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405B1 - Gasket - Google Patents

Gas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405B1
KR101963405B1 KR1020170007309A KR20170007309A KR101963405B1 KR 101963405 B1 KR101963405 B1 KR 101963405B1 KR 1020170007309 A KR1020170007309 A KR 1020170007309A KR 20170007309 A KR20170007309 A KR 20170007309A KR 101963405 B1 KR101963405 B1 KR 10196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quot
shape
see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3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4338A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riority to KR102017000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405B1/en
Publication of KR20180084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3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4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6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end surfaces of the pipes or flanges or arranged in recesses in the pipe end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1O-ring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면 및 하면 각각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제 1 소정 높이 돌출되는 돌기부가 복수 겹으로 형성되어 단면이 어골(魚骨, Fish Bone) 형상을 갖되 돌기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소정 곡률을 갖게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C”형상을 갖는 제 1 씨링부 및 제 1 씨링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판 코일(Disk Coil) 형상의 제 1 코어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가스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골 형상의 돌기부를 통해 관내에 기밀성이 보장되고, 어골 형상의 돌기부가 가스켓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각도 휘어지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유체가 발생시키는 터뷸런스에도 기밀성이 보장되며, 제 1 코어 스프링부로 인해 복원력이 뛰어나고 가스켓의 항복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스켓의 수명이 늘어나고, 제 1 코어 스프링부는 별도의 자켓 등을 요하지 않고,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 1 씨링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ket, which is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first predetermined height, each of the protrusions having a fishbone cross- A first seeding portion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 cross-section of a " C " shape, and a disk coil located inside the first seeding portion ) Of the first core spr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tightness is ensured in the tube through the projection of the fulcrum, and the projection of the fulcrum is provided so as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gasket, The life of the gasket is increased because the restoring force is excellent and the yield strength of the gasket is increased and the first core spring portion is installed in the first shearing portion formed in the body portion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jacket or the like.

Description

가스켓{GASKET}Gasket {GASKET}

본 발명은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관내의 기밀을 유지시키되 단면이 어골(魚骨, Fish Bone)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킨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ke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ket which is positioned between a flange and a flange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inside of the tube and to have a cross-sectional shape in the form of a fish bone.

가스켓은 관과 관 또는 플랜지(Flange)와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정적 실(Seal)을 뜻한다. 가스켓은 오늘날 산업 발전에 따라 다양한 조건 및 형태의 유체가 사용되는 것을 감안하여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진화되고 있다. 또한,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는 가스켓의 경우 설치 후 관리를 위해 플랜지와 가스켓을 분리 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가스켓은 관 내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기밀성과 가스켓이 다양한 조건 및 환경에서 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명을 늘리는 것을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온과 저온 또는 저압과 고온의 유체가 오가는 관로인 경우 관이 유체의 상태에 영향을 받아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등 다양한 형태 및 성질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 및 성질 변화에도 가스켓의 기밀성은 유지 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항복점과 복원력이 높아야 한다. 또한, 가스켓은 플랜지와 일체 성형되어 위치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설치 시 플랜지의 정확한 위치에 가스켓이 위치되도록 가이드 수단이 요구된다.A gasket is a static seal that is positioned between a pipe and a pipe or between a flange and a flange to prevent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Gaskets are evolving into various materials and forms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types of fluids being used depending on industrial developments today. Further, in the case of a gasket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flange and maintains the airtightness, maintenance, maintenance and management are not easy since the flange and the gasket mus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management after installation. Therefore, the gasket must satisfy both the airtightness that the fluid in the tub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and the lifetime that the gasket can perform its function in various conditions and environments. For example, when a high-temperature or low-temperature or low-pressure and high-temperature fluid is flowing through a pipe, various shapes and properties of the pipe may be affected, such as expansion or contraction due to the state of the fluid. Confidentiality must be maintained, and further, yield point and resilience should be high. Further, since the gasket is not integrally molded with the flange, a guiding means is required to position the gasket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lange during installation.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10284호(2006.02.27. 등록)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10284 (Registered on February 27, 2006)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 다양한 조건 및 환경 또는 저압과 고온의 유체에 대응되어 수축과 팽창 또는 변형 등에도 항복점 및 복원력이 뛰어나 수명이 높은 가스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pecificall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gasket having a high yield point and resilience in response to various conditions and environments, or a low-pressure and high-temperature fluid, such as shrinkage, expansion or de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흐르는 유체로 인해 발생되는 터뷸런스(Turbulence)를 최소화하고, 보다 기밀성이 뛰어나 견고하게 밀폐되는 가스켓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sket which is minimized in turbulence caused by a flowing fluid, is more airtight, and is tightly seale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면 및 하면 각각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제 1 소정 높이 돌출되는 돌기부가 복수 겹으로 형성되어 단면이 어골(魚骨, Fish Bone) 형상을 갖되 돌기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소정 곡률을 갖게 형성되는 본체부, 본체부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C”형상을 갖는 제 1 씨링부 및 제 1 씨링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판 코일(Disk Coil) 형상의 제 1 코어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가스켓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olf club compri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at a first predetermined height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the protrusions having a fishbone cross- A first seeding portion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 cross-section of a " C " shape, and a disk coil located inside the first seeding portion ) Of the first core spr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어골 형상의 돌기부를 통해 관내에 기밀성이 보장된다. 상세하게, 어골 형상의 돌기부가 가스켓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각도 휘어지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유체가 발생시키는 터뷸런스에도 기밀성이 보장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tightness is ensured in the tube through the projection of the fulcrum. In detail, since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fulcrum shape is provided so as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gasket, airtightness is ensured even in the turbulence generated by the flui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코어 스프링부로 인해 복원력이 뛰어나고 가스켓의 항복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스켓의 수명이 늘어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ore spring portion has excellent restoring force and yieldability of the gasket is increased, the life of the gasket is increased.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코어 스프링부는 별도의 자켓 등을 요하지 않고,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 1 씨링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core spr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shearing portion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jacket or the like, it is easy to manufa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이 관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을 나타낸 사시도를 일부 절단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가이드링부를 통해 가이드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스토퍼부가 플랜지를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gasket installed in a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ske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ske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gasket is guided through the guide ring por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ske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ske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ske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a stopper portion of a gaske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flang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sket 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lso,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ortions no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or clarified natural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 내에서 위치되는 방향이나 기준점 및 축 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The directions, reference points, axes, and the like positioned within the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ose shown in Figs. 2 and 3. Fig.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켓은 플랜지(2)와 플랜지(2`) 사이에 위치되어 관(1) 내의 기밀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플랜지(2)나 관(1)의 형태에 따라 원, 타원, 사각형 또는 마름모 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형의 가스켓(G)인 것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가스켓(G)은 특히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고압 및 고온 등의 조건에서 우수한 압축력 및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스테인레스(Steinless) 또는 인코넬(Inconel)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스테인레스 스틸 347 또는 인코넬 825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1 and 2, a gas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a flange 2 and a flange 2 'to function as a gasket in the tube 1, 1, a circle, an ellipse, a quadrangle, or a rhombus shap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ircular gasket (G)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Further, the gasket G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of the gasket G, but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excellent compression and restoring force under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einless) or inconel (Inconel). In detail, it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347 or Inconel 825 or the like.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환 형상으로 구비되고 단면이 어골(魚骨, Fish Bone) 형상을 갖는 본체부(100), 본체부(100) 내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 1 씨링부(200), 제 1 씨링부(200) 내부에 위치되는 제 1 코어 스프링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고하며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3, the gas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having an annular shape and a cross-sectional shape of a fish bone, a body 100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0, And a first core spring unit 250 positioned within the first seeding unit 200. The first seeding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seeding unit 200,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체부(100)는 플랜지(2)와 플랜지(2`) 사이에 위치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때문에 플랜지(2, 2`)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본체부(100)는 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체부(100)는 원형의 륜(輪), 고리 또는 테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는 환 형상으로 구비되되 단면이 어골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상면 및 하면 각각에 제 1 소정 높이(T1) 돌출되는 돌기부(110)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상면 및 하면 각각에 제 1 소정 높이(T1) 돌출되는 돌기부(110)가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체부(100)의 돌기부(110)는 돌출된 끝단이 본체부(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소정 곡률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00)의 중심축은 가스켓(G)의 중심축과 동일한 축으로서, 원 형태를 갖는 환형의 중심과 일치되는 선상의 축을 일컫는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상면 및 하면 각각에 형성되는 각 돌기부(110)의 끝단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본체부(100)의 중심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되어 각 돌기부(110)의 끝단이 본체부(100)의 중심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는 단면이 “}”형상을 갖는 골 부재를 환 형으로 권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골 형상을 갖는 본체부(100)는 단면이 “}”형상을 갖는 골 부재가 복수의 겹을 갖도록 평면상에서 일 축을 기준으로 권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는 각각의 돌기부(110)를 통해 플랜지(2, 2`)의 하중을 돌기부(110)로 집중시켜 보다 기밀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체부(100)는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곡률 휘어지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플랜지(2, 2`) 또는 관(1) 내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플랜지(2)의 외측으로 이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돌기부(110)는 돌출되는 끝단이 중심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외부와 비교적 압력이 높은 관(1) 내의 유체가 외부로 빠져나갈 때 돌기부(110)와 플랜지(2, 2`)가 접하는 면이 아닌 돌기부(110)의 휘어진 내각(내측)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관(1) 내의 기밀성이 뛰어나고, 돌기부(110)가 유체로 인해 이동되거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가스켓(G)의 수명이 늘어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0 may be provided in the size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anges 2 and 2 'since the body portion 100 is positioned between the flange 2 and the flange 2' to maintain airtightness. In detail, the main body 100 may have an annular shape.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in a shape such as a circular ring, a ring, or a frame. 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have an annular shape and a cross-sectional shape.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protrusion 110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protruding from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respective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protrusion 110 of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that the protruding end of the protrusion 110 may be bent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Here,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100 is the same axis as the central axis of the gasket G, and refers to a line-like axis coinciding with the annular center having a circular shape. More specifically, the ends of the protrusions 11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circular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0 can be manufactured by annularly winding a rib member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 ".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100 having a fulcrum shape can be manufactured by winding a rib member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 " on a plane on one plane so as to have a plurality of folds. Therefore, the main body 100 has a greater airtightness by concentrating the load of the flanges 2, 2 'through the protrusions 110 into the protrusions 110. Since the body 100 is provid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the body 100 is moved or deformed outwardly of the flange 2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flange 2, 2 ' . In detail, since the protruding end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when the fluid in the pipe 1 having relatively high pressure externally escapes to the outside, the protrusion 110 and the flange 2, 2 ' The inside of the tube 1 is excellent in airtightness and the protrusion 110 is not moved or deformed by the fluid because the gasket G is guided to the bent internal angle of the protrusion 110 Can be increased.

제 1 씨링부(200)는 기밀성을 높이고 재킷 등과 같이 별도의 결합 구성 및 제조 과정을 추가하지 않고 제 1 코어 스프링이 가스켓(G)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 1 씨링부(200)는 원 형의 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씨링부(200)는 제 1 씨링부(20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제 1 씨링부(200)는 본체부(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개구되는 “C”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단면이 “C”형상으로 구비되어 제 1 씨링부(200)는 본체부(100)의 내측 방향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켓(G)은 환 형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단면이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맞으나, 명확한 전달을 위해 단면의 좌측 부분을 기준으로 단면이 “C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우측 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하게, 제 1 씨링부(200)는 본체부(10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씨링부(200)는 본체부(10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도넛 형상을 갖되, 가스켓(G)의 중심축 방향으로 개구되어 “C”형상의 단면을 갖는다.The first shearing portion 200 is configured to increase airtightness and to fix the first core spring to the gasket G without adding a separate coupl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a jacket. The first seeding portion 200 may be provided as a circular ring. In the first shearing portion 200,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formed in the first shearing portion 200 and one side may be opened. The first shearing portion 200 may be provided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 C " shape open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ortion 100. The first shear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 Here, the gasket G is provided so as to be symmetrical in cross section because it is provided in an annular shape. However, for the sake of clarity, the gasket 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eft part of the cross section as " C shape " . In detail, the first shearing portion 200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hearing portion 200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has a donut shape and has a cross section of "C" shape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gasket G.

제 1 코어 스프링부(250)는 제 1 씨링부(200) 내부에 구비된다. 제 1 코어 스프링부(250)는 판 코일(Disk Coil)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코어 스프링부(25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으로서 판 코일과 같은 도넛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 코어 스프링을 통해 가스켓(G)은 복원력이 향상되어 과도한 중압 및 유압에 의해 가스켓(G)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코어 스프링의 탄성력이 일시 변형되는 가스켓(G)이 기준 형태로 돌아오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가스켓(G)의 수명이 늘어난다. 종래에는 탄성체를 가스켓(G)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추가 구성이 필요했다. 일례로 자켓과 같은 별도의 커서 등을 통해 부착되거나, 탄성체 위에 가스켓(G)을 성형 또는 제조함으로써 가스켓(G)에 탄성체를 부착시키곤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가스켓(G)의 수명이 단축되고 정밀하지 못한 제조 등으로 인해 관(1) 내의 기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제조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제 1 씨링부(200) 및 제 1 코어 스프링부(250) 구성은 제 1 씨링부(200)의 내부 공간에 제 1 코어 스프링을 삽입시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The first core spring part 250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seeding part 200. The first core spring portion 250 may be provided in a disk coil shape. The first core spring portion 250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may be provided in a donut shape such as a plate coil. The gasket G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excessively heavy pressure and the hydraulic pressur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gasket G through the first core spring and the gasket G,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core spring is temporarily deformed, The lifetime of the gasket (G) is increased. In the prior art, a separate additional structure was required to fix the elastic body to the gasket (G). For example, by a separate cursor such as a jacket, or by attaching an elastic body to the gasket (G) by molding or manufacturing a gasket (G) on the elastic body. Such a conventional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life of the gasket G is shortened and the airtightness in the tube 1 is deteriorated due to an inaccurate manufacturing or the like, and th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ar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seeding portion 200 and the first core spring portion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nufactured by inserting the first core spr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seeding portion 200, manufacturing is easy.

후술되는 추가 실시예들은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을 기준으로 구성이 추가되는 실시예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dditional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embodiments in which a configuration is added based on the gaske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본체부(10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역 “C”형상을 갖는 제 2 씨링부(300)와 제 2 씨링부(300) 내측에 위치되는 판 코일 형상의 제 2 코어 스프링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씨링부(300)는 기밀성을 높이고 재킷 등과 같이 별도의 결합 구성 및 제조 과정을 추가하지 않고 제 2 코어 스프링이 가스켓(G)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술한 제 1 씨링부(200) 및 제 1 씨링부(200) 내부에 위치되는 제 1 코어 스프링부(250)와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씨링부(300)는 원 형의 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씨링부(30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제 2 씨링부(300)는 본체부(100)의 중심축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는 역“C”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단면이 역“C”형상으로 구비되어 제 2 씨링부(300)는 본체부(100)의 외측 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씨링부(300)는 본체부(10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 2 씨링부(300)는 본체부(10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도넛 형상을 갖되, 가스켓(G)의 중심축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역“C”형상의 단면을 갖는다.4, the gaske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eeding portion 300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C" And a second core spring 350 in the form of a plate coil positioned inside the unit 300. The second shearing portion 300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airtightness and to fix the second core spring to the gasket G without adding a separate coupling configuration and manufacturing process such as a jacket, 200 and the first core spring part 250 located inside the first seeding part 200. [ In detail, the second seed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as a circular ring. The second seeding portion 300 may have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d one side thereof may be opened. The second shearing portion 300 may be provided to have an inverted " C " -shaped cross section which is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second shearing portion 300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s shown in FIG. In detail, the second shearing portion 300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eeding portion 300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has a donut shape, and is ope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enter axis direction of the gasket G, Respectively.

제 2 코어 스프링부(350)는 제 2 씨링부(300) 내부에 구비된다. 제 2 코어 스프링부(350)는 판 코일(Disk Coil)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코어 스프링부(35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스프링으로서 판 코일과 같은 도넛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 코어 스프링을 통해 가스켓(G)은 복원력이 향상되어 과도한 중압 및 유압에 의해 가스켓(G)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2 코어 스프링의 탄성력이 일시 변형되는 가스켓(G)이 기준 형태로 돌아오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가스켓(G)의 수명이 늘어난다. 종래에는 탄성체를 가스켓(G)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추가 구성이 필요했다. 일례로 자켓과 같은 별도의 커서 등을 통해 부착되거나, 탄성체 위에 가스켓(G)을 성형 또는 제조함으로써 가스켓(G)에 탄성체를 부착시키곤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가스켓(G)의 수명이 단축되고 정밀하지 못한 제조 등으로 인해 관(1) 내의 기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제조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제 2 씨링부(300) 및 제 2 코어 스프링부(350) 구성은 제 2 씨링부(300)의 내부 공간에 제 2 코어 스프링을 삽입시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The second core spring portion 35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seeding portion 300. The second core spring 350 may be formed in a disk coil shape. The second core spring portion 350 may have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may be provided in a donut shape such as a plate coil. The gasket G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the excessively heavy pressure and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gasket G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core spring is temporarily deformed, The lifetime of the gasket (G) is increased. In the prior art, a separate additional structure was required to fix the elastic body to the gasket (G). For example, by a separate cursor such as a jacket, or by attaching an elastic body to the gasket (G) by molding or manufacturing a gasket (G) on the elastic body. Such a conventional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the life of the gasket G is shortened and the airtightness in the tube 1 is deteriorated due to an inaccurate manufacturing or the like, and th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ar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seeding portion 300 and the second core spring portion 35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nufactured by inserting the second core spring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seeding portion 300, manufacturing is easy.

도 5 및 도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본체부(100)의 외측 둘레면에 가이드링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링부(400)는 가스켓(G)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가이드링부(400)는 가스켓(G)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륜, 고리 또는 테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링부(400)는 플랜지(2)와 플랜지(2`) 사이에 위치되는 가스켓(G)이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하게, 플랜지(2)와 플랜지(2`)는 플랜지(2, 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볼트(B) 및 너트 등으로 서로 체결된다. 여기서, 플랜지(2)와 플랜지(2`)를 관통하는 볼트(B)의 내측 방향 외면에 가이드링부(400)의 외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함으로써 플랜지(2)와 플랜지(2`) 사이의 정확한 위치에 가스켓(G)을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가이드링부(400)는 볼트(B)가 관통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홈에 볼트(B)가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플랜지(2, 2`)의 정확한 위치로 가스켓(G)이 가이드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가이드링부(400)는 반원 또는 호 형의 홈이 형성되고 반원 또는 호 형의 측면에 플랜지(2, 2`)를 관통하는 볼트(B)의 외측면을 위치시킴으로써 플랜지(2, 2`)의 정확한 위치로 가스켓(G)이 가이드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5 and 6, the gask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ing part 40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s shown in FIG. The guide ring part 400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G and may be provided in an annular shape. In detail, the guide ring portion 400 may b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G,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a ring, or a frame. The guide ring portion 400 serves to guide the gasket G positioned between the flange 2 and the flange 2 'to be positioned at an accurate position. Specifically, the flange 2 and the flange 2 'are fastened together with a bolt B and a nut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ange 2, 2'. Here,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guide ring portion 40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uter surface of the bolt B passing through the flange 2 and the flange 2 ', so that the accurate relationship between the flange 2 and the flange 2' It is possible to position the gasket G in position. In another example, the guide ring portion 400 is formed with a groove through which the bolt B can pass so that the bolt B is passed through the groove, so that the gasket G is guided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flange 2, 2 ' . As another example, the guide ring portion 400 may be formed by forming a semicircular or arcuate groove and positio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lt B through the flange 2, 2 ' , 2 ') of the gasket (G).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제 1 아일릿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아일릿부(260)는 제 1 씨링부(200)의 개구되는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단면이 “C”형상을 갖는 제 1 씨링부(200)와 대응되도록 제 1 아일릿부(260)는 단면이 역“C”형상으로 구비되어 제 1 씨링부(200)를 감싸도록 위치된다. 제 1 코어 스프링부(250)는 제 1 씨링부(200)의 개구된 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씨링부(200)의 개구된 단부를 통해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제 1 씨링부(200)의 개구되는 단부를 제 1 아일릿부(260)로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개구된 단부로 노출된 제 1 코어 스프링이 외부와의 접촉 또는 노출로 노화,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관(1) 내에 흐르는 유체로 인해 터뷸런스(Turbulence)를 감소시킬 수 있어 관(1) 내의 기밀성과 가스켓(G)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gaske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yelet part 260. The first eyelet part 26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pen end of the first seeding part 200. In detail, the first eyelet part 260 is provided in a reverse " C " shape in cross section so that the first eyelight part 260 corresponds to the first seeding part 200 having a cross- do. The first core spring portion 25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end of the first seeding portion 200. Therefore, the first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shearing portion 200 is exposed through the open end of the first shearing portion 200. The first shearing portion 26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pen end of the first shearing portion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posed first core spring from aging, deformation and breakage due to contact with or exposure to the outside, and to reduce turbulence due to the fluid flowing in the tube 1, And the life of the gasket (G) can be prolonged.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상기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G)의 제 2 씨링부(300)에 제 2 아일릿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2 아일릿부는 상기한 제 1 아일릿부(26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아일릿부는 제 2 씨링부(300)의 개구되는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단면이 역“C”형상을 갖는 제 2 씨링부(300)와 대응되도록 제 2 아일릿부는 단면이 “C”형상으로 구비되어 제 2 씨링부(300)를 감싸도록 위치된다. 제 2 코어 스프링부(350)는 제 2 씨링부(300)의 개구된 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씨링부(300)의 개구된 단부를 통해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제 2 씨링부(300)의 개구되는 단부를 제 2 아일릿부로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개구된 단부로 노출된 제 2 코어 스프링이 외부와의 접촉 또는 노출로 노화,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관(1) 내의 기밀성과 가스켓(G)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gaske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yelet part in the second seeding part 300 of the gasket 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eyelet part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eyelet part 260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second eyelet part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pen end of the second seeding part 300. Specifically, the second eyelet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second seeding portion 300 so that its cross section corresponds to the second seeding portion 300 having the inverted " C " shape. The second core spring portion 35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end of the second seeding portion 300. Accordingly, the second shedding part 300 is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ed end of the second shedding part 300. The second shedding part 30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pen end of the second shedding part 300 with the second isointed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re spring from being aged, deformed and damaged by contact with or exposure to the outside, so that the airtightness in the tube 1 and the life of the gasket G can be prolonged.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본체부(100)에 스토퍼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50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어 플랜지(2)와 플랜지(2`)의 결합에 의해 본체부(100)가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스토퍼부(500)는 본체부(100)의 돌기부(110)가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스토퍼부(500)는 돌기부(110)의 끝단이 플랜지(2, 2`)에 의해 본체부(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더 상세하게, 스토퍼부(500)는 본체부(10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본체부(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돌기부(110)가 갖는 제 1 소정 높이(T1)보다 낮은 높이의 제 2 소정 높이(T2)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500)는 플랜지(2, 2`)의 가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플랜지(2, 2`)의 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돌기부(110)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2, 2`)가 가압되어 돌기부(110)가 가스켓(G)의 중심축 방향으로 휘어지더라도 스토퍼부(500)가 플랜지(2, 2`)를 지지하기 때문에 돌기부(110)의 끝단이 가스켓(G)의 중심축 방향으로 과도하게 휘어지지 않는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gasket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opper portion 500 formed in the main body 100. The stopper portion 500 is formed on the body portion 100 and prevents the body portion 100 from being excessively pressed by the engagement of the flange 2 and the flange 2 '. In detail, the stopper portion 500 can prevent the protrusion 110 of the main body 100 from being bent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stopper portion 500 can prevent the end of the protrusion 110 from being bent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by the flanges 2, 2 '. More specifically, the stopper portion 5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00. The stopper portion 500 is low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height T1 of the protrusion 110 And the second predetermined height T2 of the height. The stopper portion 500 may be formed wider than the protruding portion 110 so as to support the pressure of the flanges 2, 2 'without being deformed by the pressing of the flanges 2, 2'. Therefore, even if the flanges 2 and 2 'are pressed and the protrusion 110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gasket G, the stopper portion 500 supports the flanges 2 and 2' Is not excessively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of the gasket (G).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11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G)의 본체부(100)에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링부(400)와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스토퍼부(500)를 더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상세하게, 가이드링부(400)는 가스켓(G)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가이드링부(400)는 가스켓(G)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륜, 고리 또는 테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가스켓(G)의 장착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링부(400)의 자세한 구성은 상기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가이드링부(40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50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어 플랜지(2)와 플랜지(2`)의 결합에 의해 본체부(100)가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스토퍼부(500)는 상기한 제 5 실시예의 가스켓의 스토퍼부(50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일반적인 플랜지에 적용되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플랜지의 형태, 사용 환경 및 조건에 따라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한 각 실시예 단독 또는 조합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As a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he gasket according to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has a guide ring portion 40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of the gasket 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guide ring portion 400 formed on the body portion 100 The stopper portion 500 may be formed of a metal. In detail, the guide ring part 400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G and may be provided in an annular shape. In detail, the guide ring portion 400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asket G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a ring, or a frame to guide the mounting of the gasket 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uide ring part 40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guide ring part 400 of the gaske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topper portion 500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100 to prevent the body portion 100 from being excessively pressed by the engagement between the flange 2 and the flange 2 '. The stopper portion 50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stopper portion 500 of the gasket of the fifth embodiment.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applied to a general flange, and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ange, the use environment, and the condition may be variously configured by each of the embodiments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above-mentioned patent claim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system, the method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a flowchart as a series of steps or block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steps, and some steps may occur in different orders . It will als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teps shown in the flowchart are not exclusive and that other steps may be included or that one or more steps in the flowchart may be deleted without affec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관 2: 플랜지
100: 본체부 110: 돌기부
200: 제 1 씨링부 250: 제 1 코어 스프링부
260: 제 1 아일릿부 300: 제 2 씨링부
350: 제 2 코어 스프링부 360: 제 2 아일릿부
400: 가이드링부 500: 스토퍼부
T1: 제 1 소정 높이 T2: 제 2 소정 높이
B: 볼트 G: 가스켓
1: pipe 2: flange
100: main body 110: protrusion
200: first shearing portion 250: first core spring portion
260: first eyelet part 300: second seeding part
350: second core spring portion 360: second eyelet portion
400: guide ring part 500: stopper part
T1: first predetermined height T2: second predetermined height
B: Bolt G: Gasket

Claims (7)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관(1) 내의 기밀을 유지하는 가스켓(G)에 관(1)한 것으로서,
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면 및 하면 각각에 둘레 방향을 따라 제 1 소정 높이(T1) 돌출되는 돌기부(110)가 복수 겹으로 형성되어 단면이 어골(魚骨, Fish Bone) 형상을 갖는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C”형상을 갖는 제 1 씨링부(200);
상기 제 1 씨링부(200)의 내부에 위치되는 판 코일(Disk Coil) 형상의 제 1 코어 스프링부(25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환 형상을 갖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링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110)는 돌출된 끝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소정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1) located between the flange and the flange to the gasket (G) which maintains the airtightness in the pipe (1)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each having a ring shape and protruding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first predetermined height T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having a fish- );
A first seeding part 200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0 and having a cross-section of a " C "shape;
A first core spring part 250 of a disk coil shap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seeding part 200; And
And a guide ring part 400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nd projecting outwardly so as to have an annular shape,
Wherein the protrusion (110)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such that a protruding end of the protrusion (110) is bent in a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단면이 역 “C”형상을 갖는 제 2 씨링부(300); 및
상기 제 2 씨링부(300)의 내측에 위치되는 판 코일(Disk Coil) 형상의 제 2 코어 스프링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seeding part 300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0 and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 C "; And
And a second core spring part (350) having a disk coil shape located inside the second seeding part (300).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씨링부(200)의 개구되는 단부를 감싸는 형상의 제 1 아일릿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eyelet part (260) shaped to surround the open end of the first seeding part (20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씨링부(300)의 개구되는 단부를 감싸는 형상의 제 2 아일릿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econd eyelet part having a shape which surrounds an opening end of the second seeding part (3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플랜지의 가압에 의해 상기 돌기부(110)의 끝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축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 및 하면 각각에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소정 높이(T1)보다 낮은 높이의 제 2 소정 높이(T2)로 돌출되는 스토퍼부(5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100,
In order to prevent the end of the protrusion 110 from being bent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by pressing the flange, the first predetermined height T1 And a stopper part (500) protruding to a second predetermined height (T2) lower than the second predetermined height (T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단면이 “}”형상을 갖는 골 부재가 환 형으로 권취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body 100,
Wherein the rib member is manufactured by winding a rib member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 in a ring shape.
KR1020170007309A 2017-01-16 2017-01-16 Gasket KR1019634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309A KR101963405B1 (en) 2017-01-16 2017-01-16 Gas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309A KR101963405B1 (en) 2017-01-16 2017-01-16 Gaske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603A Division KR20180084687A (en) 2018-03-21 2018-03-21 Gas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38A KR20180084338A (en) 2018-07-25
KR101963405B1 true KR101963405B1 (en) 2019-03-28

Family

ID=6305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309A KR101963405B1 (en) 2017-01-16 2017-01-16 Gas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4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566B1 (en) * 2018-10-22 2019-04-01 우동선 Sealing ring
CN114196959A (en) * 2021-12-14 2022-03-18 四川利能燃气工程设计有限公司 Insulating external member of reforming transform of steel pipeline cathodic protection en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1940B2 (en) * 2001-07-30 2003-06-24 S&B Technical Products, Inc. Concrete manhole connector gasket
KR200410284Y1 (en) 2005-10-26 2006-03-07 민승관 Gasket for water service
KR101960335B1 (en) * 2015-03-13 2019-03-21 이종철 Gask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38A (en)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405B1 (en) Gasket
US4229010A (en) Self-aligning shaft seal
KR101184927B1 (en) Metal Gasket
KR20160110897A (en) Gask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144847B2 (en) Seat ring for butterfly valve, its fixing structure and eccentric butterfly valve
JPH0242279A (en) Shaft seal
JP4129916B2 (en) Open elastic metal gasket with offset protrusion
KR20190086565A (en) Connection Seal Structure and Seal Member
US4303249A (en) Seal for a plate-shaped closure
JP5570327B2 (en) Spiral gasket
US2895637A (en) Meter housing
KR101760387B1 (en) Gasket
JPH0217247Y2 (en)
JP2017116103A (en) Membrane bellows
CN108561553B (en) Sealing ring
KR102081591B1 (en) Gasket
JP6689491B2 (en) gasket
US20200173580A1 (en) Seal arrangement
US3854761A (en) Sealing arrangement
US20080006633A1 (en) Fuel cap
JP6020492B2 (en) Electromagnetic flow meter
US3446508A (en) Deformable sealing ring having integral spacer flange
CN220956781U (en) Inner and outer ring winding type gasket
JPS63308274A (en) Seal liner
KR102144410B1 (en) Gasket Having seal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