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630B1 -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시스템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시스템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630B1
KR101956630B1 KR1020180061732A KR20180061732A KR101956630B1 KR 101956630 B1 KR101956630 B1 KR 101956630B1 KR 1020180061732 A KR1020180061732 A KR 1020180061732A KR 20180061732 A KR20180061732 A KR 20180061732A KR 101956630 B1 KR101956630 B1 KR 10195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ject
control unit
data
c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2018006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조업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젝트 관리 및 실시간 생산현장 관리를 기반으로, 관리 업무인 인사 및 급여, 회계/원가 시스템을 통합한 ERP 시스템을 도입한 ICT 기반의 스마트 공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시스템의 작동 방법 {Smart factory system based on I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존의 업무방식에 대하여 ERP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생산현장과 재무 회계의 업무 프로세서를 자동으로 통합하여, 기업 내 데이터가 원활하게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ICT 기반의 스마트 공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조 산업 분야는 IT 기술 발전에 따라 사용자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맞춤제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가상제조, 및 전 제품 가치사슬 연동을 통한 협업 제조가 가능한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으로 제조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다. 또한, 제조 설비는 주문, 개발, 설계, 생산, 물류경영 등 기업의 제조와 관련된 모든 활동에서 발생하는 공정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외적인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다.
특히, 전 제조 분야에 걸친 유연한 생산 관리 및 제어를 통한 소비자 개인단위의 제품 요구사항을 제조 공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중심의 제조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건설공사를 수행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업무들은 각 작업들의 일정관리와 품질/안전관리 외에도 도급공사비/하도급공사비/직영공사비 등의 청구ㆍ수령ㆍ지급에 따른 회계관리와, 자재/노무/중기 등의 투입자원에 대한 계약ㆍ사용기록ㆍ비용지급에 따른 자원관리 및 도급, 하도급계약의 계약변경관리 등의 제반업무가 수행되어야 한다. 각 분야별 관리업무들은 고유의 업무영역을 갖고 있지만, 공사 목적물을 시공하는 단계별 작업들이 계획되고 실행되는 과정으로부터 그 업무가 생성되어지므로 작업의 진척도는 공사관리의 중심에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사착수 전에 전체공사의 일정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공사의 전체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의 일정관리란 건설공사계약을 위한 공사내역을 실제 시행할 작업(Activity)들로 분류, 정의하고 그 정의된 작업들이 주어진 기간 내에 주어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법으로서 PERT(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CPM(Critical Path Method)기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이러한 일정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상용패키지가 많이 개발,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건설공사 일정관리시스템들은 건설공사 구성작업들의 일정정보, 각 작업들 간의 관계정보 및 공사수행을 위해 계획된 자원의 수량에 관한 정보 등만 관리함으로써 특정 작업의 소요자원 또는 작업의 진행현황을 파악하고 일정조정 등을 가능하게 하지만, 공사 진행 도중 발생하는 품질ㆍ안전관리업무의 계획 및 실적, 공사기성을 포함한 회계업무의 관련대장(Log) 생성 및 저장, 자재ㆍ인력ㆍ건설기계 등의 관리문서 등을 생성, 관리하는 기능은 포함되어있지 않다.
국내 특허등록공보 제 10-0614573호 (2006년 8월 14일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산업 필드 장비와 정보 시스템 사이의 안정적인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 및 이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개입없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 코드를 생성하고, 정보 시스템과 필드 시스템 연동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 및 이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은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표준 페이스트 포맷(Standard Format for Pasting: SFP) 파일을 생성하고, SFP 파일을 파싱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구에 따른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서비스 요청 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ERP 웹 페이지 내에서 사용되는 사용함수, 사용함수의 파라미터, 사용함수의 위치, 사용함수의 사용횟수, 및 사용함수의 순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소스 코드들을 획득하고,바이너리 소스 코드로부터 퍼지 해시 (Fuzzy hash)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퍼지 해시 값과 ERP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미리 입력된 퍼지 해시값과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비교값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서비스 요청 정보의 신뢰도를 결정하고, 신뢰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바이너리 소스 코드들 각각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젝트관리, 생산 및 물류 관리, 인사 및 급여 관리 및 회계 및 원가 관리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표준 페이스트 포맷(Standard Format for Pasting: SFP)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SFP 파일을 파싱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구에 따른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서비스 요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ERP 웹 페이지 내에서 사용되는 사용함수, 사용함수의 파라미터, 사용함수의 위치, 사용함수의 사용횟수, 및 사용함수의 순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소스 코드들을 획득하는 단계, 바이너리 소스 코드로부터 퍼지 해시 (Fuzzy hash)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퍼지 해시값과 ERP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미리 입력된 퍼지 해시값과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비교값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서비스 요청 정보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신뢰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바이너리 소스 코드들 각각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젝트관리, 생산 및 물류 관리, 인사 및 급여 관리 및 회계 및 원가 관리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의 연동 모듈을 이용한 데이터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의 연동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드 생성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운용하는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표준 페이스트 포맷(Standard Format for Pasting: SFP)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SFP 파일을 파싱하여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구에 따른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서비스 요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ERP 웹 페이지 내에서 사용되는 사용함수, 사용함수의 파라미터, 사용함수의 위치, 사용함수의 사용횟수, 및 사용함수의 순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소스 코드들을 획득하는 단계, 바이너리 소스 코드로부터 퍼지 해시 (Fuzzy hash)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퍼지 해시값과 ERP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미리 입력된 퍼지 해시값과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비교값에 기초하여, 프로젝트 서비스 요청 정보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신뢰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바이너리 소스 코드들 각각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젝트관리, 생산 및 물류 관리, 인사 및 급여 관리 및 회계 및 원가 관리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표준 페이스트 포맷은 XML 파일이다.
일 개시에 의하여,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신뢰도를 산출하고,
Figure 112018053123603-pat00001
수학식 1에서, 'expert'는 최종 전문가 점수이고, 'owasp'는 OWASP 최종 위험도 산정값이며, 'user'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점수를 의미하고, 'i'는 클라이언트의 수를 의미하고, 'hs'는 hash similarity(해시 유사도값)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ERP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ERP 웹서버는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물류의 양, 물류 내역 정보, 도면에 대한 정보, 공정 내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ERP 웹서버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청에 따라 ERP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정관리표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클라이언트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수정된 공정관리표의 물류 내역 정보, 단위 공정 정보, 공사비 할당 정보 및 작업 분류 정보를 편집하고, 편집된 공정관리표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상태 정보를 ML(Mark-up Language) 웹문서로 변환하여 HTTP 웹 방식을 통해 ERP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태 정보가 기 결정된 에러 공정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태 정보가 기 결정된 에러 공정에 해당하는 경우, 에러 공정을 해결할 수 있는 정보를 XML 문서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별 프로젝트의 표준내역 작업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및 작업(Activity), 내역, 비용 및 일정연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별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 및 작업, 내역, 비용 및 일정연계정보를 표준화하여 표준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 소정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비용정보와 위치정보 또는 일정정보와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프로젝트 내역 및 WBS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비용 및 일정을 연계하여 프로젝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한 예산서 작성 및 하도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한 조기착수일(ES, Early Start), 조기종료일(EF, Early Finish), 총여유(TF, Total Float), 만기착수일(LS, Late Start), 만기종료일(LF, Late Finish), 예상 공기(OD, Original Duration), 잔여공기(RD, Remaining Duration), 현재기준일(DD, Current Data Date), 캘린더 휴일정보를 입력받아 물량분개 데이터와 연계하여 월별계획물량을 산출하는 단계,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프로젝트의 일정정보를 수심함에 따라, 프로젝트에 대하여 예상되는 일정 및 소요 비용을 판단하여 캘린더를 생성하는 단계, 프로젝트에 대한 예산 정보 및 작업계획물량 정보에 기초하여 공종별 공정현황을 분석하고, 계획 및 실적에 대한 일정 및 진도를 비교 분석하여 실적 및 향후 공정을 예측하는 단계, 프로젝트가 진행하는 동안, 일정 주기에 따라 공사원가 투자내역, 공사가치(Earned Value), 사업수지, 주요자재 손익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ERP 서버로부터 작업분류체계(WBS) 및 작업(Activity), 공기 정보를 입력받고, 캘린더(Calender) 휴일정보 및 릴레이션 정보를 반영하여 일정분석을 수행하고, 각종 스케쥴(Scheduling) 정보를 산출하는 CPM(Critical Path Method) 공정 단계 및 ERP 서버와 CPM 공정 시스템을 연동하여 각 프로젝트의 공정 진행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본 방법은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프로젝트 파일의 열람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프로젝트 파일에 설정된 인증 권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인증을 수신하고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가 장치가 요청한 외부 장치로 프로젝트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한 바이너리 소스는 홈페이지의 소스코드로 사용되는 함수, 함수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함수 위치, 선체 함수 사용횟수, 함수의 순서 추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평판관리 방법은 추출한 정보에 대한 퍼지 해시 값을 생성하고, 생성한 퍼지 해시 값과 해시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퍼지 해시 값에 대한 유사도를 비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의 연동 모듈을 이용한 데이터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는 공장자동화, 생산자동화, 및 공정자동화를 위한 산업 필드 장치로서 통신 기능과 제어 기능을 포함한다.
예컨대,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는 로봇, 센서, 엑츄에이터, 및 설비 장치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게이트 웨이(20)는 산업 정보 시스템(30)과 필드 장치(예컨대, 로봇 센서, 액츄에이터, 및 설비 장치 등)들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산업 정보 시스템(30)은 공장자동화, 생산자동화, 및 공정자동화를 위해 필드 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입력 핸들러가 소스를 분석하고 데이터를 XML과 같은 적절한 표준 페이스트 포맷(Standard Format for Pasting: SFP)으로 포맷하면, 출력 핸들러는 데이터를 외부 애플리케이션에 수출하거나 페이스트한다. 이것은 외부 애플리케이션의 API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예약을 어젠다(agenda) 등에 추가하기 위하여 구글 문서도구(Google Docs) 또는 로터스 노츠(Lotus Notes)에 페이스트될 수 있다. XML 또는 유사한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를 SFP로 사용하면, 복사된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메타-정보를 이 데이터에 추가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복사된 데이터의 올바른 부분을 타깃 애플리케이션의 올바른 위치에 페이스트하기 위하여, 향상된 페이스트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예컨대, 산업 정보 시스템(30)은 전사적 지원관리 시스템 (enterprise resource planning(ERP) system), 생산 관리 시스템(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MES)) 등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게이트 웨이(20), 및 산업 정보 시스템(30) 각각은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을 포함한다.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은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게이트 웨이(20), 및 산업 정보 시스템(30) 사이에서 데이터 연동을 제공할 수 있다.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은 미들웨어로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정보 시스템과 필드 시스템 연동을 제공할 수 있다. 즉,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은 물리적 생산 설비와 정보통신기술 사이의 융합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생산 공정을 통합하고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은 산업 장비들 중 통신 기능이 포함된 모든 기기에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을 이용한 데이터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을 포함하는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 및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게이트 웨이(20)는 서비스 채널로 동작하는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로부터 제어 명령(control)을 제공받아 이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게이트 웨이(20)는 기타 다른 장치들(Modubus, Profibus, 및 Canopen)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을 포함하는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가 웹 서비스를 통해 다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로부터 제어 명령(control)을 수신하면, 수신된 제어 명령(control)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을 포함하는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 및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게이트 웨이(20)는 설정된 토픽(Pub/Sub)에 따라 데이터 버스로 동작하는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을 포함하는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data distribution service(DD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의 사용자는 데이터 분산 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버스 형태로 장치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서비스 채널을 이용하여 웹 서비스와 같은 제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드 생성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의 연동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100)은 데이터 서비스 에디터(110), XML 파서(XML parser; 120), 데이터 저장부(130), 및 코드 생성기(1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서비스 에디터(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를 XML 파일(F_XML)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서비스 에디터(110)는 데이터 타입, 데이터 제어 서비스의 연결 규약 등을 XML 파일(F_XML) 형태로 정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 에디터는 XML 파일(F_XML)이 정의되면, 사용자가 정의한 토픽(topic)에 따라 다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100)로 제공될 서비스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토픽은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에 사용되는 데이터 타입의 일종이다. 예컨대, 토픽은 이름, 필드의 속성 변수, 속성 변수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XML 파서(120)는 생성된 XML 파일(F_XML)을 파싱하여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IM)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XML 파서(120)는 추출된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IM)를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코드 생성기(140)는 데이터 저장부(130)에 저장된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IM)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들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코드 생성기(140)는 데이터 저장부(130)에 있는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IM)를 이용하여 소스 코드들(DDS_CODE 및 WEB_CODE)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소스 코드들(DDS_CODE 및 WEB_CODE) 각각은 데이터 타입을 포함한 헤더 파일 및 생성된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메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코드 생성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코드 생성기(140)는 헤더 생성기(142)와 소스 코드 생성기(144)를 포함한다.
헤더 생성기(142)는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에 정의된 토픽 데이터 타입을 이용하여 헤더 파일 형태의 데이터 헤더(H_DATA)와 제어 헤더(C_DATA)를 생성할 수 있다.
소스 코드 생성기(144)는 데이터 헤더(H_DATA)와 제어 헤더(C_DATA) 각각을 이용하여 소스 코드인 데이터 코드(DDS_CODE)와 제어 코드(WEB_CODE)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100)은 데이터 코드(DDS_CODE)와 제어 코드(WEB_CODE) 각각을 실행하여 두 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서비스는 데이터 코드(DDS_CODE)를 실행하여 데이터 분산 서비스(DDS)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100)은 데이터 코드(DDS_CODE)를 실행하여 다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100)들과 데이터를 연동할 수 있다.
제2 서비스는 제어 코드(WEB_CODE)를 실행하여 웹 기반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100)은 제어 코드(WEB_CODE)를 실행하여 다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로 요청신호를 보내고 이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토픽에 따라 결정되는 데이터 타입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100)은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게이트 웨이(20), 및 산업 정보 시스템(3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동작할 수 있다.
먼저,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100)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예컨대 토픽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XML 파일(F_XML)을 정의할 수 있다(S100).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100)이 XML 파일(F_XML)을 파싱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IM)를 추출할 수 있다(S110).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100)은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IM)을 이용하여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소스 코드들(DDS_CODE 및 WEB_CODE)을 생성할 수 있다(S120).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연동 모듈(100)은 소스 코드들 각각을 실행하여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모듈(100)는 데이터 코드(DDS_CODE)를 실행하여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모듈(100)이 포함된 해당 기기가 데이터 버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모듈(100)는 상기 기기가 다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게이트 웨이(20), 및 산업 정보 시스템(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모듈(100)는 제어 코드(WEB_CODE)를 실행하여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모듈(100)이 포함된 해당 기기가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모듈(100)는 상기 기기가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로 동작하게 하여 다른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장치(10), ICT 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게이트 웨이(20), 및 산업 정보 시스템(30) 중 적어도 하나와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개시에 의한 ICT 기반의 스마트 공장 시스템의 작동방법의 일반적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인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는 HTML4보다 보안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지만, 새롭게 추가된 신기술들로 인해 웹 기반 취약점에 대한 공격 범위가 넓어졌으며, HTML4 환경에서 발생하던 다양한 보안 위협들을 그대로 상속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취약점을 통해 발생하게 되는 웹 페이지 위변조를 코드 사이닝(code signing) 기술을 적용하여 확인한다.
사용하는 해시 알고리즘은 퍼지 해싱을 이용한다. 일반적인 해시 알고리즘은 입력되는 파일을 대상으로 고정된 결과를 출력하는데, 이때의 출력 결과는 고유한 값을 나타내고 중복되지 않는 것을 통해 프로그램 및 소스코드의 무결성을 체크한다. 반면에 퍼지 해싱 알고리즘은 입력 값을 여러 조각으로 분리하여 사용하고, 각각의 조각에 해시를 사용하여 하나의 결과를 출력한다. 그 후 두 개의 파일에서 계산된 결과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체크한다. 퍼지 해싱 알고리즘은 인터넷 메일의 스팸 필터에 많이 사용된다.
소스 코드로부터 추출 가능한 정보는 수집한 소스코드에서 사용되는 함수, 함수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함수 위치, 전체 함수 사용 횟수, 함수의 순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웹 서비스 제공자들이 첫 단계에서 웹 서비스 정보 등록을 수행하는데, 해당 단계에서 제공받는 소스코드를 기준으로 한다. 유사도 값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유사도를 비교하기 위한 소스코드가 존재해야하기 때문에 기본값(default value)으로 '100'을 설정할 수 있다.
퍼지 해시는 퍼센테이지(%)로 제공되기 때문에 '100'을 기본값으로 한다. 새로운 소스코드와 유사도 비교시 기준 해시값과 동일하다면 100을 상이하다면 100미만(유사한 정도)의 값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웹 서비스 정보가 업데이트가 된다면, 웹 서비스 제공자들은 평판 시스템에 업데이트된 소스코드를 제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은 상기 생성된 퍼지 해시(Fuzzy hash) 값과 해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기입력된 퍼지 해시(Fuzzy hash) 값과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은 추출한 정보로 퍼지 해시 값을 생성할 수 있는데, 비교부(130)는 이렇게 생성된 퍼지 해시 값과 해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입력되어 있는 퍼지 해시 값에 대한 유사도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 4는 정상 파일과 수정된 파일에 대한 퍼지 해시 값 생성과 퍼지 해시 값에 대한 유사도 비교를 수행한 예시이다. 정상 페이지에 대한 퍼지 해시 유사도와의 비교값을 해당 페이지의 평판 점수로 사용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은 생성된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웹 페이지의 평판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부(140)는 웹 페이지에 대한 최종 전문가 점수, 최종 위험도 산정값, 사용자 점수, 사용자 수, 및 상기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평판점수를 재산출할 수 있다. 참고로, 평판점수의 기본값은 '100'이며, 이후 유사도 비교값이 평판 점수로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취약점을 내포하고 있는 HTML5 웹 어플리케이션, 웹 페이지를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OWASP는 위험평가 방법론을 제공하지만 취약점의 범위가 광범위 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산출부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문가와 사용자의 평가점수를 비교값의 산출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가의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선정하는 전문가를 지칭하며, 전문가의 점수 평가는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평가 방법 상세 가이드 중 웹 보안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조치조건에 만족해야만 한다.
또한, 전문가의 평가, OWASP에서 산정된 위험도, 사용자들의 평가를 통해 평판점수가 측정된다. 주요통신기반시설에서 제공하고 있는 보안설정방법을 기반으로 28가지의 보안조치 수행여부에 대해 판단 후 전문가의 분석결과를 취합하여'고위험(5), 위험(4), 보통(3), 정상(2), 안전(1)'점수를 부여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Claims (8)

  1.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표준 페이스트 포맷(Standard Format for Pasting: SFP)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SFP 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구에 따른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서비스 요청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ERP 웹 페이지 내에서 사용되는 사용함수, 상기 사용함수의 파라미터, 상기 사용함수의 위치, 상기 사용함수의 사용횟수, 및 상기 사용함수의 순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소스 코드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바이너리 소스 코드로부터 퍼지 해시 (Fuzzy hash)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생성된 퍼지 해시값과 ERP 서버에 미리 입력된 퍼지 해시값과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생성된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젝트 서비스 요청 정보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신뢰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바이너리 소스 코드들 각각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젝트관리, 생산 및 물류 관리, 인사 및 급여 관리 및 회계 및 원가 관리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별 프로젝트의 표준내역 작업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및 작업(Activity), 내역, 비용 및 일정연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별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 및 작업, 내역, 비용 및 일정연계정보를 표준화하여 표준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소정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비용정보와 위치정보 또는 일정정보와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프로젝트 내역 및 WBS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비용 및 일정을 연계하여 프로젝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한 예산서 작성 및 하도관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한 조기착수일(ES; Early Start), 조기종료일(EF; Early Finish), 총여유(TF; Total Float), 만기착수일(LS; Late Start), 만기종료일(LF; Late Finish), 예상 공기(OD; Original Duration), 잔여공기(RD; Remaining Duration), 현재기준일(DD; Current Data Date), 캘린더 휴일정보를 입력받아 물량분개 데이터와 연계하여 월별계획물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젝트의 일정정보를 수심함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에 대하여 예상되는 일정 및 소요 비용을 판단하여 캘린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예산 정보 및 작업계획물량 정보에 기초하여 공종별 공정현황을 분석하고, 계획 및 실적에 대한 일정 및 진도를 비교 분석하여 실적 및 향후 공정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프로젝트가 진행하는 동안, 일정 주기에 따라 공사원가 투자내역, 공사가치(Earned Value), 사업수지, 주요자재 손익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ERP 서버로부터 작업분류체계(WBS) 및 작업(Activity), 공기 정보를 입력받고, 캘린더(Calender) 휴일정보 및 릴레이션 정보를 반영하여 일정분석을 수행하고, 각종 스케쥴(Scheduling) 정보를 산출하는 CPM(Critical Path Method) 공정 단계;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ERP 서버와 CPM 공정 시스템을 연동하여 각 프로젝트의 공정 진행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서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신뢰도를 산출하고,
    수학식 1 :
    Figure 112019006090021-pat00008

    상기 수학식 1에서,
    'expert'는 최종 전문가 점수이고, 'owasp'는 OWASP 최종 위험도 산정값이며, 'user'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점수를 의미하고, 'i'는 클라이언트의 수를 의미하고, 'hs'는 hash similarity(해시 유사도값)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RP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ERP 서버는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물류의 양, 물류 내역 정보, 도면에 대한 정보, 공정 내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ERP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청에 따라 ERP 서버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공정관리표를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입력에 대응하여 수정된 공정관리표의 물류 내역 정보, 단위 공정 정보, 공사비 할당 정보 및 작업 분류 정보를 편집하고, 편집된 공정관리표를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상태 정보를 ML(Mark-up Language) 웹문서로 변환하여 HTTP 웹 방식을 통해 상기 ERP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상태 정보가 기 결정된 에러 공정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상태 정보가 기 결정된 에러 공정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에러 공정을 해결할 수 있는 정보를 XML 문서로 변환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프로젝트 파일의 열람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프로젝트 파일에 설정된 인증 권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증을 수신하고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 및 상기 클라이언트가 장치가 요청한 외부 장치로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
  7.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표준 페이스트 포맷(Standard Format for Pasting: SFP)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SFP 파일을 파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의 요구에 따른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젝트 서비스 요청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동 및 제어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ERP 웹 페이지 내에서 사용되는 사용함수, 상기 사용함수의 파라미터, 상기 사용함수의 위치, 상기 사용함수의 사용횟수, 및 상기 사용함수의 순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바이너리 소스 코드들을 획득하고,
    상기 바이너리 소스 코드로부터 퍼지 해시 (Fuzzy hash) 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퍼지 해시 값과 ERP 서버에 미리 입력된 퍼지 해시값과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비교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비교값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젝트 서비스 요청 정보의 신뢰도를 결정하고,
    상기 신뢰도가 미리 결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바이너리 소스 코드들 각각을 실행함으로써, 프로젝트관리, 생산 및 물류 관리, 인사 및 급여 관리 및 회계 및 원가 관리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별 프로젝트의 표준내역 작업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및 작업(Activity), 내역, 비용 및 일정연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개의 클라이언트 별 프로젝트의 작업분류체계 및 작업, 내역, 비용 및 일정연계정보를 표준화하여 표준 데이타베이스로 저장하고,
    소정의 프로젝트에 대하여 비용정보와 위치정보 또는 일정정보와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프로젝트 내역 및 WBS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비용 및 일정을 연계하여 프로젝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한 예산서 작성 및 하도관리를 수행하고,
    상기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한 조기착수일(ES; Early Start), 조기종료일(EF; Early Finish), 총여유(TF; Total Float), 만기착수일(LS; Late Start), 만기종료일(LF; Late Finish), 예상 공기(OD; Original Duration), 잔여공기(RD; Remaining Duration), 현재기준일(DD; Current Data Date), 캘린더 휴일정보를 입력받아 물량분개 데이터와 연계하여 월별계획물량을 산출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젝트의 일정정보를 수심함에 따라, 상기 프로젝트에 대하여 예상되는 일정 및 소요 비용을 판단하여 캘린더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예산 정보 및 작업계획물량 정보에 기초하여 공종별 공정현황을 분석하고, 계획 및 실적에 대한 일정 및 진도를 비교 분석하여 실적 및 향후 공정을 예측하고,
    상기 프로젝트가 진행하는 동안, 일정 주기에 따라 공사원가 투자내역, 공사가치(Earned Value), 사업수지, 주요자재 손익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ERP 서버로부터 작업분류체계(WBS) 및 작업(Activity), 공기 정보를 입력받고, 캘린더(Calender) 휴일정보 및 릴레이션 정보를 반영하여 일정분석을 수행하고, 각종 스케쥴(Scheduling) 정보를 산출하는 CPM(Critical Path Method)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ERP 서버와 CPM 공정 시스템을 연동하여 각 프로젝트의 공정 진행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뢰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신뢰도를 산출하고,
    수학식 1 :
    Figure 112019006090021-pat00009

    상기 수학식 1에서,
    'expert'는 최종 전문가 점수이고, 'owasp'는 OWASP 최종 위험도 산정값이며, 'user'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점수를 의미하고, 'i'는 클라이언트의 수를 의미하고, 'hs'는 hash similarity(해시 유사도값)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8. 제 1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061732A 2018-05-30 2018-05-30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195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732A KR101956630B1 (ko) 2018-05-30 2018-05-30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시스템의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732A KR101956630B1 (ko) 2018-05-30 2018-05-30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시스템의 작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630B1 true KR101956630B1 (ko) 2019-06-24

Family

ID=6705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732A KR101956630B1 (ko) 2018-05-30 2018-05-30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시스템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6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373B1 (ko) * 2019-11-11 2020-05-04 이민우 블록체인 연동형 스마트 팩토리 생산 관리 시스템
CN112734280A (zh) * 2021-01-20 2021-04-30 树根互联技术有限公司 生产订单配送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269616B1 (ko) 2020-09-24 2021-06-28 이현규 공장 없는 제조 기업을 위한 스마트 제조 솔루션 시스템
KR20220163757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제이이엔지 스마트 공장 관리 시스템
KR20230070981A (ko)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리얼인포 공장의 스마트 운용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73B1 (ko) 2000-05-31 2006-08-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로트 전산정보의 일관성유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93562A (ko) * 2016-02-05 2017-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팩토리 연동 모듈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170105325A (ko) * 2016-03-09 2017-09-1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소스 코드 분석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73B1 (ko) 2000-05-31 2006-08-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로트 전산정보의 일관성유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93562A (ko) * 2016-02-05 2017-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 팩토리 연동 모듈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170105325A (ko) * 2016-03-09 2017-09-1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소스 코드 분석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373B1 (ko) * 2019-11-11 2020-05-04 이민우 블록체인 연동형 스마트 팩토리 생산 관리 시스템
KR102269616B1 (ko) 2020-09-24 2021-06-28 이현규 공장 없는 제조 기업을 위한 스마트 제조 솔루션 시스템
CN112734280A (zh) * 2021-01-20 2021-04-30 树根互联技术有限公司 生产订单配送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2734280B (zh) * 2021-01-20 2024-02-02 树根互联股份有限公司 生产订单配送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163757A (ko) 2021-06-03 2022-12-12 주식회사 제이이엔지 스마트 공장 관리 시스템
KR20230070981A (ko)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리얼인포 공장의 스마트 운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630B1 (ko) Ict기반의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시스템의 작동 방법
US11836817B2 (en) System for an electronic document with state variable integration to external computing resources
US8538767B1 (en) Method for discovering functional and system requirements in an integrated development process
Ye et al. Framework for automated bill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using BIM and smart contracts
US20160162819A1 (en) Workflow definition, orchestration and enforcement via a collaborative interface according to a hierarchical procedure list
Greeff et al. Practical E-manufacturing and supply chain management
US20020078046A1 (en) Method of component-based system development
WO20020889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collaborative process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ment
US20240111741A1 (en) Placeholder case nodes and child case nodes in a case model
Hentrich et al. Process-Driven SOA: Patterns for Aligning Business and IT
Heilala et al. Decision support using simulation for customer-driven manufacturing system design and operations planning
EP3008675A2 (en) Distributed worker-sourced process engineering
US9734486B2 (en) Integrated temporary labor provisioning and monitoring
US20110119195A1 (en) Defining infrastructure design in a technical project management system
Hulstijn et al. Public process management: a method for introducing standard business reporting
Ghumman et al. Structural specification for the SLAs in cloud computing (S3LACC)
CN114742409A (zh) 一种财务报销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Matejaš et al. Building a BPM application in an SOA-based legacy environment
Chambers et al. Preparing for the looming changes in lease accounting
WO2022016093A1 (en) Collaborative, multi-user platform for data integration and digital content sharing
Hafenscherer et al. Robotic process automation of calculating investments in a business project
US20230036747A1 (en) Cloud infrastructure planning assistant via multi-agent ai
Bravo et al. Automation of the oilfield asset via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based integrated production management architecture (ipma)
Uslar et al. Aligning IT Architecture Analysis and Security Standards for Smart Grids
Chen A systematic approach to enabling digital supply chain coordination in construction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