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601B1 -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 및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 및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601B1
KR101955601B1 KR1020160135816A KR20160135816A KR101955601B1 KR 101955601 B1 KR101955601 B1 KR 101955601B1 KR 1020160135816 A KR1020160135816 A KR 1020160135816A KR 20160135816 A KR20160135816 A KR 20160135816A KR 101955601 B1 KR101955601 B1 KR 10195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fingerprint
ddl
information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031A (ko
Inventor
김석환
강효민
Original Assignee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사아블로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6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04Additional locks added to existing lock arrangements
    • G06K9/00006
    • G06K9/0008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1Retrofittable electric locks, e.g. an electric module can be attached to an existing manual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무선으로 수신한 인증결과정보에 대응하여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도어록에 대하여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전송하는 지문 인증 장치는; 상기 도어록에 구비된 DDL통신부와 상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FP통신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면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정보를 생성하는 지문스캔부; 및 상기 지문정보를 미리저장된 등록지문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 여부에 따라 인증성공신호 또는 인증실패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FP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증결과정보가 상기 DDL통신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FP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 및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STAND-ALONE TYPE FINGER PRINT AUTHENT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ING DOORLOCK AND THE DEVICE}
본 발명은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록과 독립형으로 구성된 지문 인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문을 이용하여 도어록을 동작시키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일례로서, 등록특허 제10-0666008호(인텔리전트 도어록 시스템)(이하, 종래기술)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인텔리전트 도어록 시스템은, 사용자의 고유번호 데이터와 개인정보 데이터가 기록된 태그(100); 태그(100)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 판독이 가능한 태그리더기(210), 사용자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음성장치(220), 및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인식핸들(230)로 구성되는 출입센서(200); 출입센서(200)와 전기신호적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330), 출입센서(200)의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330)의 검색결과를 비교하는 중앙제어장치(310) 및 중앙제어장치(310)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제 1 무선송수신기(320)으로 구성된 주출입통제장치(300); 및 제 1 무선송수신기(320)와 무선으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제 2 무선송수신기(410), 제 2 무선송수신기(410)의 신호를 관리자에게 표시하고 관리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원격제어장치(400)를 포함한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도어록 시스템은, 도어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주출입통제장치(300)의 핸들이 지문인식핸들(2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문인식핸들(230)에 사용자의 지문이 입력되면, 주출입통제장치(300)가 입력된 지문을 주출입통제장치(300)에 탑재된 데이터베이스(330)를 검색하여 인증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도어를 제어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도어록 시스템은, 주출입통제장치(300)와 지문인식핸들(2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지문인식 기능을 제거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지문인식 기능이 없는 일반적인 도어록 시스템에 추후에 지문인식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지문인식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일반적인 도어록에서도 지문인식 기능을 쉽게 추가하고 또한 제거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바렴에 따른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는,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한 인증결과정보에 대응하여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도어록에 대하여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록에 구비된 DDL통신부와 상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FP통신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면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정보를 생성하는 지문스캔부; 및 상기 지문정보를 미리저장된 등록지문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 여부에 따라 인증성공신호 또는 인증실패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FP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증결과정보가 상기 DDL통신부로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는 FP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문 인증 장치는, 도어의 핸들 형태를 포함하고, 자체의 배터리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록과는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하며, 상기 도어록 또는 도어에 핸들로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FP통신부와 상기 DDL통신부의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상기 FP통신부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마스터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상기 DDL통신부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페리퍼럴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상기 FP통신부는, 상기 DDL통신부로부터의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으로부터 상기 DDL통신부의 장치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장치정보가 상기 FP통신부 자체의 페어링 리스트에 등록된 것인지를 검사하고, 등록된 장치정보가 아니면 상기 식별된 장치정보를 상기 페어링 리스트에 등록하여 상기 DDL통신부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이후 페어링 유지된 채로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DDL통신부와의 상호 통신함으로써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및 상기 지문스캔부에 상기 손가락이 접촉될 때 상기 FP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DDL통신부에 대하여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전송한 후 다시 슬립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P통신부는, 상기 페어링을 수행할 때, 상기 DDL통신부가 미리설정된 PPCP요청시간 이후에 전송하는 연결인터벌 변경 요청에 맞추어 연결인터벌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FP통신부는, 상기 슬립모드로 전환할 때, 상기 DDL통신부와의 상호 연결 상태를 해제하여 상호 통신을 중지하고, 상기 FP제어부에 의해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DDL통신부로부터의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스캔하여 상호 통신 연결 상태를 복원한 후,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는 인증결과정보에 따라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도어록과, 사용자의 지문 인증 성공 여부에 따라 인증성공신호 또는 인증실패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상기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도어록에 전송하는 지문 인증 장치를 이용하는 지문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방법은, 상기 지문 인증 장치의 FP통신부가, 상기 도어록의 DDL통신부와 페어링 유지된 채로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DDL통신부와의 상호 연결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지문 인증 장치의 지문스캔부에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면, 상기 지문스캔부가 상기 손가락을 스캔하여 지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지문 인증 장치의 FP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FP제어부가, 상기 지문정보를 미리저장된 등록지문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FP통신부를 활성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인증결과정보가 상기 DDL통신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들에 앞서 수행되는, 상기 FP통신부와 상기 DDL통신부를 페어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어링하는 단계는: 상기 DDL통신부가, 상기 도어록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페어링 기능의 실행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지문 인증 장치와 통신연결하기 위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하는 것,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으로부터 상기 DDL통신부의 장치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장치정보가 상기 FP통신부 자체의 페어링 리스트에 등록된 것인지를 검사하고, 등록된 장치정보가 아니면 상기 식별된 장치정보를 상기 페어링 리스트에 등록하여 상기 DDL통신부와 페어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기 페어링하는 단계는: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DDL통신부와 통신가능한 상태로 된 후, 상기 DDL통신부로부터 PPCP요청시간 이후에 연결인터벌 변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연결인터벌 변경 요청에 맞추어 연결인터벌을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DDL통신부와의 상호 연결 상태를 검사하는 것은, 상기 DDL통신부의 상기 연결인터벌 변경 요청에 맞추어 조정된 연결인터벌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임의의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상기 등록지문정보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DDL통신부가 상기 도어록에 지문등록 기능의 실행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지문 인증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대기하는 것, 상기 지문스캔부가 임의의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됨에 따라 지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DDL통신부와 통신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 상기 DDL통신부가 상기 지문등록 기능을 실행하도록 상기 FP통신부에 통보하는 것, 및 상기 통보에 따라 상기 FP제어부가 상기 생성한 지문정보를 상기 등록지문정보로서 저장하면,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저장의 완료를 상기 DDL통신부에 통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문 인증 장치에서 상기 등록지문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로서: 상기 DDL통신부가, 상기 도어록에서 등록지문정보 삭제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지문 인증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대기하는 것, 상기 지문스캔부가 상기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지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DDL통신부와 통신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 상기 DDL통신부가 상기 등록지문정보 삭제 기능을 실행하도록 상기 FP통신부에 통보하는 것, 및 상기 통보에 따라 상기 FP제어부가 저장된 상기 등록지문정보를 삭제하면,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삭제의 완료를 상기 DDL통신부에 통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에 의하면, 제조시 지문인증 기능을 포함하지 않은 도어록일지라도 지문인증 기능을 손쉽게 추가하고 또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문 인증 장치는 도어록 또는 도어의 핸들 형태로 구성되며 도어록에 대해 무선통신하며 독립적인 배터리를 구비하므로, 도어록 및 도어에 장착하기 용이하고, 핸들 형태로써 독립적으로 동작하므로 도어록을 설계 및 디자인하기에 유리하며, 또한, 도어록의 전력소모를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무선으로 상호 통신하는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인증 동작, 페어링 동작, 최초/추가 지문 등록 동작, 등록된 지문의 삭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예시적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를 이용한 지문 인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를 이용한 지문 인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문 인증 방법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지문 인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를 서로 페어링하기 위한 절차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지문 인증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에서 사용자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에 등록된 지문을 삭제하기 위한 절차의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 그리고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예시적 형태 및 구성을 설명한다.
도어록(200)은 도어(도시하지 않음)의 내측 또는 외측 표면에 배치되어 사용자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받거나(예를 들면, 비밀번호 입력) 접촉식/비접촉식 유무선 통신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예를 들면, 블루투스 통신). 또한, 도어록(200)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미리등록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 도어를 잠금상태 또는 잠금해제상태로 전환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200)은,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미리등록된 장치(예를 들면, 페어링된 장치)로부터 소정의 신호(예를 들면, 인증결과정보)를 수신하면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200)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한 정보에 대하여 어떠한 추가적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미리등록된 장치로부터 미리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그 신호에 의하여 잠금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록(200)은, DDL기능부(210)와, DDL통신부(220)와, DDL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DDL기능부(210)는, 입력되는 제어신호(예를 들면, DDL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신호 또는 동작 전압)에 따라서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도어와 문틀 사이의 걸림 수단(예를 들면, 데드볼트)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DDL기능부(210)는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입력 수단(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접점접촉식/정전용량감지식 스위치)을 포함할 수 있다.
DDL통신부(220)는, 다양한 방식의 무선통신을 지원하며, 지문 인증 장치(100)의 FP통신부(12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특히, DDL통신부(220)는 FP통신부(120)와의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시 페리퍼럴 디바이스(peripheral device)로서 기능한다. DDL통신부(220)는, 페리퍼럴 디바이스로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하고, 블루투스 통신의 마스터 디바이스(master device)로서 기능하는 FP통신부(120)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을 유지한 상태로 통신연결을 임시 중단하여 슬립모드로 유지될 수 있으며, 미리설정된 주기(예를 들면, PPCP에 의해 상호 일치된 연결인터벌)마다 웨이크업하여 페어링된 상대방 디바이스(즉, 마스터 디바이스인 FP통신부)와 여전히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검사하게 된다.
또한, DDL통신부(220)는, DDL제어부(230)에서 제공하는 명령을 FP통신부(120)로 전송하고, FP통신부(120)에서 송신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DDL제어부(230)에 제공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DDL통신부(220)에는 연결인터벌을 변경해줄 것을 요청하는 PPCP(Perpheral Preferred Connection Parameters) 설정이 저장될 수 있다. DDL통신부(220)는 FP통신부(120)와의 통신이 시작되면, 자체에 설정된 PPCP요청시간 이후에 연결인터벌 변경 요청을 FP통신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연결인터벌 변경 요청이 전송되고 FP통신부(120)가 응답한 후에는, DDL통신부(220)에서 요청한 연결인터벌에 따라 상호 통신이 이루어질 것이다.
DDL제어부(230)는, DDL기능부(210) 및 DDL통신부(220)의 동작, 그리고 도어록(200)을 구성하는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DDL기능부(210)를 제어하여 도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DDL통신부(220)를 통하여 지문 인증이 정상적으로 성공하였음을 표시하는 인증성공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이번에는 도어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DDL기능부(210)를 제어한다. 또는, DDL통신부(220)에서 수신하는 신호가 지문 인증이 실패하였음을 표시하는 인증실패신호인 경우에는, DDL제어부(230)는 도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도록 DDL기능부(210)를 제어한다.
DDL제어부(230)는, 입력 수단을 통해서 페어링 기능, 지문 등록/추가 기능, 지문 삭제 기능 등의 실행이 입력되면, 입력된 기능이 지문 인증 장치(100)와 함께 실행될 수 있도록, 지문 인증 장치(100)에 요청한다.
한편, 상기한 도어록(200)과는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상호 무선 통신하게 되는 지문 인증 장치(100)는, 결합부(105)와, 지문스캔부(110)와, FP통신부(120)와, FP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인증 장치(100)는 도어록(200)과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현되기 위하여, 별도의 배터리(14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증 장치(100)는, 도어록(200)과는 개별적으로 구성된 장치로서, 결합부(105)를 이용하여 도어록(200) 또는 도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문 인증 장치(100)는 도어의 핸들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편리하게 쥐고 돌릴 수 있다. 지문 인증 장치(100)에는 예를 들면 핸들의 위쪽에 사용자가 지문, 특히 엄지 손가락의 바닥면을 접촉하여 지문을 입력할 수 있는 지문스캔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증 장치(100)에서의 지문 인증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지문스캔부(110)에 접촉하고 그 상태에서 핸들을 쥐고 돌리려고 할 때 순간적으로(예를 들면, 300 ms 이내, 또는 바람직하게는 DDL통신부의 PPCP요청시간 이내)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지문 인증 장치에 대하여 미리등록된 정당한 사용자라면 핸들을 쥐면 곧바로 지문 인증 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곧바로(적어도 1초 이내) 핸들을 돌려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지문 인증 장치(100)는 도어록(200)과는 개별적으로 구성된 장치이기 때문에, 도어록(200)으로부터 손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핸들 형태의 지문 인증 장치(100)가 제거된 도어록(200)에는 지문 인증 기능이 없는 일반적인 핸들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는, 도어록(200)에 구비된 다른 인증 방식(예를 들면, 키패드 등을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 방식, 또는 다른 블루투스 전자키를 이용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여 도어록(200)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지문 인증 장치(100)의 지문스캔부(110)는, 사용자가 핸들 구조물을 쥔 상태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손가락을 접촉시키기 쉬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접촉한 손가락의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정보를 생성한다. 생성한 지문정보는 FP제어부(130)에 제공된다. 지문스캔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으로 접촉하기 편리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나, 핸들의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집게 손가락 또는 다른 손가락의 지문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한편, 지문스캔부(110)는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평소에는 슬립상태를 유지하다가 소정 주기(예를 들면, 100 ms 내지 1 s)마다 최소한의 기능만 웨이크업하여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하였는지를 검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크업했을 때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한 것으로 판정되면, 즉시 지문스캔부(110)의 전체가 활성화되어 손가락을 스캔하게 된다. 지문스캔부(110)는 활성화와 동시에 FP제어부(130) 및/또는 FP통신부(120)에 인터럽트를 전송하여 FP제어부(130) 및/또는 FP통신부(1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지문스캔부(110)가 별도의 인터럽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지 않고 즉시 지문정보를 FP제어부(130)에 대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지문정보가 FP제어부(130)에 대한 인터럽트의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문스캔부(110)는 손가락의 접촉이 감지될 때마다 인터럽트 및/또는 지문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현될 것이다.
FP통신부(120)는,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의 마스터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페리퍼럴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도어록의 DDL통신부(220)와 상호 통신 가능하다. 특히, FP통신부(120)는, DDL통신부(220)가 송신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스캔하고, DDL통신부(220)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페어링이 유지되는 상태로 통신연결을 일시 중단하여 슬립모드로 전환되고 및 미리설정된 주기(예를 들면, 자체의 연결인터벌 또는 PPCP에 의해 상호 일치된 연결인터벌)마다 웨이크업하여 페어링된 상대방 디바이스(즉, 페리퍼럴 디바이스인 DDL통신부)와 여전히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검사하게 된다.
또한, FP통신부(120)는, FP제어부(130)에서 제공하는 신호를 DDL통신부(220)로 전송하고, DDL통신부(220)에서 송신하는 명령을 수신하여 FP제어부(130)에 제공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FP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의 마스터 디바이스이므로, 자체에 페어링 리스트(1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후 DDL통신부(22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때, 연결을 시도하는 DDL통신부(220)의 장치정보가 페어링 리스트(122)에 등록된 장치정보 중 하나인지 판정할 수 있다.
만일 DDL통신부(220)의 장치정보가 미리등록된 장치정보이면, FP통신부(120)는 DDL통신부(220)와 이미 페어링된 상태이므로 신속하게 상호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DDL통신부(220)의 장치정보가 미리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FP통신부(120)는 DDL통신부(220)와의 연결을 거부할 수 있다.
만일, DDL통신부(220)의 장치정보가 미리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DDL통신부(220)가 페어링을 요청하고 있다면, FP통신부(120)는 DDL통신부(220)를 인증된 장치로 간주하고 페어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사용자가 도어록의 입력 수단을 조작하여 DDL통신부가 페어링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만 상호 페어링될 것인데, DDL통신부가 페어링 모드가 되었다는 것은 정당한 사용자가 도어록에서 페어링 메뉴를 실행시켰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FP통신부(120)는 평소에는 DDL통신부(220)와의 페어링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통신을 중지하고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는 슬립모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FP제어부(130)로부터 인증결과정보를 제공받으면, 그 인증결과정보를 DDL통신부(220)와 상호 일치된 연결인터벌에서 DDL통신부(220) 측으로 송신할 수 있다. 송신을 완료한 후에는, 즉시 슬립모드로 전환되거나 또는 DDL통신부(220)로부터 수신완료 응답을 수신한 후 다시 슬립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FP제어부(130)는, 평소에는 지문 인증 장치(100)의 각부를 최소 전력을 소비하는 슬립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이 상태에서 지문스캔부(110)로부터 인터럽트가 입력되면 FP통신부(120)를 활성모드로 전환시키고, 지문스캔부(110)에서 제공한 지문정보를 자체의 지문DB(132)에 저장된 등록지문정보와 비교하는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공된 지문정보가 등록지문정보 중 하나 이상과 일치하거나 양자의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유사도가 미리설정된 값 이상이면, 현재 지문 인증 장치(100)를 쥐고 핸들을 돌리려고 하는 사용자가 도어록(200)에 대한 이미등록된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간주하여 인증성공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만일 스캔된 지문정보가 등록지문정보 중 어느 하나와도 일치하거나 유사도가 미리설정된 값 미만이면 인증실패신호를 생성할 것이다. 생성한 인증결과정보(즉, 인증성공신호 또는 인증실패신호)는 FP통신부(120)에 제공되고, DDL통신부(220)로 전송될 것이다.
FP제어부(130)는 지문스캔부(110)로부터 인터럽트 및/또는 지문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지문 인증 장치(100)의 각 부를 활성모드로 전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FP제어부(130)는, 도어록(200)으로부터 지문 등록 기능의 실행이 요청되면, 지문스캔부(110)에 입력되는 지문정보를 등록지문정보로 설정하여 지문DB(132)에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이 지문등록 절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FP제어부(130)는, 도어록(200)으로부터 지문 삭제 기능의 실행이 요청되면, 지문DB(132)에 저장된 등록지문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할 수 있다. 이 삭제 절차에 대해서도 후술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증 장치(100) 및 도어록(200)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 도어록(200)에 핸들 형태의 지문 인증 장치(100)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도, 지문 인증 기능이 구비된 도어록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록(200)을 설계할 때 지문 인증을 위한 구성부를 추가로 설계할 필요가 없어진다.
다음,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를 이용한 지문 인증 방법 및 추가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도어록(200)과 지문 인증 장치(100)를 이용한 지문 인증 방법이 어떻게 수행되는지 설명한다.
먼저, 도어록(200)과 지문 인증 장치(100)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슬립모드로 유지될 수 있고, 각각은, 사용자 입력 또는 타 장치의 통신 요청을 접수하기 위한 구성부만을 최소한으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어록(200)은 사용자가 조작가능한 입력 수단만 소정 주기마다 웨이크업시켜 사용자의 조작에 대기할 수 있다. 또한, 도어록(200)의 DDL통신부(220)는 소정의 주기마다 웨이크업하여 이미 페어링 연결된 FP통신부와의 통신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또는 DDL통신부(220)는 아직 페어링된 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주기마다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마스터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에 대기할 수 있다. 한편, 지문 인증 장치(100)도 슬립모드에서 지문스캔부(110)만 소정 주기마다 웨이크업하도록 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에 대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FP통신부(120)도 소정 주기마다 웨이크업하여 DDL통신부(220)와의 연결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주기적인 웨이크업은 예를 들면 500 ms 마다 또는 PPCP에 의해 상호 일치된 연결인터벌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지문스캔부(110)에 접촉시키면(S10), 지문스캔부(110)가 접촉을 감지하고 활성 모드로 전환되어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정보를 생성한다(S11). 동시에 지문스캔부(110)는 FP제어부(130)에 대하여 인터럽트를 제공하거나 지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FP제어부(130)는 FP통신부(120)를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동시에 FP제어부(130)는 지문 인증 동작을 수행한다.
FP통신부(120)는 웨이크업되면, 현재 DDL통신부(220)와 연결 유지된 상태인지를 검사할 수 있다(S11).
만일, FP통신부(120)가 DDL통신부(220)와 페어링되고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가 아니면(S12), FP통신부(120)는 페리퍼럴 디바이스인 DDL통신부(220)를 스캔하여 통신 연결을 시도할 것이다(S13). 만일, 이 경우에, DDL통신부(220)에서 페어링 기능의 실행을 요청하고 있다면, FP통신부(120)는 페어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FP통신부(120)가 DDL통신부(220)와 페어링된 후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라면, FP제어부(130)에 의해 제공된 인증결과정보는 즉시 DDL통신부(220)에 전송될 수 있다(S14). 이때의 전송은, 페어링 절차에서 서로 일치된 PPCP 설정에 대응하는 연결인터벌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서, FP제어부(130)는, 지문스캔부(110)로부터 지문정보를 제공받으면, 제공받은 지문정보가 자체의 지문DB(132)에 등록된 지문(등록지문정보) 중 하나인지 비교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게 되며,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인증성공신호를 또한,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인증실패신호를 FP통신부(120)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FP통신부(120)와 FP제어부(130)는 웨이크업됨과 동시에 각자의 역할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FP통신부(120)는 웨이크업되자마자 DDL통신부(220)와의 통신연결 상태를 검사하고, FP제어부(130)는 웨이크업되자마자 지문인증 동작을 수행하고 인증결과정보를 FP통신부(120)에 전송한다. FP통신부(120)는 PPCP에 따른 통신인터벌이 되자마자 인증 결과를 DDL통신부(220)에 대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한편, FP제어부(130) 및/또는 FP통신부(120)는 인증결과를 전송하였으면, 슬립모드로 전환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S1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과 지문 인증 장치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과 연결이 매번 갱신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은, 상술한 도 3과 같은 방식으로서, DDL통신부(220)와 FP통신부(120)가 통신을 중지하더라도, 상호 연결된 상태는 계속 유지하면서 슬립으로 진입하게 된다. DDL통신부(220)와 FP통신부(120)는 슬립모드에서 서로 일치된 PPCP 시간, 즉, 500 ms 마다 웨이크업하여 상대방 디바이스가 존재하며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검사한다. 이때 DDL통신부(220)는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별도의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전송하지 않으며, FP통신부(120)도 스캔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은, FP통신부(120) 측에서는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이 없어도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여 통신 연결 상태를 검사하므로,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하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무선통신을 연결하여 인증결과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록(200)의 제어가 신속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 연결이 매번 갱신되는 방식에서는, DDL통신부(220)와 FP통신부(120)가 통신을 중지할 때 연결 상태를 완전히 단절(Disconnect connection)하게 되고, 페리퍼럴 디바이스인 DDL통신부(220)는 자체의 통신인터벌에 맞추어 다시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하여 마스터 디바이스의 응답에 대기할 것이다. FP통신부(120)가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웨이크업되어 다시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스캔한 후에야 상호 통신이 다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방식에 의한 도어록(200)과 지문 인증 장치(100)를 이용한 지문 인증 방법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방식에서는, FP통신부(120)는 기존에 통신연결된 DDL통신부(220)와의 연결을 해제하고 슬립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방식에서의 FP통신부(120)는 슬립모드에서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함에 따라 웨이크업된 FP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웨이크업될 수 있다.
슬립모드로 유지되고 있는 지문 인증 장치(100)의 지문스캔부(11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게 되면(S20), 지문스캔부(110)가 FP제어부(130)에 인터럽트를 전송하여 FP제어부(130)가 웨이크업된다. FP제어부(130)는 FP통신부(120)를 활성모드로 전환시키고, FP통신부(120)는 DDL통신부(220)와의 통신 연결을 위해 스캔 동작을 시작한다(S21).
만일, DDL통신부(220)로부터의 어드버타이징 패킷이 수신되면(S22), FP통신부(120)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장치정보 등을 이용하여 DDL통신부(220)를 인증하고, 상호 통신이 가능한 연결 상태로 복원된다(S23).
한편, FP통신부(120)가 스캔 동작을 수행하였지만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발견할 수 없었다면, 주변에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다시 슬립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단계(S23)에서 통신 연결이 복원되면, FP통신부(120)는 FP제어부(130)가 제공하는 인증결과정보를 DDL통신부(220)로 전송한다(S24). 전송이 완료된 후에는, FP통신부(120)는 DDL통신부(220)와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고 슬립모드로 전환된다(S25). 슬립모드에서 FP통신부(120)는 FP제어부(130)로부터의 인터럽트가 입력되기 전까지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지문 인증 방법의 신호 흐름을 설명한다. FP제어부(130)에 인터럽트 및/또는 지문정보가 입력되면, FP제어부(130)는 활성모드로 전환되고 동시에 FP통신부(120)를 인에이블시킨다. FP통신부(120)는 DDL통신부(220)와 상호일치된 연결인터벌의 주기마다 웨이크업하여 통신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일 것이다. 그리고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현재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검사할 수 있다.
FP제어부(130)는 FP통신부(120)에서 통신연결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자체에서 지문 인증 동작을 처리하고 인증결과정보(인증성공신호 또는 인증실패신호)를 생성하여 FP통신부(120)에 제공할 것이다(FP제어부는 지문정보를 수신하게 되면 무조건 지문인증 동작을 수행하여 인증결과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FP제어부(130)는 인증결과를 FP통신부에 제공한 후, 수신 여부를 확인하거나/확인하지 않고 즉시 슬립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FP통신부(120)는 제공받은 인증결과를 무선으로 DDL통신부(220)에 전송할 것이다. FP통신부(120)는 인증결과를 전송한 후 DDL통신부(220)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거나/확인하지 않고 즉시 슬립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DDL통신부(220)는 인증결과를 DDL제어부(2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FP통신부(120)는 슬립모드로 전환되면서 DDL통신부(220)와의 통신을 중지한다. 이때 통신을 중지한다는 것은 연결 종료를 의미하지 않으며 페어링된 상태를 구대로 유지하고 소정 주기마다 웨이크업하여 현재의 연결 상태를 검사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DDL제어부(230)는 수신한 인증결과정보가 인증성공신호이면 DDL기능부(210)를 제어하여 도어를 잠금해제상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인증결과정보가 인증실패신호이면 도어를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어 동작이 완료되면 DDL제어부(230)는 슬립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도어록(200)과 지문 인증 장치(100)를 서로 페어링하는 절차 및 양자 간의 신호 흐름을 설명한다.
DDL제어부(230)는 DDL통신부(220)로부터 인증성공신호를 제공받으면 이를 별도로 검증하지 않고 즉시 DDL기능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DDL통신부(220)는 이미 정상적으로 페어링된 상대방 장치(즉, 지문 인증 장치의 FP통신부)로부터 전송되어 수신된 인증성공신호는 안전하다고 간주할 수 있으며, 이로써 DDL제어부(230)는 DDL통신부(220)에서 제공하는 인증성공신호에 의하여 도어를 제어할 수 있다.
먼저, 도어록(200)에 대한 정당한 사용자가 도어록(200)에 구비된 입력 수단을 조작하여 페어링 메뉴를 입력할 수 있다. DDL제어부(230)는 페어링 기능을 실행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DDL통신부(220)에 제공한다.
DDL통신부(220)는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신하여 지문 인증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에 대기한다. 이때, DDL통신부(220)는 자체의 페어링 기능을 인에이블시켜 마스터 디바이스와의 페어링을 준비한다.
한편, 도어록(200)에서 페어링 메뉴를 입력한 정당한 사용자는 지문 인증 장치(100)의 지문스캔부(110)를 터치하여 지문 인증 장치(100)를 활성모드로 전환시킨다. 지문스캔부(110)는 지문정보를 생성하여 FP제어부(130)로 전송하고, FP제어부(130)는 FP통신부(120)를 웨이크업시킨다.
FP통신부(120)는 웨이크업됨과 동시에 자체의 페어링 리스트(122)를 검사하고, 페어링 리스트(122)에 어떤 장치정보도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자체의 페어링 기능을 인에이블시키고, 스캔을 실행하여 DDL통신부(220)로부터의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한다.
FP통신부(120)는 수신한 어드버타이징 패킷에 포함된 장치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장치정보를 이용하여 상호 인증을 수행하고, DDL통신부(220)와 상호 페어링 기능을 실행하여(예를 들면, 인증 이벤트(authentication event), 연결 이벤트(connection event), 제공 이벤트(provision event)를 수행할 수 있다), DDL통신부(220)를 페리퍼럴 디바이스로서 페어링 리스트(122)에 등록한다.
이로써, FP통신부(120)와 DDL통신부(220)의 페어링 절차가 완료될 수 있다.
한편, FP제어부(130)는 지문정보가 입력되면 즉시 지문인증 동작을 수행하고 인증결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인증 결과는 FP통신부(120)로 제공될 것이다. 하지만, FP통신부(120)는, 페어링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중일 때에는, 인증결과를 DDL통신부(220)로 전송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
한편, DDL통신부(220)는 페어링의 완료 여부를 DDL제어부(230)에 통보할 수 있으며, DDL제어부(230)는 소정의 표시 수단을 통해서 페어링의 완료 여부를 시청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단계 중 FP통신부(120)가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페어링 리스트(122)를 검사하였을 때 페어링 리스트(122)에 적어도 하나의 장치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FP통신부(120)는 수신한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장치정보가 등록된 장치정보에 해당하는지 검사할 것인데, 만일 수신한 장치정보가 등록된 장치정보가 아니면, 이때 페어링 기능을 자동으로 시작하여 상기 수신한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DDL통신부(220)와 페어링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FP통신부(120)가 자동으로 페어링 기능을 시작하였지만, DDL통신부(220)에서 페어링 기능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라면, 상호 페어링은 실패할 것이다. 이는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사용자가 임의의 지문 인증 장치를 도어록의 인증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200)은 이러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요약하면, 페어링은 정당한 사용자가 도어록(200)에서 페어링 메뉴를 실행시키고 동시에 지문 인증 장치(100)를 조작하는 경우에만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도어록(200)과 지문 인증 장치(100)에서 사용자 등록(등록지문정보 입력)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의 신호 흐름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증 장치(100)는, 도어록(200)과 독립적으로 구성되고 자체에 지문DB(132)를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지문인증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입력 수단이 없는 지문 인증 장치(100)에서 정당한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먼저, 정당한 사용자가 도어록(200)의 입력 수단을 조작하여 지문 등록 메뉴를 선택한다. DDL제어부(230)는 지문 등록 기능을 실행할 것을 요청하는 명령을 DDL통신부(220)에 제공할 수 있다. DDL통신부(220)는 지문 인증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대기한다.
한편, 도어록(200)에서 지문 등록 메뉴를 실행시킨 정당한 사용자는 지문 인증 장치(100)의 지문스캔부(110)를 터치함으로써 지문 인증 장치(100)를 활성모드로 전환시킨다. FP통신부(120)는 DDL통신부(220)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한 상태인지 검사할 수 있다.
만일, FP통신부(120)와 DDL통신부(220)가 이미 서로 페어링되었고 주기적으로 통신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라면, FP제어부(130)는 지문인증을 수행하여 생성한 인증결과가 FP통신부(120)로부터 DDL통신부(220)에 즉시 전송될 것이다.
DDL통신부(220)는 DDL제어부(230)로부터 지문등록 기능 실행 명령을 수신한 상태이므로, 수신한 인증결과를 DDL제어부(230)로 전송하지 않고, FP통신부(120)에게 지문 등록 기능 실행 명령을 처리할 것을 요청한다.
FP통신부(120)는 지문 등록 기능 실행 명령을 FP제어부(130)로 전송한다.
FP제어부(130)는 입력된 지문정보를 지문DB(132)에 저장하여 등록지문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계에 따라서는 2회 이상 복수 회 지문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FP제어부(130)에서 지문 등록 기능이 완료되면, 완료와 관련한 통보가 DDL제어부(230)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지문 등록 기능 실행 명령에는, 금번에 등록하는 지문을 지문DB(132)의 어느 저장 슬롯에 저장할 것인지 지정할 수도 있다. 등록지문정보의 저장 슬롯을 지정함으로써, 지문DB(132) 내의 원하는 등록지문정보만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8을 참조하여, 지문 인증 장치(100)의 지문DB(132)에 등록된 지문을 삭제하기 위한 절차의 신호 흐름을 설명한다.
먼저, 정당한 사용자가 도어록(200)의 입력 수단을 조작하여 지문 삭제 메뉴를 입력하면, DDL제어부(230)는 DDL통신부(220)로 지문 삭제 기능 실행 명령을 제공하고, DDL통신부(220)는 지문 인증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에 대기한다.
한편, 도어록(200)에서 지문 삭제 메뉴를 실행시킨 정당한 사용자는 지문 인증 장치(100)의 지문스캔부(110)를 접촉하여 FP제어부(130)와 FP통신부(120)를 활성모드로 전환시킨다. FP통신부(120)는 DDL통신부(220)와의 통신 연결이 가능한 상태인지 검사할 수 있다.
만일, FP통신부(120)와 DDL통신부(220)가 이미 서로 페어링되었고 주기적으로 통신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라면, DDL통신부(220)가 FP통신부(120)에 지문 삭제 기능 실행 명령의 실행을 즉시 요청할 수 있다.
FP통신부(120)는 지문 삭제 기능 실행 명령을 수신하였더라도 지문 인증을 실행한 인증결과를 여전히 DDL통신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DDL통신부(220)는 인증결과를 DDL제어부로 전송하지 않고 무시하고, 지문 삭제 기능 실행 명령의 실행을 FP통신부(120)에 요청한다. FP통신부(120)는 지문 삭제 기능 실행 명령을 FP제어부(130)에 제공한다.
한편, 다른 예에서, FP통신부(120)는 DDL통신부(220)로부터 지문 삭제 기능 실행 명령을 수신하게 되면, FP제어부(130)로부터 인증결과를 수신하더라도 이를 DDL통신부(220)로 전송하지 않고 무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즉시 지문 삭제 기능 실행 명령을 FP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FP제어부(130)는 수신한 명령에 대응하여 지문DB(132)에 저장된 지문을 삭제한다. 지문 삭제 기능 실행 명령에는 특정의 저장 슬롯이 지정될 수 있으며, FP제어부(130)는 지정된 슬롯의 지문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FP제어부(130)가 지문 삭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였다면, 삭제 결과에 관련한 통보는 각 통신부를 거쳐 DDL제어부(230)로 전송될 수 있으며, DDL제어부(230)는 표시 수단을 통해서 지문 삭제 기능의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도어의 핸들 형태를 포함하고, 자체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도어록과는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하며, 상기 도어록 또는 도어에 핸들로서 결합되고, 무선통신을 통해 인증결과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도어록을 제어하여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하게 하는 지문 인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에 구비된 DDL통신부와 상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FP통신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면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스캔하여 지문정보를 생성하는 지문스캔부; 및
    상기 지문정보를 미리저장된 등록지문정보와 비교하여 상호 일치 여부에 따라 인증성공신호 또는 인증실패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FP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인증결과정보가 상기 DDL통신부로 상기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되도록 하는 FP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FP 제어부는, 임의의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상기 등록지문정보로서 등록하기 위하여:
    임의의 사용자 손가락으로부터 지문정보를 생성하도록 상기 지문스캔부를 제어하고,
    상기 FP통신부를 활성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도어록에 지문등록 기능의 실행이 요청되어 상기 FP통신부와의 통신 연결에 대기하고 있는 상기 DDL통신부와 통신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DDL통신부로부터 상기 지문등록 기능을 실행하라는 통보를 받으면, 상기 생성한 지문정보를 상기 등록지문정보로서 저장한 후 상기 저장의 완료를 상기 DDL통신부에 통보하도록 상기 FP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P통신부와 상기 DDL통신부의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상기 FP통신부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마스터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상기 DDL통신부는 상기 블루투스 통신 방식의 페리퍼럴 디바이스로서 동작하고,
    상기 FP통신부는,
    상기 DDL통신부로부터의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어드버타이징 패킷으로부터 상기 DDL통신부의 장치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장치정보가 상기 FP통신부 자체의 페어링 리스트에 등록된 것인지를 검사하고, 등록된 장치정보가 아니면 상기 식별된 장치정보를 상기 페어링 리스트에 등록하여 상기 DDL통신부와의 페어링을 수행하고, 이후 페어링 유지된 채로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DDL통신부와의 상호 통신함으로써 연결 상태를 유지하고, 및
    상기 지문스캔부에 상기 손가락이 접촉될 때 상기 FP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DDL통신부에 대하여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전송한 후 다시 상기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
  4. 삭제
  5. 삭제
  6.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는 인증결과정보에 따라 도어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도어록과, 사용자의 지문 인증 성공 여부에 따라 인증성공신호 또는 인증실패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상기 블루투스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도어록에 전송하는 지문 인증 장치 - 상기 지문 인증 장치는, 도어의 핸들 형태를 포함하고, 자체의 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록과는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하며, 상기 도어록 또는 도어에 핸들로서 결합됨 - 를 이용하는 지문 인증 방법으로서:
    상기 지문 인증 장치의 FP통신부가, 상기 도어록의 DDL통신부와 페어링 유지된 채로 슬립모드로 전환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DDL통신부와의 상호 연결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지문 인증 장치의 지문스캔부에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면, 상기 지문스캔부가 상기 손가락을 스캔하여 지문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지문 인증 장치의 FP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FP제어부가, 상기 지문정보를 미리저장된 등록지문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인증결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FP통신부를 활성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인증결과정보가 상기 DDL통신부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문 인증 방법은, 임의의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상기 등록지문정보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DDL통신부가 상기 도어록에 지문등록 기능의 실행이 요청됨에 따라 상기 FP통신부와의 통신 연결에 대기하는 것,
    상기 지문스캔부가 임의의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됨에 따라 지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DDL통신부와 통신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
    상기 DDL통신부가 상기 지문등록 기능을 실행하라고 상기 FP통신부에 통보하는 것, 및
    상기 FP제어부가 상기 통보에 따라 상기 생성한 지문정보를 상기 등록지문정보로서 저장한 후,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저장의 완료를 상기 DDL통신부에 통보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하는 단계는: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DDL통신부와 통신가능한 상태로 된 후, 상기 DDL통신부로부터 PPCP요청시간 이후에 연결인터벌 변경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연결인터벌 변경 요청에 맞추어 연결인터벌을 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DDL통신부와의 상호 연결 상태를 검사하는 것은, 상기 DDL통신부의 상기 연결인터벌 변경 요청에 맞추어 조정된 연결인터벌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증 장치에서 상기 등록지문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로서:
    상기 DDL통신부가, 상기 도어록에서 등록지문정보 삭제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지문 인증 장치와의 통신 연결에 대기하는 것,
    상기 지문스캔부가 상기 사용자 손가락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지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DDL통신부와 통신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
    상기 DDL통신부가 상기 등록지문정보 삭제 기능을 실행하도록 상기 FP통신부에 통보하는 것, 및
    상기 통보에 따라 상기 FP제어부가 저장된 상기 등록지문정보를 삭제하면, 상기 FP통신부가 상기 삭제의 완료를 상기 DDL통신부에 통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
KR1020160135816A 2016-10-19 2016-10-19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 및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 KR101955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16A KR101955601B1 (ko) 2016-10-19 2016-10-19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 및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816A KR101955601B1 (ko) 2016-10-19 2016-10-19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 및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031A KR20180043031A (ko) 2018-04-27
KR101955601B1 true KR101955601B1 (ko) 2019-03-08

Family

ID=62081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816A KR101955601B1 (ko) 2016-10-19 2016-10-19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 및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3445A (zh) * 2018-08-22 2019-01-01 深圳市优点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指纹门把手的门铃系统及其实现方法
KR102335003B1 (ko) * 2019-08-20 2021-12-06 주식회사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생체인식 기능이 적용된 sos 도어락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7038A (zh) * 2016-07-06 2016-09-07 广东名门锁业有限公司 一种带指纹识别功能的电磁执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348B1 (ko) * 2004-12-10 2007-01-04 주식회사 아이레보 지문 인식 모듈부와 메인 제어부 사이의 제어 신호가암호화되는 디지털 도어록 및 그 운용 방법
KR100895852B1 (ko) * 2007-07-24 2009-05-06 백금기 통합 지정 통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07265A (ko) * 2008-12-29 2009-01-16 윤미란 지문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7038A (zh) * 2016-07-06 2016-09-07 广东名门锁业有限公司 一种带指纹识别功能的电磁执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031A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3797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CN108537929B (zh) 远程解锁系统及远程解锁方法
KR20150046766A (ko) 단말기의 잠금 해제 처리방법, 장치, 단말기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3838992A (zh) 一种指纹识别方法及终端
US20150081785A1 (en) Distributed events in an access control system
US20210073367A1 (en) Vehicle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mobile device used for vehicle authentication, vehicle authentication system, and vehicle authentication method
JP201621986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127900A (zh) 一种用户身份综合验证开锁方法及装置
CN108156537B (zh) 一种移动终端的远程操作方法及移动终端
US20150228137A1 (en) Wireless access control to a locking device
US11945403B2 (en) Progressive lockout policy for deviceless vehicle access and remote lockout management interface
JP748073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955601B1 (ko)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 및 도어록과 독립형 지문 인증 장치의 상호 제어 방법
KR101861057B1 (ko) 복합 신호 기반의 디지털도어락 및 그 동작방법
CN106066763A (zh) 终端解锁方法及装置
CN109344586B (zh) 解锁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JP4274283B1 (ja) 生体認証手段を備えたid信号発信装置
JP6419464B2 (ja) 電気錠システム
JP4402135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制御装置
JP7206794B2 (ja) 移動体制御システム
US118938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mobile terminal
US20220266798A1 (en) Authentication device,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vehicle
JP4125983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CN110865762B (zh) 防止误熄屏的方法、终端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902225B2 (ja) 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