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714B1 - Balancing seat settled in elevator - Google Patents

Balancing seat settled in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714B1
KR101951714B1 KR1020170103565A KR20170103565A KR101951714B1 KR 101951714 B1 KR101951714 B1 KR 101951714B1 KR 1020170103565 A KR1020170103565 A KR 1020170103565A KR 20170103565 A KR20170103565 A KR 20170103565A KR 101951714 B1 KR101951714 B1 KR 101951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rotation
stopper
se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호 filed Critical 박정호
Priority to KR102017010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71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7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1/00Bench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including a pair of supports installed as a column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car; a seating part for passenger seating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at both ends; a stopper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each of the supports as a medium for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and the seating part and restricting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seating part; and a cylind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seating part and the seating part with one end supporting the support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the stopper. The seat is present as a heavy object equivalent to 5 to 20% of the maximum loading weight of the elevator car, and thus the balance seat for an elevator can reduce drive load in balance with the counterweight of the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able seat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and can minimize construction area. In addition, the seat can be used by multiple persons, and thus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elevator for weaker persons.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Balancing seat settled in elevat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ancing seat settled i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접이식 구조 이루어져, 상대적 노약자로 하여금 엘리베이터 이용의 편리함을 제공하면서, 대략 최대 적재 중량의 5 내지 20%에 해당하는 중량체로 존재하여, 엘리베이터의 평형추와 밸런스를 맞추어 구동에 따른 부하를 줄이고, 이를 통하여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installed in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t which is provided with a folding structure and is provided with a weight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5 to 20% of a maximum load weight while providing a relative senior citizen with convenience of using an eleva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ance sheet for an elevator that can balance the balance weight of an elevator to reduce a load upon driving and thereby minimize power consumption.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카가 있는 기계장치로서, 건물의 층과 층 사이로 사람들을 자동으로 이동시켜, 고층건물에서의 층간 이동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An elevator is a mechanical device with an elevator car, which is a device for automatically moving people between layers and floors of a building to provide convenience for interlayer movement in high-rise buildings.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층간 이동에 따른 편의시설이 다양하게 마련되고 있으며, 그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0995호 엘리베이터용 의자(이하, 선행기술 이라 함)가 있다.Such an elevator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convenient facilities according to the interlayer movement. Among them, there is a chair for an elevator of Korean Patent No. 10-120099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선행기술은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 중 코너에 위치할 수 있도록 부채꼴로 형성된 시트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일 측벽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태의 출입홀을 통해 상기 코너와 상기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을 벗어난 영역을 상기 시트가 왕래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코너에 상기 시트를 위치시키는 경우 상기 시트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시트의 일측에 형성된 축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시트의 회전중심을 이루며 상기 측벽의 바깥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시트를 상기 출입홀로 통과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웜휠과, 상기 웜휠과 치합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가 구동축에 결합된 전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출입홀이 마련된 측벽과 접하는 상기 엘리베이터의 타 측벽에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시트의 최대 회전시 상기 시트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턱을 필수요소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탑승객의 방해를 최소화시키면서, 임산부 내지는 노약자 등 상대적 약자로 하여금 안전하고 편안한 엘리베이터 이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The prior art includes a seat formed in a fan shape so as to be positioned at a corner of the inner space of the elevator; Moving means for moving the seat horizontally so that the seat can pass through an area outside the inner space of the elevator and the corner through a long hole formed in a long side wall of the elevator; And a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one side of the sheet when the sheet is positioned at the corner, wherein the moving means is coupled with an axial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sheet to form a rotation center of the sheet, And a drive unit for passing the sheet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holes by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The drive unit includes a worm wheel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a worm gear engaged with the worm wheel, Wherein the worm gear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motor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and the supporting means is elongated in the other side wall of the elevator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provided with the entrance hole to support the lower edge of the seat at the maximum rotation of the seat And a support jaw as essential elements, thereby minimizing the disturbance of the passengers, One possible cause is ever with relatively weak such as the elderly safe and comfortable elevator.

그러나 선행기술은 탑승공간으로의 침범이 최소화되도록 시트가 코너에 제한적으로 마련되므로 이용객이 제한적이므로 이용에 한계가 있다.However, the prior art has a limited use because the seat is limited to the corner so that the invasion to the boarding space is minimized, and the number of users is limited.

따라서 탑승공간의 침범 최소화 및 상대적 약자의 편리한 이용과 더불어, 다수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시트가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설치는 물론,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시트에 대한 연구 개발이 절실하다.Therefore, in addition to minimizing the invasion of the boarding space and convenient use of the weak and weak, there is a demand for a seat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seat that is easy to disassemble as well as easy to disassemble, I am desperat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0995호Korean Patent No. 10-120099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는 접이식 구조의 시트로서, 공간의 최소화는 물론, 다수의 인원이 시트를 함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대적 약자의 엘리베이터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type seat of an elevator car, which can minimize space, Which can improve the elevator use convenience of the eleva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석부와 지지대의 결합을 매개하는 스토퍼가 실린더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소정의 탄성적 쿠션 제공이 가능하며, 따라서 시트 사용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balance sheet capable of providing a predetermined resilient cushion and capabl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eat because the stopper that mediates the engagement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upport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cylinder.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석부의 독립된 분해 결합이 가능하여 교체 내지는 수리 등 유지보수의 편의와 함께, 휠체어 내지는 전동차와 같이 부피가 큰 물건 내지는 화물을 적재할 경우, 분해를 통하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securing space through disassembly when a large-sized object such as a wheelchair or an electric train is loaded, And a balance sheet for an elev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트가 엘리베이터카 최대 적재 중량의 5 내지 20%에 해당하는 중량체로 존재하여, 엘리베이터의 평형추와 밸런스를 맞추어 구동에 따른 부하를 줄여 전력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는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system in which the seat is present in a weight corresponding to 5 to 20% of the maximum load weight of the elevator car, so that balance with the elevator weight can be balanced, There is provided a balance sheet for an elevator.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는 시트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 내벽 적어도 일면에 기둥으로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양단이 상기 지지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승객의 착석이 이루어지는 착석부; 상기 한 쌍의 각 지지대에 대칭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와 착석부의 결합을 매개하고 상기 착석부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일단이 상기 지지대를, 타단이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여 상기 착석부와 착석부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상기 엘리베이터카 최대 적재 중량의 5 내지 20%에 해당하는 중량체로 존재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평행추와 밸런스를 맞추어 구동에 따른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at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comprising: a pair of support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an inner wall of the elevator car; A seating part having both end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table and seating the passengers; A stopper provided symmetrically on each of the pair of supporting rods, the stopper restricting the turning radius of the seating portion media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ing rods and the seating portion; And a cylinder elastically supporting one of the seat and the other of the seat and the seat by supporting the stopper, wherein the seat is in a range of 5 to 20% of the maximum weight of the elevator car And the balance weight of the elevator is balanced with the weight of the elevator, thereby reducing the load upon the elevator.

상기 지지대는, 내벽과 마주하는 일면과 양측면이 폐쇄된 ㄷ의 구조를 이루며, 양측면을 이루는 지지패널에 상기 스토퍼의 결합을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하 양단 사이에 상기 지지패널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패널이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base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facing the inner wall and both side surfaces are closed, a guide groove for engagement of the stopper is formed on a support panel constituting both side surfaces, an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Preferably, at least one reinforcing panel is further provided.

상기 착석부는, 상기 스토퍼와 탈착 가능하게 자웅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키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브래킷; 및 상기 회전브래킷을 통해 회전축과 결합되고, 승객의 착석이 이루어지는 착석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ating portion includes: a rotating shaft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pper; A rotation bracket that is key-engaged with the rotation shaft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And a seating panel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hrough the rotation bracket and seating the passengers.

상기 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축방향으로 회전하며, 타단은 상기 안내홈을 통하여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결합핀; 상기 결합핀 타단 양단 사이 외곽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핀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캠; 및 상기 회전캠의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상기 착석패널이 내벽과 수직(직교) 또는 나란한 평행이 되도록 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topper includes: an engaging pin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rotation shaft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engaged with the support through the guide groove; A rotation cam coupled to an outer periphery between both ends of the engagement pin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engagement pin; And a fixing bracket for restricting a turning radius of the rotation cam so that the seating panel is perpendicular (orthogonal) or parallel to the inner wall.

상기 결합핀은, 일단을 이루며, 상기 회전축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연결홈이 형성된 제1핀; 및 상기 제1핀의 연장체로서, 타단을 이루며, 외곽에 상기 회전캠 결합되는 제2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pin includes a first pin having one end and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And a second pin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first pin and which forms the other end and is rotatably cam-engaged with the outer periphery.

상기 제1핀은,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편을 이루며,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될 경우, 상기 연결홈을 개방시켜 상기 연결돌기의 이탈이 가능토록 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in may include a body having the connec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n escape preventing piece which is formed as one piece of the body and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opens when the connecting recess is separated from the body so that the connecting protrusion can be released.

상기 회전캠은, 중심에 천공이 형성되고, 외곽 일측에 상기 실린더가 결합되는 고리가, 타측에 상기 고정브래킷과 맞닿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천공을 통하여 상기 결합핀과 키(key)결합되어, 상기 결합핀과 함께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cam has a hole formed at its center, a ring having the cylinder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sid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cam to contact the fixing bracket, and being keyed to the coupling pin through the hole , And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engagement pin.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회전캠이 수용되고 상기 지지대 내곽에 대응하는 ㄷ형 구조로서, 배면을 이루는 제1패널에 상기 돌기와 맞닿게 되는 걸림턱이, 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제2패널에는 결합공이 마련되며,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결합핀이 상기 회전캠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bracket includes an engaging jaw for receiving the rotation cam and corresponding to the inner frame of the support, the engaging jaw being in contact with the projection on a first panel constituting the rear surface, and a coupling hole And the engagement pin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cam through the engagement hole.

상기 회전캠과 제2핀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nd a fixing pin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cam and the second pi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는 접이식 구조의 시트로서, 설치 영역의 최소화는 물론, 다수의 인원이 시트를 함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대적 약자의 엘리베이터 이용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lding structure sheet provided on an elevator car that minimizes an installation area and enables a plurality of persons to use a seat together, so that an elevator And to provide a balance sheet for a sheet for use.

또한, 본 발명은 착석부와 지지대의 결합을 매개하는 스토퍼가 실린더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소정의 탄성적 쿠션 제공이 가능하며, 따라서 시트 사용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topper that mediates the engagement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upport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cylind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redetermined resilient cushion, and therefore,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eat can be expected .

또한, 본 발명은 착석부의 독립된 분해 결합이 가능하여 교체 내지는 수리 등의 유지보수의 편의와 함께, 휠체어 내지는 전동차와 같이 부피가 큰 물건 또는 화물을 적재할 경우, 분해를 통하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independent disassembly and coupling of a seat-sitting part, thereby facilitating maintenance such as replacement or repair. In addition, when a large-sized object such as a wheelchair or a train is loaded, Effect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시트가 엘리베이터카 최대 적재 중량의 5 내지 20%에 해당하는 중량체로 존재하여, 엘리베이터의 평형추와 밸런스를 맞추어 구동에 따른 부하를 줄여 전력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는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eat exists as a weight corresponding to 5 to 20% of the maximum weight of the elevator car, and balances with the balance weight of the elevator so as to reduce the load upon driving,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You can expec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트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트의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착석부의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지지대의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스토퍼의 분리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핀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핀의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실린더의 작동상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heet showing a shee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eparation of a seating part shown for explaining a seat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for illustrating a suppo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of a stopper for explaining a stop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i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ng state view of a cylinder for explaining a cylin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and the definition is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시트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시트의 분리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of the seat.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0)는 엘리베이터카(10) 내벽 적어도 일면 손잡이(20) 아래에 접이식 구조로 설치되어, 접철을 통하여 부피의 최소화는 물론, 상대적 약자의 엘리베이터 이용 편의 향상과 더불어, 다수의 인원이 함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eat 100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car 10 under at least one side handle 20 so as to have a foldable structure. In addition to minimizing the volume through folding and folding, It is possible to use together the personnel.

또한, 시트(100)는 중량체로서 존재하여 엘리베이터의 평형추(미도시)와 밸런스를 맞추어 구동에 따른 부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at 100 exists as a weight and can balance the balance weight (not shown) of the elevator to reduce the load upon driving.

즉, 엘리베이터카(10)는 평형추와 밸런스를 맞추어 승강하는 데, 탑승자가 없거나, 평형추대비 비율(상대적으로 가벼움)차이가 클 경우, 엘리베이터카(10) 견인에 따른 부하가 크게 발생하며, 이는 전력소모로 이어져 엘리베이터의 유지관리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기에, 본 발명은 시트(100)를 중량체로 하여 엘리베이터카(10)와 평형추의 무게 비율차이를 줄여 전력손실의 최소화를 구현하였다.That is, the elevator car 10 ascends and descends in balance with the counterbalance, and when there is no occupant, or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unterweight and the counterbalance weight (relatively light) is large, a load due to traction of the elevator car 10 largely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eight ratio of the elevator car 10 and the counter weight to minimize the power loss by using the seat 100 as a weighing machine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leads to power consumption and economic loss due to maintenance of the elevator. Respectively.

이러한 시트(100)는 한 쌍의 지지대(110), 양단지 지지대(1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석부(120), 지지대(110)와 착석부(120)의 결합을 매개하고 착석부(12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130) 및 착석부(120)와 착석부(120)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실린더(170)를 포함하며, 이하, 각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seat 1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s 110, a seating portion 120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ing rods 110, a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upporting rods 110 and the seating portions 120, A stopper 130 for restricting the turning radius of the seating portion 120 and a cylinder 170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seating portion 120 and the seating portion 120. Hereinafter, do.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석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착석부의 분리도이고, 도 4는 지지대의 분리도이며, 도 5는 스토퍼의 분리도이고, 도 6은 결합핀의 분리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ating par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separation of the support, FIG. 5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stopper, and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석부(120)를 사이에 두고 동일 구조의 지지대(110), 스토퍼(130) 및 실린더(170)가 대칭으로 존재하며, 대칭 구조에 대해서는 a와 b로 표현하였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upport 110, the stopper 130 and the cylinder 170 having the same structure ar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the seating part 120 therebetween, and the symmetric structure is represented by a and b.

그러나 a, b 각각의 구성은 서로 대칭되는 동일 구성이므로 각각(a, 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설명하도록 한다.However, since each of the configurations a and b has the same configuration symmetrical to each other, description of (a, b) will be omitted as one component.

착석부(120)는 스토퍼(130)와 탈착 가능하게 자웅 결합되는 회전축(121), 회전축(121)과 키(key) 결합되어 회전축(121)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브래킷(125) 및 회전브래킷(125)을 통해 회전축(121)과 결합되고 승객의 착석이 이루어지는 착석패널(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ating part 120 includes a rotation shaft 121 detachably joined to the stopper 130, a rotation bracket 125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121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121, And a seat panel 127 coupled to the rotary shaft 121 through the seat panel 125 and seating the passengers.

여기서 키 결합은 키와 키홈의 결합으로서, 회전하는 축상에 기어 내지는 축과 함께 회전해야 하는 물체를 결합시킬 때, 사용되는 결합이며, 이는 통상의 결합방식이다.Here, the key combination is a combination of a key and a key groove, which is a coupling used when coupling an object to be rotated together with a gear or an axis on a rotating shaft, which is a conventional coupling method.

회전축(121)은 환봉으로서, 길이방향 양단에 스토퍼(130)와의 축 결합을 위한 연결돌기(123)가 마련되며, 이러한 연결돌기(123)는 축 결합 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은 물론, 원형을 제외한 모든 도형이 동력전달 요소로 존재할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121 is a round bar and has connection protrusions 123 for axial coupling with the stopper 130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nection protrusions 123 are polygonal Preferably, but not exclusively, all shapes other than the circle, as well as the polygon, may be present in the power transmission element.

이때, 회전축(121) 외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키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키홈이 형성되어, 별도의 키가 독립된 요소로 존재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key is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121,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key groove may be formed, and a separate key may exist as an independent element.

여기서, 축 결합은, 축에서 축으로 동력 전달이 가능토록 결합되는 것을 의미하며, 축 결합의 수단으로는 통상 축이음재(coupling)가 사용되고, 본 발명에서는 후술되는 결합핀(140)이 축이음재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in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used as a shaft coupling me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회전브래킷(125)은 회전축 양단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축(121)과 키 결합되어 회전축(121)과 함께 회전하며, 승객의 착석이 이루어지는 착석패널(127)과 회전축(121)의 결합을 매개하는 요소로 존재한다.The rotation bracket 125 is coupled with the rotation shaft 12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121. The engagement of the seat panel 127 and the rotation shaft 121, .

이러한 회전브래킷(125)은 회전축(121)과는 키 결합되고, 착석패널(127)과는 통상의 체결수단(예를 들어, 나사 내지는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된다.The rotation bracket 125 is key-engaged with the rotation shaft 121 and is coupled to the seat panel 127 through a normal fastening means (e.g., a screw or a bolt).

또한, 착석패널(127)은 화재 시, 유해물질 발생 방지를 위하여 금속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나, 착좌감(쿠션감) 향상을 위하여 금속과 함께 불연성 소재의 패드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The seat panel 127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lic sheet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event of a fire, but a pad made of a nonflammable material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metal to improve a seating feeling (cushioning feeling).

지지대(110)는 엘리베이터카의 내벽과 마주하는 일면과 양측면이 폐쇄된 ㄷ의 구조를 이며, 양측면을 이루는 지지패널(111)에 스토퍼(130)의 결합을 위한 안내홈(113)이 형성되고, 상하 양단 사이에 지지패널(111)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패널(115)이 더 설치된다.The support frame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and both sides of the elevator car facing the inner wall are closed. A guide groove 113 for coupling the stopper 130 is formed on the support panel 111, At least one reinforcing panel 115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to maintain the space of the supporting panel 111.

안내홈(1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역 ㄴ 형태의 홈으로 존재하며, 이러한 안내홈(113)을 통하여 스토퍼(130)가 지지대(110)와 결합된다.The guide groove 113 is in the form of an inverted-shaped groove as shown in the figure. The stopper 130 is engaged with the support 110 through the guide groove 113.

또한, 안내홈(113)은 역 ㄴ 형태로서 수평(지면)과 소정의 수직(지면) 영역으로 구분되며, 수평영역은 스토퍼(130)의 진입구 이며, 수직 영역은 착석부(120)로 가해지는 충격(하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유동적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영역이다.The guide groove 113 has an inverted shape and is divided into horizontal (ground) and predetermined vertical (ground) areas. The horizontal area is an entrance of the stopper 130 and the vertical area is a And is a region for providing a fluid space to cope with impact (load).

즉, 착석부(120)와 축 결합된 스토퍼(130)가 수직 영역에 대응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되며, 이러한 스토퍼(130)는 실린더(170)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충격에 유동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갑작스런 충격으로 착석부가 상하 유동 시, 그 충격을 감쇠시켜, 충격으로 인한 불편함의 최소화가 가능하다.That is, the stopper 130,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seating unit 120, is accommodated in a vertically movable manner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The stopper 130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cylinder 170, It is possible to cope with it. Therefore, when the seat portion moves up and down due to a sudden shock, the shock is damped, an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shock can be minimized.

여기서, 충격은 승객의 착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하중 내지는 엘리베이터카(10) 이동에 따른 유동 또는 내부 승객에 의한 유동이 그 대상이다.Here, the impact is the load caused by the seating of the passenger or the flow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10 or the flow caused by the internal passenger.

보강패널(115)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패널(111)의 간격 유지를 위한 것이며, 특히, 스토퍼(130)가 결합되는 안내홈(113) 인근과,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린더브래킷(119)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설치된 보강패널(115)을 통하여 설치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panel 115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nd below the guide groove 113 to which the stopper 130 is coupled. At this time, the cylinder bracket 119 is installed through the reinforcing panel 115 installed at the lower part as shown in the figure.

스토퍼(130)는 일단이 회전축(121)과 축 결합되어 회전축(121)과 함께 축방향으로 회전하며, 타단은 안내홈(113)을 통하여 지지대(110)와 결합되는 결합핀(140), 결합핀(140) 타단 양단 사이 외곽에 결합되어 결합핀(14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캠(150) 및 회전캠(15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착석패널(127)이 내벽과 수직(직교) 또는 나란한 평행이 되도록 하는 고정브래킷(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opper 130 includes an engaging pin 140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21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121 in the axial direction and whos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supporting table 110 through the guide groove 113, The rotation radius of the rotation cam 150 and the rotation cam 150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end of the fin 140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engagement pin 140 may be limited so that the seating panel 127 is perpendicular And a fixing bracket 160 that is parallel to and parallel to each other.

결합핀(140)은 일단을 이루며, 회전축(121)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123)에 대응하는 연결홈(145)이 형성된 제1핀(141), 제1핀(141)보다 직경이 작은 연장체로서 결합핀(140)의 타단을 이루며, 외곽에 회전캠(150)이 결합되는 제2핀(1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upling pin 140 has a first pin 141 having one end and a coupling groove 145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23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121. The coupling pin 140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pin 141, And a second pin 147, which forms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pin 140 as an extension body and has a rotation cam 150 coupled to an outer periphery thereof.

제1핀은 연결홈(145)이 형성된 몸체(143), 몸체(143)의 일면을 이루며, 몸체(143)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탈방지편(1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pin includes a body 143 having a connection groove 145 formed therein and a detachment prevention member 147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43. The detachment prevention member 14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43.

이탈방지편(14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43)와 나사 및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분리 시, 연결홈(145)을 개방시켜 연결돌기(123) 즉, 회전축(121)과의 자유로운 연결 및 해제가 가능하며, 나아가 체결수단의 해제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부(120)만의 독립된 분해와 결합이 가능하다.6,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47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43 throug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and a bolt. When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147 is separated, That is, it is possible to freely connect and disengage from the rotary shaft 121. Further, only the disengagement of the fastening means allows independent disassembly and connection of the fastening part 120 as shown in FIG.

따라서 부분적 교체 내지는 수리 등 유지보수에 대한 편의와 함께, 휠체어 내지는 전동차와 같이 부피가 큰 물건 또는 화물을 적재할 경우, 분해를 통하여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through disassembly when loading a bulky object such as a wheelchair or a train, or a cargo, with convenience of maintenance such as partial replacement or repair.

회전캠(150)은 중심에 천공(151)이 형성되고, 외곽 일측에 실린더(170)가 결합되는 고리(153)가, 타측에 고정브래킷(160)과 맞닿는 돌기(155)가 돌출 형성되며, 천공(151)을 통하여 제2핀(147)과 키 결합되어 결합핀(140)과 함께 회전한다,The rotation cam 150 has a perforation 151 at its center and a ring 153 to which the cylinder 17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side is protruded and a protrusion 155 is formed to abut the fixing bracket 160 on the other side, And is coupled with the second pin 147 through the hole 151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coupling pin 140,

고정브래킷(160)은 회전캠(150)이 수용되고 지지대(110) 내곽에 대응하는 ㄷ형 구조로서, 배면을 이루는 제1패널(161)에 돌기(155)와 맞닿게 되는 걸림턱(163)이, 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제2패널(165)에는 결합핀(140)의 관통과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결합공(167)이 마련되며, 결합핀(140)은 결합공(167)을 통하여 내부에 수용된 회전캠(150)과 키 결합된다.The fixing bracket 160 has a U-shap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110 and accommodating the rotation cam 150. A locking protrusion 163 for abutting against the protrusion 155 on the first panel 161 forming the rear surface And a pair of side panels 165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167 for coupling with the penetration of the coupling pin 140. The coupling pin 140 is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167 And is key-engaged with the accommodated rotation cam 150.

이상과 같이 스토퍼(130)는 축 결합된 착석부(12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며,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이러한 스토퍼(130)는 실린더(17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topper 130 limits the turning radius of the axially coupled seating portion 120, as shown in FIG. 7, and the stopper 130 is resiliently supported on the cylinder 17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실린더의 작동상태도이다.7 is an operating state view of a cylinder for explaining a cylin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70)는 충격 및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토퍼(1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7a와 같이 착석패널(127)이 내벽과 나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압력을 가하거나, 도 7b와 같이 착석패널(127)이 내벽과 직교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압력을 가하며, 이때, 회전캠(150)의 돌기(155)는 고정브래킷(160)의 걸림턱(163)에 지지되어 회전축(121)이 그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ylinder 170 elastically supports the stopper 130 as a means for stably supporting the impact and the load so that the pressure is maintained such that the seating panel 127 is kept parallel to the inner wall, The protrusions 155 of the rotation cam 150 are pressed against the engagement protrusions 163 of the fixing bracket 160 so as to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seating panel 127 is orthogonal to the inner wall as shown in FIG. So that the rotation shaft 121 is prevented from further rotating.

여기서, 실린더(170)는 오일 내지는 가스에 의해 작동되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가스쇼크업소버(gas shock absorber)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Here, the cylinder 170 is preferably a shock absorber operated by oil or gas, and it is highly desirable that the cylinder 170 is a gas shock absorber.

도 7a와 b의 전환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 7a와 같이 수직상태의 착석패널(127)을 손으로 끌어내려, 도 7b의 상태로 전환되며, 착석패널(127) 어느 일단에는 착석패널(127)과 내벽의 간격 유지와 압력에 의한 충격 감쇠를 위하여 탄성체(129)가 더 마련되며, 이러한 탄성체(129)는 고무, 실리콘 및 우레탄과 같은 신축성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7A and 7B is performed by the user. 7A, the state of the seat panel 127 is shifted to the state shown in FIG. 7B. At one end of the seating panel 127, a gap between the seating panel 127 and the inner wall is maintained, An elastic body 129 is further provided for shock damping, and the elastic body 129 is preferably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and urethane.

한편, 회전캠(150)과 결합핀(140)은 고정핀(180)을 통하여 결합이 더 보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핀(180)은 회전캠(150)을 관통하여 단부가 결합핀(140)과 결합됨으로 인하여 회전캠(150)과 결합핀(140)의 결합을 더 보강한다.The rotation cam 150 and the engagement pin 140 can be further reinforced through the fixing pin 180. The fixing pin 180 penetrates the rotation cam 150 and has an end fixed to the engagement pin 140 The rotation cam 150 and the engagement pin 140 are further reinforced.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엘리베이터카 20 : 손잡이
100 : 시트 110 : 지지대
111 : 지지패널 113 : 안내홈
115 : 보강패널 119 : 실린더브래킷
120 : 착석부 121 : 회전축
123 : 연결돌기 125 : 회전브래킷
127 : 착석패널 129 : 탄성체
130 : 스토퍼 140 : 결합핀
141 : 제1핀 143 : 몸체
145 : 연결홈 147 : 이탈방지편
149 : 제2편 150 : 회전캠
151 : 천공 153 : 고리
155 : 돌기 160 : 고정브래킷
161 : 제1패널 163 : 걸림턱
165 : 제2패널 167 : 결합공
170 : 실린더 180 : 고정핀(180)
10: elevator car 20: handle
100: sheet 110: support
111: support panel 113: guide groove
115: Stiffening panel 119: Cylinder bracket
120: seating portion 121:
123: connecting protrusion 125: rotating bracket
127: sitting panel 129: elastic body
130: stopper 140: engaging pin
141: first pin 143: body
145: connecting groove 147:
149: SECOND SECTION 150: ROTATION CAM
151: Perforation 153: Ring
155: projection 160: fixing bracket
161: first panel 163:
165: second panel 167: engaging hole
170: cylinder 180: fixed pin 180:

Claims (9)

엘리베이터카에 설치되는 시트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카 내벽 적어도 일면에 기둥으로서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양단이 상기 지지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승객의 착석이 이루어지는 착석부;
상기 한 쌍의 각 지지대에 대칭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와 착석부의 결합을 매개하고 상기 착석부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일단이 상기 지지대를, 타단이 상기 스토퍼를 지지하여 상기 착석부와 착석부의 회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내벽과 마주하는 일면과 양측면이 폐쇄된 ㄷ의 구조를 이루며,
양측면을 이루는 지지패널에 상기 스토퍼의 결합을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하 양단 사이에 상기 지지패널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패널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
In a seat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A pair of support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elevator car as columns;
A seating part having both end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table and seating the passengers;
A stopper provided symmetrically on each of the pair of supporting rods, the stopper restricting the turning radius of the seating portion media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ing rods and the seating portion; And
And a cylinder elastically supporting a rotation of the seating portion and the seating portion by supporting the stopper at one end and the stopper at the other end,
[0028]
It has a closed structure with one side and two side facing the inner wall,
A guide groove for engaging the stopper is formed on a support panel constituting both side surfaces,
Wherein at least one reinforcing panel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for maintaining the spacing of the supporting pane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상기 스토퍼와 탈착 가능하게 자웅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키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브래킷; 및
상기 회전브래킷을 통해 회전축과 결합되고, 승객의 착석이 이루어지는 착석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
A rotatable shaft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pper;
A rotation bracket that is key-engaged with the rotation shaft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And
And a seating panel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hrough the rotation bracket and seating the passeng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함께 축방향으로 회전하며, 타단은 상기 안내홈을 통하여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결합핀;
상기 결합핀 타단 양단 사이 외곽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핀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캠; 및
상기 회전캠의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상기 착석패널이 내벽과 수직(직교) 또는 나란한 평행이 되도록 하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
The method of claim 3,
The stopper
A coupling pin having one end engaged with the rotation shaft to rotate in the axi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with the support through the guide groove;
A rotation cam coupled to an outer periphery between both ends of the engagement pin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engagement pin; And
And a locking bracket configured to restrict a rotation radius of the rotation cam so that the seating panel is perpendicular (orthogonal) or parallel to the inner wal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핀은,
일단을 이루며, 상기 회전축 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된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연결홈이 형성된 제1핀; 및
상기 제1핀의 연장체로서, 타단을 이루며, 외곽에 상기 회전캠 결합되는 제2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upling pin
A first pin formed at one end and having a connection groove corresponding to a connectio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otation shaft end; And
And a second pi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fin and rotatably cam-coupled to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pi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은,
상기 연결홈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편을 이루며,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될 경우, 상기 연결홈을 개방시켜 상기 연결돌기의 이탈이 가능토록 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pin
A body having the connection groove formed therein; And
And an escape preventing piece for forming an integral piece of the body and releasing the connecting protrusion by opening the connecting groove when the main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separated from the body.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은,
중심에 천공이 형성되고, 외곽 일측에 상기 실린더가 결합되는 고리가, 타측에 상기 고정브래킷과 맞닿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천공을 통하여 상기 결합핀과 키(key)결합되어, 상기 결합핀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otation cam
Wherein a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 ring to which the cylinder is coupl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ide and a proj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o abut the fixing bracket,
And a key pin coupled to the coupling pin through the hole to rotate together with the coupling pi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회전캠이 수용되고 상기 지지대 내곽에 대응하는 ㄷ형 구조로서, 배면을 이루는 제1패널에 상기 돌기와 맞닿게 되는 걸림턱이, 측면을 이루는 한 쌍의 제2패널에는 결합공이 마련되며,
상기 결합공을 통해 상기 결합핀이 상기 회전캠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xing bracket includes:
And a pair of second panels having side surfaces which ar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and which are engaged with the protrusions are provided with engaging holes,
And the engagement pin is engaged with the rotation cam through the engagement ho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과 제2핀을 관통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밸런스 시트.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fixing pin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cam and the second pin.
KR1020170103565A 2017-08-16 2017-08-16 Balancing seat settled in elevator KR1019517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565A KR101951714B1 (en) 2017-08-16 2017-08-16 Balancing seat settled in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565A KR101951714B1 (en) 2017-08-16 2017-08-16 Balancing seat settled in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714B1 true KR101951714B1 (en) 2019-02-25

Family

ID=6558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565A KR101951714B1 (en) 2017-08-16 2017-08-16 Balancing seat settled in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71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3096A (en) * 2019-10-17 2020-01-21 费吕平 Multifunctional safety elev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79A (en) * 1997-06-20 1999-01-19 Naigai:Kk Folding chair
JP2001314283A (en) * 2000-02-28 2001-11-13 Combi Corp Collapsible bed installed on wall
KR20100103116A (en) * 2009-03-13 2010-09-27 윤동길 Handle of elevator having a function for ease seat
KR101200995B1 (en) 2011-06-20 2012-11-13 (주)대명엘리베이터 Chair for elev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79A (en) * 1997-06-20 1999-01-19 Naigai:Kk Folding chair
JP2001314283A (en) * 2000-02-28 2001-11-13 Combi Corp Collapsible bed installed on wall
KR20100103116A (en) * 2009-03-13 2010-09-27 윤동길 Handle of elevator having a function for ease seat
KR101200995B1 (en) 2011-06-20 2012-11-13 (주)대명엘리베이터 Chair for elev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3096A (en) * 2019-10-17 2020-01-21 费吕平 Multifunctional safety elevator
CN110713096B (en) * 2019-10-17 2020-11-10 南通融盛智能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safety ele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714B1 (en) Balancing seat settled in elevator
RU2677163C2 (en) Module for airplane with seat fixed to door
KR101714954B1 (en) Elevator car
EP3263504B1 (en) Elevator
WO2007032080A1 (en) Car upper side handrail device of elevator
GB2523447A (en) Supporting device and child safety seat therewith
CA2872533A1 (en) Floor connection assembly of an aircraft seat
JP2011529835A (en) Vibration isolation assembly for elevator equipment
US20160214719A1 (en) Floor Attachment Assembly and Aircraft Seat
KR102090065B1 (en) Apparatus For Guide Roller Of Elevator
US20230249945A1 (en) Cabin mechanics of panoramic vacuum elevator
JP2008285282A (en) Car of elevator
KR20220057938A (en) Grandstand chairs that can delay seat rotation
KR101222355B1 (en) Foldable chair with armrests for an elevator
KR102046747B1 (en) A Foldable Safety Seat Within an Elevator
KR101920154B1 (en) Ladder for elevator pit
JP2014148215A (en) Seat device and operation part structure
KR20160035735A (en) Elevator car
JP5184563B2 (en) Double deck elevator
JP6853229B2 (en) Temporary railing
CN112027843A (en) Novel double-screw elevator
JP6853160B2 (en) Temporary railing
JP6949902B2 (en) Temporary railing
RU2811204C1 (en) Vehicle seat with swivel mechanism
JP2016529148A (en) Vehicle occupant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