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358B1 -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358B1
KR101956358B1 KR1020170122347A KR20170122347A KR101956358B1 KR 101956358 B1 KR101956358 B1 KR 101956358B1 KR 1020170122347 A KR1020170122347 A KR 1020170122347A KR 20170122347 A KR20170122347 A KR 20170122347A KR 101956358 B1 KR101956358 B1 KR 10195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display
type access
customer
servic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냅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냅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냅스
Priority to KR102017012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업장의 객실 또는 사업장의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 및 관리하는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서비스 및 정보를 선택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 {A display-type access point, Management System for customer service via a display-type access point and U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무선인터넷 접속 포인트를 제공함과 동시에 고객에게 광고 노출을 통한 정보 제공 및 사업장의 서비스를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객실 형태 또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의 경우, 음성형 장비(유선전화) 또는 호출 장치(차임벨)를 이용하여 사업장의 직원과 대화를 통해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서비스의 요청 방식에서 발생되는 문제는 사업장의 직원과 대화 시의 언어적인 문제, 요청 가능한 서비스의 부정확한 인지, 요청사항의 부정확한 전달로 인한 비효율, 요청사항의 접수, 전달, 처리에서 발생하는 시간적 비효율 및 그에 따른 인력의 비효율적 배치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국인이 호텔을 이용하는 경우에, 현지 언어 구사가 어려운 외국인들은 전화를 이용하여 호텔에서 룸서비스를 이용하기 불편하며, 그 밖에 호텔 시설 이용 문의, 차량 호출, 택시 콜 등의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도 불편이 있다. 또한, 식당과 같은 경우에, 외국인들이 음식을 주문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이는 특정 언어를 선택 또는 제 3의 언어를 선택 하더라도 어느 한 쪽이 모국어가 아닌 경우 정확한 서비스 요청과 요청 서비스의 정확한 접수가 어려워 발생되는 문제이다.
또한, 내국인의 경우에도 서비스 요청에 따른 시간의 지연, 주문서의 오작성, 직원이 호출되지 않은 경우에 시간의 지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요청이 가능한 서비스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해 고객이 요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예를 들면, 사업장의 특성에 따라 가시적 또는 음성적 확인은 되지 않지만 고객의 요청 시 사업장에서 제공이 가능한 서비스가 있는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정확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어 서비스를 받지 못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객의 요청 사항이 언어적인 문제 또는 서비스의 인지 부재로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할 경우에 재차 서비스 요청을 해야하며, 그에 따라 고객와 서비스 제공 업체 모두에 인적/시간적 비효율이 발생된다.
또한, 음성으로 서비스를 요청하고 해당 요청 사항을 접수하여 서비스를 전달하는 담당자에게 전달되고 요청사항이 처리되기까지 시간의 비효율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객실 형태 또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에서 고객의 서비스 요청이 사업장의 직원에게 보다 편리하고 정확히 전달되며, 그에 따라 사업장의 직원이 고객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업장의 객실 또는 사업장의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 및 관리하는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서비스 및 정보를 선택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사업장의 고객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의 음성, 온도, 고객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 상태인 객실의 조명, TV, 에어컨, 히터 및 커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비를 무선 제어하는 원격 제어 모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 송수신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하드웨어,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OS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OS 프로그램은 우분투(Ubuntu)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층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또는 제어용 소프트 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업장의 객실 또는 사업장의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 제공되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은,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서비스 및 정보를 선택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의 서비스 요청 데이터 입력에 의한 서비스 요청 이벤트 발생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벤트 발생이 정상 이벤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정상 이벤트인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통신채널을 통하여 통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으로 확인 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에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관한 통신 규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규격이 정상적인 통신 규격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고객의 주문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벤트 발생이 정상 이벤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 이벤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서비스 요청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지정된 장비 고유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벤트 발생이 정상 이벤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벤트가 정상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로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오류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 이벤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지정된 장비 고유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서비스 요청 내용이 특정 고유값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이 아닌 경우에 통신 경로에 대한 로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오류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관한 통신 규격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장비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장비 고유번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관한 통신 규격을 확인하는 단계 후에,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가 상기 통신 규격이 정상적인 통신 규격이 아닌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오류 메세지가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객 서비스 관리 방법은,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가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고객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또는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을 원격 관리하는 방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가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고객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또는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을 원격 관리하는 방법은,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에서, 고객에게 제공할 데이터 또는 원격 관리를 위한 명령을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 단계; 상기 데이터 제공 또는 원격 관리가 필요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상태 확인 시스템 명령을 암호화 하는 단계;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제공 또는 원격 관리를 위하여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찾는 단계; 상기 찾아진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원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위치하는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의 원격 관리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찾아진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원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원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로 다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UDP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고객에게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고,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서비스 및 정보를 선택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고객에게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의 음성, 온도, 고객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 상태인 객실의 조명, TV, 에어컨, 히터 및 커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비를 무선 제어하는 원격 제어 모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 송수신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하드웨어,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OS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에 의하면, 고객이 필요한 주문을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요청하면 해당 주문이 사업장 내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로 일괄 접수되어, 빠르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주문을 통해 발생하는 오류를 줄여 인적/시간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객에게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광고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고객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한 기술방안을 보다 명확히 해석하기 위하여,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필요한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이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진일보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하드웨어의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로 서비스를 주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가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의 상태를 확인하여 원격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고객,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AP:Access Point)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1)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부(100),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100)와 연결되며 고객에게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200), 사업장의 객실 또는 사업장의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 제공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및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200)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0)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및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가 설치된 사업장의 고객들에 관련된 데이터(예컨대, 사용자 계정 데이터, 디바이스 계정 데이터, 사용자 개인정보, 사용자의 결제관련 정보 등)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로 사업장이 제공하는 서비스 및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 및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각각에 지정된 장비 고유번호(예컨대, 맥어드레스 등)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의 각각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고객에게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는 사업장의 객실 또는 사업장의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 제공되는 것으로, 예컨대, 호텔 객실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식당의 룸, 또는 테이블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하드웨어의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는, 제어부(301), 메모리부(3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3), 센싱부(30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5), 디스플레이부(306), 오디오 출력부(307), 전원공급부(308), 원격 제어 모듈부(309) 및 통신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는 상기 제어부(301), 메모리부(3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3), 센싱부(304), 오디오 출력부(307), 전원공급부(308), 원격 제어 모듈부(309) 및 통신 모듈(310) 등을 포함하는 지지부(32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서 화면을 표시하도록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306)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1)는 입력된 데이터들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출력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1)에서 처리된 데이터에 관한 화면 신호는 디스플레이부(306)로 입력되어,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1)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307)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1)는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06)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1)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306)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또는 광고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02)는 상기 제어부(301)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데이터, 정보, 화면,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302)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는 메모리부(302)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메모리부(302)가 상기 제어부(301)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메모리부(302)는 상기 제어부(301)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3)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0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유선 랜 단자나 이더넷 (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규격을 지원하는 반도체 칩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센싱부(304)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온도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하며, 고객의 터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가 설치된 위치의 음성, 온도, 고객의 동작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상기 센싱부(304)에서 감지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30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5)는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6)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의 디스플레이부(306)를 터치하여 조작 및 서비스 요청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6)는 고객이 입력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301)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6)는 고객의 서비스 선택 또는 정보 선택 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6)는 고객의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301)에 전달할 수 있다. 고객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5)의 터치 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5)는, 예를 들어 호텔 투숙 고객이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로 제공되고,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200)와 인트라넷 및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고객의 요청에 따라 호텔 서비스를 제공하고, 네트워크 상태인 객실의 조명, TV, 에어컨, 히터 및 커튼 등의 설비의 무선 제어가 가능하며, 호텔과 제휴된 업체의 상품 구입 등에 따른 결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인터넷망을 통해 공연 예약, 상품 주문 및 결제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6)는, 예를 들어 식당 고객이 사용하고자 하는 언어로 제공되고, 식당 고객의 주문에 따라 식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의 디스플레이부(306)가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메뉴로의 진입을 위한 서비스 소프트키(306-1)를 포함하며, 현재 시각 및 날씨, 온도를 표시하고, 광고(306-2)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의 디스플레이부(306)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및 그 가격을 표시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306)는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여 다양한 화면으로 진입하여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307)는 상기 제어부(301)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307)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308)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전반에 걸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원격 제어 모듈부(309)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6) 또는 디스플레이부(306)의 입력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 상태인 객실의 조명, TV, 에어컨, 히터 및 커튼 등의 설비를 무선 제어한다. 즉 고객은 해당 공간에 비치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의 디스플레이부(306)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해당 공간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통신모듈(310)은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액세스 포인트로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유선 또는 무선 랜(LAN) 등이 가능하다. 즉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 송수신장치를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시스템 구성도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하드웨어(321), 상기 하드웨어(321)를 구동하는 드라이버(Driver)(322), OS 프로그램(323) 및 각종 애플리케이션층(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Driver)(322)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각각의 하드웨어들을 구동하는 소프트 웨어들이다.
OS 프로그램(323)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로써,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의 구동 시, 드라이버 구동,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내의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의 보안,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에 의한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프로세스에 따른 스케쥴 관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OS 프로그램(323)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베디드 OS형태의 우분투(Ubuntu) 프로그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층(324)은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내의 다양한 서비스 등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324)은 고객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원하는 서비스 메뉴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층(324)은 예를 들어, 온도제어 소프트 웨어나 조명제어 소프트 웨어와 같은 제어용 소프트 웨어(326)나 광고 화면을 표시하는 멀티미디어출력 소프트 웨어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 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내의 다양한 서비스 등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 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고객이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면,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가 요청된 서비스 내용을 파악하고, 파악된 서비스 내용에 따라 사업장의 직원들은 요청된 서비스 내용을 처리한다.
이와 같은 고객의 서비스 요청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이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이루어질 때, 네트워크 보안 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킹 등의 방법으로 원하지 않는 서비스가 요청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서비스 요청의 오류를 최소화하고자 서비스 요청을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한다.
먼저,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로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S100)은 고객이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벤트 발생의 단계로부터 시작한다(S110).
이와 같은 이벤트 발생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5)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고객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5)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벤트 발생이 정상 이벤트인지 확인한다(S120).
상기 이벤트 발생이 정상 이벤트인지 확인하는 단계(S120)는, 서비스 요청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발생된 것인지, 즉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5)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서비스 요청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각각에 지정된 장비 고유번호(예컨대, 맥어드레스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발생된 것이고,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각각에 지정된 장비 고유번호(예컨대, 맥어드레스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정상 이벤트로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이벤트가 정상 이벤트가 아닌 경우에 그 이벤트에 대한 로그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2)에 저장한다(S122). 또한, 정상 이벤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6)에 오류 메세지가 표시된다(S124).
상기 정상 이벤트인지 확인하는 단계(S120)에 의하여 해킹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요청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요청 오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서비스 요청 오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가 정상 이벤트인 경우에 서비스 요청 신호를 암호화 한다(S130).
그리고, 상기 암호화된 신호를 통신채널을 통하여 통신한다(S140).
이때,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42).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42)는, 서비스 요청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발생된 것인지, 즉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5)의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이루어진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각각에 지정된 장비 고유번호(예컨대, 맥어드레스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서비스 요청 내용이 특정 고유값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다양한 필터링 값 및 카테고리 값 등을 추가로 설정하여 정상 통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으로 확인 된 경우에는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200)로 통신 경로에 대한 로그정보를 상기 메모리부(302)에 저장하고(S144),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200)로 암호화된 신호를 전송한다(S146).
만약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발생된 것이 아닌 경우,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 각각에 지정된 장비 고유번호(예컨대, 맥어드레스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또는 서비스 요청 내용이 특정 고유값의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는 정상 통신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이 아닌 경우에 통신 경로에 대한 로그정보가 상기 메모리부(302)에 저장되며(S122), 상기 디스플레이부(306)에 오류 메세지가 표시된다(S124). 구체적으로, 잘못된 주문의 발생 및 그에 따라 오류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6)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42)에 의하여 해킹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요청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요청 오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서비스 요청 오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200)는 정상 이벤트이며, 정상 통신으로 확인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한다(S150).
이때, 수신된 데이터에 관한 통신 규격을 확인한다(S160).
상기 통신 규격 확인 단계(S160)는, 수신된 데이터 신호에 포함된 장비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장비 고유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100)에 등록되어 있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규격이 정상적인 통신 규격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6)에 오류 메세지가 표시된다(S124). 구체적으로, 잘못된 주문의 발생 및 그에 따라 오류 처리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6)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통신 규격 확인 단계(S16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와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채널의 해킹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서비스 요청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요청 오류 메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서비스 요청 오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통신 규격이 정상적인 통신 규격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한다(S170).
이에 따라 고객의 주문 내용을 처리한다(S180)
고객의 주문 내용이 처리되면 이벤트 완료 처리를 한다(S190).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가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고객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의 상태를 확인하여 원격 관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고객이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에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면,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가 요청된 서비스 내용에 따라 고객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의 상태(예를 들어, 온도, 습도, 조도 등)를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를 통하여 확인하여, 원격으로 개별적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를 통하여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을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고객에게 필요한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의 상태를 확인하여 원격 관리하는 방법(S200)은 먼저, 사업장의 직원이 고객에게 제공할 데이터를 발생시키거나, 원격 관리를 위한 명령을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의 단계로부터 시작한다(S210).
이후, 상기 데이터 제공 또는 원격 관리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 제공 또는 원격 관리가 필요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를 선택한다(S220).
이때, 선택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상태 확인 시스템 명령을 암호화 한다(S230).
이후,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UDP 프로토콜 또는 TCP/IP 프로토콜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 제공 또는 원격 관리를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를 찾는다(S240).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400)을 통하여 UDP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한다(S242). 여기서 상기 시스템 명령 암호화 단계(S230)는 상기 S240 단계 이후에 할 수도 있다.
이때, 해당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찾아지면,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가 원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인지를 확인한다(S250).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가 원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확인이 되면, 해당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로 고객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해당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가 위치하는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의 원격 관리를 시작한다(S260).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가 원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경우에는 다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를 선택하는 단계(S220)로 다시 돌아간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가 미리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에 의하여 이미 찾아진 경우에 연속하여 해당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300)에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원격 관리를 할 경우에는 상기 S220, S230 및 S240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방법에 의하면, 고객이 필요한 주문을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요청하면 해당 주문이 사업장 내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로 일괄 접수되어, 빠르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음성 주문을 통해 발생하는 오류를 줄여 인적/시간적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현재 객실 형태 또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의 객실 또는 독립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된다.
위에서 언급한 것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리의 범주 내에서 진행하는 모든 수정, 등가적 대체와 개선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해야 할 것이다.
1 :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100 : 데이터 베이스부
200 :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 300 :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301 : 제어부 302 : 메모리부
303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304 : 센싱부
305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306 : 디스플레이부
307 : 오디오 출력부 308 : 전원공급부
309 : 원격 제어 모듈부 310 : 통신 모듈
321 :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하드웨어
322 : 드라이버 323 : OS 프로그램
400 : 게이트웨이

Claims (26)

  1. 사업장의 객실 또는 사업장의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 및 관리하는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서비스 및 정보를 선택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무선통신 송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사업장의 고객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의 음성, 온도, 고객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 상태인 객실의 조명, TV, 에어컨, 히터 및 커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비를 무선 제어하는 원격 제어 모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하드웨어,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OS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OS 프로그램은 우분투(Ubuntu)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층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또는 제어용 소프트 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 사업장의 객실 또는 사업장의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 제공되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은,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서비스 및 정보를 선택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무선통신 송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의 서비스 요청 데이터 입력에 의한 서비스 요청 이벤트 발생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벤트 발생이 정상 이벤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정상 이벤트인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서비스 요청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통신채널을 통하여 통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으로 확인 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로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에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관한 통신 규격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통신 규격이 정상적인 통신 규격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고객의 주문 내용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벤트 발생이 정상 이벤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 이벤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서비스 요청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지정된 장비 고유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벤트 발생이 정상 이벤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이벤트가 정상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이벤트에 대한 로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오류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 이벤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발생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지정된 장비 고유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서비스 요청 내용이 특정 고유값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통신이 정상 통신이 아닌 경우에 통신 경로에 대한 로그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오류 메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관한 통신 규격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장비 고유번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장비 고유번호가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관한 통신 규격을 확인하는 단계 후에,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가 상기 통신 규격이 정상적인 통신 규격이 아닌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오류 메세지가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방법은,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가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고객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또는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을 원격 관리하는 방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가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고객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또는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을 원격 관리하는 방법은,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에서,
    고객에게 제공할 데이터 또는 원격 관리를 위한 명령을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 단계;
    상기 데이터 제공 또는 원격 관리가 필요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의 상태 확인 시스템 명령을 암호화 하는 단계;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제공 또는 원격 관리를 위하여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찾는 단계;
    상기 찾아진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원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위치하는 사업장의 객실 또는 분리된 공간의 원격 관리를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찾아진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원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후에,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원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로 다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UDP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이용 방법.
  21. 고객에게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고, 상기 고객 서비스 관리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서비스 및 정보를 선택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고객에게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 및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무선통신 송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와 지지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위치의 음성, 온도, 고객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 상태인 객실의 조명, TV, 에어컨, 히터 및 커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비를 무선 제어하는 원격 제어 모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25. 삭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는, 하드웨어,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드라이버, OS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KR1020170122347A 2017-09-22 2017-09-22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 KR10195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47A KR101956358B1 (ko) 2017-09-22 2017-09-22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347A KR101956358B1 (ko) 2017-09-22 2017-09-22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358B1 true KR101956358B1 (ko) 2019-03-08

Family

ID=6580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47A KR101956358B1 (ko) 2017-09-22 2017-09-22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3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027A (ko) * 2003-11-24 2005-05-27 민정홍 씨알에스 에이전트 시스템 및 통신모듈을 이용한 실시간예약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예약방법
KR101482906B1 (ko) * 2014-04-18 2015-01-21 권원진 스마트 호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5128230A (ja) * 2013-12-27 2015-07-09 株式会社パレス興業 デバイス間暗号通信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データ通信方法
KR20170090598A (ko) * 2016-01-29 201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호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027A (ko) * 2003-11-24 2005-05-27 민정홍 씨알에스 에이전트 시스템 및 통신모듈을 이용한 실시간예약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예약방법
JP2015128230A (ja) * 2013-12-27 2015-07-09 株式会社パレス興業 デバイス間暗号通信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データ通信方法
KR101482906B1 (ko) * 2014-04-18 2015-01-21 권원진 스마트 호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0598A (ko) * 2016-01-29 201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호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25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ordering device
US20020131569A1 (en) Remote operating system
WO2021135299A1 (zh) 一种设备配网绑定方法、系统、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1875145B1 (ko) 앱(App) 기반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26019A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usable program code for configuring language dependent features
KR101656457B1 (ko) 음식점 예약 플랫폼 시스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6664515A (zh) 通过服务控制装置链路在终端之间发送内容的方法
US20190279475A1 (en) Customer Interactio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11232528B2 (en) Service request device and method
KR101797812B1 (ko)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실행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서버
KR101956358B1 (ko)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 디스플레이형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고객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이용 방법
JP7328675B2 (ja)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I641969B (zh) 電子裝置與其操作方法以及伺服器主機
JP2019079270A (ja) 通訳支援システム
JP2023072529A (ja) 認証サーバ装置、認証方法及びコンテンツ受信プログラム
WO2014092689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management
KR101984960B1 (ko) 숙박업소에서 언어 치환을 수행하는 서비스 시스템
JP2009175873A (ja) 表示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管理サーバー
JP2005309827A (ja) 作業管理システム
KR101569373B1 (ko) 태그를 이용한 자동 배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배차 관리 방법
KR102370585B1 (ko) 배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JP6868280B2 (ja) タクシー会社が利用者に配布するタクシー呼出専用機から発せられる迎車注文を受け付けてタクシー会社の配車システムに手配すること
KR20170002333A (ko)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실행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서버
JP2009252013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その中央管理装置、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5334690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携帯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