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50B1 - Method for correcting medical image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rrecting medical image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50B1
KR101963650B1 KR1020160161169A KR20160161169A KR101963650B1 KR 101963650 B1 KR101963650 B1 KR 101963650B1 KR 1020160161169 A KR1020160161169 A KR 1020160161169A KR 20160161169 A KR20160161169 A KR 20160161169A KR 101963650 B1 KR101963650 B1 KR 101963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mage
error
image
anatomical structure
referen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1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61698A (en
Inventor
김태환
최유현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50B1/en
Publication of KR2018006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6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5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statistical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6/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06T7/0016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involving temporal compari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4Image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8B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방법에 의하면, 무결점 의료영상에서의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한 기준정보와 의료영상에서의 위치 및 방향을 서로 비교하여 오류를 검출한다.
이를 통하여, 영상 로딩시점에서 영상의 좌우, 상하 반전 등의 오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진단 및 시술을 도모할 수 있으며, 영상 오류를 자동으로 보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an apparatus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an anatomical structure in a non- An error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in the image with each other.
Accordingly, errors such as left / right and up / down / down / up / down of the image at the time of image loading can be quickly identified and corrected, and accurate diagnosis and operation can be attain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because the image error is automatically corrected.

Description

의료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METHOD FOR CORRECTING MEDICAL IMAGE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a device for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본 발명은 의료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 표준(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DICOM)에 따라 제공되는 의료영상의 오류를 보정하는 의료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an apparatus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is perform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medical image correction method and the medical image correction method are applied.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Computerized Tomography, CT) 및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료영상 이미지 파일은 DICOM 표준에 따라 저장관리되고 있다. DICOM은 미국방사선의학회(ACR)와 미국전기공업회(NEMA)에서 구성한 DICOM 위원회에 의하여 정해진 의료영상 전송, 저장 등의 표준으로서, CT, MRI, 초음파 등 의료영상의 용이한 교환/배포를 위하여 제안되었다. Various kinds of medical image image files including computerized tomography (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are stored and managed according to the DICOM standard. DICOM has been proposed for the easy exchange / distribution of medical images such as CT, MRI, and ultrasonic wave as a standard for medical image transmission and storage defined by the DICOM Committee composed of the American Radiological Society (ACR) and the American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NEMA) .

DICOM 파일 포맷(Format)은 크게 헤더(Header)와 이미지 데이터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상을 촬영한 장비별로 조금씩 상이하지만, CT와 MRI 영상의 경우에는 헤더에 영상 평면 모듈(Image Plane Module)과 관련하여 영상 방향(Image Orientation), 영상 위치(Image Position) 등의 속성(Attribute)값이 저장된다. The DICOM file format consists mainly of a header and an image data part. However, in the case of CT and MRI images, an attribute value such as an image orientation (Image Orientation) and an image position (Image Position) related to an image plane module (image plane module) Is stored.

참고로, 영상 방향은 환자에 대하여 제1행과 제1열의 방향 코사인(Direction cosine)을 나타내고, 영상 위치는 영상의 좌상단 코너의 x, y, z 축을 나타내는 것으로, 저장된 영상을 로딩(Loading)할 때 DICOM 헤더에 저장된 영상 방향과 영상 위치에 관한 태그값을 기초로 영상을 재구성하게 된다.For reference, the image direction represents the direction cosine of the first row and the first column with respect to the patient, and the image position represents the x, y, and z axes of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image, The image is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tag value related to the image direction and the image position stored in the DICOM header.

따라서, DICOM 헤더에 정보가 잘못 저장되거나 실제 촬영된 정보와 DICOM 헤더에 저장된 정보가 불일치하면, 방향이나 위치가 잘못되어 영상이 표시되고, 의사가 이와 같은 오류를 인지하지 못하면 오진이나 잘못된 시술을 할 위험성이 매우 높다.Therefore, if the information is stored incorrectly in the DICOM header, or the information actually photographed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ICOM header do not match, the direction or position is wrong and the image is displayed. If the doctor does not recognize such an error, Is very high.

이와 같은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477128호에서는 의료검사명과 의료영상을 비교하여 편측성 에러를 교정하는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이미 의료 검사명이 나온 후에 행해질 수 있는 방법으로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은 시점에서는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n error, Korean Patent No. 10-1477128 has proposed a method of correcting a unilateral error by comparing a medical examination name with a medical image. Such a conventional technique has a limit that can not be applied at a point in time when a diagnosis can not be made by a method that can be performed after a medical examination name is already issued.

한국등록특허 제10-1477128호(2014.12.22)Korean Patent No. 10-1477128 (December 22, 2014)

본 발명은 DICOM 헤더에 정보가 잘못 저장 또는 실제 촬영정보와 저장된 정보가 서로 불일치함을 인지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오진이나 잘못된 시술의 위험성이 있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영상 로딩시점에서 신속하게 오류를 파악하여 수정할 수 있는 의료영상 보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in which there is a risk of misinformation or erroneous oper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is erroneously stored in the DICOM header or the actual shooting information and the stored information are inconsistent with each other, A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capable of quickly grasping and correcting an error in a medical image correction apparatus, an apparatus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same is record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장치에 의한 의료영상 보정 방법은 무결점 의료영상인 제1 의료영상에서의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한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로딩된 의료영상인 제2 의료영상에서 상기 기준정보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기준정보에 따른 상기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과 상기 제2 의료영상에서 인식된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rrecting a medical image using a medical image correct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storing reference information on an anatomical structure in a first medical image, which is a non-defective medical image; Recognizing a position and a direction of an anatomic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in a second medical image that is a loaded medical image; Detecting an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by comparing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with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recognized in the second medical image; And performing a correction on the second medical image in response to an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여기서, 상기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단면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에 따른 영상에서의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또는 방향을 상기 기준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step of stor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may store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in the imag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ctional image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as the reference information.

또한, 상기 제2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의료영상의 DICOM 헤더의 태그값을 수정하거나 상기 제2 의료영상의 볼륨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step of performing the correction on the second medical image may be performed by modifying the tag value of the DICOM heade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or by chang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olume of the second medical image.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장치는 무결점 의료영상인 제1 의료영상에서의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한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기준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로딩된 의료영상인 제2 의료영상에서 인식된 상기 기준정보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과 상기 기준정보에 따른 상기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는 제1 오류검출부; 및 상기 제1 오류검출부에 따른 제2 의료영상의 오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dical image corr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memory including a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referenc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an anatomical structure in a first medical image, which is a non-defective medical image; Comparing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second medical image, which is the loaded medical image, with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A first error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error; And an image correcting unit for correcting the second medical image in response to an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rror detecting unit.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통계정보를 저장하는 통계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료영상 보정 장치는, 상기 제2 의료영상에서 인식된 상기 통계정보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정보와 상기 통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는 제2 오류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2 오류 검출부에 따른 제2 의료영상의 오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Here, the memory may further include a statist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statistic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anatomical structure, and the medical image correc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atist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anatomic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tatistical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second medical image And a second error detector for detecting an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by compar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with the statistical information, wherein the image corrector corrects the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error detector, The correction for the medical image can be performed.

또한, 상기 제2 의료영상에서 오류 유무 판단을 위하여 촬영시에 수진자에 장착된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마커를 기초로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는 제3 오류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3 오류검출부에 따른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error detector for detecting a marker attached to the examinee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to determine whether the second medical image is erroneous and detecting an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based on the recognized marker And the image correction unit may perform the correction on the second medic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according to the third error detection unit.

한편, 상기 제2 의료영상이 구강악안면을 촬영한 영상일 때, 상기 제1 오류검출부는 상기 제2 의료영상에서 구강 내 피질골의 위치와 방향을 기초로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축단면 영상에서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제1 오류검출부는 상기 제2 의료영상에서 치아 영역과 경추 부위의 위치 및 방향을 기초로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시상면 영상에서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medical image is an image of the oral contraception, the first error detecting unit detects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cortical bone in the second medical image based on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intraoral cortex in the axial cross- And the first error detecting unit can detect an error in the sagittal image of the second medical image based 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tooth region and the cervical vertebrae in the second medical image .

그리고,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2 의료영상의 DICOM 헤더의 태그값을 수정하거나 상기 제2 의료영상의 볼륨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image correction unit may modify the tag value of the DICOM heade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or change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volume of the second medical imag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로딩시점에서 영상의 좌우, 상하 반전 등의 오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진단 및 시술을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identify and correct an error such as a left / right or an upside / downside of an image at the time of image loading, thereby correct diagnosis and operation can be achiev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정보, 통계정보, 마커를 기초로 한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오류를 검출함으로써 오류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error detection by detecting errors through various methods based on reference inform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and mark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오류를 자동으로 보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ideo error is corrected automatically,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장치의 세부구성을 포함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방법의 흐름도; 및
도 5는 기준정보를 기초로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edical image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nclud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edical imag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refer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of a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n error in a medical image based on reference inform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not limited to the concept of terminology for describing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의료영상은 그 데이터가 DICOM 포맷에 따라 생성, 저장되는 영상으로서,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CT),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X선촬영 영상(Computed Radiography, CR), 초음파 영상(Ultrasound Imaging, US), 디지털 방사선 영상(Digital X-ray), 디지털 구강내 방사선 영상 등 DICOM 표준에 따를 수 있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을 포괄한다. The medical imag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n image in which the data is generated and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DICOM format and includes a computer tomography (CT),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 computerized radiography (CR) (DICOM) standards such as Ultrasound Imaging (US), Digital Radiography (X-ray), and Digital Oral Radiographic Imaging.

이하에서는, 의료영상으로서 CT 영상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T imag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edical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장치의 세부 구성을 포함하는 블록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edical imag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includ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edical imag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 메모리(20), 오류검출모듈(30), 및 영상 보정부(40)를 포함한다.1, a medical image corr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10, a memory 20, an error detection module 30, and an image correction unit 4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고, 정보를 표시하기 위함으로, 마우스, 키보드, 버튼, 키패드 등의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 로딩되는 의료영상, 입력 메뉴와 처리 결과 등을 비롯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입출력을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입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10 receives necessary information from a user and displays input information for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mouse, a keyboard, a button, and a keypad, a medical image to be loaded, an input menu,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 touch screen for providing input and output through a single device, and the like.

메모리(20)는 로딩된 의료영상의 오류 유무를 판단하는데 기초가 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메모리(20)는 기준정보 저장부(21) 및 통계정보 저장부(2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emory 20 includes a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21 and a statist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22 (FIG. 2). The memory 20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

기준정보 저장부(21)는 무결점 의료영상에서의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한 기준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무결점 의료영상은 올바른 설정에 따라 수진자의 촬영이 이루어지고, 촬영을 통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DICOM 포맷에 맞추어 저장하였을 때에 대응되는 의료영상이며, 기준정보는 이와 같은 무결점 의료영상에서 해당 해부학적 구조가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위치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21 stores reference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in the defect-free medical image. Here, the defect-free medical image is a medic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subject is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correct setting, the image data obtained through photographing is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DICOM format,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is the corresponding anatomical And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 which the structure normally appear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refer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구강악안면 부위를 촬영한 CT 영상으로서 정상적으로 로딩되어 오류가 없는 무결점 의료영상의 예를 보여준다. Referring to FIG. 3, there is shown an example of a defect-free medical image that is normally loaded as a CT image of a part of the oral maxillofacial region and has no error.

참고로, 도 3의 A1 내지 C1은 단면 영상으로서, A1은 관상면(Coronal) 영상, B1은 축단면(Axial) 영상, C1은 시상면(Sagittal) 영상이고, D1은 3차원으로 재구성된 영상을 나타낸다. In FIG. 3, A1 to C1 are sectional images, A1 is a coronal image, B1 is an axial image, C1 is a sagittal image, D1 is a three-dimensional reconstructed image .

의료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경우, B1의 축단면 영상에서와 같이 치아를 포함하거나 또는 치아를 포함하지 않은 구강 내 피질골(301)은 위쪽으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로 나타나며, C1의 시상면 영상에서는 경추(Cervical vertebrae) 부위(303)가 화면의 오른쪽, 치아영역(305)이 화면의 왼쪽에 나타난다. 또한, D1의 3차원 영상에서는 치아영역(307)이 전방을 향하도록 표시된다.When the medical image is normally displayed, the cortical bone 301 including the tooth or not including the teeth as shown in the axial cross-sectional image of B1 appears as a convex parabolic shape upward, and in the sagittal image of C1, the cervical vertebrae region 303 appears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and a tooth region 305 appears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of D1, the teeth region 307 is displayed so as to be directed forward.

이처럼, 영상이 올바르게 촬영되고, DICOM 포맷으로 정상적으로 저장되었을 때, 각 해부학적 구조가 영상에서 표시되는 구체적 위치 및 방향이 존재하며, 기준정보 저장부(21)는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 해당 단면 영상 및 입체 영상에서 특정 해부학적 구조가 나타나는 위치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축단면 영상, 시상면 영상, 3차원 영상 등 영상의 종류와 무관하게 동일한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나, 영상마다 나타나는 해부학적 구조가 다른 것을 반영하여 영상 종류별로 서로 다른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e is correctly photographed and normally stored in the DICOM format, there is a specific position and direction in which each anatomical structure is displayed in the image,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21 normally stores the corresponding cross- It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nd orientation of a particular anatomical structure in the image. At this time, information about the same anatomical structure can be stored irrespective of kinds of images such as an axial cross-sectional image, a sagittal image,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but the anatomical structures appearing in each image are different, Information about the enemy structure may be stored.

한편, 이상에서는 구강악안면 부위에서 치아영역의 위치 및 방향을 예로 들었으나, 기준 정보 저장부(2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 부위를 촬영한 영상에서 특정 해부학적 구조가 통상적으로 나타나는 위치 및 방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해부학적 구조는 의료영상의 상하/좌우반전 여부, 회전, 기울어짐 등의 오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부위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좌우측 중 일측에만 존재하는 해부학적 구조는 영상의 좌우반전 여부를 파악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기준정보로서 복수의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Although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tooth region are exemplified in the oral maxillofacial reg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21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 which the specific anatomical structure is normally displayed Can be stored. At this time, the anatomical structure can be variously selected as a reference region for recognizing errors such as whether the medical image is upside-down, left-right reversed, rotated, or skewed. For example, the anatomical structure existing only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image is reversed left and right, and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anatomical structures can be stored as reference information.

이어서, 메모리(20)의 통계정보 저장부(22)는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통계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되는 통계정보는, 예컨대, 수진자의 연령, 성별, 국가, 인종 등 수진자와 관련된 변수에 따른 해부학적 구조의 통계정보일 수 있고, 또는 해부학적 구조의 좌우측 차이에 관한 통계정보 등 의료영상의 상하/좌우반전 여부, 회전, 기울어짐 등의 오류를 파악할 수 있는 통계정보이다. The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22 of the memory 20 stores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structure. The stored statistical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xaminee such as the age, sex, nationality, and race of the examinee, or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of the anatomical structure, / It is statistical information that can detect errors such as whether to turn left / right, turn, or skew.

오류검출모듈(30)은 메모리(20)에 저장된 기준정보 및 통계정보를 포함하여 사전에 설정된 오류검출기준에 따라 로딩된 의료영상을 분석하여 상하/좌우 반전, 회전, 기울어짐 등의 오류를 검출한다. The error detection module 30 analyzes the loaded medical im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rror detection standard including reference information and statisti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0 to detect errors such as up / down / left / right inversion, rotation, do.

도 2를 참조하면, 오류검출모듈(30)은 제1 오류검출부(31), 제2 오류검출부(32), 및 제3 오류검출부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error detection module 30 includes a first error detection unit 31, a second error detection unit 32, and a third error detection unit.

제1 오류검출부(31)는 로딩된 의료영상에서 메모리(20)의 기준정보 저장부(21)에 저장된 기준정보에 따른 특정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하고, 인식된 위치 및 방향과 기준정보에 따른 위치 및 방향을 서로 비교하여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한다. 이때, 로딩된 의료영상에서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은 다양한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error detection unit 31 recognize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a specific anatom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21 of the memory 20 in the loaded medical image, And detects errors in the medical image by comparing positions an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in the loaded medical image can be recognized using various image recognition algorithms, or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based on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

제1 오류검출부(31)는 비교 결과, 인식된 위치 및 방향과 기준정보에 따른 위치 및 방향이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넘어서 차이가 나면, 이는 의료영상이 상하 또는 좌우반전이 되었거나, 기준 좌표계 상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지거나 회전되는 등의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If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first error detection unit 31 and the position a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cognized position and direction differ from the predetermined error ran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first error detection unit 31 determines that the medical image is upside down, It is determined that an error such as an angle inclination or a rotation is generated.

제2 오류검출부(32)는 메모리(20)의 통계정보 저장부(22)에 저장된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통계정보를 기초로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한다. 예컨대, 남성은 우측과 좌측 턱관절 중 좌측 턱관절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통계정보가 존재하면 남성의 의료영상에서 좌우측 턱관절 크기를 인식한 결과 우측 턱관절이 더 큰 결과가 나와 통계정보와 불일치한 경우 좌우가 반전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The second error detection unit 32 detects an error in the medical image based o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about the anatomical structure stored i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22 of the memory 20. For example, when there is statistical information that the left jaw join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left jaw joint, the right jaw joint is recognized as larger than the right jaw join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reversed.

이처럼, 제2 오류검출부(32)는 로딩된 의료영상에서 인식된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정보와 통계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통계정보와 기설정된 오차범위를 넘어서 차이가 나면 좌우반전, 상하반전, 기준 좌표계 상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지거나 회전되는 등의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rror detecting unit 32 compa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anatomical structure recognized in the loaded medical image with the statistical information, and if the statistical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predetermined error range, the second error detecting unit 32 performs a left / right inversion, It is determined that an error such as a tilt or rot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has occurred.

제3 오류검출부(33)는 의료영상에 나타난 마커를 인식하여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한다. 따라서, 제3 오류검출부(33)를 통한 처리는 오류 유무 판단을 위한 마커를 수진자에 장착하고 영상을 촬영한 것을 전제로 한다. 예컨대, 악안면 부위에 관한 영상인 경우에는 좌측과 우측의 두께 또는 물질을 달리하여 생성하거나, 좌측과 우측에 각각 L, R 등의 표식을 양각 또는 음극 처리하는 등으로 좌측과 우측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처리한 바이트 블록(Bite block)을 수진자가 장착하고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촬영되는 수진자의 신체 특정 부위, 예컨대, 양측 볼이나 잇몸 등 연조직을 포함한 신체 부위에 부착한 불투과성 방사성 물질을 마커로 활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의료영상의 좌우/상하반전, 회전, 기울어짐 등의 오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의료영상의 위치 및 방향을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마커가 적용될 수 있다.The third error detecting unit 33 detects a marker in the medical image and detects an error in the medical image. Therefore, the processing through the third error detecting unit 33 assumes that a marker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error is attached to the examinee and the image is photograph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image relating to the maxillofacial reg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left and right sides by producing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different thicknesses or materials, or embossing or cathodically processing the left and right side markings such as L and R, respectively The bite block processed by the examinee can be mounted and taken. Alternatively, an impermeable radioactive substance attached to a body-specific region of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for example, a body region including soft tissues such as bilateral balls or gums, can be used as a marker.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markers that can identify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a medical image can be applied so that errors such as left / right / upside / downside, rotation, and tilting of the medical image can be grasped.

제3 오류검출부(33)는 다양한 영상 인식 알고리즘을 기초로 의료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하고 마커가 본래의 위치나 방향과 다른 상태에 있는 경우, 의료영상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The third error detecting unit 33 recognizes the marker in the medical image based on various image recognition algorithms and judges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medical image when the marker is in a stat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osition or direction.

이상에서 설명된 오류검출모듈(30)의 제1 오류검출부(31), 제2 오류검출부(32), 및 제3 오류검출부(33)는 동시에 활성화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한 사용자 입력 등에 기초하여 위 3개의 구성 중 일부의 구성만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또한, 위 3개의 구성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해두고 우선순위가 높은 구성이 우선적으로 활성화되어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차순위의 구성의 활성화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error detecting unit 31, the second error detecting unit 32 and the third error detecting unit 33 of the error detecting module 30 described above may be activated at the same time, Only some of the above three configurations may be selectively activated based on user input or the li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t the priorities for the above three configurations, determine that the configuration having a higher priority is activated first, and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the configuration of the next leve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영상 보정부(40)는 오류검출모듈(30)을 통해 의료영상의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error detection module 30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medical image, the image correcting unit 40 corrects the medical image.

이때, 제1 오류검출부(31)에 의하여 오류가 검출된 경우에는, 기준정보와 일치하지 않은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이 기준정보와 부합되도록 보정을 수행하고, 제2 오류검출부(32)에 의하여 오류가 검출된 때에는, 해당 해부학적 구조가 통계정보와 부합하도록 영상을 보정한다. 또한, 제3 오류검출부(33)에 의하여 오류가 검출된 때에는 마커가 본래 위치 및 방향과 일치하도록 영상을 보정한다.At this time, when an error is detected by the first error detecting unit 31, the correc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that does not match the reference information match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error detecting unit 32 When an error is detected, the image is corrected so that the anatomical structure conforms to the statistical information. Further, when an error is detected by the third error detecting section 33, the image is corrected so that the marker coincides with the original position and direction.

영상 보정부(40)는 의료영상의 DICOM 헤더의 태그값을 수정하거나, 의료영상의 볼륨(Volume)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영상에 좌우반전의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영상 보정부(40)는 Z축을 기준으로 볼륨을 180도 회전하여 좌우가 변경되도록 의료영상의 볼륨 자체의 방향을 수정할 수도 있으며, DICOM 헤더에서 영상 방향이나 위치에 관한 속성에 대응하는 태그값을 변경하여 현상태에서 좌우가 바뀌어 로딩되도록 할 수도 있다. DICOM 헤더의 데이터를 변경해 두면 이후 다른 병원 등에서도 보정된 영상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오류가 재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image correcting unit 40 may correct the tag value of the DICOM header of the medical image or change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volume of the medical image and display the changed value.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left-right reversal in the medical image, the image correcting unit 40 may correct the direction of the volume of the medical image so that the volume is rotated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Z- It is also possible to change the tag value corresponding to the attribute related to the image direction or position in the header so that the tag value is changed in the current state to be loaded. If the data of the DICOM header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corrected image even in another hospital in the fut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ame error from recurring.

한편, 영상의 보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오류검출모듈(30)을 통해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오류 알림 메시지를 표출하고 보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수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rror through the error detection module 30, the error notification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and the corre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Or may be implemented manually in response to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의료영상 보정 장치(100) 구성의 유기적인 동작을 살펴본다.  4 is a flowchart of a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an organic operation of the medical image correct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우선적으로 메모리(20)에 의료영상의 오류 유무를 판단하는데 기초가 되는 기준정보 및 통계정보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하는 것이 전제된다(S10). 전술된 바와 같이, 기준정보는 무결점 의료영상에서 특정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한 정보이고, 통계정보는 수진자 특성,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등에 따른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통계정보로서, 이와 같은 정보는 의료영상의 상하/좌우반전 여부, 기준 좌표계 상에서 회전, 또는 기울어짐 여부 등의 오류를 파악하는데 활용된다.Referring to FIG. 4, it is premised that a database is constructed by storing reference information and statistical information as a basis for judging whether or not an error of a medical image exists in the memory 20 in advance (S10). As described above, the reference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a specific anatomical structure in a non-defective medical image, and statistical information is statistical information on an anatom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aminee, the posi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Is used to detect errors such as whether the medical image is upside-down, left-right reversed, rotated or skewed in the reference coordinate system, and the like.

오류검출모듈(30)은 오류 여부를 판정할 대상 의료영상을 로딩하여, 의료영상에서 기준정보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하고(S11), 인식된 위치 및 방향과 기준정보에 따른 위치 및 방향을 서로 비교하여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한다(S13).The error detection module 30 loads the target medical image to be determined as an error, recognize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in the medical image (S11), and outputs the recognized position and orientation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detects the error of the medical image (S13).

도 5는 기준정보를 기초로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n error in a medical image based on reference information.

도 5는 구강악안면 부위의 CT 영상으로서, 관상면 영상(A2), 축단면 영상(B2), 시상면 영상(C2), 및 3차원 영상(D2)이 표시된 모습을 보여준다.FIG. 5 shows a CT image of the oral maxillofacial region in which a coronal image A2, an axial sectional image B2, a sagittal image C2,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D2 are displayed.

축단면 영상(B2)를 참조하면, 치아를 포함하거나 또는 치아를 포함하지 않은 구강 내 피질골(501)이 하단부에 아래쪽으로 볼록한 포물선 형태로 나타나 있다. 이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결점 의료영상에서는 피질골이 상단부에 위쪽으로 볼록한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기준정보와 상이한 것으로, 오류검출모듈(30)은 축단면 영상(B2)에 상하반전의 오류가 있음을 판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axial sectional view B2, an intraoral cortical bone 501 including teeth or no teeth is shown as a downward convex parabola at the lower end. As shown in FIG. 3, in the defect-free medical image, the cortical bone appears to be convex upward in the upper part, so that it differs from the reference information. The error detection module 30 detects that there is an error in up- Can be distinguished.

시상면 영상(C2)에서는 경추 부위(503)가 화면의 왼쪽, 치아 영역(505)이 오른쪽을 향하도록 나타나있는데, 이는 정상적인 영상과 서로 반대되는 것으로 기준정보와 상이하므로 오류검출모듈(30)은 시상면 영상(C2)에 좌우반전의 오류가 있음을 판별할 수 있다. In the sagittal image C2, the cervical vertebrae area 503 is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and the tooth area 505 is shown on the right side, which is opposite to the normal imag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left-right reversal in the sagittal plane image C2.

또한, 3차원 영상(D2)에서는 치아 영역(507)이 후방을 향하고 있어, 전방을 향하는 기준정보와 상이하므로 오류가 있음을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D2, the teeth region 507 faces backward and differs from the forward reference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rror.

이와 같이, 의료영상에 오류가 있음이 판별되면, 영상 보정부(40)는 해부학적 구조가 기준정보에 따른 위치 및 방향에 부합하여 표시되도록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한다(S15, S17). 보정은 DICOM 헤더에서 영상의 위치나 방향과 관련된 태그값을 변경하거나, 볼륨의 위치나 방향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medical image, the image correcting unit 40 corrects the medical image so that the anatomical structur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S15, S17). The correction may be done by changing the tag value associated with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image in the DICOM header, or by modifying the position or orientation of the volume.

여기서, 볼륨의 위치나 방향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의료영상 자체에 대하여 보정이 이루어질 때, 도 5에 도시된 영상들(A2, B2, C2, D2)과 같이 동일 촬영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얻어진 복수의 영상 중 하나의 영상에서 오류가 발견되면, 영상 보정부(40)는 오류가 발견된 영상뿐 아니라 다른 영상에 대해서도 일괄적으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Here, when the medical image itself is corre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olume are corrected, the image data obtained through the same imaging as the images A2, B2, C2, and D2 shown in FIG. 5 is reconstructed If an error is found in one of the plurality of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correction unit 40, the image correction unit 40 can perform correction on not only the image in which the error is found, but also other images.

한편, 전술된 단계에서는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한 기준정보를 기초로 의료영상을 보정하는 제1 방식만 기술하였으나,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메모리(20)에 저장된 통계정보를 기초로 의료정보에서 인식된 정보와 통계정보를 비교하여 오류를 검출하여 보정하는 제2 방식, 촬영 시부터 수진자에 장착된 마커의 위치 및 방향을 기초로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여 보정하는 제3 방식에 의하여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step, only the first method of correcting the medical image based on the reference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is described. However,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20 A second method of detecting and correcting an error by comparing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medical information with statistical information, a third method of detecting and correcting an error of the medical image based on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marker mounted on the examinee from the time of shooting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rrection may be performed.

위 3가지 보정방식은 사용자 선택이나 설정에 따라 모두 적용될 수 있고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어느 한 방식에 의한 오류검출 결과에 대응하여 적용 여부가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The above three correction methods may be applied according to user selection or setting, or may be selectively applied or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a situation depending on a result of error detection by any one method.

따라서, 반드시 도 4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방법의 각 단계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방식 내지 제3 방식이 적절히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설정이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to third method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respective steps of the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according to FIG. 4, but may be applied in appropriate combination, and may be flexibly changed according to setting or user selection.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장치(100) 및 방법에 의하면, 영상 로딩시점에서 영상의 좌우, 상하 반전, 기울어짐 등의 오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보정함으로써 정확한 진단 및 시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오류를 자동으로 보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준정보, 통계정보, 마커를 기초로 한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오류를 검출함으로써 오류 검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dical image correcting apparatus 100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grasp and correct errors such as left / right, upside / downside, Diagnosis and treatment can be planned.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age error is automatically correcte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and the accuracy of error detection can be improved by detecting errors through various methods based on reference inform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and markers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dical image correct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and may be embodied as various recording media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an optical reading medium, and a digital storage medium.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Implementations of 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or in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combinations thereof. Implementations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such as an information carrier, e.g., a machine readable storage device, such as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for processing by a data processing apparatus, Apparatus (computer readable medium) or as a computer program tangibly embodied in a propagation signal. A computer program, such as the computer program (s) described abov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s, and may be stored as a stand-alone program or in a module, component, subroutine, As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to be processed on on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s network.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Processors suitable for processing a computer program include, by way of example, both general purpose and special purpose microprocessors, and any one or more processors of any kind of digital computer. Generally, a processor will receive instructions and data from a read-only memory or a random access memory or both. The elements of a compute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for executing instructions and one or more memory devices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data. Generally, a computer may include one or more mass storage devices for storing data, such as magnetic, magneto-optical disks, or optical disks, or may receive data from them, transmit data to them, . ≪ / RTI > Information carriers suitable for embody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for examp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for exampl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 optical disk such as a DVD (Digital Video Disk), a ROM (Read Only Memory), a RAM , Random Access Memory), a flash memory, an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and the like. The processor and memory may be supplemented or included by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ry.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 detail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on the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specific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Certain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may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either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 although the features may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scrib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the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Or a variant of a subcombination.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at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Also,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devic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devices will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 메모리
21: 기준정보 저장부 22: 통계정보 저장부
30: 오류검출모듈 31: 제1 오류검출모듈
32: 제2 오류검출모듈 33: 제3 오류검출모듈
40: 영상 보정부
10: user interface unit 20: memory
21: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22: Statist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30: error detection module 31: first error detection module
32: second error detection module 33: third error detection module
40: image correction unit

Claims (10)

의료영상 보정 장치에 의한 의료영상 보정 방법에 있어서,
무결점 의료영상인 제1 의료영상에서의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한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로딩된 의료영상인 제2 의료영상에서 상기 기준정보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기준정보에 따른 상기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과 상기 제2 의료영상에서 인식된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을 비교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의료영상은 구강악안면을 촬영한 영상이고,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의료영상에서 구강 내 피질골의 위치와 방향을 기초로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축단면 영상에서의 오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보정 방법.
A medical image correction method using a medical image correction device,
Storing reference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and a direction of an anatomical structure in a first medical image which is a non-defective medical image;
Recognizing a position and a direction of an anatomic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in a second medical image that is a loaded medical image;
Detecting an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by comparing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with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recognized in the second medical image; And
And performing correction for the second medical image in response to an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Wherein the second medical image is a video image of a mouth surface,
Wherein the step of detecting an error in the second medical image detects an error in an axial sectional image of the second medical image based on a position and a direction of an intraoral cortical bone in the second medical image, Correct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단면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종류에 따른 영상에서의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또는 방향을 상기 기준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보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stor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comprises:
Wherein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in the imag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sectional image and the three-dimensional image is stored as the referen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의료영상의 DICOM 헤더의 태그값을 수정하거나 상기 제2 의료영상의 볼륨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보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performing the correction on the second medical image comprises:
Wherein the tag value of the DICOM heade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is modified or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olume of the second medical image is changed and displayed.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의료영상 보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dical image correction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s recorded.
무결점 의료영상인 제1 의료영상에서의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에 관한 기준정보를 저장하는 기준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메모리;
로딩된 의료영상인 제2 의료영상에서 인식된 상기 기준정보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과 상기 기준정보에 따른 상기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및 방향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는 제1 오류검출부; 및
상기 제1 오류검출부에 따른 제2 의료영상의 오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의료영상은 구강악안면을 촬영한 영상이고,
상기 제1 오류검출부는 상기 제2 의료영상에서 구강 내 피질골의 위치와 방향을 기초로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축단면 영상에서의 오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보정 장치.
A memory including a referenc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reference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and direction of an anatomical structure in a first medical image which is a non-defective medical image;
Comparing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second medical image, which is the loaded medical image, with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A first error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error; And
And an image correcting unit for correcting the second medical image in response to an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rror detecting unit,
Wherein the second medical image is a video image of a mouth surface,
Wherein the first error detecting unit detects an error in an axial sectional image of the second medical image based on a position and a direction of an intraoral cortical bone in the second medical im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통계정보를 저장하는 통계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료영상 보정 장치는, 상기 제2 의료영상에서 인식된 상기 통계정보에 대응하는 해부학적 구조에 관한 정보와 상기 통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는 제2 오류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2 오류 검출부에 따른 제2 의료영상의 오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보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mory may further include a statist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statistical information related to an anatomical structure,
The medical image correc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rror detecting unit for compar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anatomic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tatistical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second medical image to detect an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 / RTI &
Wherein the image correction unit performs the correction on the second medical image in response to an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error detection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의료영상에서 오류 유무 판단을 위하여 촬영시에 수진자에 장착된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마커를 기초로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를 검출하는 제3 오류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3 오류검출부에 따른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오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의료영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보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third error detecting unit for recognizing a marker attached to the examinee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error in the second medical image and for detecting an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based on the recognized marker,
Wherein the image correction unit performs the correction on the second medic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erro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according to the third error detection unit.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류검출부는 상기 제2 의료영상에서 치아 영역과 경추 부위의 위치 및 방향을 기초로 상기 제2 의료영상의 시상면 영상에서의 오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보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error detecting unit detects an error in a sagittal image of the second medical image based on a position and a direction of a tooth region and a cervical vertebra in the second medical im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상기 제2 의료영상의 DICOM 헤더의 태그값을 수정하거나 상기 제2 의료영상의 볼륨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영상 보정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mage correction unit comprises:
And corrects the tag value of the DICOM header of the second medical image or change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volume of the second medical image and displays the modified medical image.
KR1020160161169A 2016-11-30 2016-11-30 Method for correcting medical image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963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169A KR101963650B1 (en) 2016-11-30 2016-11-30 Method for correcting medical image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169A KR101963650B1 (en) 2016-11-30 2016-11-30 Method for correcting medical image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698A KR20180061698A (en) 2018-06-08
KR101963650B1 true KR101963650B1 (en) 2019-04-01

Family

ID=6260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169A KR101963650B1 (en) 2016-11-30 2016-11-30 Method for correcting medical image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293B1 (en) 2019-05-22 2020-02-07 주식회사 루닛 Apparatus for predicting metadata of medical image and method thereof
KR102433054B1 (en) * 2019-05-22 2022-08-17 주식회사 루닛 Apparatus for predicting metadata of medical image and method thereof
KR102464887B1 (en) * 2020-01-21 2022-11-09 주식회사 루닛 Apparatus for predicting metadata of medical image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9577A (en) * 2008-03-14 2009-10-01 Dainippon Printing Co Ltd Imaging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medical im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0375B2 (en) * 1995-05-31 2007-11-21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Radi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477128B1 (en) 2013-06-18 2014-12-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Detection and Correction of the Laterality Errors i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KR101595718B1 (en) * 2014-02-04 2016-02-19 한국디지털병원수출사업협동조합 Scan position guide method of three dimentional ultrasound system
KR101669178B1 (en) * 2014-12-31 2016-10-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Method for Generating Dental Panoramic Imag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9577A (en) * 2008-03-14 2009-10-01 Dainippon Printing Co Ltd Imaging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for medical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698A (en)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789B1 (en) System for generating interpretation data of dental image
JP6400793B2 (en) Generating image display
US7388974B2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6055326A (en) Method for orienting electronic medical images
US20120078102A1 (en) 3-dimensional (3d) ultrasound system using image filtering and method for operating 3d ultrasound system
US10959804B2 (en) Blood vessel sizing device
KR101963650B1 (en) Method for correcting medical image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10706791B (en)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988675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08006188A (en) Medical image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e display processing program
CN107752979B (en) Automatic generation method of artificial projection, medium and projection image determination device
US20070174769A1 (en) System and method of mapping images of the spine
EP3644273A1 (en) System for determining image quality parameters for medical images
US6748257B2 (en) Detection of ribcage boundary from digital chest image
US20220198663A1 (en) Image inspection device, console, and radiographic system
US10936892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image-related information of a medical image
JP533285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043268B2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o generate and display third parameters based on first and second images
JP2020027507A (en)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346199B1 (en) Method for generating panoramic imag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refor
US11730438B2 (en)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positional information acquisition program, and radiography apparatus
KR102267264B1 (en) Dental panoramic x-ray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0194086A (en) Medical image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2007260062A (en) Processor of medical image information and confirmation work support program
KR101963651B1 (en) Method for calibrating ct images,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