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847B1 - Supporting device - Google Patents

Suppor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847B1
KR101964847B1 KR1020180052179A KR20180052179A KR101964847B1 KR 101964847 B1 KR101964847 B1 KR 101964847B1 KR 1020180052179 A KR1020180052179 A KR 1020180052179A KR 20180052179 A KR20180052179 A KR 20180052179A KR 101964847 B1 KR101964847 B1 KR 101964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ontroller
support
weigh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백선
Original Assignee
이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철 filed Critical 이주철
Priority to KR102018005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8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8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8Ball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80/00Bearings
    • B60B2380/10Type
    • B60B2380/12Ball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ing device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random object to support the object from the ground, and a spherical ball is taken out of the supporting device. In either case, sliding frictio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ball is converted into rolling friction to reduce resistance caused by movement of the object. In another case, the ball is covered to support the object in an immovable stat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resistance caused by movement of the object by taking out the spherical ball from the supporting device when moving the object, and converting the sliding friction into the rolling friction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ball.

Description

지탱 장치{Supporting device}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임의의 물체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물체를 지면으로부터 지탱하되, 어느 경우에는 구 형상의 볼을 지탱 장치 외부로 현출하고 상기 볼의 회전에 따른 미끄럼 마찰을 굴림 마찰로 변화시켜서 상기 물체의 이동에 따른 저항을 감소시키고, 다른 경우에는 상기 볼을 엄폐하여 부동상태로 상기 물체를 지탱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vement of an object by moving a spherical ball to the outside of a supporting device and changing a sliding friction caused by rotation of the ball to a rolling friction, And in other cases, the balls are covered to support the object in a floating state.

기존의 물체의 바닥에 바퀴를 결합한 형태를 예를 들면 이동시 물체를 비스듬히 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혼자의 힘으로 물체를 이동시키는데는 어려움이 많이 따랐다. 또한, 종래의 물체의 바퀴 식 구름장치는 바퀴의 회전축이나 구름장치가 회전하는 부위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물체가 대량으로 배치되어 있는 장소에서 소음의 주범이 되고 있다.For example, when a wheel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an existing object, it is troublesome to lay the object at an angle, and it is difficult to move the object by the force of the person alone.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heel-type rolling device of an object is a cause of noise in a place where a lot of objects are arranged due to friction due to the rotation axis of a wheel or a rotating part of a rolling device.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 88-6211호는 반구 형상으로 구성되는 상하부체가 나사 조립되어 구성되는 환형의 캡의 상부체 내주면에 요입부를 구비하고 이에 수 개의 구름볼을 삽입 게제하여 회동볼이 점 접촉되며 회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활차가 제시되어있으나 이는 회동만을 목적으로 한 고안으로 배치 후에는 고정되어야 하는 물체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Korean Utility Model Provisional Publication No. 88-6211 discloses that an annular cap formed by hemispherically assembling upper and lower bodies is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body so that a plurality of rolling balls are inserted therein, However, this is a design for the purpose of rotation only, and it is not suitable for an object to be fixed after the arrangement.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214161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214161

본 발명의 목적은 물체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구 형상의 볼을 지탱 장치 외부로 현출하고 상기 볼의 회전에 따른 미끄럼 마찰을 굴림 마찰로 변화시켜서 상기 물체의 이동에 따른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object by moving the spherical ball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device and changing the sliding friction due to the rotation of the ball to rolling fri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물체를 부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구 형상의 볼을 지탱 장치 내부로 엄폐하여, 지탱장치와 지면과의 마찰을 높이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ver a spherical ball inside a supporting device when an object needs to be floated, thereby raising the friction between the supporting device and the ground.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지탱 장치는 회전 운동하는 볼을 수용하는 볼 수용부; 및 상기 볼 수용부와 회전하여 체결되는 볼 은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 수용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볼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하는 볼 지지부; 상기 볼 지지부 외측벽에 위치하는 제 1 통관홀; 일면이 상기 볼 지지부 외측벽과 상접하고, 다른 일면이 상기 몸체부 일면과 상접하는 돌출부; 상기 볼이 내부에 수용되고, 외측에는 나사가 형성된 볼트부; 상기 볼 안착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이 수용되는 공극부; 상기 중공부에 수용된 볼이 안착되는 볼 안착부; 상기 볼트부의 외측벽에 위치하는 제 2 통관홀; 상기 볼 지지부가 상기 볼트부에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돌출부 수용부; 및 상기 볼 지지부가 상기 볼트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통관홀과 상기 제 2통관홀을 관통하는 폴;을 포함한다.The holding device includes: a ball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ball to be rotated; And a ball concealing part which is rotated and engaged with the ball receiving part, wherein the ball receiving part comprises: a body part; A ball supporting portio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ball is inserted; A first clearance hole located on an outer wall of the ball supporting portion; A protrusion having one surface abutted against the outer wall of the ball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abutting against the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bolt portion accommodating the ball therein and having a screw formed on the outer side thereof; A ball portion formed in the ball receiving portion and receiving the ball; A ball receiving portion on which the ball received in the hollow portion is seated; A second clearance hole located on an outer wall of the bolt portion; A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when the ball suppor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olt portion; And a pole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when the ball suppor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olt portion.

상기 볼 은폐부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와 체결되는 너트부; 상기 너트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 되고,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는 연장형성부; 상기 연장형성부 외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걸림턱; 상기 연장형성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지탱부; 및 상기 연장형성부가 상기 지탱부 내부로 기준거리 이상 삽입되면, 상기 제 1 걸림턱을 상기 연장형성부가 삽입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미는 제 2 걸림턱; 을 포함한다.Wherein the ball concealment portion includes a nut portion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and fastened to the bolt portion; An extension forming part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nut part and having a screw formed therein; A first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wall of the extension forming part; A support portion for receiving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 therein; And a second latching jaw that pushes the first latching jaw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extending portion is inserted when the exten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beyond a reference distance. .

본 발명은 물체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구 형상의 볼을 지탱 장치 외부로 현출하고 상기 볼의 회전에 따른 미끄럼 마찰을 굴림 마찰로 변화시켜서 상기 물체의 이동에 따른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bject needs to be moved, a spherical ball is moved out of the support device, and sliding friction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ball is changed into rolling friction, thereby reducing resistance due to movement of the object.

본 발명은 물체를 부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구 형상의 볼을 지탱 장치 내부로 엄폐하여, 지탱장치와 지면과의 마찰을 높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bject needs to be floated, the spherical ball is covered inside the support device,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 between the support device and the groun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can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that is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지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지탱 장치의 볼 수용부 및 볼 은폐부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볼 수용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볼 은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볼 수용부와 상기 볼 수용부 상부에 결합 가능한 물체를 도시한다.
도 6은 지탱 장치와 상기 지탱 장치와 결합된 물체를 도시한다.
도 7의 (a) 내지 (c)는 볼 은폐부가 볼 수용부에 결합된 정도에 따른 절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볼 수용부 및 볼 은폐부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의 지탱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볼 수용부 및 볼 은폐부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의 지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볼 은폐부에 의해 볼이 가려진 상태에서의 지탱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볼 은폐부에 의해 볼이 가려진 상태에서의 지탱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볼 은폐부에 의해 볼이 가려진 상태에서의 지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연장형성부가 지탱부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4는 연장형성부가 지탱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5는 지탱 장치에 결합되는 컨트롤러를 도시한다. 도 16은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devic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a ball receiving portion and a ball concealing portion of the support device are separat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ll cloaking portion.
Fig. 5 shows a ball receiving portion and an object connectabl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Figure 6 shows a support device and an object engaged with the support device.
Figs. 7 (a) to 7 (c) show cut surfa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ngagement of the ball concealment portion with the ball receiving portion.
8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ball receiving portion and the ball concealing portion are fully engaged.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receiving portion and the ball concealing portion are fully engaged.
10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is covered by the ball concealment portion.
11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is covered by the ball concealment por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is covered by the ball concealment portion.
Figure 13 shows the process in which the extension form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extending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upport portion.
Figure 15 shows a controller coupled to a support device. 16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elemen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In addition, " including "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시스템을 변경이나 플러그인 가능하도록 구성한 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 block " refers to a block of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ed to be changed or pluggable, i.e., a unit or block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in hardware or software.

도 1은 지탱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은 지탱 장치(1)의 볼 수용부(10) 및 볼 은폐부(40)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볼 수용부(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볼 은폐부(40)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device 1.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of the support device 1 are separat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Fig.

지탱 장치(1)는 회전 운동하는 볼(50)을 수용하는 볼 수용부(10); 및 상기 볼 수용부(10)와 회전하여 체결되는 볼 은폐부(40);를 포함하되, 상기 볼 수용부(10)는 몸체부(27); 상기 몸체부(27)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볼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23)을 포함하는 볼 지지부(21); 상기 볼 지지부(21) 외측벽에 위치하는 제 1 통관홀(25); 일면이 상기 볼 지지부(21) 외측벽과 상접하고, 다른 일면이 상기 몸체부(27) 일면과 상접하는 돌출부(26);상기 볼(50)이 내부에 수용되고, 외측에는 제 1 나사(33)가 형성된 볼트부(30); 상기 볼 안착부(37)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50)이 수용되는 공극부(31); 상기 중공부에 수용된 볼(50)이 안착되는 볼 안착부(37); 상기 볼트부(30)의 외측벽에 위치하는 제 2 통관홀(35); 상기 볼 지지부(21)가 상기 볼트부(30)에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26)를 수용하는 돌출부 수용부(36); 및 상기 볼 지지부(21)가 상기 볼트부(30)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통관홀(25)과 상기 제 2통관홀을 관통하는 폴(53);을 포함한다.The supporting device (1) comprises a ball receiving portion (10) for receiving a ball (50) to be rotated; And a ball concealing part (40) which is rotated and engaged with the ball receiving part (10), wherein the ball receiving part (10) comprises a body part (27); A ball support portion 2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7 and including a groove 23 into which a part of the ball is inserted; A first clearance hole 25 located on an outer wall of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A protrusion 26 whose one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all support 21 and the other surfac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ody 27. The ball 50 is received therein and the first screw 33, A bolt portion 30 formed on the base portion 30; A void portion 31 formed in the ball receiving portion 37 to receive the ball 50; A ball receiving portion 37 on which the ball 50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is seated; A second clearance hole 35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bolt portion 30; When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bolt portion 30,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36 receives the protrusion 26; And a pawl 53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25 and the second through-hole when the ball support 21 is inserted into the bolt 30.

지탱 장치(1)는 임의의 물체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물체를 지지한다. 상기 물체는 선반장의 받침대와 결합되는 지지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선반장의 받침대는 사물을 거치하도록 상기 사물의 아래에 받치어 놓는 대이고, 지지축은 상기 받침대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축이다. 상기 지지축 등의 물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지탱 장치(1)는 상기 물체의 이동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The support device 1 is coupled to any object to support the object from the ground. The objec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support shaft coupled with a pedestal of the shelf. The base of the shelf is supported under the object to mount an object, and the support shaft is an ax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base so that the base is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The supporting device 1,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object such as the support shaft, facilitates the movement and fixing of the object.

지탱 장치(1)는 회전 운동하는 볼(50)을 수용하는 볼 수용부(10); 및 상기 볼 수용부(10)와 회전하여 체결되는 볼 은폐부(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볼 수용부(10)와 볼 은폐부(40)는 결합 또는 분리된다. 상기 볼 수용부(10)와 볼 은폐부(40)가 결합된 정도에 따라 상기 볼의 회전 운동 가능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supporting device (1) comprises a ball receiving portion (10) for receiving a ball (50) to be rotated; And a ball concealing part 40 which is rotated and fastened to the ball receiving part 10. 1 and 2,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are joined or separated. Whether the ball can be rotated or not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engagement betwee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볼 수용부(10) 하부와 볼 은폐부(40) 상부는 경우에 따라 서로 맞닿아 있거나 서로 이격된다. 즉, 볼 수용부(10) 하부와 볼 은폐부(40) 상부는 마찰로 인해 손상될 여지가 크다. 이에 따라 볼 수용부(10)의 하부 표면과, 볼 은폐부(40)의 상부 표면에는 밀봉재가 형성된다. 도 2에서 볼 수용부(10)의 하부 표면에는 밀봉재가 형성됨을 도시하였으나, 도 2의 각도상 볼 은폐부(40)의 상부 표면에는 밀봉재가 형성되었음은 도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볼 은폐부(40)의 상부 표면에도 밀봉재가 형성되었음은 자명하다.The lower portion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are sometim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are likely to be damaged due to friction. Thus, a seal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2, a seal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but it is not shown that the sealing material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gular ball covering portion 40 of FIG. However, it is apparent that a sealing material is also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재(61)는 실리콘 수지, 이황화 몰리브덴, 구리 분말 및 소듐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밀봉용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sealing material 6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med of a sealing composition comprising a silicone resin, molybdenum disulfide, copper powder and sodium silicate.

실리콘 수지는 밀봉재(61)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한 바인더 수지로서, 분자구조는 규소와 산소가 번갈아 있는 실록산 결합(Si-O 결합)의 형태를 갖고 있으며, 규소는 메틸기, 페닐기, 및 히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실리콘 수지는 상업적으로 입수하거나, 당해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촉매를 사용하여 금속 규소와 염화메틸을 약 300℃ 에서 반응시키면 디메틸디클로로실란, 메틸트리클로로실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얻어지는데, 이것을 가수분해하여 생성된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The silicone resin is a binder resin for forming the composition of the sealing material 61. The silicone resin has a molecular structure in the form of a siloxane bond (Si-O bond) in which silicon and oxygen alternate, and silicon has a group of a methyl group, a phenyl group, Lt; / RTI > Silicone resins are commercially available or can be prepared by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by reacting metal silicon with methyl chloride at about 300 DEG C using a catalyst, dimethyldichlorosilane, methyltrichlorosilane or A mixture of these is obtained, and a silicone resin produced by hydrolysis thereof can be used.

이황화 몰리브덴(MoS2)는 화강암 속에 함유 되어 얇은 광맥으로 발견되어 채굴하는 재료로서, 윤활성분으로 사용된다. 이황화 몰리브덴(MoS2)은 그래파이트(graphite)와 같이 전단이 발생하기 쉬운 형태의 육각형의 결정 구조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나, 윤활 작용은 그래파이트보다 우수하다. 이황화 몰리브덴은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0~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황화 몰리브덴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밀봉용 조성물의 접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밀봉용 조성물의 접착성이 떨어지게 되면 롤러 표면에 밀봉재(61)가 고정되기 어렵다.Molybdenum disulfide (MoS 2 ) is found in thin veins in minerals and is mined and used as a lubricant. Molybdenum disulfide (MoS 2 ) has inherent properties of a hexagonal crystal structure in which shear is likely to occur, such as graphite, but the lubricating action is superior to that of graphite. The molybdenum disulfide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based on the solid content. When the amount of the molybdenum disulfide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the abrasion resistance can not be improved effectively, and when it exceeds 20 parts by weight, the adhesion of the sealing composition may be deteriorated. If the adhesiveness of the sealing composition deteriorates, it is difficult for the sealing material 61 to b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roller.

구리 분말은 이황화 몰리브덴과 같이 윤활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황화 몰리브덴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 분말은 마찰면에 자기윤활(self-lubricanting) 및 자기복구(self-repairing) 코팅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밀봉재(61)의 항마모성 및 항마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리분말은 윤활성분의 보조성분으로서,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구리 분말에 의한 내마모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밀봉용 조성물의 혼합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The copper powder is used as a lubricating component such as molybdenum disulfide, and is preferably used together with molybdenum disulfide. The copper powder can reduce the anti-wear and anti-friction properties of the sealing material 61, which is produced by forming a self-lubricanting and self-repairing coating film on the friction surface. The copper powder is preferably an auxiliary component of the lubricating component and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based on the solid content.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brasion resistance by the copper powder can not be obtained.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5 parts by weight, there is a concern that the mixing property of the sealing composition may be inhibited.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는 롤러 표면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접착제와는 달리 공해를 유발시키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며, 접착력이 우수하다. 소듐 실리케이트는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0~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듐 실리케에트가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마모성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Sodium silicate is used to improve adhesion to roller surface. It does not cause pollution unlike existing adhesives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s excellent adhesion. The sodium silicate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20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based on the solid content. When the amount of sodium silicate is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adhesion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there is a fear that abrasion resistance may be lowered.

밀봉용 조성물은 밀봉재(61)의 기능 향상을 위하여 추가적인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산화 안티몬(Sb2O3)을 포함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클레이(clay)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리카 에어로젤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auxiliary component for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sealing material 61. That is, it may contain antimony oxide (Sb 2 O 3 ) to improve heat resistance, may include clay to improve durability, and may include silica airgel to improve heat insulation.

산화 안티몬은 밀봉재(61)의 내열성 향상 및 열팽창계수를 저하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안티몬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열팽창계수를 충분히 작게 할 수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밀봉용 조성물의 혼합성이 저해될 수 있다. 롤러는 기판과 접촉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마찰열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롤러 표면에 형성된 밀봉재(61)는 내열성이 커야 한다.The antimony oxide is used for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ealing material 61 and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based on the solid content. If the amount of the antimony oxide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an not be sufficiently reduced, and 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mixing property of the sealing composition may be impaired. Friction heat may be generated as the roller continuously rotate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61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oller must have high heat resistance.

클레이는 가느다란 함수 규산염 광물의 집합체로서, 적당량의 물을 섞어 반죽하면 가소성이 생기고, 건조시키면 강성을 나타내며, 높은 온도에서 구우면 소결하는 물질로서, 밀봉재(61)의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클레이는 해포석 및/또는 벤토나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 해포석과 벤토나이트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레이는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클레이에 의한 내구성 강화 효과를 얻을 수 없고,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밀봉재(61) 조성물의 혼합성이 저해되어 밀봉재(61)가 효과적으로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Clay is an aggregate of fine hydrated silicate minerals. It is used to strengthen the durability of the sealing material 61 as a material which is mixed with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and kneaded to produce plasticity, shows rigidity when dried, and sintered at high temperature. Concretely, clay may use kaolinite and / or bentonite, and it is preferable to mix kaolinite and bentonite in a weight ratio of 1: 1 in order to obtain the best effect. The clay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on a solid basis. If it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durability enhancement effect by clay can not be obtained. If it exceeds 3 parts by weight, the mixing property of the composition of the sealing material 61 is impaired and the sealing material 61 may not be effectively produced.

실리카 에어로젤은 높은 표면적(500~1,200 m2/cm3)을 가지고 많은 나노 기공을 가지고 있으며(88~99.8%) 낮은 밀도(~0.003 g/cm3), 높은 열 차단성(0.005 W/mK)을 가진 것으로서, 졸-겔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고, 밀봉재(61)가 챔버(10) 내벽과의 마찰에 의한 열을 플런저(20)로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실리카 에어로젤은 고형분 기준으로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에어로젤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밀봉재(61)의 내구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Silica aerogels have a high surface area (500 to 1,200 m 2 / cm 3 ), many nanopores (88 to 99.8%), low density (~ 0.003 g / cm 3 ) and high thermal barrier properties (0.005 W / Gel method and is used to improve the heat insulating property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61 does not transmit heat due to friction with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10 to the plunger 20. [ The silica airgel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resin based on the solid content. When the amount of the silica airgel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a sufficient heat insulating effect can not be obtained. When the amount is more than 15 parts by weight, the durability of the sealing material 61 may be deteriorated.

이하, 구체적인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perimental examples.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실리콘 수지 100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 15 중량부, 구리 분말 3 중량부, 소듐 실리케이트 2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밀봉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silicone resin, 15 parts by weight of molybdenum disulfide, 3 parts by weight of copper powder and 25 parts by weight of sodium silicate were mixed to prepare a sealing composition.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산화 안티몬 8 중량부, 클레이 2 중량부(해포석과 벤토나이트를 1:1의 중량비로 혼합), 실리카 에어로젤 10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밀봉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8 parts by weight of antimony oxide, 2 parts by weight of clay (mixture of sea salt and bentonite in a weight ratio of 1: 1) and 10 parts by weight of silica airgel were further added to prepare a sealing composition.

[실험예 1 : 내마모성 테스트][Experimental Example 1: Abrasion resistance test]

제조예 1 및 2의 밀봉용 조성물을 롤러 표면에 도포 및 건조하여 밀봉재(61)를 형성하고, 기판 이송 작업을 24시간 수행 후, 밀봉재(61)의 외관 상태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기준은 ○(마모흔적 거의 없음), △(10%~30% 마모), X(30% 이상의 마모)로 하였다.The sealing compositions of Production Examples 1 and 2 were coated on the roller surface and dried to form the sealing material 61. After the substrate transferring operation was performed for 24 hours, the appearance of the sealing material 61 was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and the criteria were O (almost no signs of wear),? (10% to 30% wear), and X (wear of 30% or more).

[표 1][Table 1]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1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1

상기 표 1과 같이, 제조예 1, 2 모두 밀봉재(61)의 상태는 양호한 편이었으나, 제조예 2의 밀봉재(61)의 내마모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As shown in Table 1, the sealing material 61 of each of Production Examples 1 and 2 was in a good condition, but it was judged that the sealing material 61 of Production Example 2 was more excellent in abrasion resistance.

[실험예 2 : 내열성 테스트][Experimental Example 2: Heat resistance test]

도금 부착량이 편면 기준 25/㎡ 인 전기아연도금강판 상에 파카라이징사의 인산아연계 인산염 처리제인 PALBOND 3050을 이용하여 인산염층을 3g/m2 부착량으로 형성시킨 후, 상기 인상염층 상에 제조예 1 및 2의 밀봉용 조성물을 3g/m2 부착량으로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한 후, 500℃ 전기 오븐에서 24시간 유지하고 피막에 X-컷(cut)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 : 박리폭 3mm 이하, X : 박리폭 3mm 초과)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A phosphate layer was formed with an amount of 3 g / m 2 on the electroplated galvanized steel sheet having a plating amount of 25 / m 2 on one side using PALBOND 3050, Phosphoric Acid Phosphate Phosphate Treatment Agent of Parkerizing Co., And 2 were coated at a coating amount of 3 g / m 2 to form a film, and then the film was held in an electric oven at 500 ° C. for 24 hours. The film was cut in an X- 3 mm or less, and X: peeling width exceeding 3 m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표 2][Table 2]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2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2

상기 표 2와 같이, 제조예 1, 2 모두 밀봉재(61)의 상태는 양호한 편이었으나, 제조예 2의 밀봉재(61)의 내열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As shown in Table 2, although the state of the sealing material 61 was good in both of Production Examples 1 and 2, it was judged that the heat resistance of the sealing material 61 of Production Example 2 was more excellent.

상기 볼 수용부(10)는 회전 운동하는 볼(50)을 수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볼 수용부(10)는 볼(50)을 내재한다. 볼 은폐부(40)와 분리된 상태에서 볼 수용부(10)는 볼의 일부를 노출한다. 상기 볼은 볼의 중심 주위를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는 회전 운동을 한다. 상기 볼은 한 점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모든 점으로 이루어진 입체이다.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receives a ball 50 that is rotating. Referring to FIG. 2,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has a ball 50 therei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when separated from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exposes a part of the ball. The ball rotates around the center of the ball in a circular motion. The ball is a solid consisting of all points at the same distance from one point.

상기 볼 은폐부(40)는 상기 볼 수용부(10)와 회전하여 체결된다. 볼 은폐부(40) 내부로 볼 수용부(10)의 일부가 삽입된 후, 상기 볼 은폐부(4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볼 은폐부(40)와 볼 수용부(10)는 결합된다.The ball concealment portion 40 is rotated and fastened to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A part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is inserted into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and then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and the ball receiving portion 40 are rotated as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10) are combin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볼 수용부(10)는 몸체부(27); 상기 몸체부(27)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볼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23)을 포함하는 볼 지지부(21); 상기 볼 지지부(21) 외측벽에 위치하는 제 1 통관홀(25); 일면이 상기 볼 지지부(21) 외측벽과 상접하고, 다른 일면이 상기 몸체부(27) 일면과 상접하는 돌출부(26); 상기 볼(50)이 내부에 수용되고, 외측에는 제 1 나사(33)가 형성된 볼트부(30); 상기 볼 안착부(37)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50)이 수용되는 공극부(31); 상기 중공부에 수용된 볼(50)이 안착되는 볼 안착부(37); 상기 볼트부(30)의 외측벽에 위치하는 제 2 통관홀(35); 상기 볼 지지부(21)가 상기 볼트부(30)에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26)를 수용하는 돌출부 수용부(36); 및 상기 볼 지지부(21)가 상기 볼트부(30)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통관홀(25)과 상기 제 2통관홀을 관통하는 폴(5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includes a body portion 27; A ball support portion 21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7 and including a groove 23 into which a part of the ball is inserted; A first clearance hole 25 located on an outer wall of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26) having one surface abutting the outer wall of the ball support portion (21) and the other surface abutting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7); A bolt portion 30 in which the ball 50 is accommodated and a first screw 33 is formed on an outer side; A void portion 31 formed in the ball receiving portion 37 to receive the ball 50; A ball receiving portion 37 on which the ball 50 accommodated in the hollow portion is seated; A second clearance hole 35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bolt portion 30; When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bolt portion 30,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36 receives the protrusion 26; And a pawl 53 passing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25 and the second through-hole when the ball support 21 is inserted into the bolt 30.

몸체부(27) 상면에는 후술할 물체가 결합된다. 몸체부(27) 하면에는 후술할 볼 수용부(10)의 세부 구성이 배치된다. 몸체부(27)는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부분이 모나지 아니하고 굽은 곡선으로 형성된 사각기둥 형태이다.An object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7.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ball receiving portion 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7. [ The body portion 27 has a square pillar shape formed by a curved line rather than a portion connecting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볼 지지부(21)는 상기 몸체부(27)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볼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23)을 포함한다. 볼 지지부(21)는 상기 몸체부(27)의 일면, 자세하게는 하면에 배치된다. 즉, 몸체부(27)의 후술할 물체가 결합하는 면에 대향된 면에 볼 지지부(21)가 배치된다. 볼 지지부(21)는 하면 중심에 형성된 홈(23)을 포함한다. 즉, 볼 지지부(21)는 중공형 원기둥체로 후술할 볼트부(30)에 삽입된다. 자세하게는 볼 지지부(21)는 상기 볼의 일부가 홈(2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볼(50)을 고정한다.The ball support portion 21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7 and includes a groove 23 into which a part of the ball is inserted. The ball support portion 21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7, more specifically, on the lower surface. That is, the ball support portion 21 is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7 opposed to the surface to which an object to be described later is engaged.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includes a groove 2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That is,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bolt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In detail,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fixes the ball 50 such that a part of the ball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ball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3.

제 1 통관홀(25)은 상기 볼 지지부(21) 외측벽에 위치한다. 제 1 통관홀(25)은 볼 지지부(21)에 형성된 구멍이다. 상기 볼 지지부(21)가 후술할 공극부(31)로 삽입된 경우, 후술할 볼트부(30)에 형성된 제 2 통관홀(3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통관홀(25)이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through-hole (25) i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ball support (21). The first through hole 25 is a hole formed in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When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air gap portion 31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through hole 25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hrough hole 35 formed in the bolt portion 30 to be described later .

돌출부(26)는 일면이 상기 볼 지지부(21) 외측벽과 상접하고, 다른 일면이 상기 몸체부(27) 일면과 상접한다. 상기 볼 지지부(21)가 공극부(31)로 삽입된 경우, 상기 돌출부(26)는 후술할 돌출부 수용부(36)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볼 지지부(21)가 공극부(31)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란 상기 돌출부(26)가 상기 돌출부 수용부(36)에 수용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돌출부(26)가 상기 돌출부 수용부(36)에 수용된 상태는 물리적으로 돌출부(26)가 상기 돌출부 수용부(36)에 맞닿거나 거의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상기 돌출부(26)가 상기 돌출부 수용부(36)에 수용되면, 상기 제 1 통관홀(25)과 상기 제 2 통관홀(35)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놓인다. 상기 제 1 통관홀(25)과 상기 제 2 통관홀(35)이 대응되는 위치에 놓였다는 것은 후술할 폴(53)이 제 2 통관홀(35)을 관통하고, 제 1 통관홀(25)을 관통하여 공극부(31)로 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One surface of the projection 26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ball support 21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projection 26 is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body 27. When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cavity portion 31, the projection portion 26 can be received in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36 to be described later. The case where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avity portion 31 means that the projection portion 26 is accommodated in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36. The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26 is received in the protrud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36 is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26 is physically contacted or substantially abutted against the protrud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36. When the protruding portion 26 is received in the protrud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36, the first through-hole 25 and the second through-hole 35 ar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fact that the first clearance hole 25 and the second clearance hole 35 are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means that the pawl 53 will pass through the second clearance hole 35 and the first clearance hole 25, It is possible to penetrate through the gap 31 and reach the void portion 31.

볼트부(30)는 상기 볼(50)이 내부에 수용되고, 외측에는 제 1 나사(33)가 형성된다. 볼트부(30)도 중공형 원기둥체이다. 제 1 나사(33)는 나사선을 따라 홈(23)을 파서 형성된 것이다. 제 1 나사(33)는 볼트부(30)가 후술할 너트부(44)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 1 나사(33)는 나사선을 따라 홈(23)을 파낼 때 생기는 산 모양의 돌기인 나사산 및, 나사선을 따라 홈(23)을 파낼 때 생기는 홈(23)의 바닥인 나사골을 포함한다. The bolt portion 30 is accommodated in the ball 50 and the first screw 3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The bolt portion 30 is also a hollow cylindrical body. The first screw 33 is formed by cutting the groove 23 along the thread. The first screw 33 is configured to engage the bolt portion 30 with the nut portion 44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screw 33 includes thread-like protrusions formed when the grooves 23 are broken along the threads and threaded threads which are the bottoms of the grooves 23 formed when the grooves 23 are dislocated along the threads.

공극부(31)는 상기 볼 안착부(37)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50)이 수용된다. 공극부(31)는 전술한 중공으로 볼(50)이 수용될 정도의 공간을 포함한다.The ball portion 31 is formed in the ball receiving portion 37 to receive the ball 50. The void portion 31 includes a space enough to accommodate the ball 50 with the above-mentioned hollow.

볼 안착부(37)에 상기 중공부에 수용된 볼(50)이 안착된다. 볼트부(30) 상부에서 투입된 볼은 볼트부(30) 하부로 흘러나오지 않고, 볼 안착부(37)에 걸쳐진 채로 볼의 일부만 현로된다.And a ball 50 received in the hollow portion is seated on the ball receiving portion 37. The ball injec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olt portion 30 does not flow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lt portion 30 but only a part of the ball remains across the ball receiving portion 37. [

제 2 통관홀(35)은 상기 볼트부(30)의 외측벽에 위치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볼트부(3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 2 통관홀(35)이 형성된다.And the second through hole 35 i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bolt portion 30. [ In detail, a second through-hole 35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bolt portion 30.

돌출부 수용부(36)는 상기 볼 지지부(21)가 상기 볼트부(30)에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26)를 수용한다. 상기 돌출부 수용부(36)는 상기 볼트부(30)의 상단에 형성된다.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36 receives the protrusion 26 when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bolt portion 30.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36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lt portion 30.

폴(53)은 상기 볼 지지부(21)가 상기 볼트부(30)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통관홀(25)과 상기 제 2통관홀을 관통한다.The pawl 53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25 and the second through-hole when the ball support 21 is inserted into the bolt 30.

즉, 볼 수용부(10)가 포함하는 세부 구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공극부(31)로 투입된 볼은 볼 안착부(37)에 안착되어 볼트부(30) 하부로 일부만 노출된다. 볼(50)이 안착된 후 볼 지지부(21)는 돌출부(26)가 돌출부 수용부(36)에 끼어질 때까지 공극부(31)로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26)가 돌출부 수용부(36)에 끼어진 상태에서 대응되어 위치하는 제 1통관홀과 제 2 통관홀(35)으로 정해진 길이의 폴(53)이 삽입된다. 상기 폴(53)이 삽입됨에 따라 볼 지지부(21)와 볼트부(30)는 견고하게 결합되고, 볼은 그 일부가 상부에 위치하는 볼 지지부(21)의 홈(23)에 삽입되고, 볼은 볼 안착부(37)에 걸린 상태에서 그 일부가 볼트부(30) 밖으로 노출된다.In other words, as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the ball inserted into the gap 31 is seated on the ball receiving portion 37 and only a part of the ball is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lt 30. After the ball 50 is seated,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gap portion 31 until the projection portion 26 is engaged with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36, and the projection portion 26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36 The paired poles 5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35 locate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s the pawl 53 is inserted,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and the bolt portion 30 are firmly engaged and the ball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3 of the ball supporting portion 21, A part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lt portion 30 in a state in which it is caught by the ball receiving portion 37. [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볼 은폐부(40)는 내측에 제 2 나사(46)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30)와 체결되는 너트부(44); 상기 너트부(44)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 되고, 내측에 제 2 나사(46)가 형성되는 연장형성부(47, 49); 상기 연장형성부(47, 49) 외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걸림턱(48); 상기 연장형성부(47, 49)를 내부에 수용하는 지탱부(41); 및 상기 연장형성부(47, 49)가 상기 지탱부 내부로 기준거리 이상 삽입되면, 상기 제 1 걸림턱(48)을 상기 연장형성부(47, 49)가 삽입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미는 제 2 걸림턱(43); 을 포함한다.4, the ball concealment part 40 includes a nut part 44 having a second screw 46 formed therein and fastened to the bolt part 30; Extending portions (47, 49)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nut portion (44) and having a second screw (46) formed therein; A first latching protrusion (48) protruding from an outer wall of the extension forming part (47, 49); A support portion 41 for receiving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and 49 therein; (47, 49)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49) are inserted, when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49) A second latching jaw 43; .

너트부(44)는 내측에 제 2 나사(46)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30)와 체결된다. 상기 너트부(44)의 외측벽은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부분이 모나지 아니하고 굽은 곡선으로 형성된 사각기둥 형태이다. 상기 너트부(44)의 상부에 상기 볼트부(30)의 하부가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44) 또는 상기 볼트부(30)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너트부(44)와 볼트부(30)는 체결 또는 분리된다.The nut portion 44 has a second screw 46 formed therein and fastened to the bolt portion 30. The outer wall of the nut portion 44 is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having a curved line without connecting the portion connecting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When the nut portion 44 or the bolt portion 3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a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bolt portion 3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nut portion 44, (44) and the bolt (30) are fastened or separated.

연장형성부(47, 49)는 상기 너트부(44)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 되고, 내측에 제 2 나사(46)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나사(46)는 상기 연장형성부(47, 49) 내측과 상기 너트부(44) 내측 걸쳐 형성된다. 상기 제 2 나사(46)는 볼트부(30)가 너트부(44)로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볼트부(30) 외측에 형성된 제 1 나사(33)와 결합한다.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and 49 extend from one surface of the nut portion 44, and a second screw 46 is formed on the inner side. The second screw 46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and 49 and the inside of the nut portion 44. The second screw 46 is engaged with the first screw 33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lt portion 30 as the bolt portion 30 is inserted into the nut portion 44 and rotated.

제 1 걸림턱(48)은 상기 연장형성부(47, 49) 외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자세하게는 제 1 걸림턱(48)은 상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평행부(5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걸림턱(48)은 상부에서 하부로 감에 따라 경사진 제 1 경사부(56)를 포함 한다.The first stopping jaw 48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of the extending portions 47 and 49. In detail, the first latching jaw 48 includes a first parallel portion 57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The first latching jaw 48 includes a first inclined portion 56 inclin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지탱부(41)는 상기 연장형성부(47, 49)를 내부에 수용한다. 지탱부(41)의 외측벽은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부분이 모나지 아니하고 굽은 곡선으로 형성된 사각기둥 형태이다. 지탱부(41)는 볼(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지면과 항시 맞닿는다. 이에 따라 지탱부(41)는 지면의 마찰등의 요인으로 손상되지 않는 재질로 구현될 필요가 있다. 너트부(44)에 비해 얇은 지탱부(41)만을 강도가 우수한 상이한 재질로 구현함에 따라 지탱 장치(1)의 제조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41 accommodates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and 49 therein. The outer wall of the support portion 41 is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column formed by a curved line without a portion connecting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The support portion 41 always contacts the ground when the ball 5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ly, the support portion 41 needs to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damaged by the friction of the ground or the like. Only the support portion 41 thinner than the nut portion 44 is realized with a different material having excellent strength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upport device 1 can be reduced.

상기 지탱부(41)는 플라스틱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탈크 및 게르마늄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내열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틀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을 방사함으로써 신진 대사 촉진 및 제조된 지탱부(41)를 취급하는 작업자에게 유해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지탱부(41)는 지탱 장치(1)의 맨 하부에 위치하는 만큼 상부에 탑재될 물품을 보호하기 위해 내구성이 높아야 하고, 지면과 의 마찰로 인한 열을 견디는 내열성이 커야하고, 열로 인한 비틀림 현상이 없어야 하며, 지탱 장치(1) 인근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에 유해함이 없어야 한다.The support portion 41 comprises a plastic composition. The plastic composition includes polypropylene resin, high density polyethylene resin (HDPE), talc and germanium powder.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 can improve the twisting phenomenon, and can minimize toxicity to an operator who promotes metabolism and handles the manufactured support portion 41 by radiating far-infrared rays . Since the support portion 41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device 1, it is required to have high durability to protect the article to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to have high heat resistance to withstand heat due to friction with the ground, And should not be harmful to workers working near the support device (1).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는 성능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내용물과의 접촉에도 위해성이 없는 환경친화적인 소재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이고,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이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호모) 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호모 중합체와 랜덤 공중합체를 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olypropylene resin is a thermoplastic resin which is obtained by polymerization of propylene and is known a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which is inexpensive in performance and does not have a risk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tents of foods or cosmetics. The polypropylene resin is excellent in chemical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 And excellent in thermal properties. The polypropylene may us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propylene homopolymer, a random copolymer and a block copolymer, but a homopolymer and a random copolymer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3: 2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는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로서, 높은 유동성과 강성, 내충격성, 전기절연성, 성형성, 내한성이 뛰어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전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혼합하여 지탱부(41) 또는 제품 제조시 인장력을 강화하여 성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공지의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resin is a synthetic resin produced by polymerizing ethylene, and has excellent flowability, rigidity, impact resistance, electrical insulation, moldability, and cold resistance.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resin may be mixed with the above-mentioned polypropylene resin to improve the moldability by reinforcing the tensile forc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support portion 41 or the product, and a variety of known products may be used.

탈크는 플라스틱 조성물의 강도, 내열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150~200 메시(mesh)의 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크는 다른 충전재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돌로마이트 분말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도 있다.The talc improves the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he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of the plastic composition,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talc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150 to 200 mesh for mixing with polypropylene resin or the like. The talc may be used in admixture with other filler components, and may preferably be mixed with the dolomite powder at a weight ratio of 1: 1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durability of the plastic composition.

게르마늄은 은백색의 준금속으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을 다량 방사하여 신진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게르마늄은 반도체적 성질로 인해 피부에 접촉하면 게르마늄 이온(외곽전자)이 체내에 들어가 생명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체내에 들어가면 각종 유해물질과 함께 20~30시간 안에 몸 밖으로 배출되므로 중독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다. 특히, 무기게르마늄의 입자가 사람의 피부와 접하게 되면 외곽전자의 침투압 활동으로 피부조직 속으로 반도체 성질이 들어간다. 피하조직 속의 모세혈관까지 침투한 게르마늄은 혈관벽을 통해서 혈관 속에 있는 전자를 이동시키며, 혈액정화작용을 하여 혈액을 정상화시키고 과잉 전자 흐름을 방전시켜 통증을 면하게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르마늄은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게르마늄 원석을 3cm 이하로 잘게 절단한 후, 절단된 게르마늄 원석을 80~100 메쉬의 입도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Germanium is a silvery white metal, which has the effect of promoting metabolism by emitting a large amount of far infrared rays and anions which are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Also, due to its semiconducting nature, germanium has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vitality of germanium ions (outer electrons) when the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kin. When entering the body, it is released out of the body within 20 ~ 30 hours with various harmful substances, so there is no poisoning or side effects at all. Particularly, when the particles of inorganic germanium come into contact with human skin, semiconductor properties are introduced into the skin tissue by the osmotic action of the outer electron. It has been found that germanium, which penetrates into capillaries in subcutaneous tissues, moves electrons in the blood vessels through the blood vessel walls, performs blood purification, normalizes blood, and discharges excess electron flow to relieve pain. The germanium can be used in the form of powder. It is preferable that the germanium ore is finely cut to 3 cm or less and then the cut germanium ore is pulverized to a particle size of 80 to 100 mesh.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10~130 중량부, 탈크 170~190 중량부 및 게르마늄 분말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지탱부(41)를 제조할 경우, 뒤틀림 현상 등을 배제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 비중은 1.02~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1.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10 중량부 미만이거나, 탈크가 170 중량부 미만이면,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강화시키기 제한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30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탈크가 19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이 늘어나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게르마늄 분말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게르마늄으로 인한 원적외선 방출 효과 등이 발현되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되어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The plastic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110 to 130 parts by weight of high-density polyethylene resin, 170 to 190 parts by weight of talc, and 1 to 10 parts by weight of germanium powder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propylene resin. When the support portion 41 is manufactured using the plastic composition,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specific gravity of the plastic composition in order to eliminate the twisting phenomenon. The specific gravity is preferably 1.02 to 1.10, more preferably 1.03 to 1.05 . That is, when the content of the high-density polyethylene resin is less than 110 parts by weight or the talc is less than 17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propylene resi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and the like are limited. Is more than 130 parts by weight or the talc is more than 190 parts by weigh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plastic composition is increased and the moldability may be deteriorated. If the amount of the germanium powder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propylene resin, far infrared rays emission effect due to germanium is difficult to manifest. If the amou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

한편, 상술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기계적 물성, 혼합성, 성형성, 항균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첨가제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stic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various additives in order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mixing properties, moldability,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마늘 추출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천연 접착 성분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등 다른 구성 성분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바인더로 기능한다. 마늘 추출액은 마늘의 껍질을 벗기고 분쇄한 후, 마늘 1 중량부 당 2~3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고, 80~100℃에서 5시간 이상 가열한 후, 액체성분을 추출하여 여과하며, 이어서 여과된 액체성분을 55~60℃에서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늘 추출액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0~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 추출액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탈크 등을 적절하게 엉겨 붙게 하지 못해 지탱부(41) 제조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각 성분의 분산성 및 혼합성이 오히려 저하될 우려가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astic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garlic extract. The garlic extract is a natural adhesive component and functions as a binder for improving the mixing property with other constituents such as a polypropylene resin and a high-density polyethylene resin. The garlic extract is peeled and crushed, and 2 to 3 parts by weight of water is added per 1 part by weight of garlic. After heating at 80 to 100 캜 for 5 hours or more, the liquid component is extracted and filtered, The liquid component can be prepared by concentrating at 55 to 60 占 폚. The garlic extrac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propylene resin. When the content of the garlic extract i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the polypropylene resin and talc can not be properly entangl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41 may not be uniformly formed. When the amount of the garlic extract is more than 20 parts by weigh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ispersibility and the mixing property may be lowered.

이때, 마늘 추출액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당(C12H22O11)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당은 조성물 전체의 혼합성을 개선하여 지탱부(41)를 제조하기 위한 연신 과정에서 박막 형태로 압출될 수 있도록 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 과정에서 점성이 생겨 이취 문제를 발생시키는 분자를 잡을 수 있어 이취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자당은 120 메쉬(mesh) 망으로 거른 1~120 ㎛ 입자 크기가 95 wt% 이상 포함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당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자당에 의해 발현되는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플라스틱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균일한 시트의 형성이 어렵다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a sucrose (C12H22O11) powder may be mixed and used to supplement the function of the garlic extract. The sucrose can be extrud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during the stretching process for preparing the support portion 41 by improving the mixing property of the whole composition, and is capable of catching molecules that cause viscosity problems during mixing with the polypropylene resin, And it can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of bad odor. The sucrose is preferably a powder having a particle size of from 1 to 120 탆 in an amount of 95 wt% or more, which is filtered through a 120-mesh net, and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propylene resin. When the content of sucrose is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effect expressed by sucrose is insignificant. When the amount of the sucrose is more than 5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plastic composition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 uniform sheet.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백토 분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백토(Kaolin)는 카올리나이트와 할로이사이트를 주원료로 하는 백색의 점토로, 마모 및 열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다. 백토는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토가 5 중량부 미만이면, 외부 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약한 문제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압축강도가 떨어지는 등 기계적 물성의 상승 효과가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lastic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clay powder. Kaolin is white clay based on kaolinite and halloysite, and has excellent resistance to abrasion and thermal shock. The clay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propylene. If the amount of the clay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sistance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s weak. If the amou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a synergistic effect of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a decrease in compressive strength may not be exhibited.

플라스틱 조성물은 이산화티탄(TiO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산화티탄은 플라스틱 조성물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전재로 기능할 수 있다. 이산화티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산화티탄이 5 중량부 미만이면, 플라스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지탱부(41)의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다른 구성성분들과의 배합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The plastic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titanium dioxide (TiO2). The titanium dioxide can serve as a filler capable of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of the plastic composition. The titanium dioxide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5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propylene resin. If the amount of the titanium dioxide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support portion 41 formed by the plastic composition can not be effectively improved. If the amount exceeds 15 parts by weight,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This may not be good.

플라스틱 조성물은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은 플라스틱 조성물의 항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항균제로 기능한다. 수산화알루미늄은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헤마이트는 γ-보헤마이트, α-보헤마이트 및 유사 보헤마이트(Pseudo-Boehmite)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결정성이 뛰어나서 열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중성이며, 항균 특성이 뛰어난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γ-보헤마이트는 물(순수)과 알루미늄(Al)만의 초임계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산화 알루미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달성하고자 하는 항균 효과를 발현시키기 힘들고, 7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The plastic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luminum hydroxide. Aluminum hydroxide functions as an antimicrobial agent capable of improving the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he plastic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boehmite (AlOH (OH)) as the aluminum hydroxide. Boehmite can be any of γ-boehmite, α-boehmite and pseudo-boehmite. Of these, γ-boehmite excellent in crystallinity and excellent in thermal stability and chemical stability, structurally neutral, and excellent in antibacterial property is preferably used. The γ-boehmite can be prepared by supercritical synthesis of only water (pure water) and aluminum (Al). The aluminum hydroxide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2 to 7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propylene resin. If the content of aluminum hydroxide is less than 2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exhibit the antimicrobial effect to be achieved. If the content is more than 7 parts by weight, the compatibility with other components may be impaired.

또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조되는 지탱부(41)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색소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plastic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dispersant, an antifoaming agent or the like within the range not hinder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pigment component to realize various colors of the support portion 41 to be produced.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실시예][Example]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재료는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였다. 마늘 추출액의 경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대로 제조하였고, 수산화알루미늄은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였다.A plastic composi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Each material was made of commercially available material. In the case of garlic extract, it was prepared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luminum hydroxide used was gamma-boehmite.

[표 1][Table 1]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3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3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실시예 1~5의 조성물을 가열한 후, 연신하여 10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였고, 시트 표면의 균일도를 확인하였고, 이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균일도는 레이저 센서(N2 레이저, 발진파장 337.1nm, UDHO Laser. LTD.,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30개의 지점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들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측정(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ㅁ0.3 이하는 균일한 것으로, ㅁ0.3 초과는 불균일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및 5는 길이방향으로 3차 연신과정을 거쳤으며, 실시예 2~4는 길이방향, 폭방향, 길이방향 순으로 3차 연신과정을 거쳤다.The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5 were heated and then stretched to prepare a plastic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0 mm. The uniformity of the sheet surface was confirmed, and it is shown in Table 2 below. The uniformity was measured using a laser sensor (N 2 laser, oscillation wavelength 337.1 nm, UDHO Laser., Japan), and 30 points were randomly selected to measure their surface roughness ㅁ 0.3 is less than 0.3, and more than 0.3 is not. Here, Examples 1 and 5 were subjected to a third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amples 2 to 4 were subjected to a third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표 2][Table 2]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4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4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5의 경우, 제조된 시트의 균일도는 모두 양호한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3의 균일도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2,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5, the uniformity of the produced sheet was all good.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the uniformity of Example 3 was the most excellent.

[실험예 2 : 비틀림 테스트][Experimental Example 2: Torsion Test]

실시예 1~5의 조성물을 가열한 후, 연신하여 2mm 두께의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한 후, 성형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100개씩 제조하였고, 이때, 최종 제품의 완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 및 5는 길이방향으로 3차 연신과정을 거쳤으며, 실시예 2~4는 길이방향, 폭방향, 길이방향 순으로 3차 연신과정을 거쳤다. 참고로, 도 2는 양호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불량한 상태(비틀림 현상)를 나타낸 도면이다.The compositions of Examples 1 to 5 were heated and then stretched to prepare a plastic sheet having a thickness of 2 mm and then molded to produce 100 plastic articles. At this time, the finished product was evaluated for completeness, . Here, Examples 1 and 5 were subjected to a third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amples 2 to 4 were subjected to a third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a good state,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it is in a bad state (twist phenomenon).

[표 3][Table 3]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5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5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2~4의 경우, 90% 이상 정상 제품을 만들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3의 경우, 불량률이 매우 적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3, in Examples 2 to 4, more than 90% of normal products could be made. Particularly, in Example 3, the defective rate was very small.

[실험예 3 : 이취 테스트][Experimental Example 3: Odor test]

암모니아 가스를 이용하여 실시예 1 및 3에 대해 이취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최초 농도 측정 후, 5분 후의 농도를 측정하여 탈취율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An odor test was carried out for Examples 1 and 3 using ammonia gas. After the initial concentration measurement, the concentration after 5 minutes was measured and the deodorization rate was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표 4][Table 4]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6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6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탈취 효과가 거의 없었으나, 실시예 3의 경우 일부 탈취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4, it was found that Example 1 had little deodorizing effect, but Example 3 showed some deodorizing effect.

[실험예 4 : 항균성 테스트][Experimental Example 4: Antimicrobial Test]

실시예 1 및 3의 조성물에 대해 항균력 테스트(JIS Z 2801)를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황색포도상구균), Escherichia coli ATCC 25922(대장균)을 사용하였고, 항균력(항균 활성치)을 평가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The compositions of Examples 1 and 3 were test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JIS Z 2801).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ATCC 25922 (Escherichia coli) were used as the test strains,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tibacterial activity value) was evaluated.

[표 5][Table 5]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7
Figure 112018044621426-pat00007

항균 활성치란 일정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의 수를 비교하여 항균정도를 평가한 값으로서, 그 값이 1 이상이면 90% 이상의 균주가, 2 이상이면 99% 이상의 균주가, 3 이상이면 99.9% 이상의 균주가, 4 이상이면 99.99% 이상의 균주가, 5 이상이면 99.999% 이상의 균주가 사멸되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실시예 3의 경우, γ-보헤마이트에 의한 항균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 antimicrobial activity value refers to a value obtained by evaluating the degree of antimicrobial activity by comparing the number of strains cultur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value is 1 or more, 90% or more of the strains are present, 2 or more are 99% , More than 99.99% of the strain is over 4, and more than 5 is more than 99.999% of the strain is killed. In the case of Example 3,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bacterial effect by γ-boehmite was exhibited.

제 2 걸림턱(43)은 상기 연장형성부(47, 49)가 상기 지탱부 내부로 기준거리 이상 삽입되면, 상기 제 1 걸림턱(48)을 상기 연장형성부(47, 49)가 삽입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민다. 제 2 걸림턱(43)은 하부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2 평행부(55)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걸림턱(43)은 하부에서 상부로 감에 따라 경사진 제 2경사부를 포함한다. 연장형성부(47, 49)가 지탱부 내부로 삽입되면, 먼저 제 1 경사부(56)와 제 2 경사부(54)가 접촉한다. 이후 연장형성부(47, 49)를 삽입된 방향으로 더 압박하면 제 1 걸림턱(48)은 제 2 걸림턱(43)을 타고 넘어가 제 1 평행부(57)와 제 2 평행부(55)가 마주한다. 제 1 평행부(57)와 제 2 평행부(55)가 마주하면 지탱부(41)는 상기 연장형성부(47, 49)에 완전히 결합된 것이다. 상기 지탱부(41)는 연장형성부(47, 49)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할 수 있다.When the extension portions 47 and 49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beyond the reference distance, the second stopping protuberance 43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pping protrusion 48 so that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and 49 are insert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The second latching jaw 43 includes a second parallel portion 55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The second latching jaw 43 includes a second inclined portion inclin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When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and 49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the first inclined portion 56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54 firs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extension portions 47 and 49 are further pushed in the inserted direction, the first latching jaw 48 rides over the second latching jaws 43 to move the first parallel portion 57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55, Face each other. When the first parallel portion 57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55 face each other, the support portion 41 is completely engaged with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and 49. The support portion 41 is rotatable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and 49.

도 5는 볼 수용부(10)와 상기 볼 수용부(10) 상부에 결합 가능한 물체를 도시한다. 도 6은 지탱 장치(1)와 상기 지탱 장치(1)와 결합된 물체를 도시한다.5 shows an object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Fig. 6 shows a support device 1 and an object coupled with the support device 1. Fig.

상기 볼 수용부(10)가 포함하는 몸체부(27)는 물체가 결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물체는 선반용 지지대(60)이다. 상기 볼 수용부(1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선반용 지지대(60)가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28)(2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8)(23)은 상기 선반용 지지대(60)가 삽입할 수 있는 수mm의 공간을 포함하되,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도 5에 따라 상기 물체가 1점쇄선을 따라 상기 몸체부(27)에 형성된 결합홈(28)(23)에 삽입되면, 도 6과 같이 상기 물체와 지탱장치는 완전히 결합된다.The body portion 27 included in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is coupled to an object. Referring to FIG. 5, the object is a shelf support 60. In the upper edge of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coupling grooves 28 and 23 are formed which can be inserted and coupled with the shelf support 60. The coupling grooves 28 and 23 include a space of several millimeters into which the shelf support 60 can be inserted, and are formed in a '' shape. 5, when the objec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28 and 23 formed in the body portion 27 along the one-dot chain line, the object and the supporting device are fully engaged as shown in FIG.

도 7의 (a) 내지 (c)는 볼 은폐부(40)가 볼 수용부(10)에 결합된 정도에 따른 절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볼 수용부(10) 및 볼 은폐부(4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의 지탱 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볼 수용부(10) 및 볼 은폐부(4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의 지탱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볼 은폐부(40)에 의해 볼(50)이 가려진 상태에서의 지탱 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볼 은폐부(40)에 의해 볼(50)이 가려진 상태에서의 지탱 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볼 은폐부(40)에 의해 볼(50)이 가려진 상태에서의 지탱 장치(1)의 사시도이다.Figs. 7 (a) to 7 (c) show cut surfaces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is coupled to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device 1 in a state where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ball conceal portion 40 are fully engaged.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ing device 1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are fully engaged. 10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device 1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50 is covered by the ball concealment part 40. 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device 1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50 is covered by the ball concealment part 40.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device 1 in a state in which the ball 50 is covered by the ball concealment portion 40. Fig.

도 7 (a), 도 8 및 도 9는 수용된 볼의 일부가 현출된 지탱 장치(1)에 수용된 볼의 일부가 현출된 지탱장치를 도시한다. 볼 은폐부(40)의 상부가 볼 수용부(10)의 하부에 완전히 밀착함에 따라 볼은 외부로 노출된다. 볼트부(30)의 공극부(31)에 수용된 볼은 볼 안착부(37), 너트부(44), 연장형성부(47, 49), 지탱부(41)를 경유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지탱 장치(1)는 볼의 회전 운동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부에 물체를 탑재한 상태에서도 이동이 용이하다.Figs. 7 (a), 8 (a) and 8 (b) show a supporting device in which a part of the ball received in the supporting device 1 in which a part of the ball received therein is developed is shown. The ball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upper part of the ball concealing part 40 is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ball receiving part 10. [ The ball received in the gap 31 of the bolt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via the ball seat 37, the nut 44, the elongated portions 47 and 49, and the support 41. At this time, the support device 1 can be moved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ball, and it is easy to move even when an object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도 7 (b), (c), 도 10 내지 12는 도 7 (a)에서 노출된 볼의 일부가 볼 은폐부(40)에 완전히 은폐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 (b), (c), 도 10 내지 1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지탱 장치(1) 내부로 볼의 전체가 수용됨에 따라 지탱 장치(1)가 지면에 부동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Figs. 7 (b), (c) and 10 to 12 show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ball exposed in Fig. 7 (a) is completely hidden by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Fig.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s. 7 (b), (c), and 10 to 12, the support device 1 is floated on the ground as the entire ball is received into the support device 1. [

즉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지탱부(41)를 한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나사부가 삽입된 볼 은폐부(40)를 회전 시킴에 따라 볼(50)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은폐할 수 있다. 볼의 노출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탱부(41)와 볼 은폐부(40)를 한손으로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몸체부(27)를 파지하여 상기 지탱부(41)와 볼 은폐부(4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user can grasp the support portion 41 with one hand, and the ball 5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concealed by rotating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inserted with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ball is exposed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grasping the holding portion 41 and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with one hand and grasping the body portion 27 with the other hand, (41) and the ball concealing portion (40) together.

도 13은 연장형성부(47, 49)가 지탱부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4는 연장형성부(47, 49)가 지탱부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Fig. 13 shows a process in which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and 49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49 ar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upport portion.

도 13을 참조하면, 연장형성부(47, 49)가 화살표 방향으로 지탱부 내부로 삽입되면, 먼저 제 1 경사부(56)와 제 2 경사부(54)가 접촉한다. 이후 연장형성부(47, 49)를 삽입된 방향으로 더 압박하면, 도 14에 도시된 것 처럼, 제 1 걸림턱(48)은 제 2 걸림턱(43)을 타고 넘어가 제 1 평행부(57)와 제 2 평행부(55)가 마주한다. 제 1 평행부(57)와 제 2 평행부(55)가 마주하면 지탱부(41)는 상기 연장형성부(47, 49)에 완전히 결합된 것이다.Referring to FIG. 13, when the extending portions 47 and 49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first inclined portion 56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54 firs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14, the first latching jaw 48 rides over the second latching jaws 43 and moves to the first parallel portion 57 (Fig. 14)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55 face each other. When the first parallel portion 57 and the second parallel portion 55 face each other, the support portion 41 is completely engaged with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s 47 and 49.

도 15는 지탱 장치(1)에 결합되는 컨트롤러를 도시한다. 도 16은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상기 지탱 장치(1)는 일면에 배치되는 컨트롤러(1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7)는 상기 지탱 장치(1)의 일면에 장착되어, 후술할 기능을 수행한다.Fig. 15 shows a controller coupled to the support device 1. Fig. 16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The support device (1)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17) disposed on one surface. The controller 17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device 1 and performs a function to be described later.

컨트롤러(17)는 일측에 위치된 스피커(192)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192)를 구동하는 메시지 출력부(193)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17 includes a speaker 192 located at one side and includes a message output unit 193 for driving the speaker 192.

메시지 출력부(193)는 지탱 장치(1)가 이동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후에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컨트롤러는 가속도 센서(194)를 더 포함하고, 지탱 장치(1)가 움직일 때 가속도 센서(194)는 가속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로 상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메시지 출력부(193)는 상기 신호를 기초로 지탱 장치(1)가 이동한 시점을 인지한다. 컨트롤러(17)의 일측에 구비된 스피커(192)를 통해 상기 안내 메시지를 출력한다. 안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쉬는 시간입니다." 등이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outputs a guidance message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when the supporting apparatus 1 has moved. 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194, and when the support device 1 moves, the acceleration sensor 194 senses the acceleration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ontroller. The message output unit 193 recognizes the time when the supporting device 1 moves based on the signal. And outputs the guidance message through a speaker 19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roller 17. [ The announcement message is, for example, "Time to relax." .

메시지 출력부(193)는 컨트롤러(17)가 지탱 장치(1)가 이동한 시점으로부터 50분을 초과한 시점에 스피커(192)에서 5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스피커(192)를 제어한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ontrols the speaker 192 such that the controller 192 outputs 50 dB of audible sound from the speaker 192 when the controller 17 exceeds 50 minutes from the time when the supporting device 1 mov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컨트롤러(17)가 지탱 장치(1)가 이동한 시점으로부터 60분을 초과한 시점에 스피커(192)에서 6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스피커(192)를 제어한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ontrols the speaker 192 such that the speaker 192 outputs audible sound of 60 decibels at a point of time when the controller 17 exceeds 60 minutes from the time when the support apparatus 1 mov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컨트롤러(17)가 지탱 장치(1)가 이동한 시점으로부터 70분을 초과한 시점에 스피커(192)에서 7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스피커(192)를 제어한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ontrols the speaker 192 so that 70 dB of audible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192 when the controller 17 exceeds 70 minutes from the time when the supporting device 1 mov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컨트롤러(17)가 지탱 장치(1)가 이동한 시점으로부터 80분을 초과한 시점에 스피커(192)에서 8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스피커(192)를 제어한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ontrols the speaker 192 so that the speaker 192 outputs audible sound of 80 decibels at a time point when the controller 17 exceeds 80 minutes from the time when the supporting device 1 mov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컨트롤러(17)가 지탱 장치(1)가 이동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많이 지날 수록 높은 데시벨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스피커(192)를 구동하여 작업자들은 작업 후 쉬어야 할 시점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작업자들이 지탱 장치(1)를 통해 지속적으로 물체를 이송하는 경우, 작업자들은 고도의 집중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이송해야 하고, 상기 집중력을 위해 작업자들에게 주기적인 쉬는시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지탱 장치(1)의 구조에만 관심이 있었을 뿐, 작업자들의 작업 능률에 대한 고민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작업자들에게 작업 시간에 따라 상이한 소리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drives the speaker 192 so that the controller 17 outputs a sound of a high decibel as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support apparatus 1 moves, It can be recognized. In the case where workers continuously convey objects through the support device 1, workers need to convey them while maintaining a high concentration of focus,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workers with periodic breaks for the concentration. In the past, only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device (1) was concerned, but the workers did not worry about the work efficiency.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transmit different sound information to the workers according to the working time.

컨트롤러(17)는 통신부(191)를 통해 작업자의 가슴에 부착된 심박 센서로부터 분당 심박수를 수신하는 분당 심박수 수신부(19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이면 졸음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17 further includes a heart rate receiver 195 for receiving a heart rate per minute from a heart rate sensor attached to a chest of a worker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191. The message output unit 193 outputs, And a sleeping warning sound is output.

상기 심박 센서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한다. 상기 심박 센서는 비침습으로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한다. 심박 센서는 상기 작업자의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The heart rate of the heart rate sensor worker is measured. The heart rate sensor measures the heart rate of the worker by non-invasive method. The heart rate sensor may be attached at a position where the heart rate of the operator can be measured.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상기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이면 졸음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이면, 작업자가 졸거나 작업자에게 졸음이 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그에 따라, 메시지 출력부(193)는 졸음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스피커(192)를 제어한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outputs a drowsiness warning sound when the heart rate per minute is below a reference value. That is, the message output unit 193 determines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worker sleeps or the worker is drowsy if the worker's heart rate per minu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ly, the message output unit 193 controls the speaker 192 to output a drowsy warning sound.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50회 이상 55회 미만인 경우 스피커(192)에서 5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ontrols the speaker 192 to output an audible sound of 50 decibels when the worker's heart rate per minute is 50 times or more and less than 55 tim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45회 이상 50회 미만인 경우 스피커(192)에서 6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ontrols the speaker 192 to output an audible sound of 60 decibels when the worker's heart rate per minute is 45 times or more and less than 50 tim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40회 이상 45회 미만인 경우 스피커(192)에서 7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ontrols the speaker 192 to output an audible sound of 70 decibels when the worker's heart rate per minute is 40 times or more and less than 45 tim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33회 이상 40회 미만인 경우 스피커(192)에서 8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ontrols the speaker 192 to output an audible sound of 80 decibels when the worker has a heart rate per minute of 33 or more and less than 40 tim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31회 이상 33회 미만인 경우 스피커(192)에서 90데시벨의 가청음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ontrols the speaker 192 to output an audible sound of 90 decibels when the worker's heart rate per minute is 31 times or more and less than 33 tim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심박수가 적을수록 높은 데시벨의 소리를 스피커(192)에서 출력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졸음에서 깨어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outputs a sound of high decibel at a speaker 192 as the worker's heart rate is low, thereby allowing the operator to wake up from drowsiness,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상기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이면, 작업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된 자동심장충격기가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transmits an electric shock command to the automatic cardiopulter so that an automatic cardiopulmonitor attached to a part of the body of the worker applies electric shock to the heart when the heart rate per minute is not more than a reference value.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는 작업자의 심장부근에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충격은 작업자가 잠을 깰정도의 작은 충격이다.The automatic cardiopulmonary device may be attached at a position where electric shock may be applied near the heart of the operator. The electric shock is a small shock that the operator wakes up.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상기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작업자가 졸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이에 더 나아가,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상기 분당 심박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 작업자의 심장 박동이 멈추는 심정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시지 출력부(193)는 안전벨트에 부착된 자동심장충격기가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has been described above as being capable of determining that the operator is in the drowsy state when the heart rate per minut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In addition, the message output unit 193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cardiac arrest in which the heart rate of the worker stops is generated when the heart rate per minu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ly, the message output unit 193 can transmit an electric shock command to the automatic cardiopulter so that the cardiac pacemaker attached to the seat belt can apply electric shock to the heart.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50회 이상 55회 미만인 경우 자동심장충격기의 출력 전압의 파고치가 1000V 이상 2000V 미만이 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may transmit an electric shock command to the automatic cardiopulter so that the peak value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automatic cardiopulmator is more than 1000V and less than 2000V when the worker's heart rate per minute is less than 50 times and less than 55 tim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45회 이상 50회 미만인 경우 출력 전압의 파고치가 2000V 이상 3000V 미만이 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an transmit an electric shock command to the automatic cardiopulter so that the peak value of the output voltage is less than 2000V and less than 3000V when the worker's heart rate per minute is 45 times or more and less than 50 tim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40회 이상 45회 미만인 경우 출력 전압의 파고치가 3000V 이상 4000V 미만이 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may transmit the electric shock command to the automatic cardiopulter so that the peak value of the output voltage is equal to or more than 3000 V and less than 4000 V when the worker's heart rate per minute is less than 40 times and less than 45 tim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33회 이상 40회 미만인 경우 출력 전압의 파고치가 4500V 이상 4700V 미만이 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an transmit an electric shock command to the automatic cardiopulter so that the peak value of the output voltage is 4500 V or more and less than 4700 V when the worker's heart rate per minute is 33 or more and less than 40 tim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분당 심박수가 31회 이상 33회 미만인 경우 출력 전압의 파고치가 4700V 이상 5000V 미만이 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an transmit an electric shock command to the automatic cardiopulter so that the peak value of the output voltage is less than 4700 V and less than 5000 V when the worker's heart rate per minute is 31 times or more and less than 33 times.

메시지 출력부(193)는 작업자의 심박수가 적을수록 높은 전압을 출력하도록 전기 충격 명령을 상기 자동심장충격기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ssage output unit 193 can transmit an electric shock command to the automatic cardiopulter so as to output a higher voltage as the worker's heart rate is smaller.

지탱 장치가 위치한 작업장 내부로 인화성 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컨트롤러(17) 내부로 도 인화성 가스가 유입된다면, 컨트롤러(17)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작은 스파크는 큰 화재를 야기할 수 있다. 컨트롤러(17) 내부에는 방폭 대상물이 위치한다. 방폭 대상물은 컨트롤러(17)의 내부 공간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되거나 컨트롤러(17)에 독립적으로 내장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방폭 대상물이 컨트롤러(17)에 독립적으로 내장될 경우 화재 또는 가연성 가스와 같은 점화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관되고, 컨트롤러(17)로 발화 물질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되므로 폭발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If a flammable gas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workplace where the support device is located and a flammable gas also flows into the controller 17, a small spark generated by the drive of the controller 17 may cause a large fire. An object to be explosion-proof is placed inside the controller (17). The explosion-proof object can be placed in the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inside space of the controller 17 or can be stored independently in the controller 17. When the object to be explosion-proof is independently embedded in the controller 17, it is safely stored from an ignition source such as a fire or a combustible gas, and the inflow of the ignition material is completely blocked by the controller 17, Can be stored.

컨트롤러(17)는 압축가스를 상기 컨트롤러(17) 내부로 유입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컨트롤러(17) 내부의 유체를 유출시키는 릴리프 밸브; 상기 컨트롤러(17) 내벽에 배치되는 방폭형 온도센서; 상기 컨트롤러(17) 내벽에 배치되는 쿨러; 상기 컨트롤러(17) 내벽에 배치되는 히터; 상기 컨트롤러(17)는 상기 방폭형 온도 센서(901)로부터 수신한 온도가 -30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를 구동하는 히터 구동부; 및 상기 방폭형 온도 센서(901)로부터 수신한 온도가 50도 이상이면 상기 쿨러를 구동하는 쿨러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7)는 또한 상기 릴리프 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거나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 includes a solenoid valve for introducing compressed gas into the controller 17; A relief valve for discharging fluid inside the controller (17); An explosion-proof temperature sensor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roller (17); A cooler disposed on an inner wall of the controller (17); A heater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roller (17); The controller 17 includes a heater driver for driving the heater when the temperature received from the explosion-proof temperature sensor 901 is -30 degrees or less; And a coole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cooler when the temperature received from the explosion-proof temperature sensor 901 is 50 degrees or more. The controller 17 may also control to open or close the relief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솔레노이드 밸브(950)는 압축가스를 상기 컨트롤러(17) 내부로 유입시킨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950)를 통해 컨트롤러(17) 내부로 압축 가스가 공급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950)가 열리면 상기 압축 가스는 컨트롤러(17)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950)가 닫히면 상기 압축 가스는 컨트롤러(17)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The solenoid valve 950 introduces the compressed gas into the controller 17. And the compressed gas is supplied into the controller 17 through the solenoid valve 950. That is, when the solenoid valve 950 is opened, the compressed gas flows into the controller 17, and when the solenoid valve 950 is closed, the compressed gas can not flow into the controller 17.

릴리프 밸브(960)는 상기 컨트롤러(17) 내부의 유체를 유출시킨다. 릴리프 밸브(960)는 컨트롤러(17) 내부의 유체를 컨트롤러(17) 외부로 배출하거나 배출을 차단한다. 즉, 릴리프 밸브(960)가 열리면 컨트롤러(17) 내부의 유체는 컨트롤러(17)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릴리프 밸브(960)가 닫히면 컨트롤러(17)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의 배출은 차단된다.The relief valve 960 allows the fluid in the controller 17 to flow out. The relief valve 960 discharges the fluid inside the controller 17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ler 17 or cuts off the discharge. That is, when the relief valve 960 is opened, the fluid inside the controller 17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ler 17. Further, when the relief valve 960 is closed, the discharge of the fluid existing in the controller 17 is cut off.

방폭형 온도센서는 상기 컨트롤러(17) 내벽에 배치된다. 자세하게는, 방폭형 온도센서는 상기 컨트롤러(17)의 내부 상면, 좌측면, 우측면, 하면에 배치된다.The explosion-proof type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roller (17). Specifically, the explosion-proof type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the left surface, the right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ler 17.

쿨러(930)는 상기 컨트롤러(17) 내벽에 배치된다. 상기 쿨러(930)는 에어 냉각기(Vortex cooler)이고, 컨트롤러(17) 내부 상면에 배치된다.The cooler 930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roller 17. The cooler 930 is an air cooler (Vortex cooler) and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ler 17.

히터(940)는 상기 컨트롤러(17) 내벽에 배치된다. 상기 히터(940)는 저항선 등에 전류를 흘려 발생하는 줄열을 통해 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히터(940)는 컨트롤러(17) 내부 하면에 배치된다.The heater 940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roller 17. The heater 940 is capable of outputting heat through a joule generated by flowing a current through a resistance wire or the like. The heater 94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ler 17.

상기 히터 구동부 및 쿨러 구동부는 도 1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컨트롤러(17)에 포함된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er)에 의해 구현된 기능 블록일 수 있다.The heater driving unit and the cooler driving unit may be function blocks implemented by a microcontroller or a micro processor included in the controller 17 although they are not shown in FIG.

상기 히터 구동부는 상기 방폭형 온도 센서(901)로부터 수신한 온도가 -30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940)를 구동한다. 방폭형 온돈 센서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온도를 컨트롤러(17)로 전송하고, 상기 히터 구동부는 컨트롤러(17) 내부 온도가 -30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940)를 구동한다. 컨트롤러(17) 내부 온도가 -30도 이하이면 컨트롤러(17)의 적어도 일부 구성이 오동작 할 수 있다.The heater driving unit drives the heater 940 when the temperature received from the explosion-proof temperature sensor 901 is -30 degrees or less. The explosion-proof warming sensor transmits the temperature measured in real time to the controller 17, and the heater driving unit drives the heater 940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roller 17 is less than -30 degrees. I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roller 17 is less than -30 degrees, at least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7 may malfunction.

자세하게는, 상기 히터 구동부는 상기 컨트롤러(17)의 내부 상면, 좌측면, 우측면, 하면에 배치된 상기 방폭형 온도 센서(90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온도가 -30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940)를 구동한다.More specifically, the heater driving unit drives the heater 940 when the temperature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explosion-proof temperature sensors 901 disposed on the upper, left, right,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troller 17 is -30 degrees or less, .

상기 쿨러 구동부는 상기 방폭형 온도 센서(901)로부터 수신한 온도가 50도 이상이면 상기 쿨러(930)를 구동한다. 컨트롤러(17) 내부 온도가 50도 이상이면 컨트롤러(17)의 적어도 일부 구성이 오동작 할 수 있다.The cooler driving unit drives the cooler 930 when the temperature received from the explosion-proof temperature sensor 901 is 50 degrees or more. If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roller 17 is 50 degrees or more, at least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7 may malfunction.

자세하게는, 상기 쿨러 구동부는 상기 컨트롤러(17)의 내부 상면, 좌측면, 우측면, 하면에 배치된 상기 방폭형 온도 센서(90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온도가 50도 이상이면 상기 쿨러(930)를 구동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oler driving unit controls the cooler 930 when the temperature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the explosion-proof temperature sensors 901 disposed on the upper, left, right,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troller 17 is 50 degrees or more .

상기 쿨러(930) 및 히터(940)로 인해 컨트롤러(17)의 내부 온도는 -30도 내지 50도의 범위를 유지할 수 있다.The cooler 930 and the heater 940 can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roller 17 within a range of -30 degrees to 50 degrees.

상기 컨트롤러(17)는,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릴리프 밸브(960)는 상기 육면 중 어느 일면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950)는, 상기 릴리프 밸브(960)가 상기 일면 상부에 형성된 경우,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릴리프 밸브(960)가 상기 일면 하부에 형성된 경우,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면의 상부에 형성된다.The relief valve 960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any one of the six sidewalls and the solenoid valve 9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lief valve 960 The relief valve 960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rface facing the one surface and when the relief valve 960 is form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one surface,

즉, 솔레노이드 밸브(950)가 컨트롤러(17) 내부 우측면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릴리프 밸브(960)는 컨트롤러(17) 내부 좌측면 하부에 배치된다. 솔레노이드 밸브(950)를 통해 압축가스가 유입되고, 릴리프 밸브(960)를 통해 컨트롤러(17) 내부 유체가 배출된다. 상기 압축가스 보다 무거운 인화성 가스가 컨트롤러(17) 내부로 유입된 경우, 상기 인화성 가스는 컨트롤러(17) 내부 우측면 상부의 솔레노이드 밸브(950)를 통해 유입된 압축가스로 인해 컨트롤러(17) 내부 좌측면 하부의 릴리프 밸브(96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olenoid valve 950 is disposed at the upper right side of the inside of the controller 17, the relief valve 960 is disposed at the lower left inside surface of the controller 17. The compressed gas flows through the solenoid valve 950 and the fluid in the controller 17 is discharged through the relief valve 960. When the flammable gas heavier than the compressed gas flows into the controller 17, the flammable gas flows into the controller 17 through the solenoid valve 950 i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controller 17,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relief valve 960.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950)가 컨트롤러(17) 내부 우측면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릴리프 밸브(960)는 컨트롤러(17) 내부 좌측면 상부에 배치된다. 솔레노이드 밸브(950)를 통해 압축가스가 유입되고, 릴리프 밸브(960)를 통해 컨트롤러(17) 내부 유체가 배출된다. 상기 압축가스 보다 가벼운 인화성 가스가 컨트롤러(17) 내부로 유입된 경우, 상기 인화성 가스는 컨트롤러(17) 내부 우측면 하부의 솔레노이드 밸브(950)를 통해 유입된 압축가스로 인해 컨트롤러(17) 내부 좌측면 상부의 릴리프 밸브(96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Further, when the solenoid valve 950 is disposed below the right side of the inside of the controller 17, the relief valve 960 is disposed at the upper left side of the inside of the controller 17. The compressed gas flows through the solenoid valve 950 and the fluid in the controller 17 is discharged through the relief valve 960. When the flammable gas which is lighter than the compressed gas flows into the controller 17, the flammable gas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controller 17 from the left side of the controller 17 due to the compressed gas flowing through the solenoid valve 950,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relief valve 960 at the top.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omething to do.

1: 지탱 장치
10: 볼 수용부
21: 볼 지지부
23: 홈
25: 제1통관홀
26: 돌출부
27: 몸체부
28: 결합홈
30: 볼트부
31: 공극부
33: 제 1 나사
35: 제 2 통관홀
36: 돌출부 수용부
37: 볼 안착부
40: 볼 은폐부
41: 지탱부
42: 지탱부 내부
43: 제 2 걸림턱
44: 너트부
46: 제 2 나사
47, 49: 연장형성부
48: 제 1 걸림턱
50: 볼
53: 폴
54: 제 2 경사부
55: 제 2 평행부
56: 제 1 경사부
57: 제1 평행부
60: 선반용 지지대
61: 밀봉재
62: 컨트롤러
191: 통신부
192: 스피커
193: 메시지 출력부
194: 가속도 센서
195: 분당 심박수 수신부
1: Supporting device
10: Ball receiving portion
21: ball support
23: Home
25: First clearance hole
26:
27:
28: Coupling groove
30: Bolt portion
31:
33: first screw
35: 2nd clearance hole
36:
37: ball rest part
40:
41:
42: inside of support portion
43: second stop jaw
44: Nut portion
46: Second screw
47, 49: extension forming part
48: First stopping jaw
50: Ball
53: Paul
54: second inclined portion
55: second parallel portion
56: first inclined portion
57: first parallel portion
60: Shelf support
61: Seal material
62:
191:
192: Speaker
193: Message output section
194: Accelerometer
195: heart rate receiver per minute

Claims (2)

회전 운동하는 볼을 수용하는 볼 수용부; 및
상기 볼 수용부와 회전하여 체결되는 볼 은폐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 수용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볼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하는 볼 지지부;
상기 볼 지지부 외측벽에 위치하는 제 1 통관홀;
일면이 상기 볼 지지부 외측벽과 상접하고, 다른 일면이 상기 몸체부 일면과 상접하는 돌출부;
상기 볼이 내부에 수용되고, 외측에는 제 1 나사가 형성된 볼트부;
상기 볼이 안착되는 볼 안착부;
상기 볼 안착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이 수용되는 공극부;
상기 볼트부의 외측벽에 위치하는 제 2 통관홀;
상기 볼 지지부가 상기 볼트부에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돌출부 수용부; 및
상기 볼 지지부가 상기 볼트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통관홀과 상기 제 2통관홀을 관통하는 폴;을 포함하는, 지탱 장치.
A ball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ball for rotational movement; And
And a ball concealing part which is rotated and engaged with the ball receiving part,
The ball receiving portion
A body portion;
A ball supporting portion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groove into which a part of the ball is inserted;
A first clearance hole located on an outer wall of the ball supporting portion;
A protrusion having one surface abutted against the outer wall of the ball support portion and the other surface abutting against the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bolt portion in which the ball is accommodated and a first screw is formed on an outer side;
A ball receiving portion on which the ball is seated;
A ball portion formed in the ball receiving portion and receiving the ball;
A second clearance hole located on an outer wall of the bolt portion;
A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protrusion when the ball suppor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olt portion; And
And a pole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hole and the second through-hole when the ball suppor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bol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은폐부는
내측에 제 2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와 체결되는 너트부;
상기 너트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 되고, 내측에 제 2 나사가 형성되는 연장형성부;
상기 연장형성부 외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걸림턱;
상기 연장형성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지탱부; 및
상기 연장형성부가 상기 지탱부 내부로 기준거리 이상 삽입되면, 상기 제 1 걸림턱을 상기 연장형성부가 삽입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미는 제 2 걸림턱; 을 포함하는,
지탱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 concealment portion
A nut portion having a second screw formed inside thereof and fastened to the bolt portion;
An extension form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nut portion and having a second screw formed therein;
A first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wall of the extension forming part;
A support portion for receiving the extension forming portion therein; And
And a second latching jaw that pushes the first latching jaw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inserted direction of the extending portion when the extend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ortion beyond a reference distance. / RTI >
Supporting device.




KR1020180052179A 2018-05-05 2018-05-05 Supporting device KR1019648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179A KR101964847B1 (en) 2018-05-05 2018-05-05 Suppor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2179A KR101964847B1 (en) 2018-05-05 2018-05-05 Suppor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847B1 true KR101964847B1 (en) 2019-04-12

Family

ID=6616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2179A KR101964847B1 (en) 2018-05-05 2018-05-05 Suppor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8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5579B1 (en) * 2019-12-06 2021-04-26 Wheel Me As Releasable wheel e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161Y1 (en) 2000-09-21 2001-02-15 송영권 A Rolling Equipment Using Utensils and Furniture
KR200342099Y1 (en) * 2003-11-27 2004-02-14 이영상 A structure for ball-caster
KR200435740Y1 (en) * 2006-08-16 2007-02-15 신형운 Concrete placing leveler
KR20110006382U (en) * 2009-12-17 2011-06-23 이효재 Ball transf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161Y1 (en) 2000-09-21 2001-02-15 송영권 A Rolling Equipment Using Utensils and Furniture
KR200342099Y1 (en) * 2003-11-27 2004-02-14 이영상 A structure for ball-caster
KR200435740Y1 (en) * 2006-08-16 2007-02-15 신형운 Concrete placing leveler
KR20110006382U (en) * 2009-12-17 2011-06-23 이효재 Ball transf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5579B1 (en) * 2019-12-06 2021-04-26 Wheel Me As Releasable wheel e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wada et al. Postoperative adhesion prevention with an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adhesion barrier in infertile women
KR101964847B1 (en) Supporting device
CN113227255A (en) Foaming composition, foaming matrix and method
AU2015315108A1 (en) Antimicrobial and biologically active polymer composites and related methods, materials and devices
BR0213588A (en) Modified Release Dosage Forms
WO2006071649A3 (en) Antimicrobial barriers, systems, and methods formed from hydrophilic polymer structures such as chitosan
CA2534389A1 (en) Surface-modified zinc oxides
CA2905559A1 (en) Polymeric materials providing improved infrared emissivity
JP2004510791A (en) Antimicrobial polyalphaolefin composition
BRPI0411645A (en) use of a combination of mineral fillers, thermoplastic polymeric composition, article and large matic flocked surface
KR101889688B1 (en) Hook for conveying heavy objects
WO1997032609A3 (en) Microencapsulated fluorinated gases for use as imaging agents
KR101878124B1 (en) Sheet machining apparatus
WO2006124043A3 (en) Personal care and surface cleaning article
JPH11138673A (en) Moisture permeable film
KR101888894B1 (en) Damper control device
PL363454A1 (en) 3,7-diazabicyclo[3.3.0]octan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cardiac arrhythmias
KR101872877B1 (en) Preparation method of filler for artificial turf and filler for artificial turf therefrom
KR20130048652A (en) Food packing using porous mineral
KR101899768B1 (en) Laminating device
KR101909872B1 (en) Height adjusting device
KR20160035868A (en) Article for deodorizing, dehumidifying, antibiotics comprising nature miner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1934083A (en) Indoor environmentally-friendly high-efficiency air purification composition and product thereof
KR102024026B1 (en) Printing device
KR101872180B1 (en) Explosion-proof equipment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