml의 생수병에서 2.0L의 생수병 등을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물병 수용부(130) 및 개구부(132)의 크기는 사용 조건 및 용량에 따라 2.0L 용량의 생수병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 또는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시트부(110) 및 물병 수용부(130) 사이로 냉매(125)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120)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통로(120)라 함은 냉매는 통과시키되 수용된 물병을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110)의 상하 간격이 예상되는 물병(10)보다 낮은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돌기나 물리적 구조물을 통해서 물병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개구부(132)가 물병 수용부(130)의 측면에 형성된 경우에는, 냉매(125)를 충진하기 위해 개구부(132)가 일시적으로 위를 향하도록 하여 냉매(125)를 충진할 수 있고, 물병(10)도 개구부(132)를 위로 향하게 한 다음 집어넣거나 뺄 수 있게 할 수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의자의 쿨링 방석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쿨링 방석(100)의 내부로 복수의 이격 돌기(140)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격 돌기(140)는 시트부(110) 및 물병 수용부(130)를 형성하는 블로우 성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격 돌기(140)에 의해서 냉동 상태의 물병(10)이 정해진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얼려진 물병(10)이 물병 수용부(130)의 외벽으로부터 최소한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와 직접 접촉하여 사용자에게 참을 수 없는 차가움을 전달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쿨링 방석(100)이 쿨링 의자(200)의 좌판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쿨링 방석(100) 아래로 프레임(210) 및 2개의 바퀴(23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59056호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작업용 의자로서, 바퀴 및 바퀴와 좌판을 연결하는 프레임은 기존의 다른 공지기술을 참조할 수 있다.
쿨링 방석(100)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쿨링 방석(100)은 시트부(110), 물병 수용부(130) 및 마개부(150)를 포함하며, 마개부(150)를 통해 물병 수용부(130)를 개방하고, 얼린 물병(10)과 냉매(125)를 넣어 작업 도중에서 시원함을 느끼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쿨링 방석(100)의 주변으로 등받이가 별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등받이는 쿨링 방석(100)과 일체를 이루거나 프레임(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그늘막을 형성하기 위해 쿨링 의자에는 파라솔 등도 추가로 설치될 수가 있다. 또한, 농업용 작업 의자이기 때문에, 쿨링 의자에는 농작물을 보관하거나 관련 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도구가 추가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쿨링 의자는 좌판용 쿨링 방석(100), 등받이용 쿨링 방석(100'), 프레임(210) 및 바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좌판 및 등받이에 장착된 쿨링 방석(100, 10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전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다만, 좌판용 쿨링 방석(100)에서 물병 수용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등받이용 쿨링 방석(100')은 등받이에 별도로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등받이용 쿨링 방석(100')은 프레임(210)에 고정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좌판용 쿨링 방석(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의자의 쿨링 방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쿨링 방석(300)은 시트부(310) 및 물병 수용부(330)를 포함한다. 이전 실시예에서 물병 수용부(130)는 시트부(110)에 대해서 나란하게 형성된 반면, 본 실시예에서 물병 수용부(330)는 그 중심축이 시트부(310)에 대해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 중간에 물병을 꺼내 마시기가 용이하며, 또한, 냉매의 수위를 상대적으로 많이 올림으로써 냉매와 물병 간의 접촉면적으로 원하는 만큼 올릴 수도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쿨링 방석(400)은 시트부(410) 및 물병 수용부(430)를 포함하되, 시트부(410)는 좌판 및 등받이를 모두 겸용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로 제공될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쿨링 의자의 쿨링 방석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시트부(110)는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브라켓(112) 및 브라켓(112)의 주변으로 다른 의자의 좌부 또는 등받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수용홈(114) 중 외부에 형성된 것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의자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으로 종래의 다른 간이 의자의 크기를 참조할 수 있다. 물론, 수용홈은 2단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로 더 작은 크기의 수용홈이 수용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쿨링 방석은 일반적인 의자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 쿨링 방석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리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농사용 작업 방석, 즉 다리 또는 허리에 고정해서 사용하는 작업 방석에서도 본 발명의 쿨링 방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리 프레임은 기존의 의자에서 찾을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재질의 의자 프레임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쿨링 방석 110:시트부
130 : 물병 수용부 150 : 마개부
200 : 쿨링 의자 210 : 프레임
230 : 바퀴

Claims (14)

  1. 신체의 엉덩이 또는 등에 대응하며 블로우 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중공의 시트부;
    상기 블로우 성형을 통해 상기 시트부와 함께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와 일체로 연결된 수지 외벽에 의해서 제공되며, 상기 시트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며 내부로 물병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물병 수용부; 및
    상기 물병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물병 수용부를 개폐하는 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물병 수용부는 상기 블로우 성형을 통해서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물병 수용부 사이의 통로는 수용되는 상기 물병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제공되어 대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상호 열을 전달하고,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물병 수용부 내부로 냉매를 충진하여 사용 가능하되, 냉동 상태로 삽입된 상기 물병이 상기 냉매에 잠기는 수위를 조절하여 냉동 상태의 상기 물병의 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물병 수용부는 내부로 돌출된 복수의 이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 돌기에 의해서 냉동 상태의 상기 물병이 상기 물병 수용부의 외벽을 사이에 두고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방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 수용부의 중심축은 상기 시트부에 대해 평행, 수직 또는 경사지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방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다른 의자의 좌부 또는 등받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방석.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쿨링 방석을 포함하는 쿨링 의자에 있어서,
    상기 쿨링 방석은 신체의 엉덩이 또는 등에 대응하며 블로우 성형을 통해 형성되는 중공의 시트부, 상기 블로우 성형을 통해 상기 시트부와 함께 형성되어 상기 시트부와 일체로 연결된 수지 외벽에 의해서 제공되며 상기 시트부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며 물병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의 물병 수용부, 및 상기 물병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물병 수용부를 개폐하는 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물병 수용부는 상기 블로우 성형을 통해서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물병 수용부 사이의 통로는 수용되는 상기 물병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제공되어 대류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상호 열을 전달하고,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물병 수용부 내부로 냉매를 충진하여 사용 가능하되, 냉동 상태로 삽입된 상기 물병이 상기 냉매에 잠기는 수위를 조절하여 냉동 상태의 상기 물병의 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물병 수용부는 내부로 돌출된 복수의 이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격 돌기에 의해서 냉동 상태의 상기 물병이 상기 물병 수용부의 외벽을 사이에 두고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방석의 저면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쿨링 의자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복수의 바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방석은 상기 쿨링 의자의 좌판 또는 등받이로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의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좌판 및 등받이로 사용되도록 ㄴ-자로 절곡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의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의 주변으로 다른 의자의 좌부 또는 등받이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의자.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방석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리 프레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의자.
  12. 삭제
  13. 삭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 수용부의 중심축은 상기 시트부에 대해 평행, 수직 또는 경사지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의자.
KR1020170081259A 2017-06-27 2017-06-27 쿨링 방석 및 의자 KR101965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259A KR101965386B1 (ko) 2017-06-27 2017-06-27 쿨링 방석 및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259A KR101965386B1 (ko) 2017-06-27 2017-06-27 쿨링 방석 및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73A KR20190001373A (ko) 2019-01-04
KR101965386B1 true KR101965386B1 (ko) 2019-04-03

Family

ID=6501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259A KR101965386B1 (ko) 2017-06-27 2017-06-27 쿨링 방석 및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3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78B1 (ko) * 2019-05-23 2021-02-17 신희영 냉매튜브를 포함하는 쿨이불
KR200491494Y1 (ko) * 2019-06-20 2020-04-14 주식회사 부농테크 농사용 쿨링 쿠션 및 쿠션 몸체
KR102542999B1 (ko) 2020-07-28 2023-06-14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슬라이드 커버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1418A (zh) * 2012-10-19 2013-01-16 谢逢华 液体自动循环降温的坐垫
KR200466696Y1 (ko) * 2011-11-18 2013-05-06 하오치 고 냉각 및 가온 패드에 사용되는 열교환 장치
JP2016055767A (ja) * 2014-09-10 2016-04-21 ▲葛▼西 健造 手押し車および通水マ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76B1 (ko) * 2011-06-03 2013-03-18 위도현 종이컵 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96Y1 (ko) * 2011-11-18 2013-05-06 하오치 고 냉각 및 가온 패드에 사용되는 열교환 장치
CN102871418A (zh) * 2012-10-19 2013-01-16 谢逢华 液体自动循环降温的坐垫
JP2016055767A (ja) * 2014-09-10 2016-04-21 ▲葛▼西 健造 手押し車および通水マ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73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386B1 (ko) 쿨링 방석 및 의자
US10065848B2 (en) Unique self-pressurizing, self-cooling beverage system, having impact-and-vibration-absorbing systems, anti-shaking anti-rolling clamping system, root-beer-float system, beverage-dispensing system, and multi-height spigot system
US4420097A (en) Portable liquid dispenser with carrying case
US8979073B2 (en) Insulated container with fan
US20130291802A1 (en) Multi-Compartment Pet Water Bowl
US9567151B2 (en) Storage container with insulation effect
US20020113101A1 (en) Hydration pouch with integral thermal medium
US20230228484A2 (en) Temperature regulated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1445829B2 (en) Cooling chair
KR200482029Y1 (ko) 펠티어 텀블러
US20180252467A1 (en) Heated and Cooled Cup Holder
US8807357B2 (en) Dual chambered bottle with weight distribution mechanis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3282068A (en) Refrigerant-holding attachment for a container
AU2004203517B2 (en) Portable, personal air conditioning unit attachable to a person
US6243893B1 (en) Portable water cooled mattress
JP7033850B2 (ja) 冷却機能付き衣服
US11614279B2 (en) Beverage cooler
US9907420B2 (en) Food pouch container
KR102101036B1 (ko) 배낭형 쿨링 기구
KR101661585B1 (ko) 애완동물용 휴대형 물통
US20070051736A1 (en) Insulator for a Beverage Container
CN208704240U (zh) 一种石榴冷冻储藏装置
KR200491494Y1 (ko) 농사용 쿨링 쿠션 및 쿠션 몸체
JP2009160194A (ja)
KR960001942Y1 (ko) 의자겸용 보온, 보냉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