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279B1 - Support device of branches - Google Patents

Support device of branch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279B1
KR101952279B1 KR1020180027887A KR20180027887A KR101952279B1 KR 101952279 B1 KR101952279 B1 KR 101952279B1 KR 1020180027887 A KR1020180027887 A KR 1020180027887A KR 20180027887 A KR20180027887 A KR 20180027887A KR 101952279 B1 KR101952279 B1 KR 10195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ope
fixing
main body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8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102018002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2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nch supporting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a branch damaged due to a weight of fruit, such as bending or breaking. The branch supporting device comprises: a first locking groove (200) formed in one end of a body (100) for supporting the branch; a second locking groove (300) formed in the other end; and a fixing unit (400) arranged in a lower side of the bod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drop of a product value of the fruit due to the damage of the branch having a maximal weight of the fruit in harvest time.

Description

나뭇가지 지지 장치{SUPPORT DEVICE OF BRANCHES}{SUPPORT DEVICE OF BRANCHES}

본 발명은 나뭇가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과일나무의 가지에 과실이 맺혔을 경우 수확 시기까지 과실의 무게에 의해 가지가 휘어지고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eventing a branch from bending and breaking due to the weight of a fruit until the harvest time when fruits are formed on the branches of the fruit tree.

사과, 복숭아 등의 과실이 맺힌 나무는 수확시기가 되면 과실로 인하여 나뭇가지에 가해지는 무게가 최대치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나뭇가지는 과실에 의해 휘어지거나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아울러 나무는 비, 바람, 태풍 등의 자연 재해에 의하여 나뭇가지가 흔들리고 부러지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과실 및 나무들은 손상을 입어 상품가치가 하락하게 되며, 타격을 입는 대상이 과실나무인 경우에는 관련 농민들의 피해로 이어지게 된다.Apples, peaches, and other fruit trees are harvested at the harvest time to reach the maximum weight on the branches due to fruit. As a result, branches may be bent by the fruit or broken without being able to withstand the load. In addition, trees are often shaken and broken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rain, wind, and typhoons. As a result, fruits and trees are damaged and the value of the product is lowered. If the target is fruit tree, it will lead to the damage of the related farmers.

이와 같은 피해를 막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지주와 홀더 부재를 이용하여 과수나무를 보호하는 과일 나무 지지 장치와 나뭇가지 사이를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치로 연결하여 지지하고 결속하는 장치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지주와 홀더부재를 이용하여 과수나무를 지지하는 장치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10091호("과일나무 가지 지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나뭇가지 사이를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치로 연결하고 지지하는 결속장치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4893호("유실수 나뭇가지의 인위적 결속, 지지 장치 및 그 방법")가 개시되어 있다.As a method for preventing such damage, conventionally, a device for supporting and binding a fruit tree support device for protecting fruit tree by using a support and a holder member is connected by 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between tree branche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0091 (" fruit tree branch support apparatus ") discloses a device for supporting fruit tree using a support and a holder member,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44893 (" Artificial binding of tree branches,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위와 같은 장치들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지주로부터 연결된 로프에 의해 나뭇가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나뭇가지 받침대가 별도로 형성되어 흠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장치들은 이동 홀더에 로프를 장착하고 가지 받침대를 나뭇가지에 받쳐 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과실수의 줄기로부터 자라나는 나뭇가지들은 성장에 제한을 준다 하더라도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현상에 대해서는 로프로 지지함으로써 일시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으나, 결국 임시적인 대안에 불과하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장치들이 일부 문헌에서 개시되어 있긴 하나 나뭇가지에 대한 결속력을 향상 시키는데 중점을 두어, 과실에 의한 처짐이 결속되어 있는 복수의 나뭇가지 모두에게 있다면 처짐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above devices are adjustable in length and prevent the tree branches from sagging by the rope connected from the support, and the tree stand is formed separately, so that it is not scratched. However, existing devices have the inconvenience of mounting the rope on the movement holder and supporting the branch support on the branches. Even though the branches growing from the trunks of fruit trees may be temporarily relaxed by the support of the ropes for the widening or narrowing of the gaps even if they restrict growth, they are only temporary alternatives. In addition, although some devices have been proposed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sagging can not be prevented if all of the twigs having defects due to fruit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focusing on improving the binding force to the branches. .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한국등록특허 제10-0810091호를 살펴보면, 기존의 나뭇가지 지지장치는 로프가 결합되는 링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나뭇가지를 받쳐주는 장치와 링부재 사이의 별도의 장치를 조절함으로써 로프의 길이조절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장치는 일반적인 나무에서 성인의 키보다도 높은 지점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기에, 종래에는 사다리와 같은 작업도구를 이용하거나 작업자가 힘겹게 체결하는 등의 수고스러움이 많이 발생하였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10091 shown in FIG. 1 shows that the existing tree branch supporting apparatus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ing member to which the rope is coupled, or a separate devic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rope. Since such a device is often formed at a point higher than the height of an adult in a general tree, conventionally, laborious work such as the use of a working tool such as a ladder or a hard work of the worker, has occurred.

KR 10-0810091 B1 ("과일나무 가지 지지장치") 2008.03.05.KR 10-0810091 B1 ("Fruit tree branch support device") 2008.03.05. KR 10-2016-0144893 A ("유실수 나뭇가지의 인위적 결속지지장치 및 그 방법") 2016.12.19.KR 10-2016-0144893 A (" An artificial binding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for tree branches ") 2016.12.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실수가 과실의 하중에 의해 나뭇가지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비, 바람, 태풍 등 자연 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가지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나뭇가지를 지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reventing the twigs from bending or breaking due to the load of fruit, The purpose is to support the branches to minimize dama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뭇가지 지지 장치는, 로프로 연결되어 나뭇가지(t)를 지지하는 나뭇가지 지지 장치에 있어서, 나뭇가지를 지지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제1걸림홈, 상기 본체의 타단에 형성된 제2걸림홈 및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가 상기 제1걸림홈 및 제2걸림홈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ee branch supporting apparatus connected to a rope so as to support a branch t, the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for supporting branch branches; A first latching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nd a fixing portion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rope passes through the first latching groove and the second latching groove, To be fixed.

이때 상기 본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본체 및 제2본체로 구획되되, 상기 제1걸림홈은 상기 제1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홈은 상기 제2본체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제2본체 상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body is divided into a first main body and a second main body with reference to a center line, the first latching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latching groov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main body And the fix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또한 상기 고정부는 복수의 고정홈 및 로프가 일측에서 상기 고정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 및 외측 사이에 배치되는 인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and a lead-in groove disposed between the fixing groove and the outer side so that the rope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from one side.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입홈이 복수로 이루어지되,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홈의 일측에 인입홈이 배치되며, 인입홈이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의 직경이 상기 인입홈의 너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the recessed grooves, wherein the recessed grooves are disposed at one side of at least two of the fixing grooves, and the diameter of the fixing groove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ssed grooves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recessed grooves .

아울러 상기 제1본체 및 제2본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되 상기 제1본체의 단부가 상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걸림홈이 상기 제2걸림홈 보다 상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and the end of the first body may extend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irst latching groove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latching groove . ≪ / RTI >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나뭇가지 지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tree branch supp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나무를 지지하기 위해 지반에 고정되어 있는 지주와 지주 상단에 고정 배치되어 있는 플랜지에 로프로 연결되어 과실의 하중이나 자연재해 등의 외력에 견디지 못하고 나뭇가지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장치에서 나뭇가지의 손상을 막기 위해 분리형으로 부착하는 가지받침대를 사용하지 않고 나뭇가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장치를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damage such as warpage or breakage of a tree branch due to a strut fixed to the ground to support the tree and a flange fixedly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trut so that it can not withstand external forces such as fruit load or natural disaster, Can be minimized.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orkforce used for installing the apparatus by having a shape that minimizes the damage of the branches without using a branch bracket that is detachably attache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branches in the existing apparatus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은 플랜지와 연결되는 로프를 제1걸림홈에 삽입 후 제2걸림홈을 거쳐 제1고정홈과 제2고정홈으로 연결함에 따라, 기존 고리부에 하중이 치중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더불어, 장치 전반에 걸쳐 하중이 분산되기 때문에 지지력을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that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existing annular portion by connecting the rope connected to the flange to the first retaining groove and the second retaining groove through the second retaining groove after inserting the rope into the first retaining groove,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pporting force is improved because the load is dispersed throughout the apparatus.

아울러 본 발명은 작업자가 사다리 등의 작업도구가 없어도 쉽게 로프 조절이 가능하며, 낮은 위치에서도 로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의성이 보다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adjust the rope without the need for a work tool such as a ladder and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rope even in a low posi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과실나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뭇가지 지지 장치가 부착된 과실나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뭇가지 지지 장치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뭇가지 지지 장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뭇가지 지지 장치의 정면도 및 요부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홈 및 제2걸림홈 각각의 확대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뭇가지 지지 장치의 사용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uit tre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uit tree with a tree branch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ee branch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front views of a tree branch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and a main part enlarged view of a tree branch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each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10 illustrate use of a tree branch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the size, lin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omewhat exaggerated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customs,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is term should be based on the entire contents of this specifica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2는 나뭇가지 지지 장치가 부착된 과실나무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나뭇가지 지지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보다 명료한 설명을 위해 나뭇가지 지지 장치를 지지장치로 간추려서 설명한다.2 and 3 sho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fruit tree with a tree support apparatus, and FIG.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tree support apparatus.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larity, the tree branch suppor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s a support apparatus.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지장치(10)는 나무(T)의 나뭇가지(t)를 지지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과의 결합을 통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2의 경우에는 그 일 예로 지주(20) 및 플랜지(30)와의 로프(W) 연결을 통해 나뭇가지(t)를 지지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2, the support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means for supporting the branches t of the tree T, and in the case of FIG. 2, for example, (T) through a rope (W) connection with the flange (20) and the flange (30).

이때 상기 지주(20)는 지면상에 고정되거나 나무(T)와 함께 묶여있는 등 여러 고정방법을 통해 나무(T)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주(20) 상에는 플랜지(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30)에는 로프(W)가 연결되는 고리부(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프(W)는 나뭇가지(t)를 지지하는 지지장치(10) 및 고리부(3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로프(W)의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나뭇가지(t)의 들림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illars 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ree T through various fixing methods, such as being fixed on the ground or tied with the tree T, and a flange 30 is formed on the pillars 20 . The flange 30 may be formed with a ring 31 to which a rope W is connected and the rope W includes a support device 10 and a ring 31 for supporting the branch t, Respectively. The user can adjust the lifting degree of the branch t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W.

아울러, 본 발명의 지지장치(10)는 앞선 지주(20) 및 플랜지(30)와의 연결이 아닌, 나무(T)의 상단부와 로프(W)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프레임이 주변에 배치된 경우에는 해당 프레임과의 연결을 통해 나뭇가지(t)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지지장치(10)는 지주(20) 및 플랜지(30)가 형성된 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 나뭇가지(t)를 받칠 수 있다면 여러 수단과의 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support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wood T through the rope W rather than to the front strut 20 and the flange 30,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branch t through a connection with the frame. Thus, the support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ombination of various means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branch t, not limited to the support 20 and the flange 30 formed.

이어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지장치(10)는 본체(100), 제1걸림홈(200), 제2걸림홈(300) 및 고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나뭇가지(t)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보편적으로는 나뭇가지(t)의 하부를 받치도록 형성되나, 하부가 아닌 측부를 받침으로써 처짐을 방지하도록 사용방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장치(10)에 대해서는 추후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3, the support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0, a first locking groove 200, a second locking groove 300, and a fixing portion 400. The main body 1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ranch t 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the main body 100 is form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branch t. However, You can also change the way you use it. The supporting device 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는 나뭇가지 지지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며 도 6은 나뭇가지 지지 장치의 정면도 및 요부확대도를 나타낸다.Figs. 4 to 6 show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5 show a front view of the tree holding device, and Fig. 6 shows a front view and an enlarged view of the tree holding device.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본체(100)는 하(下)반원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제1걸림홈(200)이 단부에 형성된 제1본체(110) 및 상기 제2걸림홈(300)이 단부에 형성된 제2본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본체(110)는 상측방향으로 일부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걸림홈(200)이 상기 제2걸림홈(300)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나뭇가지에 대해서 커버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선(C)은 가상의 선으로 기울기가 하측으로 향하다 상측으로 변경되는 지점이 놓여진 선이나 본체(100)의 좌우측 단부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되는 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lower semicircular shape,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C. FIG.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first body 110 having the first latching groove 200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 second body 120 having the second latching groove 300 formed at an end thereof . In addition, the first body 110 is partially extended upward, and the first latching groove 200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latching groove 30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range of coverage for branches of various sizes can be widened. The center line C may be a line on which a point where the slope of the center line 100 is shifted downward by an imaginary line is placed or a lin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enter line 100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in body 100.

또한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1걸림홈(200)은 좌우방향으로 연통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걸림홈(300)은 상하방향으로 연통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홈(200) 및 제2걸림홈(300)의 연통방향은 사선방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걸림홈(200) 및 제2걸림홈(300)의 연통방향이 서로 수직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홈의 연통된 방향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latching groove 2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may be formed with a groove communic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latching groove 30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communi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mmunication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grooves 200 and 300 may be diagonal.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grooves 200 and 300 may be formed so that the directio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grooves 200 and 300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제2본체(120)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본체(120) 상에 형성되었다는 것은 상기 고정부(400)가 일부 제1본체(110)에 걸쳐지더라도 전반적으로 상기 제2본체(120) 상에 치우쳐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즉, 고정부(400)의 중심선이 상기 제2본체(120) 상에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400)의 중심선은 체적 기준으로 중심이 되는 점에서 상하로 연장된 선이거나 좌우 양단부 기준으로 중심에 배치된 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xing part 40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main body 120. The fixing part 400 may be formed on the first main body 110 But is biased on the second body 120 as a whole. That is, it may mean that the center line of the fixing part 400 is arranged to be formed on the second main body 120, and the center line of the fixing part 400 may be vertically extended Line or a line center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이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400)는 고정홈(410) 및 인입홈(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홈(410) 및 인입홈(420)은 단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홈(410)의 개수가 인입홈(420)의 개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일예와 같이 3개의 고정홈(411,412,413) 및 2개의 인입홈(421,422)으로 이루어지는 고정부(400)를 통해 앞서 기재된 바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part 400 may include a fixing groove 410 and a lead-in groove 420. At this time, the fixing grooves 410 and the inlet grooves 420 may be a single or plural, and the number of the fixing grooves 410 may be more than the number of the inlet grooves 420.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the fixing member 400 including the three fixing grooves 411, 412 and 413 and the two fixing grooves 421 and 42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3개의 고정홈(411,412,413)인 은 도 5 기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인입홈(421,422)은 제1고정홈(411) 및 제2고정홈(412)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고정홈(411) 및 제2고정홈(412)이 외부로 개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프(W)가 일측에서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로프(W)를 지지장치(10) 상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three fixing grooves 411, 412 and 413 may be formed so as to penetr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FIG. 5, and the two fixing grooves 421 and 42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groove 411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412 So that the first fixing groove 411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412 can be opened to the outside. Thus, the rope W can be inserted from one side, and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fix the rope W on the supporting device 10. [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입홈(421) 및 제2인입홈(422)이 일측에 형성된 제1고정홈(411) 및 제2고정홈(412)은 각각 일정한 홈의 직경(D)을 가지되, 상기 홈의 직경(D)은 상기 제1인입홈(421) 및 제2인입홈(422)의 너비(L)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로프(W)가 일측에 삽입될 시에 입구가 좁되 내부는 넓게 형성됨에 따라 로프(W)가 고정홈(411,412) 내부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제1고정홈(411)에서 제2고정홈(412)으로 삽입하면서 잡아당길 시에 고정홈의 공간적 여유를 통해 보다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6, the first fixing groove 411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412, which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let groove 421 and the second inlet groove 422, D and the diameter D of the groove is larger than the width L of the first inlet groove 421 and the second inlet groove 422. [ That is, when the rope W is inserted into one side, the entrance is narrow and the inside is wide, thereby preventing the rope W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fixing grooves 411 and 412,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fixed with less force through spatial clearance of the fixing groove when pull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groove 412.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7은 제1걸림홈 및 제2걸림홈 각각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걸림홈(200)은 내부에 중공부(210)가 형성되어 로프(W)가 상기 제1걸림홈(200)의 중공부(210)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홈(200)의 중공부(210)를 로프(W)가 관통하면, 제2걸림홈(300)의 중공부(310)를 로프(W)가 관통하도록 체결할 수 있다. Fig.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each of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7 (a), a hollow portion 210 is formed in the first latching groove 200 so that the rope W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210 of the first latching groove 200 So as to be inserted in the through-hole direction. When the rope W passes through the hollow portion 210 of the first retaining groove 200, the hollow portion 310 of the second retaining groove 300 can be fastened so that the rope W passes through the hollow portion 310.

그리고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2걸림홈(300)에는 개구부(320)가 형성되어, 제2걸림홈(300)의 중공부(310)가 외측으로 일부분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320)는 제2걸림홈(300)의 중공부(310)의 직경보다는 너비가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걸림홈(200)은 로프(W)가 이탈할 수 없는 폐쇄적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걸림홈(300)은 외측으로 인입하여 로프를 걸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7 (b), an opening 320 is formed in the second latching groove 300, and the hollow portion 310 of the second latching groove 300 is partially opened to the outside can do. The opening 320 may have a width smaller than a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310 of the second latching groove 300. Accordingly, the first latching groove 200 may have a closed structure in which the rope W can not be released, and the second latching groove 300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for pulling the rope outward .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8 내지 도 10은 나뭇가지 지지 장치의 사용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로프(W)는 나뭇가지를 받치고 있는 본체(10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걸림홈(200) 및 제2걸림홈(3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걸림홈(200)은 제1방향으로 홈이 관통되되, 상기 제2걸림홈(300)은 제2방향으로 홈이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방향은 로프(W)가 인입되는 방향으로부터 제2걸림홈(300)이 배치된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제2방향(300)은 상측에서 인입되는 로프(W)가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400)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Figs. 8 to 10 show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to 10 illustrate use examples of the tree branch supporting apparatus. 8 to 10, the rope W ca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atching grooves 200 and 300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supporting the branches. At this time, the first latching groove 200 is passed through the groov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latching groove 300 can be passed through the groove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rope W is inserted And the second direction 300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rope W drawn in from the upper side is directed to the fixed portion 400 disposed on the lower side .

그리고 상기 로프(W)는 상기 고정부(400)의 제1고정부(411) 및 제2고정부(412)를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로프(W)는 상기 제1고정부(411)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도록 인입되되 상기 제2고정부(412)에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인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고정부(411)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도록 인입되되 상기 제2고정부(412)에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도록 인입될 수 있다.The rope W may pass sequentially through the first fixing part 411 and the second fixing part 412 of the fixing part 400 and the rope W may pass through the first fixing part 411 And the second fixing part 412 may be insert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r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first fixing part 411 and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second fixing part 412.

그리고 상기 제3고정부(413)는 상기 제1고정부(411)에 인입되기 이전에 우선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거나,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411) 및 제2고정부(412)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이후에 최종적으로 체결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third fixing part 413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first fixing part 411 and the second fixing part 411, (412), and finally, they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이를 통해 사용자는 로프(W)의 길이 조절이 보다 용이하기 때문에, 나뭇가지가 들리는 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앞선 기재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더불어 나무에 가는 스트레스를 보다 줄일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이 발생될 수 있다.This allows the us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rope W more easily, so that the degree of hearing of the branches can be easily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further reduce stress on the wood.

아울러 본 발명은 제1본체(110) 상에 결속홈(111)이 형성되어 결속로프(112)를 통해 로프(W)를 말아서 결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로프(W)가 제1고정홈(411) 및 제2고정홈(412)을 지나 상기 결속로프(112)를 통해 결속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a binding groove 111 is formed on the first body 110 and the rope W is rolled through the binding rope 112 to bind. Accordingly, the rope W is coupled through the first fixing groove 411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412 through the binding rope 112,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user can use the rope W more convenientl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것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권리범위에 포함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is encompass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 equivalents thereof.

T : 나무 t : 나뭇가지
W : 로프
10 : 나뭇가지 지지 장치 20 : 지주
30 : 플랜지 31 : 고리부
100 : 본체
110 : 제1본체 111 : 결속홈
112 : 결속로프 120 : 제2본체
200 : 제1걸림홈 210 : 중공부
300 ; 제2걸림홈
310 : 중공부 320 : 개구부
400 : 고정부
410 : 고정홈 411 : 제1고정홈
412 : 제2고정홈 413 : 제3고정홈
420 : 인입홈
421 : 제1인입홈 422 : 제2인입홈
T: Wooden t: Branches
W: Rope
10: tree branch support device 20: holding
30: flange 31:
100:
110: first main body 111: binding groove
112: binding rope 120: second body
200: first latching groove 210: hollow portion
300; The second latching groove
310: hollow part 320: opening
400:
410: fixing groove 411: first fixing groove
412: second fixing groove 413: third fixing groove
420: inlet groove
421: first inlet groove 422: second inlet groove

Claims (3)

로프(W)로 연결되어 나뭇가지(t)를 지지하는 나뭇가지 지지 장치에 있어서,
나뭇가지(t)를 지지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걸림홈(200);
상기 본체(100)의 타단에 형성된 제2걸림홈(300); 및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로프(W)는 상기 제1걸림홈(200) 및 제2걸림홈(300)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400)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100)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로 구획되되,
상기 제1걸림홈(200)은 상기 제1본체(110)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홈(300)은 상기 제2본체(12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400)는 제2본체(120) 상에 결합되며,
상기 제1본체(110) 및 제2본체(120)는 중심선(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되 상기 제1본체(110)의 단부가 상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걸림홈(200)이 상기 제2걸림홈(300)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400)는
복수의 고정홈(410) 및 로프(W)가 일측에서 상기 고정홈(410)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홈(410) 및 외측 사이에 배치되는 인입홈(420)을 포함하며,
상기 인입홈(420)은 복수로 형성되되,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홈(410)의 일측에 인입홈(420)이 배치되며,
인입홈(420)이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410)의 직경(D)이 상기 인입홈(420)의 너비(W)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뭇가지 지지 장치.
1. A tree branch support device connected to a rope (W) for supporting a branch t,
A main body 100 for supporting the branch t;
A first latching groove 200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A second latching groove 30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A fixing part 400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 ≪ / RTI >
The rope W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40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grooves 200 and 300,
In the main body 100,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20 are divided by the center line C,
The first latching groove 200 is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body 110,
The second latching groove 300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body 120,
The fixing part 400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120,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enter line C and the end of the first body 110 extends up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atching groove (300)
The fixing part 400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410 and an inlet groove 420 disposed between the fixing grooves 410 and the outside so that the rope W can be drawn into the fixing grooves 410 from one side,
The inlet grooves 420 are formed in a plurality,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two fixing grooves 410 is provided with a lead-in groove 420,
Wherein the diameter D of the fixing groove 410 formed at one side of the inlet groove 420 is larger than the width W of the inlet groove 420. [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27887A 2018-03-09 2018-03-09 Support device of branches KR101952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887A KR101952279B1 (en) 2018-03-09 2018-03-09 Support device of branc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887A KR101952279B1 (en) 2018-03-09 2018-03-09 Support device of branch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279B1 true KR101952279B1 (en) 2019-05-23

Family

ID=6668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887A KR101952279B1 (en) 2018-03-09 2018-03-09 Support device of branch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27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6168A (en) * 2020-03-10 2020-06-19 梁朝智 Branch haulage rope pile driver for nursery stock plastic
CN116616115A (en) * 2023-07-20 2023-08-22 天水师范学院 Fruit tree branch pulling equipm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91B1 (en) 2007-07-05 2008-03-05 김수년 Tree branch supporting device
KR20080003476U (en) * 2008-07-30 2008-08-20 오세원 A supporting device for branches of fruit tree
KR20100035190A (en) * 2008-09-26 2010-04-05 김수년 Tree branch supporting device
KR20100007629U (en) * 2009-01-20 2010-07-29 박현수 Supporting device for branch deflecting prevention of fruit trees
KR20120001978U (en) * 2010-09-08 2012-03-16 권상현 Supporter for branch of trees
KR20160144893A (en) 2015-04-23 2016-12-19 주식회사 한솔영농과학 Fruit trees, artificial branches and solidarity, supporting device and how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091B1 (en) 2007-07-05 2008-03-05 김수년 Tree branch supporting device
KR20080003476U (en) * 2008-07-30 2008-08-20 오세원 A supporting device for branches of fruit tree
KR20100035190A (en) * 2008-09-26 2010-04-05 김수년 Tree branch supporting device
KR20100007629U (en) * 2009-01-20 2010-07-29 박현수 Supporting device for branch deflecting prevention of fruit trees
KR20120001978U (en) * 2010-09-08 2012-03-16 권상현 Supporter for branch of trees
KR20160144893A (en) 2015-04-23 2016-12-19 주식회사 한솔영농과학 Fruit trees, artificial branches and solidarity, supporting device and how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6168A (en) * 2020-03-10 2020-06-19 梁朝智 Branch haulage rope pile driver for nursery stock plastic
CN111296168B (en) * 2020-03-10 2021-12-21 梁朝智 Branch haulage rope pile driver for nursery stock plastic
CN116616115A (en) * 2023-07-20 2023-08-22 天水师范学院 Fruit tree branch pulling equipment
CN116616115B (en) * 2023-07-20 2023-09-15 天水师范学院 Fruit tree branch pull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229B1 (en) Supporter for a pepper plant
KR101952279B1 (en) Support device of branches
KR200427015Y1 (en) Prevention equipment of fruit tree
KR20180006217A (en) Crop support easily adjustable arms gap
US4026068A (en) Support for a tomato plant
KR20160144893A (en) Fruit trees, artificial branches and solidarity, supporting device and how
KR20180093845A (en) A device of support for pepper's stem
US20080092439A1 (en) Tree stake
JP2020018286A (en) Fruit tree branch-attracting support
KR102306948B1 (en) Supporting device for pepper
KR102062495B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US20220192108A1 (en) Trellis
US20170339850A1 (en) Method of growing grapes
KR200490531Y1 (en) Fruit branch support device for crop protection
KR101643664B1 (en) Post cap for rope on and birds prevention net
EP3484270A1 (en) Arched stem support
JP2010246415A (en) Hanging hook for plant cultivation, and method for cultivating plant
KR200394185Y1 (en) a supporting structure of red pepper
KR102470178B1 (en) Fixed structure for growing fruit trees
CN215224278U (en) Bird device is prevented in field
CN213044470U (en) Modular frame is planted to passion fruit
CN217986192U (en) Fruit tree strutting arrangement for farming
KR102281228B1 (en) Agricultural pipe clamps
CN217038114U (en) Vine suspension device for greenhouse
JPS5828511Y2 (en) agricultural lifting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