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013B1 - Exhib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yramid mirror hologram - Google Patents

Exhib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yramid mirror hol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013B1
KR101958013B1 KR1020170029476A KR20170029476A KR101958013B1 KR 101958013 B1 KR101958013 B1 KR 101958013B1 KR 1020170029476 A KR1020170029476 A KR 1020170029476A KR 20170029476 A KR20170029476 A KR 20170029476A KR 101958013 B1 KR101958013 B1 KR 101958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ule
images
reflection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4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2833A (en
Inventor
류재호
이정인
조은상
정민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가기록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가기록원)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가기록원)
Priority to KR102017002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013B1/en
Publication of KR20180102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8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0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03H2001/005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in advertising or decorative a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0415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for recording reflection holograms

Abstract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시 시스템은 전시물을 여러 방향에서 촬영한 복수개의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세트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모듈, 마커의 패턴을 인식하는 마커인식모듈,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인식된 마커의 패턴에 대응하는 영상세트를 검색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검색된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제어모듈,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영상영역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영상영역을 통해 보정된 복수개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 그리고 피라미드 형태의 반사막을 포함하며 영상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복수개의 영상을 반사막을 통해 반사시키는 반사모듈을 포함한다.A display system and a method using a pyramidal reflection type hologram are provided.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storage module for storing an image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s taken from various directions, A sensor module for sensing movement of the user, an image set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marker, and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searched image set based on the detected movement of the user are corrected An image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images corrected through a plurality of image areas and a reflective film in the form of a pyramid, And a reflection module for reflecting the plurality of images through the reflection film.

Description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 및 방법{EXHIB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YRAMID MIRROR HOLOGRA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ib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pyramid reflective hologram,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A display system and method using a pyramid reflective hologram are provided.

홀로그램은 일반적인 2D 스크린보다 영상의 입체감 및 현실감이 뛰어나며,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게임, 의료, 공연 및 전시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Holograms are more utilized in game, medical, performance and exhibition fields because they are more realistic and realistic than 3D 2D screens and can display nonexistent spaces as if they existed.

홀로그램은 두 개의 레이저광에 의한 간섭무늬를 촬영하고 그 무늬에 빛을 비춰 입체 영상을 구현하는 일반 홀로그램과 2D 영상의 반사를 통해 물체의 영상을 구현하는 유사 홀로그램으로 구분된다. 유사 홀로그램은 가상의 공간을 생성하여 3D 입체영상을 구현하며, 전시 시스템의 디자인을 용도와 장소에 맞게 원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시 분야에서 특히 활용도가 높다.A hologram is classified into a general hologram that implements a stereoscopic image by photographing an interference pattern by two laser beams, and a similar hologram that implements an image of an object through reflection of a 2D image. Similar holograms are used especially in the field of exhibition because they can create a virtual space to realize 3D stereoscopic images and can realize the design of the exhibition system in a desired form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place.

유사 홀로그램 중 플로팅 홀로그램을 이용한 종래의 전시 시스템은 지면에 대하여 45도로 기울어져 있는 대형 반투명 막에 고해상도 영상을 반사시켜 객체가 공중에 떠 있는 것 같이 보이게 하는 것으로, 1차원적인 전시 형태라는 점에서 관람객이 전시물을 관람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유사 홀로그램 중 피라미드 홀로그램을 이용한 종래의 전시 시스템은 반사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니터를 통해 화면이 분할되어 있는 4개의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으로, 관람객은 하나의 영상을 반복 시청해야 하며 원하는 장면을 선택하여 볼 수 없다는 점에서 전시 관람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Conventional exhibition system using a floating hologram among similar holograms reflects a high-resolution image on a large semi-transparent film which is inclined at 45 degrees to the ground to make the object appear to float in the air. In view of being a one-dimensional exhibition form, There is a limit to viewing this exhibit. In addition, a conventional exhibition system using a pyramid hologram among similar holograms reproduces four moving pictures divided by a monitor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flector, so that the viewer repeatedly views one image and selects a desired scene It is difficult to meet the need for exhib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피라미드형 반사방식의 홀로그램과 증강현실기법 및 NUI(Natur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다차원적인 전시 형태를 구현하고 전시물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전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realizing a multi-dimensional display form using a pyramidal reflection type hologram,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NUI (Natural User Interface) .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accomplish other tasks not specifically mentioned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task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전시물을 여러 방향에서 촬영한 복수개의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세트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모듈, 마커의 패턴을 인식하는 마커인식모듈,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인식된 마커의 패턴에 대응하는 영상세트를 검색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검색된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제어모듈,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영상영역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영상영역을 통해 보정된 복수개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 그리고 피라미드 형태의 반사막을 포함하며 영상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복수개의 영상을 반사막을 통해 반사시키는 반사모듈을 포함하는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을 제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an image storage module that stores an image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s taken from various directions, a marker recognition module that recognizes a pattern of the markers, An image control module for searching an image set corresponding to a pattern of the recognized marker and correcting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searched image set based on the detected motion of the user,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images corr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image regions, and a pyramid-shaped reflection film, wherein the plurality of images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module are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ion film A hologram of a pyramidal reflection type including a reflection module for allowing a reflection hologram to be formed.

여기서, 마커인식모듈은 마커의 방향 및 기울기를 감지하고, 영상제어모듈은 감지된 마커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응하여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의 방향 및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Here, 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senses the direction and tilt of the marker, and the image control module can correct the directions and angles of the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set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tilt of the detected marker.

또한, 센서모듈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이동방향 및 기울기를 감지하고, 영상제어모듈은 감지된 신체부위의 이동방향 및 기울기에 대응하여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의 방향 및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senses the moving direction and tilt of the user's body part set in advance, and the image control module detects the direction and inclination of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set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ilt of the sensed body part, The angle can be corrected.

또한, 영상제어모듈은 감지된 신체부위의 이동방향 및 기울기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영상에 컴퓨터 그래픽 특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control module can apply a computer graphic special effect to a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slope of the sensed body part.

또한, 영상출력모듈은 네 개의 영상영역을 통해 전시물의 앞, 뒤, 좌, 그리고 우에 각각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며, 반사모듈은 네 개의 영상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대응하는 네 개의 반사막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module outputs images corresponding to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xhibition through four image areas, and the reflection module may include four reflection films corresponding to the four image areas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e.

또한, 피라미드 형태의 반사막 내부에 전시물의 입체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ereoscopic image of an exhibit can be generated inside a reflective film in the form of a pyramid.

또한,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카메라를 통해 전시물의 서로 다른 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cameras and acquiring a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surfaces of the exhibition through a plurality of camera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카메라모듈에서 전시물을 여러 방향에서 촬영하여 복수개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영상저장모듈에서 획득한 복수개의 영상을 영상세트로 저장하는 단계, 마커인식모듈에서 마커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영상제어모듈에서 인식된 마커의 패턴에 대응하는 영상세트를 검색하는 단계, 센서모듈에서 사용자 신체의 이동방향 또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영상제어모듈에서 감지된 사용자 신체의 이동방향 또는 기울기에 따라 검색된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 영상출력모듈에서 보정된 복수개의 영상을 서로 다른 영상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반사모듈에서 서로 다른 영상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복수개의 영상을 반사시켜 전시물의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방법을 제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the method comprising: acquiring a plurality of images by photographing an exhibit from various directions in a camera module; storing a plurality of images acquired by the image storage module as image sets; Recognizing the pattern of the marker in 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searching the image set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marker recognized by the image control module, sensing the direction or inclination of the user's body in the sensor modul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rrecting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a searched image set according to a sensed direction or slope of a user's body; outputting a plurality of images corrected by the image output module through different image areas; A plurality of images output through different image areas are reflected to generate a stereoscopic image of an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isplay method using a pyramidal reflection type hologram.

여기서, 마커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는 마커의 방향 및 기울기를 감지하고, 복수개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감지된 마커의 방향 및 기울기에 따라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의 방향 또는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pattern of the marker senses the direction and the inclination of the marker, and the step of correcting the plurality of images may include a step of detecting the direction or angle of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set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lope of the detected marker Can be corrected.

또한, 복수개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신체의 이동방향 또는 기울기에 따라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에 컴퓨터 그래픽 특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orrecting a plurality of images may apply a computer graphic special effect to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set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or a slope of the user's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정된 공간에서 전시물을 전시할 수 있으며, 다양한 효과를 추가하여 전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람객의 제스처를 통해 전시물을 제어하여 관람객의 흥미를 유발하고 관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can be displayed in a limited space, and various effects can be added to improve the display effect. Also,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xhibits through the gestures of the visitors, thereby inducing the interest of the visitors and improving the view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시스템의 구성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획득모듈을 이용한 전시물 촬영 예시이다.
도 3은 도 1의 영상출력모듈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반사모듈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전시 시스템의 실제 구현 예시이다.
도 6은 도 5의 전시 시스템의 외관 디자인 예시이다.
도 7은 도 1의 전시 시스템을 이용한 전시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S14 단계에서 한 개의 마커를 인식한 경우 반사모듈 내부를 나타낸다.
도 9는 S14 단계에서 두 개의 마커를 인식한 경우 반사모듈 내부를 나타낸다.
도 10은 S20 단계에서 관람객 손의 위치변경에 따른 반사모듈의 내부를 나타낸다.
도 11은 S20 단계에서 관람객 손의 위치변경에 따른 반사모듈의 내부를 나타낸다.
도 12는 S12 단계에서 관람객의 움직임에 따라 전시물 영상에 컴퓨터그래픽 특수 효과를 적용한 예시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ample of an exhibition of an exhibition using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of FIG.
Fig. 3 shows an output screen of the video output module of Fig.
Figure 4 shows the reflection module of Figure 1;
Figure 5 is an actual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display system of Figure 1;
6 is an illustration of an appearance design of the display system of Fig.
Fig. 7 shows a display method using the display system of Fig.
8 shows the inside of the reflection module when one marker is recognized in step S14.
9 shows the inside of the reflection module when two markers are recognized in step S14.
10 shows the inside of the refl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visitor's hand in step S20.
FIG. 11 shows the inside of the refl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visitor's hand in step S20.
FIG. 1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computer graphic special effect is applied to an exhibition image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visitor in step S12.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case of publicly known technologi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s " part, "" ... "," module ",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전시 시스템이 전시물의 4 면(앞, 뒤, 좌, 우)에 대응하는 영상을 반사모듈에 반사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시물의 종류에 따라 더 많은 영상이 반사모듈에 반사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Below is an example of how the display system reflects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our sides (front, back, left, right) of the exhibit on the reflection module.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ore images can be reflected on the reflection modul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시스템의 구성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전시 시스템(100)은 영상획득모듈(110), 영상저장모듈(120), 마커인식모듈(130), 센서모듈(140), 영상제어모듈(150), 영상출력모듈(160), 그리고 반사모듈(170)을 포함한다.The display system 100 of FIG. 1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module 110, an image storage module 120, a marker recognition module 130, a sensor module 140, an image control module 150, a video output module 160, And a reflection module 170.

영상획득모듈(110)은 카메라를 포함하며 실제 전시물의 영상을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 전시물의 서로 다른 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10 includes a camera and acquires an image of an actual exhibition. Specifically, images of different surfaces of an actual exhibition are acquired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도 2는 도 1의 영상획득모듈을 이용한 전시물 촬영 예시이다.FIG. 2 is an example of an exhibition of an exhibition using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of FIG.

도 2에서 영상획득모듈(110)은 전시물의 앞, 뒤 및 양옆에 각각 위치하는 네 개의 카메라(111, 112, 113, 114)를 포함하며, 네 개의 카메라(111, 112, 113, 114)를 통해 전시물의 앞, 뒤, 좌, 우에 대응하는 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네 개의 카메라(111, 112, 113, 114)는 전시물에 대한 영상을 거의 동시에 획득하며, 네 개의 카메라(111, 112, 113, 114)를 통해 획득한 네 개의 영상은 하나의 영상세트를 이룬다.In FIG. 2,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10 includes four cameras 111, 112, 113, and 114 located on the front, rear, and both sides of the display, and includes four cameras 111, 112, 113,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of the exhibition is obtained. At this time, the four cameras 111, 112, 113, and 114 acquire images for the exhibit at about the same time, and the four images obtained through the four cameras 111, 112, 113, It accomplishes.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영상저장모듈(120)은 영상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한 전시물의 영상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네 개의 카메라(111, 112, 113, 114)를 통해 거의 동시에 획득한 네 개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세트(set)로 저장한다. 이때, 영상세트는 전시물에 대응하는 마커(marker)의 정보를 포함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image storage module 120 stores an image of an object acquir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10. Specifically, four images obtained through the four cameras 111, 112, 113, and 114 are stored in a single image set. At this time, the image set includes information of a marker corresponding to an exhibit.

마커인식모듈(130)은 카메라를 포함하며, 마커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마커의 패턴 및 위치를 인식한다. 여기서, 마커의 위치는 마커의 방향과 기울기를 포함한다.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130 includes a camera, and acquires an image of the marker and analyzes the acquired image to recognize the pattern and position of the marker. Here, the position of the marker includes the direction and the inclination of the marker.

센서모듈(140)은 모션센서를 통해 관람객(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관람객의 손의 상태, 손의 이동방향, 손의 기울기, 손가락의 상태, 손가락의 방향, 손가락의 이동방향, 또는 손가락의 기울기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40)은 립 모션(Leap Motion), 키넥트(Kinect), 또는 IR 카메라 중 하나 이상의 모션인식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40 senses the movement of a part of the body of the viewer (user) through the motion sensor. More specifically, it senses at least one of a state of a viewer's hand, a direction of movement of a hand, a slope of a hand, a state of a finger, a direction of a finger, a direction of movement of a finger, or a slope of a finger.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140 may be implemented with one or more motion recognition devices, such as Leap Motion, Kinect, or an IR camera.

영상제어모듈(150)은 마커인식모듈(130)을 통해 인식된 마커의 패턴에 대응하는 전시물의 영상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마커인식모듈(130)을 통해 인식된 마커의 패턴에 대응하는 전시물의 영상세트를 영상저장모듈(120)에서 검색한다. 또한, 마커인식모듈(130)을 통해 인식된 마커의 방향 및 기울기에 따라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영상들을 방향 및 기울기를 보정한다.The image control module 150 searches the image of the exhibit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marker through 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130. [ Specifically, the image storage module 120 searches for an image set of an exhibit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marker through 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130. The direction and slope of the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set are correc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slope of the recognized marker through 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130.

또한, 영상제어모듈(150)은 센서모듈(140)을 통해 감지된 관람객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전시물 영상을 보정한다. 구체적으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관람객의 손가락 움직임 방향 및 각도에 대응하도록 전시물 영상의 방향 및 기울기를 보정한다. 또한, 전시물 영상에 불꽃, 액체, 연기 흐름 등의 컴퓨터그래픽 특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그래픽 특수 효과는 관람객의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control module 150 corrects the display image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viewer sensed through the sensor module 140. [ Specifically, the direction and inclination of the display image are correct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nger movement direction and angle of the viewer based on the control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addition, computer graphics special effects such as flame, liquid, and smoke flow can be applied to the display image. At this time, the computer graphic special effect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user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iewer.

영상출력모듈(160)은 복수개의 영상영역을 통해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로 구현된다. 이때, 복수개의 영상영역은 반사모듈(170)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복수개의 영상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영상제어모듈(150)에서 검색된 영상 또는 보정된 영상이다. 구체적으로, 영상출력모듈(160)은 하나의 영상세트에 포함되는 네 개의 영상을 합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네 개의 영상영역을 통해 하나의 영상세트에 포함되는 네 개의 영상을 각각 출력할 수 있다.The video output module 160 is implemented as a monitor that outputs different images through a plurality of video regions.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image areas are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reflection module 170, and the images output through the plurality of image areas are the images retrieved or corrected by the image control module 150. Specifically, the video output module 160 synthesizes and outputs four images included in one video set. For example, four images included in one image set can be output through four preset image areas.

도 3은 도 1의 영상출력모듈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다.Fig. 3 shows an output screen of the video output module of Fig.

도 3에서 보면, 전시물의 앞 영상은 제1 영상영역(M1)을 통해 출력하고, 전시물의 뒤 영상은 제2 영상영역(M2)을 통해 출력하고, 전시물의 좌 영상은 제3 영상영역(M3)을 통해 출력하고, 전시물의 우 영상은 제4 영상영역(M4)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3, the front image of the display is output through the first image area M1, the rear image of the display is output through the second image area M2, and the left image of the display is displayed in the third image area M3 , And the right image of the display can be output through the fourth image area M4.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반사모듈(170)은 영상출력모듈(160)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반사된다. 예를 들어, 반사모듈(170)은 영상출력모듈(160)의 네 개의 영상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네 개의 옆면을 포함하는 사각뿔 형태(피라미드)로 구성된다. 이때, 사각뿔의 옆면은 투명한 반사막(포일, coated mirror)을 포함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reflection module 170 reflects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module 160. For example, the reflection module 170 is configured as a quadrangular pyramid (pyramid) that includes four side faces corresponding to four image regions of the image output module 16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ide surface of the quadrangular pyramid includes a coated mirror.

도 4는 도 1의 반사모듈을 나타낸다.Figure 4 shows the reflection module of Figure 1;

도 4에서 보면, 영상출력모듈(160)을 통해 출력되는 전시물의 영상이 반사모듈(170)을 통해 반사된다. 예를 들어, 사각뿔의 옆면을 시계방향으로 제1 면, 제2 면, 제3 면 및 제4 면이라 가정하면, 영상출력모듈(160)의 제1 영상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전시물의 앞 영상은 반사모듈(170)의 제1 면에 반사되고, 영상출력모듈(160)의 제2 영상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전시물의 뒤 영상은 반사모듈(170)의 제3 면에 반사되고, 영상출력모듈(160)의 제3 영상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전시물의 좌 영상은 반사모듈(170)의 제4 면에 반사되고, 영상출력모듈(160)의 제4 영상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전시물의 우 영상은 반사모듈(170)의 제2 면에 반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n image of an exhibit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module 160 is reflected through the reflection module 170.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ide face of the quadrangular pyramid is a first face, a second face, a third face and a fourth face in a clockwise direction, a front image of an object displayed through the first image area of the image output module 160 The rear image of the display reflect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reflection module 170 and output through the second image area of the image output module 160 is reflected on the third surface of the reflection module 170, 160 are reflected on the fourth surface of the reflection module 170 and the right image of the display output through the fourth image area of the image output module 160 is reflected on the fourth surface of the reflection module 170, May be reflected on the second side of the module 170.

이로 인해, 관람자는 투명한 반사모듈(170) 내부에 전시물이 존재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으며, 전시물을 360° 방향으로 관람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viewer can feel as if the display is present inside the transparent reflection module 170, and can view the display in the 360 ° direction.

도 5는 도 1의 전시 시스템의 실제 구현 예시이다.Figure 5 is an actual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display system of Figure 1;

도 5에서 보면, 본체(200)는 도 1의 영상저장모듈(120), 마커인식모듈(130), 센서모듈(140), 영상제어모듈(150), 영상출력모듈(160), 그리고 반사모듈(170)을 포함한다. 이때, 영상획득모듈(110)은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현되며, 영상획득모듈(110)을 통해 획득한 전시물의 영상은 영상저장모듈(120)에 저장된다.5, the main body 200 includes an image storage module 120, a marker recognition module 130, a sensor module 140, an image control module 150, an image output module 160, (170). At this time,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10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system, and the images of the exhibits acquired through 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10 ar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module 120.

도 5의 본체(200)는 관람객의 눈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부영역(210), 관람객의 손의 위치에 대응하는 중간영역(220), 그리고 관람객의 다리의 위치에 대응하는 하부영역(230)을 포함한다.5 includes an upper region 2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iewer's eye, an intermediate region 2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iewer's hand, and a lower region 23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viewer's legs. .

상부영역(210)은 천장부에 영상출력모듈(160)이 위치하며 영상출력모듈(160) 아래에 반사모듈(170)이 위치한다.In the upper region 210, the image output module 160 is located on the ceiling portion and the reflection module 170 is located below the image output module 160.

중간영역(220)은 내부 공간에 마커 또는 관람객의 손을 수용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천장부에 마커인식모듈(130)이 위치하며 바닥부에 센서모듈(140)이 위치한다. 이때, 마커인식모듈(130)은 중앙에 위치하고, 센서모듈(140)은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마커인식모듈(130)과 센서모듈(140)이 각각 마커와 관람객의 손가락을 정확히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The middle area 220 is open to receive the marker or the viewer's hand in the interior space, and 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130 is located on the ceiling and the sensor module 140 is located on the bottom. At this time, 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1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the sensor module 140 is positioned at the edge. Accordingly, 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130 and the sensor module 140 can correctly recognize the markers and the fingers of the viewer, respectively.

하부영역(230)은 영상저장모듈(120)과 영상제어모듈(150)이 위치한다.In the lower region 230, an image storage module 120 and an image control module 150 are located.

도 6은 도 5의 전시 시스템의 외관 디자인 예시이다.6 is an illustration of an appearance design of the display system of Fig.

도 6은 도 5의 전시 시스템의 외형을 나타내며, 디자인적 요소를 추가하여 관람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관람객들의 신체적 조건이 다양한 점을 고려하여 전시 시스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기계적 구성(예를 들어, 절첩식 프레임 등)을 추가할 수 있다. FIG. 6 shows the appearance of the display system of FIG. 5, and may add interest to the viewer by adding design elemen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d a mechanical configuration (for example, a folding frame, etc.)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xhibi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hysical conditions of the visitors.

도 7은 도 1의 전시 시스템을 이용한 전시 방법을 나타낸다.Fig. 7 shows a display method using the display system of Fig.

먼저, 관리자에 의해 제공되는 전시물에 대하여 영상획득모듈(110)을 통해 전시물에 대한 복수개의 영상을 획득하고(S10), 영상저장모듈(120)에 저장한다(S12). First, a plurality of images for an exhibit are acquired through an image acquisition module 110 with respect to an exhibit provided by an administrator (S10) and stored in the image storage module 120 (S12).

이후, 본체(200)의 중간영역(220)에 마커가 위치하는 경우 마커인식모듈(130)을 통해 마커를 인식하고(S14), 영상제어모듈(150)을 통해 S14 단계에서 인식된 마커의 종류에 대응하는 영상세트를 검색하며(S16), S16 단계에서 검색된 영상세트를 영상출력모듈(160)을 통해 출력한다(S18). 이때, S18 단계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반사모듈(170)에 반사된다.Thereafter, when the marker is located in the middle area 220 of the main body 200, the marker is recognized through 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130 (S14), and the type of the marker recognized in step S14 through the image control module 150 (S16), and outputs the searched image set through the image output module 160 (S18). At this time, the image outputted in the step S18 is reflected to the reflection module 170. FIG.

도 8은 S14 단계에서 한 개의 마커를 인식한 경우 반사모듈 내부를 나타낸다.8 shows the inside of the reflection module when one marker is recognized in step S14.

도 8에서는 본체의 중간영역(220)에 위치하는 하나의 마커에 대응하는 말 조형물을 확인할 수 있다.In FIG. 8, a horse model corresponding to one marker located in the middle region 220 of the main body can be identified.

도 9는 S14 단계에서 두 개의 마커를 인식한 경우 반사모듈 내부를 나타낸다.9 shows the inside of the reflection module when two markers are recognized in step S14.

도 9에서는 본체의 중간영역(220)에 위치하는 두 개의 마커에 각각 대응하는 말 조형물과 거북이 조형물을 확인할 수 있다.In FIG. 9, horse and tortoise artifacts corresponding to the two markers located in the middle region 220 of the main body can be identified.

만약, S14 단계에서 마커의 기울기가 감지되는 경우 도 8 또는 도 9에서 확인되는 말 조형물 또는 거북이 조형물은 마커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각도로 회전 또는 이동된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If the tilt of the marker is detected in step S14, the horse or tortoise model, as shown in FIG. 8 or FIG. 9, can be identified as being rotated or mov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tilt of the marker.

다시 도 7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S18 단계의 영상 출력 중 센서모듈(140)을 통해 관람객의 손가락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S20) 영상제어모듈(150)을 통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S20 단계에서 감지된 움직임에 대응하도록 출력영상(전시물 영상)을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을 영상출력모듈(160)을 통해 출력한다(S22).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FIG. 7, if the finger movement of a visitor is sensed through the sensor module 140 during the video output in step S18 (S20), the control module 150 controls the image control module 150 (Display image)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tion detected in step S22 and outputs the corrected image through the image output module 160 (S22).

도 10과 도 11은 S20 단계에서 관람객 손의 위치변경에 따른 반사모듈의 내부를 나타낸다.10 and 11 show the inside of the refl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visitor's hand in step S20.

도 10에서는 관람객 손의 위치 변경(좌->우)에 따라 말 조형물의 영상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11에서는 관람객 손의 위치 변경(우->좌)에 따라 거북이 조형물의 영상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of the horse model is rotated at a preset ang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visitor's hand (left to right). In FIG. 11, It can be seen that the image of the turtle figurine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12는 S12 단계에서 관람객의 움직임에 따라 전시물 영상에 컴퓨터그래픽 특수 효과를 적용한 예시이다.FIG. 1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computer graphic special effect is applied to an exhibition image according to a movement of a visitor in step S12.

도 12에서는 관람객 손의 위치변경에 따라 컴퓨터그래픽 특수 효과가 적용된 전시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In FIG. 12,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exhibition image to which the computer graphic special effec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visitor's ha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시물과 관람객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므로 전시물에 대한 관람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전시물 홍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람자는 현재 위치에서 마커를 이용하여 전시물을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전시물을 동시에 관람하거나 비교할 수 있다. 또한, 관람자가 별도의 장치를 착용하지 않더라도 신체 일부의 움직임을 통해 전시물을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시키거나 전시물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관람자의 전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teract with the exhibitor and the viewer, thereby inducing the viewer's interest in the exhibit and improving the effect of promoting the exhibit. Specifically, the viewer can move and rotate the display in various directions using the marker at the current position, and can simultaneously view or compare a plurality of displays. In addition, even if the spectator does not wear a separate device, the display can be moved and rotated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movement of a part of the body, or the size of the display can be controll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view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시물의 특성, 전시 장소 및 목적에 따라 전시 시스템을 구성하고 전시물을 연출함으로써 전시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전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대형 전시물 또는 파손 위험이 있는 전시물을 한정된 공간 내에 전시할 수 있고, 동영상 또는 다양한 효과를 추가하여 전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aste of the exhibition space and improve the exhibition effect by constructing the exhib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the exhibition place and the purpose and directing the exhibition. In addition, large-scale exhibits or exhibits with a risk of breakage can be displayed in a limited space, and moving images or various effects can be added for displa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0 : 전시 시스템
110 : 영상획득모듈
120 : 영상저장모듈
130 : 마커인식모듈
140 : 센서모듈
150 : 영상제어모듈
160 : 영상출력모듈
170 : 반사모듈
100: Exhibition system
110: Image acquisition module
120: image storage module
130: marker recognition module
140: Sensor module
150: Image control module
160: Video output module
170: Reflection module

Claims (10)

전시물을 앞, 뒤, 좌, 우 방향에서 촬영한 복수개의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세트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모듈,
마커의 패턴을 인식하는 마커인식모듈,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모듈,
인식된 상기 마커의 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영상세트를 검색하고,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검색된 상기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제어모듈,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영상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영상영역을 통해 보정된 상기 복수개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 그리고
피라미드 형태의 반사막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복수개의 영상을 상기 반사막을 통해 반사시키는 반사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제어모듈은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이동방향 또는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상에 불꽃, 액체, 연기 흐름의 컴퓨터 그래픽 특수 효과를 적용하고,
상기 피라미드 형태의 반사막의 옆면이 시계방향으로 제1면, 제2면, 제3면 및 제4면으로 사각뿔 형상이면,
상기 전시물의 앞 영상은 상기 반사모듈의 제1 면에 반사되고, 상기 전시물의 뒤 영상은 상기 반사모듈의 제3면에 반사되고, 상기 전시물의 좌 영상은 상기 반사모듈의 제4면에 반사되며, 상기 전시물의 우 영사은 상기 반사모듈의 제2면에 반사되는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
An image storage module for storing an image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images taken in front, back, left,
A marker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the pattern of the marker,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
An image control module for searching the image se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pattern of the marker and correcting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set searched based on the detected motion of the user,
A video output module which includes a plurality of video areas for outputting different images and outputs the plurality of videos corr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video areas,
A reflection module for reflecting a plurality of images output through the image output module through the reflection film,
/ RTI >
Wherein the image control module applies a computer graphics special effect of flame, liquid, and smoke flow to the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direction or slope of the user,
If the side face of the pyramidal reflective film is a quadrangular pyramid with a first face, a second face, a third face and a fourth face in a clockwise direction,
A front image of the display is reflected on a first surface of the reflection module, a rear image of the display is reflected on a third surface of the reflection module, and a left image of the display is reflected on a fourth surface of the reflection module , The right projection of the exhibit is reflected on the second side of the reflective module
Display system using pyramid reflective hologram.
제1항에서,
상기 마커인식모듈은 상기 마커의 방향 및 기울기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제어모듈은 감지된 상기 마커의 방향 및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의 방향 및 각도를 보정하는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senses the direction and tilt of the marker, and the imag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direction and the angle of the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se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direction and tilt of the marker, Display system using type hologram.
제1항에서,
상기 센서모듈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의 이동방향 및 기울기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제어모듈은 감지된 상기 신체부위의 이동방향 및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의 방향 및 각도를 보정하는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module senses a moving direction and a tilt of the user's body part set in advance and the image control module detects a moving direction and a tilt of the body part, A display system using a pyramidal reflection type hologram for correcting a direction and an angle of a hologram.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영상출력모듈은 네 개의 영상영역을 통해 상기 전시물의 앞, 뒤, 좌, 그리고 우에 각각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반사모듈은 상기 네 개의 영상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대응하는 네 개의 반사막을 포함하는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output module outputs images corresponding to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of the display through four image areas, and the reflection module includes four reflection films corresponding to the four image areas in the vertical direction Display system using pyramid reflective hologram.
제1항에서,
상기 피라미드 형태의 반사막 내부에 상기 전시물의 입체 영상이 생성되는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yramidal reflection type hologram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of the exhibit is generated inside the reflection film of the pyramidal shape.
제1항에서,
복수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전시물의 서로 다른 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는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mera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cameras and acquiring a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surfaces of the exhibit through the plurality of cameras.
카메라모듈에서 전시물을 앞, 뒤, 좌, 우 방향에서 촬영하여 복수개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영상저장모듈에서 상기 획득한 복수개의 영상을 영상세트로 저장하는 단계,
마커인식모듈에서 마커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영상제어모듈에서 인식된 상기 마커의 패턴에 대응하는 영상세트를 검색하는 단계,
센서모듈에서 사용자 신체의 이동방향 또는 기울기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영상제어모듈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동방향 또는 기울기에 따라 검색된 상기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
영상출력모듈에서 보정된 상기 복수개의 영상을 서로 다른 영상영역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반사모듈에서 상기 서로 다른 영상영역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복수개의 영상을 반사시켜 상기 전시물의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감지된 상기 사용자 신체의 이동방향 또는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개의 영상에 불꽃, 액체, 연기 흐름의 컴퓨터 그래픽 특수 효과를 적용하고,
상기 반사모듈은 사각뿔 형태의 피라미드 반사막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막의 옆면이 시계방향으로 제1면, 제2면, 제3면 및 제4면이면,
상기 전시물의 앞 영상은 상기 반사모듈의 제1면에 반사되고, 상기 전시물의 뒤 영상이 상기 반사모듈의 제3면에 반사되고, 상기 전시물의 좌 영상은 상기 반사모듈의 제4면에 반사되며, 상기 전시물의 우 영상은 상기 반사모듈의 제2면에 반사되는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방법.
Capturing a plurality of images by photographing an exhibit in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a camera module,
Storing the acquired plurality of images as image sets in an image storage module,
Recognizing a pattern of the marker in the marker recognition module,
Retrieving an image set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marker recognized by the image control module,
Sensing a direction or tilt of the user's body in the sensor module,
Correcting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set searched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or slope of the user's body sensed by the image control module,
Outputting the plurality of images corrected by the image output module through different image areas, and
Reflecting the plurality of images output through the different image areas in the reflection module to generate a stereoscopic image of the exhibit
Lt; / RTI >
Wherein the step of correcting the plurality of images comprises applying a computer graphics special effect of flame, liquid, and smoke flow to the plurality of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ensed movement direction or slope of the user's body,
The reflection module includes a pyramidal reflective film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pyramid,
If the side face of the reflective film is a first face, a second face, a third face and a fourth face in a clockwise direction,
A front image of the display is reflected on a first side of the reflection module, a rear image of the display is reflected on a third side of the reflection module, and a left side image of the display is reflected on a fourth side of the reflection module And a right image of the exhibit is reflect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reflection module.
제8항에서,
상기 마커의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마커의 방향 및 기울기를 감지하고,
상기 복수개의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감지된 상기 마커의 방향 및 기울기에 따라 상기 영상세트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의 영상의 방향 또는 각도를 보정하는 피라미드 반사형 홀로그램을 이용한 전시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pattern of the marker detects the direction and the inclination of the marker,
Wherein the correcting the plurality of images comprises correcting a direction or an angle of a plurality of images included in the image set according to the detected direction and slope of the marker.
삭제delete
KR1020170029476A 2017-03-08 2017-03-08 Exhib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yramid mirror hologram KR101958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476A KR101958013B1 (en) 2017-03-08 2017-03-08 Exhib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yramid mirror hol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476A KR101958013B1 (en) 2017-03-08 2017-03-08 Exhib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yramid mirror hol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833A KR20180102833A (en) 2018-09-18
KR101958013B1 true KR101958013B1 (en) 2019-03-18

Family

ID=6371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476A KR101958013B1 (en) 2017-03-08 2017-03-08 Exhib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yramid mirror hol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0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649B1 (en) 2019-10-21 2021-03-24 김동욱 Hologram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two-way interaction using 3d dat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162B1 (en) * 2009-04-20 2009-12-01 (주)디스트릭트홀딩스 Interactive hologram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ges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972B1 (en) * 2011-09-16 2014-01-16 전준호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hologram of statue
KR101458521B1 (en) * 2012-12-17 2014-11-07 (주)유티엘코리아 A system for play a contents of augmented rea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162B1 (en) * 2009-04-20 2009-12-01 (주)디스트릭트홀딩스 Interactive hologram information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using ges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833A (en)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1663B (en) Near-eye display with extended effective eyebox via eye tracking
JP6873096B2 (en) Improvements in and on image formation
CN107209386B (en) Augmented reality view object follower
ES2718493T3 (en) Aspect capture and visualization procedure
JP5214616B2 (en) 3D display system
US20150042640A1 (en) Floating 3d image in midair
US20120188279A1 (en) Multi-Sensor Proximity-Based Immersion System and Method
US201100849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on With a Virtual Environment
US20100110069A1 (en) System for rendering virtual see-through scenes
US10567649B2 (en) Parallax viewer system for 3D content
CN11073873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4095853A (en) Image processor, project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5668340A (en) Re-projection and shaking at head-mounted display device
JP2021527252A (en) Augmented Reality Viewer with Automated Surface Selective Installation and Content Orientation Installation
CN111095348A (en) Transparent display based on camera
US11212502B2 (en) Method of modifying an image on a computational device
JP4744536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KR101958013B1 (en) Exhibi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yramid mirror hologram
JP2024024099A (en) Optical flow tracking of backscattered laser speckle patterns
US2022036075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S23002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PLAY OF AN INCREASED IMAGE APPLYING INCREASED REALITY TECHNIQUES.
Raskar Projector-based three dimensional graphics
US20240146893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video process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program
KR102017589B1 (en) Frame for trick art display
JPH10177660A (en) Image generating method, image generating device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