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602B1 - Pipe assembly for wet waste process apparatus - Google Patents

Pipe assembly for wet waste process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602B1
KR101963602B1 KR1020170006913A KR20170006913A KR101963602B1 KR 101963602 B1 KR101963602 B1 KR 101963602B1 KR 1020170006913 A KR1020170006913 A KR 1020170006913A KR 20170006913 A KR20170006913 A KR 20170006913A KR 101963602 B1 KR101963602 B1 KR 101963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waste
drying
inlet
drying tub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4192A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주)에코피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피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코피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0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602B1/en
Publication of KR2018008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1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6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0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for sludges or waste products from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건조관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연소로 내부에 배치되어 습식폐기물을 건조 또는 탄화 처리하는 건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습식폐기물을 이송하는 내부유로를 가지고 상기 연소로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습식폐기물이 상기 내부유로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습식폐기물이 상기 내부유로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되,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건조관; 상기 내부유로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건조관에 대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습식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습식폐기물을 상기 내부유로로 유입 또는 배출시키되, 상기 축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건조관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A drying tube assembly of a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ying tube assembly disposed inside a combustion furnace of a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drying or carbonizing a wet waste, the drying tube assembly having an inner flow path for transporting the wet wast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wet waste from the internal flow pat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is provided with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wet waste flows into the internal flow path, A drying pipe ope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wet waste; A transfer screw extending along the inner flow path and driven to rotat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about the drying pipe to transfer the wet waste; And a blade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inlet and the outlet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the wet waste into or from the internal flow passage, the blade mounted on the shaft and rotationally driven together with the feed screw. Drying tube assemblies of the apparatus may be provided.

Figure R1020170006913
Figure R1020170006913

Description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용 건조관 어셈블리{PIPE ASSEMBLY FOR WET WASTE PROCESS APPARATUS}≪ Desc / Clms Page number 1 > PIPE ASSEMBLY FOR WET WASTE PROCESS APPARATUS FOR WET WIPO Patent Application WO /

본 발명은 습식폐기물을 건조 및 탄화 처리하는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연소로 내부에 구비되는 건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drying and carbonizing wet wast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 tube assembly provided inside a combustion furnace of a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습식폐기물은 축산분뇨, 가축사체,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공정슬러지 등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 폐기물을 지칭한다. 습식폐기물의 배출은 나날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습식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수단이나 방법도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Wet wastes refer to wastes containing moisture, such as livestock manure, livestock carcasses, food waste, sewage sludge, and process sludge. Emissions of wet wastes are increasing day by day, and mea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wet wastes are being explored in a variety of ways.

일 예로, 축산분뇨는 분뇨를 퇴비로 변환하는 퇴비화 공법, 고액 분리를 통한 액비화(液肥化) 방법, 톱밥을 이용한 톱밥 축사 적용 등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방법은 각 처리 특성에 따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그 보급이나 사용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For example, livestock manure is known to be a composting method that converts manure into compost, a method of liquid fertilizing by solid-liquid separation, and application of sawdust using sawdust. However, these conventional methods have problems due to their respective process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diffusion and use are limited.

좀 더 구체적으로, 퇴비화 공법은 야적법(windrow system)과 공기주입식 퇴비단 공법(aerated pile or staticpile system)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야적법은 폭 4~5m, 높이 1~2m 정도의 큰 크기로 퇴비단을 야적해야 하고, 부숙기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공기주입식 퇴비단 공법 또한 5~6주간의 처리 및 부숙기간이 요구되어 퇴비화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이들 퇴비화 공법은 침출수의 발생으로 인해 악취나 해충의 폐해, 처리과정 중 토양오염의 가능성도 문제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mposting method is known as a windrow system and an aerated pile or static pile system. However, the field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the composting stage must be carried out with a large size of 4 ~ 5m in width and 1 ~ 2m in height, and the compaction period is long. Also, the air-fed composting method requires 5 to 6 weeks' treatment and composting period, which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compost. In addition, these composting methods are also problematic due to the occurrence of leachate, the harmfulness of odor and pest, and the possibility of soil contamination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막분리 공정을 포함한 액비화 공정의 경우, 필연적으로 축산분뇨로부터 슬러지가 발생되며, 액비화의 부숙정도의 차이로 인해 토양오염이 발생될 위험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액비화 공정은 처리를 위해 비교적 넓은 장소가 요구되며, 처리에 필요한 기술적 난이도가 높아 운영이나 관리상의 어려움도 문제되고 있다. 한편, 톱밥 축사 적용은 주기적인 교체나 회수가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시간, 인력 등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In the case of the liquefaction process including the membrane separation process, sludge is inevitably generated from the livestock manure, and there is a risk that soil contamination may occu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mposting of the liquefaction. Also, in general, the liquefaction process requires a relatively large area for the treatment, and the technical difficulty required for the treatment is high, so that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difficulties are also problematic. On the other hand, application of sawdust housing is inefficient in terms of time, manpower, etc., because it requires constant replacement or recycl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출원인은 건조 및 탄화 처리에 의한 습식폐기물의 처리장치를 기 출원한 바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78449호(발명의 명칭: 습식폐기물 탄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습식폐기물 재생설비)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579441호(발명의 명칭: 습식폐기물 처리장치)가 그것이다. 이들 등록특허공보의 습식폐기물 탄화장치 등은 습식폐기물을 가열하여 건조 및 탄화 처리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좁은 설치공간만이 요구되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습식폐기물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n application for an apparatus for treating wet wastes by drying and carbonizing treatme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178449 (entitled "Waste Waste Carbonization Apparatus and Waste Waste Recycling Facility Using the Same") and Registered Patent No. 10-1579441 (entitled "Waste Waste Treatment Apparatus"). The wet waste carbonization apparatuses and the like of these patent publications heat the wet waste, dry and carbonize it,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treatment of the wet waste while requiring only a narrow space for installation.

특히, 등록특허공보 제10-1579441호의 습식폐기물 처리장치는 복수의 건조/탄화관(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건조관'으로 지칭)을 구비하고, 습식폐기물을 건조관 내부로 이송하면서 건조 및 탄화 처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다수의 건조관이 연소로 내부에 밀집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In particular, the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Patent Publication No. 10-1579441 includes a plurality of dry / carbonized tub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ying tube'), and the wet waste is dried and carbonized And a plurality of drying tubes are densely arranged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도 1은 상기의 습식 폐기물 처리장치에서 연소로 내부의 건조관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의 (a)는 등록특허공보 제10-1579441호의 명세서에 도시된 배치도이며, 도 1의 (b)는 이에 기반하여 본 출원인이 실구현한 제품의 도면이다. 또한, 도 1의 (a) 및 (b)는 복수의 건조관이 배치된 형태를 측면상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drying tubes inside a combustion furnace in the above-described wet waste processing apparatus. FIG. 1 (a) is a layout diagram shown in the specification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579441, and FIG. 1 (b) is a drawing of a product actually implemented by the applicant on the basis thereof. 1 (a) and 1 (b) show a side view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drying tubes are arranged.

도 1을 참조하면, 연소로(2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소로(20) 하부에는 건조관(10a 내지 10k) 내부의 습식폐기물을 가열하기 위한 연소기가 배치될 수 있다. 각 건조관(10a 내지 10k)은 연소로(20) 내부에서 횡방향 연장 형성되며, 단부가 인접한 다른 건조관(10a 내지 10k)과 연결되어 습식폐기물의 이동을 위한 이송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습식폐기물은 건조관(10a 내지 10k)을 따라 연소로(20)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지그재그 형태(도면상, 들어가거나(X 표시) 나오는(O 표시) 방향으로 교번하여 이동)로 이동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ombustion furnace 20 may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a combustor for heating the wet waste in the drying tubes 10a to 10k may be disposed below the combustion furnace 20 have. Each of the drying tubes 10a to 10k is formed to extend transversely inside the furnace 20 and connected to other adjacent drying tubes 10a to 10k to form a transport path for movement of the wet waste. The wet waste is moved along the drying pipes 10a to 10k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furnace 20 in a zigzag form (alternately moving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X) or (X)).

또한, 종래의 건조관(10a 내지 10k) 배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상으로도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연소로(20) 측면에서 바라볼 때, 복수의 건조관(10a 내지 10k)의 단부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지그재그 형태를 그리며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건조관(110)의 배치는 상호 연결된 건조관(10a 내지 10k) 사이에서 습식폐기물이 자중이나 경사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단의 건조관(10a)을 예시로 설명하면, 상단의 건조관(10a) 단부로 이동된 습식폐기물이 그 다음의 건조관(10b)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다음의 건조관(10b)을 상단의 건조관(10a)보다 소정정도 낮은 위치에 배치한 것이다. 습식폐기물은 상단의 건조관(10a) 단부까지 이송되면, 자중이나 연결관(30a)의 경사에 의해 자연스럽게 그 다음의 건조관(10b)으로 유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conventional drying tubes 10a to 10k is zigzag in side view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20, the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drying tubes 10a to 10k are arranged in a staggered fash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arrangement of the drying pipe 110 is such that the wet waste can be transported by self weight or inclination between the interconnected drying pipes 10a to 10k. In other words, the drying pipe 10a at the top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order to allow the wet waste transferred to the upper end of the drying pipe 10a to be moved to the next drying pipe 10b, Is arrang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drying tube 10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wet waste is transferred to the upper end of the drying pipe 10a, it can be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next drying pipe 10b by its own weight or inclination of the connecting pipe 30a.

상기와 같은 습식폐기물 처리장치나 건조관의 배치에 있어서 연소로 내부에 배치되는 건조관의 용량이나 개수는 장치의 폐기물 처리능력에 직결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건조관을 연소로 내부에 많이 배치시킬수록 장치의 폐기물 처리능력은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수의 건조관을 연소로 내부에 최적 배치시킴으로써, 장치의 폐기물 처리능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측면에서 동일한 처리능력 대비 장치의 크기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져온다.The capacity or the number of the drying pipes disposed in the combustion furnace in the arrangement of the wet waste treatment facility or the drying pipe as described above may be a factor directly related to the waste treatment capability of the apparatus. That is, the more the drying tube is disposed in the combustion furnace, the better the waste treatment ability of the apparatus can be. In other words, by optimally arranging a plurality of drying tubes inside the furnace, the waste treatment capability of the apparatus can be increas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size or installation space of the apparatus in comparison with the same processing capacity in other respects.

등록특허공보 제10-1178449호(2012. 08. 24. 등록)Patent Registration No. 10-1178449 (registered on Aug. 24, 2012) 등록특허공보 제10-1579441호(2015. 12. 16. 등록)Patent Registration No. 10-1579441 (registered on December 16, 2015)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조관의 배치를 최적화함으로써, 장치의 폐기물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장치의 크기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건조관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drying tubular assembly of a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optimize the placement of the drying tubing in a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to minimize the size and installation space of the apparatus while improving the waste treatment capability of the apparatus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연소로 내부에 배치되어 습식폐기물을 건조 또는 탄화 처리하는 건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습식폐기물을 이송하는 내부유로를 가지고 상기 연소로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습식폐기물이 상기 내부유로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습식폐기물이 상기 내부유로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되,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건조관; 상기 내부유로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건조관에 대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습식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습식폐기물을 상기 내부유로로 유입 또는 배출시키되, 상기 축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건조관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ying tube assembly disposed inside a combustion furnace of a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drying or carbonizing a wet waste, the drying tube assembly having an inner flow path for transporting the wet waste,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wet waste from the internal flow pat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port is provided with an inlet port through which the wet waste flows into the internal flow path, A drying pipe ope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wet waste; A transfer screw extending along the inner flow path and driven to rotat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about the drying pipe to transfer the wet waste; And a blade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inlet and the outlet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the wet waste into or from the internal flow passage, the blade mounted on the shaft and rotationally driven together with the feed screw. Drying tube assemblies of the apparatu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건조관 어셈블리는,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구비함으로써, 연소관 내부에 보다 최적화된 형태로 다수의 건조관이 밀집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연소로 내부에 보다 많은 개수 또는 용량의 건조관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폐기물 처리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동일한 수준의 처리능력 대비 습식폐기물 처리장치나 연소로의 설치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The drying tube assembly of the apparatus for treating a wet wast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and an outlet that are orthogonal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wet waste so that a plurality of drying tubes can be densely arranged in a more optimized form inside the combustion tube . Therefore, a larger number or capacity of dry tubes can be disposed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thereby improving the waste treatment capability of the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space of wet waste treatment plants and combustion furnaces can be minimized compared to the same level of processing capability in other respects.

도 1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종래 습식 폐기물 처리장치에서 연소로 내부의 건조관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출측 세그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조관 어셈블리가 복수개 연결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 형태를 도 4의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결 형태에서 보조블레이드가 추가된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건조관 어셈블리가 연소로 내에 다수개 연결 설치되어 밀집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ying tube arrangement in a combustion furnace in a conventional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drying tube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discharge side segment shown in Figure 2;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drying tube assemblies shown in FIG. 2 are connected.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nection mode of FIG. 4 as viewed from direction A of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auxiliary blades are added in the connection mode shown in Fig.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lurality of dry tube assemblies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ful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내부로 습식폐기물을 이송하고, 건조 또는 탄화 처리하는 건조관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a drying tube assembly for transferring wet waste into the interior and drying or carbonizing the interior can be provided.

이때, 습식폐기물은 축산분뇨, 가축사체,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공정슬러지 등 소정의 함수율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을 포함하는 의미임을 알려둔다.Here, wet wastes are meant to include various kinds of wastes having predetermined moisture contents such as livestock manure, livestock carcasses, food waste, sewage sludge, and process sludge.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일 예로는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등록특허공보 제 제10-1579441호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의 습식폐기물 처리장치는 연소로 내부에 복수의 건조관이 구비되며, 습식폐기물이 건조관 내부로 이송되면서 건조 또는 탄화 처리된다.An example of a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579441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of the above patent public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drying tubes inside a combustion furnace, and the wet waste is dried or carbonized while being transferred into the drying tube.

본 실시예의 건조관 어셈블리는 상기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 건조관의 연결 또는 배치에 적용될 수 있다. 단,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의 건조관 어셈블리는 상기 습식폐기물 처리장치 외 공지된 다른 유사 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상기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에 그 적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rying tube assembly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or disposition of the drying pipe in the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However, if necessary, the drying tube assembly of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other similar processing apparatuse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the application thereof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관 어셈블리(100)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drying tube assembly 100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건조관 어셈블리(100)는 건조관(1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rying tub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rying tube 110.

건조관(110)은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습식폐기물의 이송을 위한 횡방향의 내부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습식폐기물은 건조관(11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편의상, 도 2에서는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정하였다.The drying pipe 11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may have a transverse inner flow path for transferring the wet waste. The wet waste may be transversely transferred along the drying tube 110. For convenience, FIG. 2 assumes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wet waste from left to right.

건조관(11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습식폐기물이 건조관(110)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유입구(111)는 이송방향의 전단(즉, 도면상 좌측단)에 마련될 수 있다. 건조관(110)의 반대측 단부에는 습식폐기물이 건조관(110)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구비될 수 있다.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배출구(112)는 이송방향의 후단(즉, 도면상 우측단)에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는 건조관(110)의 내부유로와 연통될 수 있으며, 습식폐기물이 건조관(110) 내외부로 유출입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ying pipe 110, an inlet 111 through which the wet waste flows into the drying pipe 110 may be provided. The inlet 111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in the conveying direction (i.e., the left end in the drawing), on the basis of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et waste. At the opposite end of the drying pipe 110, a discharge port 112 through which the wet was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pipe 110 may be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wet waste, the discharge port 11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in the transport direction (i.e., the right end in the drawing). The inlet port 111 and the outlet port 112 can communicate with the inner flow path of the drying pipe 110 and can function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et waste flows into and out of the drying pipe 110.

이때,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는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은, 유입구(111)가 개구된 방향 또는 배출구(112)가 개구된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경우, 횡방향(즉, 좌측에서 우측)의 습식폐기물 이송방향에 대해, 유입구(111)는 도면상 상측으로 개구되고, 배출구(112)는 하측으로 개구되어, 각각 습식폐기물 이송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입구(111) 또는 배출구(112)의 방향은 복수의 건조관(110)을 연결 배치시 보다 컴팩트한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At this time,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112 may be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wet waste. In other words,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wet waste may be formed so as to b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111 is opened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112 is opened. In the case of FIG. 2, for the wet waste transfer direc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e., from left to right), the inlet 111 is opened upward in the drawing and the outlet 112 is opened downward, And are arranged to be orthogonal. The direction of the inlet 111 or the outlet 112 enables a more compact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drying tubes 110 when the drying tubes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단, 상기와 같은 경우, 유입구(111)에 대한 배출구(112)의 방향 또는, 배출구(112)에 대한 유입구(111)의 방향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 2에서는 유입구(111)는 상측을 향해 개구되고, 배출구(112)는 하측을 향해 개구되어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가 동일하게 상측, 하측 또는 측방을 향해 개구될 수도 있으며, 유입구(111)가 일측 측방을 향해 개구되고 배출구(112)가 반대측 측방을 향해 개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의 방향은 연소로 내부의 건조관(110) 배치나 연결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단, 어느 경우에도, 유입구(111) 또는 배출구(112)가 개구된 방향은 건조관(110) 내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112 with respect to the inlet port 111 or the direction of the inlet port 111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ort 112 may be changed as needed,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2, the inlet 111 is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outlet 112 is opened toward the lower side so that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112 are ope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However, It is not. For example, the inlet port 111 and the outlet port 112 may be equally opened upward, downward, or laterally, and the inlet port 111 may be opened toward one side and the outlet port 112 may be opened toward the opposite side . The direction of the inlet port 111 and the outlet port 112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and connection state of the drying pipe 110 in the combustion furnace. In any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111 or the outlet 112 is opened is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et waste in the drying tube 110.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입구(111)는 건조관(110)에 연결되는 다른 건조관의 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배출구(112)는 건조관(110)에 연결되는 또 다른 건조관의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단, 건조관(110)이 습식폐기물 이송경로의 최전단에 배치되는 것인 경우, 해당 건조관(110)의 유입구(111)는 공급호퍼 등 습식폐기물의 장치 내 공급을 위한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건조관(110)이 습식폐기물 이송경로의 최후단에 배치되는 것인 경우, 해당 건조관(110)의 배출구(112)는 배출라인 등 습식폐기물의 연소로 외부 배출을 위한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inlet 111 may be connected to an outlet of another drying tube connected to the drying tube 110, and the outlet 112 may be connected to another drying tube connected to the drying tube 110 And may be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However, if the drying tube 110 is disposed at the foremost end of the wet waste transport path, the inlet 111 of the drying tube 110 may be connected to a means for feeding the wet waste, such as a feed hopper, into the apparatus . Conversely, if the drying tube 110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wet waste transfer path, the outlet 112 of the drying tube 110 is connected to means for external discharge by combustion of the wet waste, such as a discharge line .

바람직하게, 건조관(110)의 양단 부위는 건조관(110)이 설치된 연소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건조관(110)은 노출된 각 단부 부위에서 다른 건조관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부위가 연소로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건조관(110)의 유지나 보수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Preferably, both ends of the drying pipe 1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in which the drying pipe 110 is installed. In this case, the drying tube 110 can be connected to another drying tube at each exposed end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burning, so that the maintenance or repair work of the drying tube 110 can be facilitated.

또한, 본 실시예의 건조관 어셈블리(100)는 이송 스크류(1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ying tube assembly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transfer screw 120.

이송 스크류(120)는 건조관(110)의 일단에서 타단에 이르도록 건조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120)는 건조관(1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축(R)을 중심으로 건조관(110)에 대해 회전 동작될 수 있다.The conveying screw 120 may extend along the length of the drying pipe 110 to reach the other end of the drying pipe 110. The delivery screw 1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rying tube 110 and may be rotated about the longitudinal axis R about the drying tube 110.

이송 스크류(120)는 건조관(110) 내부에서 습식폐기물을 이송시킬 수 있다.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은 이송 스크류(120)의 회전방향에 관련된다. 즉, 이송 스크류(120)가 일 방향(예컨대, 축(R)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습식폐기물은 건조관(110)을 따라 일 방향(예컨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송 스크류(120)가 반대방향(예컨대, 축(R)을 중심으로 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습식폐기물은 반대방향(예컨대,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습식폐기물은 소정의 수분을 함유한 슬러지 또는 슬러리의 형태를 띄기 때문에, 원활한 이송을 위해서 이송 스크류(120)에 의한 강제 이송이 필요하게 된다.The transfer screw 120 can transfer the wet waste within the drying tube 110.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wet waste is related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transport screw 120. That is, when the conveying screw 1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about the axis R), the wet waste is conveyed along the drying pipe 110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from left to right) And when the conveying screw 12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e.g., counterclockwise about the axis R), the wet waste can be conveyed in the opposite direction (e.g., from right to left). Typically, the wet waste is in the form of a sludge or slurry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so forced transport by the feed screw 120 is required for smooth transport.

한편, 본 실시예의 건조관 어셈블리(100)는 블레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ying tub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e blade 130.

블레이드(130)는 건조관(110)의 일단 및 타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블레이드(130)는 건조관(110)에 마련된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블레이드(130)는 건조관(110)의 일단 및 타단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블레이드(130)는 건조관(110)에 마련된 배출구(11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블레이드(130)가 이와 같이 배출구(112) 부위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있다.The blade 130 may be dispos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drying pipe 110. Alternatively, the blade 13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112 provided in the drying tube 110. Preferably, the blade 130 may be disposed at one end and / or the other end of the drying tube 110, and more preferably, the blade 1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let 112 provided in the drying tube 110 .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blade 130 is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112 is exemplified.

블레이드(130)는 건조관(110) 단부에서 습식폐기물을 소정정도 파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블레이드(130)는 습식폐기물이 건조관(110) 내부로 유입되거나, 건조관(110) 단부로 이송되면, 이를 소정정도 파쇄하여 다음 단계로 전달할 수 있다.The blade 130 may have the function of disrupting the wet waste to a predetermined extent at the end of the drying tube 110. That is, when the wet waste flows into the drying pipe 110 or is conveyed to the end of the drying pipe 110, the blade 130 can crush the wet waste to a predetermined degree and transfer it to the next step.

또한, 블레이드(130)는 건조관(110) 단부에서 습식폐기물을 건조관(110)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건조관(110)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30)가 배출구(112) 부위에 배치된 경우, 블레이드(130)는 이송 스크류(120)에 의해 건조관(110) 단부(즉, 좌측단)로 이송된 습식폐기물을 배출구(112)를 통해 건조관(1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배출된 습식폐기물은 해당 건조관(110)에 연결된 다른 건조관으로 유입되게 된다. 단, 도시되지 않았으나, 블레이드(130)가 유입구(111) 부위에 배치된 경우 또는, 블레이드(130)가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 부위에 모두 배치된 경우, 블레이드(130)는 습식폐기물을 건조관(110)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 외에도, 습식폐기물을 건조관(110)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blade 130 may have a function of introducing the wet waste into the drying pipe 110 at the end of the drying pipe 110 or discharging the wet waste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pipe 110. That is, when the blade 130 is disposed at the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112 as shown in the drawing, the blade 130 is moved by the conveyance screw 120 to the wet waste conveyed to the end (i.e., the left e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pipe (11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2). In this case, the discharged wet waste flows into another drying pipe connected to the drying pipe 110. However, although not shown, when the blade 130 is disposed at the inlet 111, or when the blade 130 is disposed at both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112, the blade 130 may be a wet waste To the outside of the drying pipe 110, as well as to introduce the wet waste into the drying pipe 110.

한편, 블레이드(130)는 횡방향 또는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블레이드(130)는 이송 스크류(120)와 축(R)을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블레이드(130)는 이송 스크류(120)의 회전 중심 축(R)에 직접 체결되거나, 이에 축 결합되어 이송 스크류(120)와 함께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조적 간소화에 의해 오작동률의 감소나, 유지 관리상의 이점도 도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lade 130 may be rotationally driven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ransport of the wet or waste in the lateral direction. Preferably, the blade 130 may share the axis R with the feed screw 120. In this case, the blade 13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rotation center axis R of the feed screw 120, or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feed screw 120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feed screw 120. This structure has an advantage tha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a structural simplification can reduce the malfunction rate and can also provide advantages in maintenance.

블레이드(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작상의 용이성이나 단가 등을 고려하여 가급적 단순화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블레이드(130)는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축(R)에 장착되고 있다. 단, 이러한 블레이드(13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lade 13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it may be formed in a simplified form as much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ease of manufacture, unit cost,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ade 1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one side is mounted on the axis R.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hape of the blade 130 may be variously changed as needed.

블레이드(130)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면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복수개가 축(R)을 중심으로 방사형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30)의 개수 증가는 블레이드(130)를 통한 습식폐기물의 파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 블레이드(130)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아지면, 이로 인해 습식폐기물의 이동이 방해될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130)의 개수는 3 내지 8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총 4개의 블레이드(130)가 축(R)을 중심으로 대략 90도 간격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있다.One or more blades 130 may be provided, but a plurality of preferably three or more blades 130 may be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axis R. [ Increasing the number of blades 130 may improve the ability to break the wet waste through the blades 130. However, if the number of the blades 130 is excessively large, the movement of the wet waste may be hindered, so that the number of the blades 130 may be three to eight.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blades 130 are arranged at an interval of about 90 degrees around the axis R as an example.

한편, 전술한 건조관(110)의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다른 건조관의 연결을 위한 연결 플랜지(113, 114)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플랜지(113, 114)는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 부위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유입구(111) 측에 구비된 연결 플랜지(113)를 '유입측 연결 플랜지(113)'로, 배출구(112) 측에 구비된 연결 플랜지(114)를 '배출측 연결 플랜지(114)'로 구분하여 지칭키로 한다. 이와 같은 유입측 또는 배출측 연결 플랜지(113, 114)는 복수의 건조관(110)을 보다 용이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At least one of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112 of the drying tube 110 may be provided with connecting flanges 113 and 114 for connecting other drying tubes. Preferably, the connection flanges 113 and 114 may be provided at both the inlet 111 and outlet 112 sites. The connection flange 113 provided at the inlet port 111 side is referred to as an inlet connection flange 113 and the connection flange 114 provided at the outlet port 112 is referred to as an outlet connection flange 114, , Respectively. The inlet-side or outlet-side connection flanges 113 and 114 allow the plurality of drying tubes 110 to be easi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필요에 따라 건조관(110)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건조관(110)은 유입구(111)를 포함하는 일단 부위(즉, 좌측단 부위) 및 배출구(112)를 포함하는 타단 부위(즉, 우측단 부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건조관(110)은 유입구(111)를 포함하는 일단 부위, 배출구(112)를 포함하는 타단 부위 및, 상기의 일단 부위와 타단 부위를 연결하는 중앙의 연결 부위로 3분할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drying tube 1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Preferably, the drying pipe 110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of the one end portion including the inlet port 111 (i.e., the left end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including the discharge port 112 (i.e., the right end portion) . More preferably, the drying tube 110 is divided into three portions, one end including the inlet 111, the other end including the outlet 112, and a central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이 건조관(110)이 3분할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편의상, 유입구(111)를 포함하는 분할 부위를 '유입측 세그먼트(110a)'로, 배출구(112)를 포함하는 분할 부위를 '배출측 세그먼트(110c)'로, 중앙의 연결 부위를 '연결 세그먼트(110b)'로 지칭키로 한다. 이에 의하면, 건조관(110)은 유입측 세그먼트(110a), 배출측 세그먼트(110c) 및 연결 세그먼트(110b)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 형성된 건조관(110)은 건조관(110)의 연결 작업이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rying tube 110 is divided into three portions as described above. For convenience, the divided portion including the inlet port 111 is referred to as an 'inlet segment 110a' and the outlet port 112 Quot; discharge segment 110c ", and the central connecting portion is referred to as a " connecting segment 110b ". According to this, the drying pipe 110 can be divided into the inlet side segment 110a, the outlet side segment 110c and the connecting segment 110b. The drying tube 110 thus divided is advantageous in facilitating connection and maintenance work of the drying tube 110.

상기의 경우, 유입측 세그먼트(110a)와 배출측 세그먼트(110c)는 상호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 유입측 세그먼트(110a)에는 유입구(111)가, 배출측 세그먼트(110c)에는 배출구(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 유입구(111) 또는 배출구(112)의 방향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만 일부 차이가 있다. 유입측 세그먼트(110a) 및 배출측 세그먼트(110c)는 각각 플랜지 결합을 통해 연결 세그먼트(110b)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 결합은 연결 작업의 용이성을 가지는 한편, 분리가 가능하므로 설치 후 유지 보수 작업에도 유리한 이점을 가진다. 연결 작업이나 유지 보수 작업을 고려하여, 유입측 세그먼트(110a) 및 배출측 세그먼트(110c)는 연결 세그먼트(110b)에 결합된 플랜지 결합 부위를 포함하여 연소로 외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inlet-side segment 110a and the outlet-side segment 110c may be formed similarly to each other. It should be noted that an inlet 111 may be provided in the inlet segment 110a and an outlet 112 may be provided in the outlet segment 110c and the direction of the inlet 111 or the outlet 112 may be different There are some differences only in that there is. The inlet segment 110a and the outlet segment 110c may each be fastened to the connecting segment 110b through a flange connection. Such flange connection has advantages of easy connection, but also advantageous in maintenance work after installation since it can be sepa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on operation or the maintenance ope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let side segment 110a and the outlet side segment 110c are disposed outside the combustion furnace including the flange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onnecting segment 110b.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출측 세그먼트(110c)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배출측 세그먼트(110c)의 측면 개략도, 도 3의 (b)는 배출측 세그먼트(110c)의 정면 개략도, 도 3의 (c)는 배출측 세그먼트(110c)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 개략도임을 알려둔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입측 세그먼트(110a) 또한 도 3에 도시된 배출측 세그먼트(110c)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3 is a view showing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shown in Fig. Fig. 3 (a) is a side schematic view of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Fig. 3 (b)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It is noted that this is a schematic plan view. Although not shown, it is noted that the inlet segment 110a may also be formed similar to the outlet segment 110c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배출측 세그먼트(110c)는 내부에 습식폐기물이 이동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 세그먼트(110b)를 향하는 일단에 결합 플랜지(115)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 플랜지(115)는 연결 세그먼트(110b)에 플랜지 결합될 수 있다.3,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may have a predetermined space in which the wet waste can be moved, and a coupling flange 115 may be provided at one end toward the connection segment 110b . The coupling flange 115 may be flanged to the coupling segment 110b.

또한, 배출측 세그먼트(110c)에는 배출구(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배출구(112) 부위에는 배출측 연결 플랜지(114)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측 연결 플랜지(114)는 다른 건조관의 유입측 연결 플랜지와 플랜지 결합될 수 있다. 배출측 세그먼트(110c) 내부에는 전술한 이송 스크류(120) 및 블레이드(130)가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may be provided with the discharge port 112 and the discharge port 112 may be provided with the discharge side connection flange 114. [ The discharge side connection flange 114 can be flanged to the inlet side connection flange of another drying tube. In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the above-described transfer screw 120 and the blade 130 may be disposed.

필요에 따라, 배출측 세그먼트(110c)에는 센서장착홀(116)이 구비될 수 있다. 센서장착홀(116)은 배출측 세그먼트(110c)의 일측 외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온도센서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온도센서는 배출측 세그먼트(110c) 또는 건조관(1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Optionally, a sensor mounting hole 116 may be provided in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The sensor mounting hole 116 may be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and a temperature sensor may be inserted t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thus installed can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or the drying pipe 110. [

또한, 배출측 세그먼트(110c)에는 에어투입구(117) 및 에어흡입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에어투입구(117)는 배출측 세그먼트(110c)의 일측 외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에어흡입구는 상기 일측의 반대측 외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의 (c)는 배출측 세그먼트(110c)를 에어투입구(117) 측에서 내려다본 모습으로, 반대측의 에어흡입구는 도시되고 있지 않음을 알려둔다. 배출측 세그먼트(110c) 또는 건조관(110) 내부로 과잉공기를 급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잉공기는 건조관(110) 내부에서 습식폐기물의 건조 또는 탄화 처리를 촉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may be provided with an air inlet 117 and an air inlet (not shown). The air inlet 117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and the air inlet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3 (c) shows that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i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air inlet 117, and the air inlet on the opposite side is not shown. The excess air can be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side segment 110c or the drying pipe 110. [ Such excess air can promote drying or carbonization of the wet waste within the drying tube 110.

참고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입측 세그먼트(110a)는 유입구(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유입구(111) 부위에는 다른 건조관의 배출측 연결 플랜지와 플랜지 결합되는 유입측 연결 플랜지(113)가 마련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전술한 배출측 세그먼트(110c)와 유사하게, 유입측 세그먼트(110a) 또한 센서장착홀, 에어투입구 및 에어흡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inflow side segment 110a may be provided with an inflow port 111, and an inflow side connection flange 113 flanged to the discharge side connection flange of another drying pipe may be provided at the inflow port 111 (See FIG. 2).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side segment 110c, the inlet side segment 110a may also be provided with a sensor mounting hole, an air inlet, and an air inlet.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조관 어셈블리(100)가 복수개 연결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drying tube assemblies 100 shown in FIG. 2 are connected.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건조관 어셈블리(100)는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호 연결 설치된 복수의 건조관 어셈블리(100)는 습식폐기물이 이송되는 하나의 이송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the drying tube assemblies 100 may be continuously connected.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drying tube assemblies 100 may form one transport path through which the wet waste is transport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각 건조관 어셈블리(100)를 상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제1건조관 어셈블리(100-1), 제2건조관 어셈블리(100-2) 및 제3건조관 어셈블리(100-3)로 구분하여 지칭키로 한다. 제1 내지 3건조관 어셈블리(100-1, 100-2, 100-3)의 각 구성 또한 '제1, 제2, 제3'으로 구분하여 지칭키로 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respective drying tube assemblies 100 shown in FIG. 4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drying tube assembly 100-1, a second drying tube assembly 100-2, and a third drying And a tube assembly 100-3. The respective constitutions of the first to third drying tube assemblies 100-1, 100-2 and 100-3 are also referred to as 'first, second and third'.

상기에 따르면, 제1건조관 어셈블리(100-1)는 제1방향(즉, 좌측에서 우측)의 이송방향을 가지며, 이송방향의 후단(즉, 우측단)에 제1배출구(11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건조관 어셈블리(100-1)의 제1배출구(112-1)는 제2건조관 어셈블리(100-2)의 제2유입구(11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건조관 어셈블리(100-2)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즉, 우측에서 좌측)의 이송방향을 가지며, 이송방향 후단(즉, 좌측단)의 제2배출구(112-2)가 제3건조관 어셈블리(100-3)의 제3유입구(111-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건조관 어셈블리(100-3)는 다시 제1방향으로 습식폐기물을 이송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drying tube assembly 100-1 has the first discharge port 112-1 at the rear end (i.e., the right end)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has a conveying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i.e., May be provided. The first outlet 112-1 of the first drying tube assembly 100-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111-2 of the second drying tube assembly 100-2. The second drying tube assembly 100-2 has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e., from the right to the left) and has a second outlet 112- 2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inlet 111-3 of the third drying tube assembly 100-3. In addition, the third drying tube assembly 100-3 may again be configured to transport the wet waste in a first direction.

상기와 같이 제1 내지 3건조관 어셈블리(100-1, 100-2, 100-3)는 단부가 상호 연결 설치되되, 이송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방향은 각 이송 스크류(120-1, 120-2, 120-3)의 회전 방향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이송 스크류(120-1) 및 제3 이송 스크류(120-3)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제2이송 스크류(120-2)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제1 내지 3건조관 어셈블리(100-1, 100-2, 100-3)의 이송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third drying tube assemblies 100-1, 100-2, and 100-3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ir ends are mutually connected, but their transport directions are opposite to each other. Such a conveyance direction can be set through the rotation direction of each of the conveyance screws 120-1, 120-2, and 120-3. For example, the first conveying screw 120-1 and the third conveying screw 120-3 are rotationally driven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second conveying screw 120-2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drying tube assemblies 100-1, 100-2, and 100-3 can be set.

따라서 습식폐기물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이 교대로 반복되면서 제1 내지 3건조관 어셈블리(100-1, 100-2, 100-3)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습식폐기물은 대략 'S'자 형태나 지그재그 형태의 이송경로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이송경로는 공간 효율적이며, 제한된 공간의 연소로 내에 최대한 많은 개수의 건조관을 배치시킬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the wet waste can be transported along the first to third drying tube assemblies 100-1, 100-2, and 100-3 while alternating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 other words, wet wastes have approximately 'S' shaped or zigzag shaped transport paths. Such a transfer path is space-efficient and allows the maximum number of drying tubes to be arranged in the combustion furnace with a limited space.

바람직하게, 제1 내지 3건조관 어셈블리(100-1, 100-2, 100-3)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각 배출구 및 유입구는 가급적 연결 부위에 관(pipe) 구조 등을 배제하고, 플랜지 결합을 통해 직접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내지 3건조관 어셈블리(100-1, 100-2, 100-3) 간이 최소한의 필요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연소로 내 건조관의 밀집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Preferably, the first to third drying tube assemblies 100-1, 100-2, and 100-3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each outlet and inlet port preferably excludes a pipe structure, etc., , And may be formed to directly communicate through the flange conn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arrange the first to third drying tube assemblies 100-1, 100-2, and 100-3 at minimum necessary intervals, thereby increasing the density of the drying tubes in the furnace.

한편, 제1 내지 3건조관 어셈블리(100-1, 100-2, 100-3)는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결 설치되거나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형태는 제1 내지 3건조관 어셈블리(100-1, 100-2, 100-3)의 상하 배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좌우 배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을 알려둔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일부 건조관 어셈블리 간은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다른 일부 건조관 어셈블리 간은 좌우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경우에서, 제1건조관 어셈블리(100-1)와 제2건조관 어셈블리(100-2)는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되되, 제3건조관 어셈블리(100-3)는 제2건조관 어셈블리(100-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형태도 고려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경우, 연결되는 건조관 어셈블리의 위치에 따라 유입구 또는 배출구의 방향이 적절히 조절될 필요가 있다.Meanwhile, the first to third drying tube assemblies 100-1, 100-2, and 100-3 may be vertically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nnected or installed laterally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it is noted tha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not limited to the upper and lower arrangements of the first to third drying tube assemblies 100-1, 100-2, and 100-3, but can also be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arrangements. Further, some of the drying tube assemblies may be disposed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some of the drying tube assemblies may be disposed laterally adjacent to each other, if necessary. 4, the first drying tube assembly 100-1 and the second drying tube assembly 100-2 are disposed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third drying tube assembly 100-3 A configuration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econd drying tube assembly 100-2 may be considered. However, in such a case, the direction of the inlet or outlet needs to be properly adjus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connected drying tube assembly.

도 5는 도 4의 연결 형태를 도 4의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편의상, 제1건조관 어셈블리(100-1)와 제2건조관 어셈블리(100-2) 간의 연결 형태만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nection mode of FIG. 4 as viewed from direction A of FIG. It is noted that only the connection form between the first drying tube assembly 100-1 and the second drying tube assembly 100-2 is shown for convenience.

도 5를 참조하면, 제1건조관 어셈블리(100-1)와 제2건조관 어셈블리(100-2)는 제1배출구(112-1) 및 제2유입구(111-2)를 통해 연통될 수 있으며, 제1배출측 연결 플랜지(114-1)와 제2유입측 연결 플랜지(113-2)가 결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건조관 어셈블리(100-1)의 제1블레이드(130-1)가 이송된 습식폐기물을 제1배출구(112-1) 측으로 밀어 넣으면, 제2건조관 어셈블리(100-2)의 제2유입구(111-2)를 통해 습식폐기물이 제2건조관 어셈블리(100-2)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5, the first drying tube assembly 100-1 and the second drying tube assembly 100-2 can be communicated through the first outlet 112-1 and the second inlet 111-2 And the first discharge side connection flange 114-1 and the second inlet side connection flange 113-2 can be coupled and installed. In this case, when the first blade 130-1 of the first drying tube assembly 100-1 pushes the transferred wet waste toward the first outlet 112-1, the second drying tube assembly 100-2 The wet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drying tube assembly 100-2 through the second inlet 111-2.

참고로, 도 5에서 도시된 제2블레이드(130)는, 실제로는 제1블레이드(130)의 반대측 단부에 있는 것임을 알려둔다.It is noted that the second blade 130 shown in Fig. 5 is actually at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blade 130. [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결 형태에서 보조블레이드(140)가 추가된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auxiliary blade 140 is added in the connection form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필요에 따라, 상호 연결 설치된 제1, 2건조관 어셈블리(100-1, 100-2) 사이에는 보조블레이드(140)가 더 추가될 수 있다. 보조블레이드(140)는 제1배출구(112-1)와 제2유입구(111-2)가 연통되는 연결 부위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배출구(112-1) 및 제2유입구(111-2) 사이에서 습식폐기물의 파쇄 또는 이송을 보조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보조블레이드(140)는 함수율이 비교적 적은 습식폐기물의 처리시 유용하다.Referring to FIG. 6, an auxiliary blade 140 may be further ad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rying tube assemblies 100-1 and 100-2, which are interconnected as required. The auxiliary blade 140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a connection portion where the first outlet 112-1 and the second inlet 111-2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outlet 112-1 and the second inlet 0.0 > 111-2. ≪ / RTI > In particular, such an auxiliary blade 140 is useful in the treatment of wet wastes having a relatively low water content.

보조블레이드(140)는 제1블레이드(130-1) 또는 제2블레이드(130-2)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예컨대, 보조블레이드(140)는 체인, 벨트 등의 구동전달수단을 통해 제1블레이드(130-1) 또는 제2블레이드(130-2)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될 수 있다.The auxiliary blade 1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lade 130-1 or the second blade 130-2 and rotated. For example, the auxiliary blade 140 may be connected to a shaft of the first blade 130-1 or the second blade 130-2 through a drive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chain, a belt, or the like, and may be rotationally driven.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건조관 어셈블리(100)가 연소로 내에 다수개 연결 설치되어 밀집된 형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lurality of dry tube assemblies 100 shown in FIG.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건조관 어셈블리(100)는 전술한 도 4 및 5와 같은 연결 방식으로 연소로 내 다수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다수의 건조관 어셈블리(100)는 상하 및 좌우로 배치되어 대략 도 7과 같은 밀집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각 건조관 어셈블리(100)는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도 7에 도시된 밀집 형태가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외곽을 형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7, a plurality of the drying tube assemblie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in the combustion furnace in a connection manner as shown in FIGS. 4 and 5.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drying tube assemblies 100 are arrang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form a densified form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since each of the drying tube assemblies 100 has a shape elonga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compact form shown in FIG. 7 actually form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like outer shell.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관 어셈블리는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입구 또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를 직접 다른 건조관 어셈블리에 연결 설치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건조관 어셈블리가 최소한의 간격으로 밀접하게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연소로 내부에 보다 많은 개수의 건조관을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고, 설치공간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관 어셈블리는 블레이드를 통해 습식폐기물을 파쇄 및 이송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밀접 배치에도 불구하고, 습식폐기물의 원활한 이송이 이뤄질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블레이드는 자중에 의한 이송이 아닌 강제적인 구동력을 통해 습식폐기물을 이송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은 건조관의 상하 배치나 경사를 배재하고, 다수의 건조관을 보다 밀집된 형태로 배치시킬 수 있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rying tub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formed in such a structure that an inlet or an outlet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wet waste and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drying tube assembly. Thus, a plurality of dry tube assemblies can be closely connected at a minimum interval, whereby a larger number of drying tubes can be disposed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This improves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wet waste treatment system and can contribute to reducing the installation space. In addition, the drying tub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moothly transfer wet wastes, despite the close arrangement as described above, by crushing and transporting the wet waste through the blades. Particularly, such a blade can transfer wet wastes through a forcible driving force, not by self-weight, so that a plurality of drying tubes can be arranged in a denser form, do.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건조관 어셈블리 110: 건조관
111: 유입구 112: 배출구
113: 유입측 연결 플랜지 114: 배출측 연결 플랜지
120: 이송 스크류 130: 블레이드
100: drying tube assembly 110: drying tube
111: inlet 112: outlet
113: inlet side connecting flange 114: exhaust side connecting flange
120: Feed screw 130: Blade

Claims (7)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연소로 내부에 배치되어 습식폐기물을 건조 또는 탄화 처리하는 건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습식폐기물을 이송하는 내부유로를 가지고 상기 연소로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습식폐기물이 상기 내부유로로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습식폐기물이 상기 내부유로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구비되되, 상기 유입구(111) 및 상기 배출구(11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습식폐기물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된 건조관(110);
상기 내부유로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길이방향의 축(R)을 중심으로 상기 건조관(110)에 대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습식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120); 및
상기 유입구(111) 및 상기 배출구(1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습식폐기물을 상기 내부유로로 유입 또는 배출시키되, 상기 축(R)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120)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블레이드(130);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관(110)은,
상기 유입구(111)를 포함하는 유입측 세그먼트(110a);
상기 배출구(112)를 포함하는 배출측 세그먼트(110c); 및
상기 유입측 세그먼트(110a)와 상기 배출측 세그먼트(110c)를 연결하는 연결 세그먼트(110b);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유입측 세그먼트(110a) 및 상기 배출측 세그먼트(110c)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온도센서가 삽입 설치되는 센서장착홀(116);
상기 건조관(110) 내부로 과잉공기가 투입되는 에어투입구(117); 및
상기 투입된 과잉공기가 배출되는 에어흡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세그먼트(110b)에 플랜지 결합되며, 상기 플랜지 결합 부위를 포함하여 상기 연소로 외부로 노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건조관 어셈블리.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tube assembly disposed inside a combustion furnace of a wet waste treatment apparatus for drying or carbonizing a wet waste,
(111) having an inner passage for transferring the wet waste and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the wet waste being introduced into the inner passage at one end thereof and the inlet port (111) At least one of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112) is provided with a drying pipe (110)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wet waste;
A transfer screw 120 extending along the internal flow path and driven to rotate about the longitudinal axis R about the drying pipe 110 to transfer the wet waste; And
The wet waste is introduc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internal flow path by being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inlet port 111 and the discharge port 112. The wet waste is mounted on the axis R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feed screw 120, And a driven blade (130)
The drying tube (110)
An inlet segment (110a) comprising the inlet (111);
A discharge side segment (110c) comprising said discharge port (112); And
And a connecting segment (110b) connecting the inlet segment (110a) and the outlet segment (110c)
At least one of the inlet side segment (110a) and the outlet side segment (110c)
A sensor mounting hole 116 into which a temperature sensor is inserted;
An air inlet 117 through which excess air is introduced into the drying pipe 110; And
And an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the excess air is discharged,
Wherein the connecting segment is flanged to the connecting segment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furnace including the flange coupl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2)는, 인접한 다른 건조관의 유입구와 연결되되,
상기 다른 건조관은, 상기 건조관(110)의 이송방향과 반대의 이송방향을 가지고, 상기 건조관(1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건조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112 is connected to an inlet of another adjacent drying tube,
Characterized in that said another drying tube has a conveying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said drying tube (110) and is arranged parallel to said drying tube (1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12)는, 인접한 다른 건조관의 유입구와 연결되되,
상기 배출구(112)와 상기 다른 건조관의 유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블레이드(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건조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112 is connected to an inlet of another adjacent drying tube,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blade (140) disposed between the outlet (112) and the inlet of the other drying tub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1) 및 상기 배출구(11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인접한 다른 건조관의 연결을 위한 연결 플랜지(113, 1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폐기물 처리장치의 건조관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inlet (111) and the outlet (112)
And a connecting flange (113, 114) for connection of adjacent adjacent drying tubes.
KR1020170006913A 2017-01-16 2017-01-16 Pipe assembly for wet waste process apparatus KR1019636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13A KR101963602B1 (en) 2017-01-16 2017-01-16 Pipe assembly for wet waste process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13A KR101963602B1 (en) 2017-01-16 2017-01-16 Pipe assembly for wet waste process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192A KR20180084192A (en) 2018-07-25
KR101963602B1 true KR101963602B1 (en) 2019-03-29

Family

ID=6305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913A KR101963602B1 (en) 2017-01-16 2017-01-16 Pipe assembly for wet waste process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60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41B1 (en) 2014-09-15 2015-12-22 이경희 Apparatus for processing wet wast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833B1 (en) * 2007-11-14 2009-07-14 주식회사 웅비기계 Sludge treatment equipment
KR101156561B1 (en) * 2009-08-11 2012-06-20 최두호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ing Organic Waste
KR101178449B1 (en) 2012-04-19 2012-08-30 이경희 An apparatus for carbonize for wet waste and recycled plant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41B1 (en) 2014-09-15 2015-12-22 이경희 Apparatus for processing wet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192A (en)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21118A1 (en) Integrated apparatus for preparing biochar by means of co-pyrolysis of sludge and straw
TW542885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incinerating sewage sludge
CN204803202U (en) Sludge drying device
CN101210679B (en) Gyration type sludge desiccation material-feeding device for sludge burning furnace
CN105602586A (en) System for urban sludge flue gas drying middle-temperature pyrolysis carbonization
JP4476156B2 (en) Dryer
CN102628642B (en) Indirect heating type dryer
US6880263B2 (en) Fluid/solid interaction apparatus
CN204529631U (en) Direct air intake mud drying device
CN204779275U (en) Dry formula sludge drying device in bottom
KR101055794B1 (en) Multifunctional Complex Processing Equipment
CN108975653B (en) Sludge drying equipment
KR20160013093A (en) Drying/carboniz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1579441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wet waste
JP6502569B1 (en) Drying apparatus and drying system
KR101963602B1 (en) Pipe assembly for wet waste process apparatus
JP4066262B2 (en) Waste pyrolysis equipment
US8328992B1 (en) Retort
JP2008173551A (en) Apparatus for drying sludge or the like
JP2005120300A (en) Apparatus for carbonization of organic material and carbonization furnace
CN110093259A (en) The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small towns organic waste
CN114029328A (en) Soil remediation system
CN109456779B (en) Superheated steam continuous anaerobic carbonization cracking furnace device and method
US4568425A (en) Pyrolysis machine and process
US9279614B2 (en) Drying/carboniz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