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711B1 -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711B1
KR101952711B1 KR1020170163774A KR20170163774A KR101952711B1 KR 101952711 B1 KR101952711 B1 KR 101952711B1 KR 1020170163774 A KR1020170163774 A KR 1020170163774A KR 20170163774 A KR20170163774 A KR 20170163774A KR 101952711 B1 KR101952711 B1 KR 10195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priority
recording
voice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락곤
한원섭
정상명
한지현
김윤주
이은혜
Original Assignee
(주)프로차일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차일드 filed Critical (주)프로차일드
Priority to KR1020170163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의 작성이 용이하고, 메모 작성 시 우선순위 설정 및 우선순위의 직관적인 확인이 가능하며, 빠른 정보 전달 및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Smart memo device and Smart memo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 시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음성으로 쉽게 기록이 가능하면서 빠른 정보 전달이 가능한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거나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단말기가 이미 제안된 바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8463호(발명의 명칭 : 음성메시지를 문자메시지로 변환하는 이동단말기 및 방법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으며, 이러한 인용발명은 상대적으로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는 음성메시지를 문자메시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므로 메모리가 한정된 이동단말기에서 음성메시지를 문자메시지로 변환하여 저장 용량을 줄이므로 더 많은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많은 환자를 다루어야 하고, 중간에 긴급한 일이 자주 발생되는 의료인들은 메모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각 의료기관마다 누가 메모를 작성하더라도 모두 그 메모를 이해할 수 있도록 메모의 작성 방법, 중요도 표시 방법 등을 교육하여 실행하고 있다.
특히 간호사들은 기본 업무 중에도 호출을 받고 일을 처리하려면 그 사이에 또 다른 호출 받기를 반복하고 있어서 중요한 일을 놓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가 쉽고, 이와 같이 너무나 많은 업무량에 더하여 업무 중간 중간에 긴급한 일이 자주 발생됨에 따라 정신을 차리지 못 하고 우왕좌왕 하는 경우가 많으며, 긴급한 일을 우선하여 처리하기 위해 잠시 미뤄둔 일을 기억하지 못할 경우 의료 사고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메모가 중요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다수의 호출을 동시에 받으면 업무 분담을 위해 다른 간호사에게 전달하거나 다른 간호사의 호출을 대신 받아 전달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러한 전달을 메모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메모는 직접적인 전달을 요구하므로 공간적인 제약으로 전달이 늦어지거나 중간에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공간적인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메모 대신에 휴대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서비스되는 메신저나 문자메시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으나 개인에 따라 문자 입력이 어려울 수 있고, 메신저나 문자메시지는 시간순서로만 배열되고 보낸 사람 기준으로 묶여 있어서 메신저 대화나 메시지를 하나하나 찾아봐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 메신저 대화나 메시지가 처리된 것인지 아닌지를 알 수 없고, 업무적인 것과 개인적인 것을 구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846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메모의 작성이 용이하고, 메모 작성 시 우선순위 설정 및 우선순위의 직관적인 확인이 가능하며, 빠른 정보 전달 및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녹음을 위한 마이크와; 녹음 작동 시작 시 버튼의 눌림과 회전의 위치, 방향, 횟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우선순위가 결정되어 녹음 작동이 되도록 하는 버튼의 눌림이나 회전이 다단으로 구별되는 다단 스위치이며, 각 단 변경 시 작동음과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의 다단 조작에 따라 설정된 우선순위를 녹음 중에 표시하는 우선순위표시부와; 상기 작동버튼에서 결정된 우선순위와 함께 상기 마이크가 녹음한 음성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성된 스마트 메모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마트 메모 장치와,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메모 장치와 통신하여 우선순위와 함께 녹음된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시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된 메모로 변환하며, 변환된 메모를 우선순위와 함께 설치된 휴대단말기의 최상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이용자의 음성을 이용자의 목소리로 등록받아 인식하여 상기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인 메모로 변환할 때 상기 이용자의 목소리로 판별하여 수신된 음성데이터 중 이용자의 목소리만을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메모표시부와, 상기 메모표시부가 표시한 메모를 액션입력에 따라 메모 상태 변경, 전송, 이력 관리하는 메모액션부가 구성된 스마트 메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메모 장치가 작동버튼의 입력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된 상태로 음성에 의해 메모를 녹음하는 메모녹음단계와, 상기 메모녹음단계에서 녹음된 음성데이터를 우선순위정보와 함께 메모표시부가 수신하여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인 메모로 변환하는 메모변환단계와, 상기 메모변환단계에서 변환된 메모를 상기 메모표시부가 설치된 휴대단말기의 최상위 디스플레이에 우선순위의 순서로 우선순위 표시와 함께 표시하는 메모표시단계와, 상기 메모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모에 대한 액션입력에 따라 메모액션부가 메모 상태 변경, 전송, 이력 관리하는 메모관리단계가 구성된 스마트 메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 메모 장치를 통해 음성 녹음을 문자데이터의 메모로 변환하여 표시하므로 메모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메모 후 메모를 확인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를 위한 음성 녹음 시점에 이미 작동버튼의 조작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된 상태로 녹음, 문자변환 및 표시되므로 우선순위에 따른 메모 표시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메모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메모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메모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메모 장치의 작동버튼이 다단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며, 이를 우선순위표시부가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 설명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메모 시스템의 메모표시부와 메모액션부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메모 시스템의 메모액션부에 의해 관리되는 이력관리를 위한 화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메모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로 도시하였고, 스마트 메모 장치(100)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과 사시도를 도 2와 도 3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메모 장치(100)는 녹음을 위한 마이크(110)와, 버튼의 눌림 또는 회전에 대하여 그의 위치, 방향, 횟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우선순위를 구별하여 녹음 작동이 되도록 하는 작동버튼(120)과,
상기 작동버튼(120)에 의해 설정된 우선순위를 녹음 중에 표시하는 우선순위표시부(130)와,
상기 마이크(110)가 녹음한 음성데이터를 단말기로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통신모듈(140)과, 스마트 메모 장치(100)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0)가 구성될 수 있고, 종래의 메모를 위해 많이 사용되는 볼펜 등에 스마트 메모 장치(100)를 고정시키기 위한 펜홀더(160)와, 상기 마이크(110)가 녹음하는 음성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17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우선순위는 긴급성, 중요도가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을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메모 장치(100) 또는 스마트 메모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생각과 의지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우선순위는 메모 작성 후 작성된 메모를 확인하면서 우선순위를 별도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메모 장치(100)는 메모를 위한 음성 녹음 시점부터 작동버튼(120)의 차별적인 조작으로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음성 녹음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우선순위에 의해 메모가 관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작동버튼(120)은 스마트 메모 장치(100)의 녹음 작동을 On/Off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녹음 작동을 시작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에 따른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버튼의 눌림 위치, 눌림 방향, 눌림 횟수 또는 버튼의 회전 위치, 회전 방향, 회전 횟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우선순위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3과 도 4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버튼(120)은 녹음 작동 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녹음할 수 있도록 버튼의 눌림이나 회전 시 다단으로 구별되는 다단 스위치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는 우선순위가 높고 긴급한 것일수록 힘주어 버튼을 끝까지 누르고 녹음하므로 우선순위가 높은 메모가 되는 것이며, 이러한 버튼 누름 단계나 버튼 회전에 의한 단계 구별을 이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각 단계 변경 시 작동음이나 진동이 발생되도록 작동버튼(120)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선순위표시부(130)는 도 4로 예시한 바와 같이, 작동버튼(120)의 작동에 따라 설정되는 우선순위를 점등 색과 점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위험을 나타내는 색으로 많이 쓰이기도 하면서 가장 강렬하고 시인성이 높은 붉은색으로 점등하거나 점멸 간격의 시간이 가장 짧아 긴급함을 의미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표시부(130)가 작동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우선순위로 내려갈수록 LED의 점멸 간격의 시간이 길어지거나 LED의 색상이 붉은색에서 파란색으로 점차 변경될 수 있고, 또는 우선순위의 높은 순으로 붉은색, 노란색, 파란색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메모 장치(100)를 이용한 스마트 메모 시스템은 우선순위 설정과 함께 녹음하는 스마트 메모 장치(100)와,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메모 장치(100)와 통신하여 우선순위와 함께 녹음된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시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된 메모로 변환하며, 변환된 메모를 우선순위와 함께 설치된 휴대단말기(200)의 최상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메모표시부(300)와,
상기 메모표시부(300)가 표시한 메모를 액션입력에 따라 메모 상태 변경, 전송, 이력 관리하는 메모액션부(40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표시부(300)는 메모표시부(300)가 설치된 휴대단말기(200)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메모 장치(100)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장치통신제어부와,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잠금화면 상에 우선순위 표시와 함께 문자로 변환된 메모를 표시하는 장치화면제어부와,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문자변환 엔진모듈과, 신규 음성데이터 수신 시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LED, 진동장치, 스피커,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알림을 실시하는 장치알람제어부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표시부(300)는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되어 블루투스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 메모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문자변환 엔진모듈 또는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에서 제공되는 음성문자 변환 서비스를 이용하여 스마트 메모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녹음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인 메모로 변환하고, 이와 같이 변환된 메모를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최상위 디스플레이인 잠금화면상에 설정된 우선순위와 함께 표시하는 것이다.
이 때 우선순위에 따른 순서로 표시하며, 우선순위, 메모(음성 녹음) 생성 시간, 메모 내용 등이 표시되고, 우선순위가 같은 메모는 최근 시간 순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메모를 선택하여 메모의 전문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고, 메모표시부(300)가 메모 입력 시 메모표시부(300)가 설치된 휴대단말기(200)의 LED나 진동장치를 이용하여 알림을 실시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의 프로토클 정보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통신하는 스마트 메모 장치(100)와 휴대단말기(200)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는 경우 스마트 메모 장치(100)와 휴대단말기(200)에서 분실 알림이 출력되도록 하여 분실을 방지하므로 스마트 메모 장치(100)의 분실로 우선순위의 메모를 입력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표시부(300)가 수신하는 데이터의 구조는 스마트 메모 장치(100)의 ID, 녹음 시 설정되는 우선순위데이터, 녹음 시의 일시데이터, 음성녹음데이터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메모표시부(300)는 이용자의 음성을 이용자의 목소리로 등록받아 인식하여 상기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인 메모로 변환할 때 이용자의 목소리로 판별하여 음성데이터 중 이용자의 목소리만을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하여 소란스러운 상황에서 녹음된 음성데이터나 녹음 중 타인의 목소리가 함께 녹음되더라도 타인의 목소리는 제외하고 변환하므로 메모 변환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모액션부(400)는 상기 휴대단말기(200)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중 상기 메모표시부(300)에 의해 표시되는 메모에 대한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메모를 인지하고, 상기 입력 중 슬라이딩 입력, 일정시간 이상 입력 등과 같은 액션입력 시 이를 판단하여 각 액션에 따라 설정된 메모 상태 변경, 메모 전송, 메모의 이력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상기 메모액션부(400)는 메모표시부(300)가 휴대단말기(200)의 잠금화면 상에 표시한 메모 중 선택되어 일방으로 슬라이딩 액션 입력의 인식 시 도 5에서와 같이, 해당 메모를 잠금화면상에서 삭제하고, 완료된 메모로 상태를 변경하여 이력관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메모 중 일정시간 이상 터치 입력을 인식하여 따로 저장된 즐겨찾기 목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목록 중 선택된 인물에서 일정시간 이상 터치 입력된 메모를 전화번호에 의한 메신저, 문자메시지 또는 해당 인물이 소지한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메모표시부(300)로 전송할 수 있고, 이를 이력관리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이력관리를 구체적으로 도면과 함께 예시하면 도 6의 가장 좌측부터 홈, 기록페이지, 공유이력 등이 탭으로 구별될 수 있으며, 홈에서는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표시와 함께 메모 리스트가 표시되고 여기에서도 선택되는 메모의 전문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록페이지에서는 완료하여 저장된 메모가 관리되는 것이며, 여기에서는 시간순으로 리스트가 배열되고, 날짜별로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완료되지 않음 메모는 홈에서와 같이 우선순위표시와 함께 메모가 표시되고 완료된 메모의 경우 회색으로 전환 되는 등과 같이 색상으로 상태를 표시하므로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상태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공유이력에서는 전송받은 메모와 전송된 메모가 이용자를 기준으로 전송 보낸 사람과 전송 받는 사람의 표시와 함께 우선순위 표시 및 메모가 표시되며, 여기에서 표시된 각 사람의 프로필이나 메모를 선택하면 전송이력이 시간순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메모 시스템을 이용한 스마트 메모 방법은 스마트 메모 장치(100)가 작동버튼(120)의 입력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된 상태로 음성에 의해 메모를 녹음하는 메모녹음단계와,
상기 메모녹음단계에서 녹음된 음성데이터를 우선순위정보와 함께 메모표시부(300)가 수신하여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인 메모로 변환하는 메모변환단계와,
상기 메모변환단계에서 변환된 메모를 상기 메모표시부(300)가 설치된 휴대단말기(200)의 최상위 디스플레이에 우선순위의 순서로 우선순위 표시와 함께 표시하는 메모표시단계와,
상기 메모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모에 대한 액션입력에 따라 메모액션부(400)가 메모 상태 변경, 전송, 이력 관리하는 메모관리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모녹음단계는 우선순위가 결정된 상태로 음성에 의해 메모를 녹음하는 중에 스마트 메모 장치(100)의 우선순위표시부(130)를 통해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색상의 빛으로 점등되어 우선순위를 표시하는 우선순위표시단계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메모변환단계는 이용자의 목소리를 등록받아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인 메모로 변환할 때 이용자의 목소리만을 메모로 변환하는 선택적변환단계가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관리단계는 메모표시부(300)에 의해 표시된 메모 중 일정시간동안 선택되는 액션입력 시 메모액션부(400)가 즐겨찾기 목록을 표시하여 선택된 수신인에게 액션입력으로 선택된 메모를 상기 수신인의 전화번호에 의한 메신저, 문자메시지, 상기 수신인의 휴대단말기(200)에 설치된 메모표시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우선순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메모공유단계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 메모 장치(100)와 무선통신하는 메모표시부(300)가 통신 프로토클을 분석하여 메모표시부(300)가 설치된 휴대단말기(200)와 스마트 메모 장치(100) 간의 이격거리를 산출하고, 설정된 이격거리 이상 떨어지는 경우 분실 위험성을 알리는 알림을 스마트 메모 장치(100)와 휴대단말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실시 되도록 하는 분실방지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스마트 메모 장치 110:마이크 120:작동버튼
130:우선순위표시부 140:통신모듈 150:배터리
160:펜홀더 170:메모리 200:휴대단말기
300:메모표시부 400:메모액션부

Claims (10)

  1. 녹음을 위한 마이크와,
    녹음 작동 시작 시 버튼의 눌림과 회전의 위치, 방향, 횟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우선순위가 결정되어 녹음 작동이 되도록 하는 버튼의 눌림이나 회전이 다단으로 구별되는 다단 스위치이며, 각 단 변경 시 작동음과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작동버튼과,
    상기 작동버튼의 다단 조작에 따라 설정된 우선순위를 녹음 중에 표시하는 우선순위표시부와,
    상기 작동버튼에서 결정된 우선순위와 함께 상기 마이크가 녹음한 음성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모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표시부는 설정된 우선순위를 색과 점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LED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모 장치.
  4. 녹음을 위한 마이크, 녹음 작동 시작 시 버튼의 눌림과 회전의 위치, 방향, 횟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우선순위가 결정되어 녹음 작동이 되도록 하는 버튼의 눌림이나 회전이 다단으로 구별되는 다단 스위치이며, 각 단 변경 시 작동음과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발생되는 작동버튼, 상기 작동버튼의 다단 조작에 따라 설정된 우선순위를 녹음 중에 표시하는 우선순위표시부, 상기 작동버튼에서 결정된 우선순위와 함께 상기 마이크가 녹음한 음성데이터를 후술된 메모표시부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및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성된 스마트 메모 장치와,
    휴대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메모 장치와 통신하여 우선순위와 함께 녹음된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시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된 메모로 변환하며, 변환된 메모를 우선순위와 함께 설치된 휴대단말기의 최상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메모표시부와,
    상기 메모표시부가 표시한 메모를 액션입력에 따라 메모 상태 변경, 전송, 이력 관리하는 메모액션부가 구성되되,
    상기 메모표시부는 이용자의 음성을 이용자의 목소리로 등록받아 인식하여 상기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인 메모로 변환할 때 상기 이용자의 목소리로 판별하여 수신된 음성데이터 중 이용자의 목소리만을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모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표시부는 휴대단말기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메모 장치로부터 음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장치통신제어부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잠금화면 상에 우선순위 표시와 함께 문자로 변환된 메모를 표시하는 장치화면제어부와,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문자변환 엔진모듈과, 신규 음성데이터 수신 시 상기 휴대단말기의 LED, 진동장치, 스피커,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알림을 실시하는 장치알람제어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모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표시부가 수신하는 데이터의 구조는 스마트 메모 장치의 ID, 녹음 시 설정되는 우선순위데이터, 녹음 시의 일시데이터, 음성녹음데이터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모 시스템.
  7. 스마트 메모 장치가 작동버튼의 입력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된 상태로 음성에 의해 메모를 녹음하는 메모녹음단계와, 상기 메모녹음단계에서 녹음된 음성데이터를 우선순위정보와 함께 메모표시부가 수신하여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인 메모로 변환하는 메모변환단계와, 상기 메모변환단계에서 변환된 메모를 상기 메모표시부가 설치된 휴대단말기의 최상위 디스플레이에 우선순위의 순서로 우선순위 표시와 함께 표시하는 메모표시단계와, 상기 메모표시단계에서 표시되는 메모에 대한 액션입력에 따라 메모액션부가 메모 상태 변경, 전송, 이력 관리하는 메모관리단계가 구성되되,
    상기 메모변환단계는 이용자의 목소리를 등록받아 음성데이터를 문자데이터인 메모로 변환할 때 이용자의 목소리만을 메모로 변환하는 선택적변환단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모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녹음단계는 우선순위가 결정된 상태로 음성에 의해 메모를 녹음하는 중에 스마트 메모 장치의 우선순위표시부를 통해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색상의 빛으로 점등되어 우선순위를 표시하는 우선순위표시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모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메모 중 일정시간동안 선택되는 액션입력 시 메모액션부가 즐겨찾기 목록을 표시하여 선택된 수신인에게 액션입력으로 선택된 메모를 상기 수신인의 전화번호에 의한 메신저, 문자메시지, 상기 수신인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메모표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우선순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메모공유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메모 방법.
  10. 삭제
KR1020170163774A 2017-11-30 2017-11-30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 KR10195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774A KR101952711B1 (ko) 2017-11-30 2017-11-30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774A KR101952711B1 (ko) 2017-11-30 2017-11-30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711B1 true KR101952711B1 (ko) 2019-02-27

Family

ID=6556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774A KR101952711B1 (ko) 2017-11-30 2017-11-30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7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2147A (ja) * 1998-04-28 1999-11-09 Fujitsu Ltd 電子メモ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3131698A (ja) * 2001-10-29 2003-05-09 Olympus Optical Co Ltd 音声記録再生装置
KR20050108463A (ko) 2004-05-11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메시지를 문자메시지로 변환하는 이동단말기 및 방법
KR20150027542A (ko) * 2013-09-04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8983A (ko) * 2015-03-09 201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2147A (ja) * 1998-04-28 1999-11-09 Fujitsu Ltd 電子メモ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3131698A (ja) * 2001-10-29 2003-05-09 Olympus Optical Co Ltd 音声記録再生装置
KR20050108463A (ko) 2004-05-11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메시지를 문자메시지로 변환하는 이동단말기 및 방법
KR20150027542A (ko) * 2013-09-04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08983A (ko) * 2015-03-09 201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96369B (zh) 数字设备及其控制方法
AU20142012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te information
AU2013205561B2 (en) Generating context -based options for responding to a notification
CN105637976B (zh) 通信服务操作方法和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US103488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prompt message of mobile terminal based on intelligent wearable device
EP3518196A1 (en) Location based reminders
EP2720442A1 (en) Communication system
EP3139257A1 (en)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touch input device
EP1727338A2 (en) Method for displaying event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CN103404118A (zh) 移动计算设备上的自知简档切换
CN102217287A (zh) 移动计算装置上的关系管理
JP5239494B2 (ja) 携帯端末装置、画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19309A1 (en) Task performing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P260549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larm in portable terminal
CN105101121B (zh) 一种信息发送的方法及装置
JP6039642B2 (ja) 記録確立システム及び記録確立方法
KR101952711B1 (ko) 스마트 메모 장치와 스마트 메모 시스템 및 방법
JP2011205547A (ja) 情報表示装置
JP5516321B2 (ja) 電子機器
JP2008085784A (ja) モバイル機器システムおよびモバイル機器
KR101224641B1 (ko) 인물정보 관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인물정보표시방법
JP6959393B2 (ja) 通知システム、及び通知方法
JP6967109B2 (ja) 通知システム、電子時計、及び通知方法
KR100823983B1 (ko) 휴대단말기에서의 스케줄 자동 알람 방법
JP5388164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