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206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206B1
KR101963206B1 KR1020120133681A KR20120133681A KR101963206B1 KR 101963206 B1 KR101963206 B1 KR 101963206B1 KR 1020120133681 A KR1020120133681 A KR 1020120133681A KR 20120133681 A KR20120133681 A KR 20120133681A KR 101963206 B1 KR101963206 B1 KR 101963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eye image
display
blocking member
lef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443A (ko
Inventor
박상훈
김호재
김경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2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66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206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과 상기 제2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차단부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투과부를 포함하는 배리어부, 및 상기 경계부와 상기 차단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배리어부의 차단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시청자가 위치를 이동하더라도 영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안경 없이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시청자가 좌안과 우안의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에 의해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경 방식과 무안경 방식이 있다.
안경 방식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편광 방향을 다르게 하여 표시하고, 이러한 영상을 편광 안경을 사용하여 시청하도록 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표시하고, 이러한 영상을 액정셔터 안경을 사용하여 시청하도록 하여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안경 방식 외에 무안경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안경 방식으로는 원통형의 렌즈 어레이를 이용해 좌안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과 배리어(Barrier)를 이용하여 좌안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는 배리어 방식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이 표시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청자에게 분리하여 전달하는 배리어부(5)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은 좌안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2)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3)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2)과 상기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3) 사이에는 복수개의 경계부(4)가 형성된다. 상기 경계부(4)들은 상기 제1표시영역(2)과 상기 제2표시영역(3)을 구분한다. 상기 복수개의 경계부(4)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어둡데 보이는 부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의 전면에 배리어부(5)가 배치된다. 상기 배리어부(5)는 시청자의 좌안으로 좌안 영상을 전달하고, 시청자의 우안으로 우안 영상을 전달한다. 상기 배리어부(5)는 복수개의 차단부(6)와 복수개의 투과부(7)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6)는 상기 제1표시영역(2)이 표시하는 좌안 영상과 상기 제2표시영역(3)이 표시하는 우안 영상을 차단한다.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6)는 상기 복수개의 경계부(4)가 연장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a에서는 시청자가 제1위치(P1)에 위치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시청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과 상기 배리어부(5)의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6)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반면, 도 2b에서는 시청자가 제2위치(P2)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과 상기 배리어부(5)의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6)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와 도 2b를 참고하여, 시청자가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할 때와 시청자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할 때를 비교하면,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6)에 의해 차단되는 상기 복수개의 경계부(4)의 수가 차이가 난다. 즉, 시청자가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할 때 상기 차단부(6)가 가리는 상기 경계부(4)의 수가 더 많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경계부(4)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어두운 부분이므로 상기 경계부(4)가 많이 노출될수록 시청자가 시청하는 영상의 휘도는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시청자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할 때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하는 것보다 영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저하된다. 결국, 상기 시청자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1)을 시청하는 과정에서 이동하게 되면 영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증가되었다가 급격하게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시청되는 영상의 휘도를 시청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서 X축은 시청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축이고, Y축은 영상의 휘도를 나타내는 축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시청자가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이동하면서 영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는 반대로 시청자가 상기 제2위치(P2)에서 상기 제1위치(P1)로 이동하면 영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증가될 것이다.
이렇게 영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증가되었다가 급격하게 감소되면 시청자는 영상이 깜빡거리는 것처럼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플리커(flicker)현상이라고 한다.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나아가, 시청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을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과 상기 제2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차단부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투과부를 포함하는 배리어부; 및 상기 경계부와 상기 차단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리어부의 차단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시청자가 위치를 이동하더라도 영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시청되는 영상의 휘도를 시청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과 배리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시청되는 영상의 휘도를 시청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에서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배리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은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21)과,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22)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21)은 상기 좌안 영상을 표시한다. 즉,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21) 각각이 표시하는 영상이 모여 상기 좌안 영상이 된다. 상기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22)은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22) 각각이 표시하는 영상이 모여 상기 우안 영상이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상기 제1표시영역(21)과 상기 제2표시영역(22)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부(23)를 포함한다. 상기 경계부(23)는 영상을 표시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경계부(23)에서는 광이 방출되지 않는 어두운 부분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리어부(3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선택적, 부분적으로 차단하여 시청자의 좌안에 좌안 영상만을 전달하고, 시청자의 우안에는 상기 우안 영상만을 전달한다. 즉, 시청자의 우안을 향하는 상기 좌안 영상을 차단하고, 시청자의 좌안을 향하는 상기 우안 영상을 차단한다.
상기 배리어부(30)는 복수개의 차단부(31)와 복수개의 투과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31)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차단한다. 반면에 상기 복수개의 투과부(32)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통과시킨다.
상기 차단부(31)는 상기 경계부(23)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31)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경계부(23) 각각이 연장된 방향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다. 즉, 상기 차단부(31)는 상기 경계부(23)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상기 경계부(23)와 상기 배리어부(30)의 상기 차단부(31)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리어부(30)의 상기 차단부(31)가 상기 경계부(23)를 완전하게 가리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투과부(32)를 통해 상기 경계부(23)의 일부가 항상 시청자의 좌안 또는 우안으로 노출된다.
반대로, 상기 차단부(31)가 상기 경계부(23)를 완전하게 노출시키는 경우 역시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차단부(31)에 의해 상기 경계부(23)의 일부는 항상 차단되게 된다.
영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때는 상기 차단부(31)가 상기 경계부(23)를 완전하게 가리는 경우이고, 영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때는 상기 차단부(31)가 상기 경계부(23)를 전혀 차단하지 않는 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이 표시하는 영상의 휘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의하면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표시하는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과, 상기 배리어부(3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DP(Plasma Display Pan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패널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은 상기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21)과 상기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22)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21) 각각은 복수개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22) 각각 역시 복수개의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21) 각각과 상기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22) 각각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 상에 교대로 배치된다. 즉, 상기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21) 중 하나의 제1표시영역(21)이 배치된 후 상기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22) 중 하나가 배치되고, 그 다음엔 상기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21) 중 하나의 제1표시영역(21')가 배치된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배리어부(3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에 표시되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선택적, 부분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배리어부(30)는 복수개의 차단부(31)와, 복수개의 투과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31)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차단하고, 상기 투과부(32)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투과시킨다. 상기 배리어부(30)에는 상기 차단부(31)와 상기 투과부(32)는 교대로 배치된다. 상기 차단부(31)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차단하기 위해 별도의 처리를 한 것이고, 상기 투과부(32)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이 그대로 통과할 수 있도록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은 것이다. 즉, 상기 차단부(31)가 형성된 부분 외에는 상기 투과부(32)가 된다.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31) 사이사이의 간격 및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31) 각각의 크기를 조절하여 시청자의 좌안에 상기 좌안 영상만을 전달하고, 시청자의 우안에 상기 우안 영상만을 전달한다. 반대로 상기 투과부(32) 간의 간격 및 상기 투과부(32)의 크기를 조절하여 시청자의 좌안에 상기 좌안 영상만을 전달하고, 시청자의 우안에 상기 우안 영상만을 전달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부(31)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차단한다. 상기 차단부(31)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단부(31)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차단할 수 있도록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처리가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는 흑색 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상기 차단부(31)에서 흡수하여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부(31)와 상기 투과부(32)는 그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31)와 상기 투과부(32)는 특정한 위치에만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특정한 위치에 시청자가 위치하게 되면 시청자는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상기 배리어부(30)의 상기 차단부(31)와 상기 투과부(32)의 위치를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보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시청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차단부(31)와 상기 투과부(32)를 이동시킨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차단부(31)와 상기 투과부(32)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배리어부(30)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에 대향되는 제2기판,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액정층, 및 액정 구동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합착된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TN), 또는 STN(Super Twisted Nematic) 액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액정 구동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액정의 분자 배열이 변화되어 상기 차단부(31)와 상기 투과부(32)를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리어부(30)는 노멀리 화이트 모드(Normally White Mode)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노멀리 화이트 모드의 배리어는 상기 액정 구동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만 차단부(31)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정 구동 전극에 선택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특정한 위치에만 상기 차단부(31)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가 전압의 위치를 다르게 인가시키도록 하면 상기 차단부(31)가 형성되는 부분이 변화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차단부(31)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31)의 사이에 상기 투과부(32)가 형성되는 것이므로 상기 차단부(31)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에 따라 상기 투과부(32)의 위치도 보정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청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차단부(31)와 상기 투과부(32)의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배리어부(30)가 시청자의 좌안에 좌안 영상만을 전달하고, 시청자의 우안에 우안 영상만을 전달하게 한다.
도 5a, 도 5b,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차단부(31)는 상기 경계부(23)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차단부(31)는 상기 경계부(23)가 향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31)는 제1차단부재(311)와, 제2차단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311)와 상기 제2차단부재(312)는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차단부재(311)와 상기 제2차단부재(312)는 모두 상기 경계부(23)가 향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차단부재(311)와 상기 제2차단부재(312)는 사이에 끼인각(Included Angle)을 이루며 서로 연결된다. 상기 끼인각 N도이고, 여기서 N은 0보다 크고, 180 보다는 작은 값을 가진다. 즉, 상기 제1차단부재(311)와 상기 제2차단부재(312)는 대략 'V'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단부재(311)는 상기 경계부(23)와 M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M은 0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차단부재(311)는 상기 경계부(23)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M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차단부재(312)는 상기 경계부(23)와 K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K는 0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2차단부재(312)는 상기 경계부(23)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K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M과 K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에서 상기 제1차단부재(311)와 상기 제2차단부재(312)는 상기 경계부(23)를 기준으로 서로 교번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1차단부재(311)의 일단과 타단에 상기 제2차단부재(312)가 연결된다. 이렇게 상기 복수개의 제1차단부재(311)와 상기 복수개의 제2차단부재(312)가 연결되어 상기 차단부(31)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차단부재(311)와 상기 제2차단부재(312)는 상기 경계부(23)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상기 차단부(31)는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차단부(31)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에서 상기 경계부(23)에 평행한 두 변(邊)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1차단부재(311)와 상기 제2차단부재(312)가 사이에 끼인각을 이루며 서로 연결되는 점은 앞의 차단부(31)와 동일하다. 상기 끼인각은 0보다 크고 180도 보다 작은 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311)는 상기 경계부(23)와 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을 가지도록 기울어진다. 상기 제2차단부재(312)는 상기 경계부(23)와 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을 가지도록 기울어진다.
다만, 상기 제1차단부재(311)는 상기 경계부(23)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차단부재(312)는 상기 경계부(23)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차단부재(311)와 상기 제2차단부재(312)로 구성되는 상기 차단부(31)는 도 7에 도시된 차단부(31)의 지그재그 형태와 반전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31)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에서 상기 경계부(23)에 평행한 두 변(邊)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점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는 시청자가 제1위치(P1)에 위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표시하는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패널(20)에 제1표시영역(21, 21')과 제2표시영역(22, 22')이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표시영역(21, 21')과 상기 제2표시영역(22, 22') 사이에는 경계부(23, 23', 23'')가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0)을 전방에는 상기 배리어부(30)가 배치된다. 상기 배리어부(30)는 상기 경계부(23)가 향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는 상기 차단부(31)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31)는 상기 제1차단부재(311)와 상기 제2차단부재(3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차단부재(311)는 상기 경계부(23)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M도 기울어져 형성된다. 상기 제2차단부재(312)는 상기 경계부(23)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K도 기울러져 형성된다. 여기서 M과 K는 0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실수이다. 또한, M과 K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5a는 시청자가 제2위치(P2)에 위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표시하는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5b를 참고하면, 도 5a에 비해 상기 차단부(31)와 상기 투과부(32)가 이동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31)와 상기 투과부(32)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위치가 변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시청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배리어부(30)가 시청자가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분리하여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단부(31)와 상기 투과부(32)의 위치를 보정하여 시청자의 좌안으로 상기 좌안 영상만을 전달하고, 시청자의 우안으로 상기 우안 영상만을 전달한다.
도 5a와 도 5b를 참고하면, 시청자가 제1위치(P1)에서 제2위치(P2)로 위치를 변경하였음에도 상기 차단부(31)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경계부(23)의 크기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부(23)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어두운 부분이므로 상기 차단부에의해 차단되지 않는 상기 경계부(23)의 크기의 변화에 따라 시청자가 시청하는 영상의 휘도가 변하게 된다. 즉, 상기 차단부(31)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상기 경계부(23)의 크기가 커지면 시청자가 시청하는 영상의 휘도는 감소하고, 상기 차단부(31)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상기 경계부(23)의 크기가 작아지면 시청자가 시청하는 영상의 휘도는 증가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의하면 시청자가 위치를 변경하여도 상기 차단부(31)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상기 경계부(23)의 크기는 크게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청자가 위치를 변경하여도 시청하는 영상의 휘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시청되는 영상의 휘도를 시청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서 X축은 시청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축이고, Y축은 영상의 휘도를 나타내는 축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시청자가 상기 제1위치(P1)에 위치하는 때와, 상기 제2위치(P2)에 위치하는 때의 휘도를 비교하면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그래프를 보면 시청자의 위치 변화에 따라 휘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구간이 없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휘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면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의하면 시청자가 위치를 변경하여도 휘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플리커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디스플레이 장치 20 : 디스플레이 패널
21 : 제1표시영역 22 : 제2표시영역
23 : 경계부 30 : 배리어부
31 : 차단부 311 : 제1차단부재
312 : 제2차단부재 32 : 투과부

Claims (10)

  1. 좌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표시영역과, 우안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과 상기 제2표시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경계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복수개의 차단부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투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투과부를 포함하는 배리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부와 상기 차단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1차단부재, 및 상기 제1차단부재에 연결되게 형성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부재와 상기 제2차단부재는 N도(N은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실수)의 끼인 각(Included Angle)을 이루며 서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갖는 변(邊)들 중 어느 하나의 변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경계부가 향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와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끼인 각이 형성되는 부분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갖는 변(邊)들 중에서 제1변 쪽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경계부를 기준으로 M도(M은 0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실수)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경계부를 기준으로 K도(K는 0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실수)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갖는 변(邊)들 중에서 상기 경계부에 평행한 제1변과 상기 제1변에 대해 대향되는 제2변 사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부는 상기 차단부들과 상기 투과부들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1표시영역들과 상기 제2표시영역들이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시청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와 상기 복수개의 투과부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개의 차단부와 상기 복수개의 투과부의 위치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33681A 2012-11-23 2012-11-23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3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81A KR101963206B1 (ko) 2012-11-23 2012-11-23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81A KR101963206B1 (ko) 2012-11-23 2012-11-23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443A KR20140066443A (ko) 2014-06-02
KR101963206B1 true KR101963206B1 (ko) 2019-03-28

Family

ID=5112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681A KR101963206B1 (ko) 2012-11-23 2012-11-23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2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004A (ja) * 2003-12-12 2005-06-30 Sanyo Electric Co Ltd 3次元映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114B1 (ko) * 2005-10-20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리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6004A (ja) * 2003-12-12 2005-06-30 Sanyo Electric Co Ltd 3次元映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443A (ko) 201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661B1 (ko) 2d/3d 겸용 표시 장치
KR101461186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965365B2 (en) Image display device, portable terminal, display panel, and lens
US9213203B2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US8692971B2 (en) 2D and 3D switchabl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lens thereof
KR101852121B1 (ko) 전자 영상 기기
US11002983B2 (en) Switching parallax barri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electrodes respectively on a blocking region and a transmitting region and 3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587737B2 (en) Display device
KR20120047534A (ko) 광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0282090A (ja) 立体表示装置
US20150237334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1002137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185397B2 (en)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rrier panel having openings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40035800A1 (en) Segmented parallax barrier based display apparatus with 2d/3d mode switching and method thereof
KR101777870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US20160274373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938481B1 (ko) 패럴렉스 배리어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60950A (ko)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방법
US9658483B2 (en) Liquid crystal lens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0613133B1 (ko) 가변형 패럴렉스 배리어와 그의 구동방법 및 이를 이용한입체 영상 표시장치
TWI486635B (zh) 立體顯示裝置
KR1019632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8953108B2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lens
US20130265510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active optical element thereof
KR20140060835A (ko) 스윗처블 입체 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