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505B1 - 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ning Using Snap Dome Switch of Sliding Contact Type - Google Patents

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ning Using Snap Dome Switch of Sliding Contact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505B1
KR101960505B1 KR1020170175575A KR20170175575A KR101960505B1 KR 101960505 B1 KR101960505 B1 KR 101960505B1 KR 1020170175575 A KR1020170175575 A KR 1020170175575A KR 20170175575 A KR20170175575 A KR 20170175575A KR 101960505 B1 KR101960505 B1 KR 101960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sub
snap dome
dome switch
sn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5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17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5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5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8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hollow waveguide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ing using a snap dome switch of a sliding contact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ing using a snap dome switch of a sliding contact type comprises: a housing in which an input/output connector is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cavities are partitioned by partition walls; a resonator which is installed in the cavity; a plurality of sub-tuning elements which is mounted around the resonator without being in electrical contact with an upper plate forming the housing, and has different lengths; a plurality of snap dome switches which are formed on the upper plate forming the housing of the cavity b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ub-tuning elements in one-to-one correspondence; and a sliding member which presses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nap dome switches while sliding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so a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one or more sub-tuning elements to the housing of the cavit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ble contact structure by pressing the snap dome switch spaced apart from the sub-tuning elements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by a sliding method, wherein the sub-tuning elements are disposed around a main tuning bolt in the housing forming the cavity filter and have different lengths, and at the same time and can vary frequency characteristics such as operating frequency and frequency bandwidth.

Description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ning Using Snap Dome Switch of Sliding Contact Typ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able cavity filter that can be easily tuned by using a snap contact dome switch.

본 발명은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비티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부에서 메인튜닝볼트의 둘레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서브튜닝소자와, 스냅돔 스위치를 하우징의 상측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가압하여 안정적인 접점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동작주파수 및 주파수대역폭과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able cavity filter which can be tuned easily by using a snap contact type snap dome switch.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able cavity filter which is disposed around a main tuning bolt in a housing constituting a cavity filter, And a snap contact dome switch capable of vary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such as operating frequency and frequency bandwidth while providing a stable contact structure by pressing the snap dome switch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in a sliding manner To a tunable cavity filter which is easily tuned in frequency.

이동통신 기술이 진화함에 따라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데이터 전송 증가에 따른 송수신 감도 개선을 위해 기지국의 송출전력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As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evolves, the data transmission rate increases exponentially and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base station is increasing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ensitivity due to the increase of the data transmission.

이러한 기지국에서 송수신 단 간섭방지를 위해 필수장비로 사용되는 듀플렉서(duplexer)는 고전력을 버티기 위하여 고 내전력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의 동축(Coaxial) 공진기를 이용하여 주로 구현된다.A duplexer, which is used as an essential devic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ds in such a base station, is mainly implemented by using an aluminum-made coaxial resonator having high internal power characteristics to withstand high power.

또한, 기지국에 사용되는 듀플렉서는 가파른 스커트(Skirt)특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기구 공차에 매우 민감하며 동축 공진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상측 커버에 금속 튜닝 스크류(Metal Tuning Screw)를 적용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듀플렉서에서 요구하는 필터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uplexer used in the base station requires a skirt characteristic, the metal tuning screw is applied to the upper cover of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coaxial resonator to adjust the resonance frequency The filter characteristics required by the duplexer can be implemented.

이와 같이, 필터는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 중 특정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술한 듀플렉서 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으며, RF필터의 대역통과 주파수는 필터의 인덕턴스 성분 및 캐패시턴스 성분에 의해 결정되는데,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의 대역통과 주파수를 조절하는 작업을 튜닝이라고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is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duplexer described above as an apparatus for passing only a specific frequency band signal among input frequency signals, and the band pass frequency of the RF filter is determined by the inductance component and the capacitance component of the filter ,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band pass frequency of the filter as described above is referred to as tuning.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업자들에게는 임의의 주파수 대역이 할당 되며,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의 채널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통신 사업자들은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맞는 필터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 arbitrary frequency band is allocated to the operators, and the allocated frequency band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hannels. Conventional telecommunication carriers have separately created and used a filter for each frequency ban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튜너블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unable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캐비티 필터(1)는, 하우징(10), 입력 커넥터(11), 출력 커넥터(12), 커버(13), 다수의 캐비티(14), 및 공진기(15)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conventional cavity filter 1 includes a housing 10, an input connector 11, an output connector 12, a cover 13, a plurality of cavities 14, and a resonator 15, .

일반적으로, RF필터는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 중 특정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RF filter is a device for passing only a specific frequency band signal among input frequency signals, and is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필터 내부에는 다수의 월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월에 의해 각각의 공진기가 수용되는 캐비티(14)가 정의된다. 커버(13)에는 하우징(10)과 커버(13)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홀 및 튜닝볼트(16)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walls are formed in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 cavity 14 in which each resonator is accommodated by a plurality of walls is defined. The cover 13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and a tuning bolt 16 for coupling the housing 10 and the cover 13.

여기서, 튜닝볼트(16)는, 커버(13)에 형성된 결합 홀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관통한다. 이때, 튜닝볼트(16)는,공진기(15)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캐비티(14) 내부의 소정위치에 상응하여 커버에(13)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tuning bolt 16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over 13. At this time, the tuning bolt 16 may be disposed on the cover 1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sonator 15 o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cavity 14.

또한, RF신호는 입력 커넥터(11)에 의해 입력되어 출력 커넥터(12)로 출력하는데, RF신호는 각각의 캐비티에 형성되어 있는 커플링 윈도우를 통해 진행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캐비티(14) 및 공진기(15)에 의해 RF신호의 공진현상이 발생하며, 공진현상에 의한 RF신호를 필터링 할 수 있다.Also, the RF signal is input by the input connector 11 and output to the output connector 12, and the RF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upling window formed in each cavity. At this time, the resonance phenomenon of the RF signal occurs by the cavities 14 and the resonators 15, and the RF signal due to the resonance phenomenon can be filtered.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필터는 주파수 및 대역폭에 대한 튜닝을 상기의 튜닝볼트(16)를 이용하여 할 수 있다.Thus, the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can be tuned for frequency and bandwidth using the tuning bolt 16 described abov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튜너블 필터에서 하나의 캐비티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cavity in the tunable filter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닝볼트(16)는, 커버(13)를 관통하여 공진기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튜닝볼트(16)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uning bolt 16 may be positioned above the resonator through the cover 13, and the tuning bolt 16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또한, 상기 튜닝볼트(16)의 측부 및 튜닝볼트가 삽입되는 커버(13)의 결합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공진기(15)와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으며, 공진기(15)와 튜닝볼트(16)와의 거리를 가변함으로써 튜닝이 이루어질 수 있다.A thread is formed in the coupling hole of the cover 13 to which the tuning bolt is inserted and the side of the tuning bolt 16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resonator 15 can be adjusted by rotation. Tuning can be performed by varying the distance from the antenna 16.

한편, 상기 튜닝볼트(16)는, 수작업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튜닝볼트의 회전을 위한 별도의 튜닝머신이 이용될 수 도 있다. 적절한 위치에서 튜닝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너트에 의해 튜닝볼트가 고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tuning bolt 16 may be manually rotated, and a separate tuning machine for rotating the tuning bolt may be used. The tuning bolt can be fixed by the nut when the tuning is done at the proper position.

즉, 종래기술에 따른 캐비티 필터는, 튜닝볼트(16)의 회전에 희해 튜닝볼트(16)와 공진기(15) 사이의 거리가 변경됨으로써 캐패시턴스가 변경되며, 캐패시턴스는 필터의 주파수를 결정하는 하나의 파라미터로서 캐패시턴스의 변화에 의해 필터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vity filter, the capacitance is changed by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uning bolt 16 and the resonator 15 due to the rotation of the tuning bolt 16, and the capacitance is changed by one The center frequency of the filter could be changed by changing the capacitance as a parameter.

그러나, 이와 같이 튜닝볼트(16)를 이용한 종래기술에 따른 캐비티 필터는, 초기 제작시에만 튜닝이 가능하고 사용중에는 튜닝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 들어 통신환경이 급변하면서 필터의 장착 초기 환경과 달리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과 같은 안테나 특성의 가변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경우에는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avity filter using the tuning bolt 16 can be tuned only at the time of initial manufacture and can not be tuned during us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has changed rapidly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tively cope with the case where the antenna characteristics such as the center frequency and the bandwidth are required to be varied.

따라서, 필터의 초기 제작환경과 달리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과 같은 안테나 특성의 가변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경우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적용이 가능한 기술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unlike the initial fabrication environment of the filter, there is a need for a practical and applicable technology capable of actively coping with changes in antenna characteristics such as a center frequency and a bandwidth.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008486호 (2016.01.22)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008486 (Jan. 22, 20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캐비티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부에서 메인튜닝볼트의 둘레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서브튜닝소자와, 스냅돔 스위치를 하우징의 상측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가압하여 안정적인 접점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동작주파수 및 주파수대역폭과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b tuning device which is disposed around a main tuning bolt in a housing constituting a cavity filter and has different length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nable cavity filter which is easily tuned in frequency by using a sliding contact type snap dome switch capable of pressing a sliding surface to provide a stable contact structure and vary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such as an operating frequency and a frequency bandwidth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는,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는 공진기와;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상측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진기의 둘레로 장착되고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서브튜닝소자와; 상기 복수개의 서브튜닝소자와 일대일 대응되어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가압되는 경우 상기 상측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튜닝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스냅돔스위치; 및 상기 상측 플레이트의 상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스냅돔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하나 이상 장착한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A tunable cavity filter that can easily perform frequency tuning using a snap contact dom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A resonator installed in the cavity; A plurality of sub-tuning elements mounted around the resonato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not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constituting the housing and having different lengths; A plurality of snap dome switches formed on the upper plate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sub-tuning element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pper plate and the sub-tuning elements when pressed; And a sliding member having one or more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snap dome switch while sliding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상기 스냅돔 스위치는, 상기 가압수단으로부터 압력을 전달 받으며,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상측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머리부와 상기 서브튜닝소자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구조를 가지도록 상기 서브튜닝소자와 상기 머리부를 지지 고정하는 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머리부가 상기 가압수단으로부터 압력을 전달 받는 경우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머리부의 상측면이 하측으로 평평해지면서 상기 서브튜닝소자의 상단과 접촉하는 접촉공간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The snap dome switch includes: a head receiving a pressure from the pressing means and having an upper side formed to be convex; And a main body part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and supporting and fixing the sub tuning element and the head part such that the head part and the sub tuning element are not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convex upward when the head receives the pressure from the pressing means is flattened downward and a contact space for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sub tuning element may be provided there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는, 상기 상측플레이트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동작시 상기 가압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상기 스냅돔 스위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압력전달유닛;을 더 구비 할 수 있다.The tunable cavity filter, which is easily tuned in frequency by using a snap contact dom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utside the upper plate, and presses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pressing means during a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a pressure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snap dome switch.

상기 압력전달유닛은, 상단이 상기 가압수단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하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단면이 '⊥' 자 형상을 갖는 수직이동돌기; 및 상기 수직이동돌기를 수용하며 상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며, 상기 캐비티의 하우징 상측플레이트 외부에서 상기 수직이동돌기가 일정한 범위내에서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돌기고정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pressure transmitting unit includes: a vertical movement protrusion that moves in a downward vertical direction when the upper e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ressing unit and has a cross-section of a '?' Shape; And a protrusion fixing panel having a guide hole for receiving the vertical movement protrusion and guiding up and down vertical movement and supporting the vertical movement protrusion outside the upper plate of the cavity of the cavity such that the vertical movement protrusion can move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견고히 결합하기 위하여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원통형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및 상기 원통형의 몸체 끝단에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을 구비 할 수 있다.Wherein the pressing means includes: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outer diameter threaded to be firmly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A spring form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And a ball supported at the end of the cylindrical body by the spr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는, 상기 공진기를 중심으로 정방형으로 배열되는 네 개의 스냅돔 스위치; 및 상기 네 개의 스냅돔 스위치의 배열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동작시 스냅돔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가압하여 상기 네 개의 서브튜닝소자의 길이에 대응되게 동작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The tunable cavity filter that can easily perform frequency tuning using a snap contact dom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snap dome switches arranged in a square around the resonator; And a pair of pressing mean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four snap dome switches, wherein the snap dome switches are sequentially pressed one by one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ing member to correspond to the lengths of the four sub-tuning elements So that the operating frequency can be chang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캐비티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부에서 메인튜닝볼트의 둘레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서브튜닝소자와 이격된 스냅돔 스위치를 하우징의 상측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가압하여 안정적인 접점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동작주파수 및 주파수대역폭과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 tuning elements disposed around the main tuning bolt in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cavity filter and having different lengths, and the snap dome switch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pressed by sliding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tunable cavity filter which is easily tuned in frequency by using a snap-contact type snap dome switch capable of providing stable contact structure and vary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such as an operating frequency and a frequency bandwidth.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튜너블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튜너블 필터에서 하나의 캐비티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튜너블 캐비티 필터를 구성하는 캐비티 공진기 중 하나의 캐비티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튜너블 캐비티 필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가 튜닝엘리먼트의 상단에서 배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주파수의 가변상태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unable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cavity in the tunable filter of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unable cavity filter that can easily perform frequency tuning using a snap contact dom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of the cavity resonators constituting the tunable cavity filter shown in FIG. 3. FI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nap contact type snap dome switch constituting the tunable cavity filter shown in FIG. 3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tuning element.
6 is a diagram showing simulation results of a variable state of the operat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7 is a view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of a tunable cavity filter which can easily be tuned in frequency by using a snap contact dom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의 전체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튜너블 캐비티 필터를 구성하는 캐비티 공진기 중 하나의 캐비티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unable cavity filter which can easily be tuned in frequency by using a snap contact dom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cavity of one of the cavity resonators constituting the filter.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는, 하우징(100), 공진기(200), 메인튜닝볼트(300), 서브튜닝소자(400), 스냅돔스위치(500), 및 슬라이딩부재(600)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tunable cavity filter that can easily perform frequency tuning using a snap contact dom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resonator 200, a main tuning bolt 300 , A sub tuning element 400, a snap dome switch 500, and a sliding member 600.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avit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본체의 외측 일면에 입출력 커넥터(101,102)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캐비티(110)가 격벽으로 구획되게 형성되며, 상측으로 상측플레이트(120)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input / output connectors 101 and 102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cavities 110 are partitioned by barrier ribs, Can be formed.

또한, 상기 공진기(200)는 상기 캐비티(110)의 하측 중심부에 설치되며,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onator 200 is installed at a lower center of the cavity 110,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ough not shown in detail, but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또한, 상기 메인튜닝볼트(300)는, 상기 공진기(200)에 일대일 대응되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상기 캐비티(110)의 하우징 내부 상측플레이트에서 하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tuning bolt 300 may be install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in the housing 110 of the cavity 110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resonator 200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또한, 상기 서브튜닝소자(400)는, 상기 캐비티의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상측플레이트(1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튜닝볼트(300)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서브튜닝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b tuning elements 4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main tuning bolt 300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not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120 constituting the housing 100 of the cavity And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ub-tuning elements having different lengths.

또한, 상기 스냅돔스위치(500)는, 상기 복수개의 서브튜닝소자(400)와 일대일 대응되어 상기 캐비티의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상측 플레이트(120)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nap dome switch 50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upper plates 120 that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ub-tuning elements 400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housing 100 of the cavity.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6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스냅돔스위치(500)를 하나 이상 가압하여 상기 캐비티의 하우징(100)과 하나 이상의 서브튜닝소자(4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우징(100)이 GND에 해당하기 때문에 상기 스냅돔스위치(500)가 접촉하는 서브튜닝소자(400)의 길이에 따라 해당되는 동작주파수 대역으로 변경되어 동작할 수 있게 된다.The sliding member 600 slid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press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nap dome switches 500 to move the housing 100 of the cavity and the one or more sub- Since the housing 100 corresponds to GND, the sub-tuning device 4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ub-tuning device 400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sub- So that it can be changed and operated.

또한, 상기 슬라이딩 부재(600)는, 상기 슬라이딩 동작시 상기 복수개의 스냅돔 스위치(500)를 하나 이상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700)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member 600 may include a pressing means 700 for pressing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nap dome switches 500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700)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600)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견고히 결합하기 위하여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710), 상기 원통형의 몸체(710)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미도시), 및 상기 원통형의 몸체(710) 끝단에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720)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sing means 70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710 having an outer diameter threaded to be tightly coupled to the sliding member 600 in a screwing manner, a cylindrical body 710 And a ball 720 supported at the end of the cylindrical body 710 by the spr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압수단(700)은, 슬라이딩 부재(600)가 캐비티 필터의 하우징(100) 상측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볼(720)의 끝단이 스냅돔 스위치(500)를 가압하게 되면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반발력을 받아 상기 볼(720)의 일부분이 몸체(710)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다시 나오는 구조를 갖게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liding member 600 slides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0 of the cavity filter, the tip of the ball 720 contacts the snap dome switch A part of the ball 720 is inserted into the body 710 and then comes out again by receiving the repulsive force by the spring while pressing the ball 5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600)를 직선왕복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800)를 더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면에서 스냅돔 스위치(500)를 가압하기 위한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riving motor 800 capable of driving the sliding member 600 in a linear reciprocating manner so that the snap dome switch 500 The slid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의 하우징(100) 상측플레이트(120)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600)의 슬라이딩 동작시 상기 가압수단(700)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상기 스냅돔 스위치(50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압력전달유닛(900)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utside the upper plate 120 of the housing 100 of the cavity so that when the sliding member 600 is in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ing member 600, And a pressure transmitting unit 900 for transmitting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snap dome switch 500 to the snap dome switch 500.

이때, 상기 압력전달유닛(900)은, 수직이동돌기(910)와 돌기고정패널(920)을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sure transmission unit 900 may include a vertical movement projection 910 and a projection fixing panel 92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직이동돌기(910)는, 상단이 상기 가압수단(700)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하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단면이 '⊥' 자 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곡면을 가지고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어, 가압수단(700)으로부터 받은 압력을 스냅돔 스위치(500)에 전달하는 경우에 필요한 만큼의 힘을 전달하면서도 접점구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vertical movement protrusion 910 can move in the lower vertical direction when the upper end thereof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ressing means 70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surface can be formed convexly with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pressure received from the pressing means 700 can be reduced to a desired value by the snap dome switch 500,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contact structure while transmitting the necessary amount of force.

또한, 상기 돌기고정패널(920)는, 상기 수직이동돌기(910)를 수용하며 상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921)을 구비하며, 상기 캐비티의 하우징(100) 상측플레이트(120) 외부에서 상기 수직이동돌기(910)가 일정한 범위내에서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The protrusion fixing panel 920 includes a guide hole 921 for receiving the vertical movement protrusion 910 and guiding up and down vertical movement of the protrusion fixing panel 920. The protrusion fixing panel 920 is provided outside the upper plate 120 of the housing 100 of the cavity The vertical movement protrusion 910 can be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only within a certain rang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100)의 상측플레이트(120)는, 상기 압력전달유닛(900)의 가이드홀(921)과 대응되는 지점에 스냅돔 스위치(500)를 구비할 수 있다.4, the upper plate 120 of the housing 100 constituting the cavity filter is connected to the guide holes 921 of the pressure transmitting unit 900 And a snap dome switch 500 at a corresponding point.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스냅돔 스위치(500)는, 상기 수직이동돌기(910)의 하부면으로부터 압력을 전달받는 머리부(510)와 상기 머리부(510)의 하측으로 배치되어 앞서 상술한 서브튜닝소자(40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본체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nap dome switch 500 includes a head 510 receiving pressur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movement projection 910 and a lower portion 510 disposed below the head 510, And a main body 520 for fixing the tuning element 400 so as not to move.

여기서, 상기 머리부(510)는, 상기 압력전달유닛(900)의 수직이동돌기(910)가 하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압력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head 5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convex to receive pressure when the vertical movement projection 910 of the pressure transmission unit 900 moves in the downward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본체부(520)는, 상기 캐비티의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상측플레이트(12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머리부(510)와 서브튜닝소자(400)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구조를 가지도록 상기 서브튜닝소자(400)와 상기 머리부(510)를 동시에 지지 고정할 수 있다.The main body 520 is fixed to the upper plate 120 constituting the housing 100 of the cavity so that the head 510 and the sub tuning device 400 are not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ub-tuning element 400 and the head 510 can be supported and fixed at the same time.

이때, 상기 본체부(520)는, 상기 머리부(510)가 상기 압력전달유닛(900)에 의해 압력을 전달 받는 경우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머리부(510)의 상측면이 하측으로 평평해지면서 상기 서브튜닝소자(400)의 상단과 접촉하는 접촉공간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head 510 receives pressure from the pressure transmission unit 900, the top surface of the head 510, which is convex upward, is flattened downward The sub-tuning element 400 may be provided with a contact spac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sub-tuning element 4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는, 상기 스냅돔 스위치(500)의 머리부(510)가 상기 수직이동돌기(910)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공기중에 노출되지 않기 위한 외부 노출방지용 테이프(121)가 외부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ead 510 of the snap dome switch 500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vertical movement projection 910, 1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튜너블 캐비티 필터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가 튜닝엘리먼트의 상단에서 배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nap contact type snap dome switch constituting the tunable cavity filter shown in FIG. 3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tuning elemen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캐비티 필터를 구성하는 스냅돔 스위치는, 메인튜닝볼트(300)를 중심으로 상하로 배열되고 정방형의 구조를 가지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네 개의 서브튜닝소자(400)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제 1 내지 제 4 스냅돔 스위치(501,502,503,504)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snap dome switch constituting a tunable cavity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main tuning bolts 300 arranged vertically and vertically with a square structure, The first to fourth snap dome switches 501, 502, 503, and 504 connec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ub-tuning elements 4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부재(600)에 형성되며 상기 네 개의 스냅돔 스위치에 대응되어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수단(700)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600)의 슬라이딩 동작시 스냅돔 스위치(501)를 상하로 교차하며 순차적으로 하나씩 가압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pressing means 700 formed on the sliding member 600 and corresponding to the four snap dome switches, It can be seen that the snap dome switches 501 are vertically crossed and sequentially pressed one by one.

즉, 상기 슬라이딩부재(600)가 하우징(100)의 상측에서 모터의 구동에 대응되어 진행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면 상측 가압수단(701)이 하측 가압수단(702)에 비해 진행방향이 우선하도록 서로 일정하게 이격되는 한 쌍의 가압수단(701,702)에 의해 차례대로 상기 스냅돔 스위치(500)를 가압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sliding member 600 linearly moves in the advanc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at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00, the upper pressing means 701 moves in a direction The snap dome switch 500 can be pressed in turn by a pair of pressing means 701, 702 which are constantly spaced apart.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상측 가압수단(701)에 의해 제 1 스냅돔 스위치(501)가 가압되고 하측 가압수단(702)에 의해 제 2 스냅돔 스위치(502)가 가압된 다음, 다시 상측 가압수단(701)에 의해 제 3 스냅돔 스위치(503)가 가압되고, 마지막으로 하측 가압수단(702)에 의해 제 4 스냅돔 스위치(504)가 가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first, the first snap dome switch 501 is pressed by the upper pressing means 701, the second snap dome switch 502 is pressed by the lower pressing means 702, and then, The third snap dome switch 503 can be pressed by the means 701 and finally the fourth snap dome switch 504 can be pressed by the lower pressing means 702.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에 의하면, 상기 네 개의 스냅돔 스위치(501,502,503,504)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네 개의 서브튜닝소자(400)와 접촉하여 결과적으로 GND를 갖는 하우징(10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서 네 개의 서브튜닝소자의 길이에 대응되는 동작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네 개의 서브튜닝소자의 길이를 조절하여 동작주파수대역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 snap dome switches 501, 502, 503, and 504 contact the four sub tuning elements 400 having different lengths, resulting in a housing 100 having GND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ng frequency can be changed to an operat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our sub tuning elements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b tuning elements to each other, and the operating frequency band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s of the four sub tuning elements.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주파수의 가변상태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의 등가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showing a simulation result of a variable state of the operat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 graph showing a result of simulation of the frequency tuning using a snap contact dom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diagram showing an equivalent circuit of a tunable cavity filter.

도 6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하기의 표 1로 나타내었다.The simulation results shown in FIG. 6 are shown in Table 1 below.

채널channel 스위치위치Switch position 504504 503503 502502 501501 삽입손실Insertion loss 동작주파수Operating frequency 1One (a)(a) nono nono nono nono 1.2dB1.2dB 2020MHz2020MHz 22 (b)501(b) 501 nono nono nono okok 1.3dB1.3dB 2010MHz2010MHz 33 (c)502(c) 502 nono nono okok nono 1.4dB1.4dB 2000MHz2000 MHz 44 (d)503(d) 503 nono okok nono nono 1.5dB1.5dB 1990MHz1990MHz 55 (e)504(e) 504 okok nono nono nono 1.6dB1.6dB 1980MHz1980MHz

상기의 [표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너블 캐비티 필터는 전체적으로 5가지의 주파수대역에서 동작하는 동작주파수대역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tunable cavity fil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n operating frequency band that operates in five frequency bands as a whole.

또한, 도 6의 등가회로는 종래기술에 따른 필터의 공진기에 병렬로 부가되는 커패시턴스 구현을 위한 Pin과 스위치(SW1,SW2,SW3,SW4)가 추가된 회로이다.The equivalent circuit of FIG. 6 is a circuit added with a pin and switches SW1, SW2, SW3, and SW4 for implementing a capacitance added in parallel to the resonator of the filt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이때, 상기 Pin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 개의 서브튜닝소자(400)에 해당하는 것으로 스위치(SW1,SW2,SW3,SW4)는 각 스냅돔 스위치(501,502,503,504)로 구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in corresponds to four sub-tuning elements 4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witches SW1, SW2, SW3, and SW4 may be implemented by the respective snap dome switches 501, 502, 503, and 504.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캐비티 필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부에서 메인튜닝볼트의 둘레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서브튜닝소자와 스냅돔 스위치를 하우징의 상측에서 슬라이딩방식으로 가압하여 안정적인 접점구조를 제공함과 동시에 동작주파수 및 주파수대역폭과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가변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 tuning element and the snap dome switch, which are disposed around the main tuning bolt in the housing constituting the cavity filter and have different lengths, are slidably pres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to form a stable contact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nable cavity filter that can easily be tuned in frequency by using a snap contact dome switch capable of vary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such as an operating frequency and a frequency bandwidth.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omponent changes to such an extent that they can be coped evenly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하우징 110 : 캐비티
120 : 상측플레이트 121 : 테이프
200 : 공진기
300 : 메인튜닝볼트 400 : 서브튜닝소자
500(501,502,503,504) : 스냅돔스위치
510 : 머리부 520 : 본체부
600 : 슬라이딩부재 700(701,702) : 가압수단
710 : 몸체 720 : 볼
800 : 구동모터 900 : 압력전달유닛
910 : 수직이동돌기 920 : 돌기고정패널
100: housing 110: cavity
120: upper plate 121: tape
200: Resonator
300: main tuning bolt 400: sub tuning element
500 (501,502,503,504): Snap dome switch
510: head part 520:
600: sliding member 700 (701, 702): pressing means
710: Body 720: Ball
800: driving motor 900: pressure transmitting unit
910: Vertical movement projection 920: Projection fixing panel

Claims (6)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는 공진기와;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상측플레이트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공진기의 둘레로 장착되고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서브튜닝소자와;
상기 복수개의 서브튜닝소자와 일대일 대응되어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가압되는 경우 상기 상측 플레이트와 상기 서브튜닝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스냅돔스위치; 및
상기 상측 플레이트의 상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스냅돔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하나 이상 장착한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
A housing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A resonator installed in the cavity;
A plurality of sub-tuning elements mounted around the resonator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forming the housing and having different lengths;
A plurality of snap dome switches formed on the upper plate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sub-tuning element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pper plate and the sub-tuning elements when pressed; And
And a sliding member slidably mounted on the upper plate and having at least one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snap dome switch. The sliding contact type snap dome switch according to claim 1, fil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돔 스위치는,
상기 가압수단으로부터 압력을 전달 받으며,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상측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머리부와 상기 서브튜닝소자가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구조를 가지도록 상기 서브튜닝소자와 상기 머리부를 지지 고정하는 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머리부가 상기 가압수단으로부터 압력을 전달 받는 경우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머리부의 상측면이 하측으로 평평해지면서 상기 서브튜닝소자의 상단과 접촉하는 접촉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nap dome switch comprises:
A head portion receiving pressure from the pressing means and having an upper side convexly formed; And
And a main body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plate and supporting and fixing the sub-tuning element and the head so that the head and the sub-tuning element are not in electrical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Wherein the top portion of the head portion, which is convex upward when the head receives the pressure from the pressing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sub-tuning element while being flattened downward. 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ing using a snap dome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플레이트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동작시 상기 가압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상기 스냅돔 스위치에 전달하는 압력전달유닛;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essure transmitt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upper plate and transmitting a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pressing unit to the snap dome switch during a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ing member; And a tuning cavity filter for easily tuning the frequency by using a snap contact type snap dome switc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유닛은,
상단이 상기 가압수단과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하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단면이 '⊥' 자 형상을 갖는 수직이동돌기; 및
상기 수직이동돌기를 수용하며 상하 수직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하며, 상기 캐비티의 하우징 상측플레이트 외부에서 상기 수직이동돌기가 일정한 범위내에서만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돌기고정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 vertical movement protrusion which moves in a lower vertical direction when the upper e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ressing means and has a cross-section of a '?'Shape; And
And a protrusion fixing panel having a guide hole for receiving the vertical movement protrusion and guiding up and down vertical movement and supporting the vertical movement protrusion outside the upper plate of the cavity of the cavity such that the vertical movement protrusion can move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ing using snap-dome switch with sliding contac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견고히 결합하기 위하여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원통형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및
상기 원통형의 몸체 끝단에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볼;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cylindrical body having an outer diameter threaded to securely engage the sliding member;
A spring form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And
A ball supported at the end of the cylindrical body by the spring; And a tuning cavity filter which is easily tuned in frequency by using a snap contact dome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를 중심으로 정방형으로 배열되는 네 개의 스냅돔 스위치;및
상기 네 개의 스냅돔 스위치의 배열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압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동작시 스냅돔 스위치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가압하여 상기 네 개의 서브튜닝소자의 길이에 대응되게 동작주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접촉방식의 스냅돔 스위치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이 용이한 튜너블 캐비티 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our snap dome switches arranged in a square around the resonator;
And a pair of pressing means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four snap dome switches,
The snap dome switches are sequentially pressed one by one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ing member to change the operat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lengths of the four sub tuning elements. One Tunable Cavity Filter
KR1020170175575A 2017-12-19 2017-12-19 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ning Using Snap Dome Switch of Sliding Contact Type KR1019605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75A KR101960505B1 (en) 2017-12-19 2017-12-19 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ning Using Snap Dome Switch of Sliding Contact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75A KR101960505B1 (en) 2017-12-19 2017-12-19 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ning Using Snap Dome Switch of Sliding Contact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505B1 true KR101960505B1 (en) 2019-03-19

Family

ID=6590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575A KR101960505B1 (en) 2017-12-19 2017-12-19 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ning Using Snap Dome Switch of Sliding Contact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50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5488A1 (en) * 2004-06-15 2005-12-15 Radio Frequency Systems, Inc. Band agile filter
KR20100102379A (en)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신아정밀 Rf-filter tuning device
US20130142089A1 (en) * 2011-12-06 2013-06-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Tunable Bandpass Filter Device and Method
KR20160008486A (en) 2015-10-05 2016-01-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Cavity Filter Including Coxial Resonator
KR20170069488A (en) * 2015-12-11 2017-06-21 (주)웨이브텍 Frequency Tunable Reson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5488A1 (en) * 2004-06-15 2005-12-15 Radio Frequency Systems, Inc. Band agile filter
KR20100102379A (en) * 2009-03-11 2010-09-24 주식회사 신아정밀 Rf-filter tuning device
US20130142089A1 (en) * 2011-12-06 2013-06-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Tunable Bandpass Filter Device and Method
KR20160008486A (en) 2015-10-05 2016-01-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Cavity Filter Including Coxial Resonator
KR20170069488A (en) * 2015-12-11 2017-06-21 (주)웨이브텍 Frequency Tunable Reson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657B1 (en) Radio frequency band variable filter
AU701389B2 (en) Double helix antenna system
US20030025569A1 (en) Tunable resonator
WO1999036982A2 (en) Tunable ceramic filters
EP3557762A1 (en) Adaptive filter response systems
CN1965439A (en) Tunable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10581133B2 (en) Resonant cavity filters with high performance tuning screws
KR20150079832A (en) Tunable high frequency filter
JP2021526764A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contained therein
EP2203953B1 (en) Tunable fil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081950B1 (en) High frequency filter and apparatus for tunning the same
KR101960505B1 (en) Tunable Cavity Filter For Easy Frequency Tunning Using Snap Dome Switch of Sliding Contact Type
US10873118B2 (en) Tunable filter and tunable filtering device
US11658380B2 (en) Tuning elements with reduced metal debris formation for resonant cavity filters
CN109244619B (en) Folding cavity medium loading adjustable filter and duplexer
KR102468868B1 (en) Tunable antenna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37619B1 (en) Tunable filter using sliding
CN111384538A (en) Filter and base station
WO2023097569A1 (en) Triple-mode resonator and waveguide filter comprising the same
CN101728607A (en) Short branch filter
CN111261980B (en) Switch assembly and antenna device
US20240039138A1 (en) Bias tees having a capacitance to ground
EP3179552B1 (en) A resonator assembly, a radio frequency filter and a method of radio-frequency filtering
KR101183479B1 (en) Switch for cutting off electric wave
CN110337754B (en) RF resonator with bridge coupling adjacent reson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