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039B1 - Stroller with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 Google Patents

Stroller with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039B1
KR101952039B1 KR1020170139353A KR20170139353A KR101952039B1 KR 101952039 B1 KR101952039 B1 KR 101952039B1 KR 1020170139353 A KR1020170139353 A KR 1020170139353A KR 20170139353 A KR20170139353 A KR 20170139353A KR 101952039 B1 KR101952039 B1 KR 101952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frame body
braking mechanism
handle
moving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3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정훈
Original Assignee
송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훈 filed Critical 송정훈
Priority to KR1020170139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0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0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with a braking mechanism for a moving walk, including; a frame main body forming a handle; wheels respectively installed on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of a lower end portion of the frame main body; and a frame seat installed on the frame main body and maintaining a posture of laying or seating infants or children, wherein the fram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braking mechanism complementarily fastened to a floor plate of the moving walk.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of preventing all accidents which may occur due to the slide of the stroller on the moving walk in advance.

Description

무빙워크용 제동기구를 구비한 유모차{Stroller with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with a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본 발명은 무빙워크용 제동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이동 하는 무빙워크의 바닥판에 유모차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전용 제동기구를 구성하여 유모차의 안전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무빙워크용 제동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ller provided with a braking mechanism for a moving 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oller which is capable of safely fixing a stroller to a bottom plate of an inclined moving work, To a stroller equipped with a braking mechanism for a moving work.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나 아동이 보모와 산책하거나 쇼핑할 때 동행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필수품이다.In general, baby strollers are a necessity that can be used by infants or children to accompany their babysitters while walking or shopping.

이러한 유모차는 기본적으로 유아나 아동을 눕히거나 앉게 할 수 있는 본체와,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복수개의 바퀴와 사용자가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하기 위한 손잡이 등으로 구성되며, 이동시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밀거나 당김으로서 바퀴가 굴러 이동하게 된다.Such a baby carriage is basically composed of a main body capable of laying down or sitting on an infant or a child, a plurality of wheels mounted for movement, and a handle for allowing the user to move comfortably. Or pulling the wheels to roll.

최근에는 유모차의 주행성, 안정성, 경량화 등의 기능에 맞춰 형상 구조 및 기능적으로 많은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는게 사실이다In recent years, it is true that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stroller have been improved in accordance with functions such as driving ability, stability, light weight, etc.

그러나, 종래의 유모차는 대형 마트나 백화점에 설치되어 있는 무빙워크를 이용할 때 유모차를 무빙워크의 바닥판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제동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자칫 보모가 유모차를 놓치거나 유모차의 무게를 못이겨 넘어지게 되면 유모차에 타고 있는 아이는 물론 주변 사람들을 다치게 하는 등의 대형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roller does not have a braking device that can stably fix the stroller to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when using a moving mall installed in a large mart or a department store, so that the nanny misses the stroller or the weight of the stroller If the baby falls over, it can lead to a large-scale safety accident, such as injuring a child in a stroller as well as people around him.

물론, 유모차에는 기본적으로 바퀴를 움직임을 제동시킬 수 있는 제동부를 마련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바퀴가 움직이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으로 평지에서 효과적일 뿐, 경사이동 하는 무빙워크에는 그 제동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다.Of course, the stroller basically has a braking part for braking the wheels, but it is effective only in the flat area by restricting the wheels from moving, none.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735925호(2017.05.08)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735925 (Jul. 20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경사이동 하는 무빙워크의 바닥판에 유모차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전용 제동기구를 구성하여 유모차의 안전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무빙워크용 제동기구를 구비한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aking mechanism capable of safely fixing a baby carriage to a bottom plate of a moving walk, And a braking mechanism for a moving work.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빙워크용 제동기구를 구비한 유모차는, 손잡이를 구성한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단부 앞쪽과 뒷쪽에 각각 설치되는 바퀴;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며 유아나 아동을 눕히거나 앉는 자세유지를 위한 프레임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 본체에는 무빙워크의 바닥판과 상보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동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stroller provided with a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body constituting a handle; Wheels mounted respectively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body; And a frame seat installed on the frame body for holding an infant or child lying down or sitting posture, wherein the frame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braking mechanism which is complementarily fasten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

상기 제동기구는 상기 손잡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 하는 작동손잡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회전축과, 상기 작동손잡이와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무빙워크의 바닥판과 체결되는 요홈부를 구비한 제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braking mechanism includes an operating knob provided below the handle and moving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a rotation shaf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body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link member And a braking member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 groove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상기 제동부재는 회전작용 시 무빙워크의 바닥판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원호형 곡률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동부재와 바닥판이 상호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뒷 바퀴는 무빙워크의 바닥판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braking member forms an arc-shaped curvature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and when the braking member and the bottom plate are maintained in mutually engaged state, And is spaced apart.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작동손잡이에 연결되는 체결구를 형성한 제1 링크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체결구를 형성한 제2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link member includes a first link formed with a fastener connected to the operating handle, a second link provided with a fastene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a link pin connect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

상기 손잡이 쪽의 프레임 본체에는 상기 작동손잡이의 승강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는 상기 작동손잡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elevating movement path of the operating knob is formed in the frame body of the handle,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perating knob is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무빙워크의 바닥판과 상보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동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유모차가 무빙워크 위에서 미끄러져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constituting the braking mechanism that is complementarily fasten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it is possible to prevent all the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the slide of the stroller on the moving workpiec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빙워크용 제동기구를 구비한 유모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동기구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동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having a braking mechanism for a moving 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ing mechanism of Fig. 1;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raking mechanism of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raking member of Fig.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빙워크용 제동기구를 구비한 유모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baby carriage having a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at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빙워크용 제동기구를 구비한 유모차는 손잡이(110)를 구성한 프레임 본체(100)와,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하단부 앞쪽과 뒷쪽에 각각 설치되는 바퀴(200)와, 상기 프레임 본체(100)에 설치되며 유아나 아동을 눕히거나 앉는 자세유지를 위한 프레임 시트(300) 및 상기 프레임 본체(100)에 설치되어 무빙워크(M)의 바닥판과 상보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동기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aby carriage with the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body 100 constituting a handle 110, wheels 200 (see FIG. 1)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body 100, A frame sheet 300 installed on the frame body 100 for holding a child or a child in a sitting posture and a frame sheet 300 provided on the frame body 100 and complementary to a bottom plate of a moving work M And a braking mechanism (400) for fastening.

먼저, 상기 프레임 본체(100)는 유모차의 형태 및 구조를 형상화하는 골조로써, 중량이 가벼운 다수의 알루미늄 소재로 조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frame body 100 is a framework for shaping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baby carriage, and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lightweight aluminum materials.

이러한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후방측 상단에는 사용자가 유모차를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손잡이(110)가 형성된다.A handle 110 is formed on an upper rear side of the frame body 100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operate the stroller.

또한, 상기 손잡이(110)가 형성되는 프레임 본체(100)에는 후술할 제동기구(400) 작동손잡이(410)의 승강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20) 내부에는 상기 작동손잡이(4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30)이 설치된다.A guide groove 120 is formed in the frame body 100 on which the handle 110 is formed to guide a moving path of an operation handle 410 of a braking mechanism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a spring 13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perating handle 410 is installed therein.

한편, 상기 바퀴(200)는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하단부 앞쪽과 뒷쪽에 각각 설치되는 구성이다.Meanwhile, the wheels 200 are install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body 100, respectively.

즉, 상기 바퀴(200)는 사용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100)를 밀거나 당기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 본체(100)가 지면에 대하여 원활하게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전운동하는 구성요소이다.That is, the wheel 200 is a component that rotates so that the frame body 100 can be smoothly moved relative to the grou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pushes or pulls the frame body 100.

이러한 상기 바퀴(200)는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앞쪽에 1개 또는 2개, 뒷쪽에 1개 또는 2개 등 다양한 배치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The wheels 200 may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arrangements such as one or two on the front side and one or two on the rear side depending 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rame body 100.

상기 프레임 시트(300)는 상기 프레임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아나 아동을 눕히거나 앉는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rame sheet 300 is installed in the frame body 100 and serves to stably maintain the posture of the infant or the child.

이러한 상기 프레임 시트(300)는 합성섬유 소재로 제작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sheet 300 is made of a synthetic fiber material and is removably attachable.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요소인 제동기구(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rake mechanism 400, which is a characteristic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제동기구(400)는 상기 프레임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형 마트나 백화점에 설치되어 있는 무빙워크(M)를 이용할 때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The braking mechanism 400 is installed in the frame body 100 and is a component used when a moving mall M installed in a large mart or a department store is used.

상기 제동기구(400)는 무빙워크(M)의 바닥판과 상보적으로 체결되어 유모차가 무빙워크에 결속되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기능을 제공한다.The braking mechanism 400 is complementarily fasten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M to provide a fixing function so that the stroller is engaged with the moving work and can maintain a stable fixed state.

즉, 본 발명에 따른 제동기구(400)는 단순히 바퀴(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아니라 무빙워크(M)의 바닥판과 상보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That is, the braking mechanism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tructure for simply fixing the wheel 200, but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M is complementarily fastened.

구체적으로, 상기 제동기구(400)는 상기 손잡이(11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 하는 작동손잡이(410)와,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회전축(420)과, 상기 작동손잡이(410)와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부재(430)와, 상기 회전축(420)에 설치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무빙워크(M)의 바닥판과 체결되는 요홈부(441)를 구비한 제동부재(440)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braking mechanism 400 includes an operating handle 410 installed below the handle 110 and moving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braking mechanism 40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body 100, A link member 430 that connects the operating handle 410 and the rotating shaft to the rotating shaft 420 and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be coupl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M, And a braking member 440 provided with a recessed portion 441.

또한, 상기 링크부재(430)는 상기 작동손잡이(110)에 연결되는 체결구를 형성한 제1 링크(431)와, 상기 회전축(420)에 연결되는 체결구를 형성한 제2 링크(432)와, 상기 제1 링크(431)와 제2 링크(432)를 연결하는 링크핀(433)으로 구성된다.The link member 430 includes a first link 431 having a fastening member connected to the operation handle 110 and a second link 432 having fastening members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420. [ And a link pin 433 connecting the first link 431 and the second link 432.

또한, 상기 제동부재(440)는 회전작용 시 무빙워크(M)의 바닥판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원호형 곡률부(440a)를 형성하며, 상기 제동부재(440)가 무비워크(M)의 바닥판과 상호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경우, 뒷 바퀴(200)는 무빙워크(M)의 바닥판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로 승강하게 된다.The braking member 440 forms an arc-shaped curvature portion 440a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M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The rear wheel 200 moves up and down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M by a predetermined height.

이러한 상기 제동기구(400)가 설치된 유모차가 평지를 이동할 때는 상기 제동부재(440)가 지면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제1 링크(431)와 제2 링크(432)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접혀진 형태를 유지한다.When the baby carriage in which the braking mechanism 400 is installed moves on a flat surface, the braking member 440 is maintained in a raised stat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ground. At this time, the first link 431 and the second link 432 are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한편, 무빙워크(M)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동기구(400)의 작동손잡이(410)를 손잡이(110) 쪽으로 잡아당기면 접혀 있던 상기 제1 링크(431)와 제2 링크(432)가 직선방향으로 펴지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축(42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420)에 연결되어 있는 제동부재(4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무빙워크(M)의 바닥판과 결속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operating handle 410 of the braking mechanism 400 is pulled toward the knob 110 when the moving work M is to be used, the first link 431 and the second link 432, which are folded, The braking member 440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42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is engaged with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M to rotate in the fixed state .

이후, 상기 제동부재의 원호형 곡률부가 무빙워크(M)의 바닥면 끝지점에 도달하여 손잡이(110)를 앞쪽으로 밀거나 지면에 부딪히는 힘을 전달받으면 상기 링크부재(430)의 제1 링크(431)와 제2 링크(432)가 다시 소정 각도 접혀 원래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유모차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arcuate curvature portion of the braking member reaches the bottom end of the moving work M and receives a force to push the handle 110 forward or to collide with the ground, 431 and the second link 432 are folded back at a predetermined angle to return to the original initial position and the baby carriage can be moved free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프레임 본체 110 : 손잡이
130 : 스프링 200 : 바퀴
300 : 프레임 시트 400 : 제동기구
410 : 작동손잡이 420 : 회전축
430 : 링크부재 431 : 제1 링크
432 : 제2 링크 433 : 링크핀
440 : 제동부재 441 : 요홈부
100: frame body 110: handle
130: spring 200: wheel
300: frame sheet 400: brake mechanism
410: operating handle 420: rotating shaft
430: link member 431: first link
432: second link 433: link pin
440: Braking member 441: Needle groove

Claims (5)

손잡이를 구성한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단부 앞쪽과 뒷쪽에 각각 설치되는 바퀴;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프레임 시트;
상기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는 제동기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동기구는 상기 손잡이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 하는 작동손잡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에 설치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운동 하는 회전축과, 상기 작동손잡이와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무빙워크의 바닥판과 상보적으로 체결되는 요홈부를 구비한 제동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동부재는 회전작용 시 무빙워크의 바닥판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원호형 곡률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동부재와 바닥판이 상호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뒷 바퀴는 무빙워크의 바닥판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며,
상기 제동부재의 원호형 곡률부는 무빙워크 바닥판의 끝지점에 도달하여 상기 손잡이를 앞쪽으로 밀거나 지면에 부딪히는 힘을 전달받으면 상기 링크부재가 소정 각도 접혀 원래의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워크용 제동기구를 구비한 유모차.
A frame body constituting a handle;
Wheels mounted respectively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body;
A frame sheet provided on the frame body;
And a braking mechanism installed in the frame body,
Wherein the braking mechanism includes an operating knob provided below the handle and moving up and down in a vertical direction, a rotation shaf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body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a link member And a braking member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 recess portion which is rotated clockwise to be complementarily fasten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Wherein the braking member forms an arc-shaped curvature por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 in the rotating operation,
When the braking member and the bottom plate are held in mutual engagement, the rear wheels ar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of the moving workpiece by a predetermined height,
Wherein the arc-shaped curvature portion of the braking member reaches the end point of the moving work bottom plate and pushes the handle forward or receives a force that hits the ground, the link member is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return to its original initial position A stroller provided with a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작동손잡이에 연결되는 체결구를 형성한 제1 링크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체결구를 형성한 제2 링크와, 상기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연결하는 링크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워크용 제동기구를 구비한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nk member includes a first link formed with a fastener connected to the operating handle, a second link provided with a fastener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and a link pin connect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nd a braking mechanism for a moving work.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쪽의 프레임 본체에는 상기 작동손잡이의 승강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는 상기 작동손잡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워크용 제동기구를 구비한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A guide groove for guiding an elevating movement path of the operating knob is formed in the frame body of the handle, and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operating knob is provided in the guide groove. A stroller.
KR1020170139353A 2017-10-25 2017-10-25 Stroller with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KR1019520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53A KR101952039B1 (en) 2017-10-25 2017-10-25 Stroller with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53A KR101952039B1 (en) 2017-10-25 2017-10-25 Stroller with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039B1 true KR101952039B1 (en) 2019-05-20

Family

ID=6667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353A KR101952039B1 (en) 2017-10-25 2017-10-25 Stroller with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03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638U (en) * 1991-10-30 1993-05-21 光男 佐藤 Foot-operated brake mechanism
JPH0634561U (en) * 1992-10-15 1994-05-10 コンビ株式会社 Brake structure for wheels in infant chairs
KR200276442Y1 (en) * 1999-05-07 2002-05-22 전창옥 A wheel of a shopping cart
KR101589218B1 (en) * 2014-03-20 2016-01-27 이준석 Brake for stroller
KR101735925B1 (en) 2015-06-10 2017-05-15 김소영 Stroller with optional pivot whee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638U (en) * 1991-10-30 1993-05-21 光男 佐藤 Foot-operated brake mechanism
JPH0634561U (en) * 1992-10-15 1994-05-10 コンビ株式会社 Brake structure for wheels in infant chairs
KR200276442Y1 (en) * 1999-05-07 2002-05-22 전창옥 A wheel of a shopping cart
KR101589218B1 (en) * 2014-03-20 2016-01-27 이준석 Brake for stroller
KR101735925B1 (en) 2015-06-10 2017-05-15 김소영 Stroller with optional pivot whee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700B2 (en) Stroller with travel seat attachment
US5395154A (en) Foldable baby chair
US4736959A (en) Convertible carriage
US4765645A (en) Safety spreader bar lock for umbrella stroller
US4641844A (en) Babyler folding baby stroller for multiple uses
US7441835B2 (en) Angle-adjustable backrest device for a child highchair
WO2019134503A1 (en) Rotation mechanism for child safety seat
US20080179848A1 (en) Adjustable carrying device for a people carrier, such as a perambulator or stroller
EP2716494A1 (en) Child safety seat
TW201300266A (en) Baby carriage
JP2007509812A (en) Standing board
US2907372A (en) Combination scooter, walker, and stroller
CN110775133A (en) Baby carriage with seat backrest capable of being linked to be folded
JP5755344B2 (en) Folding baby carriage
JPH0310966U (en)
US9937945B1 (en) Collapsible stroller with bouncing seat
KR101952039B1 (en) Stroller with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work
TWI824919B (en) Child stroller apparatus
AU2011101394A4 (en) A Stroller Frame with an Angle Adjustable Second Seat
NO344035B1 (en) Two way foldable four wheel rollator
JP2017214045A (en) Bicycle frontside child seat
CN213566087U (en) Folding baby stroller
CN212332757U (en) Foldable standing children's carriage
TWM630056U (en) Backrest angle adjusting mechanism and infant carrier having the same
CN109159724B (en) Safety seat for baby capable of wal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