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184B1 -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184B1
KR101962184B1 KR1020180137808A KR20180137808A KR101962184B1 KR 101962184 B1 KR101962184 B1 KR 101962184B1 KR 1020180137808 A KR1020180137808 A KR 1020180137808A KR 20180137808 A KR20180137808 A KR 20180137808A KR 101962184 B1 KR101962184 B1 KR 101962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esh
port
nozzle housing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연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산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산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산전력
Priority to KR102018013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수배전반 내의 전장부품 및 전기부속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열을 전반적으로 상시 방열시키거나 냉각시키도록 하되, 발열이 높은 부속이나 대상에 대해서는 가압에어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배전반의 공간 전체에 대한 냉방과 함께 국지적인 발열부에 대하여 신속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팬 모터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미세먼지가 여과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누전 또는 발화로 인한 화재시에는 즉시 진화가 가능하도록 냉기 토출구 일측에 소화분말 수용구가 형성되어 화재 발생과 동시에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이는 수배전반 운전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Distribution box having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수배전반 내의 전장부품 및 전기부속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열을 전반적으로 상시 방열시키거나 냉각시키도록 하되, 발열이 높은 부속이나 대상에 대해서는 가압에어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배전반의 공간 전체에 대한 냉방과 함께 국지적인 발열부에 대하여 신속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팬 모터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미세먼지가 여과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누전 또는 발화로 인한 화재시에는 즉시 진화가 가능하도록 냉기 토출구 일측에 소화분말 수용구가 형성되어 화재 발생과 동시에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이는 수배전반 운전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공장 등의 자가용 전기설비에서는 수요전력량이 많기 때문에 110V 또는 220V의 저압의 일반용 전기설비와 같이 전력회사로부터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공급받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자가용 전기설비에서는 변전소의 배전선으로부터 3,300V 또는 6,600V의 고압을 수전하여 다시 상용전압으로 변압하여야 한다.
특히, 대규모 빌딩의 자가용 전기설비에서는 229kV의 특별고압을 수전하여 다시 상용전압으로 변압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바로 수배전반이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분전반, MCC반(Motor Control Center Panel), 저압반, 고압반, 변압기반, 및 특고압반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특별고압을 공급받기 위한 수전설비와, 변전소로부터 수전된 고압, 특별고압을 상용전압으로 강압하기 위한 변전설비, 강압된 전기를 빌딩 내 각부의 전기기기나 조명등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전설비로 형성되어 빌딩 내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은 그 내부에 변압기, 차단기, 콘덴서 등 229KV, 66KV, 33KV, 440V, 380/220V 등 국내 공인된 정격 전압이 상시 인가되고 있다.
그리고 무부하 손실 또는 부하 손실에 의한 발열, 차단기 작동 시 소호에 의한 발열, 콘덴서 등 전하 축적에 의한 발열, 전기기기 동작 시 고유 저항에 의한 발열 등 상시 주위 온도 대비 10~30도의 온도가 상승된다.
즉, 이러한 수배전반의 가장 큰 사고 위험성은 전압 변환 등을 처리하는 전력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열로 인한 온도 상승 및 전력 기기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불꽃 등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의 화재 발생은 수배전반의 동작 정지로 인한 전력 중단이 발생될 수 있고, 수배전반이 설치된 건물이 화재 위험성을 내포하므로, 수배전반의 내부 온도 제어 및 화재 발생 감지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8531호(2010.05.31.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수배전반 내의 전장부품 및 전기부속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열을 전반적으로 상시 방열시키거나 냉각시키도록 하되, 발열이 높은 부속이나 대상에 대해서는 가압에어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배전반의 공간 전체에 대한 냉방과 함께 국지적인 발열부에 대하여 신속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팬 모터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미세먼지가 여과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누전 또는 발화로 인한 화재시에는 즉시 진화가 가능하도록 냉기 토출구 일측에 소화분말 수용구가 형성되어 화재 발생과 동시에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이는 수배전반 운전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압챔버로부터 연결된 저장관 가압공기 분사용 스프레이어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스프레이어는 가압공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국지적인 발열부에 대하여 방열 냉각 성능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챔버로부터 저장관이 착탈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저장관은 본체 케이스로부터 용이한 착탈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청소성과 교환 교체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일측에 미세먼지 여과용 에어필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의 미세먼지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 토출구의 배치가 상하 수직형 직하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종전 엘보형 꺽임식 유도 라인을 갖는 냉풍 유로에 비해 월등한 냉각성능을 보장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압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가압챔버과 저장관의 사이에 연결된 호스관의 일측에 체크밸브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전자변에 의해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저장관의 기압을 조절하여 스프레이어로 분사되는 가압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는 함체의 상측에 미세먼지 여과용 에어필터 어셈블리(150)를 갖는 에어 흡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흡입구(120)와 대향되는 함체의 직하방향 하측에는 에어 토출구(13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에어 토출구(130)와 직교되는 측면 일측에는 연통공(160)이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가압챔버(310)로 공급되도록 하는 본체 케이스(100)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공간부(110)에 팬 블레이드(210)가 내장되도록 하되, 상기 팬 블레이드(210)는 팬 모터(220)에 의해 가동되도록 형성되어 에어 흡입구(120)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에어 토출구(130) 및 연통공(160) 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에어 유니트(200)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연통공(160) 일측에 형성되어 가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가압챔버(3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챔버(310)는 호스관(330)에 의해 저장관(320)과 연결되며, 상기 저장관(320)은 다수개의 가지관(34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가지관(340)의 끝단에는 가압공기 생성용 스프레이어(350)가 결합되며, 상기 호스관(330)은 선상 일측에 전자변(361)을 갖는 체크밸브(360)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관(320)은 클램프 홀더(370)에 의해 지지되면서 본체 케이스(100)에 고정된 장착 브라켓(380)으로 하여금 탈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공기 유니트(300)와; 상기 에어 유니트의 팬 모터(220)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되, 가압공기 유니트의 전자변(361)으로 하여금 체크밸브(360)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판(4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에어 토출구(130)는 관통된 개구공에 대하여 조립식 구조의 소화분말 수용구(140)가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소화분말 수용구(140)는 에어 토출구(130)의 길이방향 개구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인입된 고정바(141)가 장착되면 에어 토출구와 수평방향으로 인입된 소화분말함(142)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141)의 하부 일측에는 탄성에 의해 벌어졌다 오무려지는 개구식 물림구(143)가 형성되고, 상기 소화분말함(142)의 상측 단부에는 삼각대 형상의 인서트 고정체(144)가 형성되어 상기 물림구와 대응되면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어(350)는 상,하단이 개구된 소켓통(351-1)의 상부에 체결용 나사(351-2)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단턱(351-3)이 형성되는 노즐 하우징(351)과; 노즐 하우징(351)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도록 하되, 상부가 개방된 캡 형상의 상측 외주면 일측에 결합단(352-1)이 형성되어 노즐 하우징의 단턱(351-3)에 안착되면서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삽입된 캡 형상의 하단면에는 다공판(352-2)이 결합되며, 상측 내주면에는 걸림턱(352-3)이 형성되는 가압공기 생성구(352)와; 가압공기 생성구(352)의 걸림턱(352-3)에 대응되어 삽입 및 안착되면서 조립되도록 납작한 원형 컵(353-1) 외주면에 걸침턱(353-2)이 형성되고, 원형 컵(353-1)의 면상에는 기압 상승용 중앙 관통공(353-3)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소형 가압공(353-4)이 형성되며, 원형 컵(353-1)의 개구된 단부에는 기압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제2다공판(353-5)이 결합되는 기압 상승구(353)와; 상기 노즐 하우징(351)의 체결용 나사(351-2)에 소구경 조립나사(354-1)가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소구경 조립나사(354-1)와 제2다공판(353-5)의 사이에는 고무패킹(354-2)이 삽입되어 누기를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구경 조립나사(354-1)와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대구경 조립나사(354-3)가 형성되어 가지관(340)의 단부 나사홈과 대응되면서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몸체 중앙에는 기압 증폭을 위한 유도공(354-4)이 형성되는 조립용 부싱(354)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압공기 유니트(300)의 클램프 홀더(370)는 저장관(320)이 삽입되는 원형 링(371)의 일측에 알파벳 'C' 형상의 그립퍼(372)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그립퍼(372)는 개구부(373) 각도가 80°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380)은 볼 형태의 쐐기(381)를 갖는 끼움축(382)이 고정판(383)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하되, 상기 쐐기(381)는 그립퍼(372)의 개구부(373)를 통해 강제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되면서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383)은 본체 케이스(100)의 에어 토출구(130) 일측에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여과용 에어필터 어셈블리(150)는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프레임 골조(151)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골조의 개구된 전후면에 대하여 메쉬 스크린(152)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골조(151) 내부에 삽입되고 복수의 메쉬 스크린(15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되, 유입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도록 허니컴 형상의 필터체(153) 그물코(154) 중 선택된 그물코(154)에는 세라믹 볼(155)이 삽입되어 초미세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되, 세라믹 볼(155)이 삽입되지 않지 나머지 그물코(154)에는 그물코의 내경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합성수지 마개(156)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그물코(154)의 형태는 유지되면서 설치 중량은 감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배전반 내의 전장부품 및 전기부속으로부터 발생되는 발열을 전반적으로 상시 방열시키거나 냉각시키도록 하되, 발열이 높은 부속이나 대상에 대해서는 가압에어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배전반의 공간 전체에 대한 냉방과 함께 국지적인 발열부에 대하여 신속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특히 팬 모터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미세먼지가 여과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누전 또는 발화로 인한 화재시에는 즉시 진화가 가능하도록 냉기 토출구 일측에 소화분말 수용구가 형성되어 화재 발생과 동시에 초기 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이는 수배전반 운전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압챔버로부터 연결된 저장관 가압공기 분사용 스프레이어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스프레이어는 가압공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국지적인 발열부에 대하여 방열 냉각 성능이 배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챔버로부터 저장관이 착탈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저장관은 본체 케이스로부터 용이한 착탈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청소성과 교환 교체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구 일측에 미세먼지 여과용 에어필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의 미세먼지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 토출구의 배치가 상하 수직형 직하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종전 엘보형 꺽임식 유도 라인을 갖는 냉풍 유로에 비해 월등한 냉각성능을 보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가압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가압챔버과 저장관의 사이에 연결된 호스관의 일측에 체크밸브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전자변에 의해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저장관의 기압을 조절하여 스프레이어로 분사되는 가압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판에 고장 예측 회로가 설정되어 팬 모터에 인입되는 소비전력, 팬 블레이드의 회전속도 및 내부 온도를 센싱하여 설정된 값 이상 또는 이하일 경우 고장 예측을 미리 알람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의 일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유니트와 가압공기 유니트 및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측단면 예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이어를 나타낸 확대 예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홀더와 장착 브라켓을 도시한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여과용 에어필터 어셈블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분말 수용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연결구의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100), 에어 유니트(200), 가압공기 유니트(300) 및 제어판(4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본체 케이스(100)는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는 함체의 상측에 미세먼지 여과용 에어필터 어셈블리(150)를 갖는 에어 흡입구(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 흡입구(120)와 대향되는 함체의 직하방향 하측에는 에어 토출구(13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에어 토출구(130)와 직교되는 측면 일측에는 연통공(160)이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가압챔버(310)로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에어 토출구의 배치는 상하 수직형 직하방향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종전의 엘보형 꺽임식 유도 라인을 갖는 냉풍 유로에 비해 월등한 냉각성능이 보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에어 토출구(130)는 관통된 개구공에 대하여 조립식 구조의 소화분말 수용구(140)가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소화분말 수용구(140)는 에어 토출구(130)의 길이방향 개구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인입된 고정바(141)가 장착되면 에어 토출구와 수평방향으로 인입된 소화분말함(142)이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바(141)의 하부 일측에는 탄성에 의해 벌어졌다 오무려지는 개구식 물림구(143)가 형성되고, 상기 소화분말함(142)의 상측 단부에는 삼각대 형상의 인서트 고정체(144)가 형성되어 상기 물림구와 대응되면서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인서트 고정체와 물림구는 쐐기 형태의 요철 구조로서 삽입시 걸림홈과 걸림턱 구조로 장착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소화분말함(142)은 재질이 펄프 또는 종이 재질로 되면서 단면 형상이 삼각형의 콘 형태인 봉투 모양으로서 내부에 소화분말이 충진되도록 하되, 하부 면상에는 접착 구조로 접합된 접합띠(145)가 형성되어 화재시 접합띠가 녹으면서 내부 소화분말이 방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소화분말함은 고정바에 장착시 상협하광 형태의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분포를 넓게 확장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화재시에는 접합띠가 녹거나 봉투 모양의 소화분말함 자체가 터지면서 내부 소화분말이 화재 발생과 동시에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여과용 에어필터 어셈블리(150)는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프레임 골조(151)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골조의 개구된 전후면에 대하여 메쉬 스크린(152)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미세먼지 여과용 에어필터 어셈블리(150)는 프레임 골조(151) 내부에 삽입되고 복수의 메쉬 스크린(152) 사이에 허니컴 형상의 필터체(153)가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허니컴 형상의 필터체(153)는 유입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도록 그물코(154) 중 선택된 그물코(154)에 세라믹 볼(155)이 삽입되어 초미세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 골조는 측단면 형상이 '디귿자' 형상의 잔넬(Channel) 형 철판을 절곡하여 형성한 골조로서 철판의 두께는 대략 0.5~2mm 내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레임 골조는 후출되는 필터체(세라믹 볼을 포함한 형태)와 메쉬 스크린 그리고 메쉬망을 일체로 묶는 일종의 틀로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메쉬 스크린은 가느다란 철선을 사선형 또는 바둑판 형태로 엮어 철망을 이루도록 하거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그물망을 형성하는 형태로서 프레임 골조의 개구된 앞면과 뒷면 즉 전후면의 지지대나 커버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메쉬 스크린의 메쉬(구멍)는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허니컴 형상의 필터체는 그물코의 형상이 허니컴 형상을 이루도록 하되, 재질은 폴리 계열(PE,PP 등)이나 나일론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합성수지,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되어 가볍고 질긴 물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그물코는 원형이거나 육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물코의 직경은 대략 1~5cm 내외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세라믹 볼도 그에 준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세라믹 볼은 그물코에 대하여 완전 접착될 수도 있으나 교환식 방식으로 탈부착될 수도 있도록 형성되어 사후 필터체나 세라믹 볼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세라믹 볼은 다공질 형태로서, 초미세 먼지를 여과할 수 있는 세라믹, 석재, 흙,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세라믹 볼은 나노 기공이 형성되어 초미세 먼지를 완벽하게 여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세라믹 볼(155)이 삽입되지 않지 나머지 그물코(154)에는 그물코의 내경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합성수지 마개(156)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그물코(154)의 형태는 유지되면서 설치 중량은 감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마개는 그물코로 삽입되는 측에 중량이 가볍도록 내부가 중공인 경질체가 형성되어 삽입되고, 상기 경질체의 반대 측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완전 관통을 방지하면서 차후 분리시 용이한 탈거가 가능하도록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여과 효율이나 세라믹 볼으로의 대체가 필요시 용이한 교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에어 유니트(200)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공간부(110)에 팬 블레이드(210)가 내장되도록 하되, 상기 팬 블레이드(210)는 팬 모터(220)에 의해 가동되도록 형성되어 에어 흡입구(120)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에어 토출구(130) 및 연통공(160) 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팬 모터(크로스팬 또는 시로코팬/ 원-모터 또는 투-모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는 수배전반 내부 공간부에 대하여 전반적인 냉방을 도모하는 한편, 후술되는 가압공기 유니트의 냉각 열원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가압공기 유니트(300)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연통공(160) 일측에 형성되어 가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가압챔버(3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챔버(310)는 호스관(330)에 의해 저장관(320)과 연결되며, 상기 저장관(320)은 다수개의 가지관(340)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연통공을 통해 에어 유니트의 팬 모터로부터 공급된 공기 바람은 공간이 좁은 가압챔버를 통해 압력이 높아져 기본적인 가압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지관(340)의 끝단에는 가압공기 생성용 스프레이어(350)가 결합되며, 상기 호스관(330)은 선상 일측에 전자변(361)을 갖는 체크밸브(36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체크밸브는 전자변에 의해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저장관의 기압을 조절하여 스프레이어로 분사되는 가압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온도센서로 하여금 수배전반 내의 온도 발열 상황에 따라 가압공기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스프레이어(350)는 노즐 하우징(351), 가압공기 생성구(352), 기압 상승구(353) 및 조립용 부싱(354)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노즐 하우징(351)은 상,하단이 개구된 소켓통(351-1)의 상부에 체결용 나사(351-2)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단턱(35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공기 생성구(352)는 노즐 하우징(351)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도록 하되, 상부가 개방된 캡 형상의 상측 외주면 일측에 결합단(352-1)이 형성되어 노즐 하우징의 단턱(351-3)에 안착되면서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삽입된 캡 형상의 하단면에는 다공판(352-2)이 결합되며, 상측 내주면에는 걸림턱(352-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압 상승구(353)는 가압공기 생성구(352)의 걸림턱(352-3)에 대응되어 삽입 및 안착되면서 조립되도록 납작한 원형 컵(353-1) 외주면에 걸침턱(353-2)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원형 컵(353-1)의 면상에는 기압 상승용 중앙 관통공(353-3)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소형 가압공(353-4)이 형성되며, 원형 컵(353-1)의 개구된 단부에는 기압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제2다공판(353-5)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조립용 부싱(354)은 상기 노즐 하우징(351)의 체결용 나사(351-2)에 소구경 조립나사(354-1)가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소구경 조립나사(354-1)와 제2다공판(353-5)의 사이에는 고무패킹(354-2)이 삽입되어 누기를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소구경 조립나사(354-1)와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대구경 조립나사(354-3)가 형성되어 가지관(340)의 단부 나사홈과 대응되면서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몸체 중앙에는 기압 증폭을 위한 유도공(354-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스프레이어(350)는 가지관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흡입된 기본 공기의 유입량 대비 크게 상승된 기압으로 하여금 분사 가압공기 효율을 개선한 것으로, 강한 기압 상승에 의해 발열이 심한 국지적 부분에 냉각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저장관(320)은 클램프 홀더(370)에 의해 지지되면서 본체 케이스(100)에 고정된 장착 브라켓(380)으로 하여금 탈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클램프 홀더(370)는 저장관(320)이 삽입되는 원형 링(371)의 일측에 알파벳 'C' 형상의 그립퍼(372)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그립퍼(372)는 개구부(373) 각도가 80°이하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장착 브라켓(380)은 볼 형태의 쐐기(381)를 갖는 끼움축(382)이 고정판(383)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하되, 상기 쐐기(381)는 그립퍼(372)의 개구부(373)를 통해 강제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되면서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83)은 본체 케이스(100)의 에어 토출구(130) 일측에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 브라켓의 쐐기는 일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돌출된 형태로서 클램프 홀더의 그립퍼는 쐐기에 대하여 길이방향 선상 어느 위치에서든 쉽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탈장착성이 크게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저장관은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결합시 원터치 결합구조로 탈장착되도록 하되, 추락 낙하 안전을 고려하여 별도의 체인 연결구(390)가 결합되면서 이탈 추락 방지를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관에 다수 결합된 가지관은 플렉시블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방향 조절이 자유롭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관을 잡고 있는 클램프 홀더는 그립퍼가 장착 브라켓의 쐐기를 기준으로 일정부분 회동 가능도록 형성되어 가압공기가 심한 발열부에 근접할 수 있는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제어판(400)은 상기 에어 유니트의 팬 모터(220)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되, 가압공기 유니트의 전자변(361)으로 하여금 체크밸브(360)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팬 모터의 회전 속도 조절(소비전력 저감)에 따라 가압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제어판 회로와 모터 회전 속도 감지센서 및 체크밸브의 전자변과 연동하면서 수배전반 내 온도 상승시 공기 개폐량 높게 하면서 가압공기량이 많게 계절에 따라 달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어판은 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서 팬 블레이드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속도 제어는 소비전력의 인입을 높이거나 낮춤으로서 에너지 절감효과를 높이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변은 제어판의 파워 피씨비의 회로 설계에 의해 체크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호스관에 형성되어 가압챔버로부터 저장관에 공급되는 기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본체 케이스 110 ... 공간부
120 ... 에어 흡입구 130 ... 에어 토출구
140 ... 소화분말 수용구 141 ... 고정바
142 ... 소화분말함 143 ... 물림구
144 ... 인서트 고정체 145 ... 접합띠
150 ... 미세먼지 여과용 에어필터 어셈블리
151 ... 프레임 골조
152 ... 메쉬 스크린 153 ... 필터체
154 ... 그물코 155 ... 세라믹 볼
156 ... 합성수지 마개
200 ... 에어 유니트 210 ... 팬 블레이드
220 ... 팬 모터
300 ... 가압공기 유니트 310 ... 가압챔버
320 ... 저장관 330 ... 호스관
340 ... 가지관 350 ... 스프레이어
360 ... 체크밸브 361 ... 전자변
370 ... 클램프 홀더 380 ... 장착 브라켓
400 ... 제어판

Claims (3)

  1.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는 함체의 상측에 미세먼지 여과용 에어필터 어셈블리(150)를 갖는 에어 흡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 흡입구(120)와 대향되는 함체의 직하방향 하측에는 에어 토출구(13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에어 토출구(130)와 직교되는 측면 일측에는 연통공(160)이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가압챔버(310)로 공급되도록 하는 본체 케이스(100)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공간부(110)에 팬 블레이드(210)가 내장되도록 하되, 상기 팬 블레이드(210)는 팬 모터(220)에 의해 가동되도록 형성되어 에어 흡입구(120)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에어 토출구(130) 및 연통공(160) 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에어 유니트(200)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연통공(160) 일측에 형성되어 가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가압챔버(310)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챔버(310)는 호스관(330)에 의해 저장관(320)과 연결되며, 상기 저장관(320)은 다수개의 가지관(34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가지관(340)의 끝단에는 가압공기 생성용 스프레이어(350)가 결합되며, 상기 호스관(330)은 선상 일측에 전자변(361)을 갖는 체크밸브(360)가 형성되고, 상기 저장관(320)은 클램프 홀더(370)에 의해 지지되면서 본체 케이스(100)에 고정된 장착 브라켓(380)으로 하여금 탈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공기 유니트(300)와; 상기 에어 유니트의 팬 모터(220) 회전속도를 조절하도록 하되, 가압공기 유니트의 전자변(361)으로 하여금 체크밸브(360)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판(4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에어 토출구(130)는 관통된 개구공에 대하여 조립식 구조의 소화분말 수용구(140)가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소화분말 수용구(140)는 에어 토출구(130)의 길이방향 개구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인입된 고정바(141)가 장착되면 에어 토출구와 수평방향으로 인입된 소화분말함(142)이 조립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바(141)의 하부 일측에는 탄성에 의해 벌어졌다 오무려지는 개구식 물림구(143)가 형성되고, 상기 소화분말함(142)의 상측 단부에는 삼각대 형상의 인서트 고정체(144)가 형성되어 상기 물림구와 대응되면서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이어(350)는 상,하단이 개구된 소켓통(351-1)의 상부에 체결용 나사(351-2)가 형성되고, 내부 일측에 단턱(351-3)이 형성되는 노즐 하우징(351)과; 노즐 하우징(351)의 내부 중공에 삽입되도록 하되, 상부가 개방된 캡 형상의 상측 외주면 일측에 결합단(352-1)이 형성되어 노즐 하우징의 단턱(351-3)에 안착되면서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삽입된 캡 형상의 하단면에는 다공판(352-2)이 결합되며, 상측 내주면에는 걸림턱(352-3)이 형성되는 가압공기 생성구(352)와; 가압공기 생성구(352)의 걸림턱(352-3)에 대응되어 삽입 및 안착되면서 조립되도록 납작한 원형 컵(353-1) 외주면에 걸침턱(353-2)이 형성되고, 원형 컵(353-1)의 면상에는 기압 상승용 중앙 관통공(353-3)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소형 가압공(353-4)이 형성되며, 원형 컵(353-1)의 개구된 단부에는 기압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제2다공판(353-5)이 결합되는 기압 상승구(353)와; 상기 노즐 하우징(351)의 체결용 나사(351-2)에 소구경 조립나사(354-1)가 대응되어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소구경 조립나사(354-1)와 제2다공판(353-5)의 사이에는 고무패킹(354-2)이 삽입되어 누기를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소구경 조립나사(354-1)와 대향되는 반대측에는 대구경 조립나사(354-3)가 형성되어 가지관(340)의 단부 나사홈과 대응되면서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몸체 중앙에는 기압 증폭을 위한 유도공(354-4)이 형성되는 조립용 부싱(354)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미세먼지 여과용 에어필터 어셈블리(150)는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도록 프레임 골조(151)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골조의 개구된 전후면에 대하여 메쉬 스크린(152)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골조(151) 내부에 삽입되면서 복수의 메쉬 스크린(152) 사이에 배치되도록 허니컴 형상의 필터체(153)가 내장되도록 하되, 상기 허니컴 형상의 필터체(153)는 유입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하도록 다수개의 그물코(154) 중 선택된 그물코(154)에만 세라믹 볼(155)이 삽입되어 초미세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세라믹 볼(155)이 삽입되지 않지 나머지 그물코(154)에는 그물코의 내경과 동일한 외형을 갖는 합성수지 마개(156)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그물코(154)의 형태는 유지되면서 설치 중량은 감소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 홀더(370)는 저장관(320)이 삽입되는 원형 링(371)의 일측에 알파벳 'C' 형상의 그립퍼(372)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그립퍼(372)는 개구부(373) 각도가 80°이하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380)은 볼 형태의 쐐기(381)를 갖는 끼움축(382)이 고정판(383)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하되, 상기 쐐기(381)는 그립퍼(372)의 개구부(373)를 통해 강제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되면서 조립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383)은 본체 케이스(100)의 에어 토출구(130) 일측에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
  2. 삭제
  3. 삭제
KR1020180137808A 2018-11-12 2018-11-12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962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808A KR101962184B1 (ko) 2018-11-12 2018-11-12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808A KR101962184B1 (ko) 2018-11-12 2018-11-12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184B1 true KR101962184B1 (ko) 2019-05-07

Family

ID=6665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808A KR101962184B1 (ko) 2018-11-12 2018-11-12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18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8826A (zh) * 2019-07-26 2019-11-15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服务器自动灭火系统
CN111628418A (zh) * 2020-06-10 2020-09-04 江西明正变电设备有限公司 一种高低压电力设备的报警系统
CN111741632A (zh) * 2020-07-23 2020-10-02 刘闪闪 一种防尘的电气控制柜
CN112138307A (zh) * 2020-09-17 2020-12-29 衢州学院 一种地埋式变电站温度全感知智能系统
CN112991658A (zh) * 2021-02-08 2021-06-18 深圳市伊力科电源有限公司 火灾预警方法及不间断电源
CN113708269A (zh) * 2021-09-06 2021-11-26 通榆壹伟新能源有限公司 一种沙漠用电力柜散热系统
CN115173290A (zh) * 2022-09-08 2022-10-11 中北大学 一种自除尘式变电站用通风过滤设备
CN115693437A (zh) * 2022-11-18 2023-02-03 邯郸市破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调节功能的配电柜
CN116780544A (zh) * 2023-08-24 2023-09-19 晋江市高威电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实现大功率供电的电源滤波器
CN117638671A (zh) * 2024-01-24 2024-03-01 大庆市诚喜再生资源回收有限公司 一种便于操作的电力配电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531B1 (ko) 2010-05-31 2010-12-07 경성산업 주식회사 수배전반의 원격 온도/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1423B1 (ko) * 2009-03-03 2011-07-22 한양전공주식회사 압축공기식 부식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380124B1 (ko) * 2014-01-21 2014-04-02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테크 공조용 공기 공급장치
KR101411958B1 (ko) * 2012-05-09 2014-06-27 주식회사 태건상사 소화기가 구비된 분전반
KR101760650B1 (ko) * 2016-12-23 2017-08-04 주식회사 케이앤엠 내환경 구조를 갖는 공기압축기용 시스템 제어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423B1 (ko) * 2009-03-03 2011-07-22 한양전공주식회사 압축공기식 부식방지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0998531B1 (ko) 2010-05-31 2010-12-07 경성산업 주식회사 수배전반의 원격 온도/화재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11958B1 (ko) * 2012-05-09 2014-06-27 주식회사 태건상사 소화기가 구비된 분전반
KR101380124B1 (ko) * 2014-01-21 2014-04-02 주식회사 에이엔에이치테크 공조용 공기 공급장치
KR101760650B1 (ko) * 2016-12-23 2017-08-04 주식회사 케이앤엠 내환경 구조를 갖는 공기압축기용 시스템 제어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8826B (zh) * 2019-07-26 2021-04-27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服务器自动灭火系统
CN110448826A (zh) * 2019-07-26 2019-11-15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服务器自动灭火系统
CN111628418A (zh) * 2020-06-10 2020-09-04 江西明正变电设备有限公司 一种高低压电力设备的报警系统
CN111628418B (zh) * 2020-06-10 2022-03-08 江西明正变电设备有限公司 一种高低压电力设备的报警系统
CN111741632A (zh) * 2020-07-23 2020-10-02 刘闪闪 一种防尘的电气控制柜
CN112138307A (zh) * 2020-09-17 2020-12-29 衢州学院 一种地埋式变电站温度全感知智能系统
CN112991658A (zh) * 2021-02-08 2021-06-18 深圳市伊力科电源有限公司 火灾预警方法及不间断电源
CN112991658B (zh) * 2021-02-08 2022-12-06 深圳市伊力科电源有限公司 火灾预警方法及不间断电源
CN113708269B (zh) * 2021-09-06 2023-12-29 企特电气有限公司 一种沙漠用电力柜散热系统
CN113708269A (zh) * 2021-09-06 2021-11-26 通榆壹伟新能源有限公司 一种沙漠用电力柜散热系统
CN115173290A (zh) * 2022-09-08 2022-10-11 中北大学 一种自除尘式变电站用通风过滤设备
CN115693437B (zh) * 2022-11-18 2023-08-25 黑龙江省汉泽石油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调节功能的配电柜
CN115693437A (zh) * 2022-11-18 2023-02-03 邯郸市破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调节功能的配电柜
CN116780544A (zh) * 2023-08-24 2023-09-19 晋江市高威电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实现大功率供电的电源滤波器
CN116780544B (zh) * 2023-08-24 2023-11-10 晋江市高威电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实现大功率供电的电源滤波器
CN117638671A (zh) * 2024-01-24 2024-03-01 大庆市诚喜再生资源回收有限公司 一种便于操作的电力配电柜
CN117638671B (zh) * 2024-01-24 2024-04-02 大庆市诚喜再生资源回收有限公司 一种便于操作的电力配电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184B1 (ko) 고성능 방열 냉각 구조와 미세먼지 유입방지구 및 즉답식 소화기구가 구비된 수배전반
CN202223795U (zh) 智能化无管网柜式超细干粉灭火装置
KR102023998B1 (ko) 지중배전선로의 화재 방지 장치
KR102329877B1 (ko) 가변식 냉각모듈을 이용한 함체 냉각 시스템
CN114204431A (zh) 一种智能组合式交流低压动力配电柜
CN211929928U (zh) 一种防火型配电柜
CN208062524U (zh) 一种防水防尘高低压开关柜
CN110766904A (zh) 一种含有烟雾传感器与喷头的监控装置
CN209233276U (zh) 一种通信用网络基站配电箱
CN217116777U (zh) 一种堆焊控制柜远程控制系统
CN214379531U (zh) 一种便于延长使用寿命的箱式变电站
CN211956156U (zh) 一种配电变压器监测装置
CN213716112U (zh) 一种弱电工程安全报警装置
CN210284617U (zh) 一种用于高楼灭火的无人机装置
CN211957329U (zh) 一种具有自我防护功能的户外变压器
CN211383551U (zh) 一种电力故障应急平台气体喷射冷却装置
CN107243127A (zh) 消防用出水口增压防火防冻装置
CN210933540U (zh) 一种消防楼宇用灭火装置
CN207160350U (zh) 幕墙系统
CN207069395U (zh) 一种防高温配电柜
CN113725755B (zh) 一种预装式高压配电柜智能保护装置
CN208142550U (zh) 一种电器自动控制器柜
CN112653004A (zh) 一种具有预警监测和驱潮功能的环网柜
CN107732741A (zh) 一种半埋式箱式变电站开关柜室的通风散热系统
CN206851228U (zh) 一种使用方便的电子设备散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