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945B1 - The seat belt assembly - Google Patents

The seat bel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945B1
KR101958945B1 KR1020170044229A KR20170044229A KR101958945B1 KR 101958945 B1 KR101958945 B1 KR 101958945B1 KR 1020170044229 A KR1020170044229 A KR 1020170044229A KR 20170044229 A KR20170044229 A KR 20170044229A KR 101958945 B1 KR101958945 B1 KR 101958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ody portion
coil
poin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3045A (en
Inventor
류원화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7004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945B1/en
Publication of KR20180113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0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9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시트 벨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시트 벨트용 버클에 연결된 버클 브라켓, 버클 브라켓을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바디부와 헤드부를 가지는 리벳, 및 헤드부와 버클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스프링은, 코일 형태로 연장되어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부, 및 버클 브라켓에 인접한 코일부의 단부에서 바디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코일부 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지는 끼움 방지 권선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리벳으로 버클 브라켓과 베이스 프레임을 조립할 때, 스프링의 일부가 리벳의 바디부와 버클 브라켓의 사이로 끼워져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buckle bracket connected to a seat belt buckle, a buckle bracket rotatably connected to a base frame, a body portion, a rivet having a head portion, and a head portion and a buckle bracket Wherein the spring has a coil portion extending in the form of a coil and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coil portion exten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t the end portion of the coil portion adjacent to the buckle bracket and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art of the spring from being fixed between the body portion of the rivet and the buckle bracket when the buckle bracket and the base frame are assembled with the rivet.

Description

시트 벨트 어셈블리{The seat belt assembly}The seat belt assembly < RTI ID = 0.0 >

본 발명은 시트 벨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정상 조립의 편의성을 개선한 시트 벨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belt assembly that improves the ease of assembling in a process.

일반적으로 차량은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시트 벨트를 포함한다. 시트 벨트는 승객을 시트에 고정시킬 수 있다. 시트 벨트는 주행 중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주어서는 안된다. 또한, 시트 벨트는 비상 시 확실하게 승객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Generally, the vehicle includes a seat belt for the safety of the occupant. The seat belt can secure the passenger to the seat. Seat belts should not cause discomfort to passengers while driving. In addition, the seat belt must be able to protect passengers in an emergency.

한편, 시트 벨트 어셈블리는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그 중 일부는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at belt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some of which are mounted inside the vehicle. Also, some of the components are fluidly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 벨트 어셈블리(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벨트 어셈블리(1)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seat belt assembly 1 shown in Fig.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 벨트 어셈블리(1)는 시트 벨트 버클에 연결되는 버클 브라켓(2)과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바디(3)와 스프링(4) 및 이들을 연결하는 리벳(5)을 포함한다. 여기서, 리벳(5)은 그 직경이 상이한 단차를 가진다. 따라서, 스프링(4), 베이스 바디(3) 및 버클 브라켓(2)을 리벳(5)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스프링(4)의 일부가 리벳(5)의 단차에 끼워진다. 스프링(4)이 단차에 끼워지면, 버클 브라켓(2)이 스프링(4)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조립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1 and 2, a seat belt assembly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buckle bracket 2 connected to a seat belt buckle, a base body 3 mounted on the vehicle, a spring 4, and a rivet (5). Here, the rivets 5 have steps with different diameters. Therefor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pring 4, the base body 3 and the buckle bracket 2 into the rivet 5, a part of the spring 4 is fitted to the step of the rivet 5.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ckle bracket 2 can not be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 if the spring 4 is fitted in the stepped portion.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defects are generated in the assembling process.

이러한 불량은 사업자의 비용 부담으로 연결됨은 당연할 것이다. It is natural that these defects are linked to the cost burden of the operators.

일예시로 불량률이 10%이고 이에 따라 1개의 제품을 생산 시 약 1000원의 비용이 더 발생된다고 가정하면 50만개의 제품을 생산 시 사업자는 약 5억원의 손실을 입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트 벨트 어셈블리(1) 제조 시 발생되는 불량률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defective rate is 10%, and thus the production cost of one product is about 1,000 won, the company will suffer a loss of about 500 million won when producing 500,000 produ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ercentage of defects generated in manufacturing the seat belt assembly 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리벳으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끼움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 벨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belt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the spring from being caught in a process of assembling with a rive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벨트 어셈블리는,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시트 벨트용 버클에 연결된 버클 브라켓, 버클 브라켓을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바디부와 헤드부를 가지는 리벳, 및 헤드부와 버클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며, 스프링은, 코일 형태로 연장되어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부, 및 버클 브라켓에 인접한 코일부의 단부에서 바디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코일부 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지는 끼움 방지 권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at bel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mounted on a vehicle, a buckle bracket connected to a buckle for a seat belt, and a buckle bracket rotatably connected to a base frame And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buckle bracket. The spring includes a coil portion extending in the form of a coil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coil portion surrounding the end portion of the coil portion adjacent to the buckle bracket Preventing coil portion exten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larger than that of the coil portion.

또한, 스프링은, 헤드부와 인접한 코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일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제 1 연결부, 제 1 연결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프레임에 걸리는 제 1 걸림부, 끼움 방지 권선부의 단부로부터 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제 2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버클 브라켓에 걸리는 제 2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ring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oil portion adjacent to the head portion and a first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of the coil portion in one direction, A second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latching part disposed at an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hooked to the buckle bracket.

또한, 끼움 방지 권선부는 그 곡률 반경에 따라 코일부 보다 바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더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tting prevention winding portion is further spac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an the coil portion according to the radius of curvature thereof.

또한, 끼움 방지 권선부는, 제 1 지점과 제 2 지점을 사이를 이동 가능하되, 코일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위치 및 곡률 반경의 설정된 변경에 따라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tting prevention winding section is movable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so that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et change in the position and the radius of curvatur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il section .

본 발명에 따르면, 버클 브라켓과 베이스 프레임을 리벳으로 조립할 때, 스프링의 일부가 버클 브라켓과 리벳의 바디부의 사이로 끼워져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uckle bracket and the base frame are rive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art of the spring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buckle bracket and the body portion of the rivet.

따라서, 종래 버클 브라켓과 베이스 프레임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일부가 끼워지지 않게 확인하면서 리벳으로 조립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의 편의성 및 용이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의 고착으로 인한 불량율을 개선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assemble the buckle bracket with the rivet while confirming that a part of the spring is not caught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buckle bracket and the base frame, so that convenience and easiness of assembling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fect rate due to the fixing of the spr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트 벨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트 벨트 어셈블리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벨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트 벨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프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스프링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의 형상의 변형에 따라 동작의 차이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eat bel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seat belt assembly shown i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at bel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mbined view showing the seat belt assembly shown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ring shown i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pring shown in Fig.
7 is a rear view of the spring shown i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pring shown in Fig.
Fig. 9 shows the operatio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shape of the spring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벨트 어셈블리(1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eat belt assembly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벨트 어셈블리(10)를 도시한 분리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트 벨트 어셈블리(10)를 도시한 결합도이다.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eat belt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assembled view showing the seat belt assembly 10 shown in FIG.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트 벨트 어셈블리(10)는 베이스 프레임(100), 버클 브라켓(200), 리벳(300), 스프링(400) 및 부싱(50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다. 시트 벨트용 버클(210)은 버클 브라켓(200)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100)에 연결될 수 있다. 리벳(300)은 버클 브라켓(200)과 베이스 프레임(100)을 관통한다. 즉, 리벳(300)은 버클 브라켓(200)을 베이스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스프링(400)은 헤드부(310)와 버클 브라켓(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400)의 일측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버클 브라켓(200)에 연결된다. 따라서, 버클 브라켓(200)은 스프링(400)에 의해 리벳(300)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부싱(500)은 베이스 프레임(100)과 버클 브라켓(200) 사이에 설치된다. 부싱(500)은 버클(210)이 동작되어 설정된 각도를 가지고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을 원할하게 하고, 소음을 방지한다.3 and 4, a seat belt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rame 100, a buckle bracket 200, a rivet 300, a spring 400, and a bushing 500 . The base frame 100 is mounted inside the vehicle. The seat belt buckle 210 can be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00 through the buckle bracket 200. The rivet 300 penetrates the buckle bracket 200 and the base frame 100. That is, the rivet 300 rotatably connects the buckle bracket 200 to the base frame 100. The spring 400 is disposed between the head portion 310 and the buckle bracket 200. One side of the spring 400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buckle bracket 200. Therefore, the buckle bracket 200 can be pivoted about the rivet 300 by the spring 400. [ The bushing (500) is installed between the base frame (100) and the buckle bracket (200). The bushing 500 allows movement of the buckle 210 when the buckle 210 is moved with the set angle, thereby preventing noise.

리벳(300)은 헤드부(310)와 바디부(330)를 가진다. 바디부(330)는 헤드부(310) 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다. 또한, 바디부(330)는 메인 바디부(331)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바디부(33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 바디부(333)는 메인 바디부(331) 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리벳(300)의 바디부(330)는 메인 바디부(331)와 보조 바디부(331)의 직경 차이로 단차를 가진다. 스프링(400)이 베이스 프레임(100)과 버클 브라켓(200)의 각각에 연결되면,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400)의 일측이 메인 바디부(331)의 중심축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리벳(300)으로 베이스 프레임(100)과 버클 브라켓(200)을 연결하면, 스프링(400)의 일부가 메인 바디부(331)와 버클 브라켓(200)의 사이로 끼워져 고착된다.The rivet 300 has a head part 310 and a body part 330. The body portion 330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head portion 310.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33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331 and at least one auxiliary body portion 333. Here, the auxiliary body portion 333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main body portion 331. Therefore, the body portion 330 of the rivet 300 has a step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331 and the auxiliary body portion 331. When the spring 400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00 and the buckle bracket 200, one side of the spring 400 is moved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portion 331 by the elastic force. At this time, when the base frame 100 and the buckle bracket 200 are connected by the rivets 300, a part of the spring 400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331 and the buckle bracket 200.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400)은 코일부(410), 끼움 방지 권선부(430)를 포함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spring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il portion 410 and an anti-fitting winding portion 430.

한편, 리벳(300)의 보조 바디부(333)는 제 1 보조 바디부(333a) 및 제 2 보조 바디부(333b)로 구성된다. 제 1 보조 바디부(333a)의 직경은 제 2 보조 바디부(333b)의 직경보다 작지 않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보조 바디부(333a)와 제2보조 바디부(333b)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The auxiliary body portion 333 of the rivet 300 includes a first auxiliary body portion 333a and a second auxiliary body portion 333b. The diameter of the first auxiliary body portion 333a is not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auxiliary body portion 333b. Therefore,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uxiliary body portion 333a and the second auxiliary body portion 333b.

전술하여 설명한 부싱(500)은 리벳(300)과 결합된다. 부싱(500)은 원형판(510)과 돌출부(520)로 구성된다. 돌출부(520)는 중공이 형성된다. 돌출부(520)의 직경은 버클 브라켓(200)에 형성된 홀과 직경이 유사하다. 따라서 돌출부(520)는 버클 브라켓(200)의 홀에 인입될 수 있다.The bushing 500 described above is combined with the rivet 300. The bushing 500 is composed of a circular plate 510 and a protrusion 520. The protrusion 520 is hollowed.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520 is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hole formed in the buckle bracket 200. Therefore, the protrusion 520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buckle bracket 200.

여기서, 제 1 보조 바디부(333a)의 직경은 부싱(500)의 돌출부(520)의 중공의 직경과 유사하다. 따라서, 제 1 보조 바디부(333a)는 부싱(500)의 돌출부(520)의 중공에 인입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를 통하여 리벳(300), 버클 브라켓(200) 및 부싱(500)은 연결될 수 있다.Here, the diameter of the first auxiliary body portion 333a is similar to the hollow diameter of the protrusion 520 of the bushing 500. Therefore, the first auxiliary body portion 333a can 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protrusion 520 of the bushing 500. [ Through this relationship, the rivet 300, the buckle bracket 200 and the bushing 500 can be connected.

한편, 부싱(500)의 돌출부(520)가 돌출된 길이는 버클 브라켓(200)의 두께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520)가 버클 브라켓(200)에 인입된 경우 외부에서 돌출부(520)는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sion 520 of the bushing 500 may be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buckle bracket 200. Therefore, when the protrusion 520 is inserted into the buckle bracket 200, the protrusion 520 may not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또한, 제 1 보조 바디부(333a)의 길이는 부싱(500)의 돌출부(520)의 돌출된 길이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보조 바디부(333a)가 돌출부(520)에 인입된 경우 제 1 보조 바디부(333a)도 외부에서 관찰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auxiliary body portion 333a may be similar t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sion 520 of the bushing 500. Accordingly, when the first auxiliary body portion 333a is drawn into the protrusion 520, the first auxiliary body portion 333a is not observed from the outside.

그러나 제 2 보조 바디부(333b)는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제 2 보조 바디부(333b)는 제 1 보조 바디부(333a)보다 직경이 작은 채로, 제 1 보조 바디부(333a)와 연결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제 2 보조 바디부(333b)는 소성 변형을 통하여 리벳(300)을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될 수 있다.However, the second auxiliary body portion 333b can be observed from the outside. This is because the second auxiliary body portion 333b is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body portion 333a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auxiliary body portion 333a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uxiliary body portion 333b may be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rivet 300 to the base frame 100 through plastic deformation.

도 3을 통하여 이를 살펴보면, 도 3을 좌측부터 우측으로 살펴볼 때 리벳(300), 버클 브라켓(200), 부싱(500), 베이스 프레임(100)으로 관찰된다.Referring to FIG. 3, the rivet 300, the buckle bracket 200, the bushing 500, and the base frame 100 are observed from left to right in FIG.

부싱(500)의 돌출부(520)는 버클 브라켓(200)의 홀에 도 3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인입되고, 이렇게 인입된 돌출부(520)의 중공에 리벳(300)의 제 1 보조 바디부(333a)이 인입되며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제 2 보조 바디부(333b)는 부싱(500)을 지나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관찰될 것이다.The protrusion 520 of the bushing 500 is pulled in the hole of the buckle bracket 200 from the right side with reference to Fig.3 and the first auxiliary body portion 333a of the rivet 300 May be introduced and arranged. Then, the second auxiliary body portion 333b will be observ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ase frame 100 through the bushing 500.

위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보조 바디부(333b)를 소성 변형하여 베이스 프레임(100)에 형성된 홀의 직경보다 크게 하여 리벳(300)을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보조 바디부(333b)의 소성 변형은 열을 가하여 제 2 보조 바디부(333b)의 직경을 변형하거나 또는, 가압력 등을 가하는 것일 수 있으나, 상황에 따라서 유연하게 선택 가능할 것이다.The rivet 300 can be fixed to the base frame 100 by p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auxiliary body portion 333b in the above state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formed in the base frame 100. [ Here,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auxiliary body portion 333b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heat to deform the diameter of the second auxiliary body portion 333b, or applying a pressing force or the like, but it may be flexibly selec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시트 벨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결합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스프링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스프링을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ring shown in Fig. 3,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pring shown in Fig. 5,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pring shown in Fig. 5 is a rear view showing the spring shown in Fig. 5, and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pring shown in Fig.

도 3 내지 8을 참조하면, 코일부(410)는 코일 형태로 연장되어 바디부(330)의 외주면을 감싼다. 끼움 방지 권선부(430)는 버클 브라켓(200)에 인접한 코일부(410)의 단부에서 바디부(330)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다. 특히, 끼움 방지 권선부(430)는 코일부(410) 보다 큰 곡률 반경(R2)을 가진다. 따라서, 끼움 방지 권선부(430)는 그 곡률 반경에 따라 코일부(410) 보다 바디부(330)의 외주면으로부터 더 이격될 수 있다. 즉, 끼움 방지 권선부(430)에 의해, 바디부(330)와 버클 브라켓(200)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3 to 8, the coil portion 410 extends in the form of a coil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30. The insertion preventing winding part 430 extend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art 330 at the end of the coil part 410 adjacent to the buckle bracket 200. Particularly, the fitting prevention winding part 430 has a radius of curvature R2 larger than that of the coil part 410. [ Therefore, the fit-proof winding portion 430 can be further spac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30 than the coil portion 410 according to the radius of curvatur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tting between the body portion 330 and the buckle bracket 200 by the fitting prevention winding portion 430.

또한, 스프링(400)은 제 1 연결부(450), 제 1 걸림부(460), 제 2 연결부(470) 및 제 2 걸림부(480)를 더 포함한다. 제 1 연결부(450)는 헤드부(310)와 인접한 코일부(410)의 일단으로부터 일 방향을 향하여 직선으로 연장된다. 제 1 걸림부(460)는 제 1 연결부(450)의 단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프레임(100)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제 2 연결부(470)는 끼움 방지 권선부(430)의 단부로부터 타 방향을 향하여 직선으로 연장된다. 제 2 걸림부(480)는 제 2 연결부(470)의 단부에 배치되며, 버클 브라켓(200)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The spring 400 further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450, a first engaging portion 460, a second connecting portion 470,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480. The first connection part 450 extends straight from one end of the coil part 410 adjacent to the head part 310 toward one direction. The first latching part 46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450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base frame 100 and hooked there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470 extends straight from the end of the fitting prevention wire portion 430 toward the other direction. The second latching part 48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470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buckle bracket 200 and hooked thereto.

일 실시 예로, 바디부(330)의 중심축(C)에 수직한 평면(P)과, 바디부(330)의 평면상 중심(C)을 지나며, 서로 직교하는 제 1 축(A1)과 제 2 축(A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상 제 1 내지 제 4 영역(B1, B2, B3, B4)을 기준으로, 제 2 연결부(470)와 연결되는 끼움 방지 권선부(430)의 일단은 제 1 영역(B1)위치하고, 코일부(410)와 연결되는 끼움 방지 권선부(430)의 타단은 제 1 영역(B1)과 제 2 축(A2)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제 4 영역(B4), 또는 제 4 영역(B4)과 제 1 축(A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제 3 영역(B3)에 위치한다.도 9는 도 3에 도시된 스프링의 형상의 변형에 따라 동작의 차이를 도시한 것이다.The first axis A1 and the second axis A2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pass through a plane P perpendicular to the center axis C of the body portion 330 and a center C on the plane of the body portion 330, One end of the interference preventing winding part 430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art 470 with reference to the first to fourth regions B1, B2, B3, and B4 on the plane defined by the two axes A2, And the other end of the interference preventing winding part 430 connected to the coil part 410 is a fourth area B4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area B1 and the second axis A2, Or a third region B3 which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ourth region B4 and the first axis A1. Figure 9 shows the difference in operation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shape of the spring shown in Figure 3 will be.

스프링(40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 형태의 변형에 따라 이동 정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The spring 400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nd the degree of movem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shape.

스프링(400)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 2 걸림부(470)가 버클 브라켓(200)에 장착되어 버클 브라켓(200)이 이동됨에 따라 설정된 거리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지점(K)과 제 2 지점(L)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4, the spring 400 is mounted on the buckle bracket 200, and the buckle bracket 200 is moved, so that the spring 400 can reciprocat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9, it reciprocates between the first point (K) and the second point (L).

여기서, 제 1 지점(K)과 제 2 지점(L)은 코일부(410)의 단부와 끼움 방지 권선부(430)의 연결이 시작되는 지점 및 끼움 방지 권선부(430)의 곡률 반경의 설정된 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Here, the first point K and the second point L are set at a point where the connec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coil portion 410 and the anti-fitting winding portion 430 starts and a radius of curvature of the anti-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도 9(a)는 위의 내용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코일부(410)의 단부는 도 9(a)를 기준으로 9시 방향에 배치된다. 끼움 방지 권선부(430)는 이 9시 방향에 배치된 코일부(410)의 단부와 연결되어 큰 곡률 반경(R2)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00)의 제 2 걸림부(480)는 제 1 지점(K)에서 버클 브라켓(200)과 연결되고, 제 2 지점(L)까지 이동될 수 있다.9 (a) shows a first embodiment of the above contents. The end portion of the coil portion 410 is arranged at 9 o'clock on the basis of Fig. 9 (a). The fitting prevention winding portion 430 is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coil portion 410 disposed at the 9 o'clock position to have a large radius of curvature R2. 9 (a), the second latching portion 480 of the spring 400 is connected to the buckle bracket 200 at the first point K, and is moved to the second point L .

도 9(b)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코일부(410)의 단부는 도 9(b)를 기준으로 6시 방향에 배치되고, 끼움 방지 권선부(430)는 이 단부와 연결되고, 큰 곡률 반경(R2)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큰 곡률 반경(R2)은 도 9(a)에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스프링(400)은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9(a)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스프링(400)의 제1지점(K)보다 더 반시계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제 1 지점(K)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지점(L)도 제 1 실시예 대비 더 치우쳐져 더 긴 위치를 이동될 수 있다.9 (b) shows the second embodiment. The end portion of the coil portion 410 is arranged at 6 o'clock on the basis of Fig. 9 (b), and the fitting prevention wire portion 430 is connected to this end portion And has a large radius of curvature R2. He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arge radius of curvature R2 may b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9 (a). 9 (b), the spring 400, which is formed in this manner, is rotated counterclockwise (clockwise) from the first point K of the spring 400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first point (K) may be located at a biased position. Also, the second point L can be shifted to a longer position by being more biased than the first embodiment.

도 9(C)는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코일부(410)의 단부는 도 9(c)를 기준으로 12시 방향에 배치되고, 끼움 방지 권선부(430)는 이 단부와 연결되고, 큰 곡률 반경(R2)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에 의한 스프링(400)과 상이한 위치에 제 1 지점(K)이 배치되고, 제 2 지점(L)의 위치도 상이해 지며, 이동될 수 있는 거리도 상이할 것이다.9 (C) shows the third embodiment. The end portion of the coil portion 410 is arranged at 12 o'clock on the basis of Fig. 9 (c), and the interference preventing winding portion 430 is connected to this end portion And has a large radius of curvature R2. Therefore, the first point K is dispos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spring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second point L is also different, Will be different.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시트 벨트 어셈블리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버클 브라켓
300 : 리벳
400 : 스프링
10: Seat belt assembly
100: base frame
200: Buckle bracket
300: Rivet
400: spring

Claims (4)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시트 벨트용 버클에 연결된 버클 브라켓;
버클 브라켓을 베이스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바디부와 헤드부를 가지는 리벳;
헤드부와 버클 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및
버클의 회전 동작을 원활하게 하고, 소음을 방지하도록 베이스 프레임과 버클 사이에 설치되는 부싱을 포함하며,
리벳의 바디부에는 헤드부 측에서 반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복수의 단차가 형성되고,
스프링은 코일 형태로 연장되어 바디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부; 및
버클 브라켓에 인접한 코일부의 단부에서 바디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코일부 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지는 끼움 방지 권선부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어셈블리.
A base frame mounted on the vehicle;
A buckle bracket connected to the buckle for the seat belt;
A rivet having a body portion and a head portion rotatably connecting the buckle bracket to the base frame;
A spring disposed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buckle bracket, and
And a bushing installed between the base frame and the buckle for smoothly rotating the buckle and preventing noise,
A plurality of steps are formed in the body portion of the rivet so that the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opposite side from the head portion side,
A spring portion extending in a coil shape and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Prevention coil portion extend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t the end of the coil portion adjacent to the buckle bracket and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larger than that of the coi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은,
헤드부와 인접한 코일부의 일단으로부터 일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제 1 연결부;
제 1 연결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프레임에 걸리는 제 1 걸림부;
끼움 방지 권선부의 단부로부터 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제 2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버클 브라켓에 걸리는 제 2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시트 벨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ring,
A first connecting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oil part adjacent to the head part toward one direction;
A first engagement portion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base frame;
A second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insertion preventing winding portion toward the other direction; And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disposed at an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buckle bracket.
제 1 항에 있어서,
끼움 방지 권선부는 그 곡률 반경에 따라 코일부 보다 바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더 이격된 시트 벨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tting prevention winding portion is further spac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an the coil portion according to a radius of curvature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방지 권선부는,
제 1 지점과 제 2 지점을 사이를 이동 가능하되, 상기 코일부의 단부와 연결되는 위치 및 상기 곡률 반경의 설정된 변경에 따라 상기 제 1 지점과 제 2 지점이 변경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tting-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being movable between a first point and a second point, the point being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il part and the first point and the second point being changeable according to a set change in the radius of curvature
The seat belt assembly comprising:
KR1020170044229A 2017-04-05 2017-04-05 The seat belt assembly KR1019589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29A KR101958945B1 (en) 2017-04-05 2017-04-05 The seat bel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229A KR101958945B1 (en) 2017-04-05 2017-04-05 The seat bel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045A KR20180113045A (en) 2018-10-15
KR101958945B1 true KR101958945B1 (en) 2019-03-15

Family

ID=6386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229A KR101958945B1 (en) 2017-04-05 2017-04-05 The seat belt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9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18116B2 (en) * 2016-07-29 2020-07-0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Vehicle sea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4596A1 (en) * 2006-01-19 2007-07-19 Jason Di Grande Temporary hold mechanism for a buck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8734A (en) * 1997-04-08 1998-10-20 Ashimori Ind Co Ltd Buckle device for seat bel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4596A1 (en) * 2006-01-19 2007-07-19 Jason Di Grande Temporary hold mechanism for a buck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045A (en) 201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6218B2 (en) Fastener for securing a panel on a support
US11077819B2 (en) Decoration member and cover body for airbag apparatus
KR101958945B1 (en) The seat belt assembly
US11059447B2 (en) Cover body for airbag apparatus
JP2016137758A (en) Buckle device
US8544937B2 (en) Grab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having telescopingly collapsible supports
CN114845926A (en) Steering wheel device for vehicle
CN107635828A (en) The pilot sleeve of seat
JP5578019B2 (en) Vehicle seat 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939003B2 (en) Clip
KR101916002B1 (en) The drive airbag housing
KR102210423B1 (en) Covering shelf hinge damper and covering shelf including the same
JP6177823B2 (en) Buckle device
EP1270346A3 (en) Retractor spool
CN106891850B (en) Safety belt buckle assembly and seat assembly
US8166846B2 (en) Steering handle
JP2016124379A (en) Guide anchor and seat belt device
US10850647B2 (en) Seat recliner for vehicle
US10017129B2 (en) Assembly component incorporating multi-step doghouse
JP4474560B2 (en) Automotive stabilizer
KR101889623B1 (en) Seatback frame integrated with seat armrest board for automob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32290B1 (en) Door cladding for a motor vehicle
US10786049B2 (en) Housing for a belt buckle
EP3163099B1 (en) Double-cable motion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ables
JP5423507B2 (en) Interior materials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