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537B1 -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 Google Patents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537B1
KR101956537B1 KR1020180102155A KR20180102155A KR101956537B1 KR 101956537 B1 KR101956537 B1 KR 101956537B1 KR 1020180102155 A KR1020180102155 A KR 1020180102155A KR 20180102155 A KR20180102155 A KR 20180102155A KR 101956537 B1 KR101956537 B1 KR 101956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bar
rotating body
rotating bodies
fume hood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씨애치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씨애치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씨애치씨랩
Priority to KR102018010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5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whereby the whole cover is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조립 호환성의 증대 및 신속 간편한 체결성이 확보될 뿐 아니라 보다 간소화된 구조 내지 구성만으로도 내구성 보강, 교체 및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에 관한 것으로, 기체(機體)의 전면에서 상하 슬라이드 개폐되는 도어 블라인드와, 도어 블라인드의 내측으로 일정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와, 챔버 상부에서 유해물질을 포집하여 강제 배출되게 하는 배기관과, 도어 블라인드의 상하 슬라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승강유도수단(100)으로 구성되고, 위 승강유도수단(100)은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회전체(10); 회전체 상간에서 횡단 배열되는 구동바(20); 구동바 양단에 각각 개재되어 서로 이웃하는 회전체와 일체화시킴에 따라 회전체로부터 비롯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바의 회전을 유도하는 한 쌍의 커넥터(30);를 포함하며, 위 커넥터(30)는 구동바(20)와 분리형으로 구비하여 회전체(10)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편(11)의 외면을 감싸면서 탈·부착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Elevator for fume Hood}
본 발명은 실험실 등에서 시설되는 흄후드의 기술사상을 개시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조립 호환성의 증대 및 신속 간편한 체결성이 확보될 뿐 아니라 보다 간소화된 구조 내지 구성만으로도 내구성 보강, 교체 및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품을 개발하거나 시험하는 실험실에는 분말 또는 액상의 약품을 취급할 때 유해가스 등의 위험물질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환기 및 공조시스템 등이 구축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실험실의 내부에는 위험물질이 작업자에게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로서 시험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이른바 흄후드(Fume Hoods)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흄후드는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작업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전면에 설치된 도어를 적절히 개방시킨 후 작업 플레이트에 놓여진 실험기구를 이용하여 소정의 실험이 진행되는바, 흄후드의 상측에는 배기덕트가 설치되어 내부의 작업공간 및 실험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흄 등의 유해물질을 흡입한 다음 배기덕트(duct)와 공기정화장치(air cleaner)를 통해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즉, 통상의 흄후드는 기체의 전면에 내부를 볼 수 있는 유리로 된 도어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게 설치되고, 도어의 내측에 작업자의 팔을 넣어 각종 시험을 할 수 있는 적당한 공간을 갖춘 챔버가 구비되며, 이러한 챔버의 상부에는 시험과정에서 발생된 유해물질을 포집하여 강제로 배기되게 실외의 배기장치에 연결되는 배기관이 구비된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므로 도어를 상향으로 밀어올려 개방시킨 상태에서 그 개방된 부위를 통해 챔버 내에서 각종 시험기구를 이용하여 시험을 할 때 발생되는 유해한 가스를 음압이 작용하는 배기관을 통해 실외로 강제 배기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이 실험실에 축적되거나 작업자에게 노출됨을 차단하여 유해물질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의 흄후드를 비롯하여 종래 모든 기술사상의 흄후드는 도어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승강유도수단이 수개의 핀(pin) 등에 의존하여 일체화된 구조일 뿐 아니라 이로 인해 다소 복잡한 구조 내지 결합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다수이어서 조립과 분리의 어려움 및 조립 호환성에 기인한 교체와 유지 보수의 편의가 결여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407547호 "흄후드의 도어 개폐량 조절장치" 등록특허공보 제1352500호 "흄후드의 도어 개폐장치" 등록특허공보 제740286호 "흄후드의 도어 개폐장치"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일 방향 슬라이드되는 움직임만으로 조립 호환성의 증대 및 신속 간편한 체결성이 확보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부를 유닛으로 개별 형성하면서 보다 쉽게 탈부착되는 제반 구성으로 하여금 교체와 유지 보수의 용이함이 구현되게 할 뿐 아니라 체결의 정확성 및 구속력 극대화에 기여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은 기체(機體)의 전면에서 상하 슬라이드 개폐되는 도어 블라인드와, 도어 블라인드의 내측으로 일정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와, 챔버 상부에서 유해물질을 포집하여 강제 배출되게 하는 배기관과, 도어 블라인드의 상하 슬라이드를 제어하기 위한 승강유도수단(1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승강유도수단(100)은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회전체(10); 회전체 상간에서 횡단 배열되는 구동바(20); 구동바 양단에 각각 개재되어 서로 이웃하는 회전체와 일체화시킴에 따라 회전체로부터 비롯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바의 회전을 유도하는 한 쌍의 커넥터(30);를 포함하며, 이때 위 커넥터(30)는 구동바(20)와 분리형으로 구비하여 회전체(10)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편(11)의 외면을 감싸면서 탈·부착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커넥터(30)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부(31)를 포함하고, 아울러 위 회전체(10)는 끼움돌부의 삽입 수용을 허용하는 구속홀(12)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구동바(20)는 사각 형상인 것을 포함하고, 위 커넥터(30) 및 회전체(10)의 고정편(11)은 환형으로 이루어지되, 위 고정편(11)은 저부가 개방된 사각홈을 형성하여 구동바(20)의 인입 수용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구속홀(12)은 회전체(10)와 회전체로부터 일방향 연장되는 고정편(11)의 경계 선상으로 함몰 형성시켜 커넥터(30) 내부 공간에 대해 고정편 전면이 내입 수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커넥터(30)는 구동바(20)의 지지와 수평선상 위치 결정을 위하여 격벽(3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격벽(32)은 고정편(11)의 저부와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회전체와 구동바의 일체화가 유도됨에 따라 구조적 간소함으로부터 비롯되는 각종 편의와 제품성 향상 등에 기여하며, 나아가 일 방향 슬라이드되는 커넥터의 움직임만으로 회전체와의 긴밀한 체결이 달성되므로 조립 호환성의 증대 내지 신속 간편한 체결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체결수단 내지 결합수단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개별 유닛으로 구분된 각 부를 서로 기밀하게 결부되게 하는바, 교체와 유지 보수의 용이함이 구현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흄후드는 단순 조작에 의하여 회전체 상간에서 구동바의 위치가 결정되는 방식임에도 체결의 정확성과 구속력 극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흄후드의 제반 구성 중 승강유도수단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커넥터를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승강유도수단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실험실 등에서 시설되는 흄후드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조립 호환성의 증대 및 신속 간편한 체결성이 확보될 뿐 아니라 보다 간소화된 구조 내지 구성만으로도 내구성 보강, 교체 및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흄후드(fume Hood)는 실험실 등의 내부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되게 하는 안전시설물 중 하나로, 내부에 작업공간이 형성되는 작업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전면에 설치된 도어를 적절히 개방시킨 후 작업 플레이트에 놓여진 실험기구를 이용하여 소정의 실험이 진행되는바, 상측에는 배기덕트가 설치되어 내부의 작업공간 및 실험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흄 등의 유해물질을 흡입한 다음 배기덕트(duct)와 공기정화장치(air cleaner)를 통해 처리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은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보다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조립성이나 기타 취급성에 크게 기여하는바, 이와 관련하여 상세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즉, 위 승강유도수단(100)은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회전체(10);와, 회전체 상간에서 횡단 배열되는 구동바(20);와, 구동바 양단에 각각 개재되어 서로 이웃하는 회전체와 일체화시킴에 따라 회전체로부터 비롯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바의 회전을 유도하는 한 쌍의 커넥터(30);를 포함한다.
이때 위 커넥터(30)는 구동바(20)와 분리형으로 구비하여 회전체(10)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편(11)의 외면을 감싸면서 탈·부착되게 구성하는 것을 주된 요부로 한다.
또한, 위 커넥터(30)는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부(31)를 포함하고, 아울러 위 회전체(10)는 끼움돌부의 삽입 수용을 허용하는 구속홀(12)이 더 포함된다.
위 끼움돌부(31)는 커넥터(30) 소재가 보유한 자체 특성에 기인하여 적정 수준의 휨성이 동반되고, 이에 따라 구속홀(12)이 제공하는 영역으로 함몰 수용되면서 견고한 위치 구속이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30)의 어느 일측으로 탄성력을 보유한 끼움돌부(31)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이러한 끼움돌부(31)는 회전체의 고정편(11) 외면을 타고 슬라이드 진행한 후 구속홀(12)에 이르러 자연스럽게 소폭 하향되면서 해당 단부가 구속홀 상에 걸림 고정된다. 예컨대 끼움돌부(31)는 갈고리 형상일 수 있으며, 기타 구속홀(12)과 기밀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 혹은 구조라면 무방하다.
위 구동바(20)는 사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위 커넥터(30) 및 회전체(10)의 고정편(11)은 환형으로 이루어지되, 이때 고정편(11)은 저부가 개방된 사각홈을 형성하여 구동바(20)의 인입 수용이 유도되게 한다.
또한, 위 구속홀(12)은 회전체(10)와 회전체로부터 일방향 연장되는 고정편(11)의 경계 선상으로 함몰 형성시켜 커넥터(30) 내부 공간에 대해 고정편 전면이 내입 수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구동바(20)의 안정적인 위치 고수를 달성하면서 회전체(10)와 커넥터(30)와의 결합력 증대에 기여하기 위함으로, 커넥터 내면과 고정편 외면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승강유도수단(100)의 운영 체계가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위 커넥터(30)는 구동바(20)의 지지와 수평선상 위치 결정을 위하여 격벽(32)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위 격벽(32)은 고정편(11)의 저부와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주지한 것처럼 고정편(11)으로 커넥터(30)를 진입시켜 조립할 경우 하방이 개방된 사각홈 저부의 수평선상으로 해당 격벽(32)이 위치되는바, 이는 구동바(20)의 수평 전개 상태를 견고히 유지되게 하면서 회전체의 고정편과 동일한 회전 움직임을 달성하게 하는 주된 수단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커넥터를 매개로 하여 회전체와 구동바의 일체화가 유도됨에 따라 구조적 간소함으로부터 비롯되는 각종 편의와 제품성 향상 등에 기여하며, 나아가 일 방향 슬라이드되는 커넥터의 움직임만으로 회전체와의 긴밀한 체결이 달성되므로 조립 호환성의 증대 내지 신속 간편한 체결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체결수단 내지 결합수단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개별 유닛으로 구분된 각 부를 서로 기밀하게 결부되게 하는바, 교체와 유지 보수의 용이함이 구현되는 이점 또한 기대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흄후드는 단순 조작에 의하여 회전체 상간에서 구동바의 위치가 결정되는 방식임에도 체결의 정확성과 구속력 극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10. 회전체
20. 구동바
30. 커넥터
100. 승강유도수단

Claims (6)

  1.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회전체(10)와, 회전체 상간에서 횡단 배열되는 구동바(20)와, 구동바 양단에 각각 개재되어 서로 이웃하는 회전체와 일체화시킴에 따라 회전체로부터 비롯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바의 회전을 유도하는 한 쌍의 커넥터(30)를 포함하며,
    위 커넥터(30)는 구동바(20)와 분리형으로 구비하여 회전체(10)로부터 돌출 형성된 고정편(11)의 외면을 감싸면서 탈·부착되게 구성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에 있어서,
    위 커넥터(30)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부(31)를 포함하고,
    위 회전체(10)는 끼움돌부의 삽입 수용을 허용하는 구속홀(12)이 더 포함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위 구동바(20)는 사각 형상인 것을 포함하고,
    위 커넥터(30) 및 회전체(10)의 고정편(11)은 환형으로 이루어지되,
    위 고정편(11)은 저부가 개방된 사각홈을 형성하여 구동바(20)의 인입 수용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4. 제1항에 있어서,
    위 구속홀(12)은 회전체(10)와 회전체로부터 일방향 연장되는 고정편(11)의 경계 선상으로 함몰 형성시켜 커넥터(30) 내부 공간에 대해 고정편 전면이 내입 수용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5. 제1항에 있어서,
    위 커넥터(30)는 구동바(20)의 지지와 수평선상 위치 결정을 위하여 격벽(3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6. 제5항에 있어서,
    위 격벽(32)은 고정편(11)의 저부와 동일 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KR1020180102155A 2018-08-29 2018-08-29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KR101956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155A KR101956537B1 (ko) 2018-08-29 2018-08-29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155A KR101956537B1 (ko) 2018-08-29 2018-08-29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537B1 true KR101956537B1 (ko) 2019-03-11

Family

ID=6575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155A KR101956537B1 (ko) 2018-08-29 2018-08-29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53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8449A1 (ja) * 2003-06-09 2004-12-16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oration 空調装置用のスライドドア装置
KR100740286B1 (ko) 2006-04-03 2007-07-18 최진선 흄후드의 도어 개폐장치
US20080009234A1 (en) * 2004-09-30 2008-01-10 Decastro Eugene A Fume hood drive system to prevent cocking of a sash
KR101352500B1 (ko) 2012-07-31 2014-01-21 삼인싸이언스(주) 흄후드의 도어 개폐장치
KR101407547B1 (ko) 2013-03-05 2014-06-13 최진선 흄후드의 도어 개폐량 조절장치
CN105562417A (zh) * 2016-02-01 2016-05-11 天水天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化通风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08449A1 (ja) * 2003-06-09 2004-12-16 Valeo Thermal Systems Japan Corporation 空調装置用のスライドドア装置
US20080009234A1 (en) * 2004-09-30 2008-01-10 Decastro Eugene A Fume hood drive system to prevent cocking of a sash
KR100740286B1 (ko) 2006-04-03 2007-07-18 최진선 흄후드의 도어 개폐장치
KR101352500B1 (ko) 2012-07-31 2014-01-21 삼인싸이언스(주) 흄후드의 도어 개폐장치
KR101407547B1 (ko) 2013-03-05 2014-06-13 최진선 흄후드의 도어 개폐량 조절장치
CN105562417A (zh) * 2016-02-01 2016-05-11 天水天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化通风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217B1 (ko) 조리 증기를 하향으로 추출하기 위한 추출기 송풍 장치
CN106622404B (zh) 带有过滤器安装机构的实验室工作柜
KR101816732B1 (ko) 실험대
KR100748634B1 (ko) 바이오 세이프티 배기형 크린벤치
US20120019110A1 (en) Biosafety cabinetry
KR102470908B1 (ko) 케미컬 필터 교체장치
KR101956537B1 (ko) 원터치 조립형 흄후드의 승강유도수단
ES2901459T3 (es) Campana de succión de laboratorio
US8186777B2 (en) Safety workbench having easy-to-clean front pane
KR101352500B1 (ko) 흄후드의 도어 개폐장치
EP0714701A1 (en) Minienvironment for hazardous process tools
JP6375002B2 (ja) フィルタ交換装置及びフィルタ交換方法
CN104907110A (zh) 一种便于使用的生物安全柜
KR101562993B1 (ko) 석면 안전관리를 위한 석면 해체 및 제거장치
CN110201964A (zh) 实验室通风柜
US20110301400A1 (en) Handling Of Radioactive Materials
CN214863642U (zh) 一种生物安全柜
CN208234891U (zh) 一种防夹手的生物安全柜
KR200395099Y1 (ko) 바이오 세이프티 배기형 크린벤치
CN104888872A (zh) 一种实用生物安全柜
JP6897948B2 (ja) ヒュームフード
CN218359297U (zh) 立式生物安全柜
CN111936236A (zh) 安全柜
KR20160068306A (ko) 흄후드 전면도어의 개폐 장치
KR101611151B1 (ko) 바닥매립형 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