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673B1 -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 Google Patents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673B1
KR101962673B1 KR1020170114299A KR20170114299A KR101962673B1 KR 101962673 B1 KR101962673 B1 KR 101962673B1 KR 1020170114299 A KR1020170114299 A KR 1020170114299A KR 20170114299 A KR20170114299 A KR 20170114299A KR 101962673 B1 KR101962673 B1 KR 101962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anel
light
present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478A (ko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천조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천조스토리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조기술연구원, 주식회사 천조스토리, 강민수 filed Critical (주)천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6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3Heaters specifically design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용 여건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가능하며 일부분을 해체 결합할 수 있어 포장부피 및 보관면적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키수 있는 동시에 축열 및 복사열에 의한 인체의 열 흡수로 인해 근육층의 하부까지 열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체의 표면에 광열코팅층을 형성하는 광열패널, 상기 광열패널과 직접접촉을 방지하는 축열망,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하여; 고온의 발열에서도 원적외선이 발산되도록 하여 온열을 이용한 치료 및 주변의 오염공기를 고온으로 태워서 공기 정화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Thermotherapy using mineral heat and far infrared rays}
본 발명은 온열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고온에서도 원적외선이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발산되며 테스트를 통한 입증 데이터를 통해 가정, 병원, 요양시설, 마사지샵 등과 같은 곳에서 온열 치료를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부적절한 자세로 오랫동안 작업을 계속하거나 장기간 이러한 자세가 습관화됨으로써 생기는 척추부위의 근육 및 신경조직에서 발생되는 급성 또는 만성적인 통증을 완화시키며, 신체의 혈액순환을 개선하거나 순간적인 근육의 결림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신체부위를 따라 이동하며 통증발생부위에 온열에 의한 자극을 통한 혈행을 개선시키는 온열치료침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찜질처방은 인체에 적정한 열을 가하여 땀을 흘리도록 함으로써 체내에 축적된 노폐물을 방출하여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찜질약재에 열을 가해 찜질 약재로부터 유용한 성분을 방출시켜 병을 고치는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이러한 찜질효과를 이용하여 종래에는 인체의 일부분을 찜질할 수 있도록 된 여러 형태의 찜질기기가 개발, 판매되어 사용되고 있었으나, 바쁜 현대사회 생활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실상 가정에서 찜질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설령 지속적으로 사용한다 하더라도 몸 전체에 찜질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찜질치료에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적은 비용으로 휴식을 취하면서 편안하게 몸 전체에 찜질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업소형태의 찜질방이 출현했는데, 이는 한정된 찜질방내부를 적정온도의 고온상태를 유지한 찜질실 내에 여러명의 사람들이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면서 찜질재로 이루어진 찜질실 내벽으로 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나 그 밖의 찜질재 성분을 쪼이도록 함으로써 혈액순환 촉진 등 인체의 신진대사를 활성화하여 인체 건강증진에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찜질방은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공중 영업형태를 이루고 있어서 찜질방 운영업자가 찜질실 내부의 위생 상태를 잘 관리하지 않게 되면 오히려 다른 사람의 병에 감염될 우려가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찜질은 장기적으로 지속성 있게 치료하여야만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찜질방은 각 개인의 가정에서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찜질방을 지속성 있게 이용하는 데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로 인하여, 개별적인 공간에서 개인만이 사용할 수 있는 찜질기가 제안되었는데, 이중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052744 (명칭:돔형 사우나 장치)돔 형태의 형상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돔형 사우나 장치의 외관을 덮어 이물질의 침투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외부커버와, 상기 외부커버의 내측에 적층 구성되며, 돔형 사우나 장치의 작동시 외부로 열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차단부재 및 상기 열차단부재의 내측에 적층 구성되며, 전자파를 차단하고 탄소섬유의 저항을 이용한 복사열을 제공하는 탄소 히팅패널을 포함하며, 돔 형태의 형상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커버, 열차단부재 및 탄소 히팅패널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탄소 히팅부재에서 발산되는 온열에 의해 원적외선을 발산하도록 탄소 히팅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는 원적외선 발산부재; 상기 고정 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 패널과, 이 고정 패널의 하부에 구성되어 돔형 사우나 장치를 이동시키는 바퀴로 이루어진 이동수단; 및 상기 탄소 히팅패널의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스위치와, 돔형 사우나 장치에서 발열되는 온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조절 스위치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원적외선 발산부재는 온열을 사용자의 환부 또는 경혈에 전달하고, 사용자의 신체에 탄소 히팅패널로부터 발산되는 열기가 직접적으로 쏘여지는 것을 방지하는 발산부재; 상기 발산부재를 감싸는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고, 이 발산부재의 훼손 및 손상을 방지하는 고정망; 및 상기 발산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과, 양측 단부에 상기 고정 프레임에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다수의 리브로 연결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번호 제10-1468477호 (명칭:개인용 온열돔)는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 내부에 제2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을 따라 상대 이동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온수를 공급하여 상기 제1하우징을 가열시키는 온수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제1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바디; 상기 제1하우징바디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공간으로 원적외선을 방출시키는 복수개의 원적외선바디; 상기 원적외선바디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아 상기 원적외선바디를 가열시키는 튜브; 상기 원적외선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제2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바디; 상기 제2하우징바디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공간으로 원적외선을 방출시키는 복수개의 원적외선바디; 상기 원적외선바디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아 상기 원적외선바디를 가열시키는 튜브; 상기 원적외선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부재; 상기 제2하우징바디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2하우징바디를 지지하는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바디에 스토퍼가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바디에 스토퍼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 및 제1하우징바디 사이에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댐퍼가 배치되고, 상기 원적외선바디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광물질이 고정된 노출바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노출바디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튜브바디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돔형 사우나 장치나 개인용 온열돔은 공통적으로 원적외선을 발산한다고 기술되어 있으나 대부분은 원적외선이 발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돔형 사우나 장치나 개인용 온열돔은 공통적으로 원적외선 측정 조건을 발열 온도 약 40℃에서 측정하여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측정하는데, 기존 제품들은 화상 및 안전성 문제로 발열부가 80℃ 내외의 저온(면상발열체 또는 탄소발열체)으로 심부체온 1~2℃ 올리기가 쉽지 않으며, 또한 80℃에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돔형 사우나 장치나 개인용 온열돔은 공통적으로 발산열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 깊숙히 열이 침투하지 못하여 원활한 치료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돔형 사우나 장치나 개인용 온열돔은 공통적으로 반 원통 형태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동하거나 이동을 위한 파지가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온열 높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체형 및 사용 장소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사용 여건 및 이동성과 포장이 용이하도록 높이 조절과 해체 결합이 가능하며 인증된 시험결과를 토대로 고온에서도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광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도록 입증 효능을 갖는 개선된 온열 치료기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등록번호 10-1052744 (돔형 사우나 장치) 2. 등록번호 10-1354987 (찜질기용 돔) 3. 등록번호 10-1468477 (개인용 온열돔) 4. 등록번호 10-1354380 (온열침대)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150~300℃의 고온에서 원적외선이 발산되도록 하여 온열을 이용한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체에서 발산되는 열이 코팅층을 통해 전도된 열을 보관하는 축열 기능으로 열손실을 방지하는 동시에 효율을 증대시키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몸체에서 제2몸체를 접었다 펼치거나 해체 및 결합할 수 있어 광열패널의 열발산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포장이나 보관시 편리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몸체에 바퀴를 형성하여 이동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열코팅층에 의한 복사열에 의하여 주변의 수분은 최소화하며 가열시켜 열응축 기능을 열 보전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적외선 특성상 300℃ 이상의 고온으로 발열 가능하지만 소비전력 500W 미만의 저전력을 위해 150~300℃의 범위로 설정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 원통 형상의 몸체에 내면 일 측에서 발열하여 인체에 온열을 제공하는 온열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면에 일측에 설치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발열체가 삽입 설치되는 패널체의 표면에 다공성 광물질 광열코팅층을 형성하여 전도방식의 열전달을 하며 열의 축척 및 비 발광 방식으로 발열하는 동시에 열작용과 침투력이 크고, 유기화합물 및 물분자와의 공진, 공명작용으로 온열기능을 갖는 25㎛ 파장을 포함한 복합열 형태의 광적외선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된 고온 발열이 가능한 광열패널, 상기 광열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몸체의 내면에 설치하는 축열망, 상기 광열패널의 발열체에 전원 제어 및 온도, 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150~300℃의 고온에서 원적외선이 발산되도록 하여 온열을 이용한 치료 및 주변의 오염공기를 고온으로 태워서 공기 정화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패널체에서 발산되는 열이 코팅층을 통해 전도된 열을 보관하는 축열 기능으로 열손실을 방지하여 전도열과 복사열에 의한 열치료 및 가열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제1몸체에서 제2몸체를 접었다 펼치거나 해체 및 결합할 수 있어 광열패널의 열발산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포장이나 보관시 편리하며 면적을 적게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2몸체에 바퀴를 형성하여 이동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광열코팅층에 의한 복사열에 의하여 주변의 수분은 최소화하며 가열시켜 열응축 기능을 열 보전력을 제공으로 열치료시 근육층의 하부까지 열이 전달되어 열 치료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적외선 특성상 300℃ 이상의 고온으로 발열 가능하지만 소비전력 500W 미만의 저전력을 위해 150~300℃의 범위로 설정하여 과도한 전력낭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와 제2몸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를 나타낸 결합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망이 해체된 상태의 결합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를 제3,4몸체로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4몸체의 결합부의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와 제2몸체가 분해된 상태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와 제2몸체가 경첩으로 결합되는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열패널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열패널의 사시도,
도 13 내지 도 31은 본 발멸에 따른 광열패널이 적용된 온열 치료기의 원적외선관련, 공기청정 및 살균관련, 품질관련 테스트 시험결과서 사본이며,
도 도 32는 광열패널에 광열코팅층의 유무상태에서 축열을 비교한 실험사진,
도 33은 광열패널에 의한 토양의 축열 상태를 그래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는 반 원통 형상의 몸체(10)에 내면 일 측에서 발열하여 인체에 온열을 제공하는 온열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패널체(42)의 표면에 광열코팅층(43)을 형성하는 광열패널(40), 상기 광열패널(40)과 직접접촉을 방지하는 축열망(50),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콘트롤러(60)로 온열치료기(100)를 구성한다.
우선, 상기 몸체(10)는 광열패널(40)이 내면에 부착되는 반 원통 형상의 제1몸체(20)를 형성한다.
상기 제1몸체(20)는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틀몸체(21)를 형성하는데, 상기 틀몸체(21)는 몸체(10)를 평면에서 투영시 양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아치형태로 제작하여 형성한다.
상기 틀몸체(21)의 끝단에 형성하는 고정몸체(22)를 형성하는데, 상기 고정몸체(22)는 마주보게 설치되는 틀몸체(21)의 끝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의 틀몸체(21)를 견고하게 연결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틀몸체(21)의 각 전방에는 아치 형태의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튼(21a)을 결합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커튼(21a)은 해체 후 제2몸체(30)의 보관홈(31)에 임시적으로 보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몸체(30)는 정면에서 투영시 내벽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할수록 외측으로 얇아져 사용자가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틀몸체(21)의 사이에 상부로부터 틀몸체(21) 형태의 덮개(23), 단열재(24), 반사판(25), 축열망(50)을 순서대로 설치하고 반사판(25)과 축열망(50)의 사이에 광열패널(40)을 설치한다.
상기 덮개(23)는 일정한 면적을 갖는 아치 형태로써 한 쌍의 틀몸체(21)의 사에 끼움이나 체결방식으로 결합하여 형성한다.
상기 단열재(24)는 덮개(23)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광열패널(40)에서 발산하는 발산열이 덮개(23) 쪽으로 손실되는 것과 고온열에 의해 덮개(23)가 타거나 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반사판(25)은 덮개(23)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광열패널(40)에서 발산하는 열이 후방측이나 좌우측으로 확산 및 분산되더라도 응집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데, 고온의 열에서도 열팽창이나 열변형, 변색이 발생하지 않으며 열을 반사시킬 수 있는 금속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축열망(50)은 메쉬망 형태로 형성되며 덮개(23)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광열패널(40)에 인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며 발산열이 원활히 배출되도록 형성한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제1몸체(20)는 중앙을 기점으로 결합과 해체 가능한 제3,4몸체(26)(2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몸체(26)과 제4몸체(27)가 마주보는 제3몸체(26)의 제1경계면(26a)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26b)의 일측에 수단자(26c)를 형성한다.
상기 제3몸체(26)과 제4몸체(27)가 마주보는 제4몸체(27)의 제2경계면(27a)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27b)의 일측에 암단자(27c)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몸체(20)의 양 끝단 하부에 형성하는 판 형태이며 내면에 보관홈(31)을 형성하는 제2몸체(30)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보관홈(31)은 제2몸체(30)의 내벽면에 외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보관홈(31)의 전방에는 보관을 위한 물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관망(31a)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몸체(22)의 하부에는 제1몸체(20)의 이동 편의성을 위한 바퀴(32)가 하부면에 형성된 제2몸체(3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2몸체(30)는 고정몸체(22)의 하부에 일체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몸체(22)의 하부에는 제1몸체(20)의 높낮이 조정과 이동의 편의성을 위한 바퀴(32)가 하부면에 형성된 제2몸체(30)를 분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몸체(20)에서 제2몸체(30)가 분리되는 경우 제1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홈(28)의 양측으로 제1자석(29)을 형성한다.
상기 제2몸체(3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33)의 양측으로 제2자석(34)을 구성한다.
즉, 상기 제2몸체(30)를 제1몸체(20)에 연결시에는 체결홈(28)의 내부로 체결돌기(33)를 삽입하면서 제1,2자석(29)(34)이 자력에 의해 강하게 부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몸체(22)의 하부에는 제1몸체(20)의 높낮이 조정과 이동의 편의성을 위한 바퀴(32)가 하부면에 형성된 제2몸체(30)를 경첩(35)으로 연결하여 접힘과 펼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몸체(20)의 틀몸체(21) 및 덮개(23)에는 이동 및 휴대의 편의성을 위한 손잡이(20a)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틀몸체(21)에 전방면에 2개 이상으로 형성하고, 덮개(23)에 형성할 경우 상부면 중앙에 1개를 구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몸체(10)는 각각 목재나 알루미늄, 목재와 알루미늄이 조합시켜 형성할 수 있는데 특히, 제1몸체(20)의 틀몸체(21), 고정몸체(22), 덮개(23), 손잡이(20a), 제2몸체(30)를 단독재질인 목재 또는 알루미늄, 목재와 알루미늄을 조합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일측에 설치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발열체(41)가 삽입 설치되는 패널체(42)의 표면에 다공성 광물질 광열코팅층(43)을 형성하여 전도방식의 열전달을 하며 열의 축척 및 비 발광 방식으로 발열하는 동시에 열작용과 침투력이 크고, 유기화합물 및 물분자와의 공진, 공명작용으로 온열효과가 더 높은 3~60㎛ 범위의 파장을 발산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서는 25㎛이상 파장을 포함한 복합열 형태의 광적외선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된 고온 발열이 가능한 광열패널(40)을 형성한다.
상기 광열패널(40)은 반사판(25)의 천장면 중앙에 고정하여 구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광열패널(40)은 중앙에 다수 개의 발열체(41)가 설치되며, 표면에 다공성 광물질 광열코팅층(43)을 구성하는데, 상기 광열코팅층(43)은 1,000~10,000메쉬의 나노입자를 갖는 견운모(또는 일라이트)50~70중량%와, 고령토20~40중량%, 진주석3~8중량%와 그리고 접착제 5~25중량%를 혼합한 혼합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41)는 광열패널(40)의 패널체(42) 배면에 형성된 저장홀에 간극 없이 충진되어 양단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대응되게 열을 발생가능하도록 나노입자로 구성된다.
즉, 상기한 발열체(41)는 내주면에 절연물질인 세라믹절연체가 코팅된 저장홀(도면번호 미도시)이 배면 중앙부와 상단에 형성되어 구비되는 광열패널(40)의 저장홀에 각각 충진되며, 상기 저장홀의 내주면과 간극이 발생하지 않아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600메쉬 ~ 15,000메쉬의 나노입자로 구성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대응되게 발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도성 고분자 발열체(41a)와, 상기 전도성 고분자 발열체(41a)에 혼합되어 전원인가에 대응되게 전도성 고분자 발열체(41a)로부터 발열된 열을 발산시키도록 600메쉬~15,000메쉬의 나노입자로 구성되어 구비되는 절연체(41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도성 고분자 발열체(41a)와 절연체(41b)의 혼합은 광열패널(40)의 크기(발열면적)와 두께에 대하여 저항값(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8:2 ~ 9:1의 비율로 혼합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전도성 고분자 발열체(41a)는 탄소, 니크롬이나 니켈 등 중 하나 또는 2종으로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절연체(41b)는 운모와 마그네슘이 혼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운모와 마그네슘의 혼합은 5:5 ~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전도성 고분자 발열체(41a)의 입자가 600메쉬 이하로 구성되면, 발열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15,000메쉬 이상으로 구성하게 되면, 제조에 따른 비용이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도성 고분자 발열체(41a)의 입자는 600메쉬 15,000메쉬의 나노입자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도성 고분자 발열체(41a)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지 않고 금속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절연체(41b)는 상기 전도성 고분자 발열체(41a)와 혼합되어 발열시 열의 저장성을 향상시키도록 상기한 전도성 고분자 발열체(41a)의 입자와 동일하게 600메쉬 이상 15,000메쉬 이하의 나노입자를 갖는 운모 또는 마그네슘 또는 운모와 마그네슘이 혼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절연체(41b)는 광열패널(40)의 저장홀에 충진된 전도성 고분자 발열체(41a)가 배출되지 않도록 막음과 아울러, 판넬체(42)와 발열부(41)를 절연시키도록 저장홀의 각 양단을 막음하여 접속부(41d)를 설치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절연체(41b)는 탄소 또는 니크롬 니켈 등으로 발열 온도에 맞게 전력밀도를 설계하여 감는 방법 또는 코팅하는 방법으로 설계한 후 광원패널(40)의 저장홀에 삽입 후 절연체(운모 또는 마그네슘)으로 충진하여 완벽하게 절연시킬수도 있으며, 또는 식물성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직접발열체를 삽입 시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광원패널(40)은 원거리까지 열을 빠르게 발산가능 하도록 전방으로 얇은 판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발열체(41)가 형성된 판넬체(42)의 반대편에는 방열돌기(44)를 다수 개로 형성하여 열 방출이 신속하며 원거리까지 열이 방사 가능하도록 하며 그 외의 광원패널(40)에서는 전체적으로 열이 고루 분산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광열패널(40)은 패널체(42)의 발열 열을 광열코팅층(43)을 통해 전도되어 150~300℃ 고온 광열패널에서 방사에너지가 증폭된 25㎛ 이상의 파장을 포함한 복합 적외선(광적외선)을 방출하여, 광열패널(40) 자체 축열과 광적외선 복사열에 의한 공기, 수분, 구조물에 열흡수 축열로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도록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광열패널(40) 내 발열체(41)의 열(고온)은 전도과정을 통해 광원소재 광열코팅층(43)에 축열되고, 광열코팅층(43)의 소재를 거친 열원은 복합 복사열로 구성된 광적외선으로 전환된다. 즉, 광열패널(40) 자체 축열뿐 아니라 복사 및 대류를 통한 H2O, CO2, 유기물질 및 열전도율이 낮은 벽, 가구, 토양 등에 열을 축적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기제를 형성하며, 광적외선 효과로 다양한 바이오(BIO) 항균, 탈취, 공기정화, 생육, 온열치유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41)는 패널체(42)의 중앙에 형성된 저장홀에 간극 없이 충진되어 양단에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대응되게 열을 발생가능하도록 나노입자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광열패널(4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몸체(10)의 내면에 설치하는 축열망(50)을 형성하는데, 상기 축열망(50)의 표면에는 광열코팅층(43)을 형성하여 광열패널(40)의 발산열을 축열하는 동시에 축열된 열을 재 발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광열패널(40)의 발열체(41)에 전원 제어 및 온도, 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형성하는데, 상기 콘트롤러(60)는 덮개(23)를 관통하여 고정되며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외부로 전원선이 연결되고 발열체(41)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광열패널(40)은 스탠드 방식의 온열치료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스탠드 방식에 적용할 경우 광열패널(40)의 온도는 350도 내외 고온으로 해주시고, 외부에 방출되는 열이 많기 때문에 더 높은 온도가 바람직하다고 ㅎㅅ
상기 제1몸체(20)의 덮개, 틀몸체(21), 고정몸체(22), 제2몸체(30)는 본 발명에서 목재로 구성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는, 목재의 종류로는 스프러스(Spruce, 가문비나무), 라디에타 파인 (Radiata Pine, 뉴송), 레드파인(Scots Pine, 사스나), 엘리오티파인 (Slash Pine, 미송, 브라질송), 적삼목 (Western Red Cedar), 고무나무 (Rubberwood), 멀바우(Merbau), 앨더 (Red Alder, 오리나무), 자작나무(Silver Birch), 편백나무 중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제작할 수 있데 각 목재의 특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스프러스는 표면강도는 약하지만 무게에 비해 강도가 좋은 특징으로 택한다.
2. 라디에타파인은 흔히 뉴송이라고 불리는 소나무의 일종으로 단단한 목질, 저렴한 가격과 원만한 수급이 가능하고 옹이가 없는 무절 제품의 특징으로 채택한다.
3. 레드파인은 추운 지방에서 자라는 소나무로 나이테가 좁고 촘촘해서 아름다우며 강한 송진향이 발산되는 특징으로 채택한다.
4. 엘리오티파인은 좋은 소프트우드의 특징으로 채택한다.
5. 적삼목은 삼나무로써 가볍고 무른 나무이지만 향도 좋고 물에 강해 큰 강도가 필요치 않은 부분에 고급 내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특징으로 채택한다.
6. 고무나무는 열대성 나무로 저렴하게 구할 수 있는 하드우드의 특징으로 채택한다.
7. 멀바우는 열대성 나무로 표면 강도와 구조적 강도가 매우 높으며 수축및 팽창이 적어 매우 좋으며 부패에 강해 천연방부목으로 알려진 특징으로 채택한다.
8. 앨더는 하드우드지만 소프트우드보다 더 비중이 낮고 무른 나무로 아름다운 나뭇결의 특징으로 채택한다.
9. 자작나무는 밝은색의 목질, 은은한 나뭇결과 견고함과 수축과 변형이 거의 없는 특징으로 채택한다.
9. 편백나무는 아토피 등 피부질환이 있는 분들에게 치유효과가 있습니다. 피톤치드는 천연 향균물질로 킨디다균, 오네라균, 살모넬라균, 포도상구균에 강력한 향균효과와 탈취효과가 있어 새집 증후군을 예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편백나무에서 발생되는 피톤치드가 강력한 향균작용 및 피부질환을 개선해주어 가려움증을 진정시켜줌과 동시에 세균이 피부내에 침투하는것을 막아는 특징으로 채택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열치료기(100)는 한 쌍의 틀몸체(21)를 전,후방향으로 이격시켜 배치시킨 후 틀몸체(21)의 사이에 덮개(23)를 설치한 후 덮개(23)의 내면에 단열재(24)와 반사판(25)을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이후, 상기 반사판(25)의 천장면 중앙에 광열패널(40)을 고정한 후, 발열체(41)에 연결되는 전기선을 반사판(25)을 관통시켜 덮개(23)의 사이 공간으로 위치시키며 콘트롤러(60)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후, 상기 광열패널(40)의 전방으로 축열망(50)을 설치한 후 틀몸체(21), 덮개(23), 단열재(24), 반사판(25), 축열망(50)의 양 끝단은 고정몸체(22)를 한 쌍의 틀몸체(21)에 결합하는 동시에 고정몸체(22)의 상부면에 고정하여 제1몸체(20)의 조립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20)의 고정몸체(22) 하부에 제2몸체(30)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에는 고정몸체(22)와 함께 제2몸체(30)를 일체로 제작하여 설치한다.
반면, 상기 제1몸체(20)의 고정몸체(22) 하부에 제2몸체(30)가 분리되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제1몸체(20)의 체결홈(28) 내부로 제2몸체(30)의 체결돌기(33)를 삽입하면서 제1,2자석(29)(34)이 자력에 의해 강하게 부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하거나 경첩(35)을 이용하여 고정몸체(22)와 제2몸체(30)를 연결하여 제2몸체(30)가 제1몸체(20)의 내부공간으로 접혀지도록 설치하여 온열치료기(100)의 조립 제작을 완료한다.
이러한, 상기 온열치료기(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원선을 외부 콘센트에 연결하여 콘트롤러(60)에 전원을 인가한 후 콘트롤러(60)의 설정 기능을 통해 작동시간, 온도 등을 설정한다.
이후, 상기 온열치료기(100)의 사용자는 제2몸체(30)가 바닥에 지지되도록 하는 누운 자세 및 다리를 뻗은 좌식 자세의 치료나 제1몸체(20)와 제2몸체(30)의 일 끝단을 바닥에 지지시켜 다리를 접은 상태의 좌식 자세의 치료를 시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몸체(20)(30)는 사용 여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누운 자세 및 다리를 뻗은 좌식 자세에서는 사용자가 톨몸체(10)에 형성된 손잡이(20a)를 잡고 바퀴(32)를 이용하여 온열치료기(100)을 이동시키면서 온열치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2몸체(20)(30)는 사용 여건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다리를 접은 상태의 좌식 자세에서는 온열치료기(100)를 직립시켜 광열패널(40)이 사용자의 등쪽이나 옆구리, 배를 향하도록 위치시켜 온열치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광열패널(40)에서는 패널체(42)의 발열 열이 광열코팅층(43)을 통해 전도되어 광열코팅층(43)의 표면에서 150~350℃의 고온열이 발산되며, 이때 약 20~25㎛의 광적외선을 방출하게 된다.
도 13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열패널(40)은 광열코팅층(43)에 의해 고온 열을 자체 축열과 광적외선 방사율과 지속성 및 에너지에 따른 품질향상기능, 살균기능, 공기정화가 가능한 기능이 있는데, 이러한 기능을 시험테이터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열패널(40)에 대한 시험데이터는 원적외선방사율시험, 공기정화시험, 품질검사시험 결과 데이터를 토대로 설명하며, 시험성적서의 기본 종보는 본 출원인이 대표로 재직중인 "주식회사 천조스토리" 사, 시험년도는 2016년, 시험방법은 KCL-FIR-1005:2011, 시험기관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진행하였다.
1.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에 대한 품질향상시험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 결과에 따르면 원적외선 방사율은 측정온도 80℃, 측정파장은 5~20㎛에서 0.911이 방사되며,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는 6.22×102 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고온에서도 원적외선이 원활히 방사하는 특징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그래프는 원적외선 방사율과 파장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원적외선 방사율과 파장이 큰 변화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신뢰도를 입증하는 특징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그래프는 원적외선 방사에너지와 파장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그래프에서 Black Body(빨간색)는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의 시험그래프이며, Sample(파란색)은 광열코팅층(43)이 형성되지 않는 순수한 패널체의 시험그래프로써, 두 그래프를 보았을 때 Sample보다 Black Body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데, 이 그래프는 광열코팅층(43)의 유무에 따른 결과 값으로 본 발명의 광열코팅층(43)이 형성된 경우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명확히 증가하는 데이터적 확실성과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광열코팅층(43)에 의한 축열기능과 물성에 의한 정확한 결과임을 예측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서 제안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장치는 보통 측정온도 40℃로서 본 발명의 측정온도에서 측정할 경우 원적외선의 방사율이 현저하게 줄어 온열치료에 대한 기능이 미비한 반면, 상기 광열코팅층(43)이 형성된 광열패널(40)은 원적외선 방사율, 지속조건, 에너지 등이 측정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증대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어 온열치료 기능이 종래의 원적외선 장치보다 탁월하다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2.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는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에 대한 살균기능시험에 관한 것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 살균기능시험은 대기중에 균을 배양하는 시험으로 24시간 동안 인위적이지 않은 일반적 조건과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을 이용하여 열을 발산시켜 시험 공간을 살균하는 가정하에 이루어졌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 결과는 대장균 배양량을 확인하는 것으로 사진 1은 일반적인 배양량이며 사진 2는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에 공기 정화 영향을 받아 대장균이 원활히 배양되지 못해 살균기능이 입증되는 특징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 결과는 녹농균 배양량을 확인하는 것으로 사진 3은 일반적인 배양량이며 사진 4는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에 공기 정화 영향을 받아 대장균이 원활히 배양되지 못해 살균기능이 입증되는 특징이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 결과는 황색포도상구균 배양량을 확인하는 것으로 사진 5는 일반적인 배양량이며 사진 6은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에 공기 정화 영향을 받아 대장균이 원활히 배양되지 못해 살균기능이 입증되는 특징이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 결과는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에 배양량에 대하여 수치적인 표현한 것으로 일반적인 조건에서보다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에 공기 정화 영향을 받아 대장균이 원활히 배양되지 못해 살균기능이 입증되는 특징이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 결과는 곰팡이균 배양량을 확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에 공기 정화 영향을 받아 곰팡이균이 원활히 배양되지 못해 살균기능이 입증되는 특징이 있다.
3.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는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에 대한 공기정화기능시험에 관한 것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 공기정화는 대기중에 냄새 및 유해성물질을 측정한 후 시행하는 시험으로 2시간 동안 인위적이지 않은 일반적 조건과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을 이용하여 열을 발산시켜 시험 공간을 정화하는 가정하에 이루어졌다. 여기서, 표는 시간에 따른 측정항목 농도변화 수치값표이며 그래프는 수치값을 선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Blank농도는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Sample농도는 빨간색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 결과는 대기 중 암모니아 탈취력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일반적인 Blank에 따른 농도는 0분~120분 동안 감소량 변화가 없으나 Sample에 따른 감소 변화량은 현저하게 감소한 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광열패널(40)에 공기 정화 영향을 받아 암모니아성분을 제거하는 점이 입증되는 특징이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 결과는 대기 중 포름알데히드 탈취력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일반적인 Blank에 따른 농도는 0~120분 동안 감소량 변화가 없으나 Sample에 따른 감소 변화량은 현저하게 감소한 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광열패널(40)에 공기 정화 영향을 받아 포름알데히드 성분을 제거하는 점이 입증되는 특징이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성적서 결과는 본 발명의 광열패널(40)에서 석면 계열 물질의 검출 여부를 시험한 것으로 시험항목은 Chrysotile(온석면), Amosite(아모사 석면), Asbestos(석면), Crocidolite(청석면), Anthophylite(앤토필라이트)으로써 모든 항목에서 Not Detected(검출되지 않음) 결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제품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검사 성적서 결과는 본 발명의 온열치료기(100)를 작동시 광열패널(40)에서 특히 단열재(24)에 관련한 유해성 가스가 발생하는지를 시험한 것으로 시험항목은 열전도율, 연소성, 총휘발성유기화합물, 폼알데하이드, 톨루엔, 난연성능 테스트 항목 및 결과값을 표시하는 것이다.
즉, 테스트 결과값에 따르면 연소성 항목은 이상 없음,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은 0.004mg/㎡·h, 폼알데하이드 0.000mg/㎡·h, 톨루엔 0.000mg/㎡·h, 난연성능은 적합으로 판정되어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제품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검사 성적서 결과는 불연성시험, 가스유해성, 행동정지시간의 항목 시험을 3회 실시한 것으로 판정기준을 보면 질량감소율은 3회 모두 30% 이하에 포함되며, 최고 온도와 최종 평형 온도의 차는 20℃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행동정지시간은 9분:00초 이상으로 모든 합격 조건내에 결과값을 나타내고 있어 물리적 품질면에서도 우수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검사 성적서 결과는 불연성 시험 결과를 3회 실시하여 결과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온도 700~800℃ 사이 구간에서 시간 0~1800초 시간까지 온도의 변화나 연소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불연성능을 유지함으로써 화재의 발현 및 연소 가능성이 현저히 적은 특징이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검사 성적서 결과는 가스유해성 시험 결과를 스펙트럼 방식으로 표시한 것으로 행동정지시간은 9분:00초 이상의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데 평균값이 14분:58초와 14분:55초의 결과값을 나타내고 있어 합격 조건내에 포함됨으로써 물리적 품질면에서도 우수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품질검사 성적서 결과는 본 발명의 온열치료기(100)에 적용되는 단열재(24)의 시험조건 및 시료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온열치료기(100)는 150~300℃의 고온에서 원적외선이 발산되도록 하여 온열을 이용한 치료 및 주변의 오염공기를 고온으로 태워서 공기 정화의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광열패널(40) 표면온도는 150~300℃(300℃이상도 가능)의 고온이지만, 적외선의 특성상 신체가 느끼는 온도는 60℃이내로써, 고온에서도 원적외선 방사율의 차이가 크지 않고, 방사에너지는 10배 이상 증가하는 광적외선의 특성에 의해 가능하다. 종래 기술의 경우 발열체 온도가 150~300℃의 고온일 경우 60cm이내 근접거리에서 온도는 100℃가까이 올라가 화상의 위험이 있는데 이는 고온에서 원적외선 방사가 거의 되지 않기 때문인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온열치료기(100)는 패널체(42)에서 발산되는 열이 광열코팅층(43)을 통해 전도된 열을 보관하는 축열 기능으로 열손실을 방지하여 전도열과 복사열에 의한 열치료 및 가열 효율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온열치료기(100)는 제1몸체(20)에서 제2몸체(30)를 접었다 펼치거나 해체 및 결합할 수 있어 광열패널(40)의 열발산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포장이나 보관시 편리하며 면적을 적게 사용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온열치료기(100)는 제2몸체(30)에 바퀴(32)를 형성하여 이동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온열치료기(100)는 광열코팅층(43)에 의한 복사열에 의하여 주변의 수분은 최소화하며 가열시켜 열응축 기능을 열 보전력을 제공으로 열치료시 근육층의 하부까지 열이 전달되어 열 치료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2는 광열패널(40)에 광열코팅층(43)의 유무상태에서 축열을 비교한 실험사진이며, 도 33은 광열패널(40)에 의한 토양의 축열 상태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상기 본 발명의 온열치료기(100)는 광열패널(40) 내 발열체(41)의 열(고온)은 전도과정을 통해 광원소재 광열코팅층(43)에 축열되고, 광열코팅층(43)의 소재를 거친 열원은 복합 복사열로 구성된 광적외선으로 전환된다. 즉, 광열패널(40) 자체 축열뿐 아니라 복사 및 대류를 통한 H2O, CO2, 유기물질 및 열전도율이 낮은 벽, 가구, 토양 등에 열을 축적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기제를 형성하며, 광적외선 효과로 다양한 바이오(BIO) 항균, 탈취, 공기정화, 생육, 온열치유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온열치료기(100)를 이용한 온열요법은 광적외선 파장이 25㎛ 이상을 포함한 복합열로 열작용과 침투력이 크며, 또한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 작용으로 항균 및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며,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 분자에 닿으면 세포를 1분에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줌으로써 세포조직 활성화하며, 심부체온을 효과적으로 상승시키는데, 인체의 체온이 1℃ 떨어지면 기초대사률이 약 12%, 면역력이 약 30%정도 감소하게 되어 질병에 취약한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리적/인위적 광적외선 복사열을 이용하여 인체 자극을 통한 혈액순환개선과 세포의 재생주기를 향상시켜 질병에 대한 대응력의 향상 및 치유, 암, 뇌졸증, 소화불량, 생리불순, 각종 성인병 개선과 다이어트 및 피부미용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온열치료기(100)는 몸체(10)를 형성하는 제1몸체(20)의 틀몸체(21), 고정몸체(22), 덮개(23), 손잡이(20a), 제2몸체(30)를 단독재질인 목재 또는 알루미늄, 목재와 알루미늄을 조합한 형태로 제작하여 경량화를 통해 노약자나 환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몸체 20 : 제1몸체
20a :손잡이 21 : 틀몸체
21a : 커튼 22 : 고정몸체
23 : 덮개 24 : 단열재
25 : 반사판 26 : 제3몸체
26a : 제1경계면 26b : 결합홈
26c : 암단자 27 : 제4몸체
27a :제2경계면 27b : 결합돌기
27c : 수단자 28 : 체결홈
29 : 제1자석 30 : 제2몸체
31 : 보관홈 31a : 보관망
32 : 바퀴 33 : 체결돌기
34 : 제2자석 35 : 경첩
40 : 광열패널 41 :발열체
42 : 패널체 43 : 광열코팅층
50 : 축열망 60 : 콘트롤러
100 : 온열치료기

Claims (11)

  1. 반 원통 형상의 몸체(10)에 내면 일 측에서 발열하여 인체에 온열을 제공하는 온열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일측에 설치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발열체(41)가 삽입 설치되는 패널체(42)의 표면에 다공성 광물질 광열코팅층(43)을 형성하여 전도방식의 열전달을 하며 열의 축척 및 비 발광 방식으로 발열하는 동시에 열작용과 침투력이 크고, 유기화합물 및 물분자와의 공진, 공명작용으로 온열기능을 갖는 25㎛ 파장을 복합열 형태의 광적외선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된 고온 발열이 가능한 광열패널(40),
    상기 광열패널(4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몸체(10)의 내면에 설치하는 축열망(50),
    상기 광열패널(40)의 발열체(41)에 전원 제어 및 온도, 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6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광열패널(40)이 내면에 부착되는 반 원통 형상의 제1몸체(20),
    상기 제1몸체(20)의 양 끝단 하부에 형성하는 판 형태이며 내면에 보관홈(31)을 형성하는 제2몸체(3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20)는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는 한 쌍의 틀몸체(21),
    상기 틀몸체(21)의 끝단에 형성하는 고정몸체(22),
    상기 틀몸체(21)의 사이에 상부로부터 틀몸체(21) 형태의 덮개(23), 단열재(24), 반사판(25), 축열망(50)을 순서대로 설치하고 반사판(25)과 축열망(50)의 사이에 광열패널(40)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20)는 중앙을 기점으로 결합과 해체 가능한 제3,4몸체(26)(27)를 형성하되,
    상기 제3몸체(26)과 제4몸체(27)가 마주보는 제3몸체(26)의 제1경계면(26a)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26b)의 일측에 수단자(26c)를 형성하며,
    상기 제3몸체(26)과 제4몸체(27)가 마주보는 제4몸체(27)의 제2경계면(27a)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돌기(27b)의 일측에 암단자(27c)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2)의 하부에는 제1몸체(20)의 이동 편의성을 위한 바퀴(32)가 하부면에 형성된 제2몸체(30)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2)의 하부에는 제1몸체(20)의 높낮이 조정과 이동의 편의성을 위한 바퀴(32)가 하부면에 형성된 제2몸체(30)를 분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2)의 하부에는 제1몸체(20)의 높낮이 조정과 이동의 편의성을 위한 바퀴(32)가 하부면에 형성된 제2몸체(30)를 경첩(35)으로 연결하여 접힘과 펼침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20)에서 제2몸체(30)가 분리되는 경우 제1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홈(28)의 양측으로 제1자석(29)을 형성하고,
    상기 제2몸체(3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33)의 양측으로 제2자석(34)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20)의 틀몸체(21) 및 덮개(23)에는 이동 및 휴대의 편의성을 위한 손잡이(20a)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열패널(40)은 패널체(42)의 발열 열을 광열코팅층(43)을 통해 전도되어 150~350℃의 고온열과 3~60㎛의 광적외선을 방출하여 고온 열을 자체 축열과 광적외선 복사열에 의한 공기, 수분, 구조물에 열흡수 축열 및 토양축열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각각 목재나 알루미늄, 목재와 알루미늄이 조합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KR1020170114299A 2017-09-07 2017-09-07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KR101962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99A KR101962673B1 (ko) 2017-09-07 2017-09-07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299A KR101962673B1 (ko) 2017-09-07 2017-09-07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78A KR20190027478A (ko) 2019-03-15
KR101962673B1 true KR101962673B1 (ko) 2019-03-28

Family

ID=65762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299A KR101962673B1 (ko) 2017-09-07 2017-09-07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7876A (zh) * 2019-04-23 2019-06-21 珠海市椿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热量均匀分布的理疗舱
CN109939364A (zh) * 2019-04-23 2019-06-28 珠海市椿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易拆装的理疗舱
CN109907877A (zh) * 2019-04-23 2019-06-21 珠海市椿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弧形布局的理疗舱
KR102297190B1 (ko) * 2019-08-20 2021-09-02 김용근 모듈식 이동형 돔 사우나
KR102317754B1 (ko) * 2021-08-11 2021-10-28 김광자 돔형 온열사우나기 겸용 좌욕 훈증기
KR102589173B1 (ko) * 2021-10-20 2023-10-17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열 에너지와 빛 에너지를 이용한 돔형의 온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744B1 (ko) 2010-11-01 2011-07-29 오명근 돔형 사우나 장치
KR101619735B1 (ko) 2014-06-12 2016-05-12 마요셉 다기능성 사우나 부스
KR101639649B1 (ko) 2016-01-13 2016-07-22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원적외선 방사량이 증진된 직물시트를 구비한 온열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987B1 (ko) 2012-07-13 2014-01-23 조달숙 찜질기용 돔
KR101468477B1 (ko) 2013-05-29 2014-12-04 (주)메덱스 개인용 온열돔
KR101354380B1 (ko) 2013-08-07 2014-01-22 강기창 온열침대
KR20150089417A (ko) * 2014-01-28 2015-08-05 (주)문수토가 축열식 찜질부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744B1 (ko) 2010-11-01 2011-07-29 오명근 돔형 사우나 장치
KR101619735B1 (ko) 2014-06-12 2016-05-12 마요셉 다기능성 사우나 부스
KR101639649B1 (ko) 2016-01-13 2016-07-22 주식회사 명신메디칼 원적외선 방사량이 증진된 직물시트를 구비한 온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78A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673B1 (ko) 광적외선을 이용한 온열 치료기
KR101514646B1 (ko) 족욕 겸용 좌욕기
KR200459079Y1 (ko) 건식 반신욕기
KR20090010990U (ko) 건식 족욕기
KR200461634Y1 (ko) 건식 족욕기
KR101023807B1 (ko) 좌훈기
KR20210010743A (ko) 온열치료기
KR200480053Y1 (ko) 웰빙 난방의자
KR20170119178A (ko) 가습 및 뜸을 위한 발열장치
KR101035913B1 (ko) 세라믹 전기발열체와 내열유리판으로 된 전열방사부가 구비된 반신온열 찜질기
KR101262746B1 (ko) 숯을 이용한 좌훈제 및 이를 이용한 좌훈 장치
KR20180015892A (ko) 온열 찜질기
KR200427352Y1 (ko) 족욕 겸용 좌욕기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102345214B1 (ko) 다용도 온열기
KR200394284Y1 (ko) 황토쑥탄 온구기
KR100300770B1 (ko) 뜸치료기
KR102473852B1 (ko) 이동식 건강 찜질기
KR102644349B1 (ko) 온열치료 장치
KR200266919Y1 (ko) 탄소성형체가 부착된 온열기
JPH03267066A (ja) 遠赤外線光熱照射による被照射物の活性化並びに殺菌殺虫装置
JP2004236676A (ja) 溶岩を利用した蒸気浴もしくは乾気浴施設
KR200230482Y1 (ko) 뜸 치료기
KR200298321Y1 (ko) 습, 건식 황토 원적외선 좌욕기
KR101049591B1 (ko) 황토 건강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