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616B1 - Pencil case for smart phone charging - Google Patents

Pencil case for smart phone charg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616B1
KR101964616B1 KR1020170177241A KR20170177241A KR101964616B1 KR 101964616 B1 KR101964616 B1 KR 101964616B1 KR 1020170177241 A KR1020170177241 A KR 1020170177241A KR 20170177241 A KR20170177241 A KR 20170177241A KR 101964616 B1 KR101964616 B1 KR 101964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main
smartphone
auxiliary
hou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명환
정성엽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6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pencil case for smartphone holding and charging is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ncil case for smartphone holding and charging which comprises: a main storage body for storing a battery; and an auxiliary storage body rotationally coupled to the main storage body to selectively form a step with the main storage body. When the step is formed, the smartphone can be connected to the battery while resting on the main storage body and leaning on the auxiliary storag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udents who spend a long time using a smartphone can easily watch movies, listen to music, play games, and take internet lectures through the smartphone. At the same time, the smartphone can be conveniently charged.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PENCIL CASE FOR SMART PHONE CHARGING}{PENCIL CASE FOR SMART PHONE CHARGING}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긴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한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 수강 등을 쉽게 하면서도, 동시에 스마트폰의 충전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cil case for charging a smart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ncil case for a smart phone, which allows a long time student to use a smart phone to easily enjoy movies, music, gam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cil case for recharging a smartphone so as to facilitate charging of a phone.

스마트폰 등장 이후 휴대전화 하나로 많은 것을 할 수 있는 세상이 왔다. 전화나 문자 메시지는 물론, 웹 서핑, 게임, 동영상 감상, 문서 열람 및 작성 등 여가를 즐기고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기가 됐다. Since the advent of smartphones, the world has come to be able to do a lot with one mobile phone. It has become an important device for enjoying leisure activities such as phone calls, text messages, surfing the web, playing games, watching videos, viewing documents and creating documents.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79108호에는 다용도 휴대폰 파우치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79108호는 휴대폰을 카드, 신분증, 명함 또는 현금과 함께 내부에 수납하는 지갑 겸용 파우치(Pouch)에 있어서, 일측에는 휴대폰 또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납하는 제1 포켓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여러 장의 카드, 신분증, 명함 또는 현금을 수납하는 제2 포켓부가 형성되며, 중앙의 접음 선을 기준으로 서로 제1 및 제2 포켓부가 마주하도록 접혀져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제2 포켓부 반대 방향 외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는 잠금부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추가배터리 또는 보조배터리를 수납하기 위해서 형성된 제3 포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onnectio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79108 discloses a versatile mobile phone pouch.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479108 discloses a pouch for a wallet that houses a mobile phone with a card, an identification card, a business card, or cash inside. A first pocket portion for storing a mobile phone or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s formed on one side, And a second pocket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cards, identification cards, business cards or cash on the other side and foldably and detachably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pocket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center folding line; And a third pocket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pposite to the second pocket portion, the lock portion being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ccommodating an additional battery or an auxiliary battery therein.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79108호는 제1 포켓부를 통해서 휴대폰 또는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를 내부에 수납하고, 제2 포켓부를 통해서 여러 장의 카드, 신분증, 명함 및/또는 현금을 수납하며, 제3 포켓부를 통해서 내부에 추가배터리/보조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을 크게 개선하는 이점이 있다.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479108 accommodates a mobile phone or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rough a first pocket portion and accommodates a plurality of cards, identification cards, business cards and / or cash through a second pocket portion, and through a third pocket portion The additional battery / auxiliary battery can be housed therein,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그러나 스마트폰의 이용자 대부분은 휴대성을 극대화하고자 이른바 범퍼 케이스, 젤리 케이스, 스키니 케이스 등 슬림한 형태의 케이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79108호의 파우치 형태를 사용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 Most smartphone users, however, use a slim type case such as a so-called bumper case, jelly case, and skinny case to maximize portability, and very few people use the pouch form of Registration Practical Newspaper No. 479108.

특히 활동량이 많은 학생들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슬림한 형태의 케이스를 선호한다. 그리고 학생들은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 수강 등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휴대용 배터리의 사용빈도가 높다. Particularly for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activity, they prefer a slim form of case that can be carried easily. And students often use portable batteries because they spend a lot of time using smartphones such as watching movies, listening to music, playing games, taking Internet classes, and so on.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긴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한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 수강 등을 쉽게 하면서도, 동시에 스마트폰의 충전을 편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Therefore,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estigates a method for allowing a long time student who uses a smartphone to easily enjoy a movie, a music appreciation, a game, an Internet lecture,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79108호 (등록일: 2015.12.11)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79108 (Registered on December 12, 2015)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긴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한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 수강 등을 쉽게 하면서도, 동시에 스마트폰의 충전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device which can easily facilitate charging of a smartphone while allowing students with a long time using the smartphone to easily enjoy movies, music, games, To provide a charging pencil cas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를 수납하는 메인수납몸체; 및 상기 메인수납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수납몸체와 선택적으로 단턱을 형성하는 보조수납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턱을 형성한 경우, 스마트폰이 상기 메인수납몸체에 얹혀 상기 보조수납몸체에 기댄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에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에 의하여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pack comprising: a main storage body for storing a battery; And an auxiliary storage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storage body to selectively form a step with the main storage body, wherein when the step is formed, the smartphone is placed on the main storage body, And the battery can be connected to the battery in a leaning state.

상기 메인수납몸체는,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수납부와, 상기 배터리수납부와 구획된 메인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수납몸체는 필기구를 수납하는 보조수납부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enclosure body may include a battery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and a main compartment partitioned by the battery compartment, and the auxiliary compartment may include an auxiliary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a writing instrument.

상기 메인수납몸체 및 상기 보조수납몸체 각각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enclosure body and the auxiliary enclosure body may each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to prevent slippage of the smartphone.

상기 메인수납몸체 및 상기 보조수납몸체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수납몸체에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제1-1 자력부와 제1-2 자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수납몸체에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제2-1 자력부와 제2-2 자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1 자력부와 상기 제2-1 자력부는 서로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고, 상기 제1-2 자력부와 상기 제2-2 자력부는 서로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in housing body and the auxiliary housing body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a hinge portion. The main housing body is provided with a 1-1 magnetizing portion and a 1-2 magnetizing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hinge portion, The housing body is provided with a second-first magnetic force portion and a second-second magnetic force portion on both side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hinge portion, the first-first magnetic force portion and the second-first magnetic force portion form a attraction force by magnetic force, The 1-2 magnetic force portion and the 2-2 magnetic force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form attraction force by magnetic force.

상기 제1-1 자력부와 상기 제2-1 자력부가 인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메인수납몸체와 상기 보조수납몸체는 상기 제1-2 자력부 및 상기 제2-2 자력부의 자기력에 의해 자성체에 달라붙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2 자력부와 상기 제2-2 자력부가 인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메인수납몸체와 상기 보조수납몸체는 상기 제1-1 자력부 및 상기 제2-1 자력부의 자기력에 의해 자성체에 달라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Wherein the first main body and the auxiliary main body have a first main magnetic pole part and a second main magnetic pole part, respectively, when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are kept close to each other by the attraction force, Wherein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are kept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stuck to the magnetic body by a magnetic force and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are kept close to each other by the attracting force of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1 magnetic force portion and the second-1 magnetic force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수납몸체와 보조수납몸체가 단턱을 형성한 경우, 스마트폰이 메인수납몸체에 얹혀 보조수납몸체에 기댄 상태에서 배터리에 연결 가능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긴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한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 수강 등을 쉽게 하면서도, 동시에 스마트폰의 충전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housing body and the auxiliary housing body form a step, the smartphone can be placed on the main housing body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while leaning on the auxiliary housing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ncil case for recharging a smartphone, which facilitates charging of a smartphone while facilitating watching movies, listening to music, playing games, taking an Internet lecture, etc. through the smart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ncil case for charg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martphone stand-charging pencil case of FIG. 1; FIG.
FIG. 3 and FIG.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martphone stand-charging pencil case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긴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한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 수강 등을 쉽게 하면서도, 동시에 스마트폰의 충전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ncil case for charging a smartphone, which enables a user who has a long time to use a smartphone to easily watch movies, listen to music, take a game, take an Internet lectur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martphone holder charging fill case shown in Fig. 1, and Figs. 3 and 4 are enlarged views of the case of Fig. 1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martphone phantom charging pen cas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10)은, 스마트폰(SP)을 사용하는 시간이 긴 학생들이 스마트폰(SP)을 통한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 수강 등을 쉽게 하면서도, 동시에 스마트폰(SP)의 충전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메인수납몸체(100) 및 보조수납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pencil case 10 for charging a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allow a long time user who uses a smartphone SP to enjoy a movie through a smartphone (SP) The main storage body 100 and the auxiliary storage body 200 so that the charging of the smartphone SP can be facilitated while facilitating a game, an Internet lecture, and the lik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수납몸체(100)와 보조수납몸체(200)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단턱을 형성한다. 여기서 단턱이란, 도 2에서 메인수납몸체(100)와 보조수납몸체(200)가 계단형태를 형성하여 스마트폰(SP)이 거치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ain enclosing body 100 and the auxiliary enclosing body 200 are rotatably engaged to selectively form a step. Here, the term 'step' means a part where the main storage body 100 and the auxiliary storage body 200 form a stepped shape and the smartphone SP is mounted in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수납몸체(100)는 단턱 형성시 스마트폰(SP)이 얹히는 구성으로서, 직육면체의 외관을 형성한다. 메인수납몸체(100)는 표피(S) 및 뼈대(F)로 제작된다. As shown in FIG. 2, the main enclosure body 1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martphone SP is placed upon forming a step, and forms an appearanc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main enclosing body 100 is made of a skin S and a skeleton F. [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S)는 메인수납몸체(100)의 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천이나 수지재질로 제작된다. 표피(S)는 직육면체 형태의 표면을 형성한다. 표피(S)의 한쪽에는 지퍼(Z)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skin S forms a surface of the main storage body 100, and is made of a cloth or a resin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The skin (S) form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surface. A zipper (Z)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kin (S).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대(F)는 표피(S)의 직육면체 외관을 유지시키는 구성으로서, 사각형 고리 형태로 제작되어 표피(S)의 내면에 밀착된다. 뼈대(F)는 표피(S)에 인가된 외력을 탄력적으로 흡수하여 표피(S)의 직육면체 외관을 유지시킨다. 뼈대(F)는 외부 충격에 탄력적으로 변형하여 형태를 복원하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keleton F is formed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ring and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kin S, in a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the appearan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the skin S. The skeleton F elastically absorb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kin S to maintain the appearan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the skin S. The skeleton (F) can be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material that resiliently deforms to an external impact and restores its shape.

메인수납몸체(100)는 내부에 배터리(BT)를 수납하는 배터리수납부(110)와, 배터리수납부(110)와 구획된 메인수납부(120)를 형성한다. 배터리의 충전선(L)은 배터리와 함께 배터리수납부(110)에 수납된다. 메인수납몸체(100)에는 지퍼(Z)와 반대쪽 단부에 충전선(L)이 인출 및 인입되는 개폐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enclosure body 100 forms a battery compartment 110 for accommodating the battery BT and a main compartment 120 which is partitioned by the battery compartment 110. The charging line L of the battery is stored in the battery compartment 110 together with the battery. The main enclosure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part (not shown) through which the charging line L is drawn out and drawn into the end opposite to the zipper Z. [

메인수납부(120)는 필기구 등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배터리수납부(110)와 메인수납부(120)는 격벽(101)에 의해 구획된다. 격벽(101)은 표피(S)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격벽(101)은 뼈대(F)에 의해 배터리(BT)의 하중을 지지한다. The main storage part 120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writing instrument or the like. The battery compartment 110 and the main compartment 120 are partitioned by a partition 101. The partition 10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kin S. The partition wall 101 supports the load of the battery BT by the frame F.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납몸체(200)는 단턱 형성시 스마트폰(SP)이 기대어지는 구성으로서, 직육면체의 외관을 형성한다. 보조수납몸체(200)는 표피(S) 및 뼈대(F)로 제작된다. 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storage body 200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martphone SP is leaned at the time of step formation, and forms the appearanc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auxiliary storage body 200 is made of a skin S and a skeleton F. [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피(S)는 보조수납몸체(200)의 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천이나 수지재질로 제작된다. 표피(S)는 직육면체 형태의 표면을 형성한다. 표피(S)의 한쪽에는 지퍼(Z)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 to 4, the skin S forms a surface of the auxiliary storage body 200, and is made of a cloth or a resin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The skin (S) form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surface. A zipper (Z)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kin (S).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대(F)는 표피(S)의 직육면체 외관을 유지시키는 구성으로서, 사각형 고리 형태로 제작되어 표피(S)의 내면에 밀착된다. 뼈대(F)는 표피(S)에 인가된 외력을 탄력적으로 흡수하여 표피(S)의 직육면체 외관을 유지시킨다. 뼈대(F)는 외부 충격에 탄력적으로 변형하여 형태를 복원하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keleton F is formed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ring and adhere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kin S, in a configuration for maintaining the appearan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the skin S. The skeleton F elastically absorbs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skin S to maintain the appearanc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the skin S. The skeleton (F) can be made of fiber reinforced plastics material that resiliently deforms to an external impact and restores its shape.

보조수납몸체(200)는 내부에 필기구를 수납하는 보조수납부(210)를 형성한다. 보조수납부(210)는 필기구 등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사용자는 메인수납부(120)와 보조수납부(210)의 서로 격리된 공간에 필기구를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다. The auxiliary storage body (200) forms an auxiliary storage portion (210) for storing a writing instrument therein. The auxiliary storage portion 210 form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writing instrument or the like. The user can separately store the writing utensils in a space isolated from each other between the main storage part 120 and the auxiliary storage part 210. [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납몸체(200)와 메인수납몸체(100)는 힌지부(H)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단턱을 형성한다. 1 to 4, the auxiliary storage body 200 and the main storage body 100 are rotatably coupled by the hinge H to selectively form a step.

도 2 및 도 3은 보조수납몸체(200)와 메인수납몸체(100)가 단턱을 형성한 상태(이하 '단턱상태')를 나타내고, 도 1 및 도 4는 보조수납몸체(200)와 메인수납몸체(100)가 함께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한 상태(이하 '노멀상태')를 나타낸다. 힌지부(H)는 표피(S)로 제작될 수 있다. 2 and 3 show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torage body 200 and the main storage body 100 form a ste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epped state"). FIGS. 1 and 4 show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storage body 200, And a state in which the body 100 form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normal state "). The hinge portion (H) can be made of a skin (S).

활동량이 많은 학생들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슬림한 형태의 케이스를 선호한다. 그리고 학생들은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수강 등 스마트폰(SP)을 사용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휴대용 배터리(BT)의 사용빈도가 높다. Students with a lot of activity prefer a slim form of case that can be carried easily. Students are also more likely to use portable batteries (BT) because they spend a lot of time using smartphones (SP), such as watching movies, listening to music, playing games, and taking lectures on the Internet.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스마트폰(SP)을 사용하는 시간이 긴 학생들이 스마트폰(SP)을 통한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수강 등을 쉽게 하면서도, 동시에 스마트폰(SP)의 충전을 편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made it clear that while a long time student using a smartphone (SP) can easily watch movies, listen to music, take a game, and take an Internet lecture through a smartphone (SP) I have been studying ways to make it easi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생들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10)을 단턱상태로 만들어 교실이나 독서실의 책상에 놓은 후, 스마트폰(SP)을 메인수납몸체(100)에 얹히고 보조수납몸체(200)에 기댄 상태에서 배터리수납부(110)에서 배터리(BT)의 충전선(L)을 꺼내 스마트폰(SP)에 연결하면, 스마트폰(SP)을 통한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수강 등을 쉽게 하면서도, 동시에 스마트폰(SP)의 충전을 편하게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students put the smartphone stand-charging pen cas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stepped state and place it on the desk of the class room or the reading room, and then place the smart phone SP on the main housing body 100 When the charging line L of the battery BT is taken out from the battery compartment 110 in a state leaning on the hinge secondary storage body 200 and connected to the smartphone SP, It is easy to charge the smartphone (SP) at the same time while facilitating listening, watching games, and taking lectures on the Interne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상태를 기준으로 메인수납몸체(100)의 상면에는 스마트폰(SP)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돌출부(P)가 형성된다. 돌출부(P)는 고무나 실리콘 또는 재봉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body 100, a plurality of protrusions P for preventing slippage of the smartphone SP are formed on the basis of the stepped state. The protrusions P may be formed of rubber, silicone, or seam.

사용자는 단턱상태 및 노멀상태에서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10)을 휴대,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다. 단턱상태 및 노멀상태는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10)의 휴대 및 보관시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10)이 수납되는 공간(가방이나 사물함의 내부공간)의 형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The user can carry, store, and use the smartphone stand charging pen case 10 in a stepped state and a normal state. The stepped state and the normal stat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pace (the inner space of the bag or the locker) in which the smartphone vermilion filler case 10 is housed when carrying and storing the smartphone 10,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10)이 수납되는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10)을 단턱상태나 노멀상태로 만들어서 협소한 공간에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at is, even if the space in which the smartphone hand-held charging pen case 10 is stored is narrow, the user can save the smart phone hand-held pen case 10 into a stepped state or a normal state and store it in a narrow space.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수납몸체(100)에는 힌지부(H)를 기준으로 양쪽에 제1-1 자력부(M1-1)와 제1-2 자력부(M1-2)가 형성되고, 보조수납몸체(200)에는 힌지부(H)를 기준으로 양쪽에 제2-1 자력부(M2-1)와 제2-2 자력부(M2-2)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main housing body 100 is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force part M1-1 and a second magnetic force part M1-2 on both sides of the hinge H, And the auxiliary storage body 200 is provided with a second-first magnetic force portion M2-1 and a second-second magnetic force portion M2-2 on both sides thereof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H.

제1-1 자력부(M1-1)와 제2-1 자력부(M2-1)는 단턱상태에서 서로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고, 제1-2 자력부(M1-2)와 제2-2 자력부(M2-2)는 노멀상태에서 서로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한다. The first magnetic force portion M1-1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ortion M2-1 form a attraction force due to magnetic force in a stepped s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orce portions M1-2 and M2-1, -2 The magnetic force part M2-2 forms an attracting force by the magnetic force in the normal state.

따라서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10)은 제1-1 자력부(M1-1)와 제2-1 자력부(M2-1) 간 인력에 의해 단턱상태를 유지하고, 제1-2 자력부(M1-2)와 제2-2 자력부(M2-2) 간 인력에 의해 노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the smartphone stand charging pen case 10 is kept in a stepped state by the attractive force between the first magnetic force portion M1-1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ortion M2-1, The normal state is maintained by the attra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orce portions M1-2 and M2-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자력부(M1-1)와 제2-1 자력부(M2-1)가 인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할 때, 즉 단턱상태에서 메인수납몸체(100)와 보조수납몸체(200)는 제1-2 자력부(M1-2) 및 제2-2 자력부(M2-2)의 자기력에 의해 자성체(W)에 달라붙은 상태를 유지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the first-first magnetic force portion M1-1 and the second-first magnetic force portion M2-1 are kept close to each other by the attractive force, that is, The housing body 100 and the auxiliary housing body 200 ar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stuck to the magnetic body W by the magnetic forces of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orce portions M1-2 and M2-2 do.

그리고 제1-2 자력부(M1-2)와 제2-2 자력부(M2-2)가 인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할 때, 즉 노멀상태에서 메인수납몸체(100)와 보조수납몸체(200)는 제1-1 자력부(M1-1) 및 제2-1 자력부(M2-1)의 자기력에 의해 자성체(W)에 달라붙은 상태를 유지한다. When the 1-2 magnetic portion M1-2 and the 2-2 magnetic portion M2-2 are maintained close to each other by the attraction force, that is, when the main storage body 100 and the auxiliary storage body 200 maintain the state of sticking to the magnetic substance W by the magnetic forces of the first magnetic force section M1-1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section M2-1.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10)은 자성체(W)에 달라붙은 상태에서 스마트폰(SP)을 통한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수강 등을 쉽게 하면서도, 동시에 스마트폰(SP)의 충전을 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자성체(W)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로 제작된 벽면이나 파티션의 수직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encil case 10 for charging a smart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watch movies, listen to music, play games, and take lectures on the Internet through the smartphone SP while sticking to the magnetic body W, (SP) can be made easier. The above-described magnetic body W may mean a wall surface made of a ferromagnetic substance, a vertical surface of a partition, or the lik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멀상태를 기준으로 보조수납몸체(200)의 상면에는 스마트폰(SP)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돌출부(P)가 형성된다. 돌출부(P)는 고무나 실리콘 또는 재봉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housing body 200, a plurality of protrusions P for preventing the smartphone SP from slipping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normal state. The protrusions P may be formed of rubber, silicone, or seam.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수납몸체와 보조수납몸체가 단턱을 형성한 경우, 스마트폰이 메인수납몸체에 얹혀 보조수납몸체에 기댄 상태에서 배터리에 연결 가능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긴 학생들이 스마트폰을 통한 영화감상, 음악감상, 게임, 인터넷강의 수강 등을 쉽게 하면서도, 동시에 스마트폰의 충전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housing body and the auxiliary housing body form a step, the smartphone can be placed on the main housing body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while leaning on the auxiliary housing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ncil case for recharging a smartphone, which facilitates charging of a smartphone while facilitating watching movies, listening to music, playing games, taking an Internet lecture, etc. through the smartphon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필통
100 : 메인수납몸체 200 : 보조수납몸체
110 : 배터리수납부 210 : 보조수납부
101 : 격벽 M2-1 : 제2-1 자력부
120 : 메인수납부 M2-2 : 제2-2 자력부
M1-1 : 제1-1 자력부 H : 힌지부
M1-2 : 제1-2 자력부 SP : 스마트폰
S : 표피 BT : 배터리
F : 뼈대 L : 충전선
Z : 지퍼 W : 자성체
P : 돌출부
10: pencil case
100: main storage body 200: auxiliary storage body
110: Battery compartment 210: Auxiliary compartment
101: Bulkhead M2-1: 2nd-
120: main storage part M2-2: second-
M1-1: 1-1 magnetic force part H: hinge part
M1-2: 1-2 Magnetic Part SP: Smartphone
S: Skin BT: Battery
F: Skeleton L: Charging line
Z: Zipper W: Magnetic body
P: protrusion

Claims (5)

배터리를 수납하는 메인수납몸체; 및
상기 메인수납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메인수납몸체와 선택적으로 단턱을 형성하는 보조수납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턱을 형성한 경우, 스마트폰이 상기 메인수납몸체에 얹혀 상기 보조수납몸체에 기댄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에 연결 가능하며,
상기 메인수납몸체 및 상기 보조수납몸체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수납몸체에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제1-1 자력부와 제1-2 자력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수납몸체에는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양쪽에 제2-1 자력부와 제2-2 자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1 자력부와 상기 제2-1 자력부는 서로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고, 상기 제1-2 자력부와 상기 제2-2 자력부는 서로 자기력에 의한 인력을 형성하고,
상기 제1-1 자력부와 상기 제2-1 자력부가 인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메인수납몸체와 상기 보조수납몸체는 상기 제1-2 자력부 및 상기 제2-2 자력부의 자기력에 의해 자성체에 달라붙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2 자력부와 상기 제2-2 자력부가 인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진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메인수납몸체와 상기 보조수납몸체는 상기 제1-1 자력부 및 상기 제2-1 자력부의 자기력에 의해 자성체에 달라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
A main storage body for storing the battery; And
And an auxiliary hous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housing body to selectively form a step with the main housing body,
The smartphone can be connected to the battery in a state where the smartphone is laid on the main housing body and leaned on the auxiliary housing body,
Wherein the main housing body and the auxiliary housing body are rotatably coupled by a hinge portion,
The main housing body is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force portion and a second magnetic force portion on both sides thereof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The auxiliary housing body is provided with a second-first magnetic force portion and a second-second magnetic force portion on both sides thereof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Wherein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form attraction forces by magnetic force,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orce parts form a attraction force by magnetic force,
Wherein the first main body and the auxiliary main body have a first main magnetic pole part and a second main magnetic pole part, respectively, when the first magnetic force part and the second magnetic force part are kept close to each other by the attraction force, The state of sticking to the magnetic body is maintained by the magnetic force,
When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force portions and the second and second magnetic force portions are held close to each other by the attraction force, the main housing body and the auxiliary housing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first-first magnetic force portion and the second- And a state of sticking to the magnetic body is maintained by the magne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수납몸체는,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배터리수납부와, 상기 배터리수납부와 구획된 메인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조수납몸체는 필기구를 수납하는 보조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housing body includes a battery housing part for housing the battery and a main housing part partitioned by the battery housing part,
Wherein the auxiliary storage body forms an auxiliary storage unit for storing a writing instru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수납몸체 및 상기 보조수납몸체 각각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충전용 필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enclosure body and the auxiliary enclosure body each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thereon for preventing slippage of the smart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77241A 2017-12-21 2017-12-21 Pencil case for smart phone charging KR101964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41A KR101964616B1 (en) 2017-12-21 2017-12-21 Pencil case for smart phone char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41A KR101964616B1 (en) 2017-12-21 2017-12-21 Pencil case for smart phone charg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616B1 true KR101964616B1 (en) 2019-04-02

Family

ID=6616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241A KR101964616B1 (en) 2017-12-21 2017-12-21 Pencil case for smart phone charg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61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119Y1 (en) * 2003-07-14 2003-12-18 송경운 The pencil case of getting folded in longitudinal direction
KR100479108B1 (en) 2003-06-17 2005-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amper assembly of drum washer
KR200384616Y1 (en) * 2005-02-18 2005-05-17 배준호 A pencil case having hinge that is corner of frame
KR200461864Y1 (en) * 2012-02-24 2012-08-13 (주)중앙티앤씨 Case for portable terminal with hold function
KR20140005211U (en) * 2013-03-22 2014-10-07 안민석 Foldable pencil ca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108B1 (en) 2003-06-17 2005-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amper assembly of drum washer
KR200336119Y1 (en) * 2003-07-14 2003-12-18 송경운 The pencil case of getting folded in longitudinal direction
KR200384616Y1 (en) * 2005-02-18 2005-05-17 배준호 A pencil case having hinge that is corner of frame
KR200461864Y1 (en) * 2012-02-24 2012-08-13 (주)중앙티앤씨 Case for portable terminal with hold function
KR20140005211U (en) * 2013-03-22 2014-10-07 안민석 Foldable pencil 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192B2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
KR200451310Y1 (en) wallet type mobile phone case
US20140128132A1 (en) Cas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tes
US20110034221A1 (en) Case for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US20110001892A1 (en) Toy with Video Display Screen
AU2013100194A4 (en) A Power Supply
US201202644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storage case attached to the backside of a smart phone
US20140367004A1 (en) Cell Phone Carrying Case
US2015035127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arrying case
WO2021012372A1 (en) Watch with bluetooth headset charging and storage functions
KR200465348Y1 (en) Mobile phone case
KR101964616B1 (en) Pencil case for smart phone charging
KR200486397Y1 (en) Smartphone case
CN204048420U (en) Intelligence wallet
KR200476235Y1 (en) Mobilephone case
KR200479106Y1 (en) Multi-purpose pouch for a cellular phone
KR101440013B1 (en) Storage cover plate attached to prevent loss of slit mobile-phone case
KR20120000423U (en) Case for personal potable device having supporting means
KR102072676B1 (en) Smart phone case with card and music album with video and music
KR101373747B1 (en) Multipurpose handphone case having function of handphone stand
KR20180081877A (en) Smart phone case
KR20210094923A (en) foldable phone case
KR20150059430A (en) Smartphone store with a purse
KR200472574Y1 (en) Cell-phone protecting case with purse
CN219041954U (en) Charging bi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