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750B1 - Patient bed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 - Google Patents

Patient bed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750B1
KR101958750B1 KR1020170048312A KR20170048312A KR101958750B1 KR 101958750 B1 KR101958750 B1 KR 101958750B1 KR 1020170048312 A KR1020170048312 A KR 1020170048312A KR 20170048312 A KR20170048312 A KR 20170048312A KR 101958750 B1 KR101958750 B1 KR 101958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oot
patient
pad
foot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5881A (en
Inventor
김명자
허경용
이임건
정향미
김남희
최훈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750B1/en
Publication of KR20180115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7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limbs
    • A61G7/075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limbs for the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발명으로, 프레임,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매트리스, 환자의 발을 지지하는 풋보드, 풋보드의 일면에 결합되고, 환자의 발의 저면에 접촉되는 발 지지부, 풋보드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암(arm),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다리 근육 위축에 따른 족하수 문제를 예방하고, 동시에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s bed for preventing foot-and-mouth disease and pressure ulcer, comprising a frame, a mattress coupled to the top of the frame, a footboard for supporting the patient's foot, An arm connecting the footboard and the frame, a receiver receiving the signal, a controller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receiver, and an operation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foot-and-mouth problems caused by atrophy of the leg muscles and prevent the pressure ulcer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PATIENT BED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 for preventing foot pressure and pressure ulcers,

본 발명은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 지지부가 결합된 침대의 풋보드가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2축 운동이 가능하여 다리 근육 위축에 따른 족하수 문제를 예방하고, 형상 변형이 가능한 패드를 통해 내피의 유동을 유도하여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 bed for preventing foot and mouth sores. More specifically, the footboard of the bed having the foot support unit can perform biaxial motion through the universal joint, thereby preventing the foot trouble caused by the atrophy of the leg muscles and inducing the flow of the endothelium through the deformable pad, ≪ / RTI >

뇌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마비 환자는 신경계의 마비로 인하여 발목관절 주위의 근육활동이 약화된다. 이로 인해, 보행 시 발목의 배굴/저굴 및 내번/외번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보행 양상을 보인다. 즉, 족저굴근의 경직성 마비로 인해 초기 입각기에 발뒤축이 지면에 닿지 않고 발바닥이나 발끝으로 딛게 되는 족하수(foot drop) 현상을 보이게 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마비 환자는 회선보행(circumduction gait)을 하게 되어 보행속도가 느려지고 에너지 소모가 크게 증가되는 등의 비효율적 보행양상을 보이게 된다.Patients with paralysis caused by cerebrovascular disease are weakened by muscle paralysis around the ankle joint due to paralysis of the nervous system. As a result, there is a gait pattern in which ankle dorsiflexion / depression and inversion / exclusion are not performed voluntarily when walking. In other words, due to the stiffness paralysis of the plantar flexor, the feet move to the foot or toe without reaching the ground at the initial stanc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paralysis patient has a circumduction gait, which leads to an ineffective gait such as slow walking speed and high energy consumption.

족하수(foot drop)란, 신경계의 마비로 발목주위의 근육활동이 작아지거나 없어짐으로 인해 발을 들어올리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족하수가 발생하는 원인은 중추 및 말초신경계의 마비로 인해 발목 주위에 있는 앞정강이근(tibialis anterior)의 활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지지지 않아서 발생되며 특히, 경련성 마비환자들에게 자주 발생된다.A foot drop is a symptom of a nervous system paralysis in which the muscles around the ankle are not able to lift their feet due to small or missing muscle activity. The cause of foot injuries is that the activity of the anterior tibialis muscle around the ankle due to paralysis of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 is not achieved normally, especially in patients with spastic paralysis.

족하수 환자의 보행양상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기능적 전기자극(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과 단하지 보조기(ankle-foot orthosis, AFO)를 착용하는 방법이 있다.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ankle-foot orthosis (AFO) can be used as a way to improve the walking pattern of the elderly patients.

기능적 전기자극은 근육의 수축을 유도하기 위해 짧은 순간의 전기적 펄스를 사용하는 전기 자극법으로, 영구적인 보조기구로 기대되어 왔다. 그러나 전기 자극법은 계속적인 시행착오를 통한 개인맞춤형 장비일 뿐 아니라 보행 시 근육의 피로로 인해 근육의 기능이 변화하기 때문에 장시간 착용할 수 없다. 또한, 기능적 전기 자극법은 환경과 보행속도에 따라 보행주기 및 근육의 기능이 변화하는 보행에서는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많다.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has been anticipated as a permanent orthopedic device with electrical stimulation using short-duration electrical pulses to induce contraction of the muscles. However, the electric stimulation method is not only a personalized device through continuous trial and error, but also can not be worn for a long time because muscle function changes due to muscle fatigue during walking. In addition, the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method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gait where the walking cycle and the muscle function change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the walking speed.

단하지 보조기는 족하수 환자의 보행을 호전시키기 위한 물리적 보조수단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하지 보조기는 종아리 지지부 및 발 지지부가 종아리 및 발을 감싸고, 종아리 지지부 및 발 지지부를 힌지 조인트로 연결하는 구성을 지닌다.Ankle leg orthosis is most commonly used as a physical assistant device to improve the walking of the elderly patient. In general, the leg support devic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alf support portion and the foot support portion surround the calf and foot, and the calf support portion and the foot support portion are connected by a hinge joint.

종래의 단하지 보조기는 환자가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여 보행 시 이를 보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큰 사고로 중태(重態)에 빠진 환자의 경우, 의식이 없어 발목운동을 장기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이로 인해 족하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환자가 의식이 없어 보행할 수 없으므로 단하지 보조기의 장착만으로는 족하수를 예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short leg orthoses are designed to assist the patient in walking with a short leg orthosis. However, in patients who have been seriously injured by a major accident, there is a case in which there is no consciousness and the ankle motion can not be performed for a long time, resulting in foot injuries. In such a case, since the patient can not walk without consciousn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otrest can not be prevented only by mounting the leg support apparatus.

또한, 환자가 족하수를 방지하기 위해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다리 골절 등의 환자는 다리 부분의 움직임이 적게 된다. 이로 인해, 단하지 보조기와 종아리 또는 발의 저면이 맞닿는 부분에 장기간 압력이 가해져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욕창(褥瘡)까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patient wears a short leg orthosis to prevent foot injuries, the leg portion is less likely to move in a patient such as a leg fractur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a long period of pressure is applied to a portion of the calf lower limb that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calf or the foot, the blood circulation is not smooth, and a pressure ulcer occurs.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족하수를 예방하기 위한 침대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미국 공개공보 제2007-0169271호는 족하수를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발 부위에 움직이는 매트를 결합하여 족하수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 bed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footload of the patient lying in the bed is being developed. US-A-2007-0169271 discloses a functional bed for preventing foot-and-mouth disease. And a moving mat on the foot area to prevent foot injuries.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침대는 환자의 발이 움직이는 반경이 제한되어 족하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매트가 환자의 다리에 맞닿고 있어 욕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새로운 형태의 족하수 예방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functional bed has a problem that the radius of movement of the foot of the patient is limited, and the foot-and-mouth can not be effectively preven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egs of the patient continuously, and a pressure ulcer may occur. Therefore, a new type of foot-and-mouth protection device is needed.

본 발명은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발 지지부가 결합된 침대의 풋보드가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2축 운동이 가능하고, 형상 변형이 가능한 패드를 통해 내피의 유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다리 근육 위축에 따른 족하수 문제를 예방하고,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ient's bed for preventing foot-and-mouth disease and a pressure ulcer, wherein a footboard of a bed having a foot supporting part can biaxially move through a universal joint, . This feature prevents the problem of foot-and-mouth problems caused by atrophy of the leg muscles and prevents the pressure ulce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는 프레임,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매트리스, 환자의 발을 지지하는 풋보드, 풋보드의 일면에 결합되고, 환자의 발의 저면에 접촉되는 발 지지부, 풋보드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암(arm),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d for preventing feet and bedsores comprising a frame, a mattres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 footboard for supporting a patient's foot, An arm connecting the footboard and the frame, a receiver receiving the signal, a controller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receiver, and an operation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는 암 및 풋보드를 연결하되, 2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ed for preventing foot drop and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universal joint connecting the arm and the footboard, and having two rotation shafts.

또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의 동작부는 회전동작부를 포함하고, 회전동작부는, 풋보드를 구동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part of the bed for preventing the foot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operation part, and the rotation operation part drives the footbo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는 수신부에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회전동작부에 동작 신호를 전달하여, 풋보드가 유니버셜 조인트를 중심으로 2축 운동하고, 수신부에 동작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회전동작부에 동작 중지 신호를 전달하여, 풋보드가 2축 운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receiving unit,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rotation operation unit, so that the footboard performs biaxial motion around the universal joint, When the stop signal is inputted,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operation stop signal to the rotation operation unit, so that the footboard stops the biaxial mo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는 송신부에 풋보드의 소정의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를 입력하면, 풋보드가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에 따라 2축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and the operation period of the footboard are input to the transmitter, the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is biaxially mo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and the operation perio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의 발 지지부는 발의 저면에 맞닿는 내피, 외피 및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oot support portion of the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dothelium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foot, a sheath, and a pad disposed between the endothelium and the sheat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의 동작부는 패드동작부를 포함하고, 패드동작부는, 패드에 유체를 유출입시켜 내피의 형상의 변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part of the bed for preventing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operation part, and the pad operation part induces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endothelium by allowing the fluid to flow in and out of the p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의 패드동작부는 패드와 연결된 유로,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및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ad operation portion of the bed for preventing foot drop and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ssage connected with the pad, a valve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fluid passing through the passage, and a pump for supplying the flui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는 수신부에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패드동작부에 동작 신호를 전달하고, 밸브가 개방되고, 펌프가 구동되고, 수신부에 동작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패드동작부에 동작 중지 신호를 전달하고, 밸브가 폐쇄되고, 펌프의 구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ed for preventing foot drop and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receiving unit,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pad operation unit, the valve is opened, the pump is drive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operation stop signal to the pad operation unit, the valve is closed, and the driving of the pump is stopp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는 송신부에 패드동작부의 소정의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를 입력하면, 패드동작부가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에 따라 유체를 패드 내부로 유출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and the operation period of the pad operation unit are input to the transmitter, the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prevents the fluid from flowing into the pa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and the operation cycl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의 동작부는 진동동작부를 포함하고, 진동동작부는 내피와 패드 사이에 위치되어 내피에 진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ng part of the bed for preventing the foot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operating part, and the vibration operating part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ads to provide vibration to the inner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는 프레임,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매트리스, 환자의 발을 지지하는 풋보드, 풋보드의 일면에 결합되고, 환자의 발의 저면에 접촉되는 발 지지부, 풋보드와 프레임을 연결하는 암(arm),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부, 암 및 풋보드를 연결하되, 2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유니버셜 조인트 및 발 지지부에 결합된 압력 유닛을 포함하고, 압력유닛은 발의 저면의 압력을 감지하여 수신부에 압력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ed for preventing foot infections and pressure ulc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a mattres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ame, a footboard supporting the patient's foot, a foot suppo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otboard and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patient's foot, A universal joint having two rotation shafts, and an arm coupled to the frame, a receiver receiving the signal, a control unit receiving a signal from the receiver, an operation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pressure unit senses the pressur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and transmits a pressure signal to the receiv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의 압력유닛은 발의 저면에 맞닿는 압력 센싱부, 압력 센싱부와 연결된 압력 감지부, 압력 센싱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한 경우, 압력 신호를 생성하는 압력 신호 생성부 및 압력 신호를 수신부에 전달하는 압력 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sure unit of a bed for preventing foot pressure and a pressure ulcer comprising a pressure sensing unit contacting a bottom surface of a foot, a pressure sensing unit connected to a pressure sensing unit, a pressure sensor generating a pressure signal when a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is constant, And a pressure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pressure signal to the recei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침대의 동작부는, 풋보드가 유니버셜 조인트를 중심으로 2축 운동하게 하는 회전동작부를 포함하고, 압력 신호에 의해 회전동작부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part of the bed for preventing foot drop and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operation part for causing the footboard to biaxial motion around the universal joint, and the rotation operation part is operated by the pressure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에 따르면, 송신부에 동작신호를 입력하여 동작부를 작동시킬 수 있어 족하수 및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atient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can be operated by inputting the operation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so that the foot load and the pressure ulce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동작부의 회전동작부로 인해 풋보드가 2축 운동하여 환자의 족하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rotation operation part of the operation part of the patient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board can be biaxially moved to prevent the foot drop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동작부의 패드동작부로 인해 패드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어 내피의 형상 변형을 유도하고, 이로 인해 환자의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ad operation part of the operation part of the patient's bed for preventing the foot bath and the pressure ulcer prevents the fluid from flowing into the pad, it can induce shape deformation of the endothelium.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동작부의 진동동작부로 인해 진동이 발생되어 환자의 욕창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brations are generated due to vibration parts of the operating part of the patient's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thereby preventing the pressure ulcer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로 인해, 타인으로 하여금 환자용 침대의 동작부를 작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의식이 없는 환자의 경우라도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operating part of the bed for the patient by the patient's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so that even in the case of a patient without unconsciousnes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송신부에 동작부의 소정의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를 입력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이 매번 상태를 체크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환자 또는 환자가 아닌 타인의 수면시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어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n automation system capable of inputting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and an operation cycle of the operation unit to a transmission unit of a patient bed for preventing foot drop and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Especially in the sleeping time of a patient or a non-patient, thereby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자동화 시스템에 따라 동작부가 작동하더라도 동작 중지 신호를 송신부에 입력하면 동작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으므로, 긴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어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utomation system of the patient's bed for preventing the foot-and-mouth disease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operation unit operates, inputting the operation suspension signal to the transmission unit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펌프에 연결된 정방향 구동부 또는 역방향 구동부에 의해 패드의 형상 변형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shape deformation of the pad can be maximized by the forward driving unit or the backward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pump of the patient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수신부에 연결된 수동유닛으로, 임의로 동작부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assive unit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of the patient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safety can be increased because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unit can be arbitrarily stopp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압력유닛으로 인해, 환자용 침대의 오작동 시 이를 스스로 감지하여 동작부를 다시 작동하게 하므로, 피드백 시스템(feedback system)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due to the pressure unit of the patient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lfunction of the patient bed is detected by itself, the operation unit is operated again, and the advantage of the feedback system can be exhibit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알람부 구성으로 인해,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larm part of the patient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the safety of the patient is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풋보드의 전방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풋보드의 후방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신호 전달 체계를 도시한 모식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발 지지부 본체의 일 지점의 단면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압력유닛의 압력 신호 전달 체계를 도시한 모식도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종아리 지지부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사용예에 관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tient bed for preventing a foot drop and a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ootboard of a patient's bed for preventing foot-and-mouth disease and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ootboard of a patient bed for preventing foot drop and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of a patient's bed for preventing foot-and-mouth disease and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point of the foot support body of a patient's bed for preventing foot drop and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essure signal delivery system of a pressure unit of a patient bed for preventing foot-and-mouth disease and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relates to a calf support and a calf support to prevent pressure ulcer and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relates to an example of the use of a patient's bed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s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element, not the limitative meaning. Also,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the terms include, including, etc. mean that there is a feature, or element, recit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Also,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구성요소 및 이에 대한 특징을 설명하도록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atient's bed for preventing the foot-and-mouth disease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는 프레임(100), 매트리스(200), 풋보드(300), 발 지지부(400), 암(arm, 500), 동작부(600), 제어부(610), 수신부(620), 압력유닛(640), 링크부(700) 및 종아리 지지부(800)를 포함한다.The patient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100, a mattress 200, a footboard 300, a foot support 400, an arm 500, an operation unit 600, 610, a receiving unit 620, a pressure unit 640, a link unit 700, and a calf support unit 800.

프레임(100)은 침대의 뼈대를 이루는 일반적인 프레임을 말하며, 어떠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4개의 침대 다리가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매트리스(200)가 결합된다. 매트리스(20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닌 직육면체 형상의 공지의 매트리스(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리스(200)의 일 지점에는 종아리 지지부(900)가 결합된다. 이는 도 7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frame 100 refers to a general frame constituting a skeleton of a bed, and is not limited to any shape. As an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m has four bed legs. A mattress 2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The mattress 200 is preferably a known mattress 20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t one point on the mattress 200, the calf support 900 is engag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풋보드(300)는 환자가 매트리스(200)에 누웠을 때, 환자의 발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풋보드는 환자가 단순히 발을 갖다 대고 있는 역할이나, 본 발명에 따른 풋보드(300)는 발 지지부(400)가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footboard 300 serves to support the patient ' s feet when the patient is lying on the mattress 200. [ The footboard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foot support portion 400, while the conventional footboard serves to simply hold the foot on the patient.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풋보드(300)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ootboard 300 of a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풋보드(300)는 매트리스(200)와 수직되고, 환자의 발(2)의 저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가 풋보드(300)에 발(2)을 대었을 때 안정적인 자세로 이를 지지하기 위함이다.The footboard 300 is preferably perpendicular to the mattress 200 and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patient's feet 2. So as to support it in a stable posture when the patient is putting the foot (2) on the footboard (300).

풋보드(30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지닌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풋보드(300)의 전면에는 발 지지부(400)가 결합된다. 이때, 발 지지부(400)는 환자의 양발을 모두 지지하도록 한 쌍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footboard 300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shown in Fig. A foot support 40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ootboard 3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ot supporting part 400 is a pair so as to support both feet of the patient.

발 지지부(400)는 발 지지부 본체(410), 뒤꿈치 지지부(420) 및 발 밴드부(430)를 포함한다. 발 지지부 본체(410)는 환자의 발(2)의 저면과 맞닿는다. 발 지지부 본체(410)의 일면은 환자의 발(2)의 저면과 맞닿고, 발 지지부 본체(410)의 타면은 풋보드(300)와 맞닿아 결합된다. 발 지지부 본체(410)의 형상은 국한되지 않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지닌 타원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oot support portion 400 includes a foot support body 410, a heel support portion 420, and a foot band portion 430. The foot support body 41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atient's foot 2. One surface of the foot supporting body 41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atient's foot 2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oot supporting body 410 is in contact with the footboard 300. The shape of the foot support body 410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shown in Fig.

뒤꿈치 지지부(420)는 발 지지부 본체(410)의 단부에 결합되되, 도 2 기준으로 환자를 향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발 뒤꿈치를 감싸는 형상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환자의 발(2)이 도 2 기준으로 Y축 하부방향으로 중력을 받게 되므로, 뒤꿈치 지지부(420)는 이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환자는 발 지지부(400)에 발(2) 전체를 걸쳐 놓을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heel support portion 420 is coupled to the end portion of the foot supporting body 410 and has a shape protruding forward to face the patient on the basis of Fig. So as to form a shape that surrounds the patient ' s heel. Since the feet 2 of the patient are gravitationally moved in the Y-axis lower direction on the basis of FIG. 2, the heel supporter 420 supports the feet. With this structure, the patient can put the entire foot 2 over the foot support portion 400.

발 밴드부(430)는 환자의 발(2)이 발 지지부 본체(410)에 맞닿을 때, 발등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환자가 발(2)을 발 지지부 본체(410) 및 뒤꿈치 지지부(420)에 갖다 댈 때 해당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함이다.The foot band portion 430 serves to surround the foot when the foot 2 of the patien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ot support body 410. So as to more firmly fix the position when the patient places the foot 2 on the foot support body 410 and the heel support portion 420. [

후술하겠지만, 풋보드(300)는 도 2 기준으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2축 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2축 운동으로 인해 환자의 발(2)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자연스럽게 발목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족하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보행식 단하지 보조기와는 달리, 침대에 누워있는 경우에도 족하수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의식이 없는 중태 상태의 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2축 운동 동작은 유니버셜 조인트(710)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ootboard 300 is capable of biaxial movement in the X-axis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on the basis of FIG. This biaxial motion allows the patient ' s feet 2 to move. Therefore, the patient naturally performs the ankle motion, and the foot-and-mouth disease can be prevented. In other words, unlike the conventional walking and walking support device,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footrest can be prevented even when the user is lying on the bed. Particularly, it can be usefully used in a patient who is in a state of unconsciousness. This biaxial mo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universal joint 710, and reference is made to Fig. 3 for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풋보드(300)의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footboard 300 of a patient bed for preventing foot drop and bedso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풋보드(300)의 후방에는 링크부(700) 및 암(500)이 결합된다. 또한, 링크부(700)는 유니버셜 조인트(710) 및 링(720, 721)을 포함한다.The link portion 700 and the arm 500 are coupled to the back of the footboard 300 of the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link portion 700 includes a universal joint 710 and rings 720 and 721.

암(500)은 풋보드(300)와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암(500)의 일단부는 프레임(100)의 일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유니버셜 조인트(710)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암(500)은 프레임(100)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된 풋보드(3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이되, 사용자가 암(500)을 잡고 큰 힘을 가하는 경우, 소정의 형상 변형이 가능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암(500)의 형상 변형시, 풋보드(300)의 위치가 조절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환자의 신체 사이즈별로 맞춤식으로 풋보드(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rm 500 serves to connect the footboard 300 and the frame 100 together. One end of the arm 500 is coupled to one point of the frame 10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with one end of the universal joint 710. [ At this time, the arm 500 is made of a rigid material so as to fix the position of the footboard 300 spaced apart from the frame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user holds the arm 500 and applies a large fo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is a deformable material. When the shape of the arm 500 is deformed, the position of the footboard 300 is adjusted. Because of this feature, the position of the footboard 300 can be adjusted in a customized manner 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patient.

도 3의 확대도를 참조하도록 한다. 확대도는 링크부(700)의 결합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유니버셜 조인트(710)를 기준으로 유니버셜 조인트(710)의 일단부에는 암(500)이 결합되고, 유니버셜 조인트(710)의 타단부에는 풋보드(300)가 결합되어 암(500)과 풋보드(300)를 연결한다. 이때, 유니버셜 조인트(710)의 일단부와 암(500) 사이에는 제1 링(72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모를 방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수명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기능으로, 유니버셜 조인트(710)의 타단부와 풋보드(300) 사이에는 제2 링(721)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The enlarged view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link portion 700. The arm 5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universal joint 710 and the footboard 3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universal joint 710 to connect the arm 500 and the footboard 300, Lt; / RTI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ing 720 is coupled between the one end of the universal joint 710 and the arm 500. To prevent wear and to increase the lifetim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ing 721 is preferably coupl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universal joint 710 and the footboard 300 with the same function.

유니버셜 조인트란, 두 축의 각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이음(조인트) 공구로서, 2축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을 기준으로, 유니버셜 조인트(710)는 서로 교차되어 마주보며 삽입되는 U자 형상의 한 쌍의 이음부(711), 교차된 부분에 삽입되는 볼(713) 및 볼을 관통하여 조인트 구조를 형성하는 고정핀(712)이 있다. 따라서, 고정된 위치의 암(500)을 기준으로 풋보드(300)는 유니버셜 조인트(710)에 의해 2축 운동(도 3 기준 x,y축)이 가능하다.A universal joint is a joint tool that can freely change the angles of two axes, enabling biaxial motion. 3, the universal joint 710 includes a pair of U-shaped joints 711, a ball 713 inserted into the intersection and a U-shaped joint 713, There is a fixing pin 712 for forming a fixing pin. Thus, the footboard 300 is capable of biaxial movement (reference x, y axis in FIG. 3) by universal joint 710 with respect to the arm 500 in a fixed position.

이러한 구조로 인해, 풋보드(300)의 전방부에 결합된 환자의 발(2)은 풋보드(300)의 2축 운동에 대응하여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풋보드(300)의 x축 운동의 경우, 환자의 발목을 기준으로 발목의 좌, 우측 복숭아 뼈 근처의 근육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고, y축 운동의 경우, 발등이 접히는 부분 및 아킬레스 건 부근의 근육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환자의 발목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근육을 사용할 수 있고, 족하수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게 된다.Due to this structure, the patient's foot 2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footboard 300 becomes mov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biaxial movement of the footboard 300. In the case of the x-axis movement of the footboard 300, the muscles near the left and right peach bones of the ankle are continuously used based on the ankle of the patient. In the case of the y-axis movement, Will continue to be used. Because of this feature, most of the muscles present in the ankle of the patient can be used and have an excellent effect in preventing foot injuries.

이때, 풋보드(300)의 후면에는 수신부(620), 제어부(610) 및 풋보드(300)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동작부(601)가 결합된다. 회전동작부(601)는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동작부(600) 구성 중 하나이다(도 4 참조). 동작부(600) 중 나머지 구성인 패드동작부(602) 및 진동동작부(603)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며, 동작부(600) 각각의 구성요소는 상이하고, 동작 메커니즘이 상이하나, 모두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데 그 목적이 동일시 된다.At this time, a rotation operation unit 601 for driving the receiving unit 620, the control unit 610, and the footboard 30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ootboard 300. 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is one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operation unit 600 of the patient bed for preventing the foot drop and the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 4). The pad operating portion 602 and the vibrating operating portion 603, which are the remaining components of the operating portion 60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Each of the operating portions 600 has a different component, The purpose is to prevent foot injuries and pressure ulcers.

회전동작부(601)는 풋보드(300)를 구동케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회전동작부(601)는 풋보드(300)의 2축 운동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단하지 보조기는 보행이 가능한 환자를 위해 설계되었으나, 본 발명의 목적은 자의적으로 발(2)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족하수 및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풋보드(300)를 기계적인 힘에 의해 구동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serves to drive the footboard 300. In addition, 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serves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biaxial motion of the footboard 300. The conventional short leg orthosis has been designed for a patient who is capable of walking, bu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eet and bedsores of a patient who can not move the foot 2 on his / A means that can be driven by force is needed.

회전동작부(601)는 모터부(6011), 링크부(6012) 및 구동부(6013)를 포함한다. 도 3과 같이, 풋보드(300)에 구동부(6013)가 결합되고, 외부에 모터부(6011)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모터부(6011), 링크부(6012) 및 구동부(6013)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풋보드(300)가 2축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면 된다.The rotation operation section 601 includes a motor section 6011, a link section 6012, and a drive section 6013. As shown in FIG. 3, the driving unit 6013 may be coupled to the footboard 300, and the motor unit 6011 may be located outside. At this time, the shapes of the motor unit 6011, the link unit 6012 and the driving unit 6013 are not limited, and the driving board 603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the driving force so that the footboard 300 can move in two directions.

모터부(6011)는 풋보드(300)가 움직이기 위한 힘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동력의 근원이 된다. 이때, 모터부(6011) 내부에는 모터(미도시) 및 제어부(6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송수신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모터 및 송수신시스템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추후 서술할 패드동작부(602), 진동동작부(603) 또한 제어부(6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송수신시스템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motor portion 6011 provides a force for moving the footboard 300, and is a driving force sourc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unit 6011 includes 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not shown) for receiving signals from a motor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610. Since the motor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re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pad operation unit 602, the vibration operation unit 603, Do.

모터부(6011)는 링크부(6012)와 결합되어 구동력을 링크부(6012)에 전달하고, 링크부(6012)는 구동부(6013)와 결합되어 구동부(6013)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도 3에서는 간략하게 표기하였으나, 일 예로 링크부(6012) 내에는 볼스크류(ball screw) 및 볼너트(ball nu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부(6011)의 회전운동이 볼스크류(ball screw) 및 볼너트(ball nut)에 의해서 직선 운동으로 바뀌게 되어 모터부(6011)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거리와 이동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동부(6013)는 링크부(6012)로부터 전달받은 힘을 풋보드(300)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전달자 역할을 한다.The motor unit 6011 is coupled to the link unit 6012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link unit 6012 and the link unit 6012 is coupled to the driving unit 6013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unit 6013. 3, it is preferred that the link portion 6012 includes a ball screw and a ball nu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unit 6011 is changed into a linear motion by a ball screw and a ball nut to change the moving distance and the mov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motor unit 6011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 The driving unit 6013 serves as a transmitter for directly transmitting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link unit 6012 to the footboard 300.

회전동작부(601)가 풋보드(300)를 구동케 함으로써, 환자는 발목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족하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전동작부(601)는 자동화되어 송수신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drives the footboard 300, so that the patient can perform ankle motion, thereby preventing foot drop. At this time, 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can be operated by automatic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패드동작부(602)는 밸브(6021), 펌프(6022) 및 유로(6023)를 포함한다(도 4 참조). 도 5를 참조하여, 패드동작부(602)의 구성요소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pad operating portion 602 includes a valve 6021, a pump 6022, and a flow path 6023 (see FIG. 4).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of the pad operation unit 60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발 지지부 본체(410)의 상부 측 일 지점의 측면도로, 도 5(a) 및 도 5(b)는 유체의 유입으로 인해 패드 및 내피의 형상이 변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하기와 같이 서술하는 발 지지부 본체(410)의 단면 구조는 후술할 종아리 지지부 본체(810)의 단면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발 지지부 본체(410)만을 설명하도록 한다.FIG. 5 is a side view of a point on the upper side of the foot supporting body 410, and FIGS. 5 (a) and 5 (b) show deformations of the pad and the inner skin due to inflow of fluid. In this case, since the sectional structure of the foot supporting body 410 described below is the same as the sectional structure of the calf supporting body 810 described later, only the foot supporting body 410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발 지지부 본체(410)는 내피(410a), 외피(410b) 및 패드(410c)를 포함한다. 내피(410a)는 환자의 발(2)의 저면과 맞닿게 된다. 내피(410a)는 피부와 직접 맞닿게 되므로, 연한 재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천 재질의 소재가 복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로 인해 내피(410a)는 형상 변형이 가능하다.The foot support body 410 includes an inner skin 410a, an outer skin 410b, and a pad 410c. The inner skin 410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atient's foot 2. [ Since the inner skin 410a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it is preferable to use a soft material, especially a cloth material. Due to such a material, the inner skin 410a can be deformed in shape.

외피(410b)는 풋보드(300)와 맞닿아 결합되는 곳으로, 환자의 발(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단단한 재질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외피(410b)는 형상 변형이 불가능 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envelope 410b is where it abuts against the footboard 300 and serves to protect the feet 2 of the patien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of a hard material,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envelope 410b can not deform its shape.

패드(410c)는 내피(410a) 및 외피(410b)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패드(410c)는 패드(410c)의 내부에 유체(F)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유체(F)의 유출입으로 인해 형상이 변형되도록 설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체(F) 함은 일반적으로 공기를 일컫는다.The pad 410c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kin 410a and the outer skin 410b. The pad 410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allow the fluid F to flow in and out of the pad 410c and is designed to be deformed due to the flow of the fluid F. [ Here, fluid (F) generally refers to air.

이때, 패드(410c)의 양측부(도 5 기준 좌, 우측)는 유체(F)가 일부 통과할 수 있도록 미세한 크기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유로(6023)를 통해 패드(410c)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F)가 통공을 통해 통과되고, 유체(F)는 환자의 발(2)의 저면과 맞닿게 된다. 이로 인해 환자는 시원한 느낌을 느끼게 되어 사용 시의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fine holes (not show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d 410c (left and right sides in FIG. 5) so that the fluid F can partially pass therethrough. The fluid F flowing into the pad 410c through the fluid passage 6023 to be described later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fluid F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atient's foot 2. As a result, the patient feels a cool feeling and can provide satisfaction in use.

패드(410c)의 일단부(도 5 기준 상부)는 패드동작부(602)의 유로(6023)와 연결된다. 유로(6023)의 일단부는 유로결합구(6024)를 통해 패드(410c)의 일단부와 결합 및 연결되고, 유로(6023)의 타단부는 펌프(6022)와 연결된다. 펌프(602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근방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나, 특정 위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펌프(6022)는 유체(F)를 공급하는 공지의 펌프이므로, 펌프(6022)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One end of the pad 410c (the upper part of the reference in FIG. 5)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6023 of the pad operating portion 602. One end of the flow path 6023 is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ad 410c through the flow path coupling port 6024 and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6023 is connected to the pump 6022. [ The pump 6022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location. Since the pump 6022 is a known pump for supplying the fluid F, a description of the shape of the pump 6022 is omitted.

또한, 유로(6023)는 발 지지부(400) 외부로 돌출되며, 특정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때, 패드(410c)의 타단부(도 5 기준 하부)는 폐쇄된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6023)를 통해 유입된 유체(F)가 고립되어야 패드(410c)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flow path 6023 protrudes outside the foot support portion 400,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of the pad 410c (lower reference in FIG. 5) is closed. This is because the shape of the pad 410c may be deformed when the fluid F introduced through the flow path 6023 is isolated.

펌프(6022)를 통해 외부 유체(F)가 패드(410c) 내부로 유입되면, 유체(F)에 의해 패드(410c)는 팽창된다. 패드(410c)가 팽창될 때, 외피(410b)는 재질로 인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다. 내피(410a)는 연한 재질의 소재이므로 패드(410c)의 팽창에 대응하여 형상이 변형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내피(410a)와 맞닿는 환자의 발(2)의 저면에는 유체(F)의 주입 전과는 다른 압력이 가해진다.When the external fluid F flows into the pad 410c through the pump 6022, the pad 410c is inflated by the fluid F. [ When the pad 410c is inflated, the envelope 410b is not deformed in shape due to the material. Since the inner skin 410a is made of a soft material, the shape of the inner skin 410a is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of the pad 410c. Due to this feature, a pressure different from that before the injection of the fluid F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tient's foot 2, which abuts the inner surface 410a.

욕창의 경우, 일정한 압력이 피부에 가해져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조직이 괴사되는 것이다. 특히 도 8과 같이, 의식 없이 병상 침대에만 누워있는 환자(P1)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병이다. 따라서,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화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In the case of the pressure ulcer, a certain pressure is exerted on the skin, and the blood circulation is not smooth and the tissue is necrotic. Especially, as shown in Fig. 8, it is a disease that occurs in a patient (P1) lying on a bed without any consciousnes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pressure ulc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kin.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를 환자가 사용하는 경우, 유체(F)의 유출입으로 패드(410c)의 형상 변형을 이루고, 이를 통해 패드(410c)와 맞닿은 내피(410a)의 형상 변형을 유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환자의 발(2)의 저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화시켜 욕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족하수를 예방함과 동시에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도 8과 같이 자의에 의해 발목 운동이 불가한 의식이 없는 환자(P1)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When a patient uses a patient's bed for preventing foot-and-mouth disease and a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fluid F forms a shape of the pad 410c, Thereby inducing shape deformation. As a resul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tient's foot 2 can be changed to prevent the pressure ulcer.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ot pressure can be prevented and the pressure ulcer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a patient P1 having no consciousness that ankle motion can not be performed by the self-assist as shown in FIG.

이때, 유로(6023)의 일 지점에는 패드동작부(602)의 구성요소인 밸브(6021)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6021)는 펌프(6022)로부터 발생되는 유체(F)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밸브(6021)를 개방할 경우, 펌프(6022)로부터 발생된 유체(F)가 유로(6023)를 통과하여 패드(410c)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밸브(6021)를 폐쇄할 경우, 밸브(6021)는 유로를 폐쇄하여 펌프(6022)로부터 발생된 유체(F)는 패드(410c) 내부로 유입이 불가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valve 6021,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ad operating part 602, is coupled to one point of the flow path 6023. The valve 60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fluid F generated from the pump 6022. Therefore, when the valve 6021 is opened, the fluid F generated from the pump 6022 flows into the pad 410c through the passage 6023. [ When the valve 6021 is closed, the valve 6021 closes the flow path, and the fluid F generated from the pump 6022 can not flow into the pad 410c.

유체(F)가 지속적으로 공급이 되면 패드(410c)가 유체(F)를 수용할 수 있는 한계점을 맞이하여 더 이상 팽창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른다. 패드(410c)가 더 이상 팽창하지 않게 되면, 패드(410c)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아 욕창을 예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패드(410c)가 폭발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패드동작부(602)의 밸브(6021)로 인해, 패드(410c) 내부의 유체(F)의 유입량을 조절하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욕창을 예방하는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폭발에 따른 위험성을 감소시켜 환자용 침대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밸브(6021)의 개방 및 폐쇄, 그리고 펌프(6022)의 구동 및 중지는 제어부(610)로부터 발생하는 동작 신호 또는 동작 중지 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When the fluid F is continuously supplied, the pad 410c comes to a stage where it can no longer expand due to the limit of the capacity to accommodate the fluid F. If the pad 410c is no longer inflated, the shape of the pad 410c will not be deformed, making it im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atient's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bedsore.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the pad 410c may explode. Therefore, the inflow amount of the fluid F inside the pad 410c is controlled by the valve 6021 of the pad operation unit 602, thereby continuously performing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pressure ulcer of the patient's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o.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isk of explosion is reduced and the safety of the patient bed is increased. At this tim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6021 and driving and stopping of the pump 6022 are performed by an operation signal or an operation stop signal generated from the controller 6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펌프(6022)에는 정방향 구동부(6022a) 및 역방향 구동부(6022b)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방향 구동부(6022a) 및 역방향 구동부(6022b)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정방향 구동부(6022a)는 펌프(6022)를 조절하여 유체(F)가 패드(410c) 내부로 유입되게 하고, 역방향 구동부(6022b)는 유체(F)가 펌프(6022)방향으로 흘러가도록 한다. 패드(410c)의 특성상 유체(F)가 빠져나갈때도 형상이 변형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정방향 구동부(6022a) 및 역방향 구동부(6022b)의 구성으로 인해, 패드(410c)에 유체(F)를 유출입 시킬 수 있고, 패드(410c)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욕창 예방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ward driving part 6022a and the reverse direction driving part 6022b are coupled to the pump 6022. [ The shapes of the forward driving portion 6022a and the reverse driving portion 6022b are not limited. The forward drive unit 6022a controls the pump 6022 to cause the fluid F to flow into the pad 410c and the reverse drive unit 6022b to flow the fluid F toward the pump 6022. [ The shape is deformed even when the fluid F escap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d 410c. Therefore,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orward driving part 6022a and the reverse direction driving part 6022b, the fluid F can be flowed into and out of the pad 410c and the pressure change applied to the pad 410c can be varied have. This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prevention of the bedsore.

진동동작부(603)는 내피(410a)와 패드(410c) 사이의 위치되어 결합된다. 진동동작부(603)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브레이터는 자체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하며, 어느 하나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진동동작부(603)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내피(410a)에 전달되고, 내피(410a)에 전달된 진동은 내피(410a)와 맞닿고 있는 환자의 발(2)의 저면에 전달된다. 이러한 진동은 살 떨림 현상을 제공하고, 살 떨림 현상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변화되어 욕창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vibration operation portion 603 is positioned and coupled between the inner skin 410a and the pad 410c.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operating portion 603 includes a vibrator. The vibrator refers to a device that generates vibrations on its own,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shape.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vibration operation portion 603 is transmitted to the inner skin 410a and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inner skin 410a is transmit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tient's foot 2 in contact with the inner skin 410a. These vibrations provide a tremor effect and the pressure applied continuously due to the tremor phenomenon can be changed to prevent the pressure ulcer.

따라서, 동작부(600)의 회전동작부(601)는 족하수를 방지하고, 패드동작부(602) 및 진동동작부(603)는 욕창을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족하수 방지 및 욕창 예방을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refore, the rotation operation portion 601 of the operation portion 600 prevents the foot drop, and the pad operation portion 602 and the vibration operation portion 603 function to prevent the pressure ulcer. In this way,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ot drop and prevent the pressure ulcer at the same time, it can be particularly useful for patients who are unconscious.

동작부(600)는 제어부(610) 및 수신부(620)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동작부(600) 내의 회전동작부(601), 패드동작부(602) 및 진동동작부(603) 모두 제어부(610) 및 수신부(620)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The operation unit 600 is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10 and the receiving unit 620. Accordingly, 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the pad operation unit 602, and the vibration operation unit 603 in the operation unit 600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10 and the reception unit 620, respectively.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신호 전달 체계를 도시한 모식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610) 및 수신부(620)의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ignal transmission system of a patient's bed for preventing foot-and-mouth disease and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functions of the controller 610 and the receiver 6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제어부(610)는 수신부(62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변환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동작부(6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610)는 일 예로 증폭부(611), A/D변환기(612), 연산처리부(613) 및 제어 신호 생성부(614)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610 conver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620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600. The control unit 610 includes an amplification unit 611, an A / D converter 612, an operation processing unit 613,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614, for example.

증폭부(611)는 수신부(62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한다. 이후, A/D변환기(612)는 증폭된 출력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디지털 신호는 연산처리부(613)를 거쳐 제어 신호 생성부(614)에 전달되고, 제어 신호 생성부(614)는 동작부(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amplification unit 611 amplifi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ption unit 620. Thereafter, the A / D converter 612 converts the amplified output signals into a digital signal. The digita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614 via the operation processing unit 613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614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unit 600.

수신부(620)는 외부의 송신부(630)로부터 무선으로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부(620)는 송신부(63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610)에 전달한다.The receiving unit 620 receives a signal wirelessly from an external transmitting unit 630. The receiving unit 620 transmit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630 to the control unit 610.

이때, 송신부(630)가 신호 중 동작 신호를 수신부(620)에 전달하면, 수신부(620)는 수신된 동작 신호를 제어부(610)에 전달한다. 제어부(610)에 전달된 동작 신호는 제어부(610) 내의 증폭부(611) 내지 제어 신호 생성부(614)를 거쳐 동작부(600)에 전달된다.At this time, when the transmitting unit 630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ignal to the receiving unit 620, the receiving unit 620 transmits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610. [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10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unit 600 via the amplification unit 611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614 in the control unit 610.

동작부(600) 내의 회전동작부(601)는 제어 신호 생성부(614)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 미도시하였지만, 회전동작부(601) 내의 송수신시스템이 동작 신호를 수신하다. 전달된 동작 신호를 토대로 회전동작부(601)는 구동되고, 이로 인해 풋보드(300)가 링크부(700)의 유니버셜 조인트(710)를 중심으로 2축 운동하게 된다.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in the operation unit 600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614. [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in 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is driven on the basis of the transmitted operation signal so that the footboard 300 moves biaxially about the universal joint 710 of the link unit 700.

이와 같이, 송신부(630)로부터 송신된 동작 신호만으로 동작부(600)가 작동되어 족하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자의에 의한 움직임 없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동작부(600)를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의식이 없는 환자의 경우라도 타인으로 하여금 송신부(630)에 동작 신호를 입력하여 족하수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operation unit 600 can be operated only by the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630, thereby preventing a foot injur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operation portion 600 of the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y motion by the patient. That is, even in the case of a patient who is unconscious, an operation signal may be input to the transmission unit 630 by a person to prevent a foot-and-mouth disease.

패드동작부(602)의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614)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 미도시하였지만, 패드동작부(602) 내의 송수신시스템이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밸브(6021) 및 펌프(6022)를 조절하는 작동시스템에 이를 전달한다. 여기서 밸브(6021)의 개폐쇄와 펌프(6022)의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작동시스템은 공지의 기술인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로 인해, 밸브(6021)는 개방되고, 펌프(6022)가 구동되어 패드(410c) 내부로 유체(F)가 공급된다.In the case of the pad operation unit 602, an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614.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in the pad operation unit 602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operating system for adjusting the valve 6021 and the pump 6022. [ Here, the ope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valve 6021 and the driving of the pump 6022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a result, the valve 6021 is opened, and the pump 6022 is driven to supply the fluid F into the pad 410c.

진동동작부(603)의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614)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한다. 미도시하였지만, 진동동작부(603) 내의 송수신시스템이 동작 신호를 수신하고, 진동동작부(603)의 구동여부를 조절하는 작동시스템에 전달한다. 이로 인해 진동동작부(603)가 구동되고, 진동을 내피(410a)에 제공한다.In the case of the vibration operation unit 603, the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614.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in the vibration operation unit 603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operation system that controls whether the vibration operation unit 603 is driven or not. As a result, the vibration operating portion 603 is driven and the vibration is provided to the inner film 410a.

또한, 송신부(630)는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부(620)에 전달할 수 있다. 송신부(630)가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부(620)에 전달하면, 수신부(620)는 수신된 동작 중지 신호를 제어부(610)에 전달한다. 제어부(610)에 전달된 동작 중지 신호는 제어부(610) 내의 증폭부(611) 내지 제어 신호 생성부(614)를 거쳐 동작부(600)에 전달된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630 can transmit an operation stop signal to the receiver 620. [ When the transmitter 630 transmits an operation stop signal to the receiver 620, the receiver 620 transmits the received operation stop signal to the controller 610. The operation stop signal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10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unit 600 through the amplification unit 611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614 in the control unit 610.

동작부(600) 내의 회전동작부(601)는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회전동작부(601) 내의 송수신시스템이 이를 수신한다. 전달된 동작 중지 신호를 통해서 풋보드(300)는 더 이상 2축 운동을 하지 않게 된다.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in the operation unit 600 receives the operation stop signal.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in 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receives this. Through the transmitted operation stop signal, the footboard 300 no longer performs biaxial motion.

패드동작부(602)의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614)로부터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한다. 패드동작부(602) 내의 송수신시스템이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하고, 밸브(6021) 및 펌프(6022)를 조절하는 작동시스템에 이를 전달한다. 이로 인해, 밸브(6021)는 폐쇄되고, 펌프(6022)의 구동이 중지되어 패드(410c) 내부로 유체(F)가 공급되지 않는다.In the case of the pad operation unit 602, the operation sto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614. The transceiving system in pad operation 602 receives the shutdown signal and communicates it to an operating system that regulates valve 6021 and pump 6022. As a result, the valve 6021 is closed, the driving of the pump 6022 is stopped, and the fluid F is not supplied into the pad 410c.

진동동작부(603)의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614)로부터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한다. 진동동작부(603) 내의 송수신시스템이 동작 중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로 인해 진동동작부(603)의 구동이 중지되어 더 이상 진동을 내피(410a)에 제공하지 않는다.In the case of the vibration operation section 603, the operation sto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section 614.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in the vibration operation unit 603 receives the operation stop signal, there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operation unit 603 and providing no further vibration to the endothelial membrane 410a.

이와 같이, 동작 신호와 동작 중지 신호에 따라 동작부(600)의 구동 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송신자의 필요에 의해서 동작부(600)의 구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자율성이 증대되며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this manner, whether the operation unit 600 is driven or no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and the operation stop signal. Accordingly, si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operation unit 600 is drive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sender, it is advantageous that the autonomy is increased and the safety is increased.

송신부(630)에 동작부(600)의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를 입력하면, 동작부(600)가 입력된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에 따라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라 함은, 일 예로 10분 이상 15분 이하의 작동시간 및 1시간 이상 1시간 15분 이하의 작동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peration unit 600 inputs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S and the operation period T of the operation unit 600 to the transmission unit 630, the operation unit 600 receives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S and the operation period T . Here,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S) and the operation period (T) are preferably an operation time of 10 minutes to 15 minutes and an operation time of 1 hour to 1 hour and 15 minutes, for example.

15분을 초과하여 동작부(600)가 가동되면 환자에게 피로감이 축적될 수 있으며, 10분 미만으로 동작부(600)가 가동되면 족하수 예방의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작동주기가 1시간 15분을 초과하여 동작부(600)가 가동되면 환자의 수면을 방해할 수 있으며, 1시간 미만으로 동작부(600)가 가동되면 전력 소모가 과다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ng unit 600 is operated for more than 15 minutes, fatigue can be accumulated in the patient, and if the operating unit 600 is operated for less than 10 minutes, the effect of preventing foot injuries is insignificant. In addition, if the operation period exceeds 1 hour and 15 minutes and the operation unit 600 is operated, it may interfere with the sleep of the patient. If the operation unit 600 is operated for less than 1 hour, the power consumption may be excessive.

이와 같은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로 인해 환자에게 최적의 컨디션을 제공하고, 효율적으로 동작부(600)가 구동되도록 한다.Such an operation time and an operation period provide an optimum condition to the patient and enable the operation section 600 to be driven efficiently.

환자가 아닌 타인이 송신부(630)에 동작부(600)의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를 입력하면, 위와 같은 신호를 수신부(620)가 수신하여 제어부(610)에 전달하고, 제어부(610)는 동작부(600)가 입력된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에 따라 구동케 하도록 제어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동작부(600)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When a non-patient inputs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S and an operation period T of the operation unit 600 to the transmission unit 630, the reception unit 620 receives the above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610 And the control unit 610 controls the operation unit 60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time S and the operation period T. [ That is, the automation system of the operation unit 600 of the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환자가 아닌 타인이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를 입력해 놓으면, 주기적으로 동작부(600)가 작동하게 되므로, 환자 혹은 환자가 아닌 타인의 수면 시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매번 환자의 상태를 체크하여 수동으로 동작 신호 또는 동작 중지 신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기기 작동의 효율성이 증대되고, 수면 시간에도 주기적으로 구동되어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Because of this feature, when the non-patient inputs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S and an operation period T, the operation unit 600 is operated periodically, so that the sleep time of the patient or the non-patient It can be useful. This is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manually check the state of the patient every time and manually input an operation signal or an operation stop signal.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operation of the apparatus is increased and the safety of the patient is increased by periodically driving the apparatus even at the sleeping time.

동작부(600)의 각 구성요소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회전동작부(601)의 경우, 설정된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에 따라 풋보드(300)가 2축 운동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패드동작부(602)의 경우, 설정된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에 따라 패드(410c) 내부에 유체(F)가 유출입되도록 한다. 또한, 진동동작부(603)의 경우, 설정된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에 따라 진동동작부(603)가 진동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each component of the operation unit 600 is as follows. In the case of the rotation operation unit 601, the footboard 300 is driven to biaxial motion according to the set operation time S and the operation period T. [ In the case of the pad operation unit 602, the fluid F is caused to flow in and out of the pad 410c according to the set operation time S and the operation period T. Further, in the case of the vibration operation portion 603, the vibration operation portion 603 provides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t operation time S and the operation period T. [

제어부(610) 및 수신부(620)의 형상은 어느 하나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610) 및 수신부(620)의 위치와 관련하여, 제어부(610), 수신부(620) 및 후술할 압력유닛(640)의 처리부(642)는 풋보드(300)의 후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결합되는 경우, 미관상 뛰어나며,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오작동 되는 경우, 풋보드(300)의 후면에 나란히 있으므로, 이를 신속하게 확인 할 수 있어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신부(630)로부터의 신호 수신 강도가 증대되며, 신호 전달이 서로 가까운 위치에서 발생하므로, 각 구성요소 간 신호 전달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The shape of the control unit 610 and the receiving unit 620 are not limited to any one shape. The control unit 610, the receiving unit 620 and the processing unit 642 of the pressure unit 640 to be described later ar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ootboard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y are joined together in the lengthwise direction, they are excellent in appearance, and when any one of the components is malfunctioned, they are alig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ootboard 300, so that it can be confirmed quickly and the safety of the patient is increased. In addition, signal receiving strength from the transmitting unit 630 increases, and signal transmission occurs at positions close to each other, so that signal transmission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is advantageous.

수신부(620)에는 수동유닛(65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수동유닛(650)은 풋보드(300)의 후면의 일 지점에 결합되며, 수신부(620)와 연결된다. 수동유닛(650)은 수동전원역할을 한다. 송신부(630)에 의한 신호전달이 아닌, 수신부(620)에 직접적으로 동작 신호 또는 동작 중지 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의식이 있으나 다리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환자가 아닌 타인이 송신부(63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를 구동하는 것이 아닌 환자가 직접 수동유닛(650)을 구동하여 동작 신호 또는 동작 중지 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아닌 타인이 부재 중인 경우 긴급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ssive unit 65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unit 620 (see FIG. 3). The passive unit 650 is coupled to a point on the back surface of the footboard 300 and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620. The manual unit 650 serves as a manual power source. The transmission unit 630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or the operation stop signal directly to the receiving unit 620 instead of the signal transmission by the transmission unit 630. Therefore, in the case of a patient who is conscious but inconvenienced in leg motion, a patient other than the patient does not drive the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transmitting unit 630, Signal or an operation stop signal, thereby driving the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an urgent situation when a person other than a patient is absent.

수신부(620)에는 압력유닛(640)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압력유닛의 압력 신호 전달 체계에 관한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unit 640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unit 620 (see FIG. 4).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6 to describe this in detail. Figure 6 is a pressure signal delivery system of a pressure unit of a patient bed for preventing foot drop and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압력유닛(640)은 압력 센싱부(641) 및 처리부(642)를 포함하고, 처리부(642)는 압력 감지부(642a), 압력 신호 생성부(642b) 및 압력 신호 송신부(643c)를 포함한다.The pressure unit 640 includes a pressure sensing unit 641 and a processing unit 642. The processing unit 642 includes a pressure sensing unit 642a, a pressure signal generating unit 642b, and a pressure signal transmitting unit 643c .

도 5를 참조하면, 압력 센싱부(641)는 환자의 발(2)의 저면에 직접 맞닿도록 내피(410c)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변화 정도를 압력 센싱부(641)가 파악하기 위함이다. 환자의 발(2)로부터 압력 센싱부(641)에 가해지는 압력이 변화되면, 압력 센싱부(641)는 전압을 발생시켜 이를 압력 감지부(642a)에 전달한다. 압력 센싱부(641)의 일 예로 압전소자(피에조일렉트릭)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처리부(642)는 풋보드(3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력 센싱부(641)와 처리부(642)는 전기선(L)에 의해 연결된다. 도면을 통해 도시된 전기선(L)의 형상 및 배치는 일 실시예로, 반드시 해당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5, the pressure sensing portion 641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endothelium 410c to directl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patient ' s feet 2. [ So that the pressure sensing unit 641 can grasp the pressure change degree. When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patient's foot 2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641 changes, the pressure sensing unit 641 generates a voltage and transmits it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642a. As an example of the pressure sensing unit 641, a piezoelectric element (piezo electric) may be used. The processing unit 642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ootboard 300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641 and the processing unit 642 are connected by an electric wire L. [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electric wire L shown in the drawings are, in one embodiment,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hape.

압력 센싱부(641)로부터 전달된 전압 정보를 바탕으로, 압력 감지부(642a)는 전압의 변화 정도를 수치화하여 이를 감지한다. 이때, 압력 감지부(642a)는 압력 센싱부(641)로부터 전압이 전달되지 않으면, 압력 신호 생성부(642b)에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Based on the volt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641, the pressure sensing unit 642a digitizes the degree of change of the voltage and senses it. At this time, if the voltage is not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unit 641, the pressure sensing unit 642a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pressure signal generating unit 642b.

압력 신호 생성부(642b)는 압력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압력 신호라 함은, 동작부(600)를 작동시키는 동작 신호와 동일한 개념이다. 생성된 압력 신호는 송신부(643c)를 통해 수신부(620)에 전달된다. 수신부(620)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부(630)로부터 동작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동작부(600)를 작동시킨다.The pressure signal generator 642b generates a pressure signal. Here, the pressure signal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signal for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600. The generated pressur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620 through the transmitter 643c. The receiving unit 620 receives the pressure signal and operates the operating unit 600 with the same mechanism as when receiving the operating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unit 630.

압력 감지부(642a)에 전압이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은, 압력 센싱부(641)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한 것이므로, 이는 동작부(600)가 작동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가 오작동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압력유닛(640)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에 사용되면, 환자용 침대의 오작동 시 이를 감지하여 동작부(600)를 다시 작동하게 하므로, 피드백 시스템(feedback system)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기적인 체크 없이도 환자용 침대가 작동되므로,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fact that the voltage is not transmitted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642a means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641 is constant so that the operation unit 600 can not perform the operation function, it means. Therefore, when the pressure unit 640 is used in the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unit 600 is operated again by detecting the malfunction of the bed for patient, so that the advantage of the feedback system can be exhibited. . In addition, since the patient bed is operated without regular check,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fety of the patient is increased.

압력유닛(640)에는 알람부(66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람부(660)는 압력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수신된 압력 신호를 토대로 알람부(660) 내의 알람 장치(미도시)를 가동하여 주위에 일정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알람 장치로 인해 환자 근처의 사람에게도 미작동됨을 알릴 수 있으므로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pressure unit 640 is preferably connected to an alarm unit 660. The alarm unit 660 can receive the pressure signal. And activates an alarm device (not shown) in the alarm unit 660 based on the received pressure signal to generate a certain sound in the surroundings. Such an alarm device has an advantage that the safety of the patient can be increased because it can be notified to the person near the patient that the alarm device is not operated.

또한, 알람부(660) 내의 알람 송신 장치(미도시)를 통해 환자가 아닌 타인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또는 PC에 환자용 침대가 오작동됨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알람 송신 장치로 인해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이 즉시 환자용 침대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안전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larm unit 660 notifies the user of the malfunctioning of the patient bed in the smartphone application or PC of the non-patient through an alarm transmitting apparatus (not shown). Such an alarm transmitting apparatus has a merit that a patient who checks a patient can immediately check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bed, thereby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patient.

이때, 알람부(660)는 풋보드(300)의 후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신호를 원활히 수신받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610), 수신부(620) 및 처리부(642)와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 강도의 향상을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alarm unit 66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ootboard 300. It is to receive the pressure signal smoothly.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control unit 610, the receiving unit 620, and the processing unit 642. This is to improve the reception strength.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의 종아리 지지부(8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아리 지지부(800)는 매트리스(200)에 결합되되, 매트리스(200)의 표면을 기준으로 오목하게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아리의 볼록한 형상을 고려하여 환자(P1)가 침대에 누웠을 때 최적의 자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calf support portion 800 of a patient's bed for preventing foot-and-mouth disease and a pressure ul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f support 80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mattress 200 and coupled to be recessed relative to the surface of the mattress 200. Considering the convex shape of the calf, to provide an optimal posture when the patient P1 is lying on the bed.

종아리 지지부(800)는 종아리 지지부 본체(810) 및 종아리 밴드부(820)를 포함한다. 종아리 지지부 본체(810)는 환자(P1)가 누웠을 때, 다리(1)의 정강이 및 종아리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The calf support portion 800 includes a calf support portion body 810 and a calf band portion 820. The calf support base body 810 serves to receive the shin and calf of the leg 1 when the patient P1 is lying down.

이때, 종아리 지지부 본체(810) 밑면 또한, 발 지지부 본체(410)와 같이 내피(미도시), 외피(미도시) 및 패드(미도시)의 적층구조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종아리 부근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패드동작부 및 진동동작부가 결합될 수 있으며, 발 지지부 본체(410)에 결합된 패드동작부 및 진동동작부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각각의 기능은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생략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calf support body 810 also includes a laminated structure of an endothelial (not shown), a sheath (not shown) and a pad (not shown) like the foot support body 410, . Accordingly, the pad operation unit and the vibration operation unit can be combined and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e pad operation unit and the vibration operation unit coupled to the foot support body 410. Each function should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종아리 밴드부(820)는 발 지지부의 발 밴드부(430)에 대응되는 것으로, 환자(P1)의 종아리가 종아리 지지부 본체(810)에 맞닿을 때, 이를 감싸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calf band portion 820 corresponds to the foot band portion 430 of the foot supporting portion and functions to tightly secure the calf of the patient P1 when the calf of the patient P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lf support portion main body 81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8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a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가장 범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가 사용되는 곳은 병원(hospital)이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P1)는 의식이 없거나, 자의에 의해 다리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P1)로, 병상 침대에 누워있는 상태이다. 이에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P2)은 환자(P1)의 다리(1) 및 발(2)을 본 발명에 따른 종아리 지지부(800) 및 발 지지부(400)를 결합한다.The most commonly used hospital b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spital. Usually, the patient P1 using the patien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tient P1 who is unconscious or unable to exercise legs by himself or herself and is lying on the bed. The person P2 who treats the patient then joins the legs 1 and feet 2 of the patient P1 to the calf support portion 800 and the foot support portion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P2)의 송신부(630)는 일 예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일 수 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동작 신호를 입력하면, 동작 신호는 무선으로 수신부(620)에 전달된다. 수신부(620)에 수신된 동작 신호는 제어부(610)에 전달되고, 제어부(610)는 동작부(600)를 제어하여 동작부(600)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병상에 누워 있는 환자(P1)의 의식과는 무관하게 발목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족하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P2)의 동작 신호 입력만으로 족하수를 예방할 수 있어 공간을 차지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The transmitter 630 of the person P2 who is to treat the patient can be, for example, a smartphone application. When an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smartphone application, the oper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620 wirelessly. The operation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6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610 and the controller 610 controls the operation unit 600 to drive the operation unit 600. Thus, the ankle motion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consciousness of the patient P1 lying on the bed, and the fee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oot-and-mouth disease only by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of a person P2 who is consulting a pati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device occupying a space is not required.

또한,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P2)이 동작부(600)의 작동을 중지하고자 하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동작 중지 신호를 입력한다. 입력된 동작 중지 신호는 무선으로 수신부(620)에 전달되고, 수신부(620)에 수신된 동작 중지 신호는 제어부(610)에 전달된다. 제어부(610)는 동작부(600)를 제어하여 동작부(60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Further, when the person P2 who is consulting the patient wants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600, the operation stop signal is input to the smartphone application. The input operation stop signal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receiver 620, and the operation stop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er 6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610. The control unit 610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60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unit 600. [

또한, 환자를 진료하는 사람(P2) 또는 환자(P1)가 수면하는 시간의 경우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동작부(600)의 소정의 작동시간(S) 및 작동주기(T)를 입력하여 주기적으로 동작부(600)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자동화로 인해, 사고 발생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송신부(630)는 반드시 위 예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PC 등의 다른 통신장치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person P2 or the patient P1 sleeping,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S and the operation period T of the operation unit 600 are preliminarily input to the smartphone application, So that the operation unit 600 is operated. This automa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isk of accidents and reducing unnecessary labor. However, the transmitting unit 63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be another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PC.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fic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 and DV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ac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by way of exampl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descrip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such systems may be omitted. Also, the connections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illustrative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may be replaced or additionally provided by a variety of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Also, unless explicitly mentioned, such as " essential ", " importantly ",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프레임 200...매트리스
300...풋보드 400...발 지지부
500...암(arm) 600...동작부
700...링크부 800...종아리 지지부
100 ... frame 200 ... mattress
300 ... footboard 400 ... foot support
500 ... arm 600 ... operating portion
700 ... link portion 800 ... calf support

Claims (14)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매트리스;
환자의 발을 지지하는 풋보드;
상기 풋보드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상기 발의 저면에 접촉되는 발 지지부;
상기 풋보드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암(arm);
신호를 수신받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및 상기 풋보드를 연결하되, 2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는 회전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동작부는,
상기 풋보드를 구동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신부에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동작부에 동작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풋보드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를 중심으로 발목 만을 2축 운동하게 하고,
상기 발목의 2축 운동은,
상기 발목을 좌, 우측으로 이동시켜 복숭아 뼈 근처의 근육을 사용하게 하는 X축 운동과 상기 발목을 상, 하측으로 이동시켜 발등이 접히는 부분 및 아킬레스 건 부근의 근육을 사용하게 하는 Y축 운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신부에 동작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동작부에 동작 중지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풋보드가 2축 운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송신부에 상기 풋보드의 소정의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를 입력하면,
상기 풋보드가 상기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에 따라 2축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발 지지부는,
상기 발의 저면에 맞닿는 내피;
외피; 및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배치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
frame;
A mattres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 footboard supporting the patient's feet;
A foot suppo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footboard and contacting the bottom of the foot of the patient;
An arm connecting the footboard and the frame;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A control unit receiving a signal from the receiving unit; And
And an operation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universal joint connecting the arm and the footboard, the universal joint having two rotation axes,
Wherein the operation portion includes a rotation operation portion,
The rotation operation unit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tboard is driven,
When an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receiver,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rotation operation unit, causing the footboard to biaxially move only the ankle around the universal joint,
Wherein the biaxial motion of the ankle includes:
An X-axis movement for moving the ankle to the left and right to use muscles near the peach bone, and a Y-axis movement for moving the ankle upward and downward to fold the foot and using muscles near the Achilles tendon With features,
When an operation stop signal is input to the receiver,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n operation stop signal to the rotation operation unit to stop the biaxial motion of the footboard,
When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and the operation period of the footboard are input to the transmitter,
Wherein the footboard is biaxially mo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and the operation period,
The foot-
An inner skin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coat; And
And a pad dispos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heaths
Patient bed to prevent foot-and-mouth disease and pressure ulc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패드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동작부는,
상기 패드에 유체를 유출입시켜 상기 내피의 형상의 변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portion includes a pad operating portion,
The pad operation unit includes:
And introducing the fluid into and out of the pad to induce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endothelium
Patient bed to prevent foot-and-mouth disease and pressure ulc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동작부는,
상기 패드와 연결된 유로;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및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ad operation unit includes:
A channel connected to the pad;
A valve for regulating an amount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And
And a pump for supplying the fluid
Patient bed to prevent foot-and-mouth disease and pressure ulc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에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드동작부에 동작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밸브가 개방되고, 상기 펌프가 구동되고,
상기 수신부에 동작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드동작부에 동작 중지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밸브가 폐쇄되고, 상기 펌프의 구동이 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an operation signal is input to the receiver,
The controller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pad operation unit,
The valve is opened, the pump is driven,
When an operation stop signal is input to the receiver,
The controller transmits an operation stop signal to the pad operation unit,
The valve is closed and the drive of the pump is stopped.
Patient bed to prevent foot-and-mouth disease and pressure ulc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에 상기 패드동작부의 소정의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를 입력하면,
상기 패드동작부가 상기 작동시간 및 작동주기에 따라 상기 유체를 상기 패드 내부로 유출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and an operation period of the pad operation unit are input to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pad operation part causes the fluid to flow in and out of the pa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e and the operation period
Patient bed to prevent foot-and-mouth disease and pressure ulc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진동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동작부는 상기 내피와 상기 패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내피에 진동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하수 및 욕창을 예방하는 환자용 침대.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operation portion includes a vibration operat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scillation operating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skin and the pad to provide vibration to the inner skin
Patient bed to prevent foot-and-mouth disease and pressure ulc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48312A 2017-04-14 2017-04-14 Patient bed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 KR1019587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12A KR101958750B1 (en) 2017-04-14 2017-04-14 Patient bed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312A KR101958750B1 (en) 2017-04-14 2017-04-14 Patient bed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881A KR20180115881A (en) 2018-10-24
KR101958750B1 true KR101958750B1 (en) 2019-03-15

Family

ID=6413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312A KR101958750B1 (en) 2017-04-14 2017-04-14 Patient bed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7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4816A (en) * 2021-01-13 2021-05-07 朱建琴 Varicosity postoperative recovery support for vascular surgery and us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8388A (en) * 2019-07-26 2019-11-01 明峰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A kind of CT bed body ageing tester and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971B1 (en) * 2004-10-20 2006-05-1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Rehabilitation Medicine Device for Compound Joint Motion
KR101006396B1 (en) * 2009-01-23 2011-01-12 (주) 디.엠.씨 Apparatus and method for physical treatment of articulation
KR20120110521A (en) * 2011-03-29 2012-10-10 주식회사 에스이헬스케어 Chiropractic device
KR20150004469U (en) * 2014-06-03 2015-12-14 주식회사 씨에스테크놀로지 Movable table with vibrators on foot suppor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4816A (en) * 2021-01-13 2021-05-07 朱建琴 Varicosity postoperative recovery support for vascular surgery and using method thereof
CN112754816B (en) * 2021-01-13 2022-08-16 泰兴市唯艺传媒广告有限公司 Varicosity postoperative recovery support for vascular surg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881A (en)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87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and operation of motorized orthotic exoskeleton joints
US11077556B2 (en) Safe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s for a legged mobility exoskeleton device
Schrade et al. Development of VariLeg, an exoskeleton with variable stiffness actuation: first results and user evaluation from the CYBATHLON 2016
US8790282B2 (en) Neuromorphic controlled powered orthotic and prosthetic system
US8025632B2 (en) Wearable device having feedback characteristics
US10179078B2 (en) Therapeutic method and device for rehabilitation
CN109646245B (en) Steering mechanism for lower limb exoskeleton robot
US102788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 and operation of motorized orthotic exoskeleton joints
US20090143704A1 (en) Device for movement detection, movement correction and training
TW201639533A (en) Interactive exoskeleton robotic knee system
US20120046578A1 (en) Powered orthosis systems and methods
KR101958750B1 (en) Patient bed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
KR101703634B1 (en) Gait training apparatus for hemiplegic patients
KR101988644B1 (en) Robot for assisting user to walk
US20090227911A1 (en) Biometric and low restraint continuous passive motion rehabilitation device
US20130046216A1 (en) System for deep vein thrombosis therapy integral to a person support apparatus
TWM584672U (en) Rehabilitation machine
KR101978385B1 (en) Ankle-foot orthosis to prevent foot drop and bedsore
JP7462971B2 (en) Wearable Assistive Devices
TWM565021U (en) Rehabilitation exercise aid
Garcia et al. Development of the atlas lower-limb active orthosis
KR20210098049A (en) Rehabilitation system of lower body joint
Van Kuren et al. Design considerations for a wearable pediatric rehabilitative boot
Nursultan et al.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Almaty Ankle Joint Exoskeleton
KR20200094373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reventing shoulder dis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