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747B1 -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747B1
KR101960747B1 KR1020170110967A KR20170110967A KR101960747B1 KR 101960747 B1 KR101960747 B1 KR 101960747B1 KR 1020170110967 A KR1020170110967 A KR 1020170110967A KR 20170110967 A KR20170110967 A KR 20170110967A KR 101960747 B1 KR101960747 B1 KR 10196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pper space
damper
air supply
clean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206A (ko
Inventor
유지용
백남월
박철수
박태하
도광구
정은영
신원호
김현섭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7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3/16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클린룸(1) 상부를 폐쇄하는 시스템 실링(10), 상기 시스템 실링(10)의 상부에 형성된 어퍼 실링(20) 및 상기 어퍼 실링(20) 상부에 형성된 지붕재(30)로 구분된 상부공간(100)을 포함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100)은 상기 시스템 실링(10)과 상기 어퍼 실링(20) 사이에 형성된 제1 상부공간(110); 및 상기 어퍼 실링(20)과 상기 지붕재(30) 사이에 형성된 제2 상부공간(120);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상부공간(120)에 공기를 급기하는 제2 급기부(210); 및 상기 제2 상부공간(120)에 급기된 공기를 배기하는 제2 배기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급기부(210)는 상기 제2 상부공간(120)과 연결된 제2 급기덕트(211); 및 상기 제2 급기덕트(211)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공간(120)으로 공기를 급기하는 제2 급기팬(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절기에 발생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동절기에 발생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하나의 시스템에 의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on condensation on clean room}
본 발명은 건축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클린룸에서 쓰인 저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클린룸의 상부공간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린룸이란 공기 중의 부유 미립자, 온습도, 압력 등이 규정된 기준에 의해 관리되는 공간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공기 중의 부유 미립자가 규정된 청정도 이하로 관리되고, 또한 그 공간에 공급되는 재료, 약품, 물 등에 대해서도 요구되는 청정도가 유지되며, 필요에 따라서 온도와 습도 및 압력 등의 환경조건 등에 대해서도 관리가 행하여지는 공간을 말한다.
클린룸은 크게 산업용 클린룸과 바이오 클린룸으로 구분된다.
최근 전자공업이나 정밀 기계공업 등 첨단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그 생산제품에는 정밀화, 미세화, 고품질화 및 고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전자공장, 필름(FILM)공장 또는 정밀 기계공장 등에서는 실내 부유 미립자가 제조 중인 제품에 부착되면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고, 사용 목적에 적합한 제품의 생산에 저해요소가 되어 제품의 신뢰성과 수율(생산원가)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공장 전체 또는 중요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필요에 대응하는 청정한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의 청정공간을 산업용 클린룸(Industrial Clean Room)이라고 하며 대단히 높은 청정상태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산업용 클린룸의 특징은 클린룸 설비 투자비가 제품의 품질, 수율 향상으로 이어지므로 어느 제품에는 어느 정도의 청정도가 필요한지 또한 경험 데이터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클린룸 설치 시에는 제조공정 중 가장 중요한 부분에 최고 청정도를 적용하고 다른 공정은 가능한 한 경제적인 클린룸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이오 클린룸은 제약공장, 식품공장, 병원의 수술실 등과 같이 제품의 오염방지, 변질방지 및 환자의 감염방지를 위해 무균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시설을 말한다. 주로 미생물을 제어대상으로 하는 바이오 클린룸은 의약품 제조공정의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 의약품의 제조 관리 기준)와 병원 수술실에서의 무균화의 필요성에 의해 발전해 왔다. 또한, 식품 및 화장품 산업에서도 점차 GMP에 준하는 클린룸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미 레토르트 식품, 저장기간이 긴 식품(간장, 된장, 햄, 소시지)의 제조공정과 주류와 음료 충전 공정 등에서는 클린룸이 적용되고 있다. 일반 박테리아는 고성능 필터에 잡혀 제거되지만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에 비해 대단히 작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는 제거하기가 곤란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는 공기 중의 부유 미립자에 부착해서 존재하므로 공기 중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방법에 의하여 세균류의 제거가 가능하다.
공기 중의 세균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자외선 또는 염화리튬 등의 약품을 사용하여 살균하는 것이 보통이었지만 근래에는 고성능 필터를 통하여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무균에 가까운 상태를 만들고 있다. 한편, 의약품 제조 및 개발에 필수적인 동물실험 시설에는 GLPR(Good Laboratory Practice Regulation: 전임상 시험시의 동물시설 규범)규격이 적용되며 이는 클린룸 기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전자 변환 등의 바이오 테크놀러지의 개발과 함께 실험자에 대한 감염방지와 오염원의 실험실 외부로의 유출을 방지하는 대책(Bio-Hazard)의 일환으로 고도로 제어된 클린룸을 필요로 하고 있어 바이오 클린룸은 첨단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린룸(1)은 외부 환경과의 완벽한 차폐를 위해 시스템 실링(10)으로 내부공간을 폐쇄함과 아울러, 상부에는 어퍼 실링(20)을 설치하여 외기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한다.
따라서, 클린룸(1)의 상부는 시스템 실링(10), 어퍼 실링(20) 및 지붕재(30)의 최소 3단 구조로 차폐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폐 구조의 형성으로 인하여 시스템 실링(10)과 상기 어퍼 실링(20) 사이에 형성된 제1 상부공간(110)과 어퍼 실링(20)과 지붕재(30) 사이에 형성된 제2 상부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클린룸(1) 내부의 온도는 20도 ~ 25도 정도이고 이에 따라 시스템 실링(10)을 접면으로 클린룸(1)과 맞닿은 제1 상부공간(110)의 온도는 20도 정도로 유지된다.
이 경우 제2 상부공간(120)에 노출된 어퍼 실링(20)의 상면 표면온도는 제1 내부공간(110)의 영향으로 20도에서 23도 정도의 온도가 유지되는데 지붕재(30)의 틈새로 고온다습한 외기가 유입되는 경우 어퍼 실링(20)의 상면에서 결로수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결로수가 시스템 실링(10)으로 낙수되어 클린룸이 오염되는 원인이 된다.
클린룸 내부에서의 이러한 결로현상은 중, 저온 시설을 주로 사용하는 식품관련시설의 생산 또는 작업라인에 위생에 치명적인 곰팡이 및 각종 균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되어 이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피해는 막대하다.
더하여 전자,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관련 클린품의 청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결로 발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붕재를 기밀화하거나 어퍼 실링의 단열 성능을 강화하는 등의 기술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외부로 노출된 지붕재는 열화 등의 사유로 인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밀성능이 저하되고, 어퍼 실링의 단열성이 아무리 뛰어 나더라도 제1 상부공간과 제2 상부공간의 온도차이로 인해 결로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었다.
클린룸의 상부공간에 대한 결로의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였던 종래의 기술은 이하와 같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80816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27983
본 발명은 종래의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절기에 발생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절기의 결로방지 시스템의 구조에 의해 동절기에 발생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을 갖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클린룸(1) 상부를 폐쇄하는 시스템 실링(10), 상기 시스템 실링(10)의 상부에 형성된 어퍼 실링(20) 및 상기 어퍼 실링(20) 상부에 형성된 지붕재(30)로 구분된 상부공간(100)을 포함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100)은 상기 시스템 실링(10)과 상기 어퍼 실링(20) 사이에 형성된 제1 상부공간(110); 및 상기 어퍼 실링(20)과 상기 지붕재(30) 사이에 형성된 제2 상부공간(120);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상부공간(120)에 공기를 급기하는 제2 급기부(210); 및 상기 제2 상부공간(120)에 급기된 공기를 배기하는 제2 배기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급기부(210)는 상기 제2 상부공간(120)과 연결된 제2 급기덕트(211); 및 상기 제2 급기덕트(211)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공간(120)으로 공기를 급기하는 제2 급기팬(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급기부(210)를 통해 급기되는 공기는 상기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기부(220)는 자연배기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린룸(1) 상의 공기를 배기하는 제1 배기부(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급기부(210)는 상기 제1 배기부(2)로부터 공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급기덕트(211)를 개폐하며, 상기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급기팬(212)의 전방에 형성된 제1 댐퍼(310); 및 상기 제2 급기덕트(211)를 개폐하며, 상기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급기팬(212)의 후방에 형성된 제2 댐퍼(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급기덕트(211)와 외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개폐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 점검구(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점검구(400)는 상기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댐퍼(320)의 후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급기덕트(211)를 개폐하며, 상기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상기 점검구(400)의 후방에 형성된 제3 댐퍼(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점검구(400)는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댐퍼(310), 상기 제2 댐퍼(320) 및 상기 제3 댐퍼(330)는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점검구(400)는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댐퍼(310), 상기 제2 댐퍼(320) 및 상기 제3 댐퍼(330)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점검구(400)는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댐퍼(310), 상기 제2 댐퍼(320) 및 상기 제3 댐퍼(330)는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점검구(400)는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댐퍼(310), 상기 제2 댐퍼(320) 및 상기 제3 댐퍼(330)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부공간(120)은 양압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2 급기부(210)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절기에 발생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절기의 결로방지 시스템의 구조에 의해 동절기에 발생될 수 있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구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하절기 클린룸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결로 현상의 발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에서의 하절기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에서의 동절기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의 점검구의 유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의 제2 급기팬의 온오프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 운용에 따른 제습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이하 '결로방지 시스템'이라 한다)이 적용되는 클린룸의 상부공간(100)은 클린룸(1) 상부를 폐쇄하는 시스템 실링(10), 시스템 실링(10)의 상부에 형성된 어퍼 실링(20) 및 어퍼 실링(20) 상부에 형성된 지붕재(30)로 구분될 수 있다(도 1).
이 경우 상부공간(100)은 시스템 실링(10)과 어퍼 실링(20) 사이에 형성된 제1 상부공간(110) 및 어퍼 실링(20)과 지붕재(30) 사이에 형성된 제2 상부공간(120)을 포함할 수 있다(도 1).
본 발명에서의 클린룸의 개념은 사계절 외기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 상황을 유지해야 하는 공간에 대해 상부에 버퍼가 마련된 모든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은 제2 상부공간(120)에 공기를 급기하는 제2 급기부(210) 및 제2 상부공간(120)에 급기된 공기를 배기하는 제2 배기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붕재의 기밀화나 어퍼 실링의 단열성능 강화와 같은 부재의 변경을 통해 클린룸 상부공간에서 발생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아닌, 클린룸 상부공간(100)의 공기압을 양압으로 형성하여, 지붕재(30) 통한 외기의 유입을 막음과 아울러, 제2 상부공간(120)의 공기 온도가 어퍼 실링(20)의 상면의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결로 발생의 조건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발명의 과제 해결원리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 급기부(210)는 제2 상부공간(120)과 연결된 제2 급기덕트(211) 및 제2 급기덕트(211) 상에 형성되며, 제2 상부공간(120)으로 공기를 급기하는 제2 급기팬(212)을 포함할 수 있다(도 3).
제2 급기부(210)를 통해 급기되는 공기는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2 급기부(210)를 통해 급기되는 공기를 클린룸(1)의 배출 공기를 이용할 수 있다.
클린룸(1)의 내부 온도는 8도에서 14도 사이의 저온 상태가 유지되므로 클린룸(1)의 제1 배기부(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제2 급기부(210)를 통해 제2 상부공간(120)으로 제공하는 경우, 하절기에는 제2 급기부(210)를 통해 급기되는 공기가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인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별도의 냉각장치를 통한 공기의 냉각이 요구되지 않아 유지 관리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음과 아울러, 클린룸(1) 내부에서 사용된 청정의 저온 공기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로 인해 클린룸의 상부공간(100)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첫째, 제2 상부공간(120)의 공기압이 양압인 상태로 유지되므로 외기의 공기가 제2 상부공간(120)으로 침투되지 않는다.
둘째, 제2 상부공간(120)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14도에서 18도 사이의 저온이므로 어퍼 실링(20)의 상면의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 환경이 조성되어 결로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의 제2 배기부(220)는 자연배기 시스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제2 배기부(220)에 별도의 배기팬을 구비시키는 경우에는 배기팬 전단에 부분적으로 음압이 형성되어 외기가 침투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이 가동되는 경우의 제2 내부공간(120)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다.
클린룸(1)의 제1 배기부(2)를 통해 배기된 저온의 공기는 제2 급기부(210)를 통해 제2 내부공간(120)으로 인입되어 저온 양압의 공기환경을 조성한다. 제2 내부공간(120) 상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 배기부(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은 효율적은 운용을 위해 외기의 노점 온도에 따라 제2 급기팬(212)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외기의 노점 온도가 어퍼 실링(20)의 상면의 온도보다 더 낮은 경우에는 제2 급기팬(212)의 작동을 중지하고, 외기의 노점 온도가 어퍼 실링(20)의 상면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2 급기팬(212)의 작동을 재계하여 결로방지 환경을 조성한다.
다만, 시스템 운용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외기의 노점 온도가 어퍼 실링(20) 상면의 온도와 소정의 차이(t)가 형성된 시점에서 제2 급기팬(212)의 작동의 중지 및 재계가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도 8).
제2 급기팬(212)의 작동의 기준이 되는 소정의 차이(t)는 지역, 기후, 계정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토대로 결정될 수 있다.
동절기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외기의 노점 온도가 어퍼실링(20) 상면의 온도보다 더 낮게 형성되므로 제2 급기팬(212)의 작동이 요구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은 클린룸(1)의 제1 배기부(2)와 연결되어 있고, 제1 배기부(2)는 배출구(4)가 형성되어 있어 배출구(4)로부터 인입되는 차가운 외기 공기와 제1 배기부(2)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혼합되어 제1 배기덕트(3) 또는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은 제2 급기덕트(211)를 개폐하며,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제2 급기팬(212)의 전방에 형성된 제1 댐퍼(310) 및 제2 급기덕트(211)를 개폐하며,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제2 급기팬(212)의 후방에 형성된 제2 댐퍼(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절기의 경우 제1 댐퍼(310)와 제2 댐퍼(320)를 폐쇄하여 제1 배기부(2)에서 제공되는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은 상기 제2 급기덕트(211)와 외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개폐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 점검구(400);를 더 포함하되, 점검구(400)는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댐퍼(32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급기덕트(211)를 개폐하며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점검구(400)의 후방에 형성된 제3 댐퍼(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절기에 제3 댐퍼(330)을 폐쇄하여 제1 배기부(2)에서 제2 급기덕트(212)로 공기 및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더하여, 제3 댐퍼(330)을 통과하여 일부 습기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점검구(400)를 개방할 수 있다.
점검구(400)는 댐퍼의 수리 및 점검을 위한 용도 이외에도, 동절기에 제3 댐퍼(330)를 통과하여 인입된 습기 배출의 기능 수행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높은 하절기의 경우에는 점검구(400)는 폐쇄함과 아울러 제1 댐퍼(310), 제2 댐퍼(320) 및 제3 댐퍼(330)는 개방하는 것이 제2 상부공간(120) 상의 결로 현상 발생 방지에 바람직하다.
이와 비교하여,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낮은 동절기의 경우에는 점검구(400)는 개방함과 아울러 제1 댐퍼(310), 제2 댐퍼(320) 및 제3 댐퍼(330)는 폐쇄하는 것이 제2 급기덕트(212) 상의 결로 현상 발생 방지에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의 제습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결로방지 시스템이 작동되는 경우에는 제2 내부공간(120) 상의 공기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결로방지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외기의 노점온도의 변화에 따라 제2 내부공간(120) 상의 공기의 온도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시스템 실링
20 : 어퍼 실링
30 : 지붕재
100 : 상부공간
200 : 급배기부
300 : 댐퍼
400 : 점검구

Claims (12)

  1. 클린룸(1) 상부를 폐쇄하는 시스템 실링(10), 상기 시스템 실링(10)의 상부에 형성된 어퍼 실링(20) 및 상기 어퍼 실링(20) 상부에 형성된 지붕재(30)로 구분된 상부공간(100)을 포함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100)은
    상기 시스템 실링(10)과 상기 어퍼 실링(20) 사이에 형성된 제1 상부공간(110); 및
    상기 어퍼 실링(20)과 상기 지붕재(30) 사이에 형성된 제2 상부공간(120);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상부공간(120)에 공기를 급기하는 제2 급기부(210); 및
    상기 제2 상부공간(120)에 급기된 공기를 배기하는 제2 배기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급기부(210)는
    상기 제2 상부공간(120)과 연결된 제2 급기덕트(211); 및
    상기 제2 급기덕트(211)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부공간(120)으로 공기를 급기하는 제2 급기팬(212);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급기부(210)를 통해 급기되는 공기는 상기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이며,
    상기 제2 배기부(220)는 자연배기 시스템이고,
    상기 클린룸(1) 상의 공기를 배기하는 제1 배기부(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급기부(210)는 상기 제1 배기부(2)로부터 공기를 제공받으며,
    상기 제2 급기부(210)는 상기 제2 상부공간(120)은 양압이 유지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제2 급기덕트(211)를 개폐하며, 상기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급기팬(212)의 전방에 형성된 제1 댐퍼(310); 및
    상기 제2 급기덕트(211)를 개폐하며, 상기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급기팬(212)의 후방에 형성된 제2 댐퍼(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급기덕트(211)와 외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개폐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 점검구(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점검구(400)는 상기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상기 제2 댐퍼(320)의 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급기덕트(211)를 개폐하며, 상기 제2 급기덕트(211) 상에서의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상기 점검구(400)의 후방에 형성된 제3 댐퍼(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점검구(400)는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댐퍼(310), 상기 제2 댐퍼(320) 및 상기 제3 댐퍼(330)는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점검구(400)는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댐퍼(310), 상기 제2 댐퍼(320) 및 상기 제3 댐퍼(330)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10. 제1항의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점검구(400)는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댐퍼(310), 상기 제2 댐퍼(320) 및 상기 제3 댐퍼(330)는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공간(110) 상의 공기의 온도보다 외부의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 상기 점검구(400)는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댐퍼(310), 상기 제2 댐퍼(320) 및 상기 제3 댐퍼(330)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공간(120)은 양압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2 급기부(210)에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



KR1020170110967A 2017-08-31 2017-08-31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 KR101960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67A KR101960747B1 (ko) 2017-08-31 2017-08-31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67A KR101960747B1 (ko) 2017-08-31 2017-08-31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206A KR20190024206A (ko) 2019-03-08
KR101960747B1 true KR101960747B1 (ko) 2019-03-21

Family

ID=6580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967A KR101960747B1 (ko) 2017-08-31 2017-08-31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75B1 (ko) 2022-08-17 2023-05-11 이승규 클린룸 보호를 위한 건축구조물 결로 방지용 천장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5615A (zh) * 2020-07-24 2020-11-06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及其净化控制方法
CN114110956B (zh) * 2021-11-29 2023-04-25 海信空调有限公司 空调器自清洁控制方法、空调器和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8352B2 (ja) * 2001-08-24 2008-01-23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クリーンルーム
KR101655079B1 (ko) * 2016-04-19 2016-09-07 삼성물산 주식회사 반도체 클린룸의 천정구조
JP2017048940A (ja) * 2015-08-31 2017-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クリーンルーム用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54B1 (ko) * 2013-01-25 2013-06-11 주식회사 제일테크 결로방지댐퍼를 이용하여 결로를 방지하는 환기용 급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8352B2 (ja) * 2001-08-24 2008-01-23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クリーンルーム
JP2017048940A (ja) * 2015-08-31 2017-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クリーンルーム用空調システム
KR101655079B1 (ko) * 2016-04-19 2016-09-07 삼성물산 주식회사 반도체 클린룸의 천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75B1 (ko) 2022-08-17 2023-05-11 이승규 클린룸 보호를 위한 건축구조물 결로 방지용 천장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206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747B1 (ko)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클린룸 상부공간의 결로방지 방법
TWI284569B (en) Full air-exchanging security cabinet
KR101586123B1 (ko) 자동제어반 및 수배전반 부식방지 시스템
CA2926416A1 (en) Unit for connecting modular mobile rooms
JP2016065696A (ja) 制御装置、通風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US20200171188A1 (en) Safety Cabinet and Method for Sterilizing Same
CN104502261B (zh) 一种多功能腐蚀气体实验箱
CN217785382U (zh) 传染病实验方舱环境控制装置
Vutla et al. Life cycle assessment of cleanroom for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fabrication with insights on sustainability
KR20180114259A (ko) 바이오 안전 작업대
CN206304781U (zh) 一种超净工作台
KR20200019838A (ko) 드라이룸의 부스 장치
CN104482614B (zh) 一种双冷源显热处理高温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
KR100664720B1 (ko) 공기청정기용 에어필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JP2005326093A (ja) 簡易型バイオクリーンルーム
KR20180132025A (ko) 실내 배기형 생물 안전 작업대
EP0979379A1 (en) Air treatment device, installation, and method
JPH11238787A (ja) ウェハストッカー
Bhatia HVAC Design for Pharmaceutical Facilities
CN110989479A (zh) 一种封闭防爆空间的环境参数测量与调控方法及装置
Zaki et al. Overview of HVAC system: operational significance of HVAC provision for pharmaceutical facilities
CN201926279U (zh) 真空冷冻干燥机固定式自动进出料上的无菌隔离器
JP2010121909A (ja) クリーンルーム内のガス状汚染物質除去方法
JP7382269B2 (ja) 微生物を制御する室の空調システム
CN204555120U (zh) 洁净手术室环境隔离保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