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768B1 -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768B1
KR101957768B1 KR1020180136729A KR20180136729A KR101957768B1 KR 101957768 B1 KR101957768 B1 KR 101957768B1 KR 1020180136729 A KR1020180136729 A KR 1020180136729A KR 20180136729 A KR20180136729 A KR 20180136729A KR 101957768 B1 KR101957768 B1 KR 101957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ptical fiber
module
relay adapter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만
Original Assignee
(주)블루코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코어컴퍼니 filed Critical (주)블루코어컴퍼니
Priority to KR102018013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25Out-coupling of light
    • H01S5/02251Out-coupling of light using optical fibres
    • H01S5/02284
    • H01S5/0224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3Mount members, e.g. sub-mount members
    • H01S5/02325Mechanically integrated components on mount members or optical micro-ben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레이저장치에 사용되는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을 보호하기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레이저광을 전송하는 광섬유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광섬유 커넥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충격이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되어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 커넥터로 충격이 가해져 부품손상이 생기더라도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에 손상이 가지 않고 중계모듈에 손상이 가므로, 중계모듈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 { OPTICAL FIBER CONNECTING APPARATUS FOR PROTECTING OUTPUT TERMINAL OF LASER MODULE }
본 발명은 의료용 레이저장치에 사용되는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을 보호하기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모듈(100)은 레이저장치(10)의 내부에 수용되며 레이저광을 생성하여 광섬유커플러(110)를 통해 레이저광을 집중시켜 외부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하며, 통상적으로는 도 1과 같이 출력모듈(300)의 커넥터(310)가 광섬유(320)를 광섬유커플러(110)에 접속시켜 레이저모듈(10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광이 광섬유(320)를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커넥터(310)는 주로 SMA커넥터가 사용된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출력모듈(300)의 광섬유(320)에 인장력이나 외력이 작용하여 커넥터(310)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커넥터(310) 뿐만 아니라 레이저모듈(100)의 광섬유커플러(110)에도 충격이 가해져 얼라인먼트(alignment)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레이저출력 품질이 저하되거나 불량이 발생하기 십상이다.
특히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한 기술을 요하므로, 제조사로 보내 부품자체를 교체하거나 교정서비스를 받아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723115호 (2017.03.29.)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레이저광을 전송하는 광섬유에 작용하는 인장력이나 외력에 의해 광섬유 커넥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충격이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함으로써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을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이저장치(10)의 내부에 수용되며 레이저광을 생성하여 광섬유커플러(110)를 통해 레이저광을 집중시켜 외부로 출력시키는 레이저모듈(100);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에 고정되며 레이저모듈(100)과 출력모듈(300)의 사이에서 레이저광의 전송을 중계하는 중계모듈(200); 레이저장치(10)의 외부에서 중계모듈(200)에 연결되는 커넥터(310)와 레이저광을 전송하는 광섬유(320)로 구성된 출력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모듈(200)은 레이저광을 전송하는 광섬유(220), 광섬유(220)의 입력단을 레이저모듈의 광섬유커플러(110)에 결합시켜 광섬유커플러(110)를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광을 광섬유(220)로 입력시키는 커넥터(210), 레이저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되며 광섬유(220)의 출력단과 출력모듈의 커넥터(310)를 결합시키는 중계어댑터(240), 중계어댑터(240)를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수단(230)은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에 결합되며 하단 중앙에 반원으로 함몰된 관통부(231a)에 의해 중계어댑터(24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패널(231),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단 중앙에 반원으로 함몰된 관통부(232a)에 의해 중계어댑터(24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패널(232), 상부패널의 체결부(231b) 또는 하부패널의 체결부(232b)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부패널 또는 하부패널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체결부(231b,232b)에 체결수단이 근접하는지 센싱하는 근접센서(233), 중계어댑터(240)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면서 중계어댑터(240)를 고정시키도록 상부패널(231)을 하방으로, 하부패널(232)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중계어댑터(240)의 고정을 해제시키도록 상부패널(231)을 상방으로, 하부패널(232)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패널조절수단(234)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조절수단(234)은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의 양단 및 레이저장치(10)에 고정결합되어 상하부패널(231,232)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34a),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래크(234c),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의 측단부에 설치되며 래크(234c)와 맞물려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을 상하이동시키는 피니언(23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상부패널(231)은 중계어댑터의 상부체결부(241)를 관통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231b), 상부패널(231)의 하단부가 관통부(231a)로 접근할 수록 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부패널(231)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중계어댑터(240)가 관통부(231a)에 위치하도록 유인하는 어댑터유인부(231c)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패널(232)은 중계어댑터의 하부체결부(242)를 관통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232b), 하부패널(232)의 상단부가 관통부(232a)로 접근할 수록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분으로서 하부패널(232)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중계어댑터(240)가 체결부(232b)에 위치하도록 유인하는 어댑터유인부(232c)를 포함하며, 상기중계어댑터(240)는 상부패널(231)과 겹쳐지는 중계어댑터(240)의 플랜지 일측에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홀로 형성된 상부체결부(241), 하부패널(232)과 겹쳐지는 중계어댑터(240)의 플랜지 일측에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홀로 형성된 하부체결부(242), 상부패널(231)의 외측면에 하부패널(232)의 내측면이 맞닿도록 결합되어 중계어댑터(240)를 고정할 때 하부패널(232)의 상단부 형상에 맞게 형성된 단턱으로서 단턱을 기준으로 중계어댑터(240)의 내측상부면은 상부패널(231)의 외측면과 맞닿고, 중계어댑터(240)의 내측하부면은 하부패널(232)의 하부패널(232)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된 걸림턱(2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레이저광을 전송하는 광섬유에 작용하는 인장력이나 외력에 의해 광섬유 커넥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그 충격이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되어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 커넥터로 충격이 가해져 부품손상이 생기더라도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에 손상이 가지 않고 중계모듈에 손상이 가므로, 중계모듈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레이저모듈이 수용되는 레이저장치에 대한 종래의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예에서 광섬유에 장력이 작용될 때 레이저모듈의 출력단에 충격이 가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섬유에 장력이 작용될 때 중계모듈에 충격이 가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하부패널이 상하이동하면서 중계어댑터를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하부패널이 상하이동할 때 어댑터유인부에 의해 중계어댑터가 중앙으로 유인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서 (a-a)단면도와 (b-b)단면도로서 걸림턱이 형성된 중계어댑터와 상하부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중계어댑터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은 도 1의 레이저모듈(100) 및 출력모듈(300)과 이의 연결을 중계하는 중계모듈(200)로 구성된다.
레이저모듈(100)은 레이저장치(10)의 내부에 수용되며 레이저광을 생성하여 광섬유커플러(110)를 통해 레이저광을 집중시켜 외부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하며, 통상적으로는 출력모듈(300)의 커넥터(310)가 광섬유(320)를 광섬유커플러(110)에 접속시켜 레이저모듈(10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광이 광섬유(320)를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광섬유커플러(110)는 광섬유콜리메이터로 대체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모듈(100)과 출력모듈(300) 사이에 중계모듈(200)이 추가되는데, 중계모듈(200)은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11)에 고정되며 레이저모듈(100)과 출력모듈(300)의 사이에서 레이저광의 전송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며, 레이저장치(10)의 외부에서 출력모듈(300)의 커넥터(310)가 중계모듈(200)에 연결되어 레이저모듈(100)에서 생성된 레이저광이 중계모듈(200)을 거쳐 출력모듈(300)의 광섬유(320)로 전송된다.
중계모듈(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220), 커넥터(210), 중계어댑터(240), 고정수단(230)으로 구성된다.
광섬유(220)는 레이저모듈의 광섬유커플러(110)에서 출력되는 레이저광을 출력모듈(300)로 전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레이저광이 들어오는 일측단은 커넥터(210)에 의해 광섬유커플러(110)에 연결되고, 레이저광이 빠져나가는 타측단은 중계어댑터(240)에 의해 출력모듈의 커넥터(310)에 연결된다.
커넥터(210)는 광섬유(220)의 입력단을 레이저모듈의 광섬유커플러(110)에 결합시켜 광섬유커플러(110)를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광을 광섬유(220)로 입력시키는 역할을 한다.
중계어댑터(240)는 레이저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되며 광섬유(220)의 출력단과 출력모듈의 커넥터(31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수단(230)은 중계어댑터(240)를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11)에 고정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패널(231), 하부패널(232), 근접센서(233), 패널조절수단(234)으로 구성된다.
상부패널(231)은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11)에 결합되며 하단 중앙에 반원으로 함몰된 관통부(231a)에 의해 중계어댑터(240)의 상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부패널(231)과 하부패널(232)이 맞닿으면서 상부패널(231)의 관통부(231a)와 하부패널(232)의 관통부(232a)가 중계어댑터(240)에 대응되는 관통홀을 형성하게 되고, 이 관통홀에 중계어댑터(240)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하부패널(232)은 상부패널(2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11)에 결합되며 상단 중앙에 반원으로 함몰된 관통부(232a)에 의해 중계어댑터(24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하부패널(231,232)은 각각 체결부(231b,232b), 어댑터유인부(231c,232c)를 더 포함하게 된다.
체결부(231b,232b)는 중계어댑터의 상하부체결부(241,242)를 관통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도시된 바와 상부패널(231)과 하부패널(232)이 중계어댑터(240)를 고정한 상태에서 중계어댑터(240)의 상하부체결부(241,2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중계어댑터(240)를 상하부패널(231,232)에 부착시킴과 동시에 중계어댑터(240)가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어댑터유인부(231c,232c)는 상부패널(231)의 하단부 및 하부패널(232)의 상단부가 관통부(231a,232a)로 접근할 수록 상부패널은 위로, 하부패널은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분으로서, 중계어댑터(240)를 고정하기 위해 상부패널(231)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하부패널(232)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중앙에서 빗겨난 중계어댑터(240)가 관통부(231a)에 위치하도록 유인하는 역할을 한다.
즉, 어댑터유인부(231c,232c)가 형성되지 않은 도 5에서는 중계어댑터(240)를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하부패널(231,232)을 이동시켜야 상하부패널(231,232)의 관통부(231a,232b)에 중계어댑터(240)가 안착된다. 그러나 도 6과 같이 하부패널(232)의 상단이 어댑터유인부(232c)에 의해 관통부(232a)를 꼭지점으로한 'V'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패널(231)의 하단 역시 어댑터유인부(231c)에 의해 관통부(231a)를 꼭지점으로 한 뒤집은 'V'자 형태로 형성되면 중계어댑터(240)가 하우징(11)의 레이저장치관통부(11a) 중앙에서 다소 빗겨나가 있더라도, 상하부패널(231,232)이 패널조절수단(234)에 의해 조여지면서 중계어댑터(240)도 어댑터유인부(231c,232c)에서 미끄러져 자연스럽게 중앙의 관통부(231a,232b)로 유인되면서 안착되는 것이다. 이 때, 레이저장치관통부(11a)는 레이저장치(10)의 내부에 있는 레이저모듈(10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광이 레이저장치(10)의 외부로 전송되기 위한 통로에 해당한다.
근접센서(233)는 상부패널의 체결부(231b) 또는 하부패널의 체결부(232b)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부패널 또는 하부패널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체결부(231b,232b)에 체결수단이 근접하는지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만약 체결수단이 근접한 상태로 감지되면 중계어댑터(240)와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서, 패널조절수단(234)에 의해 상부패널(231)과 하부패널(232)을 상하로 이동시키고자 하면 부품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함이다.
도 4와 같이 출력모듈(300)의 광섬유(320)에 장력이 작용되어 출력모듈(300)의 커넥터(310) 및 중계모듈(200)의 중계어댑터(24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레이저모듈(100)의 광섬유커플러(110)에 힘이 전달되지 않더라도 중계어댑터(240)는 충격에 의한 파손으로 교체해주어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패널조절수단(234)에 의해 상부패널(231)을 상부로, 하부패널(232)을 하부로 이동시켜 중계어댑터(240)가 상하부패널(231,232)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중계어댑터(240)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때 근접센서(233)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상부패널(231)의 체결부(231b)에 체결수단이 체결되어 있지 않고, 하부패널(232)의 체결부(232b)에만 체결수단이 체결되어 중계어댑터(240)가 하부패널(232)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는데(사용자 부주의에 의해 발생 가능함), 이 때 패널조절수단(234)에 의해 상부패널(231)을 상부로, 하부패널(232)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중계어댑터(240)가 하부패널(232)에 고정되어 같이 이동하므로 중계모듈(200)의 광섬유(220)에 장력이 걸리고 결국 레이저모듈(100)의 광섬유커플러(110)에 아래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로써 광섬유(220) 또는 광섬유커플러(110)의 정렬 불량을 초래하고 부품을 손상시키게 된다.
양 체결부(231b,232b)에 모두 체결수단이 체결된 상태에서 패널조절수단(234)에 의해 상부패널(231)을 상부로, 하부패널(232)을 하부로 이동시킬 경우 상부패널(231), 하부패널(232) 및 중계어댑터(240)에 손상이 야기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두 체결부(231b,232b)에 모두 근접센서(233)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패널조절수단(234)은 중계어댑터(240)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면서 중계어댑터(240)를 고정시키도록 상부패널(231)을 하방으로, 하부패널(232)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중계어댑터(240)의 고정을 해제시키도록 상부패널(231)을 상방으로, 하부패널(232)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레일(234a), 피니언(234b), 래크(234c)로 구성된다.
가이드레일(234a)은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의 양단 및 레이저장치(10)에 고정결합되어 상하부패널(231,232)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로 구성된다. 도 5와 같이 상부패널(231)과 하부패널(232)이 단차 없이 평면상에서 결합되는 경우 상부패널(231)에서 하부패널(232)로 이어지는 단일 레일로 상하부패널(231,232)의 양단에 2개 구비될 수 있으나, 도 6과 같이 상부패널(231)과 하부패널(232)이 어댑터유인부(231c,232c)에 의해 단차를 형성할 경우(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11), 상부패널(231), 하부패널(232) 순으로 적층됨)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11)을 기준으로 상부패널(231)보다 하부패널(232)의 이동위치가 하우징(11)에서 더 떨어지게 되므로 가이드레일(234a)은 각각 별도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패널(231)의 양측 2개와 하부패널(232)의 양측 2개로 4개의 가이드레일(234a)이 구비되는 것이다.
래크(234c)는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피니언(234b)과 맞물려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을 상하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래크(234c)는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좌우 양쪽 단부 모두 래크(234c)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피니언(234b)은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의 측단부에 설치되며 래크(234c)와 맞물려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을 상하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래크(234c)와 대응되도록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의 왼쪽 또는 오른쪽에만 형성되거나 좌우 양쪽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중계어댑터(240)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서, 중계어댑터(240)는 상부체결부(241), 하부체결부(242), 걸림턱(243)으로 구성된다.
상부체결부(241)는 상부패널(231)과 겹쳐지는 중계어댑터(240)의 플랜지 일측에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홀로 형성된 것이고, 하부체결부(242)는 하부패널(232)과 겹쳐지는 중계어댑터(240)의 플랜지 일측에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홀로 형성된 것이다.
걸림턱(243)은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부패널(231)의 외측면에 하부패널(232)의 내측면이 맞닿도록 결합되어 중계어댑터(240)를 고정할 때(단차를 형성하면서 결합될 때) 하부패널(232)의 상단부 형상에 맞게 형성된 단턱이다. 걸림턱(243)을 기준으로 중계어댑터(240)의 내측상부면(A1)은 상부패널(231)의 외측면(A2)과 맞닿고, 중계어댑터(240)의 내측하부면(B1)은 하부패널(232)의 하부패널(232)의 외측면(B2)과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는 중계어댑터(240)가 고정수단(230)의 어댑터유인부(231c,232c)에 의해 관통부(231a,232a)로 유인될 때 하부패널(232)에 걸쳐진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다 하부패널(232)의 관통부(232a)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레이저장치
11 : 하우징
11a : 레이저장치관통부
100 : 레이저모듈
110 : 광섬유커플러
200 : 중계모듈
210 : 커넥터
220 : 광섬유
230 : 고정수단
231 : 상부패널
231a : 관통부
231b : 체결부
231c : 어댑터유인부
232 : 하부패널
232a : 관통부
232b : 체결부
232c : 어댑터유인부
233 : 근접센서
234 : 패널조절수단
234a : 가이드레일
234b : 피니언
234c : 래크
240 : 중계어댑터
241 : 상부체결부
242 : 하부체결부
243 : 걸림턱
300 : 출력모듈
310 : 커넥터
320 : 광섬유

Claims (3)

  1. 레이저장치(10)의 내부에 수용되며 레이저광을 생성하여 광섬유커플러(110)를 통해 레이저광을 집중시켜 외부로 출력시키는 레이저모듈(100);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에 고정되며 레이저모듈(100)과 출력모듈(300)의 사이에서 레이저광의 전송을 중계하는 중계모듈(200);
    레이저장치(10)의 외부에서 중계모듈(200)에 연결되는 커넥터(310)와 레이저광을 전송하는 광섬유(320)로 구성된 출력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중계모듈(200)은
    레이저광을 전송하는 광섬유(220),
    광섬유(220)의 입력단을 레이저모듈의 광섬유커플러(110)에 결합시켜 광섬유커플러(110)를 통해 출력되는 레이저광을 광섬유(220)로 입력시키는 커넥터(210),
    레이저장치(10)의 외부로 노출되며 광섬유(220)의 출력단과 출력모듈의 커넥터(310)를 결합시키는 중계어댑터(240),
    중계어댑터(240)를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수단(2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230)은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에 결합되며 하단 중앙에 반원으로 함몰된 관통부(231a)에 의해 중계어댑터(24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패널(231),
    레이저장치(10)의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단 중앙에 반원으로 함몰된 관통부(232a)에 의해 중계어댑터(24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패널(232),
    상부패널의 체결부(231b) 또는 하부패널의 체결부(232b)가 형성된 위치에서 상부패널 또는 하부패널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체결부(231b,232b)에 체결수단이 근접하는지 센싱하는 근접센서(233),
    중계어댑터(240)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면서 중계어댑터(240)를 고정시키도록 상부패널(231)을 하방으로, 하부패널(232)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중계어댑터(240)의 고정을 해제시키도록 상부패널(231)을 상방으로, 하부패널(232)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패널조절수단(234)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조절수단(234)은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의 양단 및 레이저장치(10)에 고정결합되어 상하부패널(231,232)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34a),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래크(234c),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의 측단부에 설치되며 래크(234c)와 맞물려 상부패널(231) 및 하부패널(232)을 상하이동시키는 피니언(23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231)은
    중계어댑터의 상부체결부(241)를 관통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231b),
    상부패널(231)의 하단부가 관통부(231a)로 접근할 수록 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부패널(231)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중계어댑터(240)가 관통부(231a)에 위치하도록 유인하는 어댑터유인부(231c)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패널(232)은
    중계어댑터의 하부체결부(242)를 관통하는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부(232b),
    하부패널(232)의 상단부가 관통부(232a)로 접근할 수록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분으로서 하부패널(232)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중계어댑터(240)가 체결부(232b)에 위치하도록 유인하는 어댑터유인부(232c)를 포함하며,

    상기중계어댑터(240)는
    상부패널(231)과 겹쳐지는 중계어댑터(240)의 플랜지 일측에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홀로 형성된 상부체결부(241),
    하부패널(232)과 겹쳐지는 중계어댑터(240)의 플랜지 일측에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홀로 형성된 하부체결부(242),
    상부패널(231)의 외측면에 하부패널(232)의 내측면이 맞닿도록 결합되어 중계어댑터(240)를 고정할 때 하부패널(232)의 상단부 형상에 맞게 형성된 단턱으로서 단턱을 기준으로 중계어댑터(240)의 내측상부면은 상부패널(231)의 외측면과 맞닿고, 중계어댑터(240)의 내측하부면은 하부패널(232)의 하부패널(232)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형성된 걸림턱(2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
KR1020180136729A 2018-11-08 2018-11-08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 KR101957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729A KR101957768B1 (ko) 2018-11-08 2018-11-08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729A KR101957768B1 (ko) 2018-11-08 2018-11-08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768B1 true KR101957768B1 (ko) 2019-03-14

Family

ID=6575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729A KR101957768B1 (ko) 2018-11-08 2018-11-08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7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3454A (ja) * 2009-12-15 2013-04-22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マルチスポットレーザープローブ
KR101723115B1 (ko) 2015-09-30 2017-04-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정요소가 구비된 광섬유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3454A (ja) * 2009-12-15 2013-04-22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マルチスポットレーザープローブ
KR101723115B1 (ko) 2015-09-30 2017-04-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정요소가 구비된 광섬유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2038B2 (ja) 光通信アセンブリ
US11803020B2 (en) Optical bench subassembly having integrated photonic device
US10025043B2 (en) Optical alignment of an optical subassembly to an optoelectronic device using pairs of alignment reflective surfaces
US5619609A (en) Fiberoptic support clip
US8333517B2 (en) Semiconductor submodule, method for connecting connector and semiconductor submodule, and optical module
US20150338585A1 (en) Vision-based passive alignment of an optical fiber subassembly to an optoelectronic device
WO2013049494A3 (en) Optical component assemblies
US20090304337A1 (en) Optical sub-assembly electrically isolating frame ground from signal ground
US9784929B2 (en) Board connector
KR101957768B1 (ko) 레이저모듈 출력단 보호를 위한 광섬유 체결용 구조물
US72984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optical components
US6669379B2 (en) Method of attaching optical fiber in alignment with a light source in an optical module
JP2000352644A (ja) 光子デバイスのためのパッケージングアセンブリ
US10686292B2 (en) Laser module
US20120288231A1 (en) Laser package including tilted las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90016683A1 (en) Angled fiber ferrule having off-axis fiber through-hole and method of coupling an optical fiber at an off-axis angle
CN103293716A (zh) 光学隔离to-can
KR101480833B1 (ko) 광 커넥터와 그 제조 방법
KR20040015099A (ko) 광섬유 홀딩장치
JP6898245B2 (ja) 一体化された光デバイスを有する光学ベンチサブアセンブリ
US20040202478A1 (en) Electro-optical module for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optical signals of at least two optical data channels
KR100591264B1 (ko) 광커넥터 모듈
US20050175292A1 (en) Method for coupling a surface-oriented optoelectronic component to an optical fiber
JP6506138B2 (ja) 光モジュール及び光モジュール用レセプタクル
WO2024065993A1 (zh) 一种bosa器件的组装装置及其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