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854B1 - Air cleaning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 Google Patents

Air cleaning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854B1
KR101962854B1 KR1020160138182A KR20160138182A KR101962854B1 KR 101962854 B1 KR101962854 B1 KR 101962854B1 KR 1020160138182 A KR1020160138182 A KR 1020160138182A KR 20160138182 A KR20160138182 A KR 20160138182A KR 101962854 B1 KR101962854 B1 KR 101962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building
ducts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4546A (en
Inventor
한금태
Original Assignee
삼영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영기계(주) filed Critical 삼영기계(주)
Priority to KR102016013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854B1/en
Publication of KR2018004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5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8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 F24F5/00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using natural energy, e.g. solar energy, energy from the ground using energy from the ground by air circulation, e.g. "Canadian we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40Geothermal heat-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공기흡입홀이 형성된공장 공기흡입덕트, 건물의 외벽을 관통하여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공기 내 분진을 걸러내기 위한 집진장치를 이용하여 공장 내의 자연 대류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고, 지열장치를 더 포함하여 공장 내 자연 대류 현상을 과속화할 수 있으며, 공장의 크기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system using a natural conv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ying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including a factory air intake duct having a plurality of air intake holes, a connecting duct penetrat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to connect the inside and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dust by using the natural convection in the plant by using the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speed up the natural convection phenomenon in the factory by including the geothermal device, and the natural convection method Is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air.

Description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Air cleaning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ing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본 발명은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 내 기계 절삭 과정, 주물 공장 또는 화학 공장에서 발생하는 미세분진 및 악취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a natural conv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a natural convection system for discharging fine dust and odor generated in a factory, ≪ / RTI >

종래에는 공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연마, 분쇄, 절삭 및 천공 등의 작업공정에서 고체물질들이 파쇄되어 발생하는 분진들이 실내에서 대류하는 기류와 함께 떠다니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상기 분진들과 더불어 주물 공장 또는 화학 공장에서의 작업 시 발생하는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악취가 많이 발생하여 작업자들이 불쾌감을 느끼거나 작업능률이 감소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Conventionally, dusts generated by crushing solid materials in a work process such as grinding, crushing, cutting and drilling in a factory are floated together with air currents convecting in the room, which poses a serious problem threatening the health of workers. Also, due to various factors occurring in the operation of the foundry factory or the chemical factory in addition to the above dusts, there is a problem that odors are generated so that the workers feel discomfort or the work efficiency is decreased.

또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도 그대로 방출시 악취나 분진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배출되는 공기도 집진기를 설치하여 정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장치들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also discharged, complaints due to bad odor or dust are generated, and the discharged air must be cleaned by installing a dust collecto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devices for purifying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이 분진필터가 산업용 건물의 지붕에 설치된 한국등록특허 10-1543839호("지붕형 산업용 분진 여과시스템", 2015.08.05.)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공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업용 건물(1)의 지붕(2)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복수개의 집진유닛(3)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집진유닛(3)은 분진을 여과할 수 있는 분진필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분진필터에는 여과재와 더불어 진동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진동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재에 흡착된 분진을 털어내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유동기류를 형성하는 흡입날개부도 부착되어 있기에, 실내의 공기를 손쉽게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Korean Patent No. 10-1543839 ("roof type dust filtration system for industrial use ". 2015.08.05) in which a dust filter is installed on the roof of an industrial building is disclosed. As shown in FIG. 1, the above-mentioned method comprises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units 3 fixedly installed on the roof 2 of the industrial building 1. [ Each of the dust collecting units 3 has a built-in dust filter capable of filtering dust. The dust filter is composed of a filter medium, a vibration motor, etc., and dusts adsorbed on the filter medium are removed using the vibration motor . 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vane part for sucking indoor air and forming a flow air stream is also attached, the indoor air can be easily discharged.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집진유닛(3)은 각각 진동모터 및 흡입날개 가 내장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어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며, 이에 따른 가격경쟁력도 낮아진다. 또한 상기한 공법은 여과기를 이용한 집진만을 할 뿐이며, 악취 등의 요소에 대해서는 큰 효과가 없는 단점이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units 3 each incorporate the vibration motor and the suction blades, a large amount of electric power is consumed, resulting in an excessive cost for maintenance, resulting in lower price competitiveness.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only performs dust collection using a filter, and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elements such as odor.

한국등록특허 10-1543839호("지붕형 산업용 분진 여과시스템", 2015.08.05)Korean Patent No. 10-1543839 ("roof type industrial dust filtration system ", 2015.08.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장 내에 부유하는 분진을 포함하고 있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흡입덕트, 공장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연결덕트, 상기 연결덕트를 통해 배출되는 공장 내부의 공기를 수용하며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장치로 이루어지며, 공기흡입덕트가 공장 내부의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효율적인 공기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suction duct having an air suction hole for sucking air containing suspended dust in a factory,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for receiving the air inside the plant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ng duct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The air suction duct sucks air using natural convection inside the factory, and natural convection And to provide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yste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은, 복수의 공기흡입홀(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건물 내부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건물에 구비된 용마루(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기흡입덕트(100)와 일측이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기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건물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덕트(200) 및 상기 연결덕트(20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덕트(200)로부터 기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집진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건물의 하측의 일부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건물 내부 공기의 유동이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여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에 유입되되, 상기 공기흡입덕트(100)는 제1흡입덕트(110) 및 제2흡입덕트(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덕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200)는 일측이 상기 제1흡입덕트(110)와 연결되어 건물의 외벽(20)을 관통하여 타측이 상기 집진장치(300)와 연결된 제1연결덕트(210) 및 일측이 상기 제2흡입덕트(120)와 연결되어 건물의 외벽(20)을 관통하여 타측이 상기 집진장치(300)와 연결된 제2연결덕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복수의 덕트가 서로 연결되며, 덕트도어(410) 및 구동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덕트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 및 개방하도록 상기 복수의 덕트 간 연결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개폐장치(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purifying system using a natural convec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air intake holes 101, a crest 11 installed at a top of a building, A duct 200 connected to the air suction duct 100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air suction duct 100 and extending through the building so that gas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outsid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3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duct 200 and configured to introduce gas into the connecting duct 200. A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building is opened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therein,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take duct 100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the air intake duct 10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ucts including the first intake duct 110 and the second intake duct 120 Iru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duct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duct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duct 200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through the outer wall 20 of the building, And a second connecting duct 220 connected to the second suction duct 120 and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through the outer wall 20 of the building. At least one or more ducts connected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clude a duct door 410 and a driving unit 420. At least one or more ducts 410 and a driving unit 420 are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duct connecting portions to block and open the flow of air between the ducts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400).

삭제delete

또한 상기 공기흡입덕트(100)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공기흡입덕트(100)가 상기 건물 지붕면 상에서 용마루(11)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air intake ducts 10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rest 11 on the building roof surface.

또한 상기 공기 정화 시스템은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복수의 덕트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덕트도어(410) 및 구동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덕트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 및 개방하도록 상기 복수의 덕트 간 연결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개폐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ir purify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ducts of the air intake duct 100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cluding a duct door 410 and a driving unit 420 to cut off and open the flow of air between the plurality of ducts And at least one opening / closing device (400) install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ducts.

또한 상기 공기 정화 시스템은 외부의 공기가 지하를 거쳐 상기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어, 지열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냉각할 수 있는 지열장치(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the air purific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geothermal device (500) capable of allowing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underground and to cool the outside air using geothermal hea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은, 작업장 내 공기를 맑게 함으로 작업자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며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을 하여 작업 효율성도 좋게 할 뿐 아니라 중소기업 3D업종에 구인난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든다. The air purifying system using the natural conv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leans the air in the workplac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health improvement of the worker. In addition, not only does it work in a pleasant environment, It also creates an opportunit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ocal government.

또한 공장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맞춤형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효과를 설명하자면, 공장 또는 건물의 폭이 큰 경우에는 용마루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공기흡입덕트를 배치할 수 있으며, 공장 또는 건물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제1흡입덕트 및 제2흡입덕트를 포함한 복수의 덕트를 용마루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공장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fine dust generated from factories can be discharged more effectively by applying a custom air purification system.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plant or a building having a large width, a plurality of air intake ducts can b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idge. When the length of the factory or the building is long, the first suction duct and the second suction Since a plurality of ducts including ducts can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ridgeline,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actory.

또한 본 발명인 집진장치는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 때문에 유지 및 가동에 필요한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업자 입장에서는 제품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장가격을 낮추어 가격경쟁력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지열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이 효과를 더욱 가속화하고 자연 친화적인 공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natural convection, the power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operation can be minimized. Thu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cessing cost of the product and to contribute to price competitiveness by lowering the market price An air purification system can be provided. At this time, by introducing the outside air into the room by using the geothermal heat, it is possible to further accelerate the effect and provide a plant that is friendly to na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산업용 분진 여과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시스템이 구비된 건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내부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이 미도시 된 건물의 외부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덕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흡입덕트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열장치 및 냉각장치가 도시된 건물의 내부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기흡입덕트가 구비된 건물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가 구비된 건물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ustrial dust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having an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n internal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top plan view of a building in which a roof is not sh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intak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intake 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op plan view of a building in which a geothermal system and a coo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having a plurality of air intake duc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having an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ir purifying system using a natural conv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unless otherwise indicated,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and configuration that can be blurred is omitted.

<실시예 1>&Lt; Example 1 >

도 2는 본 발명인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도 2는 건물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이하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을 공기 정화 시스템으로 명명)이 적용된 건물(1000)은, 용마루(11)가 형성된 지붕(10)과 갤러리창(21) 및 출입문(22)을 포함한 외벽(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건물은 내부에서 발생된 분진을 포함한 공기들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구비된 복수의 집진장치(300) 및 상기 집진장치(300)로 건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연결덕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FIG. 2 is an embodiment of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a natural conv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2, a building 1000 to which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a natural conv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a natural convection system) is applied includes a roof having a crest 11 10, a gallery window 21 and an outer wall 20 including a door 22. At this time, the building may be provided so that air including dust generated therei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apparatuses 300 provided outside an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And a connecting duct 200 for sucking air inside.

도 3은 본 발명인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도 3은 건물의 내부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공기 정화 시스템은, 건물 내부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건물에 구비된 용마루(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기흡입덕트(100), 일측이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기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덕트(200) 및 상기 연결덕트(20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덕트(200)로부터 기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집진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물의 하측의 일부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건물 내부 공기의 유동이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갤러리창(21) 등을 사용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통로로 쓸 수 있으며, 갤러리창(21)이 아니더라도 일반 창문이나 기타 장치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기할 수 있다. FIG. 3 is an embodiment of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internal plan view of a building. Referring to FIG. 3, the air purif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intake duct 10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crest 11 installed at a top of a building,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3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duct 200 and adapted to receive gas from the connecting duct 200.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duct 200, ). Also, as shown in FIG. 3, a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building is opened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so that the flow of air inside the building is directed upward from the lower part. At this time, the air can be used as an inflow passage of outside air by using the gallery window 21 or the like, and outside air can be taken in by a general window or other device even if it is not the gallery window 21.

상기 공기흡입덕트(100)는 제1흡입덕트(110) 및 제2흡입덕트(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덕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흡입덕트(130) 및 후면흡입덕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 좌측을 전면으로, 우측을 후면으로 구성하였으며, 실제 공장에 본 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서는 전후면을 반대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건물 내부로 들어온 공기는 내부의 뜨거운 열기가 상승하는 것을 가속화할 수 있으며, 내부의 뜨거운 열기들은 공장과 같은 경우에 압연, 압출 등 여러 작업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어 자연 대류에 의해 상승한 열기들은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에 흡입되어질 수 있다. The air intake duc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ducts including a first suction duct 110 and a second suction duct 120 and further includes a front suction duct 130 and a rear suction duct 140 . In FIG. 3, the left side is the front side and the right side is the rear side. In applying the present system to the actual factory, the front and rear sides can be reversed. The air entering the building can accelerate the rise of the internal hot heat, and the hot heat inside can be generated by various operations such as rolling, extrusion and the like in the case of a factory. The heat that has been raised by the natural convection can be sucked into the air intake duct 100.

상기 연결덕트(200)는 일측이 상기 제1흡입덕트(110)와 연결되며 타측이 집진장치(300)와 연결되는 제1연결덕트(210) 및 일측이 상기 제2흡입덕트(120)와 연결되며 타측이 집진장치(300)와 연결되는 제2연결덕트(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면흡입덕트(130) 및 후면흡입덕트(140)와 각각 연결되는 전면연결덕트(230) 및 후면연결덕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200)는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에서 흡입된 뜨거운 공기들을 상기 집징장치(300)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반한다. The connection duct 20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duct 21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duct 11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and a second connection duct 21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suction duct 120 And a second connecting duct 220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0 on the other side. And may further include a front connecting duct 230 and a rear connecting duct 240 connected to the front suction duct 130 and the rear suction duct 140, respectively. The connecting duct 200 has a function of guiding the hot air sucked in the air suction duct 100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상기 집진장치(300)는 필터, 흡입팬 및 분진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카본필터를 통해 분진제거와 동시에 악취까지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필터가 복수로 이루어져 다중필터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팬은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에 자연대류로 인해 유입된 공기를 연결덕트(200)를 지나 집진장치(300)까지 빨아들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진함은 필터 등을 통해 걸러진 분진들이 쌓이는 함이다. 상기 집진장치(300)는 복수로 이루어져 복수의 상기 연결덕트(200)와 각각 연결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집진장치(300)에 복수의 상기 연결덕트(200)가 연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may include a filter, a suction fan, and a dust box.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removes odors simultaneously with dust removal through a carbon filter, and a plurality of the filters can provide a multiple filter system. In addition, the suction fan can suck air that has flowed into the air suction duct 100 due to natural convection through the connecting duct 200 to the dust collector 300. The dust box is a collection of dust collected through a filter or the like.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ors 300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ducts 200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ducts 200 may be connected to 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도 4는 본 발명인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도 4는 지붕이 미도시된 건물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덕트(200)는 건물의 외벽(20)을 관통하여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와 집진장치(300)를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집진장치(300)가 건물 내부에 비치된다면, 건물의 외벽을 관통하여 이루어지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지만, 상기 집진장치(300)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관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덕트(200)가 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니면, 건물의 외벽 및 지붕 사이, 일반적으로 홈통이 형성된 지점을 관통할 수도 있다. FIG. 4 shows an air purifying system using a natural conv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of a building in which a roof is not shown. Referring to FIG. 4, the connecting duct 200 may pass through the outer wall 20 of the building to connect the air suction duct 100 and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I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is provided inside the building, it may be unnecessary to penetrate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However, since an exhaust pipe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is separately requi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emitting device 200 is formed in this form. Or, it may pass through the exterior wall and the roof of the building, generally at the point where the trough is form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인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은 각각 공기흡입덕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입덕트(100)는 복수의 공기흡입홀(10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공기흡입홀(101)은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길이방향에 따라 서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전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공기의 유동방향과 벗어난 와류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전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면흡입홀(102)이 형성될 수 있다. 5 and 6 show an air purifying system using a natural conv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n air intake duct. 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air intake holes 101 may be formed in the air intake duct 100. The plurality of air intake holes (10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intake duct (100).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air intake duct 100 may be provided in an open form. However, in order to suppress eddy currents that deviate from the air flow direction, (102) may be formed.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입홀(101)은,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길이방향만 복수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원주방향에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흡입덕트(100)가 지붕면과 맞닿는 상부에 가깝도록 공기흡입홀(10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6, the air suction holes 101 may be formed not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suction duct 100 but also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ir suction duct 100 .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air suction hole 101 is formed so as to be close to the upper portion where the air suction duct 100 abuts against the roof surface.

도 7은 본 발명인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도 7은 지열장치 및 냉각장치가 도시된 건물의 내부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 정화 시스템은, 외부의 공기가 지하를 거쳐 상기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어, 지열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더 냉각하여 건물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지열장치(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열장치(500)와 더불어 에어콘과 같은 냉각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 7 shows an embodiment of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a natural conv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an internal plan view of a building in which a geothermal system and a cooling system are shown. Referring to FIG. 7, the air purify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othermal unit 500 that allows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ground, further cool the outside air using geothermal heat,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o the geothermal apparatus 500,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device 40 such as an air conditioner.

상기 지열장치(500)는 외부가 지하를 거쳐 건물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치이며, 여름과 같이 외기의 온도다 높을 경우에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열장치(500)의 내부가 다중매니폴드로 이루어져 보다 효율적으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팬과 같이 별도의 흡기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The geothermal device 500 is a device that allows the outside to flow into the building through the underground, and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is high as in the summer.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geothermal unit 500 may be formed of multiple manifolds so that heat exchange occurs more efficiently, and a separate intake device such as a fan may be provided.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갤러리창(21), 냉각장치(30) 및 지열장치(500)를 이용하여 저온상태의 외기를 선택적으로 실내로 공급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 일어나는 상승기류를 더욱 가속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upply the outdoor air at a low temperature state to the indoor space by using the gallery window 21, the cooling device 30, and the geothermal device 500, .

이때 상기 건물(1000)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수량 및 종류가 결정될 수 있으며, 건물의 폭 및 길이가 작은 경우에는 하나의 공기흡입덕트(100)만이 구비될 수 있고, 전면흡입덕트(130) 및 후면흡입덕트(140)로 이루어진 시스템이나, 전면흡입덕트(130) 및 후면흡입덕트(140)가 없이 제1연결덕트(110) 및 제2연결덕트(120)로 구비된 시스템을 제공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quantity and type of the air intake duct 10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uilding 1000. When the width and the length of the building are small, only one air intake duct 100 can be provided, A system including the suction duct 130 and the rear suction duct 140 or a system including the first connection duct 110 and the second connection duct 120 without the front suction duct 130 and the rear suction duct 140 System may be provided.

<실시예 2>&Lt; Example 2 >

도 8은 본 발명인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은 건물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여 도 8을 설명하면, 상기 공기흡입덕트(100)는 전후면에 부착되는 전면흡입덕트(130) 및 후면흡입덕트(140)가 없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공기흡입덕트(100)가 두 개 이상의 연결덕트(200) 및 집진장치(300)와 이루어질 수 있다. FIG.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natural conv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Referring to FIG. 7, the air intake duct 100 can be provided without the front suction duct 130 and the rear suction duct 140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lso, one air intake duct 100 may be formed with two or more connecting ducts 200 and dust collectors 300.

도 9는 본 발명인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는 복수의 공기흡입덕트가 구비된 건물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입덕트(100) 또한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공기흡입덕트(100)가 상기 건물(1000)의 지붕면 상에서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상기 건물(1000)의 폭방향이 큰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지붕의 형태 또는 건물 내부의 최상단의 형태에 따라서 서로 이격되는 절대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상기 공기흡입덕트(100)는 모두 건물 내부의 최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좋다. FIG.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natural conv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having a plurality of air intake ducts. 9, the air intake duct 100 may also have a plurality of air intake ducts 100, and a plurality of the air intake ducts 100 may be installed on the roof surface of the building 10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intake duct 100, And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Such a system can be applied to a case in which the width direction of the building 1000 is large, and the absolute directions of the roof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oof or the top shape of the inside of the building. Preferably, a plurality of the air intake ducts 1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all provid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inside of the building.

<실시예 3>&Lt; Example 3 >

도 10은 본 발명인 자연 대류 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은 개폐장치가 구비된 건물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복수의 덕트들이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형태가 아니라 연결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덕트가 연결되는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장치(400)가 구비될 수 있다.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natural conv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uilding equipp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Referring to FIG. 10, a plurality of ducts of the air intake duct 100 may be provided in a connected form rather tha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at least one opening / closing device 400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ducts are connected.

상기 개폐장치(400)는 건물 내부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양이나 공기 상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덕트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 및 개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건물 내부의 공기의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모든 집진장치(300)를 가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상기 집진장치(300)를 운용하도록 제공된다. 하나의 집진장치(300)만을 가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장치(400)를 개방하여 복수의 덕트들이 하나의 연결덕트(200)로 유입되어, 하나의 집진장치(300)로 배출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집진장치(300)를 가동하는 경우에는, 집진장치(300)의 흡입력이 서로 상쇄되지 않도록, 해당 지점의 상기 개폐장치(400)를 닫힘 상태로 제공하여, 복수의 덕트 간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400 can block and open the flow of air between the plurality of ducts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generated in the building or the air condition. More specifically,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is provided to operat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selectively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operate all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es 300 when the air condition inside the building is good. When only 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is operated,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400 may be opened to allow a plurality of ducts to flow into one connecting duct 200 and be discharged to 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 When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ors 300 are operated, the opening / closing device 400 of the corresponding point is provided in a closed state so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0 is not canceled each other, . &Lt; / RTI &gt;

상기 개폐장치(400)는 덕트도어(410) 및 구동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덕트도어(410)는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복수의 덕트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덕트도어(410)가 회전을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덕트 간 공기의 흐름을 차단 및 개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420)는 상기 덕트도어(4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RF무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수신된 제어에 따라 상기 덕트도어(410)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The opening / closing device 400 may include a duct door 410 and a driving unit 420. The duct door 4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n end surface of a plurality of ducts of the air intake duct 100. The duct door 410 rotates to block the flow of air between the plurality of ducts And can be opened.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420 can transmit power to rotate the duct door 410 and can control the duct door 410 according to control received from the outside using RF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like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00 : 건물
10 : 지붕 11: 용마루
20 : 외벽
21: 갤러리창 22 : 출입문
30 : 냉각장치
100 : 공기흡입덕트
101 : 공기흡입홀 102 : 단면흡입홀
110 : 제1흡입덕트 120 : 제2흡입덕트
130 : 전면흡입덕트 140 : 후면흡입덕트
200 : 연결덕트
210 : 제1연결덕트 220 : 제2연결덕트
230 : 전면연결덕트 240 : 후면연결덕트
300 : 집진장치
400 : 개폐장치
410 : 덕트도어 420 : 구동부
500 : 지열장치
1000: Building
10: roof 11: ridge
20: outer wall
21: Gallery Window 22: Entrance
30: Cooling device
100: Air intake duct
101: Air suction hole 102: Single suction hole
110: first suction duct 120: second suction duct
130: front suction duct 140: rear suction duct
200: Connection duct
210: first connection duct 220: second connection duct
230: Front connection duct 240: Rear connection duct
300: Dust collector
400: Switchgear
410: duct door 420:
500: Geothermal equipment

Claims (5)

복수의 공기흡입홀(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건물 내부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건물에 구비된 용마루(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공기흡입덕트(100);
일측이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와 연결되어 있으며,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기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건물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덕트(200); 및
상기 연결덕트(200)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덕트(200)로부터 기체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집진장치(300);
를 포함하며,
상기 건물의 하측의 일부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건물 내부 공기의 유동이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여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에 유입되되,
상기 공기흡입덕트(100)는 제1흡입덕트(110) 및 제2흡입덕트(1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덕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덕트(200)는,
일측이 상기 제1흡입덕트(110)와 연결되어 건물의 외벽(20)을 관통하여 타측이 상기 집진장치(300)와 연결된 제1연결덕트(210) 및 일측이 상기 제2흡입덕트(120)와 연결되어 건물의 외벽(20)을 관통하여 타측이 상기 집진장치(300)와 연결된 제2연결덕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덕트(100)의 복수의 덕트가 서로 연결되며,
덕트도어(410) 및 구동부(42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덕트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 및 개방하도록 상기 복수의 덕트 간 연결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개폐장치(4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A plurality of air suction holes 101 ar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and air suction ducts 10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dge 11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A connecting duct (200) connected to the air suction duct (100) and formed through the building so that gas can be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outsid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300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duct 200 and configured to introduce gas into the connecting duct 200;
/ RTI &gt;
A part of the lower side of the building is opened to allow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air intake duct 100 from the lower part toward the upper part,
The air suction duc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ducts including a first suction duct 110 and a second suction duct 120,
The connecting duct (200)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duct 110 so as to pass through the outer wall 20 of the building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300 and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ction duct 120, And a second connecting duct (220)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0) through the outer wall (20)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device (300)
A plurality of ducts of the air intake duct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least one opening / closing device (400) including a duct door (410) and a driving part (420) and installed at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plurality of ducts to block and open the flow of air between the plurality of ducts;
Further comprising: an air purifying system (1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덕트(100)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공기흡입덕트(100)가 상기 건물 지붕면 상에서 용마루(11)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intake duct (100)
And,
Wherein a plurality of the air intake ducts (100) are formed on the building roof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rest (11).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3항 중 선택되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시스템은
외부의 공기가 지하를 거쳐 상기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어, 지열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냉각할 수 있는 지열장치(500);
를 더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4. The compou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ir-
A geothermal unit (500) for allowing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hrough the underground and to cool the outside air using geothermal heat;
Further compris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0160138182A 2016-10-24 2016-10-24 Air cleaning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KR1019628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182A KR101962854B1 (en) 2016-10-24 2016-10-24 Air cleaning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182A KR101962854B1 (en) 2016-10-24 2016-10-24 Air cleaning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546A KR20180044546A (en) 2018-05-03
KR101962854B1 true KR101962854B1 (en) 2019-03-28

Family

ID=6224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182A KR101962854B1 (en) 2016-10-24 2016-10-24 Air cleaning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8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301B1 (en) 2021-08-11 2022-02-25 (주)디비테크 Air purifier sterilizer using natural conv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716B1 (en) 2019-07-22 2021-01-05 이성호 Building type air cleaning system using solar energy
CN111528735A (en) * 2020-04-30 2020-08-14 康轶超 Ground all-directional dust removal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76B1 (en) * 2009-12-29 2011-05-11 김경철 A pollutant exhaust duct
KR101573398B1 (en) * 2014-12-30 2015-12-14 주식회사 태영엠앤에프 pavilions for smok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1223B2 (en) * 1997-09-30 2006-12-20 富士工業株式会社 Ventilation equipment
KR20120091626A (en) * 2011-02-09 2012-08-20 브래드포드 에스 박 Structure of eco-friendly construction with harmful substance shutting function
KR101543839B1 (en) 2013-07-12 2015-08-11 현병식 Roof Type Industrial Dust Filter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76B1 (en) * 2009-12-29 2011-05-11 김경철 A pollutant exhaust duct
KR101573398B1 (en) * 2014-12-30 2015-12-14 주식회사 태영엠앤에프 pavilions for smo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301B1 (en) 2021-08-11 2022-02-25 (주)디비테크 Air purifier sterilizer using natural conv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546A (en)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065B1 (en) Ventilation System with Air Filter and Bypass Route, and Ventilating Method using such System
EP2753411B1 (en) Air filtration and air purification apparatus
KR101461168B1 (en) Air cleaning apparatus adapted for window
KR102066570B1 (en) Air purification type ventilation system linked with weather information
KR101962854B1 (en) Air cleaning system using natural convection
CN214370713U (en) Ventilation system with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MY141783A (en) Air conditioner with indoor unit having automatic filter cleaning function
KR100556431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air cleaning
CN105201924A (en) Self-cleaning negative pressure blower
CN104202945A (en) Server cabinet and data centre computer room
CN104717855B (en) Cabinet with filtering function
KR102033420B1 (en) Ventilation device
CN205536366U (en) Heat exchanging ventilator
CN105444278A (en) Electromechanical device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KR101117229B1 (en) Floor-type ventilation unit
JP6467623B2 (en) Air purifier
CN204902071U (en) Factory building dust removal cooling system
CN101592367A (en) The indoor set of air-conditioning
CN204214047U (en) Electromechanical assembly
CN202634920U (en) Dustproof control cabinet for severe work conditions
CN210544098U (en) Dust treatment system for integral workshop
CN204900355U (en) Novel wind -guiding device
CN105020820A (en) Dedusting and cooling system for workshop
KR101114323B1 (en) A Ventilation Apparatus of Air-conditioner
KR20180036152A (en) Dust collection equipment and system thereof for improving indoor air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