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334B1 - 시리얼 통신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시리얼 통신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334B1
KR101962334B1 KR1020170184204A KR20170184204A KR101962334B1 KR 101962334 B1 KR101962334 B1 KR 101962334B1 KR 1020170184204 A KR1020170184204 A KR 1020170184204A KR 20170184204 A KR20170184204 A KR 20170184204A KR 101962334 B1 KR101962334 B1 KR 10196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witching device
transmission request
master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우
Original Assignee
(주)나오디지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오디지탈 filed Critical (주)나오디지탈
Priority to KR1020170184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Abstract

본 실시예는,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슬레이브 장치와 연결되어 소스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일정 진폭의 데이터에 대한 전송요청에 응답하여,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스케쥴링된 시점에, 상기 소스데이터로부터 상기 일정 진폭의 데이터를 분별하여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송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요청 신호를 송신한 마스터 장치로 상기 검출된 일정 진폭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정 진폭은 상기 마스터 장치 별로 미리 설정되는 스위칭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리얼 통신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동작방법{SWITCHING DEVICE FOR SERIAL COMMUNIC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시리얼 통신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복수의 마스터 장치에 분배하고, 동작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기본 마스터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하는 스위칭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가정 및 산업 전반에 걸쳐 전력 사용량이 급증함에 따라, 전력 사용량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한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위하여, 실시간으로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는 원격검침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검침 시스템(100)은 전기 등의 사용량을 계량하여 전력사용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의 전자식 계량기(110, 이하 슬레이브 장치로 칭함), 전자식 계량기와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원격검침 서버(150)에 전송하는 스위칭 장치(130) 및 검침을 수행하고 검침 정보를 관리하는 원격검침 서버(150, 이하 마스터 장치로 칭함)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가 '1:n'으로 연결되며,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의 데이터 전송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100)의 스위칭 장치(130)는 동작전원이 차단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2차 전원(즉, 배터리)를 구비하고, 정전시 2차 전원에 의해 데이터 중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전기기기 별로 전력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에서 전송된 데이터에서 특정 진폭의 데이터만을 수신할 필요가 있다.
또한, 2차 전원의 경우의 용량 및 수명이 제한된 관계로,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은 스위칭 장치(130)의 동작전원 차단 및 2차 전원의 방전으로 인하여 원격검침이 중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소정의 진폭 별로 구분하여 복수의 마스터 장치에 분배하고, 동작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기본 마스터 장치로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는 스위칭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슬레이브 장치와 연결되어 소스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일정 진폭의 데이터에 대한 전송요청에 응답하여,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스케쥴링된 시점에, 상기 소스데이터로부터 상기 일정 진폭의 데이터를 분별하여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송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요청 신호를 송신한 마스터 장치로 상기 검출된 일정 진폭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정 진폭은 상기 마스터 장치 별로 미리 설정되는 스위칭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스위칭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수의 마스터 장치들로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스터 장치들로부터 각각의 진폭 검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에 따른 신호검출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을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스케쥴링하는 단계; 상기 스케쥴링된 시점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진폭 검출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진폭 검출정보에 대응하는 마스터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스위칭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수의 마스터 장치들로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의 공급전압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경우 동작전원의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감지신호에 따라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마스터 장치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마스터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소정의 진폭 별로 구분 검출하여 복수의 마스터 장치에 분배하고, 동작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기본 마스터 장치로 데이터가 중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 분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스위칭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동작전원 인가시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동작전원 차단시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스터(또는 호스트) 장치는 데이터(또는 데이터) 수신장치를, 슬레이브 장치는 데이터 송신장치를 지칭한다.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응답 데이터를 수신한다.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응답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분배 시스템(200)은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210), 스위칭 장치(230) 및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를 포함한다.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210)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스위칭 장치(230)로 송신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전기, 수도 또는 가스 등에 대한 전자식 계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210)는 전용선(예: RS-485 전용선), 전력선 등을 통해 스위칭 장치(230)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 각각은 스위칭 장치(230)에 특정 진폭을 갖는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전기, 수도 또는 가스 등에 대한 원격검침 장치, 최대 수요전력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는 전용선(예: RS-485 전용선), 전력선 등을 통해 스위칭 장치(230)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장치(230)는, 슬레이브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각각의 마스터 장치(250)로부터 전송요청된 특정 진폭의 데이터를 검출하여 각각의 마스터 장치(25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장치(230)는, 동작전원이 차단된 경우, 슬레이브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마스터 장치(25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배 시스템(200)은, (1)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가 'n:1'로 연결되고, (2) 특정 진폭을 갖는 데이터를 각각의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며, (3) 동작전원이 차단된 경우, 2차 전원(즉, 배터리) 없이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의 마스터 장치로 슬레이브 장치의 데이터를 송신한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차이가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칭 장치(230)는 제 1 통신부(310), 스위치부(330), 제 2 통신부(350), 제어부(370) 및 전원감시부(390)를 포함한다.
제 2 통신부(350), 전원감시부(390), 제어부(370) 및 스위치부(330)를 포함한다.
제 1 통신부(310)는 전용선 등을 통해 슬레이브 장치(21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포트를 포함하며, 슬레이브 장치(2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 때, 슬레이브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제 2 통신부(350)는 전용선 등을 통해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와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포트(351 내지 359)를 포함하며, 각각의 마스터 장치(250)로부터 진폭 검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통신부(350)는 각각의 마스터 장치(250)로부터 전송요청된 검출진폭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해당 마스터 장치(25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2 통신부(350)는 스위칭 장치(230)와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 사이의 시리얼 통신, 특히 RS-485 시리얼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시리얼 통신은 1개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방법으로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기존의 통신선로를 활용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비용이 절감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시리얼 통신은 크게 비동기식 방식과 동기식 방식으로 구분되며, 대표적인 예로 RS-232 및 RS-485 통신방법 등이 있다.
RS-232 통신방법은 데이터 전송라인(TDX), 데이터 수신라인(RDX), 접지라인(GND)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다. RS-232 통신방법은 종래 가장 널리 이용되어 왔으나, 데이터 송수신장치가 1:1로만 연결되고, 통신거리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RS-485 통신방법은 데이터 송수신장치가 N:N으로 연결될 수 있고, 데이터 통신을 위해 차동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노이즈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스템에서는 제어 기기와의 데이터를 전송을 위하여 RS-485 통신방법이 많이 이용된다.
전원감시부(390)는 스위칭 장치(230)에 입력되는 AC 전압(이하, 공급전압)이 소정의 기준값(예컨대, 220 볼트) 미만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로직 하이(디지털 1) 또는 로직 로우(디지털 0) 신호를 스위치부(330)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결과, 공급전압이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전원감시부(390)는 로직 하이(디지털 1) 신호를 스위치부(330)로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공급전압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전원감시부(390)는 로직 로우(디지털 0) 신호를 스위치부(33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감시부(390)에 의해 스위치부(330)로 출력된 로직 하이 또는 로직 로우 신호(이하, 전원감지신호)는 스위치부(33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데 이용된다.
제어부(370)는 스위칭 장치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각각의 마스터 장치(2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전송요청을 스케쥴링하는 전송요청 처리부(371) 및 슬레이브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특정 진폭을 갖는 데이터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부(37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요청 처리부(371)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전송요청을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처리(즉, 신호검출 동작)되도록 스케쥴링할 수 있다. 다만, 전송요청 처리부(371)는, 우선처리 요청된 데이터 전송요청에 대해서는 다른 요청보다 우선처리되도록 스케쥴링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마스터 장치(250)는 데이터 전송요청의 우선처리를 위해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에 우선처리 정보를 포함하여 스위칭 장치(230)에 송신할 수 있다.
전송요청 처리부(371)에 의한 스케쥴링 정보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장치(230)의 동작전원이 차단된 후 재인가되더라도, 동작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설정된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종전 데이터 전송요청에 따른 신호검출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전송요청 처리부(371)는 데이터 전송요청을 스케쥴링 하기 위해 큐(queue)와 같은 자료구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스케쥴링을 통해 다수의 데이터 전송요청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각각의 마스터 장치(250)는 데이터 전송요청의 빈도에 따라 Time-out 시간(즉, 슬레이브 장치(210)의 데이터 응답에 대한 대기시간)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검출부(373)는,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에 포함된 진폭 검출정보를 이용하여, 전송요청 처리부(371)에 의해 스케쥴링된 처리순서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해당 검출진폭을 갖는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검출부(373)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송요청 처리부(371) 및 데이터 검출부(373)를 포함하는 제어부(370)은 중앙처리장치(CPU)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치부(330)는 전원감시부(390)로부터 수신된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2-way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부(330)는 동작전원이 인가된 경우를 나타내는 로직 하이 신호에 따라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의 데이터 전송요청을 처리하도록(즉, 정상동작 모드)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스위치부(330)는 동작전원이 차단된 경우를 나타내는 로직 로우 신호에 따라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장치(이하, 기본 마스터 장치)로 데이터가 중계되도록(즉, 무전원 모드)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 1 마스터 장치가 기본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것을 도시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도 3에서, 제 1 마스터 장치와는 다른 마스터 장치, 예컨대 제 2 마스터 장치가 기본 마스터 장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스위치부(33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스위칭부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칭부(330)는 전원감시부(390)로부터 수신된 로직 하이 또는 로직 로우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며, 2-way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way 릴레이 스위치는 스위칭 장치(230)의 동작전원이 완전히 차단된 경우에도 스위치 접점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래치(latch)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위칭부(330)의 2-way 릴레이 스위치는 전원감시부(390)로부터 수신된 전원감지신호에 따라 교대로 절환되는 a접점 및 b접점을 구비하고, 이들 두 접점이 하나의 공통단자 c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a접점은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제 2 통신부(350)의 복수의 통신포트(351 내지 359)와 연결된다. 그리고, b접점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펄스선, 전용선 등을 통해 기본 마스터 장치(250)로 연결된다. 도 5에서는 제 1 마스터 장치가 기본 마스터 장치로 설정된 것을 도시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도 5에서, 제 1 마스터 장치와는 다른 마스터 장치, 예컨대 제 n 마스터 장치가 기본 마스터 장치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통신포트(351 내지 359)는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와 집중형 배선 또는 Star 구성 형태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신포트(351 내지 359)와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는 각각, RS-485 등의 시리얼 통신을 위한 전용선, 전력선, 전화선 등의 유선 또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장치(230)에 동작전원이 인가된 경우(정상동작 모드), 전원감시부(390)로부터 수신된 로직 하이 신호에 따른 스위칭부(33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공통단자 c는 a접점과 연결된다.
반대로, 스위칭 장치(230)에 동작전원이 차단된 경우(무전원 모드), 전원감시부(390)로부터 수신된 로직 로우 신호에 따른 스위칭부(330)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공통단자 c는 b접점과 연결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동작전원 인가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 전원감시부(390)는 스위칭 장치(230)에 입력되는 공급전압이 소정의 기준값(예컨대, 220 볼트) 이상인 경우, 스위치부(330)에 로직 하이(디지털 1)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스위치부(330)는 전원감시부(390)로부터 수신된 로직 하이 신호에 따라 복수의 마스터 장치와 복수의 통신포트를 통해 연결되도록(즉, 정상동작 모드)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제 2 통신부(350)는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 각각으로부터 진폭 검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전송요청 처리부(371)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전송요청이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처리되도록 스케쥴링할 수 있다. 다만, 전송요청 처리부(371)는, 우선처리 요청된 데이터 전송요청에 대해서는 다른 요청보다 우선처리되도록 스케쥴링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마스터 장치(250)는 데이터 전송요청의 우선처리를 위해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에 우선처리 정보를 포함하여 스위칭 장치(230)에 송신할 수 있다.
단계 S550에서, 데이터 검출부(373)는,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에 포함된 진폭 검출정보를 이용하여, 전송요청 처리부(371)에 의해 스케쥴링된 처리순서에 따라, 슬레이브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서 특정 진폭을 갖는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560에서, 제 2 통신부(350)는 단계 S550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진폭 검출정보에 대응하는 마스터 장치(25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동작전원 차단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전원감시부(390)는 스위칭 장치(230)에 입력되는 공급전압이 소정의 기준값(예컨대, 220 볼트) 미만인 경우, 스위치부(330)에 로직 로우(디지털 0)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스위치부(330)는 전원감시부(390)로부터 수신된 로직 로우 신호에 따라 기본 마스터 장치와 펄스선, 전용선 등을 통해 연결되도록(즉, 무전원 모드)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마스터 장치는 복수의 마스터 장치(250)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스위칭 장치(230)는 무전원 상태에서 슬레이브 장치(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본 마스터 장치로 중계할 수 있다.
이상 도 5 및 도 6에서는, 복수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수행하거나 상기 복수의 과정 중 일부를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5 및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복수의 전자식 계량기 130 : 스위칭 장치
150 : 원격검침 서버
210 : 슬레이브 장치 230: 스위칭 장치
250 : 복수의 마스터 장치
310 : 제 1 통신부 330 : 스위치부
350 : 제 2 통신부 351,352,353,359 : 통신포트
370 : 제어부 371 : 전송요청 처리부
373 : 데이터 검출부 390 : 전원감시부

Claims (15)

  1.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슬레이브 장치와 연결되어 소스데이터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장치로부터 수신된 일정 진폭의 데이터에 대한 전송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스케쥴링된 시점에, 상기 소스데이터로부터 상기 일정 진폭의 데이터를 분별하여 검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송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요청 신호를 송신한 마스터 장치로 상기 검출된 일정 진폭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 2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일정 진폭은 상기 마스터 장치 별로 미리 설정되는
    스위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우선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요청 신호에 대해서는 다른 전송요청 신호보다 우선하여 검출 동작을 수행하도록 스케쥴링하는
    스위칭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의 공급전압을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동작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감시부; 및
    상기 전원감지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제 2 통신부의 활성화 여부를 설정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전원감지신호가 동작전원의 온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2 통신부가 활성화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전원감지신호가 동작전원의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 2 통신부가 비활성화되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는
    상기 제 2 통신부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 1 통신부와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마스터 장치로 상기 소스데이터를 송신하는
    스위칭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래치(latch) 타입의 2-way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칭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스터 장치와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되는
    스위칭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 데이터 통신은
    RS-485 시리얼 통신인
    스위칭 장치.
  8. 스위칭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수의 마스터 장치들로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스터 장치들로부터 각각의 진폭 검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에 따른 신호검출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을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스케쥴링하는 단계;
    상기 스케쥴링된 시점에 상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진폭 검출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데이터를 상기 진폭 검출정보에 대응하는 마스터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에 우선처리 정보가 포함된 경우 다른 데이터 전송요청 신호보다 우선하여 신호검출 동작을 수행하도록 스케쥴링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복수의 마스터 장치들과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 데이터 통신은
    RS-485 시리얼 통신인
    데이터 송신 방법.
  12. 스위칭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복수의 마스터 장치들로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의 공급전압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인 경우 동작전원의 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감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감지신호에 따라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마스터 장치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마스터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래치(latch) 타입의 2-way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복수의 마스터 장치들과 RS-485 시리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연결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15. 삭제
KR1020170184204A 2017-12-29 2017-12-29 시리얼 통신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96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04A KR101962334B1 (ko) 2017-12-29 2017-12-29 시리얼 통신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04A KR101962334B1 (ko) 2017-12-29 2017-12-29 시리얼 통신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334B1 true KR101962334B1 (ko) 2019-12-02

Family

ID=6884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204A KR101962334B1 (ko) 2017-12-29 2017-12-29 시리얼 통신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3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648A (ko) * 1996-01-17 1997-08-12 김광호 스위치 입력 확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112683A (ko) * 2004-05-27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0648A (ko) * 1996-01-17 1997-08-12 김광호 스위치 입력 확인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50112683A (ko) * 2004-05-27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7963A1 (en) Techniques for Integrating Wireless Functionality in a Power Outlet
US10277727B2 (en) Distributed network of a structure that provides location-based human interaction and intelligence
US20140277763A1 (en) System for Controlling Building Services Based on Occupant
US201901164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network and device discovery
US20150263663A1 (en) Light-Harvesting Power Supply With Power Management and Load Identification Capability
CN102598469A (zh) 控制装置、控制系统以及控制方法
EP3272104B1 (en) A distributed network of a structure that provides location-based human interaction and intelligence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EP3493352A1 (en) Power management device, power management method, and power management system
US80097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owering a device using a data communications signal line
JP6098025B2 (ja) 通信端局、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962334B1 (ko) 시리얼 통신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923868B2 (en) Low voltage power distribution system
US11385609B2 (en) Smart electricity monitor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ame
KR101708762B1 (ko) 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KR102085202B1 (ko) 3상 전력선 통신 장치 및 3상 전력선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
JP2018093573A (ja) 蓄電池制御装置、蓄電池制御システム、蓄電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SK66599A3 (en) Data transmission method
JP2017084180A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JP2019062358A (ja) 中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遠隔監視システム
US10361562B2 (en) Power control system,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JPWO2014156156A1 (ja) 電力量計、電力量計量システム
JP6065317B2 (ja) 通信システム、親機、サーバ
JP6558695B2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WO2019046857A1 (en) LOW VOLTAGE POWER DISTRIBU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