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144B1 - 무선랜에서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에서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3144B1 KR101953144B1 KR1020120031144A KR20120031144A KR101953144B1 KR 101953144 B1 KR101953144 B1 KR 101953144B1 KR 1020120031144 A KR1020120031144 A KR 1020120031144A KR 20120031144 A KR20120031144 A KR 20120031144A KR 101953144 B1 KR101953144 B1 KR 101953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load
- access point
- dual
- wlan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58—Management thereof based on metrics or performance parameters
- H04W28/0967—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 H04W28/0983—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for optimizing bandwidth or throughpu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가 액세스 포인트에서 지원하는 듀얼 밴드에 대한 부하를 주기마다 산출하여 부하가 임계치를 넘었을 경우 새로운 무선랜 단말로부터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가 있어도 듀얼 밴드 중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대역의 밴드만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송출함으로써 한 쪽 대역으로 무선랜 단말의 접속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듀얼 밴드를 동시에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2.4GHz 주파수 대역과 5GHz 주파수 대역의 듀얼 밴드를 동시에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한 쪽 대역으로 무선랜 단말의 접속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 서비스는 무선 매체를 데이터 전달의 매개체로 이용하여 기존의 근거리 유선통신(유선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이러한 무선랜 서비스는 유무선 게이트웨이 역할을 담당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에 노트북, 개인 휴대 단말(PDA), 스마트 폰, 아이팟 등과 같은 무선랜 단말이 접속하여 각종 서비스(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무선랜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먼저 무선랜 단말이 스캔 방식을 통하여 주위에 있는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액세스 포인트 중에 자신이 접속하고자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접속을 한다.
스캔 방식은 무선랜 단말이 단말 내에서 지원하는 모든 채널에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을 전송하고, 해당 채널에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 경우 그 액세스 포인트가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전송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를 알림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 무선랜 서비스에서 듀얼 밴드를 동시에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듀얼 밴드에 대하여 무선랜 단말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송출하여 알려주고, 무선랜 단말이 듀얼 밴드의 무선수신 강도에 따라 어느 하나의 밴드를 선택하여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특정 대역에 접속하는 무선랜 단말이 점점 많아지거나, 특정 무선랜 단말이 다른 단말보다 훨씬 많은 데이터 패킷을 사용하는 경우, 듀얼 밴드 중 어느 한 쪽 대역으로 부하가 집중하게 된다. 왜냐하면 무선랜 단말의 사용자나 단말은 어느 대역의 부하가 높은지 모르기 때문에 부하가 높은 대역으로 접속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부하가 높은 대역에 접속한 무선랜 단말은 다른 대역에 접속한 무선랜 단말보다 품질이 저하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액세스 포인트가 일정 주기마다 액세스 포인트에서 지원하는 듀얼 밴드에 대하여 부하를 산출하여 부하가 임계치를 넘었을 경우 신규로 접속하려는 무선랜 단말로부터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가 있어도 듀얼 밴드 중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대역의 밴드만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송출함으로써, 한 쪽 대역으로 무선랜 단말의 접속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액세스 포인트는, 기 설정한 주기마다 무선랜 대역의 듀얼 밴드에 대하여 대역별 부하 상태를 산출하고 산출한 대역별 부하가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대역별 부하 산출부; 및 상기 산출한 대역별 부하가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대역은 신규로 접속하려는 무선랜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에 대하여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송출하고, 부하가 높은 대역은 상기 무선랜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비송출하는 접속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역별 부하 산출부는 상기 듀얼 밴드의 접속자 수, 데이터 전송량, 패킷 재전송 비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대상 조건을 조합하여 대역별 부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역별 부하 산출부는 대역별 부하 상태를 산출하는 대상 조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상대적 부하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부하 분산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가 무선랜 대역의 듀얼 밴드에 대하여 일정 주기마다 대역별 부하 상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산출한 대역별 부하에 대하여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대역별 부하 상태가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일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신규로 접속하려는 무선랜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대역은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송출하고, 부하가 높은 대역은 상기 무선랜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에 대하여 프로브 응답(response) 프레임을 비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듀얼 밴드에 대하여 대역별 부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듀얼 밴드의 접속자 수, 데이터 전송량, 패킷 재전송 비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대상 조건을 조합하여 산출하는 것을 한다.
또한, 상기 대역별 부하를 산출하는 단계 전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일정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밴드를 동시에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부하가 발생한 경우 신규로 접속하려는 무선랜 단말기가 듀얼 밴드에 대한 부하 상태를 알 수 없어도 듀얼 밴드 중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대역을 통해 자동 접속하게 됨으로써 한 쪽 대역으로 무선랜 단말의 접속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듀얼 밴드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랜 단말의 접속자 수, 전송량, 재전송 비율 등을 이용하여 부하를 산출함으로써 한 쪽 대역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랜 단말의 수가 적지만 데이터 전송량이 높아 부하가 높아지는 경우, 또는 재전송의 비율이 높아 부하가 높아진 경우 등에도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원활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므로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랜 단말의 사용자가 강제로 접속을 시도하더라도 접속을 막는 것이 아니라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 자체를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VOC(Voice Of Customer)가 발생할 우려없이 로드 밸런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적용한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부하 분산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하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부하 분산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하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적용한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은 듀얼 밴드를 동시에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100) 및 무선랜 단말기(200) 사이에서 어느 한쪽 대역에 데이터 트래픽 로드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무선랜 단말기(200)의 신속한 처리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다수의 무선랜 단말기(200)는 단말 내에서 지원하는 듀얼 밴드에 존재하는 모든 액세스 포인트(100)를 탐색하여 접속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100)의 존재를 검출하는 스캐닝 방식을 이용하여 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무선랜 단말기(200)가 액세스 포인트(100)의 무선 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통해 직접 입력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원하는 액세스 포인트(100)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각 무선랜 단말기(200)와 액세스 포인트(100)간 접속이 이루어지면, 무선랜 단말기(200)는 액세스 포인트(100)가 지원하는 무선랜 대역의 듀얼 밴드를 통해 각종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듀얼 밴드는 현재 사용 중인 무선랜 대역의 2.4GHz 주파수 대역과 5GHz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랜 통신이 가능한 대역이 있으면 적용 가능하다.
무선랜 단말기(200)는 PC, 노트북, 태블릿 PC, 개인 휴대 단말(PDA),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는 무선랜 대역으로 2.4GHz 주파수 대역과 5GHz 주파수 대역의 듀얼 밴드를 동시에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100)는 듀얼 밴드에 걸리는 부하가 임계치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 듀얼 밴드 중 상대적으로 부하가 높은 대역의 밴드가 무선랜 단말기(200)의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에 대하여 응답을 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듀얼 밴드 중 어느 한 쪽 밴드에 접속한 무선랜 단말기(200)의 수가 임계치 10 보다 높은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는 부하 분산을 위한 알고리즘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부하가 높은 대역의 밴드가 무선랜 단말기에서 송출하는 프로브 요구에 대하여 응답을 하지 않고, 부하가 낮은 대역의 밴드만 응답하도록 한다. 따라서, 무선랜 단말기의 접속을 부하가 낮은 밴드로 분산시켜 로드 밸런싱을 구현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2와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0)는 접속 관리부(110), 대역별 부하 산출부(120), 주기 설정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기 설정부(130)는 듀얼 밴드에 대한 부하를 산출하는 주기를 설정한다. 예컨대, 주기는 1분, 3분 5분 등으로 설정하며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대역별 부하 산출부(120)는 주기 설정부(130)에서 기 설정한 주기마다 듀얼 밴드에 대한 대역별 부하 상태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한 각 대역별 부하 상태가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기 설정한 임계치는 부하를 산출하는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자 수를 이용한 산출 방식의 경우 임계치는 접속자 수에 대한 한계값이 되고, 데이터 전송량을 이용한 산출 방식의 경우는 평균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임계값이 될 수 있다.
대역별 부하를 산출하는 방식은 각 듀얼 밴드의 접속자 수, 데이터 전송량, 패킷 재전송량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접속자 수를 이용한 산출 방식은 듀얼 밴드 각각에 접속한 무선랜 단말의 수를 비교하여 부하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2.4GHz 주파수 대역에는 12대의 무선랜 단말이 접속되어 있고 5GHz 주파수 대역에는 15대의 무선랜 단말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대역별 부하 산출부(120)는 접속자 수의 비교를 통해 5GHz 주파수 대역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량을 이용한 산출 방식은 듀얼 밴드 각각에 수신되는 패킷을 분석하여 평균 데이터 전송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두 평균 데이터 전송량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평균 데이터 전송량이 높은 대역을 부하가 높다고 판단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2.4GHz 대역의 밴드에서는 평균 데이터 전송량이 5Mbps이고 5GHz 대역의 밴드는 평균 데이터 전송량이 3Mbps로 검출된 경우, 대역별 부하 산출부(120)는 양 평균 데이터 전송량간 비교를 통해 2.4GHz 주파수 대역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음, 패킷 재전송량을 이용한 산출 방식은 듀얼 밴드 각각에 수신되는 패킷을 분석하여 평균 재전송 비율을 비교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재전송 비율이 높은 대역이 부하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이다. 2.4GHz 주파수 대역의 평균 패킷 재전송 비율은 10%이고, 5GHz 주파수 대역의 평균 패킷 재전송 비율이 5%이면 대역별 부하 산출부(120)는 상기의 방식에 근거하여 2.4GHz 주파수 대역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더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대역별 부하 산출부(120)는 접속자 수, 데이터 전송량, 패킷 재전송 비율 중 어느 하나의 산출 방식만을 이용하여 부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또는 둘 이상의 산출 방식을 조합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대역별 부하 산출부(230)는 각 산출 방식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부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량을 이용한 산출 방식을 첫 번째 우선순위로 하고, 접속자 수를 이용한 산출 방식을 두 번째 우선순위로 설정하여, 접속자 수가 적지만 데이터 전송량이 높은 경우 부하가 높게 산출될 수 있다.
접속 관리부(110)는 무선랜 단말기의 스캔 시 무선랜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에 대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무선랜 단말기로 송출하여 무선랜 단말기와 액세스 포인트간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또, 접속 관리부(100)는 무선랜 단말기의 스캔 이후 또는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식별자(SSID: Service Set IDentification)를 통해 접속하려는 경우 무선랜 단말기로부터 인증 요구(authentication request)에 대한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한 인증 요구(authentication request) 프레임에 대하여 인증 응답(authentication response) 프레임을 무선랜 단말기로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접속 관리부(110)는 대역별 부하 산출부(120)에서 산출한 부하 상태에 따라 듀얼 밴드 또는 부하가 낮은 밴드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송출한다.
대역별 부하 산출부(120)에서 산출한 대역별 부하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접속 관리부(110)는 듀얼 밴드를 통해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송출할 수 있다.
반대로 대역별 부하 산출부(120)에서 산출한 대역별 부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접속 관리부(100)는 듀얼 밴드 중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대역을 통해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송출하고, 상대적으로 부하가 높은 대역은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비송출한다.
여기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비송출한다는 의미는 무선랜 단말기로부터 송출되는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에 대하여 반응을 하지 않는 것으로, 무선랜 단말기에게 액세스 포인트의 존재(SSID 정보)를 알려주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선랜 단말기가 주위에 존재하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했을 때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에 대하여 반응하지 않은 대역의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서는 인지하지 못하고 반응한 대역의 액세스 포인트만 탐색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액세스 포인트는 일정 주기마다 각 대역의 부하를 계산하고, 그 부하가 임계치 이상일 경우 상대적으로 부하가 높은 대역이 신규로 접속하려는 무선랜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에 대하여 응답을 하지 않음으로써, 일정 주기동안 무선랜 단말기의 접속을 부하가 낮은 대역으로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의 부하를 분산시킨다.
이하, 상기의 구성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액세스 포인트에서 부하를 분산시키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부하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가 무선랜 대역의 부하를 산출할 일정 주기를 설정한다(S100). 주기는 1분, 3분, 5분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통신 환경이나 액세스 포인트의 용량 등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이후, 액세스 포인트는 대역별 부하 산출부에서, 기 설정한 주기마다 무선랜 대역의 듀얼 밴드에 대하여 대역별 부하 상태를 산출한다(S110).
산출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역별 부하 산출부에서, 액세스 포인트가 지원하는 듀얼 밴드에 대하여 패킷을 분석한다(S111).
패킷 분석을 통해, 대역별 부하 산출부가 각 듀얼 밴드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자 수를 검출하거나, 데이터 전송량을 검출하거나, 또는 패킷 재전송 비율 등을 검출한다(S112, S113, S114). 검출 과정은 상기의 한 가지 과정만 적용할 수 있고 또는 둘 이상의 과정을 적용하여 두 종류 이상의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대역별 부하 산출부가 검출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대역별 부하를 계산한다(S115). 계산 시, 검출한 데이터가 두 종류 이상인 경우 이들간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부하를 계산할 수 있다(S116).
이렇게 계산한 각 대역별 부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기 설정한 일정 주기마다 산출하고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가 대역별 부하 산출부에서, 각 대역별 부하가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20).
판단 결과, 각 대역별 부하가 기 설정한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 액세스 포인트가 접속 관리부를 통해 듀얼 밴드에 대하여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에 응답한다. 즉,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송출한다(S130).
판단 결과, 각 대역별 부하가 기 설정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접속 관리부를 통해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밴드의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에 대해서만 응답한다. 즉, 상대적으로 부하가 높은 대역은 무선랜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에 대하여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송출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대역이 무선랜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에 대하여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송출한다.
예를 들면, 듀얼 밴드에서 2.4GHz 대역의 부하가 5GHz 대역의 부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부하가 높은 2.4GHz 대역이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에 대한 프레임을 송출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5GHz 대역이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에 대한 프레임을 송출한다(S140, S150).
이와 반대로 2.4GHz 대역의 부하가 5GHz 대역의 부하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즉 5GHz 대역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2.4GHz 대역이 무선랜 단말기의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에 대하여 응답하고, 상대적으로 부하가 높은 5GHz 대역은 응답하지 않는다(S160).
이러한 과정에 따르면, 무선랜 단말기에는 인접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스캔한 결과 리스트에 듀얼 밴드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가 모두 표시되었던 종전과 달리, 대역별 부하에 따라 듀얼 밴드 또는 부하가 낮은 밴드의 액세스 포인트만 표시된다.
따라서, 무선랜 단말기가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하는 듀얼 밴드 각각의 부하 상태를 알 수 없어도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대역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종래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랜 단말의 접속이 점점 늘어나는 경우 한쪽 주파수 대역으로 과도하게 무선랜 단말이 접속하여 부하가 높아지는 경우가 발생하지만,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가 듀얼 밴드에 대한 부하를 주기마다 산출하여 산출한 부하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대적으로 부하가 낮은 대역이 프로브 요구에 대하여 응답함으로써 무선랜 단말기의 접속 부하를 분산시켰다. 이러한 기술은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0: 액세스 포인트
200: 무선랜 단말기
110: 접속관리부
120: 대역별 부하 산출부
130: 주기 설정부
200: 무선랜 단말기
110: 접속관리부
120: 대역별 부하 산출부
130: 주기 설정부
Claims (7)
- 기 설정한 주기마다 듀얼 밴드에 대한 대역별 부하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대역별 부하와 기 설정된 임계치를 각각 비교하는 대역별 부하 산출부; 및
무선랜 단말기로부터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을 수신하면,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듀얼 밴드에 대한 대역별 부하 중 임계치 이상인 대역에 대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상기 무선랜 단말기로 비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듀얼 밴드에 대한 대역별 부하 중 임계치 미만인 대역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무선랜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접속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별 부하 산출부는
상기 듀얼 밴드의 접속자 수, 데이터 전송량, 패킷 재전송 비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대상 조건을 조합하여 상기 대역별 부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별 부하 산출부는 상기 대역별 부하를 산출하는 대상 조건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상대적 부하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관리부는
상기 듀얼 밴드에 대한 대역별 부하 모두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듀얼 밴드의 대역 각각에 대한 상기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무선랜 단말기로 모두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 - 일정 주기마다 무선랜 대역의 듀얼 밴드에 포함된 복수의 대역별 부하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상기 대역별 부하와 기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무선랜 단말기로부터 프로브 요구(probe request) 프레임을 수신하면, 상기 프로브 요구 프레임에 대응하여 상기 듀얼 밴드에 대한 대역별 부하 중 임계치 이상인 대역에 대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프레임을 상기 무선랜 단말기로 비송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듀얼 밴드에 대한 대역별 부하 중 임계치 미만인 대역에 대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상기 무선랜 단말기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부하 분산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별 부하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듀얼 밴드의 접속자 수, 데이터 전송량, 패킷 재전송 비율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대상 조건을 조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부하 분산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별 부하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전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일정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부하 분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1144A KR101953144B1 (ko) | 2012-03-27 | 2012-03-27 | 무선랜에서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1144A KR101953144B1 (ko) | 2012-03-27 | 2012-03-27 | 무선랜에서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9420A KR20130109420A (ko) | 2013-10-08 |
KR101953144B1 true KR101953144B1 (ko) | 2019-02-28 |
Family
ID=4963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1144A KR101953144B1 (ko) | 2012-03-27 | 2012-03-27 | 무선랜에서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31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4469B1 (ko) * | 2013-10-10 | 2020-10-12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다중 fa 기반 광대역 무선 접속 장치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 |
US9497717B2 (en) * | 2014-05-23 | 2016-11-15 | Ruckus Wireless, Inc. | Out-of-band acknowledge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
KR102100406B1 (ko) * | 2014-06-27 | 2020-04-13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
JP6683916B2 (ja) * | 2015-06-09 | 2020-04-22 |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 無線機器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
US11172353B2 (en) | 2016-11-23 | 2021-11-09 |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 Band steering Wi-Fi direct client connections to dual band Wi-Fi direct autonomous group owner |
KR102038691B1 (ko) * | 2017-06-13 | 2019-10-31 | 주식회사 케이티 | 무선 랜 접속 장치의 동작 주파수를 선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KR102144547B1 (ko) * | 2017-11-08 | 2020-08-14 | 주식회사 케이티 |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시스템 |
CN110300337A (zh) * | 2018-03-21 | 2019-10-01 | 华为技术有限公司 | 无线保真链路重传报文的方法和装置 |
WO2020085824A1 (ko) * | 2018-10-24 | 2020-04-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링크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복수의 링크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88122A (ja) * | 2010-03-05 | 2011-09-22 | Toshiba Tec Corp | 無線lan通信制御装置、無線lan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通信端末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67897A (ko) * | 2003-12-29 | 2005-07-05 | 주식회사 케이티 |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트래픽 분산 방법 |
-
2012
- 2012-03-27 KR KR1020120031144A patent/KR1019531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88122A (ja) * | 2010-03-05 | 2011-09-22 | Toshiba Tec Corp | 無線lan通信制御装置、無線lan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通信端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9420A (ko) | 2013-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3144B1 (ko) | 무선랜에서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 | |
US20240163761A1 (en) | Wlan user quality of experience control in a multi-access point environment | |
US10327184B2 (en) | Handoffs between access points in a Wi-Fi environment | |
TWI461075B (zh) | 用於在無線頻段中對複數個通道之掃描參數進行最佳化之方法 | |
CN114514773B (zh) | 多接入点(ap)网络中基于简档的客户端引导 | |
US20160345191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quality of experience measurement and wireless network recommendation | |
US20160050691A1 (en) | Method to Improve Channel Access Opportun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
US20160029248A1 (en) | Wireless spectrum usage and load-balancing | |
US20140304770A1 (en) | Terminal | |
US20070076657A1 (en) | Method for channel agility in wireless access points | |
US8599807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route | |
US10028156B2 (en) | Congestion based roam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
CN108811035B (zh) | 用户设备接入无线保真Wi-Fi的方法及Wi-Fi接入节点 | |
US949165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gestion in wireless networks | |
JP5967768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 |
KR20130119123A (ko) | 듀얼밴드의 와이파이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기 및 이의 와이파이 로밍 방법 | |
JP2014212417A (ja) |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 |
US9408111B2 (en) | Time-sliced WiFi associations for make-before-break handover | |
KR20140035600A (ko) | 무선 침입방지 동글 장치 | |
CN105230101A (zh) | 用户装置、基站、发现信号间隔调整方法、以及用户装置控制方法 | |
US9538457B2 (en) | Wireless spectrum usage and control of access point probe responses | |
US9648658B2 (en) | Managing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s based on radio bearer attributes | |
CN104185308B (zh) | 小区的业务热点检测方法及装置 | |
TW202224381A (zh) | 網狀網路中基於觸發式客戶端的客戶端引導 | |
JP2013168791A (ja) |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チャネル選択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