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432B1 - 휴대용 드론재머 - Google Patents

휴대용 드론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432B1
KR101951432B1 KR1020170016847A KR20170016847A KR101951432B1 KR 101951432 B1 KR101951432 B1 KR 101951432B1 KR 1020170016847 A KR1020170016847 A KR 1020170016847A KR 20170016847 A KR20170016847 A KR 20170016847A KR 101951432 B1 KR101951432 B1 KR 10195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mming
radio wave
unit
rail
jamming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531A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이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이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이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7001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432B1/ko
Priority to PCT/KR2018/001478 priority patent/WO2018147604A1/ko
Publication of KR20180091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2Anti-aircraft or anti-guided missile or anti-torpedo defence installation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10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04K2203/24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related to weap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밍전파생성부와 재밍전파발사부를 소형화하고, 이를 탈착수단을 통해 총기에 있는 국제표준규격의 레일에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드론재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재밍전파를 생성하는 재밍전파생성부; 재밍전파생성부와 연결되며, 재밍전파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재밍전파를 격추대상물로 발사하는 재밍전파발사부; 및 재밍전파생성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소총에 구비된 레일에 탈착되는 탈착수단;을 포함하며, 재밍전파생성부와 재밍전파발사부는 소총에 결합시 소총의 격발동작에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론재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드론재머{MOBILE DRONE JAMMER}
본 발명은 개인용 소총에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드론재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밍전파생성부와 재밍전파발사부를 소형화하고, 이를 탈착수단을 통해 총기에 있는 국제표준규격의 레일에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드론재머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 세계시장에 출시되고 있는 총기 형태의 드론재머는 크기와 구조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휴대하거나, 실제 현장에서 드론을 무력화하기에는 불편한 점들이 많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드론재머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으로써, 일반적인 휴대용 드론재머는 지향성안테나를 사용하여 재밍전파를 드론을 향해 겨냥해야 하므로 총기 형태의 프레임과 지향성 안테나가 일체화된 재밍전파발사부와 재밍전파를 생성하여 상기 재밍전파발사부로 전달하는 재밍전파생성부 및 이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a) 및 (b)가 일반적인 휴대용 드론재머의 형태이며, 도시되진 않았으나 재밍전파생성부는 별도로 구비하여 등에 메고 다니는 형태이다.
즉, 도 1의 (c)를 참조하면, 전투임무 수행 중 사용자는 휴대용 드론재머를 등에 메고 다녀야 함은 물론, 개인용 소총을 들고다니면서 임무를 수행해야만 한다.
일반적인 휴대용 드론재머는 대부분 전체 크기와 구조가 기존의 소총보다 훨씬 큰 사이즈이고, 재머부와 안테나부가 분리되어 있어 휴대성이 떨어진다.
또한, 드론 재밍시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완성도가 있는 드론의 경우에 조종기와 드론 본체 사이의 통신옵션에서 가장 중요한 필수사항은, 드론과 조종기 사이의 통신이 두절되었을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를 규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옵션은 조종신호(2.4GHz나 5.8GHz의 Wifi 대역이며 영상전송주파수도 함께 사용함)만 단절되었을 경우에는 드론이 이륙했던 지점에서 저장한 GPS좌표지점으로 자동복귀하는 것이다.
만약, 조종신호와 GPS신호의 수신까지 모두 차단될 경우에는 신호가 회복될때까지 제자리에서 호버링하거나 그 지점에 자동으로 착륙하는 두 가지 중 한 가지를 기본적으로 선택하여 세팅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통신 두절시 드론이 아무 곳에나 착륙하면 안되는 경우(예를 들면, 물 위를 비행중)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대부분 제자리 호버링을 선택하게 된다. 이 경우 재밍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어도 드론의 배터리가 전부 소모될 때까지(평균 20분 전후) 드론은 제자리에서 호버링하게 되며, 재밍과 동시에 바로 착륙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배터리가 소진되어 추락할 때까지 드론을 지속적으로 겨누고 있어야만 한다.
전투중에 총을 내려놓고 드론을 향해 재머를 겨누고 있어야 한다면 심각한 전투력의 손실은 물론, 생명의 위험까지도 따르게 된다.
따라서, 드론을 재밍 후 제자리에서 호버링하게 만든 상태에서 신속히 타격하여 격추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즉, 한 명이 겨누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 격추해야 하는데, 이 역시 두 명이 일개조가 되어 드론을 제거해야 하므로, 전투력 손실을 가져온다.
따라서, 사용자 한 명이 겨누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 격추하는 것보다 재머를 겨누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대로 타격하여 격추하는 것이 드론 제거 확률을 높임은 물론, 전투력 손실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재밍전파생성부와 재밍전파발사부를 소형화시키는 기술은 이미 공개되어 있는 실정이다.
(0001) https://www.youtube.com/watch?v=LtI5dH_j06k 링크 영상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총기 형태의 프레임과 별도의 재밍전파생성부를 생략하고, 안테나와 재밍전파생성부를 일체화 및 소형화하여 개인용 총기에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드론재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이 총기에 탈착시 국제표준규격으로 제작되는 레일에 탈착되는 탈착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드론재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인용 총기에 용이한 탈착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 개인이 재머를 통해 드론을 무력화함과 동시에 격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용 드론재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휴대용 드론재머는, 개인용 소총에 탈착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드론재머(Drone Jammer)에 관한 것으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재밍전파를 생성하는 재밍전파생성부; 상기 재밍전파생성부와 연결되며, 상기 재밍전파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재밍전파를 격추대상물로 발사하는 재밍전파발사부; 및 상기 재밍전파생성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소총에 구비된 레일에 탈착되는 탈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재밍전파생성부와 상기 재밍전파발사부는 상기 소총에 결합시 상기 소총의 격발동작에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레일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며, 중심에 상기 레일의 형성방향으로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일측으로 제1체결홀을 갖는 제1지지몸체; 상기 제1지지몸체에 근접 및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레일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거나 단턱으로부터 분리되며, 타측으로 상기 지지홈에 연결되는 제2체결홀을 갖는 제2지지몸체; 상기 지지홈에 안착지지되며, 양단부가 상기 제1체결홀과 상기 제2체결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샤프트; 상기 제1체결홀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샤프트가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제2체결홀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시 상기 제2지지몸체를 상기 제1지지몸체에 근접 및 이격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재밍전파생성부 및 재밍전파발사부를 일체화 및 소형화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수단을 이용하여 휴대용 드론재머를 개인용 소총에 용이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소총에 결합하여 사용시, 드론을 재밍하는 상태에서 바로 격추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전투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곧 팀 전체의 전투력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한, 드론을 빠르게 격추하여 무력화시킴으로써, 아군에 대한 정보가 손쉽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곧 보안성 강화 및 전투력 향상으로 귀결된다.
또한, 드론재머를 탈착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 없이 국제표준규격의 레일에 탈착하는 구조로써, 탈착수단만을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단가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드론재머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론재머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제총기인 M4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론재머를 레일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론재머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론재머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론재머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제총기인 M4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론재머를 레일(20)에 장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론재머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수단(3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론재머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수단(300)의 레일(20)에 체결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드론재머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착수단(300)의 레일(20)에 체결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개인용 소총(10)에 탈착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드론재머(Drone Jammer)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휴대용 드론재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휴대용 드론재머는 재밍전파생성부(100), 재밍전파발사부(200) 및 탈착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재밍전파생성부(100)는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재밍전파를 생성하여 재밍전파발사부(200)로 전달하는 것으로, 온(on)/오프(off)를 위한 작동스위치(110)가 구비된다.
재밍전파발사부(200)는 전달된 재밍전파를 격추할 대상물로 발사하는 것으로, 재밍전파생성부(100)와 일체화되어 구성된다.
재밍전파생성부(100)와 재밍전파발사부(200)는 소총(10)에 결합시, 소총(10)의 격발 동작에 간섭되지 않아야 하며, 실제총기인 M4를 기준으로, 크기는 47㎝ × 15㎝ 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밍전파생성부(100)의 상부에는 탈착수단(300)이 결합되며, 탈착수단(300)은 소총(10)에 형성된 국제표준규격의 레일(20)에 장착되거나 분리된다.
탈착수단(300)은 제1지지몸체(310), 제2지지몸체(320), 지지샤프트(330), 고정부재(340) 및 회동수단(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의 확대도 부분과 도 4를 참조하면, 레일(2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형성된 단턱(21)에 지지되는 제1지지몸체(310)에는 중심에 레일(20)의 형성방향으로 지지홈(312)이 형성되며, 지지홈(312)의 일측에는 제1체결홀(311)이 형성된다.
제2지지몸체(320)의 상부는 제1지지몸체(310)와 대향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제2지지몸체(320)는 제1지지몸체(310)에 근접 및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2지지몸체(320)는 레일(20)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형성된 단턱(21)에 지지되거나 단턱(21)으로부터 분리된다. 제2지지몸체(320)의 타측에는 제2체결홀(321)이 형성되어 연결된다.
즉, 제1체결홀(311), 지지홈(312) 및 제2체결홀(321)은 일직선상에 형성된다.
지지샤프트(330)는 지지홈(312)에 안착지지되면서 양단부가 제1체결홀(311)과 제2체결홀(32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1체결홀(3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샤프트(330)의 단부에는 고정부재(340)가 결합되어 지지샤프트(330)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미도시 하였으나, 제1체결홀(3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샤프트(330)의 단부에는 수나사탭이 형성되며, 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340)에는 암나사탭이 형성된 홈이 구성되어 체결되는 구조이다.
제2체결홀(321)의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샤프트(330)의 단부에는 회동수단(35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샤프트(330)의 단부와 회동수단(350)에는 각각 상호 체결을 위한 체결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며, 미도시 하였으나, 회동수단(350)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핀이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탈착수단(300)이 레일(20)에 장착되기 전에는 (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몸체(310)와 제2지지몸체(320) 사이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레일(20)에서 분리되며, 레일(20)에 장착 후에는 (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몸체(310)와 제2지지몸체(320) 사이가 근접된 상태로 형성되어 레일(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미도시 되었으나, 지지홈(312)에 체결된 지지샤프트(330)는 레일(20)에 결합시 레일(20)과 레일(20)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회동수단(350)의 회동부위는 라운딩지게 형성되어 체결핀이 편심되게 결합되는 구조로써, 이와 같이 회동에 의한 결합 및 분리 구조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드론재머를 소총(10)의 레일(20)에 용이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국제표준규격의 레일(20)을 사용하는 소총(10)에는 별도의 결합 구조물 없이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휴대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혼자서도 휴대용 드론재머를 장착한 상태에서 드론을 향해 재밍전파를 발사하여 호버링시킴과 동시에 격추시킬 수 있으므로 개인의 전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 일반적인 휴대용 드론재머
10 : 소총 20 : 레일
21 : 단턱
100 : 재밍전파생성부 110 : 작동스위치
200 : 재밍전파발사부
300 : 탈착수단 310 : 제1지지몸체
311 : 제1체결홀 312 : 지지홈
320 : 제2지지몸체 321 : 제2체결홀
330 : 지지샤프트 340 : 고정부재
350 : 회동수단

Claims (2)

  1. 개인용 소총에 탈착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드론재머(Drone Jammer)에 관한 것으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재밍전파를 생성하여 재밍전파발사부로 전달하고, 전원의 온(on)/오프(off)를 위한 작동스위치(110)가 구비된 재밍전파생성부;
    상기 재밍전파생성부와 일체화로 연결되며, 상기 재밍전파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재밍전파를 격추대상물로 발사하는 재밍전파발사부; 및
    상기 재밍전파생성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소총에 구비된 레일에 탈착되는 탈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레일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며, 중심에 상기 레일의 형성방향으로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일측으로 제1체결홀을 갖는 제1지지몸체;
    상기 제1지지몸체에 근접 및 이격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레일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되거나 단턱으로부터 분리되며, 타측으로 상기 지지홈에 연결되는 제2체결홀을 갖는 제2지지몸체;
    상기 지지홈에 안착지지되며, 양단부가 상기 제1체결홀과 상기 제2체결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샤프트;
    상기 제1체결홀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샤프트가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및
    상기 제2체결홀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시 상기 제2지지몸체를 상기 제1지지몸체에 근접 및 이격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재밍전파생성부와 상기 재밍전파발사부는 상기 소총에 결합시 상기 소총의 격발동작에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론재머.
  2. 삭제
KR1020170016847A 2017-02-07 2017-02-07 휴대용 드론재머 KR10195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47A KR101951432B1 (ko) 2017-02-07 2017-02-07 휴대용 드론재머
PCT/KR2018/001478 WO2018147604A1 (ko) 2017-02-07 2018-02-05 휴대용 드론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847A KR101951432B1 (ko) 2017-02-07 2017-02-07 휴대용 드론재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531A KR20180091531A (ko) 2018-08-16
KR101951432B1 true KR101951432B1 (ko) 2019-02-22

Family

ID=6310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847A KR101951432B1 (ko) 2017-02-07 2017-02-07 휴대용 드론재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1432B1 (ko)
WO (1) WO20181476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8718B2 (en) 2018-08-21 2022-06-14 Seung Hee CHOI Low-altitude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illance system
GB2579045A (en) * 2018-11-15 2020-06-10 Steelrock Tech Ltd RF antenna platform
KR102001181B1 (ko) 2019-03-13 2019-07-17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무허가 드론을 격추시키는 드론
KR102298763B1 (ko) * 2019-09-25 2021-09-07 주식회사 삼정솔루션 화기에 탈착 가능한 안티드론 재머장치
KR102539822B1 (ko) * 2021-08-24 2023-06-07 (주)링크텍 개인화기용 전파방해장치
CN117240398B (zh) * 2023-11-10 2024-01-19 北京融合汇控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装无人机反制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1100A (zh) * 2016-04-08 2016-06-29 纪伯文 一种手持式反制无人机安保设备
KR101677395B1 (ko) * 2015-10-29 2016-11-17 주식회사 동인광학 총기용 보조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9843B2 (en) * 2011-04-28 2013-04-30 Leapers, Inc. Foregrip
CN205792528U (zh) * 2016-07-15 2016-12-07 青岛国数信息科技有限公司 便携式无人机干扰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395B1 (ko) * 2015-10-29 2016-11-17 주식회사 동인광학 총기용 보조 손잡이
CN105721100A (zh) * 2016-04-08 2016-06-29 纪伯文 一种手持式反制无人机安保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531A (ko) 2018-08-16
WO2018147604A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432B1 (ko) 휴대용 드론재머
AU2018101672A4 (en) Portable countermeasure device against unmanned systems
US10790925B2 (en) Dual-grip portable countermeasure device against unmanned systems
US11095392B2 (en) Handheld portable countermeasure device against unmanned systems
ES2397182T3 (es)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arma de fuego y sistema de control remoto de una o más armas de fuego provistas con dicho dispositivo
US9642338B2 (en) Hand controller for electronic trainer
TW201607141A (zh) 用於可穿戴裝置之定向天線
US10969467B1 (en) Programmable multi-waveform RF generator for use as battlefield decoy
US20130239905A1 (en) Hand controller and smart phone system for electronic trainer
IL152680A0 (en) Real time dynamically controlled elevation and azimuth gun pod mounted on a fixed-wing aerial combat vehicle
CA2834500A1 (en) Helmet having embedded antenna
US20190101366A1 (en) Anti-Drone Weapon
WO2014121480A1 (zh) 激光射击对抗游戏用红外线手雷及激光射击对抗游戏系统
CN205790333U (zh) 一种无人机信号的破坏装置
US20230211239A1 (en) Smart target co-witnessing hit attribution system and method
AU2018273752B2 (en) Dual-grip portable countermeasure device against unmanned systems
CA3106716C (en) Programmable multi-waveform rf generator for use as battlefield decoy
KR101510631B1 (ko) 헬멧 표면 장착용 다중 대역 안테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US20160313080A1 (en) Multi-Barrel Firearm Apparatus Worn on the User's Forearm
US11973585B2 (en) Portable electromagnetic countermeasure device
Buckley et al. Hack-a-Thon: BB-RC jammer
WO2024015238A1 (en) Smart target co-witnessing hit attribution system and method
AU2021200556A1 (en) Programmable multi-waveform RF generator for use as battlefield decoy
Bombeau Nuclear deterrent faces new thre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