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258B1 - Cognitive testing device based on electroencephalogram and method for cognitive testing same - Google Patents

Cognitive testing device based on electroencephalogram and method for cognitive test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258B1
KR101962258B1 KR1020180053509A KR20180053509A KR101962258B1 KR 101962258 B1 KR101962258 B1 KR 101962258B1 KR 1020180053509 A KR1020180053509 A KR 1020180053509A KR 20180053509 A KR20180053509 A KR 20180053509A KR 101962258 B1 KR101962258 B1 KR 101962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st
unit
cognitive
featu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기춘
박장호
김용우
김제홍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2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61B5/04012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which can objectively and accurately measure a cognitive ability based on a brainwave type and response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gnitive ability testing device comprises: a measurement unit measuring cognitive ability information including a brainwave type and response time through a cognitive ability test based on a brainwave; a classification unit classifying the cognitive ability information into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a recruitment group type; a featur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brainwave type and the response time as a comparison target, and extracting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 index list generation unit generating an index list in which the cognitive ability information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order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Description

뇌파 기반의 인지력 검사장치 및 그 방법{COGNITIVE TESTING DEVICE BASED ON ELECTROENCEPHALOGRAM AND METHOD FOR COGNITIVE TESTING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rain waves based on electroencephalogram (ECG)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인지력 검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ceptual testing.

최근, 한국 사회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알츠하이머를 비롯한 두뇌 관련 질환이 큰 사회적 이슈의 하나로서 대두하고 있다. 또한,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퇴화하나, 치매, 뇌졸증, 뇌부위 외상, 만성피로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두뇌 관련 질환이 급속도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두뇌 관련 질환은 빠른 진단을 통해 조기에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두뇌 관련 질환을 진단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In recent years, as Korean society has entered an aging society, brain-related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have emerged as one of the major social issues. In addition, as the aging progresses, it naturally degrades. However, brain-related diseases are rapidly occurring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dementia, stroke, brain trauma, and chronic fatigue. Diagnosis of brain-related diseases is an important task because these brain-related diseases can be treated early through rapid diagnosis.

그러나, 기존의 두뇌 관련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들은, 대부분 검사시험지 또는 전산화된 형식의 문제풀이에 의한 방법들이어서, 특히, 간단한 설문지와 소도구들을 사용하여 외현적으로 나타나는 인지력을 측정하는 데 그치고 있다. 또한, 검사시간이 길고, 의도적으로 오답을 적거나 답을 몰라도 찍을 수가 있어 주관적인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으며, 피검자에게 문제가 노출되면 검사결과가 의미없게 되어, 이후 반복검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고, 검사자의 주관이 인지력 평가에서 배제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most of the methods for diagnosing existing brain related diseases are mostly based on the questionnaire or the computerized problem solving method. In particular, they use simple questionnaires and props to measure the perceptual cogni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pection time is long and intentionally wrong answers can be taken or images can be taken without knowing the answers, which can cause a lot of subjective influences. If the problem is exposed to the subjec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jectivity of the examinee is difficult to be excluded from the cognitive evaluation.

이에 따라, 객관적인 인지력을 측정하여 두뇌변화 양상을 인식하며, 두뇌 관련 질환에 대해 조기확진을 돕거나 발병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recognizing the brain change pattern by measuring objective cognitive ability, for helping early diagnosis of brain-related diseases, or for predicting the onset.

본 출원의 목적은, 뇌파형과 반응시간에 기초하여, 인지력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인지력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gnition testing apparatus capable of objectively and accurately measuring cognitive ability based on brain wave type and reaction time.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지력 검사장치는,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를 통해 뇌파형과 반응시간을 포함한 인지력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인지력정보를 모집군유형에 따라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뇌파형과 상기 반응시간을 비교대상으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분류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를 통해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특징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순서대로 상기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지표리스트를 생성하는 지표리스트 생성부를 포함한다.A cognitiv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an EEG type and a reaction time through cognitive test based on brain waves, A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that compares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EEG type and the reaction time as comparison objects and extracts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 index list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index list in which the perceptual power information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order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인지력검사를 통해 측정된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해당하는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진단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The diagnostic out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agnostic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corresponding to the perceived information of the subject measured through the perception test by referring to the index list.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진단결과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인지력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분류정보 중 어느 하나에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updating unit updating the cognitive information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of the subject, wit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는, 상기 뇌파형에 따라 기설정된 행동과제에 대하여 기정의된 인지력에 대한 리스트로서, 상기 제1 및 제2 특징정보에 따라 순서대로 정렬된 상기 인지력정보와 상기 인지력정보의 순서에 따라 정량화된 진단결과를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the index list may be a list of predefined perceptions about behavior task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brain wave pattern, the perceptual information being arranged in order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And includes diagnostic results quantified in the order of the information.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특징정보 추출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부터 상기 모집군유형에 따라 기준이 되는 제1 및 제2 임계시간과 제1 및 제2 임계파형을 추출한다. In an embodiment,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s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s and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which are bases according to the population type, from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징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임계시간의 전체구간에서 동일한 시간구간으로 분할되는 단위시간구간이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a unit time period divided into equal time intervals in the whole interval of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s.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특징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임계파형으로부터 추출된 진폭, 피크, 에지, 패턴, 딥, 골, 및 플랫 중 차이가 가장 큰 어느 하나의 전체크기에서 동일한 크기구간으로 분할되는 단위크기구간이다. In an embodiment,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mplitude, peak, edge, pattern, dip, score, and flat extra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It is a unit size section divided into sections.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반응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정렬된 제1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분할된 복수의 제2 리스트들을 생성한다. In an embodiment,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generates a first list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shorter reaction time,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divided second lists based on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리스트들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인지력정보를 재정렬한 이후에 제2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리스트에 정량화된 진단결과를 적용한다.In the embodiment,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 second list after rearranging the perceptual informa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lists based on the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pply quantified diagnostic results.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인지력정보를 저장DB에 저장하여 저장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저장리스트는 측정순서에 따라 상기 인지력정보가 저장된 리스트이다. In an embodiment, the classifying unit stores the perceptual power information in a storage DB to generate a storage list, and the storage list is a list storing the perceptual power information according to a measurement order.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제1 리스트를 정상군, 중복군 및 환자군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구간들로 분할하고, 상기 인지력정보가 중복군에 해당하는 제2 구간으로 분류될 때, 상기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구간을 재정렬한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may divide the first list into preset sections corresponding to the normal group, the redundant group, and the patient group, and when the perceptual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the second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group , And reorders the second section based on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 생성부는 정량지수 산출식을 통해 상기 지표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인지려정보에 대한 정량화된 진단결과(E)를 산출하여 적용하고, 상기 정량지수 산출식은,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ex list generator calculates and applies a quantified diagnosis result (E) to any one of the stored information items included in the index list through a quantitative index calculating formula,

Figure 112018045852737-pat00001
(1) 이고,
Figure 112018045852737-pat00001
(1)

여기서, α는 상기 모집군 유형에 따른 가중지수, A는 상기 제1 임계시간과의 유사지수, B는 상기 제2 임계시간과의 유사지수, C는 상기 제1 임계파형과의 유사지수 및 D는 상기 제2 임계파형과의 유사지수이다. Where A is a weighting index according to the population type, A is a similarity index with the first threshold time, B is a similarity index with the second threshold time, C is a similarity index with the first threshold waveform, and D Is a similarity index to the second threshold waveform.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인지력 검사장치의 인지력 검사방법으로서,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를 통해 뇌파형과 반응시간을 포함한 인지력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인지력정보를 모집군유형에 따라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분류정보를 상기 뇌파형과 상기 반응시간을 비교대상으로 하여 비교하고, 상기 비교를 통해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순서대로 상기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지표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표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인지력검사를 통해 측정되는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해당하는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ognizing cognitive ability of a cognitive test apparatus, comprising the steps of: measuring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an EEG type and a reaction time through cognitive test based on brain waves; 2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mparing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EEG type and the reaction time as comparison objects, extracting first and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rough the comparison, 1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 index list in which the perceptual power information is arranged in an order determined, and referring to the index list,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corresponding to the perceived information of the subject measured through the perceptual power test .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상기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제1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스트를 복수의 서브리스트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리스트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상기 인지력정보를 재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embodiment, the step of generating the index list may include generating a first list in which the perceptual information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shortest reaction time, generating the first list based on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And rearranging the perceptual information inclu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blists based on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를 병합하여 제2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리스트에 정량화된 인지력 값을 적용하여 지표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generating the index list includes generating a second list by merging any of the one and the second list, and applying a quantified cognitive power value to the second list to generate an index list.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부터 상기 모집군유형에 따라 기준이 되는 제1 및 제2 임계시간과 제1 및 제2 임계파형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extracting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include extracting first and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 And extracting a waveform. .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임계시간의 전체구간에서 동일한 시간구간으로 분할되는 단위시간구간을 상기 제1 특징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extracting of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may include setting a unit time period that is divided into equal time intervals in the entire interval of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s as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임계파형으로부터 추출된 진폭, 피크, 에지, 패턴, 딥, 골, 및 플랫 중 차이가 가장 큰 어느 하나의 전체크기에서 동일한 크기구간으로 분할되는 단위크기구간을 상기 제2 특징정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ng of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include extracting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among the amplitude, peak, edge, pattern, dip, And setting a unit size section that is divided into one to the same size section as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를 정상군, 중복군 및 환자군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구간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지력정보가 중복군에 해당하는 제2 구간으로 분류될 때, 상기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구간에 포함된 상기 인지력정보를 재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Dividing the first list into predetermined sections corresponding to the normal group, the redundant group, and the patient group; and, when the perceptual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the second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group, And rearranging the perceptu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se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대한 진단결과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인지력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분류정보 중 어느 하나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updating cognitiv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to one of the first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agnosis result of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subject.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상기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대한 진단결과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진단결과의 정확성 여부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피드백정보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분류정보 중 상기 진단결과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dating comprises: transmitting a diagnostic result of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subject to the terminal,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on the accuracy of the diagnostic result from th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subject is updated, and storing the cognitive information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agnosis result when the update is determined.

본 출원의 실시 예에 따른 뇌파 기반의 인지력 검사장치 및 그 방법은, 신경학적인 뇌파형과 반응시간에 기반하여 인지력을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지력이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진단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in-wave based cognitiv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can quantitatively diagnose cognitive ability based on neurological brain wave type and reaction time. Therefore, cognitive ability can be diagnosed more accurately and objectively.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력 검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지력 검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3은 지표리스트의 생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4는 도 1의 인지력 검사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특징정보 추출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지표리스트 생성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지표리스트 생성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지력 검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력 검사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인지력 검사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과 도 12는 도 5의 인지력 검사장치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gnitive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2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erceptual-force test apparatus of Fig. 1. Fig.
FIG. 3 is an example for illustrat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index list.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erceptual power test apparatus of FIG. 1.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of FIG.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of FIG. 1;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of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cognitive te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cognitive test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erceptual-force test apparatus of Fig.
FIGS. 11 and 12 are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the perceptual force testing apparatus of FIG. 5 is applied.

이하, 본 출원에 관련된 뇌파 기반의 인지력 검사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brain wave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 module " and " part "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의 도면들은 본 출원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면도에 표시된 기능들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rawings herein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of the conceptual aspects of an exemplary circuit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unctions shown in the figures may be substantially represent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and performed by various processes performed by the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the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shown.

그리고, 각각의 기능은 전용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And, each function can be provided not only with dedicated hardware, but also with the use of hardware capable of executing software in connection with appropriate software. When provided by a processor, the functions may be provided by a single dedicated processor, a single shared processor, or a plurality of individual processors, some of which may be shared.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출원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지력 검사장치(100)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지력 검사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gnitive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2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gnitive test apparatus 100 of FIG.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인지력 검사장치(100)는 측정부(110), 분류부(120), 특징정보 추출부(130) 및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perceptual strength tes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measuring unit 110, a classifying unit 120, a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and an index list generating unit 140.

먼저, 측정부(110)는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를 통해 인지력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지력정보는, 뇌파형과 반응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10)는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를 통해 뇌파형을 측정하고, 기설정된 행동과제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행동과제는 뇌파형에 따라 기설정된 시각, 청각 및 운동능력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과제일 수 있다. First, the measuring unit 110 can measure the cognitive power information through the brain-wave-based cognitive test. Here, the percep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EEG type and a reaction time. More specifically, the measuring unit 110 can measure the EEG type through the brain-wave based cognitive test and measure the response time to the predetermined behavior task. Here, the behavioral task may be a task of measuring the response time to any one of the predetermined visual, auditory, and motor ability according to the EEG type.

즉, 측정부(110)는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를 통해 측정되는 뇌파형과, 해당 뇌파형에 따라 기설정된 행동과제에 대한 반응시간을 포함하는 인지력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는 두뇌질환과 관련된 환자군과 정상군인 모집군의 유형에 따라 실시한 뇌파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 청각 및 운동능력 중 어느 하나의 행동과제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방법일 수 있다. That is, the measuring unit 110 can measure cognitive information including an EEG type measured through an EEG-based cognitive test and a response time to a predetermined action task according to the EEG type. Here, the brain-based cognitive test is based on the results of EEG measurement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brain disease-related patient group and normal army recruitment group, and the test for measuring the response time to any one of visual, auditory, Lt; / RTI >

다음으로, 분류부(120)는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인지력정보를 하기에서 설명될 저장DB(200)에 저장하고, 모집군유형에 따라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즉, 분류부(120)는 인지력정보를 정상군의 유형에 따라 분류된 제1 분류정보와 환자군의 유형에 따라 분류된 제2 분류정보를 저장DB(20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Next, the classifying unit 120 stores the cognitiv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110 in the storage DB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lassifies the cognitive information into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opulation . That is, the classifying unit 120 can store and manage the first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normal group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atient group in the storage DB 200. [

다음으로,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인지력정보에 포함된 뇌파형과 반응시간을 비교대상으로 하여, 분류부(120)에서 분류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를 서로 비교하고, 이를 통해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분류부(120)에서 분류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부터 모집군유형에 따라 기준이 되는 제1 및 제2 임계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Next,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compares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classifying unit 120 with each other as the comparison target of the EEG type included in the perceptive power information and the reaction time, 1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may extract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s as reference based on the induction type from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classifying unit 120.

여기서, 제1 임계시간은 어느 하나의 행동과제에 대해 정상군에서 반응시간이 가장 짧은 시간을 의미하고, 제2 임계시간은 어느 하나의 행동과제에 대해 환자군에서의 반응시간이 가장 긴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threshold time means a time period in which the reaction time is the shortest in the normal group for any one behavior task, and the second threshold time means the longest reaction time in the patient group for any one behavior task can do.

또한,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분류부(120)에서 분류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부터 모집군유형에 따라 기준이 되는 제1 및 제2 임계파형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임계파형은 정상군과 환자군의 뇌파형 중에서, 진폭, 피크, 에지, 패턴, 딥, 골, 및 플랫 중 어느 하나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내는 파형정보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may extract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based on the induction group type from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classifying unit 120. Here,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may be waveform information indicating the greatest difference in amplitude, peak, edge, pattern, dip, bone, and flat among the EEG waveforms of the normal group and the patient group.

보다 구체적으로,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주파수 분석(FFT, Wavelet) 및 복잡도 분석(Multi-scale Entropy, Corelation Dimens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분류부(120)에서 분류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부터 뇌파형에 대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주파수 대역별로 뇌파형을 분리하여 모집군유형에 따라 기준이 되는 제1 및 제2 임계파형을 추출할 수 있다. 즉,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부터 노이즈가 제거된 뇌파형을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하고,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된 뇌파형들로부터 모집군유형에 따라 기준이 되는 제1 및 제2 임계파형을 추출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extracts fea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mages classified by the classifying unit 120 using any one of frequency analysis (FFT, wavelet) and multi-scale entropy (Corelation Dimension) 2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which are the re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duction group, can be extracted by separating the EEG type by frequency band. In other words,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separates the noise-canceled EEG waveforms from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to frequency bands and separates the first and second EEG waveforms from the EEG waveforms separated according to frequency bands, The second threshold waveform can be extracted.

이때,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제1 및 제2 임계시간의 전체구간을 복수개의 동일한 시간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어느 하나의 시간구간의 크기를 제1 특징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특징정보는 제1 및 제2 임계시간의 전체구간에서 동일한 시간구간으로 분할되는 단위시간구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임계시간이 1초, 제2 임계시산이 10초일 때,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1초~10초의 전체구간을 2초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된 2초의 단위시간구간을 제1 특징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may divide the whole interval of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 into a plurality of identical time intervals, and set the size of one divided time interval as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Here,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may be a unit time period divided into the same time period in the whole interval of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 periods. For example, when the first threshold time is 1 second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is 10 seconds,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divides the whole interval of 1 second to 10 seconds into units of 2 seconds, Section can be set as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또한,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제1 및 제2 임계파형으로부터 뇌파형이 식별되는 파형정보인 진폭, 피크, 에지, 패턴, 딥, 골, 및 플랫 중 차이가 가장 큰 어느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어느 하나를 복수개의 동일한 크기구간들로 분할하며, 분할된 어느 하나의 크기구간을 제2 특징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특징정보는 제1 및 제2 임계파형으로부터 추출된 진폭, 피크, 에지, 패턴, 딥, 골, 및 플랫 중 차이가 가장 큰 어느 하나의 전체크기에서 동일한 크기구간으로 분할되는 단위크기구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extracts any one of amplitude, peak, edge, pattern, dip, bone, and flat, which is the waveform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EEG type from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 The extracted on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dentical size sections, and one of the divided size sections may be set as the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Here, the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y be a unit size in which the difference among the amplitude, peak, edge, pattern, dip, valley, and flat extra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is divided into the largest- Lt; / RTI >

예를 들면, 파형정보인 진폭, 피크, 에지, 패턴, 딥, 골, 및 플랫 중 제1 및 제2 임계파형의 차이가 가장 큰 어느 하나가 진폭이고, 해당 진폭의 크기차이가 100일 때,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100의 전체크기에서 1~5, 6~10, 11~15, ... 와 같은 동일한 크기구간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5 크기의 단위크기구간을 제2 특징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among amplitude, peak, edge, pattern, dip, bone, and flat, which is waveform information, is the largest and the magnitude difference of the amplitude is 100,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may divide the entire size of 100 into the same size sections such as 1 to 5, 6 to 10, 11 to 15, Information can be set.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뇌파형과 반응시간을 비교대상으로 하여, 분류부(120)에서 분류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부터 제1 및 제2 임계시간과 제1 및 제2 임계파형을 추출하고, 제1 및 제2 임계시간에 기초하여 제1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제1 및 제2 임계파형에 기초하여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함으로써, 하기에서 설명될 지표리스트 생성부(140)가 인지력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요인을 제공할 수 있다.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extracts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 from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classifying unit 120, By extracting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extracting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s, and extracting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The index list generating unit 140 may provide a factor that allows the index list generating unit 140 to generate an objective index list of perceptions.

다음으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순서대로 상기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지표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Next,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can generate the index list in which the perceptual power information is arrang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여기서, 지표리스트는 지각력, 기억력, 주의력, 추론력, 판단력 및 집중력 중 어느 하나 항목에 대한 참조리스트로서, 제1 및 제2 특징정보에 따라 순서대로 정렬된 인지력정보와 상기 인지력정보의 순서에 따라 정량화된 진단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dex list is a list of references to any one item of the perception strength, the memory power, the attention power, the reasoning power, the judgment power, and the concentration power. The index list is a list of the perceived power that is arranged in order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And may include quantified diagnostic results.

보다 구체적으로, 지표리스트는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뇌파형과, 해당 뇌파형에 따라 기설정된 시각, 청각, 운동능력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행동과제에 따라, 기정의된 지각력, 기억력, 주의력, 추론력, 판단력 및 집중력 중 어느 하나 항목에 대한 참조리스트로서, 예를 들면, 지표리스트는,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뇌파형과, 상기 뇌파형에 따라 기설정된 시각 행동과제에 따라, 기정의된 지각력에 대한 참조리스트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ist of indicators includes an EEG measured through the measurement unit 110 and a predetermined perceived power, memory capacity, and perceived power according to an action task including any one of visual, auditory, and athletic performance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EEG type, For example, the index list is a list of reference items for an item of attention, reasoning power, judgment power, and concentration, Thus, it may be a reference list for the perceived perception.

또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다음의 표 1 내지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집군에 따른 가중지수, 제1 및 제2 임계시간과의 유사지수, 제1 및 제2 임계파형과의 유사지수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s 1 to 5,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index indexes based on weighting indices according to population groups, similarity indexes with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s, similarity with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The exponent can be stored in advance.

여기서, 다음의 표 1은 모집군 유형에 따른 가중지수에 대한 일 예이고, 표 2는 제1 임계시간과의 유사지수에 대한 일 예이며, 표 3은 제2 임계시간과의 유사지수에 대한 일 예이고, 표 4는 제1 임계파형과의 유사지수에 대한 일 예이며, 표 5는 제2 임계파형과의 유사지수에 대한 일 예이다. Table 2 below shows an example of a similarity index with respect to the first threshold time, and Table 3 shows an example of a similarity index with the second threshold time. Table 4 is an example of the similarity index with the first threshold waveform, and Table 5 is an example of the similarity index with the second threshold waveform.

모집군 유형Enclosure type 가중지수
(1~2)
Weighting Index
(1 to 2)
정상군Normal group 22 환자군Patient group 1One

인지력정보의 반응시간Reaction time of cognitive information 제1 임계시간(1초)과의 유사지수(A)
10~50
The similarity index (A) with the first threshold time (1 second)
10 to 50
0초 ~ 2초 미만0 seconds to less than 2 seconds 5050 2초 이상 ~ 4초 미만Less than 2 seconds to less than 4 seconds 4040 4초 이상 ~ 6초 미만 Less than 4 seconds to less than 6 seconds 3030 .
.
.
.
.
.
.
.
.
.
.
.

인지력정보의 반응시간Reaction time of cognitive information 제2 임계시간(10초)과의 유사지수(B)
1~10
The similarity index (B) with the second threshold time (10 seconds)
1 to 10
0초 ~ 1초 미만Less than 0 second to less than 1 second 1One 1초 이상 ~ 2초 미만Less than 1 second to less than 2 seconds 22 2초 이상 ~ 3초 미만 Less than 2 seconds to less than 3 seconds 33 3초 이상 ~ 4초 미만Less than 3 seconds to less than 4 seconds 44 .
.
.
.
.
.
.
.
.
.
.
.

인지력정보의 진폭크기Amplitude magnitude of cognitive information 제1 임계파형(진폭 5)의 유사지수(C)
(10~50)
The similarity index (C) of the first threshold waveform (amplitude 5)
(10 to 50)
1 이하1 or less 1010 1 이상 ~ 2 미만1 to less than 2 2020 2 이상 ~ 3 미만 2 to less than 3 3030 .
.
.
.
.
.
.
.
.
.
.
.

인지력정보의 진폭크기Amplitude magnitude of cognitive information 제2 임폐파형(진폭 1)의 유사지수(D)
1~10
The similarity index (D) of the second occlusion waveform (amplitude 1)
1 to 10
0 ~ 0.5 미만Less than 0 ~ 0.5 1One 0.5 이상 ~ 1 미만0.5 to less than 1 22 1 이상 ~ 1.5 미만1 to less than 1.5 33 1.5 이상 ~ 2 미만1.5 to less than 2 44 2 이상 ~ 2.5 미만2 to less than 2.5 55 .
.
.
.
.
.
.
.
.
.
.
.

실시예에 따른,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정량지수 산출식을 통해 지표리스트의 해당 인지력정보에 대한 정량화된 진단결과(E)를 산출하여 지표리스트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정량지수 산출식은,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calculate the quantified diagnosis result E for the perceptual power information of the index list through the quantitative index calculation formula and apply it to the index list. In this case,

Figure 112018045852737-pat00002
(1)이고,
Figure 112018045852737-pat00002
(1)

이때, α는 모집군 유형에 따른 가중지수, A는 제1 임계시간과의 유사지수, B는 제2 임계시간과의 유사지수, C는 제1 임계파형과의 유사지수 및 D는 제2 임계파형과의 유사지수일 수 있다. A is a similarity index to the first threshold time, B is a similarity index to the second threshold time, C is a similarity index to the first threshold waveform, and D is a second threshold waveform Lt; / RTI >

예를 들면, 지표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인지력정보가 정상군이고, 반응시간이 3.1초이며, 뇌파형의 진폭이 2.3일 때,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미리 저장된 표 1 내지 표 5로부터 모집군에 따른 가중지수(α)인 2, 제1 임계시간과의 유사지수(A)인 40, 제2 임계시간과의 유사지수(B)인 30, 제1 임계파형과의 유사지수(C)인 4, 제2 임계파형과의 유사지수(D)인 5를 추출하고, 정량지수 산출식을 통해 지표리스트의 해당 인지력정보에 대한 정량화된 진단결과(E)인 65.5를 산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인지력정보에 대한 진단결과(E)인 65.5를 지표리스트에 적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one of the perceptu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dex list is a normal group, the reaction time is 3.1 seconds, and the amplitude of the EEG waveform is 2.3,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a list (40) which is a similarity index (A) with the first threshold time, 30 which is a similarity index (B) with the second threshold time, a similarity index with the first threshold waveform (C ) And a similarity index (D) of 5 with the second critical waveform are extracted and a quantitative diagnosis result (E) 65.5 corresponding to the perceptual information of the index list is calculated through the quantitative index calculating formula, The diagnostic result (E) 65.5 for one cognitive information can be applied to the indicator list.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지표리스트 생성부(140)가 생성하는 제1 및 제2 리스트와 지표리스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the first and second lists generated by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and the index lis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지표리스트의 생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FIG. 3 is an example for illustrat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index lis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반응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인지력정보를 정렬하여 제1 리스트(141)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저장DB(200)에 측정순서에 따라 제1 및 제2 임계시간을 기준으로 저장된 저장리스트(121)에서, 반응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인지력정보를 정렬하여, 제1 리스트(141)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리스트(121)는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인지력정보가 저장DB(200)에 측정순서대로 저장된 리스트이고, 제1 리스트(141)는 반응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인지력정보가 지표리스트 생성부(140)에 의해 정렬된 리스트일 수 있다. 1 to 3,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may generate the first list 141 by arranging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n the order of short reaction time. More specifically,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the index list in the storage DB 200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s in the storage list 121, , So that the first list 141 can be generated. Here, the storage list 121 is a list in which the cognitiv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110 is stored in the storage DB 200 in the order of measurement, and the first list 141 stores the cognitive information, And may be a list sorted by the list generating unit 140.

또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특징정보 추출부(130)에서 추출된 제1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제1 리스트(141)를 단위시간구간들로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 리스트들(143_1~143_N)을 생성하고, 특징정보 추출부(130)에서 추출된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리스트들(143_1~143_N)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재정렬할 수 있다.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divides the first list 141 into unit time intervals based on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and generates a plurality of sub lists 143_1- 143_N and re-arrang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b-lists 143_1 to 143_N based on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

이때,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재정렬된 복수의 서브 리스트들(143_1~143_N)을 병합하여 지표리스트(145)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서브리스트들(143_1~143_N)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스트(141)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인지력정보를 포함한 리스트들이고, 제2 리스트(145)는 복수의 서브 리스트들(143_1~143_N)이 병합된 리스트이며, 지표리스트(147)는 제2 리스트(145)에 포함된 인지력정보에 따라 정량화된 진단결과를 포함하는 리스트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can generate the index list 145 by merging the plurality of sub-lists 143_1 to 143_N rearranged. 3, the plurality of sub-lists 143_1 to 143_N are lists including at least two pieces of cognitive information from the first list 141, and the second list 145 includes a plurality of sub- And the index list 147 may be a list including diagnosis results quantifi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list 145. [

실시예에 따라,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제1 리스트(141)를 정상군, 중복군 및 환자군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구간들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인지력정보가 중복군에 해당하는 제2 구간으로 분류될 때,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구간에 포함된 인지력정보를 재정렬하여 지표리스트(147)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may divide the first list 141 into preset sections corresponding to the normal group, the redundant group, and the patient group. At this time, when the perceptual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the second period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group, the surface list generating unit 140 rearranges the perceptu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period based on the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Lt; / RTI >

즉,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인지력정보가 측정순서에 따라 저장된 저장리스트(121)를 반응시간에 따라 정렬한 이후에, 제1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제1 리스트(141)를 분할할 수 있다. 이어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리스트들(143_1~143_N)을 재정렬함으로써, 제2 리스트(145)와 지표리스트(147)를 생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can divide the first list 141 based on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after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s sorted according to the reaction time, have. Subsequently,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can generate the second list 145 and the index list 147 by rearranging the plurality of sub-lists 143_1 to 143_N based on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또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특징정보 추출부(130)에서 추출된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순서대로, 상기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이후에 재정렬된 지표리스트(147)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모집군의 뇌파형과, 해당 뇌파형에 따라 기설정된 시각, 청각, 운동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된 행동과제에 대하여, 기정의된 지각력, 기억력, 주의력, 추론력, 판단력 및 집중력 중 어느 하나의 인지력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제공할 수 있다.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the index list 147 that is rearranged after the recognition information is sort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Can be generated. Accordingly,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the index list generating unit 140 for generating a list of the perceived perception, the memory, the attention, the performance, and the like for the behavioral tasks performed to confirm the EEG type of the population and the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cale for evaluating one of the perceived power, the judgment power, and the concentration power.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 예에 있어서, 인지력 검사장치(100)는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를 통해 뇌파형을 측정하고, 측정된 뇌파형에 따라 기설정된 시각, 청각, 운동능력과 같은 행동과제에 대한 인지력정보를 측정하고, 인지력정보에 포함된 뇌파형과 반응시간을 비교대상으로 하여, 모집군 유형에 따라 인지력정보로부터 분류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에서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기초로 정해진 순서대로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지표리스트를 생성함으로써, 인지능력에 대해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평가척도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erceptual-strength testing apparatus 100 measures the brain wave type through the brain-wave-based cognitive test and measures the brain wave type according to the measured brain wave type to the behavior task such as vision,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are extra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ed from the perceptu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duction group, , And generates a list of indexes in which the cognitive information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order based on the index list, thereby providing a more accurate and objective evaluation scale for the cognitive ability.

도 4는 도 1의 인지력 검사장치(100)의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erceptual-strength checking apparatus 100 of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측정부(110)는 S110 단계에서,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를 통해 뇌파형과 반응시간을 포함한 인지력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measuring unit 110 may measure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brain wave type and the reaction time through the cognitive test based on the EEG in step S110.

다음으로, 분류부(120)는 S120 단계에서,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인지력정보를 모집군유형에 따라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Next, in step S120, the classifying unit 120 classifies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110 into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duction group.

이때,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S130 단계에서, 분류부(120)에서 분류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를 뇌파형과 반응시간을 비교대상으로 하여 비교하고, 비교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부터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step S130,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compares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classifying unit 120 with the EEG type and the reaction time as comparison targets, and compares the first and second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이후,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S140 단계에서, 특징정보 추출부(130)를 통해 추출된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순서대로 상기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지표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Thereafter, in step S140,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an index list in which the cognitive power information is arrang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30 have.

도 5는 도 1의 특징정보 추출부(130)의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of FIG.

도 1 내지 도3 및 도 5를 참조하면,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S210 단계에서, 분류부(120)에서 분류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부터 모집군유형에 따라 기준이 되는 제1 및 제2 임계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and 5,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extracts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classification unit 120 in step S210, The second threshold time can be extracted.

이때,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S220 단계에서, 제1 및 제2 임계시간 사이의 전체구간을 복수개의 동일한 시간구간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단위시간구간을 제1 특징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may divide the entir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s into a plurality of identical time intervals and set the divided unit time intervals as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in step S220.

또한,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S230 단계에서, 주파수 분석(FFT, Wavelet) 및 복잡도 분석(Multi-scale Entropy, Corelation Dimension)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분류부(120)에서 분류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부터 뇌파형에 대한 기설정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가 제거된 뇌파형을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할 수 있다.In step S230,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extracts feature information of the first feature point extracted by the feature point extracting unit 130 from among the first feature points extracted by the feature extracting unit 130 using the FFT, wavelet, and complexity analysis (Multi-scale Entropy, Correlation Dimension)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noise-canceled EEG can be separated by frequency bands.

또한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S240 단계에서, 주파수 대역별로 분리된 뇌파형들로부터 모집군유형에 따라 기준이 되는 제1 및 제2 임계파형을 추출할 수 있다. In step S240,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may extract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based on the induction type from the EEG waveforms separated by frequency bands.

이후, 특징정보 추출부(130)는 S250 단계에서, 제1 및 제2 임계파형으로부터 뇌파형이 식별되는 파형정보인 진폭, 피크, 에지, 패턴, 딥, 골, 및 플랫 중 차이가 가장 큰 어느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어느 하나를 복수개의 동일한 크기구간들로 분할하며, 분할된 단위크기구간을 제2 특징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Then, in step S250,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extracts feature information such as amplitude, peak, edge, pattern, dip, score, and flat, which are waveform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n EEG type from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Extracts one of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divides the extracted one into a plurality of identical magnitude intervals, and sets the divided unit magnitude interval as second feature information.

도 6은 도 1의 지표리스트 생성부(140)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of FIG.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S310단계에서, 저장DB(200)에 측정순서대로 인지력정보가 저장된 저장리스트(121)에서 상기 반응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인지력정보를 정렬하고, S320단계에서,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제1 리스트(141)를 생성할 수 있다. 1 to 3 and 6, in step S310, the index list generating unit 140 generates a list of indexes 121 in which the response time is shortened in the storage list 121 in which the perceptual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order of measurement in the storage DB 200 In step S320, the first list 141 in which the perceptual information is sorted can be generated.

또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S330단계에서, 제1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제1 리스트(141)를 복수의 서브리스트들(143_1~143_1)로 분할하고, S340단계에서,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리스트들(143_1~143_1) 중 어느 하나의 서브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인지력정보를 재정렬할 수 있다.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divides the first list 141 into a plurality of sub-lists 143_1 to 143_1 based on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in step S330. In step S340, At least two pieces of cognitive information contained in a sublist of the plurality of sub-lists 143_1 to 143_1 can be rearranged.

이어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S350단계에서, 재정렬된 복수의 서브리스트들(143_1~143_1)을 병합하여, 제2 리스트(145)를 생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350,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may generate the second list 145 by merging the plurality of sub-lists 143_1 to 143_1 that have been rearranged.

이후,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S360단계에서,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순서대로 상기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제2 리스트(145)에 인지력정보가 순서대로 정량화된 진단결과를 적용한 지표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Thereafter, in step S360,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a diagnosis result in which the cognitive information is sequentially quantified in the second list 145 in which the cognitive power information is sort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You can create a list of applied indicators.

도 7은 도 1의 지표리스트 생성부(14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of FIG.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S410단계에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저장DB(200)에 측정순서대로 인지력정보가 저장된 저장리스트(121)에서 상기 반응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인지력정보를 정렬할 수 있다. 1 to 3 and 7, in step S410,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a list list 121 in which the index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DB 200 in the order of measurement, The recognition information can be sorted in the order of the shorter reaction time.

다음으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S420단계에서,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제1 리스트(141)를 생성할 수 있다. Next, in step S420,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140 can generate the first list 141 in which the cognitive power information is sorted.

이어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S430단계에서, 제1 리스트를 기설정된 정상군, 중복군 및 환자군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3 구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430, the index list generating unit 140 may divide the first list into first to third sections corresponding to predetermined normal groups, redundant groups, and patient groups.

이때,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S440단계에서, 인지력정보가 중복군에 해당하는 제2 구간으로 분류될 때, S450단계에서, 특징정보 추출부(130)에서 추출된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중복군에 포함된 인지력정보를 재정렬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cognitive power information is categorized into the second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group in step S440, the index list generating unit 140 generates the index information based on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 in step S450 So that the cognitiv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redundant group can be rearranged.

이후, 지표리스트 생성부(140)는 S460단계에서, 재정렬된 중복군의 제2 구간을 정상군 및 환자군에 해당하는 제1 및 제3 구간 사이에 병합하여,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순서대로 상기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지표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Then, in step S460, the index list generating unit 140 merges the second section of the reordered redundant group between the first and third sections corresponding to the normal group and the patient group, and outputs the first and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a basis The index list in which the perceptual power information is arranged can be generated in the order determined as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지력 검사장치(100_1)의 블록도이다.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cognitive test apparatus 100_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8을 참조하면, 인지력 검사장치(100_1)는 측정부(110_1), 분류부(120_1), 특징정보 추출부(130_1), 지표리스트 생성부(140_1), 진단출력부(150_1) 통신부(160_1) 및 업데이트부(170_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측정부(110_1), 분류부(120_1), 특징정보 추출부(130_1), 생성부(140_1)는 도 1 내지 도 2에서의 기능과 동일하고, 그에 따른 효과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the perceptual power testing apparatus 100_1 includes a measuring unit 110_1, a classifying unit 120_1, a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_1, an index list generating unit 140_1, a diagnostic output unit 150_1, And an update unit 170_1. Here, the measuring unit 110_1, the classifying unit 120_1,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_1, and the generating unit 140_1 have the same functions as those in Figs. 1 and 2 and have the same effects, Is omitted.

실시예에 따라, 진단출력부(150_1)는 생성부(140_1)에서 생성된 지표리스트를 참조하여,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를 통해 측정되는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해당하는 진단결과를 가시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iagnostic output unit 150_1 can visualize and output the diagnosis result corresponding to the cognitive information of the subject measured through the brain-wave based cognitive testing by referring to the index list generated by the generating unit 140_1 have.

이때, 통신부(160_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출력부(150_1)를 통해 출력된 진단결과를 전송하도록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60_1)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B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모듈,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B),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B),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모듈 및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통신부(160_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50)를 통해 피검자 또는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10)과 통신 연결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the communication unit 160_1 can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to transmit the diagnosis result output through the diagnostic output unit 150_1. The communication unit 160_1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t least any one of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a USB communication, an Ethernet, a serial communication, and an optical / Wireless LAN (WLAN),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HSDPA,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of IEEE 802.16,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and 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B)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ltra Sound Communication , USC ),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a Wi-Fi, and a Wi-Fi Direct.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communication unit 160_1 can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10 held by the examinee or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network 50. [

다음으로, 업데이트부(170_1)는 진단출력부(150_1)를 통해 출력된 피검자의 진단결과에 대한 피드백정보에 따라, 피검자의 인지력정보를 제1 및 제2 분류정보 중 진단결과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Next, the update unit 170_1 updates the cognitive power informa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on the diagnosis result of the subject output through the diagnostic output unit 150_1, by us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 ≪ / RTI >

보다 구체적으로, 업데이트부(1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출력부(150_1)에서 출력된 피검자의 진단결과를 통신부(160_1)를 통해 네트워크(50)에 연결된 피검자가 소지한 단말(10)로 전송하고, 해당 단말(10)로부터 진단결과의 정확성 여부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전송받아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저장DB(200)에 저장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 중 진단결과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9, the update unit 170 updates the diagnostic result of the subject output from the diagnostic output unit 150_1 to the terminal (step S502), which is connected to the network 5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60_1 10),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on the accuracy of the diagnostic result from the terminal 10, determines whether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subject is updated,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gnitiv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DB 200 1 < / RTI >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력 검사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9 is a block diagram of a cognitive testing system 100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9를 참조하면, 인지력 검사시스템(1000)은 피검자 또는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10), 인지력 검사장치(100_2) 및 저장DB(2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cognitive-strength testing system 1000 may include a terminal 10, a percep- tuality testing apparatus 100_2, and a storage DB 200 held by a subject or an administrator.

먼저, 단말(10)은 네트워크(50)를 통해 인지력 검사장치(100_2)에 접속 또는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터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terminal 1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a portable terminal, or a television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or connectable to the percep- tiveness testing apparatus 100_2 via the network 50. [ For example, the computer includes a notebook computer,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nd the like on which a web browser (WEB Browser) is mounted. 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a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a smart phon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elevision may include a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an Internet television (TV), a terrestrial TV, a cable TV, and the like.

또한, 단말(10)은 앱 스토어(App Store) 또는 외부 서버를 통해 온라인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되어, 인지력 검사장치(100_2)로부터 인지력수준에 대한 진단결과를 네트워크(50)를 통해 전송받아 출력하거나 피검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피드백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통상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우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또는 타이젠과 같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에 기초하는 인지력진단 서비스를 수행할 프로그램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10 downloads and installs an online-based application through an App Store or an external server, receives the diagnostic result of the perception level from the perception testing apparatus 100_2 via the network 50 Outputting the feedback information, or inputting feedback information from the subject or the manager.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may be a mobile phone of Symbian, RIMS, iPhone of Apple, Windows Mobile of Microsoft, Android of Google, The program may be a program for performing a cognitive diagnostic service based on various open operating systems such as TAGEN.

그리고, 네트워크(50)는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하나 이상의 단말(10)을 소지한 피검자 또는 관리자가 인지력 검사장치(100_2)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5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 있다. The network 50 includes a plurality of services, such as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ile Transfer Protocol (FTP), Domain Name System (D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Network Management Service "), a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 a Network File Service (NFS) And can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manager can be connected to the percep- tual-test apparatus 100_2. Meanwhile, the network 50 may be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or may be a core network integrated with a wired public network,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portable Internet.

도 9에 도시된 인지력 검사장치(100_2)는 도 1, 도 2 및 도 8에서의 특징과 동일하고, 그에 따른 효과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gnitive-impulse-checking apparatus 100_2 shown in Fig. 9 is the same as the features shown in Figs. 1, 2 and 8 and has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Figs. 1, 2 and 8,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저장DB(200)는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모집군의 인지력정보, 분류부(120)를 통해 두뇌질환에 따라 분류되는 환자군 및 정상군인 모집군유형에 따라 분류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 생성부(140)를 통해 생성된 제1 및 제2 리스트, 복수의 서브리스트들 및 지표리스트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DB)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DB(200)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출원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해당 필드(field)들을 가질 수 있다.Next, the storage DB 200 stores cognitive power information of the collection group measured through the measurement unit 110,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data classified into the patient group classified according to the brain disease and the normal collection group, 2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first and second lists generated through the generation unit 140, the plurality of sub-lists, and the index list, and can DB (DB) them. For example, the storage DB 200 may be a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BMS) such as Oracle, Infomix, Sybase, DB2, or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such as Gemston, Orion, Can be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using an 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OODBMS), and can have corresponding fields.

도 10은 도 9의 인지력 검사장치(100_2)의 동작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FIG.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erceptual force test apparatus 100_2 of FIG.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측정부(110_2)는 S510단계에서,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를 통해 뇌파형과 반응시간을 포함한 인지력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measuring unit 110_2 can measure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EEG type and the reaction time through the cognitive test based on the EEG in step S510.

다음으로, 분류부(120_2)는 S520단계에서, 측정부(110_2)를 통해 측정된 인지력정보를 모집군유형에 따라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Next, in step S520, the classifying unit 120_2 may classify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unit 110_2 into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duction group.

이때, 특징정보 추출부(130_2)는 S530단계에서, 분류부(120_2)에서 분류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를 뇌파형과 반응시간을 비교대상으로 하여 비교하고, 비교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로부터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step S530,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_2 compares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classifying unit 120_2 with the EEG type and the reaction time as comparison targets,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rom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이어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_2)는 S540단계에서, 특징정보 추출부(130_2)를 통해 추출된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순서대로 상기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지표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540, the index list generating unit 140_2 generates an index list in which the perceptual information is sorted in the predetermined order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extracted through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30_2 have.

다음으로, 진단출력부(150_2)는 S550단계에서, 지표리스트 생성부(140_2)에서 생성된 지표리스트를 참조하여,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를 통해 측정되는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해당하는 진단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Next, in step S550, the diagnostic output unit 150_2 refers to the index list generated by the index list generating unit 140_2 to output a diagnostic result corresponding to the perceived information of the subject measured through the brain-wave based perception can do.

이때, 통신부(160_2)는 S560단계에서, 진단출력부(150_2)에서 출력된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대한 진단결과를 네트워크(50)를 통해 연결된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160_2 may transmit the diagnostic result of the perceived information of the subject outputted from the diagnostic output unit 150_2 to the terminal 10 connected via the network 50 in step S560.

이어서, 업데이트부(170_2)는 S570단계에서, 피검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진단결과의 정확성 여부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단말(10)을 통해 입력받아, 네트워크(50)를 통해 통신부(160_2)로 전송받을 수 있다. In step S570, the update unit 170_2 receives feedback information on the accuracy of the diagnosis result from the testee or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terminal 10, and receives the feedback information through the network 50 to the communication unit 160_2 .

이후, 업데이트부(170_2)는 S580단계에서, 피드백정보에 따라,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고, S590단계에서,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피검자의 인지력정보를 저장DB(200)에 저장된 제1 및 제2 분류정보 중 진단결과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In step S590, the update unit 170_2 determines whether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subject is updated based on the feedback information. In step S590, the update unit 170_2 updates the cognitive informa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storage DB 200 It is possible to update one of the stored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agnosis result.

도 11과 도 12는 도 5의 인지력 검사장치(100_2)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도이다. 11 and 12 are views showing examples in which the perception strength testing apparatus 100_2 of FIG. 5 is applied.

도 5,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측정부(110_2)는 머리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전극들(111~11N)을 통해 뇌파형과 어느 하나의 행동과제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헤어밴드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5, 11, and 12, the measuring unit 110_2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111 to 11N attached to the head, and a hair band (not shown) measuring the response time for any one behavioral task Type wearable device.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부(110_2)는 뇌파 기반의 인지력검사에 이용되는 복수의 전극들(111~11N)을 통해 측정된 뇌파형에 따라 기설정된 행동에 대한 반응시간을 포함한 인지력정보를 측정하고, 통신부(160_2)를 통해 저장DB(200)에 저장된 지표리스트를 전송받으며, 지표리스트를 참조하여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대한 진단결과를 출력할 수 있어서, 피검자의 장소나 시간에 대한 제약없이, 인지력을 측정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easuring unit 110_2 measures the cognitive power information including the response time for the predetermined action according to the EEG type measured through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11 to 11N used for the cognitive test based on brain waves, The list of indicators stored in the storage DB 200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0_2 and the diagnostic result of the cognitiv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can be outputted by referring to the index list so that the cognitive ability Can be measured.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 /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apparatu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a computer system,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described as being used singly,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apparatus may hav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 /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processing unit may compris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a parallel processor.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foregoing, and may be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to process it collectively or collectively Device can be commanded. The software and / or data may be in the form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a,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one or mor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 exampl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Lt; / RTI > or equivalents, even if it is replaced or replaced.

10: 단말
50: 네트워크
100: 인지력 검사장치
110: 측정부
120: 분류부
130: 특징정보 추출부
140: 지표리스트 생성부
150_1: 진단출력부
160_1: 통신부
170_1: 업데이트부
200: 저장DB
10: Terminal
50: Network
100: Cognitive testing device
110:
120:
130: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140: Indicator list generation unit
150_1: Diagnostic output unit
160_1:
170_1:
200: Storage DB

Claims (21)

모집군에 대한 인지력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모집군에 대한 인지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DB;
상기 측정부로부터 상기 모집군에 대한 인지력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모집군에 대한 인지력 정보를 정상군에 대한 제1 분류정보와 환자군에 대한 제2 분류정보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정상군에 대한 제1 분류정보 및 상기 환자군에 대한 제2 분류정보 사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특징정보 추출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지력 정보가 정렬된 지표리스트를 생성하는 지표리스트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력 정보는 뇌파형 및 기설정된 행동과제에 대한 반응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모집군에 포함된 대상자 각각에 대한 뇌파형 및 상기 뇌파형에 따라 기설정된 행동과제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특징정보 추출부는 상기 반응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정상군에 대한 제1 임계시간 및 상기 환자군에 대한 제2 임계시간을 추출하고, 상기 제1 임계시간 및 상기 제2 임계시간 사이의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특징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특징정보 추출부는 상기 뇌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정상군에 대한 제1 임계파형 및 상기 환자군에 대한 제2 임계파형을 추출하고, 상기 제1 임계파형 및 상기 제2 임계파형 사이의 진폭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인지력 검사장치.
A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perceptual information about the population;
A storage DB for storing cognitive information about the population;
A classification unit that receives cognitive information on the population from the measurement unit and classifies the cognitive information about the population into the first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normal group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atient group;
A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first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normal group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atient group; And
And an index lis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n index list in which the perceptual information is sort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Wherein the perceptual information includes a response time to an EEG and a predetermined action task,
Wherein the measuring unit measures a response time to a predetermined behavioral task according to the EEG type and the EEG type for each subject included in the population,
Wherein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s a first threshold time for the normal group and a second threshold time for the patient group based on the reaction time, and based on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reshold time and the second threshold time, Extracts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Wherein the featur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extracts a first critical waveform for the normal group and a second critical waveform for the patient group on the basis of the brain wave waveform, and extracts, based on the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ritical waveform and the second critical waveform, And extracts the second characteristic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피검자의 인지력 정보에 해당하는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진단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인지력 검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agnosis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corresponding to the perceived information of the subject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with reference to the index lis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진단결과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인지력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분류정보 중 어느 하나에 업데이트하는 업데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인지력 검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update unit for updating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of the subject to one of the first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는, 지각력, 기억력, 주의력, 추론력, 판단력 및 집중력 중 어느 하나의 항목에 대한 참조리스트로서, 상기 제1 및 제2 특징정보에 따라 순서대로 정렬된 상기 인지력정보와 상기 인지력정보의 순서에 따라 정량화된 진단결과를 포함하는 인지력 검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ex list is a list of references to any one item of the perception strength, the memory power, the attention power, the reasoning power, the judgment power, and the concentration power, A cognitive test apparatus comprising diagnostic results quantified in or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징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임계시간 사이의 시간 차이를 동일한 시간구간으로 분할하는 단위시간인 인지력 검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is a unit time in which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s is divided into equal time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특징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임계파형 사이의 진폭 차이를 동일한 크기구간으로 분할하는 단위크기인 인지력 검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is a unit size that divides the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into equal magnitude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반응시간에 따라 상기 인지력 정보를 정렬하여 제1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리스트를 상기 제1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분할하여 복수의 서브리스트들을 생성하는 인지력 검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generates a first list by sorting the perceptu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action time and divides the first list based on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to generate a plurality of sub lis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 생성부는, 상기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리스트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인지력정보를 재정렬하고, 이후 상기 복수의 서브리스트들을 병합하여 제2 리스트를 생성하며, 이후 상기 제2 리스트에 정량화된 진단결과를 적용하여 상기 지표리스트를 생성하는 인지력 검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rearranges the perceptual information inclu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blists based on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and then merges the plurality of sublists to generate a second list And then applying the quantified diagnostic result to the second list to generate the index li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 생성부는, 정량지수 산출식을 통해 상기 지표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인지력정보에 대한 정량화된 진단결과(E)를 산출하여 적용하고,
상기 정량지수 산출식은,
Figure 112018096714505-pat00016
(1) 이고,
여기서, α는 상기 모집군 유형에 따른 가중지수, A는 상기 제1 임계시간과의 유사지수, B는 상기 제2 임계시간과의 유사지수, C는 상기 제1 임계파형과의 유사지수 및 D는 상기 제2 임계파형과의 유사지수인 인지력 검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dex list generation unit calculates and applies a quantified diagnosis result (E) for any one piece of cognitiv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dex list through a quantitative index calculation formula,
The quantitative index calculating formula may be,
Figure 112018096714505-pat00016
(1)
Where A is a weighting index according to the population type, A is a similarity index with the first threshold time, B is a similarity index with the second threshold time, C is a similarity index with the first threshold waveform, and D And the similarity index with the second threshold waveform.
인지력 검사장치의 인지력 검사방법으로서,
모집군에 대한 인지력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모집군에 대한 인지력 정보를 정상군에 대한 제1 분류정보 및 환자군에 대한 제2 분류정보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정상군에 대한 제1 분류정보 및 상기 환자군에 대한 제2 분류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지력 정보가 정렬된 지표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표리스트를 참조하여,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해당하는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지력 정보는 뇌파형 및 기설정된 행동과제에 대한 반응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정상군에 대한 제1 임계시간 및 상기 환자군에 대한 제2 임계시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임계시간 및 상기 제2 임계시간 사이의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뇌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정상군에 대한 제1 임계파형 및 상기 환자군에 대한 제2 임계파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임계파형 및 상기 제2 임계파형 사이의 진폭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력 검사방법.
A method for recognizing a cognitive level of a cognitive test apparatus,
Measuring perceptual information on the population;
Categorizing the cognitive power information of the population into the first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normal group and the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atient group;
Extracting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based on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first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normal group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patient group;
Generating an index list in which the perceptual information is sort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And
And outputting a diagnosis result corresponding to the perceived information of the examinee with reference to the index list,
Wherein the perceptual information includes a response time to an EEG and a predetermined action task,
Wherein the extracting of the first and second feature information comprises:
Extracting a first threshold time for the normal group and a second threshold time for the patient group based on the reaction time;
Extracting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based on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reshold time and the second threshold time;
Extracting a first critical waveform for the normal group and a second critical waveform for the patient group based on the EEG waveform; And
And extracting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based on an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ritical waveform and the second critical wavefor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응시간이 짧은 순서대로 상기 인지력정보가 정렬된 제1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스트를 복수의 서브리스트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2 특징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리스트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리스트에 포함된 상기 인지력정보를 재정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리스트들을 병합하여 제2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리스트에 정량화된 인지력 값을 적용하여 상기 지표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력 검사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generating the indicator list comprises:
Generating a first list in which the perceptual power information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shorter reaction time;
Dividing the first list into a plurality of sublists based on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Rearranging the perceptual information inclu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blists based on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Merging the plurality of sub-lists to generate a second list; And
And applying the quantified cognitive power value to the second list to generate the indicator li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징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임계시간 사이의 시간 차이를 동일한 시간구간으로 분할하는 단위시간인 인지력 검사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feature information is a unit time dividing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times into equal time interval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특징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임계파형 사이의 진폭 차이를 동일한 크기구간으로 분할하는 단위크기인 인지력 검사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feature information is a unit size that divides the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hreshold waveforms into equal magnitude intervals.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의 인지력정보에 대한 진단결과에 따라, 상기 피검자의 인지력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분류정보 중 어느 하나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지력 검사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updating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diagnosis result of the cognitive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삭제delete
KR1020180053509A 2017-12-20 2018-05-10 Cognitive testing device based on electroencephalogram and method for cognitive testing same KR1019622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883 2017-12-20
KR20170175883 2017-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258B1 true KR101962258B1 (en) 2019-03-26

Family

ID=6594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509A KR101962258B1 (en) 2017-12-20 2018-05-10 Cognitive testing device based on electroencephalogram and method for cognitive test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2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517B1 (en) * 2019-05-17 2019-10-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senior trainning on the basis of vr contents and brain wave measur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57B1 (en) * 2007-07-20 2007-08-23 (주)락싸 Brain waves
KR101640788B1 (en) * 2015-08-13 2016-07-29 국방과학연구소 Detection method of concentration state and non-concentration state using brain signal and terminal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257B1 (en) * 2007-07-20 2007-08-23 (주)락싸 Brain waves
KR101640788B1 (en) * 2015-08-13 2016-07-29 국방과학연구소 Detection method of concentration state and non-concentration state using brain signal and terminal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517B1 (en) * 2019-05-17 2019-10-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senior trainning on the basis of vr contents and brain wave measur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30572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orecasting seizures
Fu et al. Classification of seizure based on the time-frequency image of EEG signals using HHT and SVM
US20230288322A1 (en) Identification using spectroscopy
US20170193395A1 (en) Optimizing performance of event detection by sensor data analytics
Albasri et al. EEG electrode selection for person identification thru a genetic-algorithm method
US87949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neurobehavioural performance from reaction time tests
KR1017249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intention of user using brain wave
RU2016117598A (en)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multichannel electrocardiographic signals
KR101962258B1 (en) Cognitive testing device based on electroencephalogram and method for cognitive testing same
CN114403899B (en) Depression detection device combining brain neuron spike potential and local field potential
US11147487B2 (en) Estimation method, estimation program, estimation device, and estimation system
US20200397330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ncephalopathy determin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16106672B (en) Vehicle network resonanc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data driving and engineering knowledge
US20200185110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use in detecting malingering by a first subject in one or more physical and/or mental function tests
KR20200097192A (en) Method and program for calculating brain injury index of status epilepticus
CN115858509A (en) Medical data fluctuation rate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90074924A (en) Foreinge language skill testing device based on cognitive ability and method for foreinge language skill testing same
US117861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detecting malingering by a first subject in tests of physical and/or mental function of the first subject
da Ponte Junior et al. Identify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using physiological signals and data mining
KR20200042392A (e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index value for comparing body composition changing performance
Aslan A novel computer-aided diagnostic system for Alzheimer’s diagnosis using variational mode decomposition method
US20240176330A1 (en) Manufacturing sit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oot industry
Dash et al. Probability-based approach for epileptic seizure detection using hidden Markov model
Hussain et al. Cloud-based clinical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for disease prediction
US2022036592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covering causal patte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