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260B1 -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 - Google Patents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260B1
KR101958260B1 KR1020170093082A KR20170093082A KR101958260B1 KR 101958260 B1 KR101958260 B1 KR 101958260B1 KR 1020170093082 A KR1020170093082 A KR 1020170093082A KR 20170093082 A KR20170093082 A KR 20170093082A KR 101958260 B1 KR101958260 B1 KR 101958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vibration plate
plate
dynamic vibra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368A (ko
Inventor
서동현
천승우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2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0Transducer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H04R9/00 - H04R21/00
    • H04R23/02Transducers using more than one principle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스 코일에 의해 작동하는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소자에 의해 작동하는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여,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소리와 상기 압전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소리가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공극을 형성하는 마그넷 시스템과;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부에 설치되고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면에 고정되는 환형의 다이내믹 진동판과;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공극 내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전 진동판과; 상기 압전 진동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전 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Hybrid micro-speaker with dynamic speaker and piez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이스 코일에 의해 작동하는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소자에 의해 작동하는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여,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소리와 상기 압전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소리가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통상, 마이크로 스피커는 스마트폰, 휴대용 통신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MP3,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마이크로 스피커는, 크게 다이내믹 스피커와 압전 스피커로 구분된다. 다이내믹 스피커는 보이스 코일에 의해 작동하는 다이내믹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이고, 압전 스피커는 압전 소자에 의해 작동하는 압전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다이내믹 스피커는, 일정한 크기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공극을 형성하는 마그넷 시스템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다이내믹 진동판과,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공극에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보이스 코일에 외부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보이스 코일에 발생하는 전기력과 상기 공극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이 상호 작용하여 보이스 코일을 상하로 진동한다. 상기 보이스 코일이 진동하면, 그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다이내믹 진동판이 상하로 진동하여 소리를 생성하게 된다.
반면에 압전 스피커는, 가운데 부분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안착 되는 압전 진동판과, 상기 압전 진동판의 가운데 부분에 설치되고, 세라믹 소재의 PZT(piezo-electric transducer)로 이루어진 압전 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압전 체에 교류신호를 공급하면, 압전 체가 압축 및 팽창하여 압전 진동판을 상하로 진동시켜서 소리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압전 스피커는 다이내믹 스피커보다 고주파의 음을 생성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압전 스피커와 다이내믹 스피커를 하나의 하우징에 장착하여, 고주파 음과 저주파 음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5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공극(125)을 형성하는 마그넷 시스템(120)과, 상기 마그넷 시스템(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바깥쪽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원형 다이내믹 진동판(130)과, 상기 원형 다이내믹 진동판(130)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공극(125)에 위치하는 보이스 코일(140)과, 상기 원형 다이내믹 진동판(130)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압전 진동판(150)과, 상기 압전 진동판(150)의 상면 가운데에 설치되는 압전 체(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형 다이내믹 진동판(150)에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130)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음 방출 홀(1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이스 코일(140)에 외부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130)이 상하로 진동하여 소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리는 상기 압전 진동판(150)에 형성된 다수의 음 방출 홀(134)을 통해서 상부로 방사된다. 또한, 상기 압전 체(160)에 외부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압전 진동판(150)이 상하로 진동하여 소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리는 상부로 방사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종래 기술의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110)는 압전 진동판(150)에서 생성되는 고주파의 음과 다이내믹 진동판(130)에서 생성되는 저주파의 음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고주파 음과 저주파 음은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110)는 다이내믹 진동판(130)에서 생성되는 소리가 압전 진동판(150)에 형성된 음 방출 홀(134)을 통해서 방출되게 되므로 압전 진동판(150)이 다이내믹 진동판(130)의 진동에 영향을 받게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다이내믹 진동판(130)과 압전 진동판(150)에서 생성되는 소리가 서로 섞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다이내믹 진동판(130)에서 발생하는 소리와 압전 진동판(150)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제어하기 위한 스크린을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음질 개선에 한계가 있었다.
(000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515815호 (등록일: 2015.04.22.) (000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738902호(등록일: 2017.05.17.)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하나의 프레임 내부에 보이스 코일에 의해 작동하는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체에 의해 작동하는 압전 진동판을 설치하여,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저주파의 음과 압전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고주파의 음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소리와 압전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소리를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 하되,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소리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는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전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소리를 컨트롤할 수 있는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공극을 형성하는 마그넷 시스템과;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부에 설치되고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면에 고정되는 환형의 다이내믹 진동판과;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공극 내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전 진동판과;
상기 압전 진동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전 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상면에 고정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의 안쪽 가장자리의 상면에 고정되는 환형 그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환형 그릴의 가운데에는 상기 압전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을 방출하기 위한 센터 음 방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음 방출구의 둘레에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을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사이드 음 방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마그넷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압전 진동판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압전 진동판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의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에 따르면, 하나의 프레임 내부에 보이스 코일에 의해서 작동하는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체에 의해서 작동하는 압전 진동판이 함께 설치되어,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저주파의 음과 상기 압전 진동판에서 생성되는 고주파의 음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의 전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공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의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이하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라 함)(1)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공극(25)을 형성하는 마그넷 시스템(20)과, 상기 마그넷 시스템(20)의 상부에 설치되고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마그넷 시스템(20)의 상면에 고정되는 환형의 다이내믹 진동판(30)과,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공극(25) 내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40)과, 상기 마그넷 시스템(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전 진동판(50)과, 상기 압전 진동판(50)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전 체(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의 상부에 설치되고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의 바깥쪽 가장자리(32a)의 상면에 고정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의 안쪽 가장자리(32b)의 상면에 고정되는 환형 그릴(7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환형 그릴(70)의 가운데에는 상기 압전 진동판(50)에서 발생하는 음을 방출하기 위한 센터 음 방출구(73)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음 방출구(73)의 둘레에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에서 발생하는 음을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사이드 음 방출구(75)가 형성된다.
상기 마그넷 시스템(20)은, 상기 프레임(10)의 하단에 형성된 개구부(12)에 결합하는 하부 플레이트(21)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의 상면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면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과의 사이에 공극(25)을 형성하는 마그넷(22)과, 상기 마그넷(22)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3)의 상면에는 상기 압전 진동판(5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23)의 상면에는 상기 압전 진동판(50)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의 공간을 형성하는 요입홈(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1)의 하면에는 인쇄회로기판(8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23), 마그넷(22), 하부 플레이트(21) 및 인쇄회로기판(80)의 가운데에는 상기 압전 진동판(50)이 상하로 진동할 때 발생하는 음압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센터 배출 홀(77)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3)의 상면에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의 안쪽 가장자리의 하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링(92)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13)에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하면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링(9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이스 코일(40)과 압전 체(60)는 상기한 인쇄회로기판(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0)은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에는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바닥(11)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11)의 가운데에는 원형의 개구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단에는 외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단턱(13)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의 개구부(12)에는 하부 플레이트(21)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1)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1)의 상면에는 원형 마그넷(22)이 설치된다. 그리고 마그넷(22)의 외 측면과 상기 프레임(10) 사이에는 공극(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넷(22)의 상면에는 상부 플레이트(23)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3)의 상면에는 일정한 깊이로 요입홈(55)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55)의 둘레에는 압전 진동판(50)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기 위한 안착 면이 형성된다. 상기 압전 진동판(50)은 상부 플레이트(23)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압전 진동판(50)이 가운데에는 압전 체(60)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전 체(60)는 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전 진동판(5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지지 링(9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링(92)의 상면에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의 안쪽 가장자리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 링(92)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프레임(10)의 단턱(13)에 설치된 고정 링(91)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다이내믹 진동(30)은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바깥쪽 가장자리(31)와 안쪽 가장자리(32)의 사이에는 보이스 코일(40)의 상단이 부착되는 부착 부(33)가 형성된다. 상기 부착 부(33)에 부착된 보이스 코일(40)의 하단부는 상기 공극(25)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그릴(70)은 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릴(70)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의 바깥쪽 가장자리(31)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그릴(70)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의 안쪽 가장자리(32)의 상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그릴(70)의 가운데에는 상기 압전 진동판(50)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외부로 방사 하기 위한 센터 음 방출구(73)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 음 방출구(73)의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사이드 음 방출구(71)이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음 방출구(75)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외부로 방사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쇄회로기판(80)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신호는 보이스 코일(40)과 압전 체(60)로 인가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40)에 외부의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보이스 코일(40)에 형성되는 전기력과 상기 공극(25)에 형성되는 자기력이 상호작용하여 보이스 코일(40)을 상하로 진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이스 코일(40)이 상하로 진동하면, 다이내믹 진동판(30)이 상하로 진동하여 음이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전 체(60)에 외부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압전 체(60)가 압축 및 팽창을 반복하여 상기 압전 진동판(50)이 상하로 진동하게 된다. 상기 압전 진동판(50)은 상하로 진동하여 음이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전 진동판(50)이 진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방 음은 상기 그릴(70)의 가운데에 형성된 센터 음 방출구(73)을 통해서 전방으로 방사되고,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50)이 진동하여 발생하는 전방 음은 상기 그릴(7)의 센터 음 방출구(73)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음 배출 홀(75)을 통해서 전방으로 방사된다.
그리고 압전 진동판(50)에서 발생하는 후방 음은 상부 플레이트(23), 마그넷(22), 하부 플레이트(21) 및 인쇄회로기판(80)의 가운데에 형성된 센터 배출 홀(77)을 통해서 하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50)에서 발생하는 후방 음은 상기 프레임(10)의 바닥(11)에 형성된 사이드 음 방출구(79)을 통해서 후방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1)는, 하나의 프레임(10) 내부에 보이스 코일(40)에 의해서 작동하는 다이내믹 진동판(30)(다이내믹 유닛)과 압전 체(60)에 의해서 작동하는 압전 진동판(50)(압전 유닛)이 함께 설치되어,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30)에서 생성되는 저주파 음과 상기 압전 진동판(50)에서 생성되는 고주파 음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전 진동판(50)에서 발생하는 전방 음은 상기 그릴(70)의 가운데에 형성된 센터 음 방출구(73)을 통해서 전방으로 방사되고,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50)에서 발생하는 전방 음은 그릴(7)의 센터 음 방출구(73)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음 배출 홀(75)을 통해서 전방으로 방사되어 상기 압전 진동판(50)과 다이내믹 진동판(50)에서 생성되는 음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방사되면서도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50)에서 생성되는 소리와 압전 진동판(50)에서 생성되는 소리가 서로 섞이지 않기 때문에 음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그릴(70)의 가운데에 형성된 센터 음 방출구(73)과 상기 센터 음 방출구(73)의 둘레에 형성된 사이드 음 방출구(75)에 스크린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50)에서 생성되는 소리와 압전 진동판(50)에서 생성되는 음을 제어할 수 있어서 음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쇄회로기판(80)과 마그넷 시스템(20)의 가운데에 형성된 센터 음 배출 홀(77)과 상기 프레임(10)의 바닥(11)에 형성되는 가이드 음 배출 홀(79)에도 각각 스크린을 설치하여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50)에서 생성되는 후 방음과 압전 진동판(50)에서 생성되는 후 방음을 제어하여 음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몇 가지 실시 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 10: 프레임
20: 마그넷 시스템 30: 다이내믹 진동판
40: 보이스 코일 50: 압전 진동판
55: 요입홈 60: 압전 체
70: 그릴 73: 센터 음 방출구
75: 사이드 음 방출구 77: 센터 음 배출 홀
79: 사이드 음 배출 홀 91: 고정 링
92: 지지 링

Claims (4)

  1.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공극을 형성하는 마그넷 시스템과;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부에 설치되고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면에 고정되는 환형의 다이내믹 진동판과;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공극 내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전 진동판과;
    상기 압전 진동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전 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마그넷 시스템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과의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압전 진동판이 상하로 진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
  2.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공극을 형성하는 마그넷 시스템과;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부에 설치되고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면에 고정되는 환형의 다이내믹 진동판과;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공극 내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과;
    상기 마그넷 시스템의 상부에 설치되는 압전 진동판과;
    상기 압전 진동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압전 체와;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환형 그릴;을 포함하되,
    상기 환형 그릴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환형 그릴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의 안쪽 가장자리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환형 그릴의 가운데에는 상기 압전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을 방출하기 위한 센터 음 방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음 방출구의 둘레에는 상기 다이내믹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을 방출하기 위한 다수의 사이드 음 방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
  3. 삭제
  4. 삭제
KR1020170093082A 2017-07-22 2017-07-22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 KR101958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082A KR101958260B1 (ko) 2017-07-22 2017-07-22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082A KR101958260B1 (ko) 2017-07-22 2017-07-22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68A KR20190010368A (ko) 2019-01-30
KR101958260B1 true KR101958260B1 (ko) 2019-03-15

Family

ID=65276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082A KR101958260B1 (ko) 2017-07-22 2017-07-22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2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077A (ja) 2002-10-24 2004-05-20 Nec Corp 複合型スピー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599U (ja) * 1983-06-30 1985-01-26 オンキヨー株式会社 複合型スピ−カ
KR100544832B1 (ko) * 2003-08-04 2006-01-24 정창수 평면진동판의 2개 이상의 보이스코일을 사용하는 스피커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9937A (ko) * 2005-02-03 2006-08-10 이진성 스피커
KR20130029850A (ko) * 2011-09-16 2013-03-26 (주)에이엠엔티 압전 종이를 사용한 친환경 고출력 마이크로 스피커
KR101738902B1 (ko) 2014-10-23 2017-05-25 주식회사 알머스 다이나믹 스피커와 압전 소자를 이용한 고음질 스피커
KR101515815B1 (ko) 2014-12-23 2015-05-06 영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다이나믹 스피커와 압전 소자를 이용한 스피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077A (ja) 2002-10-24 2004-05-20 Nec Corp 複合型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368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669B1 (ko) 스피커 모듈
JP3199236U (ja) 逆方向音波イヤホン
US6785395B1 (en) Speaker configuration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870261B1 (ko) 동축 이중 진동판 스피커
EP3016405A1 (en) Piezoelectric ceramic dual-frequency earphone structure
EP2983378A1 (en) Dual-frequency coaxial earphone
TWI500333B (zh) 具有水平成形物之揚聲器
WO2019206065A1 (zh) 马达及移动终端
CN209787426U (zh) 一种振动发声装置及电子设备
US20090060241A1 (en) Completely-In-Canal Hearing Instrument With Robust Feedback Stability
KR101423841B1 (ko) 내부 공명 챔버가 구비된 마이크로스피커
US20110164777A1 (en) Earphone
KR101614702B1 (ko) 진동 기능을 지닌 마이크로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전기 기기
CN111083617B (zh) 发声装置和电子设备
KR101958260B1 (ko)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하는 복합형 마이크로 스피커
KR20090067639A (ko) 밀폐형 압전스피커
KR20110031570A (ko) 스피커
KR20150024002A (ko) 패널 가진형 스피커
CN107683611B (zh) 电声转换器、具有电声转换器的组装体以及具有该组装体的电声转换装置
KR102025573B1 (ko) 측면 음방사 구조의 마이크로스피커 모듈
US8141675B2 (en) Micro-speaker
KR102029076B1 (ko) 종속 진동부를 구비한 마이크로스피커 모듈을 채용한 넥밴드 스피커
KR101696790B1 (ko) 이어폰용 스피커
KR101913157B1 (ko) 다이내믹 진동판과 압전 진동판을 구비한 복합형 동축 마이크로 스피커
KR101738523B1 (ko) 이어폰용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